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 문학사의 주요 문호들 및 저작들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고대 | 초기 희랍 문학 | <colbgcolor=#fff,#1c1d1f>호메로스 · 헤시오도스 · 아르킬로코스 · 알크만 · 핀다로스 · 사포 | |
희랍 희곡 | 소포클레스 · 아이스퀼로스 · 에우리피데스 · 아리스토파네스 · 메난드로스 | |||
헬레니즘 문학 | 칼리마코스 · 테오크리토스 · 이솝 · 루키아노스 | |||
로마 문학 | 리비우스 안드로니쿠스 · 플라우투스 · 베르길리우스 · 호라티우스 · 프로페르티우스 · 오비디우스 · 가이우스 루킬리우스 · 테렌티우스 · 티불루스 · 루크레티우스 · 카툴루스 · 루카누스 · 발레리우스 플라쿠스 · 스타티우스 · 실리우스 이탈리쿠스 · 아우소니우스 · 루틸리우스 나마티아누스 · 아풀레이우스 · 세네카 · 페르시우스 · 페트로니우스 | |||
중세 문학 | 영국 | 베오울프 · 아서왕 전설 · 마비노기온 · 제프리 초서 | ||
이탈리아 | 단테 · 아리오스토 · 보카치오 · 페트라르카 · 타소 · 보이아르도 · 스탐파 · 람베르티노 · 소르델 | |||
독일/게르만 | 니벨룽의 노래 · 에셴바흐 · 스튀르들뤼손 (에다) | |||
기타 | 크레티앵 드 트루아 · 엘 시드의 노래 · 롤랑의 노래 · 칼레발라 · 디에고 데 산 페드로 · 카몽이스 · 안토니오 페레이라 · 호르헤 만리케 · 페르난도 데 로하스 · 루이스 데 레온 · 윌리엄 던바 · 존 스켈턴 | |||
르네상스/바로크 문학 | 영국 | 셰익스피어 · 말로 · 벤 존슨 · 토머스 키드 · 에드먼드 스펜서 · 존 던 · 조지 허버트 · 필립 시드니 · 베이컨 · 존 밀턴 · 존 드라이든 · 존 버니언 · 토머스 와이엇 · 로버트 헤릭 · 토머스 캐류 · 리처드 러브레이스 · 앤드류 마벌 · 헨리 본 · 리처드 크래쇼 | ||
프랑스 | 몰리에르 · 장 라신 · 로베르 가르니에 · 코르네유 · 몽테뉴 · 프랑수아 라블레 · 라로슈푸코 · 라퐁텐 · 마리보 · 부알로 | |||
스페인 | 세르반테스 · 후안 데 메나 · 이니고 로페스 데 멘도사 · 로페 데 베가 · 티르소 데 몰리나 · 칼데론 · 공고라 |
고전주의 | 이탈리아 | 아포스톨로 체노 · 메타스타시오 · 골도니 · 주세페 파리니 · 비토리오 알피에리 · 빈첸초 몬티 · 포스콜로 | |
영국 | 새뮤얼 존슨 · 조너선 스위프트 · 애디슨 · 윌리엄 콩그리브 · 알렉산더 포프 · 리처드슨 · 토비아스 스몰렛 · 헨리 필딩 · 로렌스 스턴 · 리처드 스틸 · 조지 파쿼 | ||
독일 (바이마르 고전주의) | 괴테 · 실러 · 빌란트 · 헤르더 · 레싱 · 클로프슈토크 | ||
기타 | 볼테르 · 루소 · 가스파르 데 호벨라노스 | ||
낭만주의 | 독일 낭만주의 | 횔덜린 · 클라이스트 · 티크 · 에두아르트 뫼리케 · 노발리스 · E. T. A. 호프만 · 아르님 · 브렌타노 · 루트비히 울란트 · 아이헨도르프 · 그림 형제 · 장 파울 · 슐레겔 · 하이네 | |
영국 낭만주의 | 번스 · 월터 스콧 · 워즈워스 · 블레이크 · 새뮤얼 테일러 콜리지 · 조지 메러디스 · 칼라일 · 드 퀸시 · 바이런 · 퍼시 비시 셸리 · 메리 셸리 · 존 키츠 · 존 클레어 · 오스틴 · 브론테 자매 · 폴리도리 · 맥퍼슨 · 브라우닝 부부 | ||
미국 낭만주의 | 호손 · 쿠퍼 · 멜빌 · 워싱턴 어빙 · 에밀리 디킨슨 | ||
프랑스 낭만주의 | 빅토르 위고 · 샤토브리앙 · 뒤마 · 메리메 · 라마르틴 · 드 비니 · 드 뮈세 · 네르발 · 고티에 | ||
