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05 13:34:58

조지 엘리엇

George Eliot
파일:George_Eliot_at_30_by_François_D'Albert_Durade.jpg
본명 <colbgcolor=#ffffff,#191919>메리 앤 에번스
Mary Anne Evans
국적
[[영국|]][[틀:국기|]][[틀:국기|]]
출생 1819년 10월 22일, 영국 워릭셔 너닝턴
사망 1880년 12월 22일(61세), 영국 런던 첼시
언어[1] 영어
직업 소설가, 비평가, 번역가
학력 베드포드 칼리지, 로열 홀로웨이
가족 아버지 : 로버트 에번스 Robert Evans
어머니 : 크리스티나 피어슨 Cristina Pearson
형제 자매 : 크리스티나 애번스 Cristina Evans, 아이작 에번스 Isaac Evans, 로버트 에번스 Robert Evans, 페니 에번스 Penny Evans
연인 배우자 : 존 크로스 John Cross (1880)
파트너 : 조지 헨리 르웨스 George Henry Lewes (1854–1878)
대표작 플로스강의 물방앗간 The Mill on the Floss (1860)
사일러스 마너 Silas Marner (1861)
미들마치 Middlemarch (1871–72)

1. 개요2. 영향력3. 생애4. 문체5. 여담6. 작품
6.1. 번역서

[clearfix]

1. 개요

세상에 선을 자라나게 하는 일은 역사에 남지 않는 보편적인 행위들에 달렸다. 우리가 그렇게 나쁜 일을 겪지 않을 수 있었던 이유 절반은 드러나지 않는 삶을 충실하게 살아 낸 사람들 덕분이고, 나머지 절반은 아무도 찾지 않는 무덤에 묻힌 사람들 덕분이다.

대표작 "미들마치"의 마지막 문장[2]

19세기 영국작가이며 영문학을 대표하는 대문호 중 한 명이다.

2. 영향력

한국에서는 영문학 전공자 외에는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조지 엘리엇은 19세기 빅토리아 시대 작가 중 가장 뚜렷한 행보를 보인 작가 중 한 명이며, 문학계와 영국에서의 위상은 엄청나다. 엘리엇의 최고 걸작 "미들마치"("Middlemarch")는 2015년 BBC가 뽑은 최고의 영국 소설에서 1위를, 2020년 데일리 텔레그래프가 선정한 최고의 소설 1위를 기록했다.

기존의 수많은 영국소설들은 모두 천편일률적으로 이러한 줄거리였다.
주인공의 어려운 가정 형편 (사유는 집안의 몰락, 아버지의 폭력, 가난) → 부잣집 남자와 첫눈에 반하여 연애하고 바로 결혼에 골인 → 그리고 모두 행복하게 살았답니다
하지만 조지 엘리엇은 이와 같은 신데렐라 콤플렉스식 플롯을 깨트리고 결혼 이후 잘못된 배우자를 만나 고생한다는 전개를 채택했다는 점에서 획기적이다.
"성인들[3]을 위한 몇 안 되는 영미소설"
또한 미들마치는 자신과 같은 후대 영국 여성 작가. 버지니아 울프에게도 호평을 받기도 한다.

또한 1994년, 유명 문학 평론가 해럴드 블룸은 조지 엘리엇을 '서양 문학사에서 가장 중요한 작가 중 한 명'이라고 극찬한다. [4]

결국 2007년, 미들마치타임지 선정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10개의 작품'에 등록되었다. 플로스강의 물방앗간 도 영문학의 빼어난 수작으로 평가된다. 또한 엘리엇 작품들은 무수한 드라마나 영화로도 재구성되었다.

3. 생애

엘리엇은 로버트 에번스와 공장주의 딸, 에번스 피어스 사이에서 형제들 중 셋째로 태어났다. 어렸을 때부터 독서와 공부에 두각을 나타내었으며, 16살까지 다양한 기숙학교에서 공부하였다.

그러나 집안 사정으로 인해 16살 이후 거의 정식 학교에서는 교육을 받지 못하였다. 그 때문에 도서관을 전전하며 수많은 고전을 읽었는데, 수많은 그리스 비극 전집들을 탐독하며 견문과 문학지식을 넓혔다.

1836년 어머니가 죽자 가족들은 원래의 부지를 첫째 아들에게 상속하고 코번트리로 이사하였다. 여기에서 엘리엇은 전원 생활을 즐기며 많은 사람들을 만나며 시골의 풍모와 정취를 깨달았다. 이 시기는 나중에 플로스강의 물방앗간 등의 작품에도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이후 런던으로 가서 제레미 벤담이 설립했던 좌파 성향 문예지인 『웨스트민스트 리뷰』의 편집자로 일하였다. 그러다가 자신의 적성이 소설가라고 생각하여 편집자 생활을 벗어나 본격적으로 글을 쓰며 수많은 작품들을 써내며 인생의 정점을 맞았다.

