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D1635, #0D164A 20%, #0D164A 80%, #0D1635); color:#ffc22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조지 워싱턴 | 존 애덤스 | 토머스 제퍼슨 | 제임스 매디슨 | |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제임스 먼로 | 존 퀸시 애덤스 | 앤드루 잭슨 | 마틴 밴 뷰런 | |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윌리엄 헨리 해리슨 | 존 타일러 | 제임스 K. 포크 | 재커리 테일러 |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제16대 | |
밀러드 필모어 | 프랭클린 피어스 | 제임스 뷰캐넌 | 에이브러햄 링컨 |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
앤드루 존슨 | 율리시스 S. 그랜트 | 러더퍼드 B. 헤이스 | 제임스 A. 가필드 | |
제21대 | 제22대 | 제23대 | 제24대 | |
체스터 A. 아서 | 그로버 클리블랜드 | 벤저민 해리슨 | 그로버 클리블랜드 | |
제25대 | 제26대 | 제27대 | 제28대 | |
윌리엄 매킨리 | 시어도어 루스벨트 |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 | 우드로 윌슨 | |
제29대 | 제30대 | 제31대 | 제32대 | |
워런 G. 하딩 | 캘빈 쿨리지 | 허버트 후버 | 프랭클린 D. 루스벨트 | |
제33대 | 제34대 | 제35대 | 제36대 | |
해리 S. 트루먼 |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 존 F. 케네디 | 린든 B. 존슨 | |
제37대 | 제38대 | 제39대 | 제40대 | |
리처드 닉슨 | 제럴드 포드 | 지미 카터 | 로널드 레이건 | |
제41대 | 제42대 | 제43대 | 제44대 | |
조지 H. W. 부시 | 빌 클린턴 | 조지 W. 부시 | 버락 오바마 | |
제45대 | 제46대 | 제47대* | ||
도널드 트럼프 | 조 바이든 | 도널드 트럼프 | ||
}}}}}}}}}}}} |
토머스 제퍼슨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역대 버지니아 주지사 | |||||||||||||||||||||||||||||||||||||||||||||||||||||||||||||||||||||||||||||||||||||||||||||||||||||||||||||||||||||||||||||||||||||||||||||||||||||||||||||||||||||||||||||||||||||||||||||||||||||||||||||||||||||||||||||||||||||||||||||||||||||||||||||||||||||||||||||||||||||||||||||||||||||||||||||||||||||||||||||||||||||||||||||||||||||||||||||||||||||||||||||||||||||||||||||||||||||||||||||||||||||||||||||||||||||||||
제1대 | ← | 제2대 | → | 제3대 | ||||||||||||||||||||||||||||||||||||||||||||||||||||||||||||||||||||||||||||||||||||||||||||||||||||||||||||||||||||||||||||||||||||||||||||||||||||||||||||||||||||||||||||||||||||||||||||||||||||||||||||||||||||||||||||||||||||||||||||||||||||||||||||||||||||||||||||||||||||||||||||||||||||||||||||||||||||||||||||||||||||||||||||||||||||||||||||||||||||||||||||||||||||||||||||||||||||||||||||||||||||||||||||||||||||||
패트릭 헨리 | 토머스 제퍼슨 | 윌리엄 플레밍 |
선정 지난 세기의 인물 Time Person of the Century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white> 11세기 | 12세기 | 13세기 | 14세기 | 15세기 |
정복왕 윌리엄 | 살라흐 앗 딘 유수프 | 칭기즈 칸 | 지오토 디 본도네 | 요하네스 구텐베르크 | |
<rowcolor=white> 16세기 | 17세기 | 18세기 | 19세기 | 20세기 | |
엘리자베스 1세 | 아이작 뉴턴 | 토머스 제퍼슨 | 토머스 에디슨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 }}}}}}}}} |
스미스소니언 선정 미국 역사상 가장 중요한 인물들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2014년 미국 정부가 운영하는 국립 교육 재단 스미스소니언 재단의 잡지, 스미스소니언 매거진이 “미국사 가장 중요한 100인의 인물”을 선정했다. 미국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들을 뽑았기 때문에 미국인이 아닌 사람들도 많고 부정적인 인물들도 있다. | |
<colbgcolor=#000047><colcolor=#ffc224> 개척자들 | 크리스토퍼 콜럼버스 · 헨리 허드슨 · 아메리고 베스푸치 · 존 스미스 · 조반니 다 베라차노 · 존 뮤어 · 메리웨더 루이스 · 사카자위아 · 키트 카슨 · 존 웨슬리 파월 · 닐 암스트롱 | |
혁명가 & 저항가들 | 마틴 루터 킹 · 로버트 E. 리 · 토머스 페인 · 존 브라운 · 프레드릭 더글러스 · 수전 B. 앤서니 · W. E. B. 듀보이스 · 테쿰세 · 타탕카 이요탕카 · 엘리자베스 케이디 스탠턴 · 말콤 엑스 | |
대통령들 | 조지 워싱턴 · 토머스 제퍼슨 · 율리시스 S. 그랜트 · 우드로 윌슨 · 에이브러햄 링컨 · 제임스 매디슨 · 앤드루 잭슨 · 시어도어 루스벨트 · 프랭클린 D. 루스벨트 · 로널드 레이건 · 조지 W. 부시 | |
첫 여성들 | 포카혼타스 · 엘리너 루스벨트 · 힐러리 클린턴 · 마사 워싱턴 · 오프라 윈프리 · 헬렌 켈러 · 소저너 트루스 · 제인 애덤스 · 이디스 워튼 · 베티 데이비스 · 세라 페일린 | |
범법자들 | 베네딕트 아놀드 · 제시 제임스 · 존 윌크스 부스 · 알 카포네 · 빌리 더 키드 · 윌리엄 M. 트위드 · 찰스 맨슨 · 와일드 빌 히콕 · 리 하비 오즈월드 · 러키 루치아노 · 존 딜린저 | |
예술가들 |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 · 앤디 워홀 · 프레더릭 로 옴스테드 · 제임스 애벗 맥닐 휘슬러 · 잭슨 폴록 · 존 제임스 오듀본 · 조지아 오키프 · 토머스 에이킨스 · 토머스 내스트 · 앨프리드 스티글리츠 · 앤설 애덤스 | |
