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이영돈의 별명}}}에 대한 내용은 [[이영돈]]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이영돈#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이영돈#|]]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미스터리(케이팝 데몬 헌터스)]]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미스터리(케이팝 데몬 헌터스)#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미스터리(케이팝 데몬 헌터스)#|]]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비스트의 노래}}}에 대한 내용은 [[Beast Is The B2ST]]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Beast Is The B2ST#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Beast Is The B2ST#|]]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박지윤의 노래}}}에 대한 내용은 [[박지윤(가수)/음반 목록]]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박지윤(가수)/음반 목록#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박지윤(가수)/음반 목록#미스터 (Mr.)|미스터 (Mr.)]]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레인보우의 노래}}}에 대한 내용은 [[Mr. Lee]]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Mr. Lee#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Mr. Lee#|]]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레이디스 코드의 싱글 2집}}}에 대한 내용은 [[MYST3RY]]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MYST3RY#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MYST3RY#|]]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레이디스 코드의 디지털 싱글}}}에 대한 내용은 [[MYST3Re:]]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MYST3Re:#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MYST3Re:#|]]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TV 프로그램}}}에 대한 내용은 [[모던 인물사 미스터리]]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모던 인물사 미스터리#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모던 인물사 미스터리#|]]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이영돈의 별명: }}}[[이영돈]]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이영돈#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이영돈#|]]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등장인물: }}}[[미스터리(케이팝 데몬 헌터스)]]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미스터리(케이팝 데몬 헌터스)#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미스터리(케이팝 데몬 헌터스)#|]]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비스트의 노래: }}}[[Beast Is The B2ST]]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Beast Is The B2ST#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Beast Is The B2ST#|]]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박지윤의 노래: }}}[[박지윤(가수)/음반 목록]]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박지윤(가수)/음반 목록#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박지윤(가수)/음반 목록#미스터 (Mr.)|미스터 (Mr.)]]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레인보우의 노래: }}}[[Mr. Lee]]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Mr. Lee#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Mr. Lee#|]]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레이디스 코드의 싱글 2집: }}}[[MYST3RY]]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MYST3RY#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MYST3RY#|]]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레이디스 코드의 디지털 싱글: }}}[[MYST3Re:]]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MYST3Re:#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MYST3Re:#|]]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TV 프로그램: }}}[[모던 인물사 미스터리]]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모던 인물사 미스터리#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모던 인물사 미스터리#|]]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1. 개요
Mystery'감추어진 것', 혹은 '감추어진 것을 가리키는 감각적인 것'을 가리키는 희랍어 μυστήριον(mystērion, 뮈스테리온)에서 온 영단어로,[1] 통상 신비, 불확실, 애매함, 수수께끼를 의미한다.
대한민국에는 한글로 표기하면 발음이 같기 때문에 Mr. Lee라는 말장난이 존재한다. 네이버 웹툰 연민의 굴레에서 이를 떡밥으로 다루기도 했다. 영미권에서도 비슷한데 이 동네서는 Mr. E를 쓴다. 박지윤의 노래 Mr.Lee는 이 말장난을 대놓고 다룬 노래다. 퀴즈 과학상식에서도 이 말장난을 이용한 캐릭터가 나온다.
철자 또는 일본어 ミステリー의 영향인지 '미스테리'로 아는 사람이 많으나 표준어는 미스터리. 영어 발음도 미스터리 혹은 미스트리에 가깝다.(/mɪstri/)
2. 상식적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이상한 사물이나 사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스터리 관련 정보#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스터리 관련 정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괴담, 도시전설, 음모론, 심령현상, UFO 목격, 미제사건 등 상식적으로는 이해할 수 없거나 진상이 밝혀지지 않은 사건을 의미한다. 호기심과 공포심을 불러 일으키며 다양한 창작물의 모티브가 된다.
