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4 01:40:15

수사물

영화 장르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61BDC2><colcolor=#fff>
스타일
SF 영화, 공연 실황 영화, 공포 영화, 느와르, 다큐멘터리 영화, 드라마, 로드 무비, 모험물, 뮤지컬, 미스터리, 법정물, 수사물, 스릴러, 슬로우 시네마, 액션 영화, 사극, 일상물, 전기 영화, 코미디(블랙 코미디, 로맨틱 코미디, 슬랩스틱), 첩보물, 판타지
사조 네오 리얼리즘, 누벨바그, 뉴 할리우드, 대만 뉴웨이브, 스파게티 웨스턴, 시적 리얼리즘, 표현주의, 도그마 95, 소비에트 몽타주, 프리 시네마, 폴란드 학파, 제3영화, 멈블코어, 시네마 뒤 룩, 홍콩 뉴웨이브, 뉴 퀴어 시네마, 뉴 저먼 시네마
포맷
/프로덕션
3D, 독립 영화, 애니메이션 영화, 흑백 영화
}}}}}}}}} ||

Investigation

1. 개요2. 수사 드라마에 대해서3. 작품 목록
3.1. 게임3.2. 만화3.3. 애니메이션3.4. 영화3.5. 드라마
3.5.1. 해외3.5.2. 국내
4. 여담

1. 개요

경찰, FBI 같은 공적인 기관에서 주인공이 범죄나 사건을 해결하는 장르다. 장르 특성상 추리, 호러, 스릴러가 겹치는 경우가 많다.

2. 수사 드라마에 대해서

한국에서는 연애물, 일본에서는 명언물(세상의 중심에서 사랑을 외치다) 또는 만화원작물(데스노트 드라마)를 많이 제작한다면 미국에서는 바로 이 장르로 하는 시리즈를 많이 제작한다. 대표적으로 X파일이 있고 이외에 CSI 시리즈, NCIS, 크리미널 마인드 등이 있으며 한국에서는 수사반장, 시그널 그리고 OCN에서 제작하고 있는 오리지널 시리즈들(특수사건전담반 TEN, 보이스, 터널)이 있으며 영국에서는 라이프 온 마스, 브로드처치, 블랙 미러, 언더커버, 화이트채플 등이 있다.

2010년대 이후로 인기가 급하락하는 추세다. 소재가 고갈된 면도 있고 현대를 배경으로 하면 인터넷과 스마트폰이 전세계적으로 보급된 실정인지라 이런 환경에서 수사물을 만들면 예전같은 극적인 요소를 만들 수가 없어서 재미가 없기 때문.[1] 그래서 사실상 독립 장르나 다름없는 셜록 홈즈 시리즈를 모티브로 한 작품들을 논외로 하더라도 범죄도시 시리즈처럼 인터넷과 스마트폰 시대 이전의 과거를 배경으로 하거나, 극한직업(영화)처럼 코미디 노선을 타는 경우가 늘어났다. 물론 이게 수사물의 인기하락의 직접적인 원인은 아니다.

사실상 같은 카테고리나 다름없는 추리물과 비슷한 느낌으로 트렌드가 가장 복잡하게 변화하고 있는 장르 중 하나이다. 트릭 위주로 진행되는 작품들은 대부분 쉽게 진부해지기도 하는데다가 새로운 트릭을 고안하면 할 수록 현실성이 그만큼 떨어지기 때문에[2] 동기 위주로 진행되는 스토리들이 많아지고 있다. 범죄자 캐릭터들 역시 현대 번죄에 맞춰서 묻지마 살인이나 사이코패스 등으로 대표되는 입체적인[3] 캐릭터들 역시 늘어나고 있다. 이런 이유 때문인지 일본드라마의 경우 수사물에 출연하여 좋은 성적을 거두는 배우의 경우 연기력을 인정받는 터닝포인트가 되기도 한다. 주인공 역시 단순한 정의감을 가진 주인공보다도 범인을 잡기위해 수단방법을 가리지 않는 피카레스크적 캐릭터부터 현실의 벽에 부딛쳐서[4] 좌절하는 캐릭터[5]라든가 PTSD에 시달리는 캐릭터 등 등장하는 캐릭터들의 특징이 입체적인 경우도 많아지고 있다.

사실상 현대의 수사물은 이렇듯 시간이 지나면서 웬만한 일반인들을 아득히 뛰어넘는 장르에 대한 전문지식이 기본으로 깔려있어야 시청이 가능해질 정도로[6][7] 신작이라 하더라도 진입장벽이 점점 높아져가고 있는 추세다. 소위말해 수사물/추리물의 고인물덕후가 아닌 이상은 젊은 팬층의 유입은 점점 낮아지고 있는 추세다. 현대 수사물의 성향상 내용도 잔인하고 섬뜩하고 무거운 작품들도 많으며[8] 주인공에게 감정이입해서 시청자들 역시 같이 머리를 굴려야하는 판에(...) 가볍게 시간때우는 용도의 장르로써는 부적합해진지 오래이다.[9] 사실상의 수사물의 인기가 떨어지고 있는 것은 이 때문. 그래서 미국이나 일본이나 아예 시청률만 제대로 나와서 장수 가능성이 보이면 기본 시즌제를 깔고 가는 경우도 많다.[10] 이와 비슷한 성향을 가진 장르로는 SF가 있다. [11]

3. 작품 목록

3.1. 게임

3.2. 만화

3.3. 애니메이션

3.4. 영화

3.5. 드라마

3.5.1. 해외

3.5.2. 국내

4. 여담

본 장르의 성인물 버전으로는 여수사관물이 있지만 여긴 장르가 장르인지라 수사관이 늘 당하는 역할이다...


