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2. 목록
2.1.
감비아2.2.
그리스2.3.
기니2.4.
나미비아2.5.
나이지리아2.6.
남수단2.7.
남아프리카 공화국2.8.
네덜란드2.9.
니카라과2.10.
대만2.11.
대한민국2.12.
도미니카 공화국2.13.
독일2.14.
라이베리아2.15.
라트비아2.16.
레바논2.17.
러시아2.18.
룩셈부르크2.19.
르완다2.20.
리비아2.21.
마셜 제도2.22.
마카오2.23.
말리2.24.
말레이시아2.25.
멕시코2.26.
모로코2.27.
모잠비크2.28.
몰도바2.29.
몰타2.30.
미국2.31.
미얀마2.32.
바레인2.33.
방글라데시2.34.
베네수엘라2.35.
벨기에2.36.
벨라루스2.37.
벨리즈2.38.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2.39.
북마케도니아2.40.
북한2.41.
불가리아2.42.
브라질2.43.
사우디아라비아2.44.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2.45.
세르비아2.46.
소말리아2.47.
수단 공화국2.48.
수리남2.49.
스리랑카2.50.
스웨덴2.51.
스페인2.52.
슬로바키아2.53.
시리아2.54.
시에라리온2.55.
아르헨티나2.56.
아이티2.57.
아일랜드2.58.
아프가니스탄2.59.
알바니아2.60.
알제리2.61.
앙골라2.62.
에리트레아 2.63.
에콰도르2.64.
엘살바도르2.65.
영국2.66.
예멘2.67.
온두라스2.68.
요르단2.69.
우간다2.70.
우즈베키스탄2.71.
우크라이나2.72.
이라크2.73.
이란2.74.
이스라엘2.75.
이집트2.76.
이탈리아2.77.
인도2.78.
인도네시아2.79.
일본2.80.
조지아2.81.
중국2.82.
중앙아프리카공화국2.83.
짐바브웨2.84.
카자흐스탄2.85.
캄보디아2.86.
캐나다2.87.
코소보2.88.
코트디부아르2.89.
콜롬비아2.90.
콩고민주공화국2.91.
쿠바2.92.
키르기스스탄2.93.
파나마2.94.
파라과이2.95.
파키스탄2.96.
팔레스타인2.97.
페루2.98.
프랑스2.99.
필리핀2.100.
탄자니아2.101.
태국2.102.
트란스니스트리아2.103.
튀니지2.104.
튀르키예2.105.
홍콩2.106.
헝가리2.107. 다국적
1. 개요
SDN은 미국 해외재산관리사무국(OFAC)에서 관리하는 특별지정국민 및 차단 대상 목록(Specially Designated Nationals and Blocked Persons), CSL은 미국 정부가 특정 품목의 수출, 재수출 또는 이전에 대해 제한을 두는 당사자들의 목록인 통합 감시 목록(Consolidated Screening List)[1]을 의미한다.미국 국무부나 미국 재무부에서 지정하는 테러조직들이나 미국 마약단속국 등이 상대하는 해외 범죄조직, 마약 카르텔은 대부분 이 SDN 및 CSL에도 등록되어 있다.
SDN의 경우 미국 재무부 해외재산관리사무국에서 제공하는 SDN 검색 서비스, CSL의 경우 미국 상무부 국제무역국에서 제공하는 CSL 검색 서비스가 존재한다. 그 외 OpenSanctions에서도 미국의 제재 대상자들을 검색 가능하다.
- 리스트 지정 해제된 인물은 취소선 표시.
- 해체된 조직, 사망한 인물은 † 표시.
2. 목록
2.1.
감비아
- 야햐 잠미
파투 벤소우다: 감비아 변호사이자 국제형사재판소 전 검사. 미군과 미국 중앙정보국이 아프가니스탄과 폴란드, 루마니아, 리투아니아 등지의 블랙 사이트에서 저지른 전쟁범죄를 조사했다는 이유로 제재를 받았다. 2021년 해제.
2.2.
그리스
- 개인
- 흐리스토둘로스 지로스[A]: 11월 17일 혁명 조직의 전 조직원으로 그리스 정부 및 미군, CIA, NATO 관련자들의 살해에 참여하였다. 2002년 종신형을 선고받았다. 2014년 탈옥했으나 2015년 다시 체포되었다.
- 단체
2.3.
기니
2.4.
