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100 Greatest Greeks | ||||||||
| ※ 2009년 그리스 Skai TV 방송이 그리스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가장 위대한 그리스인 100명'을 선정 | |||||||||
| TOP 10 | |||||||||
|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 알렉산드로스 3세 | 게오르요스 파파니콜라우 | 테오도로스 콜로코트로니스 | 콘스탄티노스 카라만리스 | 소크라테스 | |||||
|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 아리스토텔레스 |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 | 요안니스 카포디스트리아스 | 플라톤 | 페리클레스 | |||||
| 11위~100위 | |||||||||
| 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 미키스 테오도라키스 | 콘스탄티노스 카라테오도리 | 멜리나 메르쿠리 | 안드레아스 파판드레우 | 니코스 카잔차키스 | |||||
| 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 오디세아스 엘리티스 | 호메로스 | 마노스 하지타키스 | 레오니다스 1세 | 히포크라테스 | |||||
| 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
| 피타고라스 | 콘스탄티노스 카바피 | 마리아 칼라스 | 아르키메데스 | 아리스토틀 오나시스 | |||||
| 26위 | 27위 | 28위 | 29위 | 30위 | |||||
| 하릴라오스 트리쿠피스 | 엘 그레코 | 콘스탄티노스 11세 | 요르기오스 세페리스 | 리가스 페레오스 | |||||
| 31위 | 32위 | 33위 | 34위 | 35위 | |||||
| 아리스 벨루키티오스 | 요안니스 메탁사스 | 니코스 갈리스 | 게오르기오스 카라이코스 | 데모크리토스 | |||||
| 36위 | 37위 | 38위 | 39위 | 40위 | |||||
| 게오르기오스 게미스토스 플레톤 | 디오니시오스 솔로모스 | 야니스 마크리야니스 | 아다만티오스 코라이스 | 야니스 리트오스 | |||||
| 41위 | 42위 | 43위 | 44위 | 45위 | |||||
| 테미스토클레스 | 헤라클레이토스 | 투키디데스 | 유클리드(에우클레이데스) | 파블로스 멜라스 | |||||
| 46위 | 47위 | 48위 | 49위 | 50위 | |||||
| 아테네의 크리스토둘로스 | 아타나시오스 디아코스 | 테오도로스 자고라키스 | 디미트리 나노풀로스 | 무명용사 | |||||
| 51위 | 52위 | 53위 | 54위 | 55위 | |||||
| 페이디아스 | 아리스토파네스 | 코스티스 팔라마스 | 에톨리아의 코스마스 | 마놀리스 안드로니코스 | |||||
| 56위 | 57위 | 58위 | 59위 | 60위 | |||||
| 소포클레스 | 니코스 벨로야니스 | 코넬리우스 카스토리아디스 | 요르요스 파판드레우 | 니콜라오스 마르지오리스 | |||||
| 61위 | 62위 | 63위 | 64위 | 65위 | |||||
