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N 선정 위대한 칠레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살바도르 아옌데 | 아르투로 프라트 | 성 알베르토 우르타도 | 빅토르 하라 | 마누엘 로드리게스 에르도이사 | |||||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호세 미겔 카레라 | 라우타로 | 가브리엘라 미스트랄 | 파블로 네루다 | 비올레타 파라 | |||||
같이 보기: 위대한 인물 시리즈 |
{{{#cd9f51 {{{#!wiki style="padding: 5px 0 0; margin:-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582d2d, #663334, #663334, #582d2d)"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20세기 ] {{{#!wiki style="margin:-5px -1px -5px; word-break:normal" {{{#555,#aaa | <rowcolor=#cd9f51> 1901 | 1902 | 1903 | 1904 |
쉴리 프뤼돔 | 테오도르 몸젠 | 비에른스티에르네 비외른손 | 프레데리크 미스트랄 | |
<rowcolor=#cd9f51> 1904 | 1905 | 1906 | 1907 | |
호세 에체가라이 | 헨리크 시엔키에비치 | 조수에 카르두치 | 러디어드 키플링 | |
<rowcolor=#cd9f51> 1908 | 1909 | 1910 | 1911 | |
루돌프 오이켄 | 셀마 라겔뢰프 | 파울 폰 하이제 | 모리스 마테를링크 | |
<rowcolor=#cd9f51> 1912 | 1913 | 1915 | 1916 | |
게르하르트 하웁트만 | 라빈드라나트 타고르 | 로맹 롤랑 | 베르네르 폰 헤이덴스탐 | |
<rowcolor=#cd9f51> 1917 | 1919 | 1920 | ||
카를 기엘레루프 | 헨리크 폰토피단 | 카를 슈피텔러 | 크누트 함순 | |
<rowcolor=#cd9f51> 1921 | 1922 | 1923 | 1924 | |
아나톨 프랑스 | 하신토 베나벤테 |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 | 브와디스와프 레이몬트 | |
<rowcolor=#cd9f51> 1925 | 1926 | 1927 | 1928 | |
조지 버나드 쇼 | 그라치아 델레다 | 앙리 베르그송 | 시그리드 운세트 | |
<rowcolor=#cd9f51> 1929 | 1930 | 1931 | 1932 | |
토마스 만 | 싱클레어 루이스 | 에릭 악셀 카를펠트 | 존 골즈워디 | |
<rowcolor=#cd9f51> 1933 | 1934 | 1936 | 1937 | |
이반 부닌 | 루이지 피란델로 | 유진 오닐 | 로제 마르탱 뒤 가르 | |
<rowcolor=#cd9f51> 1938 | 1939 | 1944 | 1945 | |
펄 벅 | 프란스 에밀 실란패 | 요하네스 빌헬름 옌센 | 가브리엘라 미스트랄 | |
<rowcolor=#cd9f51> 1946 | 1947 | 1948 | 1949 | |
헤르만 헤세 | 앙드레 지드 | 토머스 스턴스 엘리엇 | 윌리엄 포크너 | |
<rowcolor=#cd9f51> 1950 | 1951 | 1952 | 1953 | |
버트런드 러셀 | 페르 라게르크비스트 | 프랑수아 모리아크 | 윈스턴 처칠 | |
<rowcolor=#cd9f51> 1954 | 1955 | 1956 | 1957 | |
어니스트 헤밍웨이 | 할도르 락스네스 | 후안 라몬 히메네스 | 알베르 카뮈 | |
<rowcolor=#cd9f51> 1958 | 1959 | 1960 | 1961 | |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 살바토레 콰시모토 | 생존 페르스 | 이보 안드리치 | |
