{{{#!wiki style="padding: 5px 0 0; margin:-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582d2d, #663334, #663334, #582d2d)"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cd9f51 {{{#!folding [ 20세기 ] {{{#!wiki style="margin:-5px -1px -5px; word-break:normal" {{{#555,#aaa | <rowcolor=#cd9f51> 1901 | 1902 | 1903 | 1904 |
| | | | |
쉴리 프뤼돔 | 테오도르 몸젠 | 비에른스티에르네 비외른손 | 프레데리크 미스트랄 | |
<rowcolor=#cd9f51> 1904 | 1905 | 1906 | 1907 | |
| | | | |
호세 에체가라이 | 헨리크 시엔키에비치 | 조수에 카르두치 | 러디어드 키플링 | |
<rowcolor=#cd9f51> 1908 | 1909 | 1910 | 1911 | |
| | | | |
루돌프 오이켄 | 셀마 라겔뢰프 | 파울 폰 하이제 | 모리스 마테를링크 | |
<rowcolor=#cd9f51> 1912 | 1913 | 1915 | 1916 | |
| | | | |
게르하르트 하웁트만 | 라빈드라나트 타고르 | 로맹 롤랑 | 베르네르 폰 헤이덴스탐 | |
<rowcolor=#cd9f51> 1917 | 1919 | 1920 | ||
| | | | |
카를 기엘레루프 | 헨리크 폰토피단 | 카를 슈피텔러 | 크누트 함순 | |
<rowcolor=#cd9f51> 1921 | 1922 | 1923 | 1924 | |
| | | | |
아나톨 프랑스 | 하신토 베나벤테 |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 | 브와디스와프 레이몬트 | |
<rowcolor=#cd9f51> 1925 | 1926 | 1927 | 1928 | |
| | | | |
조지 버나드 쇼 | 그라치아 델레다 | 앙리 베르그송 | 시그리드 운세트 | |
<rowcolor=#cd9f51> 1929 | 1930 | 1931 | 1932 | |
| | | | |
토마스 만 | 싱클레어 루이스 | 에릭 악셀 카를펠트 | 존 골즈워디 | |
<rowcolor=#cd9f51> 1933 | 1934 | 1936 | 1937 | |
| | | | |
이반 부닌 | 루이지 피란델로 | 유진 오닐 | 로제 마르탱 뒤 가르 | |
<rowcolor=#cd9f51> 1938 | 1939 | 1944 | 1945 | |
| | | | |
펄 벅 | 프란스 에밀 실란패 | 요하네스 빌헬름 옌센 | 가브리엘라 미스트랄 | |
<rowcolor=#cd9f51> 1946 | 1947 | 1948 | 1949 | |
| | | | |
헤르만 헤세 | 앙드레 지드 | 토머스 스턴스 엘리엇 | 윌리엄 포크너 | |
<rowcolor=#cd9f51> 1950 | 1951 | 1952 | 1953 | |
| | | | |
버트런드 러셀 | 페르 라게르크비스트 | 프랑수아 모리아크 | 윈스턴 처칠 | |
<rowcolor=#cd9f51> 1954 | 1955 | 1956 | 1957 | |
| | | | |
어니스트 헤밍웨이 | 할도르 락스네스 | 후안 라몬 히메네스 | 알베르 카뮈 | |
<rowcolor=#cd9f51> 1958 | 1959 | 1960 | 1961 | |
| | | | |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 살바토레 콰시모토 | 생존 페르스 | 이보 안드리치 | |
<rowcolor=#cd9f51> 1962 | 1963 | 1964 | 1965 | |
| | | | |
존 스타인벡 | 요르기우스 세페리스 | | 미하일 숄로호프 | |
<rowcolor=#cd9f51> 1966 | 1967 | 1968 | ||
| | | | |
슈무엘 요세프 아그논 | 넬리 작스 | 미겔 앙헬 아스투리아스 | 가와바타 야스나리 | |
<rowcolor=#cd9f51> 1969 | 1970 | 1971 | 1972 | |
| | | | |
사뮈엘 베케트 |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 파블로 네루다 | 하인리히 뵐 | |
<rowcolor=#cd9f51> 1973 | 1974 | 1975 | ||