| 알렉산드로스 파나굴리스 | 요르요스 파파도풀로스 | 에피쿠로스 | 알렉산드로스 파파디아만티스 | 오톤 | |||||
| 66위 | 67위 | 68위 | 69위 | 70위 | |||||
| 반젤리스 | 솔론 | 클레이스테네스 | 아이스퀼로스 | 바실리오스 2세 | |||||
| 71위 | 72위 | 73위 | 74위 | 75위 | |||||
| 콘스탄티누스 1세 | 이온 드라구미스 | 코스타스 시미티스 | 니콜라오스 플라스티라스 | 디미트리 미트로풀로스 | |||||
| 76위 | 77위 | 78위 | 79위 | 80위 | |||||
| 테오 앙겔로풀로스 | 니코스 실루리스 | 스텔리오스 카잔티디스 | 차릴로스 플로라키스 | 에우리피데스 | |||||
| 81위 | 82위 | 83위 | 84위 | 85위 | |||||
| 카롤로스 코운 | 유스티니아누스 1세 | 라키스 라조폴로스 | 헤로도토스 | 다나시스 벤고스 | |||||
| 86위 | 87위 | 88위 | 89위 | 90위 | |||||
| 헬레네 글리카츠아흐와일러 | 카티나 팍시누 | 알리키 부지욱라키 | 마르코스 밤바카리스 | 그리고리스 람브라키스 | |||||
| 91위 | 92위 | 93위 | 94위 | 95위 | |||||
| 바실리스 치차니스 | 피로스 디마스 | 마노스 로조스 | 마노리스 글레조스 | 엘레나 무잘라 | |||||
| 96위 | 97위 | 98위 | 99위 | 100위 | |||||
| 필리포스 2세 | 디미트리스 혼 | 라스카리나 부불리나 | 탈레스 | 프락시텔레스 | |||||
| ※ 출처 | |||||||||
| 같이 보기: 위대한 인물 시리즈 | }}}}}}}}} | ||||||||
| 서양 문학사의 주요 문호들 및 저작들 |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고대 | 초기 희랍 문학 | <colbgcolor=#fff,#1c1d1f>호메로스 · 헤시오도스 · 아르킬로코스 · 알크만 · 핀다로스 · 사포 | |
| 희랍 희곡 | 소포클레스 · 아이스퀼로스 · 에우리피데스 · 아리스토파네스 · 메난드로스 | |||
| 헬레니즘 문학 | 칼리마코스 · 테오크리토스 · 이솝 · 루키아노스 | |||
| 로마 문학 | 리비우스 안드로니쿠스 · 플라우투스 · 베르길리우스 · 호라티우스 · 프로페르티우스 · 오비디우스 · 가이우스 루킬리우스 · 테렌티우스 · 티불루스 · 루크레티우스 · 카툴루스 · 루카누스 · 발레리우스 플라쿠스 · 스타티우스 · 실리우스 이탈리쿠스 · 아우소니우스 · 루틸리우스 나마티아누스 · 아풀레이우스 · 세네카 · 페르시우스 · 페트로니우스 | |||
| 중세 문학 | 영국 | 베오울프 · 아서왕 전설 · 마비노기온 · 제프리 초서 | ||
| 이탈리아 | 단테 · 아리오스토 · 보카치오 · 페트라르카 · 타소 · 보이아르도 · 스탐파 · 람베르티노 · 소르델 | |||
| 독일/게르만 | 니벨룽의 노래 · 에셴바흐 · 스튀르들뤼손 (에다) | |||
| 기타 | 크레티앵 드 트루아 · 엘 시드의 노래 · 롤랑의 노래 · 칼레발라 · 디에고 데 산 페드로 · 카몽이스 · 안토니오 페레이라 · 호르헤 만리케 · 페르난도 데 로하스 · 루이스 데 레온 · 윌리엄 던바 · 존 스켈턴 | |||