[1] 예전같으면 천재 형사의 놀라운 추리 능력이나 기가 막힌 과학적 증거로 겨우 해결하는 사건이 개인의 인터넷이나 스마트폰 기록 몇 번만 뒤지면 일사천리로 해결이 가능하다고 생각해 보라. 물론 현실대입을 한다치면 개인정보문제 등으로 영장발부를 따로 해야한다던가 일사천리로만 해결되지는 않는다.또한 작품을 만든느 작가들 역시 바보는 아닌지라(...) 인터넷으로 단서를 찾으려고 해도 VPN으로 우회를 했다던가 하는 식으로 진행을 꼬아버린다. 물론 프록시 우회를 해도 오리지널 서버를 알아낼 수는 있으나 일사천리로 되지는 않는다. 서버에 따라서 익명성이나 데이터관리 때문에 기간이 지나면 서버 기록을 삭제하는 곳도 있기 때문. 이건 창작물이 아닌 현실에서도 마찬가지다.[2] 고증 및 현실성과 멀어질 수록 감정이입이 힘들어진다.[3] 단순한 원한이나 돈문제 등을 넘어선 범죄동기.[4] 형사나 경찰관은 정의를 구현하는 사람들이 아닌 법의 집행을 구현하는 인물들이라는 점.[5] 반대로 자신만의 정의의 잣대를 들이대다가 이를 깨닫고 성장캐릭터로 방향을 바꾸는 식도 있다.[6] 웬만큼 단순한 트릭이나 범죄수법은 현실내에서도 금방 꼬리가 잡혀서 체포되기 일쑤다. 당연히 그에 비해서 관객들에게 긴장감을 주기 위해서는 뻔한 전개로는 재미가 없어진다. 고증도 많이 떨어지고.[7] 강선흔이나 교살흔(요시카와선) 같은 단어나 개념들은 이미 숙지상태에서 보는 게 이해가 더 빠를 정도로 내용전개가 복잡해져가고 있다. 특히 추리물 마니아가 많은 일본의 경우 수사물을 보는 사람들은 아예 이런 지식이 잡혀있는 상태를 전제로 작품을 만드는 경향도 강해지고 있다. 살해교살흔과 자살흔의 차이를 이용해서 타살을 자살로 위장을 한다던가. 아예 작 중 내 대사로도 "요즘은 이런 거 추리소설 좀 읽었다치면 웬만한 사람들 다 알지 않나요?"라는 식으로 나오기도 한다.[8] 한국과는 다르게 한국보다는 그나마 심의가 낮은 해외 드라마에서는 토막살인이나 아동살해 등 일반인이 생각하기에는 정신이 아득해질 내용들이 자주 나온다. 실제 한국 드라마 보이스 시리즈의 경우 첫 방영 때 범죄자와의 난투씬이 수위가 높다며 논란이 되기도 했는데, 수사물 마니아들에겐 이 정도는 그렇게까지 수위가 높은 정도는 아니다.(...) 애초에 드라마가 아닌 극장 영화에서는 공공의 적 시리즈 등의 영화에선 이미 오래전부터 당연시되던 수위이기도 했다.[9] 반전 기믹을 위해서 서술 트릭을 깐다거나 하면 수사물은 특유의 장르적 특징때문에 더더욱 내용이 복잡해진다.[10] Law&Order 시리즈파트너같은 인기있다는 드라마들 대부분이 10년 20년은 거뜬히 넘고 있고, 이 외에도 차기작으로 인기를 얻는 신작들 역시 방영 4~5년은 기본으로 거뜬히 넘는 마니아 지향의 장르가 되어가고 있다. 이에 비례해서 보고 있는 드라마들 챙겨보기도 바빠서 신작 드라마 디깅을 제대로 못하는 웃픈 사례도 발생한다. 때문에 수사물의 주요 소비층은 국적막론하고 30~40대 시청자들이 메인인 경우도 많다. 확실히 이정도 나이대면 같은 드라마 시리즈를 10년 이상 봐왔다는 사실에도 납득이 가고(...) 30대에 접어들게 되면 정신적으로 유행에 뒤쳐지게 되는 시기이기도 하니 이런 현상이 현대 수사물의 트렌드와도 맞물려서 고령화가 지속화되고 있다.[11] 웬만한 과학지식이나 SF설정을 숙지하고 있어야 이해가 가능한 작품들이 많아지고 있다. 일반인들 사이에선 간단한 물리학조차도 공식설명 빼고 이론만 얘기해도 힘들어하는 사람들이 현대에 올 수록 늘어나고 있기도 하다. 여기에 철학적인 메시지까지 덧붙이면 진입장벽은 점점 더 높아질 수 밖에 없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