| | | | |
패트릭 화이트 | 에위빈드 욘손 | 하뤼 마르틴손 | 에우제니오 몬탈레 | |
<rowcolor=#cd9f51> 1976 | 1977 | 1978 | 1979 | |
| | | | |
솔 벨로 | 비센테 알레익산드레 | 아이작 바셰비스 싱어 | 오디세우스 엘리티스 | |
<rowcolor=#cd9f51> 1980 | 1981 | 1982 | 1983 | |
| | | | |
체스와프 미워시 | 엘리아스 카네티 |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 윌리엄 골딩 | |
<rowcolor=#cd9f51> 1984 | 1985 | 1986 | 1987 | |
| | | | |
야로슬라프 사이페르트 | 클로드 시몽 | 월레 소잉카 | 조지프 브로드스키 | |
<rowcolor=#cd9f51> 1988 | 1989 | 1990 | 1991 | |
| | | | |
나기브 마푸즈 | 카밀로 호세 셀라 | 옥타비오 파스 | 나딘 고디머 | |
<rowcolor=#cd9f51> 1992 | 1993 | 1994 | 1995 | |
| | | | |
데릭 월컷 | 토니 모리슨 | 오에 겐자부로 | 셰이머스 히니 | |
<rowcolor=#cd9f51> 1996 | 1997 | 1998 | 1999 | |
| | | | |
비스와바 심보르스카 | 다리오 포 | 주제 사라마구 | 귄터 그라스 | |
<rowcolor=#cd9f51> 2000 | ||||
| ||||
가오싱젠 | ||||
}}}}}}}}}
{{{#!folding [ 21세기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5px 0" | ※ 2010년 RAI 2에서 이탈리아인들을 대상으로 투표한 ‘가장 위대한 이탈리아인’ 명단이다. 고대 로마 제국 시기의 인물들이 완전히 배제되고 투표율도 6%에 불과했다. | ||||
<rowcolor=#ffffff>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레오나르도 다 빈치 | 주세페 베르디 | 지오반니 팔코네 | 갈릴레오 갈릴레이 | 토토 | |
<rowcolor=#ffffff>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라우라 파우지니 | 안나 마냐니 | 루이지 피란델로 | 엔리코 페르미 | 단테 알리기에리 | |
※ 출처 | |||||
같이 보기: 위대한 인물 시리즈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루이지 피란델로 Luigi Pirandello | |
| |
출생 | 1867년 6월 28일 |
이탈리아 시칠리아 아그리젠토 | |
사망 | 1936년 12월 10일 (향년 69세) |
이탈리아 로마 | |
국적 |
|
배우자 | 마리아 안토니에타 포르툴라노 |
직업 | 극작가, 시인, 소설가 |
활동 기간 | 1893년 ~ 1933년 |
1. 개요
이탈리아의 극작가, 시인, 소설가.2. 일생
루이지 피란델로는 중산층 상인의 아들로 태어났다. 어린 시절부터 문학과 언어에 강한 관심을 보였으며, 로마 대학교와 독일의 본 대학교에서 수사학과 문학, 철학을 공부한 뒤 독일 낭만주의와 고전주의 문학에 대한 이해를 넓혔다. 초기에는 시인과 소설가로 활동했지만, 1903년 가족의 경제적 몰락과 아내의 정신질환으로 인한 극심한 개인적 고통을 겪으면서 인간 존재의 불안정성과 정체성의 문제에 깊은 관심을 갖게 되었고, 이러한 주제는 그의 이후 작품 세계 전반에 중심적인 문제의식으로 자리 잡았다.1904년 소설 《깨어진 항아리》(Il fu Mattia Pascal, 1904)를 통해 큰 명성을 얻게 되었다. 피란델로는 《작가를 찾는 여섯 인물》(Sei personaggi in cerca d’autore, 1921)을 비롯한 "극 중극" 형식의 작품을 통해 현실과 허구, 인물과 배우, 자아와 사회 사이의 경계를 흐리게 하며 근대 극작술에 철학적 깊이를 더했다. 그의 연극은 관객에게 단순한 서사적 흐름이 아닌 인식의 혼란과 해체를 경험하게 했고, 이는 이후 유럽 전위극과 부조리극의 출발점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또한 무대 위에서의 자아 분열과 인간 존재의 상대성을 다룬 연작극들과 단막극을 통해 전통적인 연극 구조를 해체하고, 형식의 실험과 철학적 주제를 결합하는 독창적인 극작가로 자리매김하였다.