| 르네상스/바로크 문학 | 영국 | 셰익스피어 · 말로 · 벤 존슨 · 토머스 키드 · 에드먼드 스펜서 · 존 던 · 조지 허버트 · 필립 시드니 · 베이컨 · 존 밀턴 · 존 드라이든 · 존 버니언 · 토머스 와이엇 · 로버트 헤릭 · 토머스 캐류 · 리처드 러브레이스 · 앤드류 마벌 · 헨리 본 · 리처드 크래쇼 | ||
| 프랑스 | 몰리에르 · 장 라신 · 로베르 가르니에 · 코르네유 · 몽테뉴 · 프랑수아 라블레 · 라로슈푸코 · 라퐁텐 · 마리보 · 부알로 | |||
| 스페인 | 세르반테스 · 후안 데 메나 · 이니고 로페스 데 멘도사 · 로페 데 베가 · 티르소 데 몰리나 · 칼데론 · 공고라 | |||
| 고전주의 | 이탈리아 | 아포스톨로 체노 · 메타스타시오 · 골도니 · 주세페 파리니 · 비토리오 알피에리 · 빈첸초 몬티 · 포스콜로 | |
| 영국 | 새뮤얼 존슨 · 스위프트 · 애디슨 · 윌리엄 콩그리브 · 포프 · 리처드슨 · 토비아스 스몰렛 · 헨리 필딩 · 로렌스 스턴 · 리처드 스틸 · 조지 파쿼 | ||
| 독일 (바이마르 고전주의) | 괴테 · 실러 · 빌란트 · 헤르더 · 레싱 · 클로프슈토크 | ||
| 기타 | 볼테르 · 루소 · 가스파르 데 호벨라노스 | ||
| 낭만주의 | 독일 낭만주의 | 횔덜린 · 클라이스트 · 티크 · 에두아르트 뫼리케 · 노발리스 · E. T. A. 호프만 · 아르님 · 브렌타노 · 루트비히 울란트 · 아이헨도르프 · 그림 형제 · 장 파울 · 슐레겔 · 하이네 | |
| 영국 낭만주의 | 번스 · 월터 스콧 · 워즈워스 · 블레이크 · 콜리지 · 조지 메러디스 · 칼라일 · 드 퀸시 · 바이런 · 퍼시 비시 셸리 · 메리 셸리 · 존 키츠 · 존 클레어 · 오스틴 · 브론테 자매 · 폴리도리 · 맥퍼슨 · 브라우닝 부부 | ||
| 미국 낭만주의 | 호손 · 쿠퍼 · 멜빌 · 워싱턴 어빙 · 에밀리 디킨슨 | ||
| 프랑스 낭만주의 | 빅토르 위고 · 샤토브리앙 · 뒤마 · 메리메 · 라마르틴 · 드 비니 · 드 뮈세 · 네르발 · 고티에 | ||
| 기타 낭만주의 | 레오파르디 · 푸시킨 · 레르몬토프 · 미츠키에비치 · 율리우시 슬로바츠키 · 크라신스키 | ||
| 사실주의 | 발자크 · 스탕달 · 투르게네프 · 톨스토이 · 도스토옙스키 · 레스코프 · 디킨스 · 새커리 · 조지 엘리엇 · 트웨인 · 잭 런던 · 이디스 워튼 · 헨리 제임스 · 알렉시스 키비 · 폰타네 · 켈러 · 빌헬름 라베 · 테오도르 슈토름 · 고골 · 하디 · 오 헨리 | ||
| 자연주의 | 플로베르 · 졸라 · 도데 · 모파상 · 드라이저 · 조지 기싱 | ||
| 상징주의/유미주의 | 오스카 와일드 · 에드거 앨런 포 · 보들레르 · 랭보 · 베를렌 · 말라르메 · 발레리 · 니체 · 바그너 · 위스망스 · 게오르게 · 호프만슈탈 · 단눈치오 · 나보코프 · 캐럴 | ||
| 근대극 | 입센 · 체호프 · 스트린드베리 · 버나드 쇼 · 게르하르트 하웁트만 · 뷔히너 · 밀러 · 오닐 | ||
| 근현대 문학 | 모더니즘 | 포크너 · 콘래드 · 제임스 조이스 · 버지니아 울프 · 앤더슨 · 토마스 만 · 지드 · 스베보 · 프루스트 · 슈니츨러 · 피란델로 · 츠바이크 · 롤랑 · 카프카 · 브로흐 · 캐더 · 무질 · 피츠제럴드 · 페소아 · 맨스필드 | |
| 표현주의 | 되블린 · 고트프리트 벤 · 로렌스 · 헤밍웨이 · 게오르크 카이저 | ||