나미비아
- 베른하르트 에사우: 나미비아의 국회의원이자 어업 및 해양자원부 장관. 아이슬란드 최대 수산물 회사 삼헤르지와 결탁해서 나미비아의 어업 할당량을 넘기려 한 피쉬로트 스캔들에 연루되어 SWAPO에서 제명당하고 심각한 부정부패 혐의로 미국 재무부에 의해 제재되었다. 2019년 체포.
2.5.
나이지리아
- 개인
- 알리 다라사: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출신 나이지리아 군벌 지도자로 중아공에서 풀라족 중심 군벌 중앙아프리카공화국 평화연합(UPC)을 이끌고 있다. UPC 지도부가 자행한 인권 침해 사항으로 미국의 제재 대상이 되었다.
- 아부바카르 셰카우†[A]
- 단체
2.6.
남수단
- 폴 말롱 아완: 남수단 정치인이자 군인으로 2017년까지 남수단군 참모총장을 지냈다. 남수단에서 벌어진 누에르족 학살에 살바 키르 마야르디트와 함께 큰 책임이 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 마틴 엘리아 로무로
- 마이클 마쿠에이 루스
- 쿠올 마냥 주크
- 타반 뎅 가이
- 알프레드 푸티요 카라바
- 사이먼 가트웨치 두알
- 벤저민 볼 멜
2.7.
남아프리카 공화국
2.8.
네덜란드
- 개인
- 마르티뉘스 프테뤼스 헨리 데 코닝, 알렉스 아드리아뉘스 마르티뉘스 페이넨뷔르흐: 다크웹상 사이트 'Green District BV'에서 불법 제조 펜타닐, 아편, 대마초, 기타 각성제 등을 공급한 혐의로 지정된 네덜란드 마약상들. 2017년 체포되었지만 체포 후에도 Best Sport Company라는 페이퍼 컴퍼니를 이용하여 돈세탁을 해 가며 계속 마약 판매에 관여하고 있었다.
- 단체
2.9.
니카라과
- 개인
- 아르놀도 알레만: 니카라과 전 대통령.
- 프란시스코 하비에르 디아스 마드리스
- 단체
2.10.
대만
- 개인
- 단체
- SHARP EDGE ENGINEERING INC.: 한국의 이동진, 대성국제무역과 비슷한 시기에 러시아 JSC PKK MILANDR에 생산설비 밀수하여 제재된 것으로 추정. 참고로 일본의 샤프 그룹이나 Foxconn과는 무관한 것으로 추정.
- TRANS MULTI MECHANICS CO. LTD.: 대만의 중고 IT제조설비 장비 무역회사로 상술한 3명의 개인들처럼 대북제재 위반으로 제재되었다.
- 인스퍼 타이완: 후술할 인스퍼의 대만 계열사이며 초기에는 제재가 없었던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2025년 뒤늦게 제재되었다.
2.11.
대한민국
- 개인
- 이동진: 현재 개인 자격으로 유일하게 OFAC 제재 목록에 올라 있는 잘 알려진 대한민국 국적자.[10] 러시아에 반도체를 무단 수출하는 데 핵심 조달 대리인으로 활동한 혐의로 제재 대상이 되었다.
- 단체
2.12.
도미니카 공화국
- 장 알랭 로드리게스: 도미니카의 전 법무부 장관으로 사기, 뇌물수수, 공문서 위조, 사이버 범죄, 신원 도용, 돈세탁 등 다양한 조직범죄에 연루된 혐의로 제재 대상이 되었다. 2021년 체포.
2.13.
독일
- 개인
- 마문 다르카잔리[A]: 시리아 이중 국적자로 알카에다와 연관된 테러 혐의를 가지고 수배 중에 있다.
- 마티아스 바르니크: 전직 슈타지 요원 출신 사업가로 블라디미르 푸틴과 친밀한 관계에 있다. 노르트스트림 파이프라인의 건설과 운영을 담당하는 노르트스트림 AG의 CEO이다.
- 단체
- 알 아크사 재단†: 독일 아헨에 본부를 둔 자선단체였지만 하마스에 자금을 지원한 사실이 드러나 특별 지정 세계 테러 조직으로 지정되었고 그에 따라 제재 리스트에 오르고 독일 당국에 의해 본부가 폐쇄되었다.
- 노르트스트림 2 AG: 노르트스트림 2 파이프라인의 건설과 운영을 담당하는 회사.
2.14.