종교인들 | 조셉 스미스 · 윌리엄 펜 · 브리검 영 · 로저 윌리엄스 · 앤 허치슨 · 조너선 에드워즈 · 라파예트 로널드 허버드 · 엘런 화이트 · 코튼 매더 · 매리 베이커 에디 · 빌리 그레이엄 | |
팝 아이콘들 | 마크 트웨인 · 엘비스 프레슬리 · 마돈나 · 밥 딜런 · 마이클 잭슨 · 찰리 채플린 · 지미 헨드릭스 · 마릴린 먼로 · 프랭크 시나트라 · 루이 암스트롱 · 메리 픽포드 | |
제국 건설자들 | 앤드루 카네기 · 헨리 포드 · 존 D. 록펠러 · J. P. 모건 · 월트 디즈니 · 토머스 에디슨 · 윌리엄 랜돌프 허스트 · 하워드 휴즈 · 빌 게이츠 · 코닐리어스 밴더빌트 · 스티브 잡스 | |
운동선수들 | 베이브 루스 · 무하마드 알리 · 재키 로빈슨 · 제임스 네이스미스 · 아놀드 슈워제네거 · 타이 콥 · 마이클 조던 · 헐크 호건 · 짐 도프 · 세크리테리엇 · 빌리 진 킹 | |
출처 | }}}}}}}}} |
{{{#!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5px 0" | ※ 2005년 AOL과 디스커버리 채널에서 미국인들을 대상으로 투표한 ‘가장 위대한 미국인’ 명단이다. | ||||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로널드 레이건 | 에이브러햄 링컨 | 마틴 루터 킹 | 조지 워싱턴 | 벤저민 프랭클린 | |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조지 W. 부시 | 빌 클린턴 | 엘비스 프레슬리 | 오프라 윈프리 | 프랭클린 D. 루스벨트 | |
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빌리 그레이엄 | 토머스 제퍼슨 | 월트 디즈니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 토머스 에디슨 | |
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존 F. 케네디 | 밥 호프 | 빌 게이츠 | 엘리너 루스벨트 | 랜스 암스트롱 | |
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
무하마드 알리 | 로자 파크스 | 라이트 형제 | 헨리 포드 | 닐 암스트롱 | |
※ 영문 위키 참고. | |||||
같이 보기: 위대한 인물 시리즈 |
}}} ||
<colbgcolor=#0d164a><colcolor=#ffc224> 출생 | 1743년 4월 13일 | ||
그레이트브리튼 왕국 버지니아 식민지 구치랜드 군 (現 버지니아주 구치랜드카운티) | |||
사망 | 1826년 7월 4일[1] (향년 83세) | ||
버지니아주 마운트 샬러츠빌 | |||
재임기간 | 제2대 부통령 | ||
1797년 3월 4일 ~ 1801년 3월 3일 | |||
제3대 대통령 | |||
1801년 3월 4일 ~ 1809년 3월 4일 | |||
서명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d164a><colcolor=#ffc224> 부모 | 아버지 피터 제퍼슨 (1708 ~ 1757) 어머니 제인 랜돌프 제퍼슨 (1720 ~ 1776) | |
형제자매 | 여동생 루시 제퍼슨 루이스 (1752 ~ 1810) 남동생 랜돌프 제퍼슨 (1755 ~ 1815) 외 8명 | ||
배우자 | 마사 웨일스 스켈턴 제퍼슨[2] (1748 ~ 1782) | ||
자녀 | 의붓아들 존 스켈튼 장녀 마사 제퍼슨 랜돌프 (1772 ~ 1836) 차녀 제인 랜돌프 제퍼슨 장남(요절 추정) 삼녀 메리 제퍼슨 웨일스 (1778 ~ 1804) 사녀 루시 엘리자베스 제퍼슨 차남 비벌리 헤밍스 (1798 ~ ?) 오녀 해리엇 헤밍스 (1801 ~ ?) 삼남 매디슨 헤밍스 (1805 ~ 1877) 사남 에스톤 헤밍스 제퍼슨 (1808 ~ 1856) | ||
학력 | 윌리엄 & 메리 대학교 (B.A.) 윌리엄 & 메리 대학교 (LL.D.)[3] | ||
종교 | 무종교 (이신론)[4] | ||
신체 | 190cm[5], 84kg | ||
최종 당적 | [[민주공화당(미국)| 민주공화당 ]] | ||
문장 | }}}}}}}}} |
[clearfix]
1. 개요
권력에 관해서는 그 어떤 인간도 신뢰해서는 안 된다. 그 대신 그 권력을 남용하지 못하게 헌법의 사슬로 묶어놔야 된다.
- 토머스 제퍼슨 (1798, 버지니아-켄터키 결의안 중)
- 토머스 제퍼슨 (1798, 버지니아-켄터키 결의안 중)
미국의 제3대 대통령. 미국 건국의 주역들 중 한 명으로 많은 업적을 남겼다. 대통령 뿐만 아니라 철학자, 사상가, 건축가, 교육자, 초대 국무부 장관 등 다양한 이력을 가지고 있다. 그의 자유주의적인 사상은 제퍼슨 민주주의라고도 불린다.
2. 약력
- 1779년 6월 제2대 버지니아 주지사 (1779년 6월 1일~1781년 6월 3일)
- 1789년 9월 초대 국무장관 (1789년 9월 26일~1793월 12월 31일)
- 1797년 3월 제2대 미국 부통령
- 1801년 3월 제3대 미국 대통령
3. 생애
3.1. 대통령이 되기 전
국무장관 시절의 제퍼슨 |
건국 초기의 미국 대통령들이 대부분 그렇듯, 제퍼슨도 부유한 농장주 가문 출신 사람이었다.[6] 그러다 성인이 되어서는 변호사가 되어 여러 법 문제를 다루게 되었고, 나중에는 식민지 의회의 의원까지 지내게 된다. 그러나 미국 식민지와 영국 정부는 당시 사이가 좋지 않았고, 이때 제퍼슨은 영국 본토가 식민지에서 벌이는 정책에 대해 비판하는 글을 썼다.
이후 미국 독립전쟁에서 그는 미국을 지지하였고, 독립선언문 작성에 참여해 인권 등의 문제에 대해서 작성하였다. 이렇듯 제퍼슨은 인권 문제에 대해서 많은 관심을 갖고 억압적인 정책에 반대하였다.
The tree of liberty must be refreshed from time to time with the blood of patriots and tyrants. It is it’s natural manure.
자유의 나무는 때때로 애국자와 압제자의 피를 먹고 새로워져야 한다. 피는 즉 자유의 천연적인 거름이다.
1787년, 존 애덤스의 사위 윌리엄 스미스에게 보낸 편지 중에서.[7]
자유의 나무는 때때로 애국자와 압제자의 피를 먹고 새로워져야 한다. 피는 즉 자유의 천연적인 거름이다.
1787년, 존 애덤스의 사위 윌리엄 스미스에게 보낸 편지 중에서.[7]
그 후 버지니아 주지사와 프랑스 공사를 연연하고 국무장관의 자리에 올라 반연방주의(공화주의)의 선두주자가 되었고, 존 애덤스, 알렉산더 해밀턴 등의 연방주의자들과 대립각을 세웠다. 이들의 대립이 가장 잘 드러난 사건이 독립전쟁 후 군비 등으로 생긴 채무를 각 주가 균등하게 나눠서 갚느냐, 아니면 각자 알아서 갚는가의 문제. 빚을 덜 진 주의 이익이 걸린 문제였기 때문에 제퍼슨은 해밀턴의 균등한 분배를 반대하였다. 결국 해밀턴은 수도를 워싱턴 D.C.로 이전하자는 합의안을 이끌어 각 주가 빚을 균등하게 갚자고 타협하였다.
