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lbgcolor=#dddddd,#000000><colcolor=#000000,#dddddd> 벤저민 터커 Benjamin Tucker | |
| | |
| 본명 | 벤저민 리켓슨 터커 Benjamin Ricketson Tucker |
| 출생 | 1854년 4월 17일 |
| 미국 매사추세츠 다트머스 | |
| 사망 | 1939년 6월 22일 (향년 85세) |
| 모나코 | |
| 국적 | |
| 배우자 | 펄 존슨 (1879-1948) |
| 자녀 | 딸 오리올 터커 (1908-1974) |
| 학력 |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 /) |
| 종교 | 무종교 (무신론) |
| 직업 | 작가, 편집자, 출판인, 사회운동가 |
| 서명 | |
1. 개요
미국의 개인주의적 아나키스트 작가, 편집자, 출판인, 시장사회주의계열## 아나키즘 사회운동가.2. 생애
벤자민 터커는 19세기 말 미국의 대표적인 아나키스트 사상가로, ‘개인주의적 아나키즘(individualist anarchism)’의 주요 이론가로 알려져 있다. 아나키즘 운동을 시작하면서 그는 상호주의 아나키즘 사상가 피에르 조제프 프루동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으며, 당시 프루동의 『소유란 무엇인가?』를 번역해서 미국에 처음으로 소개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반자본주의적 자유시장, 자유계약, 반국가주의를 결합한 독특한 이론적 입장을 발전시켰다. 터커는 1881년부터 1908년까지 아나키즘 잡지 《자유 (Liberty)》를 발행하며 당시 미국 아나키즘 운동의 핵심 인물로 활동했다. 그리고 후기에는 막스 슈티르너(Max Stirner)의 에고이즘 사상의 영향을 깊게 받았다.3. 활동
3.1. 재산의 구분과 비판
터커는 프루동처럼 점유(possession)와 재산(property)을 구분하였다. 자신의 노동을 기반으로 한 소유는 정당하지만, 노동 없이 발생하는 지대, 이자, 이윤, 임대수입 등은 부당한 착취로 간주하였다. 그는 이러한 부당한 수익의 근원을 국가의 특권 부여와 법률 체계에서 찾았다.[1]그러나 프루동의 관점을 따르면서도 프루동이 주장한 이런 착취적인 재산을 '고리대금(usury)'이라는 독자적인 방식의 단어로 서술하며 '재산(property)'이라는 단어를 '점유(possession)'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하였고 이는 이후 아나키즘 운동에서 혼란을 초래하게되었다.[2][3]
또한 터커는 천연자원 특히 토지에 대해 "점유와 사용(occupancy and use)"에 기반한 토지 소유 제도를 주장하며 이러한 원칙에 따라 자본주의적 재산권에 기반한 지주나 비사용 소유주의 권한에 이의를 제기했다.[4]
그러나 터커는 프루동처럼 임금노동 자체를 전면 부정하지는 않았으며, 무정부 상태가 도래했을 때 비착취적이고 비강압적인 임금제도가 가능하다고 보고 그러한 형태의 임금노동제도를 옹호했다.[5]
참고
- Carson, Kevin (19 January 2006). "Eugene Plawiuk on Anarchist Socialism". (보존) Mutualist Blog: Free Market Anti-Capitalism.
3.2. 반자본주의, 자유시장 사회주의
"《Liberty》지는 항상 개인주의와 사회주의가 상반되는 용어가 아니라고 주장해 왔습니다. 반대로 가장 완벽한 사회주의는 가장 완벽한 개인주의의 조건에서만 가능하다고 주장해 왔습니다. 그리고 사회주의에는 집산주의와 공산주의뿐만 아니라, 고리대금업과 노동착취를 파괴하는 수단으로 자유(Liberty)를 생각하는 개인주의적 무정부주의 학파도 포함된다고 주장해 왔습니다. 《Liberty》에서 자주 언급하는 사회주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으며, 이보다 더 좋은 정의는 아직 보지 못했습니다:
“사회주의는 진보의 다음 중요한 단계는 부의 소유자가 조공을 강요하는 반사회적 권력을 획득하는 모든 특권의 폐지를 포함하는 경제적 성격의 인간 환경의 변화라는 믿음이다.”
제게 멜리노를 전복하라 요구하는 이 정의에 따르면, 저는 그와 마찬가지로 훌륭한 사회주의자입니다. 따라서 우리 사이의 모든 토론은 사회주의적 무정부주의 대 개인주의적 무정부주의가 아니라 공산주의적 사회주의 대 개인주의적 사회주의여야 합니다. 저는 이를 권위주의 대 무정부주의에 대한 토론이라고 설명해야 할 것입니다. [6]
-벤자민 터커, 《Liberty》 , no. 229, p.2-
그는 국가가 형성하는 특권과 독점을 폐지하면 자연스럽게 진정한 자유시장이 형성될 것이라 주장했다. 그러한 진정한 자유시장에서 이자, 지대, 이윤은 경쟁을 통해 소멸하거나 최소화되고, 노동자들은 자신의 노동을 통해 전적인 소득을 얻을 수 있다고 보았다. 그는 법·경찰·군대·통화 제도·특허·토지 소유권 제도 등 국가 권력 장치들이 사유 재산의 부당한 집중과 착취를 낳는 근본 원인이라고 지적했다.“사회주의는 진보의 다음 중요한 단계는 부의 소유자가 조공을 강요하는 반사회적 권력을 획득하는 모든 특권의 폐지를 포함하는 경제적 성격의 인간 환경의 변화라는 믿음이다.”