| 신고전주의/신낭만주의 | 함순 · 카로사 · 예이츠 · 릴케 · 시엔키에비치 · 제러드 홉킨스 · 키플링 · 글뤽 | ||
| 사회주의 리얼리즘 | 고리키 · 스타인벡 · 싱클레어 · 오스트롭스키 · 브레히트 · 하인리히 만 | ||
| 신시(新詩) | T. S. 엘리엇 · 파운드 · 로르카 · 윌리엄 칼로스 윌리엄스 · 스티븐스 · 프로스트 · 토머스 · 오든 · 아폴리네르 · 차라 · 네루다 | ||
| 실존주의/부조리극 | 헤세 · 오웰 · 사르트르 · 카잔차키스 · 카뮈 · 헉슬리 · 베케트 · 뒤렌마트 · 이오네스코 · 말로 · 셀린 · 엘리슨 · 베르나노스 | ||
| 포스트모더니즘 | 코르타사르 · 칼비노 · 보르헤스 · 케루악 · 보니것 · 베른하르트 · 버로스 · 긴즈버그 · 헬러 · 볼라뇨 · 핀천 · 드릴로 · 오스터 · D. F. 월리스 · 로스 · 스미스 · 팔라닉 · 게이먼 · 존 바스 · 에코 · 쿤데라 · 크러스너호르커이 | ||
| 사변소설 | 웰스 · 베른 · 브래드버리 · 이시구로 · 잭슨 · 애트우드 · 버틀러 · 허버트 · 필립 K. 딕 · 하인라인 · 아시모프 · 아서 C. 클라크 · 톨킨 · 러브크래프트 · 렘 · 르 귄 | ||
| 마술적 사실주의 | 가르시아 마르케스 · 그라스 · 루슈디 · 아옌데 · 룰포 · 불가코프 · 아스투리아스 · 사라마구 · 푸엔테스 · 카르펜티에르 | ||
| 누보로망 | 사로트 · 로브그리예 · 뷔토르 · 시몽 · 뒤라스 | ||
| 신저널리즘/곤조 저널리즘 | 카포티 · 메일러 · 디디온 · 톰슨 · 톰 울프 · 존 크라카우어 | ||
| 기타 근현대 문학 | 매카시 · 제발트 · 매큐언 · 부코스키 · 모리슨 · 요사 · 치버 · 벨로 · 유르스나르 · 콕토 · 바타유 · 칼 오베 크나우스고르 · 생텍쥐페리 | ||
Σοφοκλῆς / Sophocles
(497 ~ 406 BC)
1. 개요
그리스 비극의 완성자.#
아이스퀼로스, 에우리피데스와 함께 그리스 비극 3대 작가 중 하나. 나이나 활동 연도로 따지면 두 번째 순서가 된다. 그러나 91살까지 살았기 때문에[1] 에우리피데스와는 활동 시기가 많이 겹쳤다.
2. 상세
불행한 운명에 시달리는 그의 비극 속 등장인물들과는 달리, 소포클레스는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난 데다가 수려한 용모와 부와 건강과 위신을 모두 갖춘 엄친아였다고 한다. 거기에 엄청나게 장수하기까지 했으니 참으로 부러워할 만한 인물이라 할 수 있겠다.평생 동안 무려 130편의 비극을 저술하였다고 알려져 있다. 이중 7편은 위작 판정을 받았고 보통 비극이 3부작+사티로스 극으로 이루어졌음을 감안하면 대략 30개의 비극 시리즈를 만든 셈인데, 그중에 비극 경연 대회에서 1위를 차지한 횟수는 기록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20회 전후. 그리고 3위는 단 한 번도 하지 않았다고 한다. 뛰어난 극작술과 그로 인한 화려한 수상 실적으로 아테네에서의 정치적인 입지도 매우 강했으며, 그 자신도 엄청난 애국자였다. 플라톤에 의하면 노년이 된 소포클레스에게 누군가가 성욕을 못 느끼니까 아쉽지 않냐고 묻자 소포클레스는 무슨 끔찍한 말을! 잔인하고 사나운 주인에게서 도망쳐 나온 것처럼 나는 이제 막 그것으로부터 빠져나왔는데!라고 말했다고 한다.