라이베리아
- 개인
찰스 테일러: 2003년 제2차 라이베리아 내전을 일으키고 시에라리온 내전을 배후조종한 혐의로 제재 대상이 되었다. 2006년 체포당하고 2012년 사실상 무기징역인 징역 50년형을 선고받아 평생 밖에 나올 일이 없게 되자 제재가 유명무실하다고 판단, 2015년 해제되었다. 동시에 라이베리아에 대한 금수조치도 해제되었다.찰스 "처키" 맥아더 에마누엘: 찰스 테일러의 아들로 아버지를 따라 고문, 학살 등을 수행했다. 미국 국적자이기도 하다.- 프린스 존슨†
- 새뮤얼 트웨아: 조지 웨아 정부의 재무부 장관. 부정부패 혐의로 미국 재무부가 제재를 가했다.
- 앨버트 투그베 치: 라이베리아의 상원의원. 부정부패 혐의로 미국 재무부가 제재를 가했다.
- 에마누엘 누콰이: 라이베리아의 상원의원. 부정부패 혐의로 미국 재무부가 제재를 가했다.
- 단체
라이베리아 민족해방전선(NPFL): 테일러의 사병 집단.
2.15.
라트비아
- 아이바르스 렘베르그스: 라트비아의 올리가르히. 전 벤츠필스 시장이기도 하다. 뇌물 수수 및 자금세탁과 관련하여 제재 리스트에 올랐다.
2.16.
레바논
- 개인
- 푸아드 슈크르†[A]: 헤즈볼라 최고위 사령관이자 창립 멤버 중 한 명으로 하산 나스랄라의 군사 고문이기도 했다. 2024년 이스라엘군이 레바논 남부를 공습하면서 사망하였다.
- 하산 나스랄라†: 헤즈볼라 3대 사무총장. 2024년 헤즈볼라 지휘부 공습 결과 사망.
- 이브라힘 아킬†[A]: 라드완 부대 전 사령관. 2024년 이브라힘 아킬 암살 사건으로 사망.
- 알리 카라키†[A]: 헤즈볼라 남부 전선 사령관. 2024년 헤즈볼라 지휘부 공습 결과 사망.
- 나빌 카우크†: 헤즈볼라 중앙위원회 부의장. 2024년 헤즈볼라 지휘부 공습 결과 사망.
- 이브라힘 코베이시†: 헤즈볼라 최고위 사령관. 2024년 헤즈볼라 지휘부 공습 결과 사망.
- 알리 바라카
- 하셈 사피에딘†[A]: 헤즈볼라 입법부장. 나스랄라 사망 이후 이스라엘군의 다음 타겟으로 지목되어 공습을 받고 사망.
- 리아드 살라메: 1993년부터 2023년까지 레바논 중앙은행의 총재를 지낸 은행가. 부정부패, 자금세탁 및 폰지 사기 혐의로 미국으로부터 제재를 받았고, 캐나다와 영국 역시 살라메를 제재했다.
- 게브란 바실: 자유애국운동 당수. 미셸 아운의 사위이다.
- 단체
2.17.
러시아
- 개인
- 블라디미르 푸틴
- 마리야 보론초바: 러시아의 의사로 푸틴의 장녀.
- 카테리나 티호노바: 러시아의 과학자 및 전직 아크로바틱 댄서로 푸틴의 차녀.
-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 미하일 미슈스틴
- 안드레이 벨로우소프
- 드미트리 페스코프
- 발레리 게라시모프
- 세르게이 라브로프
- 세르게이 이바노프
- 이고르 세친
- 니콜라이 파트루셰프
- 세르게이 쇼이구
- 율리아 쇼이구: 세르게이 쇼이구의 부인.
- 알렉산드르 두긴
- 다리야 두기나†: 2022년 다리야 두기나 피살 사건으로 사망.
- 예브게니 프리고진†: 2023년 바그너 그룹 전용기 추락 사고로 사망.
- 드미트리 웃킨†: 2023년 바그너 그룹 전용기 추락 사고로 사망.
- 파벨 프리고진
- 알렉산드르 보르트니코프
- 이고르 기르킨
- 안드레이 트로셰프
- 콘스탄틴 피칼로프
- 블라디미르 키리옌코: 브콘탁테의 CEO 겸 회장
- 마르가리타 시모냔: RT와 Россия сегодня의 편집장.
- 티나 칸델라키: 가즈프롬 미디어 부회장.
- 드미트리 키셸로프: Россия сегодня 회장 및 TV 진행자.
- 표트르 프라드코프: 러시아의 경제학자 겸 은행가로 프롬스뱌즈 은행 회장 겸 CEO, 러시아 수출센터 사장직 역임.
