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4 00:10:37

경제제재/미국/SDN 및 CSL 등재자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경제제재/미국
1. 개요2. 목록
2.1. 파일:감비아 국기.svg 감비아2.2.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2.3.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2.4.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2.5.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2.6. 파일:남수단 국기.svg 남수단2.7.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2.8.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2.9. 파일:니카라과 국기.svg 니카라과2.10.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2.1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2.1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2.13.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2.14.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라이베리아2.15.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2.16.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2.17.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2.18.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2.19. 파일:르완다 국기.svg 르완다2.20.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2.21. 파일:마셜 제도 국기.svg 마셜 제도2.22. 파일:마카오 국기.svg 마카오2.23.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2.24.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2.25.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2.26.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2.27.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2.28.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2.29.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2.30.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2.31.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2.32.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2.33.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2.34.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2.35.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2.36.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2.37. 파일:벨리즈 국기.svg 벨리즈2.38.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2.39.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2.40.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2.41.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2.42.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2.43.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2.44. 파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국기.svg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2.45.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2.46.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2.47.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2.48. 파일:수리남 국기.svg 수리남2.49.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2.50.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2.51.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2.52.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2.53.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2.54.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시에라리온2.55.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2.56. 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2.57.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2.58.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2.59.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2.60.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2.61.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2.62.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에리트레아 2.63.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2.64.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엘살바도르2.65.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2.66.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2.67. 파일:온두라스 국기.svg 온두라스2.68.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2.69.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2.70.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2.71.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2.72.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2.73.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2.74.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2.75.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2.76.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2.77.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2.78.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2.79.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2.80.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2.81.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2.82. 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공화국2.83.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2.84.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2.85.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2.86.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2.87.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2.88.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2.89.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2.90.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2.91.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2.92.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2.93.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2.94.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2.95.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2.96.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2.97.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2.98.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2.99.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2.100.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2.101.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2.102. 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 국기.svg 트란스니스트리아2.103.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2.104.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2.105. 파일:홍콩 국기.svg 홍콩2.106.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2.107. 다국적

1. 개요

SDN은 미국 해외재산관리사무국(OFAC)에서 관리하는 특별지정국민 및 차단 대상 목록(Specially Designated Nationals and Blocked Persons), CSL은 미국 정부가 특정 품목의 수출, 재수출 또는 이전에 대해 제한을 두는 당사자들의 목록인 통합 감시 목록(Consolidated Screening List)[1]을 의미한다.

미국 국무부미국 재무부에서 지정하는 테러조직들이나 미국 마약단속국 등이 상대하는 해외 범죄조직, 마약 카르텔은 대부분 이 SDN 및 CSL에도 등록되어 있다.

SDN의 경우 미국 재무부 해외재산관리사무국에서 제공하는 SDN 검색 서비스, CSL의 경우 미국 상무부 국제무역국에서 제공하는 CSL 검색 서비스가 존재한다. 그 외 OpenSanctions에서도 미국의 제재 대상자들을 검색 가능하다.
  • 리스트 지정 해제된 인물은 취소선 표시.
  • 해체된 조직, 사망한 인물은 † 표시.

2. 목록

2.1. 파일:감비아 국기.svg 감비아

2.2.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2.3.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

2.4.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

2.5.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2.6. 파일:남수단 국기.svg 남수단

2.7.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 굽타 가문: 제이컵 주마와 야합하여 온갖 부정부패를 저질러온 인도계 재벌 가문. 아제이, 아툴, 라제시 토니 굽타가 SDN 리스트에 올라 있다.

2.8.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2.9. 파일:니카라과 국기.svg 니카라과

2.10.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 개인
  • 단체
    • SHARP EDGE ENGINEERING INC.: 한국의 이동진, 대성국제무역과 비슷한 시기에 러시아 JSC PKK MILANDR에 생산설비 밀수하여 제재된 것으로 추정. 참고로 일본의 샤프 그룹이나 Foxconn과는 무관한 것으로 추정.
    • TRANS MULTI MECHANICS CO. LTD.: 대만의 중고 IT제조설비 장비 무역회사로 상술한 3명의 개인들처럼 대북제재 위반으로 제재되었다.
    • 인스퍼 타이완: 후술할 인스퍼의 대만 계열사이며 초기에는 제재가 없었던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2025년 뒤늦게 제재되었다.