그리스 비극에서 제3배우를 도입하고, 정립가(스타시몬)의 비중을 본격적으로 축소시킴으로써 삽화(에페이소디온)의 비중을 더욱 확대했다.
그리스 비극을 이루는 3가지 요소를 신, 사회, 개인으로 본다면 소포클레스가 가장 무게를 둔 것은 개인이었다. 소포클레스 비극 세계의 신은 인간으로서는 이해할 수 없는 의지와 행동을 갖춘 초월자다. 그는 일반적으로 철저하게 이성적이고 영웅적인 주인공의 고뇌를 비극으로 저술하였고, 종종 불합리한 사회(혹은 사회적 권력)이 그 대치점에 서기도 한다.
극작술에 있어서도 매우 논리적인 구성을 추구하여서 각각의 사건은 철저하게 인과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극은 톱니바퀴가 맞물려 돌아가듯이 전개되고, 그 방향이 변하는 일은 결코 없다.
그런 그의 비극 세계를 가장 잘 나타내 주는 것이 불후의 명작 '오이디푸스 왕'으로 이는 아리스토텔레스가 그의 저서 시학에서 비극의 모범으로 자주 언급한 작품이다. 오이디푸스왕은 그 구조 때문에 어떤 면에선 가장 오래된 추리물/수사물이라고도 볼 수 있다.[2] (소포클레스가 쓴 사티로스 또한 사라진 아폴로의 양 떼를 찾는 내용이다.) 그러나 이 '오이디푸스왕'은 정작 비극 경연 대회에서는 2위였다고 한다. 정말 안타깝게도 이 '오이디푸스왕'을 누르고 대회 1위를 한 작품은 현재 전해지지 않고 있다. 저 명작을 누르고 1위를 할 정도면 보통 작품이 아니었을 텐데. 하지만 당시 비극 경연 대회 자체가 공정하지 못한 면이 있었기에 수상 경력보단 얼마나 많이 공연되었고 대회에 나갔는가가 더 중요하다는 의견도 있다. 또, 어떤 엄청난 작품들은 그 진가가 시간이 지나면서 드러나는 경우도 있다.[3]
Theater Of War라는 연극 프로그램이 있는데, 미군 장병 등의 PTSD 등에 대한 치료 차원에서 소포클레스 등의 비극을 상영하는 것이다. 특히 아이아스를 본 장병들이 아이아스에게 깊이 공감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물론 프로그램 관리자 Bryan Doerries는 연극을 보여주면서도 군 관계자들에게 찍힐 거 각오했다고[4]
3. 작품 목록
| 소포클레스 작품 목록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colbgcolor=#0d5eaf,#1c1d1f> 테베 3부작 | 오이디푸스 왕 · 콜로노스의 오이디푸스 · 안티고네 |
| 기타 | 아이아스 · 트라키스 여인들 · 엘렉트라 · 필록테테스 | }}}}}}}}} |
[1] 야사에 의하면 노령에 자신의 비극을 우렁차게 힘껏 읽다가 숨이 막혀 쓰러져 죽었다고 한다.[2] 극의 내용이 오이디푸스가 라이오스왕을 살해한 인간을 찾는 내용이다.[3] 또한 고대 그리스인들의 입맛과 현대인의 입맛이 다르므로 오늘날까지 전해졌다고 하더라도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을 가능성도 있다.[4] 그도 그럴 것이 아이아스의 경우는 대놓고 지휘관들 까는 내용이다. 아이아스가 그리스 측 지휘관인 아가멤논과 메넬라오스 등을 욕하고 프래깅하려다가 실패하고 자살하는 내용이니 지휘관들이 보기엔 껄끄러울 것. 그러나 공연을 본 장성 한 명은 이 공연에 감탄해서 비슷하게 장병들의 PTSD 치료를 위한 프로그램을 더 개발해야 된다고 투고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