- 자스민: 러시아의 가수로, 남편인 일란 쇼르가 몰도바에서 폭동 및 사기와 연루되어 있어 같이 제재당했다.
- 람잔 카디로프
- 하디자트 카디로바
- 아이샤트 카디로바
- 압티 알라우디노프
- 유누스베크 예브쿠로프
- 마고메드 다우도프
- 알렉세이 밀차코프
- 얀 페트롭스키
- 발렌티나 테레시코바
- 이고르 크라스노프
- 마리야 자하로바
- 빅토르 졸로토프
- 겐나디 지드코†
- 드미트리 불가코프
- 빅토르 부트
- 아담 델림하노프
- 알리셰르 우스마노프
- 블라디미르 포타닌
- 빅토르 벡셀베르크
- 안드레이 멜니첸코
- 올레그 데리파스카
- 겐나디 팀첸코
로만 아브라모비치: 제재 초안이 작성되었으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평화 회담에서의 아브라모비치의 역할을 위해 제재 목록에서 해제할 것을 조 바이든에게 건의하여 등재에서 빠졌다.- 뱌체슬라프 볼로딘
- 발렌티나 마트비옌코
- 키르산 일륨지노프
- 아나톨리 카르포프
- 바실리 블라소프
- 알렉산드르 바스트리킨
- 알림잔 토흐타흐노프: 러시아와 우즈벡의 거물 레드 마피아로 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에서 조직 범죄 및 피겨 스케이팅 심판에 대한 뇌물과 관련하여 기소되어 현상범 목록에 오른 것으로 유명한 인물.
- 보리스 로텐베르크
- 아르카디 로텐베르크
- 보리스 로텐베르크: 러시아의 축구 선수. 아버지 보리스와 동명이다. 아버지와 삼촌이 받는 경제제재로 인해 대상에 포함되었다.
- 이고르 로텐베르크
- 로만 로텐베르크
- 안드레이 루고보이
샤밀 바사예프†[A]: 이치케리야 체첸 공화국 출신 테러리스트. 사살 후 해제. 특별지정 글로벌 테러리스트 목록에서도 해제되었다.- 도쿠 우마로프†[A]: 이치케리야 체첸 공화국 출신 체첸 테러리스트이자 이마라트 캅카스의 초대 지도자. 2013년 식중독으로 사망.
- 스타니슬라프 보로비요프[A]: 러시아 제국 운동의 수괴.
- 드미트리 콥툰
- 디미트리 시티
- 비탈리 간체프
- 블라디미르 살도
- 예브게니 발리츠키
- 로만 스타로보이트†
- 레오니트 슬루츠키
- 예브게니 프리마코프†
- 세르게이 나리시킨
- 드미트리 그리고렌코
- 엘비라 나비울리나
- 막심 레셰트니코프
- 미하일 프랏코프
- 보리스 그리즐로프
- 블라디미르 콜로콜체프
- 비탈리 사벨리예프
- 블라디슬라프 호발륵
- 세르게이 소뱌닌
- 세르게이 키리옌코
- 이고르 슈발로프
- 유리 트루트네프
- 알렉산드르 쿠렌코프
- 아이센 니콜라예프
- 갈리나 다닐첸코
- 라시트 누르갈리예프
- 블라디미르 샤마노프
- 빅토르 본다레프
블라디미르 지리노프스키†: 사후 해제되었다.- 스베틀라나 주로바
- 안드레이 구룰료프
- 안드레이 투르차크
- 안드레이 카르타폴로프
- 안톤 알리하노프
- 알렉산드르 노바크
- 알렉산드르 카렐린
- 알리나 카바예바
- 세르게이 미로노프
- 겐나디 세미긴
- 겐나디 주가노프
- 이반 멜니코프
- 스베틀라나 사비츠카야
- 데니스 만투로프
- 드미트리 체르니셴코
- 니콜라이 하리토노프
- 루슬란 찰리코프
- 블라디슬라프 트레티야크
- 세르게이 멜리코프
- 아르투르 타이마조프
- 알렉세이 치데노프
- 안톤 실루아노프
- 알렉세이 듀민
- 키릴 스트레모우소프
- 콘스탄틴 추이첸코
- 타티야나 골리코바
- 자미드 찰라예프
- 드미트리 키셀료프
- 유리 솔로뵤프
- 보리스 카신
- 미하일 프로호로프
- 바기트 알렉페로프
- 단체
- 정부기관
- 국가두마
- 러시아 연방군 정보총국 (GRU)
- 러시아 연방보안국 (FSB)