2.1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 개인
    • 이동진: 현재 개인 자격으로 유일하게 OFAC 제재 목록에 올라 있는 잘 알려진 대한민국 국적자.[10] 러시아에 반도체를 무단 수출하는 데 핵심 조달 대리인으로 활동한 혐의로 제재 대상이 되었다.
  • 단체

2.1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

  • 장 알랭 로드리게스: 도미니카의 전 법무부 장관으로 사기, 뇌물수수, 공문서 위조, 사이버 범죄, 신원 도용, 돈세탁 등 다양한 조직범죄에 연루된 혐의로 제재 대상이 되었다. 2021년 체포.

2.13.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2.14.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라이베리아

2.15.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2.16.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2.17.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2.17.1. 파일:도네츠크 인민공화국 국기.svg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2.17.2. 파일:루간스크 인민공화국 국기.svg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2.17.3. 파일:크림 공화국 국기.svg 크림 공화국

2.18.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2.19. 파일:르완다 국기.svg 르완다

2.20.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2.21. 파일:마셜 제도 국기.svg 마셜 제도

  • 케사이 노트: 마셜 제도의 전 대통령. 뇌물 수수 혐의로 제재 대상에 올랐다.

2.22. 파일:마카오 국기.svg 마카오

2.23.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2.24.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2.25.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외국 마약조직 수괴 지정법에 의해 지정된 멕시코 마약 카르텔 관련자들이 많다.

2.26.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2.27.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2.28.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 개인
    • 블라디미르 플라호트니우츠: 몰도바 정치인이자 올리가르히로 몰도바 민주당의 전 의장. 몰도바 내부의 여러 부정부패 사건 및 불법 채굴 사건에 연루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2020년 미국에서 페르소나 논 그라타 목록에 오른 후 2020년 미국 국무부에서, 2022년 미국 재무부에서 특별지정인이 되어 제재를 받았다. 유럽연합 역시 몰도바 내에서 있었던 친러 폭동의 배후에 있다고 판단하여 2023년 제재를 가했고 러시아 역시 2019년 그를 자금세탁 및 북아프리카에서 대규모 마약밀매 네트워크를 조직한 혐의로 기소했다. 오갈데 없는 신세가 된 플라호트니우츠는 결국 튀르키예로 도피하여 현재는 각국의 수사를 피해 북키프로스에 머물고 있다고 전해진다.
    • 일란 쇼르: 몰도바의 친러 성향 올리가르히. 포퓰리스트 정당 쇼르당을 통해 친러 폭동을 일으켰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쇼르는 부정부패 및 각종 사기 혐의와 정치적 불안 조성을 이유로 2022년 제재 리스트에 올랐다. 영국과 유럽연합 또한 쇼르를 제재했다. 쇼르 본인은 2019년 이스라엘로 도피했으며 2024년 러시아 시민권을 취득했다. 쇼르는 궐석 재판에서 15년형과 자산 몰수형을 선고받았다.
    • 마리나 타우버
  • 단체

2.29.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2.30.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31.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2.32.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2.33.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2.34.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2.35.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2.36.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2.37. 파일:벨리즈 국기.svg 벨리즈

  • 존 살디바: 벨리즈의 정치인으로 사기꾼 레브 데먼으로부터 5만 달러를 뇌물로 수수했다는 부정부패 혐의로 제재 리스트에 올랐다.

2.38.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마린코 차바라: 전 연방 대통령
  • 에딘 가차닌: 보스니아 마피아의 두목으로 발칸반도의 마약왕으로 손꼽힌다.

2.38.1. 파일:스릅스카 공화국 국기.svg 스릅스카 공화국

2.39.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2.40.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2.41.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2.42.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2.43.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2.44. 파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국기.svg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2.45.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2.46.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2.47.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2.48. 파일:수리남 국기.svg 수리남

  • 데시 바우테르서†: SDN 목록에는 오르지 않았지만 2024년부터 미국 정부에게 입국 금지 등 제재를 당했다. 다만 재재당한 해 연말에 사망.