1794년에는 국무장관에서 물러났는데, 혁명 프랑스의 미국 공사 에드몽 주네가 (중립 포지션을 취하는) 미국을 비판하며 '혁명의 적 늙다리 워싱턴을 처형해야 한다!', '프랑스가 원하면 얼마든지 미국을 전복시킬 수 있다!' 며 패기롭게 떠들어댄 것이 컸다. 친불파 포지션이었던 제퍼슨으로선 감당하기 어려운 재난이었을 것이다.[8]
3.2. 선거 출마
초대 대통령 조지 워싱턴의 불출마 선언 이후 대통령 선거에서 제퍼슨은 연방주의자들의 후보인 존 애덤스와의 대결에서 패배했으나, 당시에는 2등이 부통령이 되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부통령이 되었고 당연히 제퍼슨은 사사건건 대통령 애덤스의 정책에 반대하며 그와 대립했다.3.3. 대통령이 되다
... a wise and frugal government, which shall restrain men from injuring one another, which shall leave them otherwise free to regulate their own pursuits of industry and improvement, and shall not take from the mouth of labor the bread it has earned. This is the sum of good government, ...
... 현명하고 검소한 정부로서, 사람들이 서로를 해치지는 못하게 하되, 그 외에는 각자에게 맡겨 자유로이 스스로의 근면과 발전을 자율적으로 추구하도록 하며, 노동을 통해 얻은 양식을 빼앗지 않는 것. 좋은 정부라 함은 이 모든 것을 합한 것이고, ..."
대통령 취임 연설 中
... 현명하고 검소한 정부로서, 사람들이 서로를 해치지는 못하게 하되, 그 외에는 각자에게 맡겨 자유로이 스스로의 근면과 발전을 자율적으로 추구하도록 하며, 노동을 통해 얻은 양식을 빼앗지 않는 것. 좋은 정부라 함은 이 모든 것을 합한 것이고, ..."
대통령 취임 연설 中
그 후 다시 열린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해 1801년 3대 대통령이 되었다. 그러나 대통령이 되기까지의 과정은 꽤 험난했다. 당시 선거에서는 토머스 제퍼슨과 에런 버가 선거인단에게서 정확히 동수(73표)의 표를 얻어 1801년에 하원 투표로 넘어갔는데, 35번이나 투표를 치르고도 대통령이 결정되지 않았다가 36번째 투표에서 메릴랜드, 버몬트, 델라웨어, 사우스캐롤라이나가 입장을 바꿈으로써 제퍼슨이 대통령이 될 수 있었다. 이렇게 된 것은 연방주의자들이 그나마 제퍼슨보다 성향이 가까운 버를 밀어주다가, 연방주의자의 거두이자 버와 사이가 엄청나게 나빴던 알렉산더 해밀턴이 36번째 투표 직전에 입장을 번복하고 정적인 제퍼슨을 지지했기 때문이다.
자세히 들여다보면 당시 미국에는 16개 주가 있었는데, 처음 투표 당시에는 8개 주가 제퍼슨을 지지했고, 6개 주가 버를 지지했으며, 2개 주가 기권을 했다. 미국 헌법에 따르면 과반수 주의 지지를 얻어야 대통령이 될 수 있기에 제퍼슨은 딱 한 주가 모자라서 첫 투표에서 대통령이 되지 못했지만 결과를 볼 때 제퍼슨이 대세였던 것은 부인할 수 없었는데, 버는 제퍼슨과 정적이었기 때문에 끝끝내 후보 사퇴를 거부했고, 결국 투표가 반복된 것이다.
버는 당시 헌법에 따라 2등 득표자로서 부통령이 되었지만 제퍼슨의 정책에 사사건건 훼방을 놓았다. 웃긴 건 에런 버는 제퍼슨과 같은 민주공화당 소속이었다는 것. 같은 당 소속인데도 버와 제퍼슨은 죽어라 싸워댔다. 사법부 역시 대부분은 전임 존 애덤스가 임명한 인물들이어서 사사건건 제퍼슨을 견제하였다. 그래서인지 제퍼슨은 해밀턴과의 협의로 연방주의자들과 타협해 내각 자리를 마련해주고[9] 1기 재임 시절엔 연방주의 기조도 무리하게 바꾸지 않는다. 허나 그가 대통령으로 재임하던 시절 연방주의자들의 정책은 높은 과세로 인기를 잃은 데다 수장들이 정치를 은퇴하는 등 지도부가 사라져[10] 점차 소멸하여간다.
제퍼슨의 재임 기간 동안 벌어진 큰 사건으로는 미국의 영토를 크게 넓힌[11], 당시 나폴레옹과 한 루이지애나 거래가 있으며[12] 해적들을 토벌하기도 했다. 미국 시민권을 따기 위해 이민자의 체류기간을 5년에서 14년으로 늘린 외국인법이 폐지되었고, 보안법으로 체포된 기자들과 시민들도 석방시켰다. 노예 무역을 금지하는 법안에 서명하였으며, 아메리카 원주민들도 문명화시키려고 노력했다.[13] 정확하게 말하면 미시시피 강 동부 지역을 미국의 영토로 선언해 동부 인디언들은 백인 문화로 편입시키고 나머진 미시시피 서부로 몰아내는 정책을 추진했다. 이 때문에 이때부터 상당수 원주민들과는 사이가 틀어지기 시작한다. 또한 클라크와 루이스 원정대(Lewis and Clark Expedition)를 보내어 미국 서부에 대한 과학적 탐사를 시키지만, 서부에 대한 영유권 주장도 포함하고 있어서 당시 서부를 통치하고 있던 스페인과 은근한 신경전도 벌인다.
3.4. 퇴임 이후
대통령 자리에서 물러난 이후 버지니아 대학교를 설립했으며, 1826년 7월 4일 독립기념일에 사망했다. 그리고 그가 죽은 지 몇 시간 후 그의 정적이자 친구, 전임 대통령이었던 존 애덤스도 세상을 떠났다.[14]그의 묘비명은 이렇다.
"HERE WAS BURIED THOMAS JEFFERSON AUTHOR OF THE DECLARATION OF AMERICAN INDEPENDENCE OF THE STATUTE OF VIRGINIA FOR RELIGIOUS FREEDOM AND FATHER OF THE UNIVERSITY OF VIRGINIA." BORN APRIL 2 1743 O.S. DIED JULY 4 1826 | "미국 독립선언서의 기초자이자 버지니아 종교 자유법의 제안자 버지니아 대학교의 아버지[15] 토머스 제퍼슨이 여기 잠들다" 율리우스력 1743년 4월 2일 나서 1826년 7월 4일 졸하다 |
보다시피 "미국의 제3대 대통령"은 안 적혀 있다. 세 가지는 가장 기억되고 싶은 자기의 흔적을 적은 것. 어차피 반연방주의자로서 대통령을 그렇게 기념할 만한 자리로 생각하지도 않았다.