- 러시아 해외정보국 (SVR)
- 러시아연방중앙은행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 제64근위차량화소총여단
- 러시아 연방군 총참모부 작전총국
- 러시아 연방군 총참모부 조직 및 동원총국
- 러시아 재무부
- 러시아 내무부 체첸 공화국 지부
- 아흐마트 스페츠나츠 (아흐마트 특수신속대응부대)
- 평화와 질서를 위한 구국위원회
- 러시아 학술원
- 러시아 우주연구원
- 부드케르 핵물리학 연구원
- 켈디시 응용수학 연구원
- 레베데프 물리 연구원
- 모스크바 물리기술원
- 에너지 연구원
- 흐리스티아노비치 이론 및 응용 역학 연구원
- 라브렌티예프 유체역학 연구원
- 르자노프 반도체 물리학 연구원
- 란다우 이론물리학 연구원
- 시르쇼프 해양학 연구원
- 카피차 물리 문제 연구원
- 오시피안 고체물리학 연구원
- 분광학 연구원
- 레이저물리학 연구원
- 시스템 프로그래밍 연구원
- 정보문제연구원
- 인공지능연구원
- 시스템개발과학연구소
- 러시아 로켓 및 포병 과학 학술원
- 러시아 국방부 중앙의약품연구소
- 우크라이나 여과 수용소 (SIZO)
- 기업 및 학술기관
노보시비르스크 국립대학교블라디보스토크 국립 경제서비스 대학교모스크바 국립국제관계대학교임마누엘 칸트 발틱 연방대학교- 바우만 모스크바 국립공과대학교
- 모스크바 국립항공대학교
- 쿠르차토프 연구원
- 러시아 국립지질탐사대학교
- 국립 전자기술연구대학
- 모스크바 열기술 연구소
- 전러시아 항공자재연구소
- 폴류스 과학연구소
- 페라이트-도멘 과학연구소
- 스콜코보 과학기술 연구소
- 시베리아 지질학, 지구물리학 및 광물자원 연구소
- 티호미로프 기기설계과학연구소
- 바그너 그룹
- 인터넷 연구소
- 가즈프롬
- 가즈프롬방크
- 러시아 철도
- RT
- 로시야 1
- 채널1
- 로시야 세고드냐
- НТВ
- 로스텍
- GAZ 그룹
- UAZ
- 빔펠 NPO
- 렘디젤
- 루빈
- 아우루스
- 모스크비치
- 볼고그라드 트랙터 공장
- 연합조선공사
- 트랜스마시홀딩
- 아브토바즈
- 쿠즈네초프
- 라보츠킨
- 클리모프
- 베리예프
- 키로프 공장
- 콤소몰스크-나-아무르 항공기 공장
- 수호이
- 일류신
- 야코블레프
- 미그
- 즈베즈다
- 투폴레프
- 로사톰
- Sberbank
- VTB Bank
- 알로사
- 메가폰(통신회사)
- 로모
- 포베다 항공
- 볼가-드네프르 그룹
- 노바텍
- 루크오일
- 로스네프트
- 트랜스네프트
- 프롬스비야즈뱅크
- 로스텔레콤
- 콩코드 매니지먼트 & 컨설팅: 예브게니 프리고진이 소유하던 러시아 회사로 콩코드 케이터링의 모회사이기도 하다.
- 세베르스탈
- 노릴스크 니켈
- Sollers[20]
- FC 아흐마트 그로즈니
- Absolute Championship Akhmat
- 파이트 클럽 아흐마트
- 파켈 실험국
- 레두트: 러시아의 민간군사기업. 이전의 바그너 그룹처럼 전투 대행은 물론 점령지 내 반체제 인사에 대한 체포, 고문, 심문 등을 수행한다. 겐나디 팀첸코의 볼가 그룹 산하로 창설되었으며 GRU의 통제를 받는다.
- 패트리어트 엑스포
- 애국자(민간군사기업)
- 베기셰보 국제공항
- T-Bank
- AlfaBank
- S7 항공
- 세베르스탈
- 에어브리지카고
- 아에로플로트
- 유테이르 항공
- 아주르 항공
- 크리스탈 국립연구소
- TsNIIMash
- 카스퍼스키: 미국 연방통신위원회 및 미국 산업보안국 제재로 CSL에 등재되었다. 러시아 정부 및 FSB와의 유착관계로 미국에서 또는 미국인에게 백신 소프트웨어와 사이버보안 제품·서비스를 판매하는 것을 금지했다.