기타 낭만주의 | 레오파르디 · 푸시킨 · 레르몬토프 · 미츠키에비치 · 율리우시 슬로바츠키 · 크라신스키 | ||
사실주의 | 발자크 · 스탕달 · 투르게네프 · 톨스토이 · 도스토옙스키 · 레스코프 · 디킨스 · 새커리 · 조지 엘리엇 · 마크 트웨인 · 잭 런던 · 이디스 워튼 · 헨리 제임스 · 알렉시스 키비 · 폰타네 · 켈러 · 빌헬름 라베 · 테오도르 슈토름 · 고골 · 하디 | ||
자연주의 | 플로베르 · 졸라 · 도데 · 모파상 · 드라이저 · 조지 기싱 | ||
상징주의/유미주의 | 오스카 와일드 · 에드거 앨런 포 · 보들레르 · 랭보 · 베를렌 · 말라르메 · 발레리 · 니체 · 바그너 · 위스망스 · 게오르게 · 호프만슈탈 · 단눈치오 | ||
근대극 | 입센 · 체호프 · 스트린드베리 · 버나드 쇼 · 게르하르트 하웁트만 · 뷔히너 · 밀러 · 오닐 | ||
근현대 문학 | 모더니즘 | 포크너 · 콘래드 · 제임스 조이스 · 버지니아 울프 · 앤더슨 · 토마스 만 · 지드 · 스베보 · 프루스트 · 슈니츨러 · 피란델로 · 츠바이크 · 롤랑 · 카프카 · 브로흐 · 캐더 · 무질 · 피츠제럴드 · 페소아 · 맨스필드 | |
표현주의 | 되블린 · 고트프리트 벤 · 로렌스 · 헤밍웨이 · 게오르크 카이저 | ||
신고전주의/신낭만주의 | 함순 · 카로사 · 예이츠 · 릴케 · 시엔키에비치 · 제러드 홉킨스 · 키플링 · 나보코프 | ||
사회주의 리얼리즘 | 고리키 · 스타인벡 · 싱클레어 · 오스트롭스키 · 브레히트 · 하인리히 만 | ||
신시(新詩) | T. S. 엘리엇 · 파운드 · 로르카 · 윌리엄 칼로스 윌리엄스 · 스티븐스 · 프로스트 · 토머스 · 오든 · 아폴리네르 · 차라 · 네루다 | ||
실존주의/부조리극 | 헤세 · 오웰 · 사르트르 · 카잔차키스 · 카뮈 · 헉슬리 · 베케트 · 뒤렌마트 · 이오네스코 · 말로 · 셀린 · 엘리슨 | ||
포스트모더니즘 | 코르타사르 · 칼비노 · 보르헤스 · 케루악 · 보니것 · 베른하르트 · 버로스 · 긴즈버그 · 헬러 · 볼라뇨 · 핀천 · 드릴로 · 오스터 · D. F. 월리스 · 로스 · 스미스 · 팔라닉 · 게이먼 · 존 바스 · 에코 · 쿤데라 | ||
사변소설 | 브래드버리 · 이시구로 · 잭슨 · 애트우드 · 버틀러 · 허버트 · 필립 K. 딕 · 하인라인 · 아시모프 · 아서 C. 클라크 · 톨킨 · 러브크래프트 | ||
마술적 사실주의 | 가르시아 마르케스 · 그라스 · 루슈디 · 아옌데 · 룰포 · 불가코프 · 아스투리아스 · 사라마구 · 푸엔테스 · 카르펜티에르 | ||
신저널리즘/곤조 저널리즘 | 카포티 · 메일러 · 디디온 · 톰슨 · 톰 울프 · 존 크라카우어 | ||
기타 근현대 문학 | 매카시 · 제발트 · 매큐언 · 부코스키 · 모리슨 · 요사 · 치버 · 벨로 · 유르스나르 · 콕토 · 바타유 · 칼 오베 크나우스고르 |
#!if 넘어옴1 != null
'''바로'''{{{#!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구약 성경에 등장하는 애굽의 '바로 왕'}}}에 대한 내용은 [[파라오]]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파라오#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파라오#|]]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B1A4의 전 멤버}}}에 대한 내용은 [[차선우]]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차선우#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차선우#|]]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구약 