4. 가족관계
제퍼슨의 첫째 딸 마사 제퍼슨 랜돌프의 초상화[16] |
부부의 사이는 매우 좋았던 것으로 전해지나 안타깝게도 마사는 마지막 아이를 낳은 지 4개월 만인 1782년 9월 6일, 난산으로 인한 합병증으로 사망했고 이는 제퍼슨을 큰 비탄에 빠지게 했다. 아내의 죽음 이후 3주 동안 서재에 틀어박혀 정상적인 생활을 못했을 정도. 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마사는 임종 때 남편에게 자기가 죽은 뒤에도 재혼하지 않을 것을 부탁했고[18] 그는 아내에게 그러겠다고 약속했다. 아내에게 한 약속 때문인지는 모르겠지만 실제로 이후 제퍼슨은 결혼하지 않고 평생 독신으로 살았다.[19]
하지만 마사 제퍼슨과의 결혼 당시 딸려온 마사의 이복여동생 겸 흑백혼혈 노예인 샐리 헤밍스와 아내 사후 오랫동안 내연 관계에 있었다는 의혹을 받았다. 실제 샐리가 아버지가 불분명한 쿼터혼혈 아이들을 여러 명 낳은 건 사실이고,[20] 스캔들이 터진 게 제퍼슨의 아내가 이미 죽은 후인지라 샐리가 죽은 제퍼슨의 아내 대신 제퍼슨의 정부 노릇을 했다는 건 당시부터 오랫동안 미국 정가의 공공연한 비밀이었다고 한다. 이 떡밥은 당시부터 정적들에게 회자되었는데, 제퍼슨 본인은 샐리의 아이들에 대한 정적들의 비난을 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았다.
샐리 헤밍스의 상상화[21] |
샐리도 생물학적으로 본다면 제퍼슨의 처제라는 점과 샐리의 어머니도 백인 혼혈[22]이고 제퍼슨 장인의 몸종이었다. 골때리는건 첫 아이의 나이를 역산하면 샐리가 제퍼슨과 첫 성관계를 맺은 나이는 대략 10대 중반 쯤으로 추정된다.
5. 평가
A political visionary's expression of the American mind still inspires revolution around the world.
미국 정신에 대한 정치적 선지자(先知者)의 표현은 지금까지도 세계에 혁명을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타임지, 1999년 송별호에서 선정한 각 세기의 인물 중 18세기 인물로 토머스 제퍼슨을 선정하며. 기사 원문
미국 정신에 대한 정치적 선지자(先知者)의 표현은 지금까지도 세계에 혁명을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타임지, 1999년 송별호에서 선정한 각 세기의 인물 중 18세기 인물로 토머스 제퍼슨을 선정하며. 기사 원문
토머스 제퍼슨은 그가 내세운 사상과 행적이 오늘날에도 평가를 받아 러시모어 산의 큰 바위 얼굴에도 새겨지는 등 대우를 받고 있다. 미국 독립선언서를 작성했고, 그가 내세운 공화주의와 인권주의, 루이지애나를 매입해 미국의 영토를 크게 넓힌 점 등 미국의 성장(Growth)을 상징한다. 그래서 오늘날에도 미국에서 평가나 인지도가 높은 대통령 중 한명이다.[25] 리버럴이나 리버테리안들이 좋아하는 대통령이기도 하다.[26][27]
실제 그가 내세운 반연방주의 사상과 인권주의는 연방 정부의 지나친 권력 독점 횡포를 막고[28] 주 정부와 국민들의 권리를 수호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는다. 허나 한편으론 그의 지나친 중앙 정부 견제[29]로 인해 미국에 강한 정부가 없어 결국 남북 전쟁의 홍역을 치러야 했다는 비판도 있다. 또 본인이 대농장주로 노예들을 부리기도 했다는 점에서 알 수 있듯[30] 그가 내세운 인권주의도 결국엔 백인이나 특정 계급만의 인권, 자유 아니냐는 식으로 내로남불이라고 까는 사람도 있다. 어린 흑인 노예와 만나[31] 사생아까지 낳았을 확률이 높다는 것에 대한 비판도 있다.[32] 이런 점을 들어 2020년 BLM 운동 당시 제퍼슨의 동상 역시 철거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와 일부는 실현되기도 했다.#
사실 제퍼슨은 인종 문제에 관해 젊은 변호사 시절부터 매우 모순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초기에는 보편적인 인권의 관점에서 노예제를 부당한 것으로 보았으나, 제퍼슨 연구자들은 그가 몇몇 재판을 변호하면서 신념을 많이 수정했다고 지적한다. 직접 흑인 노예들과 교류를 해보니 도저히 지적인 대화가 가능하지 않았다고 느낀 것이다. 물론 이는 최소한의 기초적인 교육조자 받지 못했던 당시 노예들의 끔찍한 상황에 기인하는 것이지만, 제퍼슨은 이것을 흑인이라는 인종이 지닌 자연적인 결함으로 단정하는 경향이 있었다고 한다. 다시 말해 흑인을 백날 교육시켜봐야 백인같이 될 수 없다는 생각을 했다는 것이다.[33] 덕분에 이런 인종주의자 딱지가 오늘날엔 그의 자유주의 이념과 모순되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미국내 흑인 일반 대중의 제퍼슨에 대한 인식은 가식적인 백인의 전형이라는 평이 많다고 한다.
허나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제퍼슨이 당대 심지어 현대의 시각으로 봐도 꽤나 진보적인 면이 있는 사람이었던 것 또한 사실이다. 제퍼슨을 비롯한 반연방주의자들의 이러한 견해는 후에 권리장전(수정헌법)이라는 개념으로 도입된다. 종교관에서도 그의 자유주의적 성향이 묻어나는데, 당시만 해도 영국이 성공회를 국교로 두듯이 미국도 주에 따라 국교를 정하자는 의견이 있었다. 13개 주로 이뤄진 미국 연방을 운영하는 데에 기독교가 중추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는 입장과 영국처럼 국교를 따로 유지하기는 어렵다는 입장이 상충했던 것. 실제로, 메릴랜드는 가톨릭, 펜실베이니아는 퀘이커, 버지니아/뉴욕/조지아는 성공회가 공식 종교였다. 이런 상황에서 제퍼슨은 “진리는 위대해서 홀로 내버려둬도 승리한다. 우리는 성공회도, 가톨릭도 침례회도 아니다. 모두 크리스천이다.”라는 말을 남기며 공화주의자들과 함께 국교제 폐지를 주장했고 정교분리 원칙을 못박았다. 이는 이신론적인 그의 종교관도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제퍼슨은 중상주의를 주창한 해밀턴과 반대로 그 자신이 지주이기도 한만큼 중농주의를 주창했고, "나는 정부에 자신의 힘을 믿고 도전하며 법도 어길 수 있는 주식회사 재벌이 생겨나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 "상인에겐 조국이 없다. 그들에겐 태어난 곳이 돈을 긁어모을 수 있는 땅만큼 사랑스럽지 않다.", "나는 확신한다. 은행이 군대보다 위험하다. 다음 세대가 갚아야 할 채권의 발행을 정당화하는 재정 이론은 후손들을 상대로 한 대규모 사기극일 뿐이다.", "정부가 돈 놀이하는 기관과 돈 많은 기업들 손아귀에 떨어지는 날, 민주주의와 미국 독립도 종말을 고할 것이다." 등의 말을 하며 재벌의 탄생에 대해 매우 부정적인 의견을 내놓기도 했다. 실제 그는 자작농을 공화주의 미덕의 모범이라 보고 도시와 자본가들을 탐탁지 않게 여겼다. 하여튼 현대 진영에선 다양한 시각으로 해석해볼 수 있는 인물.