<rowcolor=#cd9f51> 1962 | 1963 | 1964 | 1965 | |
존 스타인벡 | 요르기우스 세페리스 | | 미하일 숄로호프 | |
<rowcolor=#cd9f51> 1966 | 1967 | 1968 | ||
슈무엘 요세프 아그논 | 넬리 작스 | 미겔 앙헬 아스투리아스 | 가와바타 야스나리 | |
<rowcolor=#cd9f51> 1969 | 1970 | 1971 | 1972 | |
사뮈엘 베케트 |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 파블로 네루다 | 하인리히 뵐 | |
<rowcolor=#cd9f51> 1973 | 1974 | 1975 | ||
패트릭 화이트 | 에위빈드 욘손 | 하뤼 마르틴손 | 에우제니오 몬탈레 | |
<rowcolor=#cd9f51> 1976 | 1977 | 1978 | 1979 | |
솔 벨로 | 비센테 알레익산드레 | 아이작 바셰비스 싱어 | 오디세우스 엘리티스 | |
<rowcolor=#cd9f51> 1980 | 1981 | 1982 | 1983 | |
체스와프 미워시 | 엘리아스 카네티 |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 윌리엄 골딩 | |
<rowcolor=#cd9f51> 1984 | 1985 | 1986 | 1987 | |
야로슬라프 사이페르트 | 클로드 시몽 | 월레 소잉카 | 조지프 브로드스키 | |
<rowcolor=#cd9f51> 1988 | 1989 | 1990 | 1991 | |
나기브 마푸즈 | 카밀로 호세 셀라 | 옥타비오 파스 | 나딘 고디머 | |
<rowcolor=#cd9f51> 1992 | 1993 | 1994 | 1995 | |
데릭 월컷 | 토니 모리슨 | 오에 겐자부로 | 셰이머스 히니 | |
<rowcolor=#cd9f51> 1996 | 1997 | 1998 | 1999 | |
비스와바 심보르스카 | 다리오 포 | 주제 사라마구 | 귄터 그라스 | |
<rowcolor=#cd9f51> 2000 | ||||
가오싱젠 | ||||
}}}}}}}}}
- [ 21세기 ]
- ##
||<tablebgcolor=#663334><rowcolor=#cd9f51> 2001 || 2002 || 2003 || 2004 ||
}}}}}} ||
물리학 | 화학 | 생리학·의학 | 평화 | 경제학 |
Pablo Neruda | ||
[[노벨문학상|{{{#white 1971년 노벨문학상 수상자}}}]] | ||
본명 | 네프탈리 리카르도 레예스 바소알토 Neftalí Ricardo Reyes Basoalto | |
출생 | 1904년 7월 12일 칠레 파랄 | |
사망 | 1973년 9월 23일 (향년 69세) 칠레 산티아고 | |
국적 | [[칠레| ]][[틀:국기| ]][[틀:국기| ]] | |
직업 | 시인, 정치가 | |
서명 |
[clearfix]
1. 개요
라틴아메리카 대륙의 운명과 희망을 생생하게 전달하는 설득력을 갖춘 시 - 노벨문학상 수상 사유 중 일부
어떤 언어로 보나 20세기의 가장 위대한 시인이다. -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확신컨대, 나는 이 땅에서 그 나이에 그만한 높이에 다다른 시인을 따로 알지 못한다. - 페드로 프라도
칠레의 국민적인 지지를 받는 시인이자 사회주의 정치가. 본명은 네프탈리 리카르도 레예스 바소알토(Neftalí Ricardo Reyes Basoalto)이다. 남미 역사를 소재로 한 서사시, 사랑을 노래한 서정시, 일상적인 사물에 바치는 송시, 현실의 부정적인 요소를 비판하는 초현실주의 시 등 다양한 종류의 시들을 남겼다. 사회주의자였기 때문에 평생 동안 여러 군데로 정치적 망명을 다녔다. 1971년에 노벨문학상을 수상했다.
네루다 특유의 시법을 일컫는 네루디스모(nerudismo)라는 개념이 있다. 그 특징은 참신한 이미지 활용을 통한 다채로운 메타포, 과감한 정치적 선동성과 관능적 선정성, 형식 구사의 파격성 등이다.