엘리엇은 오랫동안 독신으로 살면서 유부남인 철학자, 문학 평론가인 조지 헨리 루이스(1817~1878)와 로맨스를 하는 등 지금으로서도 파격적인 삶을 살아오기도 했다. 1880년 61세로 처음으로 21세 연하인 존 월터 크로스(1840~1924)랑 정식 결혼을 하였는데, 나이차가 많은 결혼으로 당시 논란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안타깝게도 이 결혼 생활은 겨우 일곱 달 만에 그해 엘리엇이 사망하면서 끝났다.

4. 문체

엘리엇은 다른 작가와 같이 자신의 삶에서 주로 많은 아이디어를 착안하여 작품을 썼다. 특히나 번역가, 소설가, 비평가 등 여러 가지 직업에 종사한 경험이 있었기에 문체도 그만큼 많이 바뀌었다.

엘리엇의 삶에서 16세까지는 작품활동이 두드러지지 않아 딱히 문체가 보이지 않지만, 자신은 이 시절에 그리스 비극에서부터 작품의 방향성을 찾았다고 말하기도 했다. 17세부터 '코번트리'라는 시골마을에 이사를 갔는데, 이때부터 폐쇄적인 농촌 사회를 소재로 글을 쓰기 시작했다. 이때의 작품이 바로 엘리엇의 또 다른 수작 "플로스강의 물방앗간"이다.

다른 대표작으로는 사일러스 마너가 있다. 희망을 잃은 중년의 남성 사일러스 마너가 자신을 찾아온 소녀를 키우면서 인간에 대한 믿음을 되찾는다는 내용으로, 레 미제라블과 함께 아저씨와 소녀 클리셰를 시도한 초창기 소설로 꼽힌다.

현실주의적인 필체로 농촌 사회의 어두운 이면과 소외된 사람들의 모습에 천착하여 현실주의 소설의 길을 열었다고도 평가받는다. 일부 학자들은 현실주의적인 필체와 함께 농촌의 풍경을 섬세하게 그려내어 또한 19세기의 자연주의 작가라고도 일컫는다.

또한 엘리엇은 굉장히 정치색을 많이 드러내는 작가였다.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제목부터 대놓고 정치적인 "진보주의자, 펠릭스 홀트"가 아주 좋은 예시이다.

엘리엇은 정치적일 뿐만 아니라 종교적이기도 했다. 편집자가 되기 전에 번역가로 일한 적이 있는데, 이때 독일 종교서적을 번역하다가 천주교에 흥미가 생겨서 이를 작품에 그대로 녹여내기도 했다.엘리엇이 런던으로 이사해서 본격적으로 편집자로서 일하고 출판업에 종사를 할 때 즈음 문학생활에 꽃이 피었다.

엘리엇은 편집자 일을 그만 두고 먹고 살 만한 재산과 함께 글을 써서 앞에서 언급한 "미들마치'를 집필했다. "미들마치'는 장장 약 천 쪽이 넘는 서적인데(한국어 번역본 기준), 엘리엇에게 얼마나 시간이 많았는지 보여주는 증거이기도 하다. 말년에 이르렀을 때에는 엘리엇이미 많은 부를 거머쥐고 그 당시 웬만한 남성들보다도 더 당당하게 살았다는 점에서 작가로서 지닌 재능을 엿볼 수 있다.

5. 여담

여성 작가임에도, '조지'라는 남성적인 필명을 사용하여 많은 이들이 남성 작가로 오해한다. 많은 사람들이 이를 당시에 남성들만이 글을 쓸 수 있었다는 편견 때문이라고 하지만,[5] 조지 엘리엇이 활동할 당시에는 이미 영문학계에서 상당수 여성 작가들이 이름을 떨쳤다.

조지 엘리엇이 남성적인 필명을 택한 이유를 두고 여러 추측이 있다. 엘리엇이 당대 여성 작가들이 찍어내는 천편일률적 로맨스 소설에 회의적이었고, 따라서 남성적인 필명으로 차별화를 꾀했다는 추정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자신의 파격적인 사생활에 대해서 알리고 싶지 않았다는 의견도 있다.

조지 엘리엇이 제인 오스틴을 포함한 영국 여성 작가들에 대해 견지한 태도를 더 알고 싶다면 그의 에세이 <여성 작가들의 어리석은 소설들>을 읽어보는 것을 추천한다.

슬프게도 우리나라에서는 엘리엇의 인지도가 대단히 낮다. 번역의 엄정함은 둘째치고 일찍부터 주요 작품들이 완역된 제인 오스틴, 샬럿 브론테와 달리 번역이 적기 때문이다. 중기작인 '로몰라'와 '진보주의자, 펠릭스 홀트'. 두 작품을 제외한 장편 소설들이 모두 번역되어 번역작품만 따지면 오히려 많은 축이긴 하다. 그런데 들여다보면 90년대 군소 출판사에서 번역하고 29년 뒤에 또 다른 군소출판사가 분권도 하지 않고 한권에 묶어서 그대로 재판한 미들마치, 학술재단에서 지원받아 번역된 다니엘 데론다와 아담 비드, 창비에서 2003년에 번역했다 절판되고 책값 비싸게 올려치기로 유명한 지만지에서 비싸게 새번역본을 낸 사일러스 마너 등 대중에 어필할 요소가 전혀 없었다.