3. 장르
| 🎬 영화 장르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61BDC2><colcolor=#fff> 스타일 | SF 영화, 공연 실황 영화, 공포 영화, 느와르, 다큐멘터리 영화, 드라마, 로드 무비, 모험물, 뮤지컬, 미스터리, 법정물, 수사물, 스릴러, 슬로우 시네마, 액션 영화, 사극, 일상물, 전기 영화, 정치물, 코미디(블랙 코미디, 로맨틱 코미디, 슬랩스틱), 첩보물, 판타지 |
| 사조 | 네오 리얼리즘, 누벨바그, 뉴 할리우드, 대만 뉴웨이브, 스파게티 웨스턴, 시적 리얼리즘, 표현주의, 도그마 95, 실험영화, 소비에트 몽타주, 프리 시네마, 폴란드 학파, 제3영화, 멈블코어, 시네마 뒤 룩, 홍콩 뉴웨이브, 뉴 퀴어 시네마, 뉴 저먼 시네마 | |
| 포맷 /프로덕션 | 3D, 독립 영화, 애니메이션 영화, 흑백 영화 | }}}}}}}}} |
수수께끼, 도시전설, 괴담, 살인 범죄 등 전말이 밝혀지지 않은 이야기들을 풀어나가는 것을 미스터리 장르라고 말한다. '이미 일어난 기이한 사건 혹은 현상'의 진실을 파헤쳐나가는 장르 자체를 포괄적으로 뜻하며, 특성상 감춰진 진실을 파헤쳐나가는 구도를 기본으로 깔기 때문에 호러물, 스릴러, 오컬트와도 자주 엮인다.
추리물과 미스터리 장르에 대한 용법적 구분에는 여러 의견이 있다. 모호함 때문인지, 한국에선 아예 미스터리란 장르를 표기하지 않는 플랫폼들도 존재한다. 이 경우 대부분은 스릴러 장르나 호러, 범죄 장르로 분류되어 있다. 미스터리란 카테고리가 존재하는 OTT에서는 호러와 오컬트, 단순괴기 장르까지 포괄하는 표현으로 사용하고, 추리라는 어휘는 탐정물이나 수사물의 태그로 따로 붙이기도 한다. 일본에서는 미스터리와 추리소설을 동일한 장르로 본다. 다만 일본의 평론가나 출판업계에서는 호러와 오컬트, SF가 메인 소재인 작품을 미스터리로 분류하지 않는다. 이 미스터리가 대단하다! 수상작들을 보면 판타지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작품도 있으나, 기본적으로 인간의 범죄나 현실적인 사건사고를 다룬다는 골조에서 벗어나지 않는다.[2] 북미에서도 미스터리 장르의 대부분이 탐정 소설이지만, 펄프 매거진의 영향으로 인간의 범죄가 아닌 초자연적 이야기를 포함시키기 시작했다.[3] 이렇게 국가별로도 용법이 다른 탓에 의견이 갈린다.
코난 도일이나 포와 같은 영미 소설을 일본이 들여올 때 Detective Story를 탐정소설로 번역하였다. 한국에서는 이에 따라 정탐소설(탐정소설)이라 불렀다. 그러나 探偵(탐정)에서 偵자가 일본 당용한자에서 제외됨에 따라, 일본은 추리소설이란 명칭이 대세가 되었다. 한국에서는 이후에 일본 신간들이 들어오면서 반영된 것이다. 장르명의 역사를 따지자면 추리라는 표현은 탐정소설에서 갈라져 나온 것이고, 미스터리와 1대1 대응하는 번역어는 아닌 셈. 후에 일본 내 추리소설을 미스터리라 부르게 되면서, 일본 추리소설은 미스터리와 동의어가 되었다. 이러한 탓에 한국에서 미스터리라고 하면, 일본식 미스터리와 영미권식 미스터리, 더 나아가 한국 영상미디어 초창기식 분류가 섞이면서 모호한 장르가 되었다. 요약하자면, 현대 추리물은 일본식 미스터리를 일컫는 말이고, 세계의 전반적인 탐정소설이 그 뿌리이기에 미스터리와 추리물은 서로 다른 범주가 아니다. 한국 미디어에서 통상적으로 칭하는 미스터리에는 추리물 이외의 요소들도 존재하기에, 미스터리 장르는 추리물을 포함하는 큰 개념이라 할 수 있다.
3.1. 영화
3.2. 드라마
[1] 가령 고대 희랍 엘레우시스에서는 데메테르가 페르세포네를 찾아다닌 이야기를 재현하는 종교의식이 있었는데, '감추어진 것'을 가리키는 '감각적인 것'이기에 mystēria(mystērion의 여성형)라고 불렸다. 또한 그리스도교의 성사는 '감추어진 것'을 가리키는 '감각적인 것'이기에 희랍어로 mystērion이라 부른다.[2] 요코미조 세이시 신인상이 미스터리만 뽑던 시절, 링이 최종후보까지 남았으나 오컬트적 결말이라는 이유로 낙선한 사례를 보면 이해하기 쉽다.[3] 미국에서는 링이나 패러사이트 이브 원작 소설 같은 작품들을 초자연적 미스터리로 홍보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