- 종교 단체
- 범죄 조직
- 보르 브 자코녜: 러시아 레드 마피아 조직.
- 나이트 울브스 모터사이클 클럽: 소련 시절 모스크바에서 락 음악 팬들을 중심으로 창설되어 구소련권에서 활동 중인 러시아의 바이커 갱단. 2014년엔 람잔 카디로프가 이 클럽에 가입할 정도로 체첸 공화국과도 관계가 두터우며 람잔의 연을 타고 블라디미르 푸틴 정부를 지지하거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클럽 멤버들을 모아 의용군을 파견할 정도로 친정부적인 성향 역시 띄고 있다.
- 테러 조직
- 이마라트 캅카스†[A]: 2016년 사실상 해체.
-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 코카서스 주[A]
- 러시아 제국 운동[A]
- 특수 목적 이슬람 연대 (SPIR)[A]: 아르비 바라예프가 이끌었던 모스크바 극장 인질극을 일으킨 체첸 계열 테러 단체이다.
- 이슬람 국제 평화 유지 여단 (IIPB)†[A]
- 리야두스 살리힌 순교자 여단[A]: 베슬란 학교 인질사건을 일으킨 샤밀 바사예프의 체첸 분리주의 및 극단적인 와하비즘 단체.
- 선박
- 딜바르: 알리셰르 우스마노프 소유.
- 로얄 로맨스: 빅토르 메드베드추크가 한때 소유했으나 2021년 판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개시와 함께 우크라이나 정부에 압류되어 현재는 우크라이나 정부 소유로 소유권 이전 절차가 완료되었다.
2.17.1.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 개인
- 데니스 푸실린
- 알렉산드르 호다콥스키
- 알렉산드르 자하르첸코†: 2018년 암살.
- 파벨 구바레프
- 예카테리나 구바레바
- 아르툠 조가
- 알렉세이 디키
- 블라디미르 파쉬코프
- 알렉산드르 아난첸코
- 비탈리 호첸코
- 안드레이 푸르긴
- 블라디미르 코노노프
- 알렉산드르 보로다이
- 단체
2.17.2.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 개인
- 레오니트 파세치니크
- 이고리 플로트니츠키
- 발레리 볼로토프†: 2017년 사망.
- 단체
- 남동군†
- 루간스크 인민공화국[28]
- 국가보안부 (Министерство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й безопасности, МГБ)
2.17.3.
크림 공화국
- 개인
- 단체
2.18.
룩셈부르크
2.19.
르완다
- 개인
- 제임스 카바레베: 르완다 애국전선에서 활동하던 군인이자 현 르완다 법무장관. 애국전선 시절부터 폴 카가메의 최측근으로 꼽히는 인물로 콩고 전쟁 때 신출귀몰한 후방 침투작전으로 로랑 데지레 카빌라의 콩고민주공화국군을 위협한 전적과 앙골라군에 포위된 3천명의 병력을 어떻게든 UNITA 점령지역으로 빼내 앙골라군의 포위공격을 막아내며 2달동안 어떻게든 활주로를 건설하여 그 많은 인원들을 르완다 본국으로 안전하게 빼낸 전력이 있다. 현재는 콩고민주공화국 3월 23일 운동 반군 지원과 콩고 자원의 르완다 반출을 진두지휘한다는 의혹을 강하게 받고 있어 제재되었다.
- 이그나스 무르와나샤카†
- 쥘 무테부치†
- 앤드류 니암붐바: 3월 23일 운동 지원을 지휘하고 있다는 의혹을 받는 르완다군 장성.
- 칼릭스테 음바루시마나: 르완다 학살에 참여했다는 의심이 있는 후투 파워 성향 전직 UN 직원.
- 단체
- 르완다 해방군 (ALiR)†
- 르완다 해방을 위한 민주군 (FDLR)
2.20.
리비아
- 개인
- 카다피 일가
- 단체
2.21.
마셜 제도
케사이 노트: 마셜 제도의 전 대통령. 뇌물 수수 혐의로 제재 대상에 올랐다.
2.22.
마카오
2.23.
말리
- 개인
- 사디오 카마라: 2021년 말리 쿠데타 당시 아시미 고이타를 적극 도운 인물로 현 말리 국방부 장관.
