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유주의적 패권 | 어퍼머티브 액션 | 소수자 권리 | 자유시장 | 시니스트리슴 |
| 자유주의(국제관계학) | 소셜 저스티스 워리어 | 폐지주의 | 모병제 | 객관주의 |
| 민권 운동 | 세계화 | 부르주아 정당 | 현대자유주의 | 자결권 |
| 친선택 | 해방 신학 | 무기소지권 | 사회자유 보수주의 | 세속주의 |
| 관련 단체 | ||||
| 자유주의 인터내셔널 | 자유지상당 국제동맹※ | 나우만 재단 | 몽펠르랭 소사이어티 | 진보동맹※ |
| 독립협회 | ||||
| 주요 3대 이념의 분파 (사회주의 · 자유주의 · 보수주의) · 기타(내셔널리즘 · 생태주의 · 포퓰리즘) 자유주의와 관련된 다른 틀 (사회민주주의 · 신자유주의 · 자유지상주의 · 진보주의) ※ 넓은 의미의 자유주의 단체; 각각 자유지상주의, 진보주의에 속한다. | ||||
| 🗽 자유지상주의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11px;" | <colbgcolor=#fed105><colcolor=#000> 관련 주제 | 개인주의 · 고전적 자유주의 (경제적 자유주의) · 급진주의(역사적) · 문화적 자유주의 · 무장저항권 · 무기소지권 · 반권위주의 · 반국가주의 · 반군국주의 · 반제국주의 · 불개입주의 · 사유재산 (재산권) · 성해방 · 시장 근본주의 · 자유 (표현의 자유 · 양심의 자유) · 자유무역 · 자유시장 · 제한된 정부 · 해방 · 해적 정치 | |||
| 분파 | 우파 계열 | 객관주의 · 고자유지상주의 · 시카고학파 · 아나코 캐피탈리즘 (암호화폐 아나키즘) · 야경국가주의 · 오스트리아학파 · 융합주의 · 자유지상주의적 보수주의 (밀레이주의) | |||
| 중도 계열 | 녹색 자유지상주의 · 시민 자유지상주의 · 신고전적 자유주의 · 자유지상주의적 페미니즘 · 지공자유지상주의 | ||||
| 좌파 계열 | 사회적 자유지상주의 · 아나키즘 (개인주의적 아나키즘 · 녹색 아나키즘 · 사회적 아나키즘 · 자유시장 아나키즘) · 자유지상주의적 사회주의 (신좌파 · 자유지상주의적 공산주의 (좌파공산주의) · 자유지상주의적 마르크스주의) | ||||
| 그 외 | 기술 자유지상주의 · 에고이즘 · 자유방임주의 | ||||
| 인물 | 게리 존슨 · 노자 · 놈 촘스키 · 랜드 폴 · 론 폴 · 루트비히 폰 미제스 · 막스 슈티르너 · 머리 로스바드 · 미하일 바쿠닌 · 밀턴 프리드먼 · 아인 랜드 · 에마뉘엘 마크롱 · 윌리엄 고드윈 · 털시 개버드 · 토머스 제퍼슨 ·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 하비에르 밀레이 · 한스-헤르만 호페 · 헨리 데이비드 소로 | ||||
| 단체 | Students for Liberty · 몽펠르랭 소사이어티 · 미제스 연구소 · 자유지상당 · 자유지상당 국제동맹 | ||||
| 나라별 현황 | 대한민국 · 미국 | }}}}}}}}} | |||
1. 개요
Neoclassical liberalism고전적 자유주의를 기반으로 근현대의 좌파 자유주의와 복지국가에 반대하여 발생한 자유지상주의 이념. ‘ 애리조나 학파 자유주의(Arizona School libertarianism) ’라고도 한다.
동정적 자유지상주의(Bleeding-Heart Libertarianism) [1]라고도 하며 이후 미국의 자유지상주의 운동에 영향을 끼쳐 현재 미국 자유당에 남아 있다.