제게 멜리노를 전복하라 요구하는 이 정의에 따르면, 저는 그와 마찬가지로 훌륭한 사회주의자입니다. 따라서 우리 사이의 모든 토론은 사회주의적 무정부주의 대 개인주의적 무정부주의가 아니라 공산주의적 사회주의 대 개인주의적 사회주의여야 합니다. 저는 이를 권위주의 대 무정부주의에 대한 토론이라고 설명해야 할 것입니다. [6]
-벤자민 터커, 《Liberty》 , no. 229, p.2-
벤저민 터커는 스스로를 사회주의자라고 불렀으며, 특히 자신의 사상을 ‘무정부적 사회주의’(anarchistic socialism)라고 명명하였다. 그는 진정한 자유시장은 국가의 특권이 제거된 상황에서만 실현될 수 있다고 보았다. 국가 권력과 자본의 결탁을 비판하면서 그에게 사회주의란 국가주의적 통제와는 무관하며, 오히려 개인 간의 자유로운 교환과 동등한 조건에서의 생산을 의미하는 것이었다.[7]
현대 일부 우파 자유지상주의 아나키스트(예: 로스바디안 무정부 자본주의자)들과 차별되는 점은, 터커는 자본주의적 부의 축적과 권력이 국가가 부여한 특권과 강압에 의해 유지된다고 본 반면, 후자는 이를 자연스러운 시장의 결과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8][9]
3.3. 후기의 슈티르너의 영향
터커는 후기에는 막스 슈티르너의 영향을 받아 사상의 일부 변화를 보였다. 초기에는 프루동의 상호주의에 기초하여 '정의'와 '공정한 교환'을 강조했지만, 후기에는 슈티르너의 에고이즘(egoism)을 받아들이며 이러한 도덕적 규범 자체를 상대화하고 이로써 그는 점차 도덕적 규범보다 개인의 자율성을 절대시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였다.3.4. 영향과 평가
그는 조사이아 워런, 스티븐 펄 앤드루스, 프루동, 윌리엄 그레이엄 섬너, 슈티르너 등의 사상에서 영향을 받았고, 터커가 발행한 저널 《자유(Liberty)》는 당시 미국 아나키즘 논쟁에서 중심적 역할을 하였다. 그의 이론은 이후의 시장아나키스트들과 좌파 자유지상주의자들에게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4. 여담
[1] McKay, Iain. (2012). 《An Anarchist FAQ: Volume 2》. Edinburgh and Oakland: AK Press. section G[2] McKay, Iain. (2012). 《An Anarchist FAQ: Volume 2》. Edinburgh and Oakland: AK Press. section G[3] McKay, Iain (2008/2012). An Anarchist FAQ – Appendix: Anarchism and "Anarcho"-capitalism. Edinburgh and Oakland: AK Press. Replies to Some Errors and Distortions in Bryan Caplan's "Anarchist Theory FAQ" version 5.2[4] McKay, Iain. (2012). 《An Anarchist FAQ: Volume 2》. Edinburgh and Oakland: AK Press. section G[5] McKay, Iain. (2012). 《An Anarchist FAQ: Volume 2》. Edinburgh and Oakland: AK Press. section G[6] 원문: 《Liberty》 has always insisted that Individualism and Socialism are not antithetical terms; that, on the contrary, the most perfect Socialism is possible only on condition of the most perfect Individualism; and that Socialism includes, not only Collectivism and Communism, but also that school of Individualist Anarchism which conceives liberty as a means of destroying usury and the exploitation of labor. Here is Liberty’s definition of Socialism, as often stated in its pages, and I have yet to see a better one:
“Socialism is the belief that the next important step in progress is a change in man’s environment of an economic character that shall include the abolition of every privilege whereby the holder of wealth acquires an anti-social power to compel tribute.”
By this definition, which I challenge Merlino to overthrow, I am as good a Socialist as he, and therefore any discussion between us must be, not of Socialist Anarchism against Individualist Anarchism, but of Communist Socialism against Individualist Socialism. For my own part, I should describe it as a discussion of Authoritarianism against Anarchism; but this would beg one of the questions at issue, — namely, whether Merlino is an Authoritarian.[7] McKay, Iain. (2012). 《An Anarchist FAQ: Volume 2》. Edinburgh and Oakland: AK Press. section G[8] McKay, Iain. (2012). 《An Anarchist FAQ: Volume 2》. Edinburgh and Oakland: AK Press. section G[9] McKay, Iain (2008/2012). An Anarchist FAQ – Appendix: Anarchism and "Anarcho"-capitalism. Edinburgh and Oakland: AK Press. Replies to Some Errors and Distortions in Bryan Caplan's "Anarchist Theory FAQ" version 5.2
“Socialism is the belief that the next important step in progress is a change in man’s environment of an economic character that shall include the abolition of every privilege whereby the holder of wealth acquires an anti-social power to compel tribute.”
By this definition, which I challenge Merlino to overthrow, I am as good a Socialist as he, and therefore any discussion between us must be, not of Socialist Anarchism against Individualist Anarchism, but of Communist Socialism against Individualist Socialism. For my own part, I should describe it as a discussion of Authoritarianism against Anarchism; but this would beg one of the questions at issue, — namely, whether Merlino is an Authoritarian.[7] McKay, Iain. (2012). 《An Anarchist FAQ: Volume 2》. Edinburgh and Oakland: AK Press. section G[8] McKay, Iain. (2012). 《An Anarchist FAQ: Volume 2》. Edinburgh and Oakland: AK Press. section G[9] McKay, Iain (2008/2012). An Anarchist FAQ – Appendix: Anarchism and "Anarcho"-capitalism. Edinburgh and Oakland: AK Press. Replies to Some Errors and Distortions in Bryan Caplan's "Anarchist Theory FAQ" version 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