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0 22:21:53

존 설리번

파일:미국 국장 (원형).svg
건국의 아버지들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앤드루 애덤스 존 애덤스 새뮤얼 애덤스 토머스 애덤스
존 앨솝 에이브러햄 볼드윈 존 배니스터 조사이아 바틀렛
리처드 바셋 건닝 베드퍼드 주니어 데이빗 브렐리 에드워드 비들
존 블레어 리처드 블랜드 윌리엄 블라운트 사이먼 보름
카터 브랙스턴 제이콥 브룸 피어스 버틀러 캐럴턴의 찰스 캐럴
대니얼 캐럴 리처드 캐스웰 새뮤얼 체이스 에이브러햄 클라크
윌리엄 클링건 조지 클라이머 존 콜린스 슈테판 크레인
토머스 쿠싱 프랜시스 대나 조너선 데이턴 사일러스 딘
존 드 하트 존 디킨슨 윌리엄 헨리 드레이턴 제임스 두에인
윌리엄 듀얼 엘리퍼릿 다이 윌리엄 엘러리 윌리엄 퓨
토머스 피츠시먼스 윌리엄 플로이드 나다니엘 폴섬 벤저민 프랭클린
크리스토퍼 개즈던 조셉 갤러웨이 엘브리지 게리 니콜라스 길먼
나다니엘 고램 버튼 그윈넷 리먼 홀 알렉산더 해밀턴
존 핸콕 존 핸슨 코르넬리우스 하니트 벤저민 해리슨
존 하트 존 하비 패트릭 헨리 조셉 휴이스
토머스 헤이워드 주니어 새뮤얼 홀텐 윌리엄 후퍼 프랜시스 홉킨슨
슈테판 홉킨즈 티투스 호스머 찰스 험프리스 새뮤얼 헌팅턴
리처드 허슨 제러드 잉거솔 존 제이 토머스 제퍼슨
토머스 존슨 윌리엄 새뮤얼 존슨 루퍼스 킹 제임스 킨제이
존 랭던 에드워드 랭워시 헨리 로렌스 프랜시스 라이트풋 리
리처드 헨리 리 프랜시스 루이스 필립 리빙스턴 윌리엄 리빙스턴
제임스 러벌 아이작 로우 토머스 린치 헨리 머천트
제임스 매디슨 존 매튜스 제임스 매켄리 토머스 매킨
아서 미들턴 헨리 미들턴 토머스 미플린 거버니어 모리스
루이스 모리스 로버트 모리스 존 모턴 토머스 넬슨 주니어
윌리엄 파카 로버트 트리트 페인 윌리엄 패터슨 에드먼드 펜들턴
존 펜 찰스 코츠워스 핑크니 찰스 핑크니 페이튼 랜돌프
조지 레드 조셉 리드 대니얼 로베르도 시저 로드니
조지 로스 벤저민 러시 에드워드 러틀리지 존 러틀리지
나다니엘 스커더 로저 셔먼 제임스 스미스 조너선 베이야드 스미스
리처드 스미스 리처드 돕스 스페이트 성 토머스 제니퍼의 대니얼 리처드 스톡턴
토머스 스톤 존 설리번 조지 테일러 에드워드 텔페어
매튜 손턴 매튜 틸먼 니콜라스 반 다이크 조지 월턴
존 월턴 새뮤얼 워드 조지 워싱턴 존 웬트워스 주니어
윌리엄 휘플 존 윌리엄스 윌리엄 윌리엄스 휴 윌리엄슨
제임스 윌슨 헨리 위스너 존 위더스푼 올리버 월코트
조지 위스 조지 메이슨
}}}}}}}}} ||

제3대 뉴햄프셔 주지사
존 설리번
John Sullivan
파일:1000140258.jpg
출생 1740년 2월 17일
13개 식민지 뉴햄프셔 식민지 서머스워스
사망 1795년 1월 23일 (향년 54세)
미국 뉴햄프셔주 더럼
복무 대륙군
최종 계급 대륙군 소장
복무 기간 1775~1779

1. 개요2. 생애3. 여담

[clearfix]

1. 개요

미국의 군인.

2. 생애

뉴햄프셔 서머스워스에서 교장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뉴햄프셔의 포츠머스에서 새뮤얼 리버모어에게 법률을 배웠고, 더럼에 가서 1764년에 실무를 시작했다. 마을에 있는 유일한 변호사였기 많은 저당 부동산 관련 소송을 다룰 수 있었지만 이후 1772년 지역 사회의 발전을 위해 일하기 시작했다. 1773년에는 알렉산더 스캐멀이 설리번의 법률 사무소에 가입했다.

설리번은 더럼을 대표하여 뉴햄프셔 식민지 의회로 진출하였고, 당시 주지사였던 존 웬트워스와 친분을 다졌다. 미국 독립 전쟁이 가까워오자, 그는 급진파로 전향했다. 1774년, 최초의 식민지 의회가 열렸고, 설리번은 대륙회의 대의원이 되었다. 1775년, 설리번 제2차 대륙회의에 참석했지만, 6월에 준장으로 임명되자 보스턴 포위전을 진행 중인 대륙군에 참가하게 되었다.

1776년 봄, 영국군이 보스턴에서 철수하면서 조지 워싱턴은 급사한 존 토머스 장군의 후임으로 설리번을 캐나다 방면군의 지휘관으로 보냈다. 설리번은 오합지졸인 부대로 영국군에 대한 반격하기 위해 이 병력들 중 일부를 트루아-리비에 전투에 투입했지만 패배했다. 그리고 생존자들을 이끌고 크라운 포인트까지 철수했다. 이 일로 인해 대륙회의와 갈등으로 이어졌다. 설리번은 면책을 받았고 8월 9일에는 소장으로 승진했다.

롱아일랜드 전투에 참가해 쌍권총으로 독일용병들과 맞섰으나 포로가 되었고 포로 교환 당시 석방되었다. 이후 뉴저지, 펜실베이니아, 롱아일랜드에서 전투를 치러 공을 세웠으나 자신이 단독으로 지휘하는 전투에선 큰 성과를 내지 못했다. 그러던 중 원주민 이로쿼이족이 영국군의 편에 서서 대륙군을 괴롭히자 제임스 클린턴과 함께 원정군을 꾸려 이로쿼이 마을을 파괴하고 주민, 포로들을 학살했다. 하지만 대륙회의에서는 좋게 평가하지 못하고 1779년 군문에서 물러났다.

1780년 대륙회의 대의원에 복귀했고 독립 후 주의회 위원, 1788년엔 뉴햄프셔 주지사로 당선되었다. 이후 뉴햄프셔 지방법원 판사로 일하던 중 병마에 시달리다가 1795년 사망했다.

3. 여담

  • 미국의 여러 주에 있는 카운티인 설리번 카운티는 이 인물의 이름에서 따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