이보다 더 큰 문제점은 분량. 사일러스 마너를 제외하면 하나같이 너무 길게 써서 진입장벽이 높다. 후기 대표작인 미들마치나 다니엘 데론다는 번역판 기준 천 쪽을 가볍게 넘어간다. 분량이 기니 당연히 책값도 비싸다. 미들마치 역본은 5만 원이 넘는데 그 정도 돈을 선뜻 주고 영국 고전 작가의 책을 구매할 일반인 독자가 얼마 없다.

6. 작품

더욱 자세한 작품들은 링크를 참고. 굵은 글씨는 그녀의 대표작이며, 한국어 표기는 국립국어원 외래어 표기법을 이행했다.
  • 소설
    • 아담 베드(Adam Bede), 1859
    • 플로스 강의 물방앗간(The Mill on the Floss), 1860
    • 사일러스 마너(Silas Marner), 1861
    • 로몰라(Romola), 1863
    • 진보주의자, 펠릭스 홀트(Felix Holt, the Radical), 1866
    • 미들마치(Middlemarch), 1871–72
    • 다니엘 데론다(Daniel Deronda), 1876
    • 벗겨진 베일, 1859
    • 런던 화방에서(In a London Drawingroom), 1865
    • 두 연인들(Two Lovers), 1866
    • 보이지 않는 성가대(The Choir Invisible), 1867
    • 스페인 집시(The Spanish Gypsy), 1868
    • 아가사(Agatha), 1869
    • 형제와 자매(Brother and Sister), 1869
    • 리사는 어떻게 왕을 사랑하게 되었는가(How Lisa Loved the King), 1869
    • 암가트(Armgart), 1871
    • 스트라디바리우스(Stradivarius), 1873
    • 주발의 전설(The Legend of Jubal), 1874
    • 당신에게 충분한 이별을 준다(I Grant You Ample Leave), 1874
    • 아리온(Arion), 1874
    • 사소한 선지자(A Minor Prophet), 1874
    • 대학교 아침식사 파티(A College Breakfast Party), 1879
    • 모세의 죽음(The Death of Moses), 1879
    • 잃어버린 그날을 세라(Count That Day Lost), 1887

6.1. 번역서

현재 우리나라에 번역된 판본을 기재하였으며, 절판되거나 품절된 판본의 경우에는 절판은 [절판]이라고 기입하였으며, 품절은 [품절]이라고 기입하였다. 단, 보급판이나 원서발췌 등의 완번역 이외의 판본은 기입하지 않았다. 시의 경우에는 여러 작가가 복합적으로 섞여들어가 있기에, 포함하지 않았다.

- 플로스강의 물방앗간 - 출간: 민음사 / 번역: 이봉지, 한애경, 2007.03 | 출간: 신아사 / 번역: 한애경, 2010.12

- 미들마치 - 출간: 주영사 / 번역: 이가형, 2019.06[6] | 출간: 민음사 / 번역: 이미애, 2024.01

- 벗겨진 베일(단편) - 출간: 민음사 / 번역: 정윤희, 2019.07

- 사일러스 마너 - 출간: 지만지(지식을 만드는 지식) / 번역: 한애경, 2012.12

- 아담 비드 - 출간: 현대문화센터 / 번역: 유종인, 2007.09 | 출간: 나남출판 / 번역: 이미애, 2009.08

- 다니엘 데론다 - 출간: 한국문화사 / 번역: 정상준, 2016.12


[1] 문학을 집필할 때 주로 사용한 언어를 의미한다.[2] 위는 본 작품 미들마치를 관통하는 주제인 '겸손'을 나타내기도 하며, '아무도 찾지 않는 무덤에 묻힌 사람들 덕분이다.'라는 구절은 자신의 덕을 알리지 않는 겸손의 미를 보여주는 구절이다. 이 문장 중 '드러나지 않는 삶'은 테렌스 멜릭히든 라이프의 제목이 되기도 했다.[3] 원문에는 'grown-up people'이라고 나와있는데 여기서는 성숙한 이들을 일컫는다.[4] #[5] 에밀리 브론테가 대표적인 예시이다.[6] 번역자 이가형은 1921년생으로 동경제국대에서 수학한 원로 학자다. 2001년 작고하였으며 이 주영사 역본은 1990년 금성출판사에서 두 권으로 나왔다 절판된 역본을 그대로 받아 재간한 것이다. 원래 2권으로 나왔던 역본을 무식하게 한권에 때려박아서 1400쪽이 넘는 어마어마한 두께에 30년 전 문장 그대로라서 평가가 나쁘다. 2023년 3월 네 권으로 된 개정판이 출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