2. 일생
1904년에 칠레 중부의 파랄에서 철도 노동자의 아들로 태어난 네그는 태어난 지 2달 만에 어머니를 여의었다. 그는 13살 때 첫 작품을 발표했다. 아들이 시인이 되는 것을 반대한 부친의 눈을 피하기 위해 필명을 사용하기 시작했는데 체코의 작가인 얀 네루다의 성과 성경의 바울에서 영감을 얻은 파블로라는 이름을 합쳐 필명을 만들었다. '파블로 네루다'라는 이름은 1946년부터는 아예 법적인 이름이 되었다.그는 문학적인 재능을 발휘해서 1921년 〈축제의 노래〉를 발표해서 시단의 인정을 받았고 2년 뒤에는 그의 첫 시집 <황혼 일기>를 출판했다. 이후 그의 문학적 행보는 거칠 것이 없어서 <무한한 인간의 시도>, <열렬한 투척병>, <지상의 거처>를 출판한다. 그 사이 그는 버마의 양곤의 주재 명예영사로 임명되었고 특히 그가 마드리드 주재 영사로 부임할 때 스페인 내전을 겪은 것이 그가 공산당에 입당하고 반파시즘 시를 쓴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이 시절에 스리랑카에 머무를 때 하층민 타밀 여인을 강간하고 그 사실을 아무렇지도 않은 듯이 자기 자서전에 적은 것이 논란이 되었다. 이는 한국어 번역본에도 그대로 실려 있다.
그는 귀국 이후에 상원의원에 당선되면서 본격적인 정치 활동을 시작한다. 1946년 대통령에 취임한 가브리엘 곤살레스 비델라 대통령이 칠레 공산당과 체결한 협약을 파기하자 격렬하게 비판했다. 특히 1948년 1월 6일의 의회 연설은 <나는 고발한다>라는 제목으로 출판되기도 했다. 이에 대법원은 네루다의 상원의원 면책특권을 박탈하고, 2월 5일 국가원수 모독죄로 체포영장을 발급했다. 그 후 칠레 공산당이 비합법 단체로 인정되자 그의 망명생활이 시작된다. 1950년 멕시코 망명 시절에 서사시 <모두의 노래>를 출간했다.
1952년에 귀국한 후 창작에 몰두했다. 1969년에 칠레 공산당의 지명으로 대통령 후보가 됐지만 살바도르 아옌데를 추대하고 후보에서 사퇴했다.
1971년에는 노벨문학상을 수상했다. #
1973년에 아우구스토 피노체트의 쿠데타로 아옌데 정권이 무너지자 병상에서 격렬하게 항의하는 시를 쓰다가 1973년 9월 23일에 암으로 세상을 떠났다.
그의 죽음에 관하여 그의 측근과 칠레 공산당을 비롯한 좌파 논객들은 오랫동안 피노체트 정권에 의한 독살설을 주장했는데 2010년대 들어 칠레 내무부에서 장기적으로 내부 조사를 한 결과 2015년 11월에 스페인어권 최대 신문 중 하나인 엘 파이스 지를 통해 실제로 제3자의 개입을 통해 독살 되었을 가능성이 유력하다고 시인하였다.
3. 기타
그가 등장하는 <일 포스티노>라는 영화가 있다. 원작소설은 안토니오 스카르메타가 쓴 소설 <네루다의 우편배달부>.미국 중앙정보국의 지원을 받은 피노체트가 쿠데타로 살바도르 아옌데 대통령을 쫒아내자 네루다는 해외 망명을 계획했는데 칠레를 떠나기 전날에 갑작스럽게 사망했다. 공식적인 사인은 암으로 인한 심정지였지만 최근에 칠레 정부가 군부에 의한 타살 가능성을 인정했다.출력
그가 한 말 중에 '모든 꽃을 꺾을 수는 있어도, 봄이 오는 것을 막을 수는 없다.'라는 말이 있는데, 김영삼의 닭의 목을 비틀어도 새벽은 온다는 말과 꽤나 느낌이 비슷하다.[1]
2016년 영화 재키로 유명한 파블로 라리안이 감독한 전기 영화인 네루다가 공개되었다.
문학가 이태준은 1951년에 조선대표단의 일원으로 중국 베이징시를 방문했을 당시 파블로 네루다를 본 적이 있었다.[2]
The Dreamer이라는 그의 인생이 담긴 책이 있는데 청담어학원 Par 레벨에서 사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