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23 17:43:02

돈 드릴로


전미도서상 평생공로상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7px;margin-bottom:-7px; margin-left:-11px; margin-right:-11px;"
파일:207A71FD-4932-4957-B32F-AEB5AF75B23C.png
미국 문단에 탁월한 공헌을 한 사람에게 주는 상
1988년 1989년 1990년 1991년 1992년
제이슨 엡스타인 (도서 편집자) 다니엘 부어스틴 (역사학자) 솔 벨로 (작가) 유도라 웰티 (소설가) 제임스 로린 (시인)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클리프턴 파디먼 (작가) 그웬돌린 브룩스 (시인) 데이빗 맥컬러 (작가) 토니 모리슨 (소설가) 스터드스 터컬 (작가)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존 업다이크 (시인) 오프라 윈프리 (방송인) 레이 브래드버리 (소설가) 아서 밀러 (극작가) 필립 로스 (소설가)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스티븐 킹 (소설가) 주디 블룸 (작가) 노먼 메일러 (소설가) 아드리엔 리치 (시인) 조앤 디디온 (저널리스트)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맥신 홍 킹스턴 (작가) 고어 비달 (작가) 톰 울프 (작가) 존 애쉬버리 (시인) 엘모어 레너드 (소설가)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E. L. 닥터로 (소설가) 어슐러 K. 르 귄 (소설가) 돈 드릴로 (소설가) 로버트 카로 (저널리스트) 애니 프루 (소설가)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이사벨 아옌데 (소설가) 에드먼드 화이트 월터 모슬리 카렌 테이 야마시타 아트 슈피겔만 (만화가)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2년
리타 도브 (시인) 바바라 킹솔버
}}}}}} ||

