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color=#0d1635>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ececec, #fff 20%, #fff 80%, #ececec)"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존 애덤스 | 토머스 제퍼슨 | 에런 버 | 조지 클린턴 | |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엘브리지 게리 | 대니얼 D. 톰킨스 | 존 C. 칼훈 | 마틴 밴 뷰런 | |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리처드 멘터 존슨 | 존 타일러 | 조지 M. 댈러스 | 밀러드 필모어 |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제16대 | |
윌리엄 R. 킹 | 존 C. 브레킨리지 | 해니벌 햄린 | 앤드루 존슨 |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
스카일러 콜팩스 | 헨리 윌슨 | 윌리엄 A. 휠러 | 체스터 A. 아서 | |
제21대 | 제22대 | 제23대 | 제24대 | |
토머스 A. 헨드릭스 | 리바이 P. 모턴 | 애들레이 E. 스티븐슨 | 개릿 A. 호바트 | |
제25대 | 제26대 | 제27대 | 제28대 | |
시어도어 루스벨트 | 찰스 W. 페어뱅크스 | 제임스 S. 셔먼 | 토머스 R. 마셜 | |
제29대 | 제30대 | 제31대 | 제32대 | |
캘빈 쿨리지 | 찰스 G. 도스 | 찰스 커티스 | 존 낸스 가너 | |
제33대 | 제34대 | 제35대 | 제36대 | |
헨리 A. 월리스 | 해리 S. 트루먼 | 앨번 W. 바클리 | 리처드 닉슨 | |
제37대 | 제38대 | 제39대 | 제40대 | |
린든 B. 존슨 | 휴버트 험프리 | 스피로 애그뉴 | 제럴드 포드 | |
제41대 | 제42대 | 제43대 | 제44대 | |
넬슨 록펠러 | 월터 먼데일 | 조지 H. W. 부시 | 댄 퀘일 | |
제45대 | 제46대 | 제47대 | 제48대 | |
앨 고어 | 딕 체니 | 조 바이든 | 마이크 펜스 | |
제49대 | 제50대 | |||
카멀라 해리스 | J. D. 밴스 | |||
}}}}}}}}}}}} |
<colbgcolor=#ececec,#fff><colcolor=#0d1635> | |
출생 | 1780년 10월 17일 |
미국 버지니아주 베어그래스[1] | |
사망 | 1850년 11월 19일 (향년 70세) |
미국 켄터키 프랭크퍼트 | |
재임기간 | 제9대 부통령 |
1837년 3월 4일 ~ 1841년 3월 4일 | |
서명 | |
부모 | 아버지 로버트 존슨 어머니 제미나 존슨 |
배우자 | 줄리아 친 |
자녀 | 2명 |
학력 | 트랜실베니아 대학교 |
종교 | 개신교 (침례회) |
정당 |
[clearfix]
1. 개요
미국의 제9대 부통령.2. 생애
1780년 오늘날의 켄터키 루이빌인 당시 버지니아주 베어그래스에서 11명 중 5번째 자식으로 태어났다. 트랜실베니아 대학교를 졸업한 후 변호사로 활동하였으며, 1804년에 켄터키 주 하원의원으로 선출되면서 정치 활동을 시작했다. 1806년에는 연방하원의원으로 선출되어 연속 6선에 성공했다. 미영전쟁이 발발하자 켄터키에서 의용군을 모집해 대령으로 참전했고, 테쿰세를 전사시켰던 템스 강 전투에도 참여하는 등 공적을 세웠으나 부상을 입었다. 전쟁이 끝난 후에는 하원으로 완전히 복귀해 군사 관련 업무, 미망인과 고아들을 위한 연금 확보, 서부 내 기반시설 확충 등에 주력했다.1818년 초에 하원에서 은퇴할 의사를 밝힌 후 Class 3 상원의원 선거에 도전하여 낙선하였으나, Class 2 현직 상원의원이 사임한 후 그 궐석을 채울 후임자로 선출되었다. 1822년에 상원의원 재선에 성공한 후, 1824년 대통령 선거에서 처음에는 헨리 클레이, 클레이와 존 퀸시 애덤스의 연대 이후에는 앤드루 잭슨을 지지했다. 1828년에 민주공화당 내 잭슨 파벌이 민주당을 창당했을 때 합류했고, 세번째 임기에 도전하였으나 사실혼 관계였던 혼혈 노예 Julia Chinn과의 관계 때문에 재선에 실패하고 하원의원 선거에 출마해 당선되었다. 하원에 복귀한 존슨은 우체국 및 우편 도로 위원회 위원장(21~22대 의회), 군사위원회 위원장(22~24대 의회)을 역임했고, 1832년 대선 출마를 시도하였으나 잭슨이 재선 출마를 결정하면서 출마를 포기했다.
1836년 대선에서 마틴 밴 뷰런의 러닝메이트로 출마했는데, 선거 자체는 민주당이 승리하였고 마틴 밴 뷰런도 선거인단 과반을 훌쩍 넘긴 170표를 얻으며 대통령 당선을 확정지었으나 정작 존슨 본인은 버지니아 선거인단(23명) 전원이 불충실한 선거인단으로 다른 인물에게 투표한 탓에 과반에 1표 미달하는 147표를 확보하는 데 그쳤다. 결국 상원이 부통령을 선출하게 되었고, 상원 표결에서 33:16[2]로 휘그당 프랜시스 그레인저를 꺾고 부통령에 선출되었다.[3] 부통령이 된 이후에는 별다른 정치적 행보를 보이지 않았고, 1840년 대선에서 민주당은 존슨을 포함한 어떤 부통령 후보도 공식 지명하지 않은 채 윌리엄 해리슨-존 타일러의 휘그당에 패배하여 정권을 내주었다.
부통령직에서 퇴임한 후 존슨은 켄터키 주 하원의원을 두 차례(1841~1843, 1850) 역임한 것 이외에는 상원의원 선거(1842), 민주당 대통령 후보 선출 전당대회(1844), 켄터키 주지사 선거(1848) 등에서 낙선했고, 1850년 11월에 주 하원의원으로 복귀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7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