2.49.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2.50.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2.51.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2.52.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2.53.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2024년 시리아 반군 공세바트주의 시리아가 무너진 후 2025년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측에서 소멸한 바트주의 시리아 정부 측 기관에 대한 제재 대부분을 해제했다.

2.54.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시에라리온

2.55.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2.56. 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

2.57.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2.58.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2.59.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2.60.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2.61.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2.62.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에리트레아

2.63.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2.64.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엘살바도르

2.65.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2.66.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2.67. 파일:온두라스 국기.svg 온두라스

2.68.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2.69.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2.70.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2.71.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2.72.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2.73.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2.74.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2.75.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2.76.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2.77.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2.78.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2.79.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2.80.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2.81.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2.82. 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공화국

2.83.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2.84.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2.85.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 개인
    • 리용팟: 중국계 캄보디아인 사업가이자 상원의원. 훈 센의 개인 고문이며 아동노동, 캄보디아 범죄단지 운영 등 인권침해 혐의로 제재받았다.
    • 테아 빈: 캄보디아 해군 사령관.
    • 힝 분 히엥: 캄보디아 총리 경비대 사령관.
    • 셔즈장: 중국계 귀화 캄보디아인 사업가이자 범죄자. 2014년 산둥성에서 불법 복권 사업으로 유죄 판결을 받고 오랫동안 쫓겨 온 현상수배범으로, 2022년 태국 경찰에게 체포될 때까지 도피 생활을 이어 왔다. 훈 센 정권과 미얀마군, 마카오 삼합회의 도움을 받아 캄보디아미얀마에서 대규모 사이버 스캠 범죄단지를 운영했다.
    • 동러청(董勒成): 중국계 귀화 캄보디아인 사업가. 시아누크빌가상화폐 사기와 관련된 온갖 부동산 개발 투자에 관여하였고 진쉬(Jinsui) 범죄단지를 운영했다. 훈 센 총리가 2018년 유엔 총회에 갈 때 호화 전용기를 제공할 정도로 최측근 중 한 명이다.
    • 쉬아이민(徐爱民): 중국계 귀화 캄보디아인 사업가. 캄보디아인 사업가 리시 삼낭(Rithy Samnang)과 함께 카이보 호텔(Kaibo Hotel)을 운영하며 그 안에 스캠 범죄단지를 같이 가동했다. 캄보디아로 이주하기 전 2013년 중국 본토에서 수십억 달러 규모의 불법 온라인 도박 조직을 운영한 혐의로 10년형을 선고받았고, 홍콩에서도 은행을 통해 4,600만 달러의 자금을 세탁한 혐의로 인터폴 적색 수배를 받고 뛰쳐나온 현상범이다.
    • 트리 피압(Try Pheap): 훈 센의 전 고문역. 심각한 환경파괴 및 인권 탄압으로 미국에게 경제제재를 받았다.
  • 단체
    • 유니언 개발그룹 (UDG): 시아누크빌 만 건너편 50km정도 떨어진 거리의 롱 베이에서 중국 최대 규모 부동산 개발을 이끌고 있는 중국계 기업. 2020년 미국은 UDG를 국유기업으로 지정하고 UDG가 자행한 대량 강제 퇴거에 대해 제재했다.
    • 카이보 호텔: 쉬아이민이 소유한 호텔이자 스캠 범죄단지.
    • 헝허 바벳 자산 유한회사(Heng He Bavet Property Co. Ltd.) 및 MDS 헝허 투자회사(M D S Heng He Investment Co. Ltd.): 롱 베이의 범죄단지 건물 중 하나를 소유한 중국계 투자회사.
    • 휘원 그룹: 동남아시아 지역 범죄 조직 및 북한의 사이버 공격 관력 수익 돈세탁 혐의로 2024년 제재되었다.
    • LYP Group: 리용팟이 소유한 회사로 스캠 범죄단지 운영 및 그에 따른 인권침해로 2024년 제재되었다.
    • 가든 시티 호텔, 코콩 리조트, 프놈펜 호텔, 오스마크 리조트: 리용팟이 소유한 호텔 및 리조트 시설. 범죄단지에서 사 온 노예들을 이용하여 강제노동에 동원한 혐의로 제재되었다.
    • KBX 인베스트먼트: 쉬아이민이 소유한 부동산 개발 회사.