... it left to me to decide whether we should have a government without newspapers, or newspapers without a government, I should not hesitate a moment to prefer the latter. But I should mean that every man should receive those papers and be capable of reading them.
... 나는 일말의 주저함도 없이 신문 없는 정부보다 정부 없는 신문을 선택하겠다. 하지만 이는 모든 사람들이 신문을 받아 보고 읽을 능력이 있어야 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대통령 취임 14년 전, 신문사 사장 시절의 발언.
언론사를 운영했던 경력이 있다보니 당시에 남겼던 몇몇 말들이 아직까지도 언론 자유와 관련해 유명한 명언으로 회자된다. 대표적인 것이 상단에 인용한 '신문 없는 정부보다 정부 없는 신문' 발언이다. 또 하나는 "언론이 자유롭고 국민 모두가 글 읽을 줄 아는 나라에서라면 만사가 안전할 것이다.". 언론 사상사에서도 신문이 정부를 견제해야 한다는 관점을 제시한 인물로서 중요하게 다뤄진다.... 나는 일말의 주저함도 없이 신문 없는 정부보다 정부 없는 신문을 선택하겠다. 하지만 이는 모든 사람들이 신문을 받아 보고 읽을 능력이 있어야 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대통령 취임 14년 전, 신문사 사장 시절의 발언.
6. 기타
- 제퍼슨이 들어간 2달러 지폐
- 내가 아는 바에 따르면, 나는 나만의 종파에 속해 있다.1819년성령으로 잉태한 동정녀로부터 예수가 태어났다는 이야기가, 아테나가 제우스로부터 태어났다는 우화와 같은 수준으로 여겨질 날이 언젠가 오게 될 것이다. (중략) 이성의 빛과 생각의 자유가 미국에서 이런 인위적 발판을 제거할 것으로 생각한다.1823년The god who gave us life gave us liberty at the same time.
오늘날 많은 역사학자들은 토머스 제퍼슨의 행적에 비추어, 그가 이신론자였다고 본다.[34] 특히, 제퍼슨 성경은 토머스 제퍼슨이 이신론자였다는 근거로 자주 활용된다. 제퍼슨은 복음서의 내용을 편집해 자기만의 성경을 만들었는데, 이 요약본에는 예수가 행한 기적들이나 죽은지 3일만에 부활한 이야기 등이 모두 지워져 있다. 제퍼슨 성경 스캔본. 사실 제퍼슨 외에도 이른바 건국의 아버지들 중 상당수가[35] 당시 계몽주의 영향을 받은 이신론, 범신론자였다고 평가받는 편이지만, 그중에서도 제퍼슨은 이 부분이 특히 잘 드러나는 편이다. 허나 이런 제퍼슨의 이신론적 성향과 당대 기독교에 비판적인 입장 때문에 당시 미국의 상당수 목사들은 제퍼슨에게 적대적인 편이었다고 한다.[36]
미국의 세계유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colbgcolor=#002664> 문화유산 1978년
메사 버드 국립공원
Mesa Verde National Park1979년
독립기념관
Independence Hall1982년
카호키아 마운드 역사 유적
Cahokia Mounds State Historic Site1983년
푸에르토리코의 라 포탈레사와
산후안 국립 역사 지구
La Fortaleza and San Juan National Historic Site in Puerto Rico1984년
자유의 여신상
Statue of Liberty1987년
차코 문화 국립 역사 공원
Chaco Culture1987년
몬티셀로와 버지니아 대학교
Monticello and the University of Virginia in Charlottesville1992년
푸에블로 타오스
Taos Pueblo2014년
파버티 포인트의 기념비적 토공사
Monumental Earthworks of Poverty Point2015년
샌안토니오의 전교회
San Antonio Missions2015년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의 20세기 건축물
The 20th-Century Architecture of Frank Lloyd Wright2023년
호프웰 의례용 토공사
Hopewell Ceremonial Earthworks2024년
베들레헴의 모라비아 교회 정착촌
Papahānaumokuākea자연유산 1978년
옐로스톤 국립공원
Yellowstone National Park1979년
알래스카·캐나다 국경의 산악 공원군
Kluane / Wrangell-St. Elias / Glacier Bay / Tatshenshini-Alsek1979년
그랜드 캐니언 국립공원
Grand Canyon National Park1979년
에버글레이즈 국립공원
Everglades National Park1980년
레드우드 국립공원
Redwood National and State Parks1981년
매머드 동굴 국립공원
Mammoth Cave National Park1981년
올림픽 국립공원
Olympic National Park1983년
그레이트스모키 산맥 국립공원
Great Smoky Mountains National Park1984년
요세미티 국립공원
Yosemite National Park1987년
하와이 화산 국립공원
Hawaii Volcanoes National Park1995년
칼즈배드 동굴 국립공원
Carlsbad Caverns National Park1995년
워터턴 글레이셔 국제 평화 공원
Waterton Glacier International Peace Park복합유산 2010년
파파하노모쿠아키아
Papahānaumokuākea
몬티셀로(Monticello Estate) 워싱턴 D.C.의 제퍼슨 기념관(Jefferson Memorial)
뛰어난 건축 덕후이자 미국 대통령이었기에, 임기중에 많은 미국 행정기관의 건축을 주도했다. 로마 시대 건축인 메종 카레를 본 딴 버지니아 주의회 의사당을 시작으로 계속 만들어진 복고풍의 미국 관공서 건물들을 '연방양식(Federal style)'이라고 부른다. 미국의 많은 관공서들과 기념관들이 마치 그리스-로마 신전같은 분위기를 풍기는 이유 중 하나가 제퍼슨의 취향에 있었던 것이다. 또한 몬티첼로라는 자신의 주택을 설계하여 지었으며, 이는 미국 주택 양식의 하나로 이어진다. 대표작으로는 버지니아 대학교가 있다. 이후 미국에선 아예 판테온처럼 생긴 건물을 제퍼슨의 기념관으로 지어줬다. 판테온처럼 생긴 집에서 살면서 판테온처럼 생긴 대학 건물을 만들었고 죽어서는 판테온처럼 생긴 건물에서 기념되는 인물.