서양 문학사의 주요 문호들 및 저작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고대 초기 희랍 문학 <colbgcolor=#fff,#1c1d1f>호메로스 · 헤시오도스 · 아르킬로코스 · 알크만 · 핀다로스 · 사포
희랍 희곡 소포클레스 · 아이스퀼로스 · 에우리피데스 · 아리스토파네스 · 메난드로스
헬레니즘 문학 칼리마코스 · 테오크리토스 · 이솝 · 루키아노스
로마 문학 리비우스 안드로니쿠스 · 플라우투스 · 베르길리우스 · 호라티우스 ·
프로페르티우스 · 오비디우스 · 가이우스 루킬리우스 · 테렌티우스 · 티불루스 · 루크레티우스 · 카툴루스 · 루카누스 · 발레리우스 플라쿠스 · 스타티우스 · 실리우스 이탈리쿠스 · 아우소니우스 · 루틸리우스 나마티아누스 · 아풀레이우스 · 세네카 · 페르시우스 · 페트로니우스
중세 문학 영국 베오울프 · 아서왕 전설 · 마비노기온 · 제프리 초서
이탈리아 단테 · 아리오스토 · 보카치오 · 페트라르카 · 타소 · 보이아르도 · 스탐파 · 람베르티노 · 소르델
독일/게르만 니벨룽의 노래 · 에셴바흐 · 스튀르들뤼손 (에다)
기타 크레티앵 드 트루아 · 엘 시드의 노래 · 롤랑의 노래 · 칼레발라 · 디에고 데 산 페드로 · 카몽이스 · 안토니오 페레이라 · 호르헤 만리케 · 페르난도 데 로하스 · 루이스 데 레온 · 윌리엄 던바 · 존 스켈턴
르네상스/바로크 문학 영국 셰익스피어 · 말로 · 벤 존슨 · 토머스 키드 · 에드먼드 스펜서 · 존 던 · 조지 허버트 ·
필립 시드니 · 베이컨 · 존 밀턴 · 존 드라이든 · 존 버니언 · 토머스 와이엇 · 로버트 헤릭 · 토머스 캐류 · 리처드 러브레이스 · 앤드류 마벌 · 헨리 본 · 리처드 크래쇼
프랑스 몰리에르 · 장 라신 · 로베르 가르니에 · 코르네유 · 몽테뉴 · 프랑수아 라블레 · 라로슈푸코 · 라퐁텐 · 마리보 · 부알로
스페인 세르반테스 · 후안 데 메나 · 이니고 로페스 데 멘도사 · 로페 데 베가 · 티르소 데 몰리나 · 칼데론 · 공고라
고전주의 이탈리아 아포스톨로 체노 · 메타스타시오 · 골도니 · 주세페 파리니 · 비토리오 알피에리 · 빈첸초 몬티 · 포스콜로
영국 새뮤얼 존슨 · 스위프트 · 애디슨 · 윌리엄 콩그리브 · 포프 · 리처드슨 · 토비아스 스몰렛 · 헨리 필딩 · 로렌스 스턴 · 리처드 스틸 · 조지 파쿼
독일 (바이마르 고전주의) 괴테 · 실러 · 빌란트 · 헤르더 · 레싱 · 클로프슈토크
기타 볼테르 · 루소 · 가스파르 데 호벨라노스
낭만​주의 독일 낭만주의 횔덜린 · 클라이스트 · 티크 · 에두아르트 뫼리케 · 노발리스 · E. T. A. 호프만 · 아르님 · 브렌타노 · 루트비히 울란트 · 아이헨도르프 · 그림 형제 · 장 파울 · 슐레겔 · 하이네
영국 낭만주의 번스 · 월터 스콧 · 워즈워스 · 블레이크 · 콜리지 · 조지 메러디스 · 칼라일 · 드 퀸시 · 바이런 · 퍼시 비시 셸리 · 메리 셸리 · 존 키츠 · 존 클레어 · 오스틴 · 브론테 자매 · 폴리도리 · 맥퍼슨 · 브라우닝 부부
미국 낭만주의 호손 · 쿠퍼 · 멜빌 · 워싱턴 어빙 · 에밀리 디킨슨
프랑스 낭만주의 빅토르 위고 · 샤토브리앙 · 뒤마 · 메리메 · 라마르틴 · 드 비니 · 드 뮈세 · 네르발 · 고티에
기타 낭만주의 레오파르디 · 푸시킨 · 레르몬토프 · 미츠키에비치 · 율리우시 슬로바츠키 · 크라신스키
사실주의 발자크 · 스탕달 · 투르게네프 · 톨스토이 · 도스토옙스키 · 레스코프 · 디킨스 · 새커리 · 조지 엘리엇 · 트웨인 · 잭 런던 · 이디스 워튼 · 헨리 제임스 · 알렉시스 키비 · 폰타네 · 켈러 · 빌헬름 라베 · 테오도르 슈토름 · 고골 · 하디
자연주의 플로베르 · 졸라 · 도데 · 모파상 · 드라이저 · 조지 기싱
상징주의/유미주의 오스카 와일드 · 에드거 앨런 포 · 보들레르 · 랭보 · 베를렌 · 말라르메 · 발레리 · 니체 · 바그너 · 위스망스 · 게오르게 · 호프만슈탈 · 단눈치오
근대극 입센 · 체호프 · 스트린드베리 · 버나드 쇼 · 게르하르트 하웁트만 · 뷔히너 · 밀러 · 오닐
근현대 문학 모더니즘 포크너 · 콘래드 · 제임스 조이스 · 버지니아 울프 · 앤더슨 · 토마스 만 · 지드 · 스베보 · 프루스트 · 슈니츨러 · 피란델로 · 츠바이크 · 롤랑 · 카프카 · 브로흐 · 캐더 · 무질 · 피츠제럴드 · 페소아 · 맨스필드
표현주의 되블린 · 고트프리트 벤 · 로렌스 · 헤밍웨이 · 게오르크 카이저
신고전주의/신낭만주의 함순 · 카로사 · 예이츠 · 릴케 · 시엔키에비치 · 제러드 홉킨스 · 키플링 · 나보코프
사회주의 리얼리즘 고리키 · 스타인벡 · 싱클레어 · 오스트롭스키 · 브레히트 · 하인리히 만
신시(新詩) T. S. 엘리엇 · 파운드 · 로르카 · 윌리엄 칼로스 윌리엄스 · 스티븐스 · 프로스트 · 토머스 · 오든 · 아폴리네르 · 차라 · 네루다
실존주의/부조리극 헤세 · 오웰 · 사르트르 · 카잔차키스 · 카뮈 · 헉슬리 · 베케트 · 뒤렌마트 · 이오네스코 · 말로 · 셀린 · 엘리슨
포스트모더니즘 코르타사르 · 칼비노 · 보르헤스 · 케루악 · 보니것 · 베른하르트 · 버로스 · 긴즈버그 · 헬러 · 볼라뇨 · 핀천 · 드릴로 · 오스터 · D. F. 월리스 · 로스 · 스미스 · 팔라닉 · 게이먼 · 존 바스 · 에코 · 쿤데라
사변소설 웰스 · 베른 · 브래드버리 · 이시구로 · 잭슨 · 애트우드 · 버틀러 · 허버트 · 필립 K. 딕 · 하인라인 · 아시모프 · 아서 C. 클라크 · 톨킨 · 러브크래프트 · · 르 귄
마술적 사실주의 가르시아 마르케스 · 그라스 · 루슈디 · 아옌데 · 룰포 · 불가코프 · 아스투리아스 · 사라마구 · 푸엔테스 · 카르펜티에르
누보로망 사로트 · 로브그리예 · 뷔토르 · 시몽 · 뒤라스
저널리즘/곤조 저널리즘 카포티 · 메일러 · 디디온 · 톰슨 · 톰 울프 · 존 크라카우어
기타 근현대 문학 매카시 · 제발트 · 매큐언 · 부코스키 · 모리슨 · 요사 · 치버 · 벨로 · 유르스나르 · 콕토 · 바타유 · 칼 오베 크나우스고르
}}}}}}}}} ||
<colbgcolor=#000><colcolor=#fff> 돈 드릴로
Don DeLillo
파일:돈드릴로.jpg
본명 도널드 리처드 드릴로
Donald Richard DeLillo
출생 1936년 11월 20일 ([age(1936-11-20)]세)
미국 뉴욕주 뉴욕시 브롱스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직업 소설가
학력 포덤 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 / 학사)
활동 1960년 – 현재
서명
파일:Don_DeLillo_signature.svg