- 알루 보이 디아라: 말리군 공군 참모총장
- 아다마 바가요코: 말리군 공군 부참모총장
- 카림 케이타
- 이야드 아그 갈리[A]: 말리의 투아레그 반란을 이끌고 있는 테러리스트이자 자마트 누스라트 알이슬람 왈무슬리민의 수괴.
- 마흐리 시리 아마르 "요로 울드" 벤 다하[A]
- 탈라 알리비[A]
- 아메드 알틸렘시[A]
- 아마두 쿠파
- 바 아그 무사†
- 단체
- 자마트 누스라트 알이슬람 왈무슬리민[A]
- 안사르 디네†[A]
-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 사헬 주 (IS-SP, IS-GS, 대사하라 주)[A]
- 안사룰 이슬람[A]
- 서아프리카 유일신과 성전 운동 (MOJWA, MUJWA, MUJAO)[A]
2.24.
말레이시아
2.25.
멕시코
외국 마약조직 수괴 지정법에 의해 지정된 멕시코 마약 카르텔 관련자들이 많다.- 개인
- 호아킨 아르치발도 구스만 로에라 (엘 차포)[B]: 2014년 최종 체포되어 현재 수감 중.
- 이스마엘 삼바다 가르시아 (엘 마요)[B]: 2024년 호아킨 구스만 로페스와 함께 체포.
- 오비디오 구스만 로페즈[B]: 시날로아 카르텔의 간부로 마약왕으로 유명한 엘 차포의 아들 중 하나이다. 2022년 체포와 관련하여 대규모 총격전이 일어난 것으로 유명하다. 2023년 체포.
- 호아킨 구스만 로페스[B]: 시날로아 카르텔의 간부로 마약왕으로 유명한 엘 차포의 아들 중 하나이다. 2024년 이스마엘 삼바다 가르시아와 함께 체포.
- 이반 아르치발도 구스만 살라사르 (차피토)[B]: 시날로아 카르텔의 간부로 마약왕으로 유명한 엘 차포의 아들 중 하나이다.
- 벤하민 아레야노 펠릭스[B]: 티후아나 카르텔의 전 두목. 2002년 체포.
- 라몬 아레야노 펠릭스†[B]: 벤하민 아레야노 펠릭스의 동생이자 티후아나 카르텔의 공동 두목. 2002년 암살.
- 프란시스코 하비에르 아레야노 펠릭스[B]: 벤하민 아레야노 펠릭스의 동생이자 티후아나 카르텔의 핵심 인물. 2006년 체포.
- 에두아르도 아레야노 펠릭스[B]: 벤하민 아레야노 펠릭스의 동생이자 티후아나 카르텔의 전 두목. 2008년 체포.
- 에네디나 아레야노 펠릭스[B]: 벤하민 아레야노 펠릭스의 동생이자 티후아나 카르텔의 현 두목.
- 네메시오 오세게라 (엘 멘초)[B]: 할리스코 신세대 카르텔의 두목.
- 안토니오 오세게라 세르반테스[B]
- 카를로스 로살레스 멘도사†[B]: 라 파밀리아 미초아카나 카르텔의 초대 두목. 2015년 고문사한 시신으로 발견.
- 나사리오 모레노 곤잘레스†[B]: 라 파밀리아 미초아카나 카르텔의 2대 두목. 2014년 사살.
- 라파엘 카로 킨테로[B]: 미겔 앙헬 펠릭스 가야르도의 동업자이자 키키 카마레나를 살해한 종범으로 유명한 마약왕. 2022년 체포.
- 비센테 카리요 푸엔테스[B]: 아마도 카리요 푸엔테스의 동생이자 후아레즈 카르텔의 전 두목. 2014년 체포.
- 아르투로 벨트란 레이바†[B]: 벨트란 레이바 카르텔의 초대 두목. 2009년 사살.
- 알프레도 벨트란 레이바 (엘 모초모)[B]: 본의 아니게 벨트란 레이바 카르텔의 창설 원인이 된 인물이기도 하다. 2008년 체포되어 ADX 플로렌스 교도소에 수감되었다.
- 엑토르 벨트란 레이바†[B]
- 에리베르토 라스카노 라스카노 (Z3)†[B]: 로스 세타스의 전 두목. 2012년 사망.
- 호세 로드리고 아레치가 감보아†[B]: 시날로아 카르텔 산하 조직 로스 안트락스의 전 두목. 2020년 가족과 함께 살해당한 채 발견되었다.