- 다재다능하고 화려한 경력의 소유자였지만 의외로 언변에는 그다지 능숙하지 않았다고 한다. 또한 본인 역시 대단히 수줍음을 많이 타서 대중 앞에서 연설하는 것을 싫어했다. 대통령 재임 시절에 연설한 것이 단 두 번이었을 정도다. 그것도 둘 다 대통령 취임 연설이었다. 드라마 《존 애덤스》에서도 제퍼슨이 애덤스에게 "저는 당신처럼 능변의 재능은 없습니다."라고 말하기도 한다. 동지이자 라이벌인 애덤스가 변호사로 상당히 변설에 뛰어났던 것과 달리 제퍼슨은 학자 출신이자 독립선언서의 대부분을 기초했던 만큼 말빨보다는 글빨이 더 좋았던 인물이었던 듯.
- 미국 역사에서 손꼽히는 엄친아 중 하나로, 지성이라는 측면에서 역대 미국 대통령 중에 제퍼슨의 지성에 견줄 만한 사람은 정치학자이자 행정학의 창시자로 평가받는 우드로 윌슨 정도 뿐이라는 주장도 있을 정도이다. 제퍼슨은 살아생전 무려 7개의 언어를 구사하였는데, 아일랜드 시인 오시안의 작품들을 아일랜드어로 번역하기도 했다. 그리고 그가 만든걸로 유명한 암호장비인 제퍼슨 디스크는 이후 2차 세계대전을 넘어 한국전쟁, 그리고 1960년대까지 쓰이게 된다.
- 맥앤치즈를 좋아했으며, 벤자민 프랭클린과 마찬가지로 술을 매우 즐겼다. 특히 와인을 좋아해서 와인에 대해 남긴 발언이 여럿 남아있는데, 개중엔 "와인을 싸게 살 수 있는 나라치고 국민이 취해 있는 법이 없고 증류주가 와인을 대신하는 나라치고 국민이 깨어 있는 법이 없다."란 발언도 있다. 직접 포도를 재배해서 와인을 제조하려 했으나 제조 기술도 부족하고 품종도 포도주에 맞지 않아 실패한 적도 있다. 몬티첼로에 있는 저택에는 와인 수천 병을 저장한 와인셀러까지 있었다.
- 엄청난 매머드 덕후였다. 그 이유인즉슨 미국이 건국될 당시만 해도 신대륙은 볼품없는 소동물만 돌아다니며[37] 이는 원주민과 식민지 출신 백인에게도 영향을 미쳐 구대륙의 인간들보다 열등하다는 우생학적 사상이 팽배했는데, 당연하겠지만 제퍼슨은 이를 굉장히 기분나빠했다. 그러던 중 제퍼슨의 수중에 마스토돈(당시에는 매머드와 구별이 되지 않았다) 화석이 들어왔고, 미 대륙에 과거에 이런 큰 짐승이 살았다는 것에 감동했기 때문. 이후 제퍼슨은 이런 크고 아름다운 짐승이 그냥 멸종했을린 없다는 생각을 가졌고, 이는 제퍼슨이 루이지애나 구입을 결정하는 데 영향을 끼쳤다는 설이 있다.
7. 대중매체에서
- 게임 《어쌔신 크리드 3》에서 등장한다. DLC인 워싱턴 왕의 폭정의 3편 에피소드에서 직접적으로 등장한다. 독립전쟁 후에 폭정을 일삼는 워싱턴을 막기 위해 잔존한 영국군들을 이끌고 뉴욕의 그의 왕궁인 피라미드를 공격하나 도리어 포위당해 절체절명의 위기를 당하려던 찰나에 주인공 라둔하게둔에게 도움을 받아 탈출하고 이후 함께 워싱턴을 몰락하는데 일조한다. 하지만 이 DLC는 선악과가 보여주는 환상인지라 진짜 역사는 아니다. 아직 대통령 되기 전이라서 그런지 게임에서는 초상화보다 젊게 나온다.
- 티미의 못말리는 수호천사에서 티미가 역사 숙제를 하기 위해 소원으로 불러낸 3명의 위인 중 한 명으로 등장한다. 도끼를 들고 광기를 발산하는 조지 워싱턴과 전기와 번개를 부리는 벤자민 프랭클린과 다르게 평범한 사람으로 나온다.
8. 선거 이력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필요시 선거인단) | 당선 여부 | 비고 |
1779 | 미국 주지사 선거 | 버지니아주 | 반연방주의 | 무투표 당선 | 당선 (1위) | 초선 |
1780 | 재선 | |||||
1792 | 미국 부통령 선거 | 미합중국 | [[민주공화당(미국)| 민주공화당 ]] | 4 (3.03%) | 낙선 (3위) | |
미국 대통령 선거 | 0 (1.52%, 4명) | 낙선 (4위) | ||||
1796 | 미국 부통령 선거 | 68 (33.17%) | 당선 (1위) | 초선 | ||
미국 대통령 선거 | 31,115 (46.6%, 68명) | 낙선 (2위) | ||||
1800 | 미국 대통령 선거 | 41,330 (61.43%, 73명) | 당선 (1위) | 초선 | ||
1804 | 미국 대통령 선거 | 104,110 (72.79%, 162명) | 재선 |
9.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 | <tablebordercolor=#030381><tablebgcolor=#030381> | 토머스 제퍼슨 관련 문서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030381> 일생 | 생애 | ||
가족 | 아버지 피터 제퍼슨 · 어머니 제인 랜돌프 제퍼슨 · 아내 마사 웨일스 스켈턴 제퍼슨 | |||
역대 선거 | 1796년 미국 대통령 선거 · 1800년 미국 대통령 선거 · 1804년 미국 대통령 선거 | |||
관련 정치인 | 존 애덤스 · 알렉산더 해밀턴 | |||
관련 전쟁 | 미국 독립 전쟁,(1775~1783), | |||
평가 | 평가 | |||
기타 | 제퍼슨 민주주의 · 제퍼슨 기념관 · 제퍼슨 디스크 | |||
자유주의 | }}}}}}}}} |
1934년 이전 미국 자유주의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주요 이념 | 고전적 자유주의 · 급진주의 | |
연관 이념 | 1934년 이전 | 공화주의 · 대중주의 · 민주주의 · 사회자유주의 · 세속주의 · 이신주의 · 진보주의 · 자유민주주의 · 자유방임주의 · 자코뱅주의 · 잭슨 민주주의 · 제퍼슨 민주주의 · 폐지주의 · 평등주의 · 초월주의 | |