성경에 등장하는 애굽의 '바로 왕': }}}[[파라오]]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파라오#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파라오#|]]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B1A4의 전 멤버: }}}[[차선우]]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차선우#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차선우#|]]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마르쿠스 테렌티우스 바로 라틴어: Marcus Terentius Varro | |
<nopad> | |
생몰년도 | 기원전 116년 ~ 기원전 27년 |
출생지 | 로마 공화국 리에테(오늘날 라치오 주 리에티) |
사망지 | 로마 공화국 로마 |
지위 | 에퀴테스 |
국가 | 로마 공화국 |
가족 | 푼다니아(아내) 마르쿠스 테렌티우스 바로 기바(양자) |
참전 | 카이사르의 내전 |
직업 | 로마 공화국 총독 |
1. 개요
로마 공화국의 정치인, 문학가, 철학자. 카이사르의 내전 시기 옵티마테스파에 가담했지만 도중에 귀순한 후 철학 탐구와 문학 집필에 전념했다.2. 생애
로마 인근의 소도시 리에테(오늘날 라치오 주 리에티) 인근에서 출생했다. 그의 부모는 에퀴테스 출신이며 부유한 사람들이었다는 것 외엔 알려진 바 없다. 그는 로마에서 수사학자 루키우스 아일리우스 스틸로의 가르침을 받았고, 뒤이어 아테네로 유학가서 아미수스의 문법학자 티라니온의 제자로서 많은 가르침을 받았다. 기원전 76년 폼페이우스가 히스파니아 속주에서 할거하는 퀸투스 세르토리우스를 토벌하고자 감행한 원정에 부관으로 참여했다. 하지만 그의 관심은 전쟁이 아니라 히스파니아 현지의 농업과 축산업에 있었다. 그는 훗날 'De re rustica(농업에 관하여)'에서 히스파니아의 농업과 축산업 관행에 대해 상세하게 서술했다.기원전 70년 호민관을 역임했으며, 기원전 67년에 다시 폼페이우스 휘하에 들어가 시칠리아에서 델로스에 이르는 지역의 치안을 맡아 해적들을 토벌했다. 그 후 폼페이우스의 후광에 힘입어 법무관까지 역임했으며, 기원전 55년 집정관에 선임된 폼페이우스가 임기 종료 후 총독으로서 맡게 될 히스파니아를 3개로 분할하여 부관들에게 각각 맡기기로 했을 때, 루키우스 아프라니우스, 마르쿠스 페트레이우스와 함께 그 임무를 맡았다. 아프라니우스는 가까운 히스파니아를 맡았고, 페트레이우스는 루시타니아 속주를 맡았으며, 그는 먼 히스파니아를 맡았다.
기원전 49년 카이사르의 내전이 벌어졌을 때, 페트레이우스와 아프라니우스는 히스파니아를 침공한 율리우스 카이사르에 맞섰고, 그는 먼 히스파니아에 남아서 치안을 담당했다. 두 장군이 카이사르에게 무너지자 2개 군단을 소집하여 맞서려 했지만, 그들이 카이사르와 싸울 의지가 없자 결국 항복했다. 이후 카이사르의 사면을 받고 카시눔의 시골 별장으로 이주하여 조용히 지냈다. 나중에 로마 최초의 공공 도서관 조직을 감독하는 일을 맡았으나, 카이사르 사후 마르쿠스 안토니우스가 그를 숙청 명단에 올려놓는 바람에 직위를 빼앗기고 많은 재산을 헌납해야 했다. 그나마 퀸투스 푸피우스 칼레누스가 보호해준 덕분에 목숨을 건질 수 있었다. 그 후 정치에 일절 관심을 두지 않고 집필활동에 전념했으며, 기원전 27년에 사망했다.