1. 개요2. 생애3. 저서
3.1. 국내 정발3.2. 미출간

1. 개요

"작가는 시스템에 반대해야 합니다. 권력, 기업, 국가, 그리고 모든 소비 체계와 쇠락해가는 문화에 대항해서 글을 쓰는 것이 중요합니다."

"Writers must oppose systems. It's important to write against power, corporations, the state, and the whole system of consumption and of debilitating entertainments."
돈 드릴로 2005년 인터뷰

미국작가.

포스트모더니즘[1]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로 초창기에는 컬트적인 면모가 부각되었으나, 1985년 출간한 '화이트 노이즈(White Noise)'가 인기를 끌며 주목받기 시작했다. 이후 필립 로스, 코맥 매카시, 토머스 핀천과 함께 미국 현대 문학계의 거장으로 평가 받는다.

돈 드릴로의 작품은 시스템과 네트워크에 대해 파고들며 이 과정에서 미디어, 핵전쟁, 스포츠, 수학, 테러와 같은 현대사회의 요소들을 다루어 오늘날 인류문명을 진단하고 그 병폐를 폭로한다.

2. 생애

1936년 이탈리아 이민자 2세로 뉴욕 브롱스에서 태어나고 자랐다. 이 시기 겪은 경험들은 후일 그의 작품들 속 길거리와 뒷골목 묘사에 영향을 끼친다. 10대 무렵, 주차 안내원으로 일하면서 독서하는 습관을 가지며 제임스 조이스, 윌리엄 포크너, 플래너리 오코너 같은 기라성 같은 작가들을 탐독한다. 후일 드릴로는 인터뷰에서, 이 시기 처음으로 글을 썼는데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영향을 받은 단편이었다고 한다.

대학에서 커뮤니케이션 예술을 전공하고 광고사에 취직해 5년간 카피라이터로 근무한다. 1960년, 코넬 대학교의 잡지에 첫 단편인 The River Jordan을 기고하며 작가로서 첫 발을 내딛는다. 4년 뒤에는 광고사를 나와 전업 작가로 활동하는데 드릴로의 회고에 따르면 본격적으로 작가가 되고자 퇴사한건 아니고 정말 일을 그만두고 싶어서 그랬다고 한다. 오히려 당시에는 작가로서의 구체적인 계획은 커녕 야망이나 목표 목표를 향한 열망조차 없었다고.