1934년 이후 | 자유지상주의 · 재정보수주의 · 진보주의 · 현대자유주의 | ||
연관 개념 | 건국의 아버지들 · 개인주의 · 도금 시대· 미국 혁명 · 반연방주의((주의 권리) · 법 앞의 평등 · 서프러제트 · 자결권 · 자연권 · 자유국제주의 · 자유민주주의 · 자코뱅주의 · 작은 정부 · 지방자치 · 진보 시대 · 종교의 자유 · 친프랑스 · 표현의 자유 | ||
정당, 계파 | 국민민주당 · 공화당*(급진파) · 공화파** · 민주공화당 · 민주당*(잭슨 민주주의) · 반행정당 · 버번 민주당 · 자유공화당 · 진보당(1912년 · 1924년) | ||
인물 | W. E. B. 듀보이스 · 랠프 월도 에머슨 · 로버트 M. 라폴레트 · 벤저민 프랭클린 · 시어도어 루스벨트 · 앤드루 잭슨 · 우드로 윌슨 · 윌리엄 J. 브라이언 · 윌리엄 보라 · 찰스 섬너 · 토머스 제퍼슨 · 프레드릭 더글러스 · 하이럼 존슨 · 해리엇 터브먼 · 헨리 데이비드 소로 | ||
▼ 현대 미국의 자유주의 | |||
미국 정치 관련 문서 (사회주의 · 현대자유주의(←1934년 이전) · 자유지상주의 · 보수주의(대안 우파)) * 진보 시대에는 주류, 그 외 시대에는 당 내 계파 자유주의/분파 | }}}}}}}}} |
미국 자유지상주의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주요 이념 | 자유지상주의 (우파(주류) · 좌파(비주류)) | ||
연관 이념 | 고자유지상주의 · 고전적 자유주의(신고전적 자유주의) · 아나코 캐피탈리즘 · 자유지상주의적 보수주의(융합주의) · 자유지상주의적 사회주의 · 지공자유지상주의 · 초월주의 · 최소국가주의 | |||
연관 개념 | 개인주의적 아나키즘 · 계약의 자유 · 문화적 자유주의 · 경제적 자유주의 · 단일세 · 반제국주의(고립주의 · 불개입주의) · 사유재산(재산권) · 시장 근본주의 · 자연법 · 자유(표현의 자유) · 자유방임주의 · 자유지상주의적 페미니즘 · 재정보수주의 · 잭슨 민주주의 · 제퍼슨 민주주의 · 제한된 정부 · 주의 권리 · 향토주의 | |||
인물 | 게리 샤르티에 · 게리 존슨 · 놈 촘스키 · 데이비드 D. 프리드먼 · 랜드 폴 · 로버트 노직 · 로즈 와일더 레인 · 론 폴 · 루트비히 폰 미제스 · 류 록웰 · 머리 로스바드 · 밀턴 프리드먼 · 배리 골드워터 · 스티븐 펄 앤드루스 · 아인 랜드 · 앤드류 잭슨 · 카일 쿨린스키 · 캘빈 쿨리지 · 털시 개버드 · 토머스 소웰 · 토머스 제퍼슨 · 한스-헤르만 호페 · 랠프 월도 에머슨· 헨리 데이비드 소로 · 헨리 조지 | |||
관련 조직 | 공화당의 일부 코커스(리버티 코커스 · 티 파티 코커스) · 미제스 연구소 · Students for Liberty · 자유당(미국) · 자유지상당 국제동맹 · 전미총기협회 | |||
미국 정치 관련 문서 (사회주의 · 현대자유주의(←1934년 이전) · 자유지상주의 · 보수주의(대안 우파)) | }}}}}}}}} |
[1] 존 애덤스와 같은 날에 세상을 떠났다.[2] 마사 제퍼슨 여사 사후엔 후술되어있듯 마사 제퍼슨의 이복여동생이기도 한 샐리 헤밍스와 정부 관계로 지냈다는 의혹도 있다.[3] Legum Doctor.[4] 예수를 스승으로 믿었지만, 조지 워싱턴처럼 명목상만으로도 성공회 신자가 아니고 그냥 예수의 신성, 기적, 삼위일체 모든 것을 부정한 이신론자이다.##[5] 예나 지금이나 키가 매우 큰 장신이다. 이 거대한 키 때문인지 파티에서 언제나 돋보였다.[6] 친척으로는 에드먼드 제닝스 랜돌프, 페이튼 랜돌프, 윌리엄 & 메리 대학교의 설립자 윌리엄 랜돌프, 리처드 블랜드가 있다.[7] 임팩트가 있었는지 해당 문구는 이후 세계 각국에서 인용되었는데, 한국만 해도 4.19 혁명 직후 사상계에서 "민주주의의 나무는 국민의 피를 먹고 자란다"는 식으로 부분 재인용되어 쓰였고, 1980년대 한국 민주화 운동가들의 입에 자주 회자되었던 명언이기도 했다.[8] 사실 프랑스도 미국 독립전쟁에 20억 리브르 이상을 썼는데, 미국이 미적미적 중립을 취하니 열불이 나는 게 당연했다. 물론 해군 말아먹은 주제에 처형이니 전복이니 외친 주네의 발언은 그 시대 기준으로도 상당히 정신나간 발언이긴 하다.[9] 이때 연방파들도 대선 패배의 후유증 등으로 해밀턴파와 애덤스파가 싸우고 있었다.(...)[10] 애덤스와 존 제이는 공직에서 은퇴했고, 해밀턴은 1804년 부통령 에런 버와의 결투 도중 사살(...)당한다. 사실 이때만 해도 성격이 온화한 편이었던 제퍼슨은 에런 버도 정적보단 부통령으로 대우해주고 있었는데, 자기한테 말도 안하고 결투가 허용되는 다른 주 가서 부통령이 전직 재무장관을 사살한 사건에 충격받은 나머지 이후부턴 에런 버를 정치적으로 매장시키는데 총력을 쏟아붓는다.[11] 항목의 지도를 보면 알겠지만 당시 미국 영토 기준에선 나라 크기를 2배로 늘리는 수준이었다.[12] 사실 프랑스 입장에선 웃픈게, 미국 독립 전쟁 지원해주다 재원이 쪼그라들어 대혁명을 맞고 왕정이 무너졌는데, 그 재원 충당하고자 나폴레옹이 선택한게 루이지애나를 싼값에 미국에 넘기는 것이었다.[13] 허나 이에 대해선 비판도 있는데, 노예제를 반대하고 무역도 금지했으나 정작 현존하는 노예는 주의 자율에 맡긴다는 식이었고(지금 와서 보면 안일하다고 비판할 수도 있지만, 어쨌든 당대 반연방주의자로 주의 권리를 존중했던 제퍼슨은 설령 그게 잘못된 거라 할지라도 주 자체적으로 해결할 문제라고 보고, 자유주들을 늘려가 노예 허용주들을 여론으로 압박하다 보면 언젠간 자연스럽게 노예제가 사라질 것이라고 봤다.) 심지어 그 자신도 노예를 소유한 대농장주였기 때문이다. 