3. 문학가
바로는 생전에 풍자시, 일반 시, 연극에 관하여 150편에 달하는 작품을 집필했으며, <인간과 신의 고대사> 41권, 700명의 유명한 그리스인과 로마인에 관한 전기, <로마 민법>, <로마인의 기원>, <로마인의 삶>, <로마 관습>, 그리고 철학적 에세이 등 수많은 작품을 집필했다. 또한 "문법, 논리, 수사학, 기하학, 산수, 천문학, 음학, 의학, 건축"을 자유인이 알아야 할 교양 주제로 선정하고, 각각의 주제를 다룬 책을 집필했다. 이 밖에도 <인간의 문제> 25권, <신의 문제> 16권을 집필했다고 전해진다. 플루타르코스는 그에 대해 "키케로, 베르길리우스와 함께 로마의 위대한 3개의 등불"이라고 평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대다수 작품은 실전되거나 부분 손실되었다.오직 <Rerum Rustarum libri tres(농업에 관한 3권의 책)>만이 완전하게 전해진다. 기원전 37년 대규모 농장을 운영하는 아내 푼다니아를 위해 집필했다고 알려진[1] 이 책은 농업, 축산, 사냥감 및 어업의 세 부분으로 나뉜다. 그는 더 읽기 쉽게 하기 위해 대화체로 집필했으며, 경험 많은 농부의 경험담과 자신의 풍부한 지식을 잘 살려서 체계적인 농업 기술을 설파하고자 했다. 그는 농민을 존경했으며, 시골 생활을 명예롭고 유용하다고 칭송했다. 또한 이 책에서는 당시에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던 미생물에 관한 언급도 있어서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눈으로 볼 수는 없지만, 공중에 떠서 입과 코를 통해 몸에 들어가 심각한 질병을 일으키는 미세한 생물들이 사육하고 있으니, 늪을 피하라."
3.1. 메니페아의 풍자
메니페아의 풍자(Saturae Menippeae)는 세태를 풍자하는 시 모음집이다. 그는 기원전 3세기의 냉소주의 철학자인 가다라의 메니푸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했다. 진지한 견해에 유머러스한 표현을 덧붙인 이 작품은 산문과 시가 혼합된 형태였다. 본래 150편에 달했다고 하나, 현재는 단편만 남아서 600행과 90개의 목록만 전해진다. 남아있는 풍자시로 보건대, 그는 그리스 철학의 많은 부분이 부조리하다고 여겼고, 로마인들이 검소한 삶을 유지했던 옛날과는 달리 사치품에 열을 올리고 있다고 생각했다.3.2. 라틴어에 관하여
라틴어에 관하여(De lingua Latina)는 25권에 달했다고 하며, 1권은 서론, 2~7권은 어원, 8~13은 굴절, 14~25권은 구문으로 되어 있었다고 한다. 그 중 현재 전해지는 것은 5~10권이다. 이 저서엔 오래된 라틴 시인들의 인용구가 많이 담겨 있어서 언어학자와 문학 연구가들에게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8~10권에서는 변칙의 언어 원리 또는 유추의 언어 원리를 논했는데, 유추에 찬성하는 주장을 펼쳤다. 그의 언어 철학은 다소 현학적이고 종종 논리가 맞지 않은 부분이 있으나, 로마인이 자기 언어를 진지하게 탐구한 사례로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3.3. 철학에 관하여
바로는 철학적 대화 형식의 76편으로 구성된 "Logistorici"를 출간했는데, 현재 전해지는 건 후대 철학자들이 인용한 파편적인 내용 뿐이다. 이에 따르면, 그의 철학은 신화와 역사의 예를 통한 윤리적 추론에 집중되었다. Logistorici는 바로가 만들어낸 신조어로 보이는데, 정확한 의미는 알려지지 않았다. 바로는 단행본 <철학에 관하여(De philosophia)>에서, 철학을 올바른 삶의 방식을 규명하는 교리로 제시했다. 고대 철학 연구가들은 그가 뚜렷한 철학적 관점을 가졌다기 보다는 그리스와 헬레니즘 시대의 여러 철학적 관념을 절충하여 현실에 적용했다고 본다.3.4. 인간과 신의 고대사
인간과 신의 고대사(Antiquitates rerum humanarum et divinarum)는 총 41권으로 구성되었다고 하며, 로마 문화와 역사에 대한 백과사전 형식을 띄었다고 한다. 서론 후에는 사람, 장소, 시간 및 사물에 관한 네 부분이 이어졌다고 한다. 현재는 전해지지 않으나, 아우구스티누스 등 그리스도교의 교부나 학자들이 인용한 부분은 전해진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사제", "신성한 장소", "신성한 시간", "의례" 등에 관한 설명을 참고해 자신의 교리를 뒷받침하는 근거로 활용했다.[1] 바로는 서문에서 "남자가 거품이라면 노인은 더욱 그렇다. 이제 80살이 되었으니, 저세상으로 떠나기 전에 준비해야 한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