이들이 학술적으로 주로 '애리조나 학파 자유지상주의'라고 불리는 이유는 애리조나 대학교 철학·경제학 진영에서 활동하던 학자들이 논의를 주도한 데서 비롯된 명칭이다. 애리조나 학파 자유지상주의자들은 전통적 자유지상주의가 강조해 온 자유시장과 개인 자율성을 통해서 사회적 약자에게도 실질적으로 도움이되는 ‘사회정의’의 실현을 자유시장과 함께 목표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주요 학자로는 데이비드 슈미츠(David Schmidtz), 제이슨 브레넌(Jason Brennan), 맷 즈월린스키(Matt Zwolinski) 등이 있으며, 이들은 경험적 자료와 정책 평가를 중시하는 ‘관찰 기반(Observation-based)·실증 책임(Empirical accountability)’ 접근을 강조해 자유지상주의 내부에서도 뚜렷한 색채를 이룬다.
한편, 아나코 캐피탈리스트학자 데이비드 D. 프리드먼은 이들 동정적 자유지상주의자들의 사회정의를 자유지상주의와 연결해야 한다는 주장은 실체가 불분명하다고 비판하기도 하였다.
참고자료
- Matt Zwolinski and John Tomasi (2012) A Bleeding Heart History of Libertarianism(보존). Cato Unbound.
- Matt Zwolinski (2012) Bleeding Heart Libertarianism(보존). Bleeding Heart Libertarians.
- Kabaservice, Geoff (17 April 2025). "The old, weird history of libertarianism, with Matt Zwolinski"(보존). Niskanen Center.
2. 성향
시민자유와 자유로운 시장을 중시하면서도[2] 사회 정의와 시민들의 안녕에 초점을 맞춘 자유지상주의 정치 철학이다. 존 로크의 고전적 자유주의를 바탕으로 밀턴 프리드먼의 시카고학파 경제학을 수용했기에 경제적으로는 우파적인 경향을 보이지만 경제적 자유주의와 함께 문화적 자유주의의 성격을 띄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극중주의 성향의 이념으로 분류되며, 일반적으로 시민 자유지상주의 성향을 띄고 있다.3. 동정적 자유지상주의
| Bleeding Heart Libertarians 사이트 로고 |
이들은 사이트 운영하면서 글과 토론에서 19세기 급진적 무정부주의자 벤저민 터커부터 오스트리아 학파의 루트비히 폰 미제스, 머리 로스바드,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그리고 분석적 정치철학자인 로버트 노직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자유주의 사상가들의 이론을 검토하고 논의했다.
해당 사이트는 2020년 6월 1일, 공동 창립자인 맷 즈월린스키가 「The End」라는 제목의 글을 올리며 그는 ‘자유시장과 사회정의의 연결’이라는 주장을 알리는 초창기 목표를 어느 정도 달성했다고 주장하며 공식적으로 사이트 운영을 중단했다.#(보존)
이 소식은 같은 날 『Reason』지에도 보도되었는데, 기사는 “인터넷에서 가장 영향력 있던 자유지상주의 블로그 중 하나가 막을 내렸다”면서도 필진 대부분이 다른 매체에서 집필을 이어갈 것이라 전했다.#(보존)
그당시에 사이트 아카이브는 그대로 남겨 연구자와 독자가 계속 글을 열람할 수 있게 했지만, 새로운 글은 더 이상 게재하지 않겠다고 서술하였다.
그러나 이후에 맷 즈월린스키는 자유시장-사회정의 담론의 연결 논의는 오히려 퇴보하고 대안우파 담론이 자유지상주의를 잠식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주장하며 오히려 상황이 악화되었다고 주장하며 2023년에 다시 같은 이름의 ‘Bleeding Heart Libertarians’ 이라는 뉴스레터를 만들어 운영하기 시작했다.#(보존)
참고자료
- Zwolinski, Matt (June 1, 2020). "The End"(보존). Bleeding Heart Libertarians.
- Zwolinski, Matt (April 20, 2023). "For a New Liberalism"(보존). Bleeding Heart Libertarian (Subst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