뮤지컬 해밀턴에서도 이 점을 들어 해밀턴에게 신나게 까였다.[14] 애덤스는 제퍼슨이 몇시간 전에 죽은 줄 모르고 죽기 직전 "토머스 제퍼슨은 아직 살아있...(Thomas — Jefferson — still surv — )"이라는 말을 남겼고, 말을 끝마치지 못하고 죽었다. 제퍼슨 본인은 애덤스에 대한 특별한 언급없이 "오늘이 4일인가?"라며 날짜를 물어보고 죽었다.[15] 여담으로 이렇게 버지니아대를 설립한 걸 자랑스러워했지만, 정작 훗날 버지니아대에서는 노예제를 반대했다지만 그래도 노예를 뒀던 제퍼슨을 기념하는 게 맞느냐는 여론이 제기된 적도 있었다.[16] 모친인 마사 웨일스 스켈턴 제퍼슨은 초상화가 없고 실루엣만이 남아있다. 떠도는 초상화는 몇 있는데 다 이 딸 마사 제퍼슨 랜돌프의 모습을 참고한 상상화로 추정된다. 다만 실제로 마사는 어머니보다는 아버지를 많이 닮았다고 전해진다.[17] 결혼 전 성은 웨일스. 변호사이자 농장주인 존 웨일스의 딸이었다. 1766년 18살의 나이로 변호사 배서스트 스켈턴과 결혼하여 존이라는 아들을 두었으나 2년이 채 안 되어 남편이 사망하여 젊은 나이에 과부가 되었다. 아들인 존마저 마사가 재혼하기 몇 개월 전 3살이라는 어린 나이에 죽었다.[18] 남아있는 자녀들에게 새어머니가 생기는 것을 우려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마사 본인이 새어머니들과 불편한 관계였던 경험이 있어서라고.[19] 다만 외교관으로서 프랑스에 머무는 동안 영국계 이탈리아인 화가 마리아 코스웨이 부인에게 진지한 연애 감정을 가진 적은 있었으나 결과적으로 두 사람은 이뤄지지 못했다.[20] 실제 매디슨 헤밍스, 이스턴 헤밍스 등은 훗날 자기가 제퍼슨의 아들이라고 주장했다.[21] 샐리 헤밍스는 초상화가 남아있지 않다.[22] 샐리의 조부모 4명 중 3명이 백인이었다는 점 등이다. 그래서인지 생전 모습을 목격한 이들의 증언에 따르면 피부도 하얀 축에 들었다고 한다.[23] 제퍼슨이 프랑스 대사로 파리에 머물 때 얘기.[24] 실제 샐리처럼 혼혈인 탠디 뉴턴이 샐리 역을 맡았다. 뱅상 카셀이 나오기도 하고 귀네스 팰트로도 나온다.[25] 미국에서 인지도 높고 업적 좋은 대통령을 손꼽으라 하면, 워싱턴, 링컨, 두 루스벨트 등과 함께 자주 꼽히는 대통령이다.[26] 빌 클린턴 전 대통령도 가장 존경하는 인물이라고 밝힌 바 있다. 사실 클린턴의 중간 이름이 제퍼슨이기도 하다. 한편, 공교롭게도 르윈스키 스캔들 당시 유전자 검증은 제퍼슨 자손들의 유전자 검증과 같은 기술로 같은 시기에 이루어졌다.(...)[27] 당대 사상적으로 대립한 존 애덤스가 미국 전통 보수주의의 뿌리 중 하나라면, 제퍼슨은 미국 자유주의와 자유지상주의의 시초 중 한명으로 여겨진다.[28] 미국이 오늘날까지 독재자 없이 굴러가는 역사를 만든 장본인 중 한명이라고 볼 수도 있다. 신생국 연방 정부의 과한 중앙집권화를 제퍼슨이 경계하면서 독재의 씨앗을 사전에 차단했기 때문.[29] 일례로 미국 행정부는 대통령 경호 같은 걸 전담하는 부서가 대통령의 권력 강화를 부른다는 이유로 한동안 만들지 않았다. 때문에 미국 대통령들은 지속적인 신변 위험에 시달렸다. 자세한건 미국 비밀임무국 항목 참고.[30] 제퍼슨은 노예제 반대론자로 재임 시절 노예 무역도 금했지만, 정작 주의 권리를 과하게 옹호하다 보니 노예제같은 본인조차 잘못되었다고 인정하는 사안까지 주가 자체적으로 알아서 그들끼리 해결할 문제라고 봐 방치하는 측면이 있었다. 그는 자유주들을 늘려가 노예 허용주들을 여론으로 압박하다 보면 언젠간 자연스럽게 노예제도 사라질 것이라고 봤지만, 현실은 여러 희한한 이론들이 등장하면서, 수십 년 후 남북전쟁이란 댓가를 치르고 나서야 결국 미국에서 노예제는 사라진다. 물론 반대로 보면 결국 피를 봤다는 점에서, 제퍼슨도 당대에 전쟁 아님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고 봤기에, 반연방주의란 그럴듯한 명분으로 이 문제를 방치한 것이라고 볼 수도 있다.[31] 상기되어있듯 부인 사후 엮인거면 불륜은 아니다. 사실 샐리의 나이를 추정하면 부인 생전엔 사실상 꼬마라서 엮일 건덕지도 없다. 샐리 항목에 따르면 1782년 부인 사후 7년이 지난 1789년부터 가까이 지냈다고 한다.[32] 실제 오늘날 미국 대중매체에선 제퍼슨을 십대 흑인 소녀를 노리는 변태(...) 백인 노인으로 묘사하는 경우가 심심찮게 있다는 모양.[33] 사실 이러한 시각은 당시 미국은 물론 서양권 전반에서 흔히 공유되던 시각이긴 해서, 동시대 미국 지식인들은 흑인 소녀 필리스 위트리(Phillis Wheatley)가 인상적인 문학 작품을 썼다는 것을 도저히 믿을 수 없어 그녀를 필라델피아에 데려와서 장기간 관찰, 시험했을 정도였다.[34] 넓게 보면 이성을 중시한 자유주의 신학자로도 볼 수 있다.[35] 조지 워싱턴이나 제임스 매디슨, 제임스 먼로, 알렉산더 해밀턴 등 다수가 이신론자였다고 평가받는다.[36] 미국 독립에 큰 기여를 한 토머스 페인도 당시 목사들에겐 이신론자를 넘어 무신론자라고까지 선동당하며 많이 까여서, 제퍼슨과 함께 '양 톰'(두 톰)이라고 공격 받은 적이 있다. 그나마 대통령까지 하며 정치적으로 성공해 함부로 까진 못한 제퍼슨과 달리, 페인은 사인이라 온갖 가짜뉴스의 희생양이 되었다.[37] 지금이야 미대륙은 다른 곳 못지 않게 맹수들이 우글거리지만, 당시만 해도 카더라밖에 없었지 직접 본 사람은 없었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