1934년, "풍부한 상상력과 섬세한 언어로 인간 심리와 삶의 본질을 독창적으로 탐구한 점"을 인정받아 노벨문학상을 수상하였으며, 이는 그가 이탈리아와 유럽 문학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공식적으로 확립한 계기가 되었다. 그는 말년까지도 꾸준히 창작 활동을 이어갔고, 특히 '인간이란 무엇인가'라는 본질적인 문제에 대한 탐구를 통해 연극의 철학적 차원을 확장하려는 노력을 멈추지 않았다. 1936년 로마에서 세상을 떠났다.
3. 평가
인간 존재의 다면성과 자아의 불안정성을 중심 주제로 삼아, 문학과 연극의 본질에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한 작가로 평가받는다. 그는 인물이 단일하고 고정된 정체성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상황과 관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관점을 제시하며 인간의 내면을 복잡하게 그려냈다. 이러한 시각은 단지 문학적 개념에 그치지 않고, 근대 이후 철학과 심리학이 탐구한 인간 존재의 본질과 맞닿아 있으며, 그의 작품 세계 전반에 깊이 스며들어 있다.그의 대표작 《작가를 찾는 여섯 인물》에서는 허구 속 인물들이 현실의 무대에 등장해 자신들의 이야기를 완성해달라고 요구하는 설정을 통해 창조자와 피조물, 현실과 환상, 무대와 관객의 경계를 허물었다. 이와 같은 구성은 단순한 형식적 실험을 넘어, 진실과 거짓, 실재와 재현 사이의 복잡한 관계를 드러내며, 연극을 철학적 사유의 장으로 확장시켰다는 점에서 큰 평가를 받는다. 피란델로는 이 작품을 통해 연극에서의 ‘허구의 자각’이라는 개념을 일찍이 구현한 인물로 여겨지며, 이는 훗날 부조리극과 실험극의 중요한 기초가 되었다.
그의 문학적 실험과 사유는 사뮈엘 베케트, 외젠 이오네스코, 장 주네와 같은 후대의 현대극 작가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이들은 피란델로가 처음으로 제시한 '극 중 극' 구조와 '불확실한 자아'라는 주제를 더욱 발전시키며, 현대 연극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기여했다. 피란델로는 1934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하면서 그 문학적 깊이와 연극적 혁신성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았으며, 그의 작품은 지금도 연극 이론과 문학 연구에서 필수적으로 다뤄지는 고전으로 남아 있다.
4. 작품
- 《말리리아》(Malìa, 1894) - 시집
- 《심리학적인 사건들》(Beffe della morte e della vita, 1901) - 단편집
- 《기억의 왕》(La giara, 1918) - 단편극 (희극적인 단막극)
- 《벌거벗은 진실》(Nuda proprietà, 1924) 단막극
희곡
- 《이중의 진실》(Quando si è qualcuno, 1906) - 희곡
- 《벌거벗은 삶》(La vita nuda, 1915) - 희곡
- 《인간의 희극》(Così è (se vi pare), 1917) - 희곡
- 《작가를 찾는 여섯 인물》(Sei personaggi in cerca d’autore, 1921) - 희곡
- 《작가 없이 찾아온 인물들》(Enrico IV, 1922) - 희곡
- 《일곱 가지 희극(L'umorismo, 1923)》 희곡 및 에세이집
- 《내버려진 아내》(Come tu mi vuoi, 1925) 희곡
- 《인간의 허상》(Vestire gli ignudi, 1929) 희곡
소설
- 《마티아 파스칼》(Il fu Mattia Pascal, 1904) - 장편소설
- 《노친네의 자전거》(Il treno ha fischiato, 1910) - 단편소설
미완성
- 《오늘의 환상》(Bellavita, 1930) 미완성 작품
- 《거대한 리듬》(I giganti della montagna, 1934) 미완성 희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