일을 그만둔 직후 극도로 절제하며 생활했고 4년 간의 작업 끝에 첫 장편인 Americana를 출간한다. 당시 드릴로는 출판 자체에 별 기대가 없었고 뭘 해야할지도 몰랐으나 의외로 일이 순탄하게 진행되어 놀랐다고 한다. 이후 End Zone과 '그레이트 존스 거리' Great Jones Street, Ratner's Star를 연달아 출간하며 컬트 작가로 인기를 얻게 된다. 훗날 드릴로는 당시 첫 소설 집필이 너무 오래 걸린 터라 그에 대한 반동으로 너무 성급하게 후속작들을 써내렸으며, 70년대 작품들이 적잖이 부족했다고 회고한다. 한편, 이 무렵 은행원 출신 조경 디자이너인 바바라 버넷Barbara Bennett과 결혼한다.

80년대 드릴로는 일종의 전환기를 가진다. 1980년, 클레오 버드웰(Cleo Birdwell)이라는 필명으로 Amazons를 출간한 직후 그리스로 이주해 3년을 해외에서 거주한다. 이 시기 중동인도를 방문하며 언어와 풍경, 그리고 미국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얻게 된다. 미국으로 돌아온 후, 1985년 대표작인 '화이트 노이즈' White Noise를 출간하는데 비평과 상업 양 쪽에서 열렬한 지지를 얻으며 본격적으로 주목받게 된다.

이후 존 F. 케네디 대통령 암살 사건을 다룬 '리브라' Libra, 통일교살만 루시디, 그리고 J. D. 샐린저로부터 영감을 얻은 '마오 II' Mao II를 연이어 출간하며 작가로서의 명성을 굳혀나간다. '마오 II' 이후로 드릴로는 단편 한 편을 기고한 것을 제외하면 대외 활동를 최소화하며 칩거에 들어간다. 1997년, 6년간의 침묵을 깨고 Underworld를 발표한다. Underworld는 발표 직후 전미도서상퓰리처상 후보에 오르며 비평적 성공을 거두었고, 오늘날까지도 토마스 핀천의 '중력의 무지개' Gravity's Rainbow, 데이비드 포스터 월리스Infinite Jest와 더불어 형식과잉 소설의 대표작으로 평가받는다.

00년대 들어서 드릴로의 작품들은 이전까지 보여준 포괄적이고 장황한 면모는 줄어들고 축약된 분량과 해체된 플롯으로 방향을 바꾸며 전환기를 가진다. '코스모폴리스' Cosmopolis, Falling Man은 이 시기를 대표하는 작품들로 '화이트 노이즈'나 '리브라' 같은 이전 작품들에 비하면 다소 아쉽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러한 평가에도 불구하고 드릴로는 "70년대 소설을 쓰기 시작했을 때부터 나는 여백 속 존재였다. 그때로 돌아간다고 해도 상관없다. 80,90년대를 거치며 상황이 달라지긴 했어도, 늘 방구석을 선호했다."며 무심한 태도를 보인다.

이후 10년대 들어서도 두 편의 장편소설과 단편 모음집을 출간하며 꾸준한 활약을 보였으며, 2016년에는 전미도서상 협회로부터 평생공로상을 수상한다. 그는 현재 아내와 함께 뉴욕 브롱스빌 외곽에서 살고 있다.

3. 저서

3.1. 국내 정발

  • 그레이트 존스 거리 Great Jones Street (1973)
  • 화이트 노이즈 White Noise (1985)
  • 리브라 Libra (1988)
  • 마오 II Mao II (1991)
  • 바디 아티스트 The Body Artist (2001)
  • 코스모폴리스 Cosmopolis (2003)
  • 제로 K Zero K (2016)
  • 침묵 The Silence (2020)

3.2. 미출간

  • Americana (1971)
  • End Zone (1972)
  • Ratner's Star (1976)
  • Players (1977)
  • Running Dog (1978)
  • Amazons (1980)[2]
  • The Names (1982)
  • Underworld (1997)
  • Falling Man (2007)
  • Point Omega (2010)

[1] 정작 드릴로 본인은 포스트모더니스트로 불리길 거부하며 제임스 조이스윌리엄 포크너로 대변되는 모더니스트들의 마지막 일원으로 자신을 평가한다.[2] Cleo Birdwell이라는 필명으로 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