2.86.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 사미둔: 캐나다를 중심으로 12개국에서 활동하는 비영리단체. 수감된 팔레스타인 활동가들의 석방을 돕고 그들의 옥중 생활을 지원하는 자선단체를 표방하고 있지만 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과의 강한 연관성을 가진 세탁용 가짜 단체라는 강한 의혹을 받고 있다. 캐나다에서도 테러조직으로 지정당하여 활동을 금지당했다.

2.87.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2.88.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2.89.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2.90.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

2.91.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2.92.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2.93.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

2.94.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

2.95.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2.96.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2.97.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2.98.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2.99.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2.100.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2.101.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2.102. 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 국기.svg 트란스니스트리아

2.103.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2.104.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2.105. 파일:홍콩 국기.svg 홍콩

2.106.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 로간 안탈: 헝가리 총리 내각부 장관으로 오르반 빅토르의 최측근으로 꼽히는 인물. 국제 마그니츠키법 제재로 2025년 1월 8일 신규 등재되었다. 그러나 한 달 후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과 함께 제재가 해제되었다.
  • Cytrox: 상술한 NSO 그룹의 백도어인 페가수스와 파급효과가 맞먹었던 프리데터라는 백도어를 만든 것으로 악명높다. 특히 이 회사는 상술한 NSO[282]와 달리 아예 SDN에 당당히 등재되었다.

2.107. 다국적


[1] 미국 상무부, 미국 국무부, 미국 재무부 등 각 부서에서 관리하는 목록을 통합한 것이다.[A] 행정명령 13224호에 따른 미국 국무부미국 재무부의 특수 지정 국제 테러리스트 목록에 등재된 인물 혹은 단체.[A] [A] [A] [A] [A] [A] [A] [10] 물론 이외에 한국 국적자 중 최요셉(최요섭)이란 제재 대상자가 있으나 몇몇 외국인과 같이 핵물질을 이란으로 불법 반출한 거 외에는 공식적으로 알려진 바가 없다.[A] [A] [A] [A] [A] [A] [A] [A] [A] [20] 이 회사 때문에 이 화사와 합작법인을 차려 운영하던 전세계 수많은 자동차 제조사들이 마쓰다를 제외하고 거의 다 철수하는 헬게이트를 열었다.[A] [A] [A] [A] [A] [A] [27] 국체가 아닌 우크라이나에 위치한 개별 단체로 등록되어 있다.[28] 국체가 아닌 우크라이나에 위치한 개별 단체로 등록되어 있다.[A] [A] [A] [A] [A] [A] [A] [A] [A] [A] [A] [A] [A] [B] 외국 마약 조직 책임자 지정법에 따라 제재된 인물.[B] [B] [B] [B] [B] [B] [B] [B] [B] [B] [B] [B] [B] [B] [B] [B] [B] [B] [B] [B] [B] [B] [B] [B] [B] [B] [B] [B] [B] [B] [B] [B] [A] [A] [A] [A] [A] [A] [A] [A] [A] [A] [85] 군부의 자본이 포함되지 않은 미얀마 최초이자 유일한 완전 민간 회사이다. 그러나 타이 자 본인이 군부와 유착 관계에 있는 인물이기 때문이 큰 의미는 없다.[B]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116] 2017년 독가스 사용 책임으로 재무부에 의해 제재되었다. #[A] [A] [A] [A] [A] [A] [A] [A] [A] [A] [B] [A] [A] [B]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156] 2017년은 무함마드 빈 살만이 사우디 국내 와하브파 성직자들을 억누르고 대규모 숙청을 단행하고 있을 때였다.[A] [A] [A] [A] [A] [A] [A] [B]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B] [B] [B] [A] [B] [A] [A] [A] [A] [A] [A] [A] [A] [A] [A] [A] [B] [A] [A] [A] [A] [A] [220] 주로 핵개발 시설 연구원 및 탈레반 협조자들이 지정된다.[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B] [A] [A] [A] [A] [A] [A] [A] [A] [A] [A] [A] [A] [A] [A] [B] [A] [A] [A] [A] [A] [A] [282] CSL만 등재[A] [A] [A] [A] [A] [A]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