- 후안 에스파라고사 모레노 (엘 아술)†[B]
아마도 카리요 푸엔테스†- 오마르 트레비뇨 모랄레스[B]
- 미겔 트레비뇨 모랄레스[B]
- 세르반도 고메스 마르티네스[B]
- 곤살로 인순사 인순사[B]
- 오시엘 카르데나스 기옌[B]
- 안토니오 카르데나스 기옌[B]
- 엑토르 루이스 팔마 살라사르(엘 게로 팔마)[B]
- 헤라르도 알바레스-바스케스[B]
- 아단 아메스콰 콘트레라스[B]
- 헤수스 아메스콰 콘트레라스[B]
- 로베르토 산도발 카스타네다
- 단체
- 과달라하라 카르텔
- 걸프 카르텔[A]
- 라 파밀리아 미초아카나 카르텔[A]
- 라 누에바 파밀리아 미초아카나 카르텔[A]
- 로스 세타스[A]
- 로스 로호스
- 벨트란 레이바 카르텔†: 2017년 사실상 해체.
- 게레로스 우니도스: 벨트란 레이바 카르텔의 하부조직으로 멕시코 아요트시나파 사범대학교 학생 실종 사건을 일으켰다.
- 북동부 카르텔[A]
- 연합 카르텔 (CU, 라 레지스텐시아)[A]
- 시날로아 카르텔[A]
- 티후아나 카르텔
- 할리스코 신세대 카르텔 (CJNG)[A]
- 후아레스 카르텔
2.26.
모로코
- 모로코 이슬람 전투원 조직 (GICM)[A]
2.27.
모잠비크
2.28.
몰도바
- 개인
- 블라디미르 플라호트니우츠: 몰도바 정치인이자 올리가르히로 몰도바 민주당의 전 의장. 몰도바 내부의 여러 부정부패 사건 및 불법 채굴 사건에 연루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2020년 미국에서 페르소나 논 그라타 목록에 오른 후 2020년 미국 국무부에서, 2022년 미국 재무부에서 특별지정인이 되어 제재를 받았다. 유럽연합 역시 몰도바 내에서 있었던 친러 폭동의 배후에 있다고 판단하여 2023년 제재를 가했고 러시아 역시 2019년 그를 자금세탁 및 북아프리카에서 대규모 마약밀매 네트워크를 조직한 혐의로 기소했다. 오갈데 없는 신세가 된 플라호트니우츠는 결국 튀르키예로 도피하여 현재는 각국의 수사를 피해 북키프로스에 머물고 있다고 전해진다.
- 일란 쇼르: 몰도바의 친러 성향 올리가르히. 포퓰리스트 정당 쇼르당을 통해 친러 폭동을 일으켰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쇼르는 부정부패 및 각종 사기 혐의와 정치적 불안 조성을 이유로 2022년 제재 리스트에 올랐다. 영국과 유럽연합 또한 쇼르를 제재했다. 쇼르 본인은 2019년 이스라엘로 도피했으며 2024년 러시아 시민권을 취득했다. 쇼르는 궐석 재판에서 15년형과 자산 몰수형을 선고받았다.
- 마리나 타우버
- 단체
2.29.
몰타
- 콘라드 미치: 몰타의 전 에너지 및 수자원 장관, 관광부 장관으로 파나마 페이퍼스에 이름이 오르는 등 부패 혐의로 제재 리스트에 올랐다.
- 키스 솀브리: 조지프 무스카트의 수석 보좌관으로 부패 혐의 및 파나마 페이퍼스를 수사하던 기자 다프네 카루아나 갈리지아 살인 혐의로 제재 리스트에 올랐다. 2021년 체포되었으나 세 번의 보석 신청 끝에 보석금으로 풀려났다. 2024년 다시 기소되었다.
2.30.
미국
- 글로벌 릴리프 재단†: 미국 일리노이 주에 위치해있던 위장 이슬람 자선 단체로 탈레반 및 알카에다에게 자금 지원을 한 혐의로 강제 폐쇄되었다.
- 성지 구호 및 개발 재단†: 미국 텍사스주 에 위치해있던 이슬람 자선 단체로 하마스에게 자금 지원을 한 혐의로 강제 폐쇄되었다.
- 유대방위연맹 (JDL): 북미 내 유대인들이 메이어 카하네를 중심으로 결성한 단체로 카하네의 또다른 카하네주의 단체 카흐와 연관이 있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받아 왔다. FBI의 통계에 의하면 1980~1985년까지 JDL이 미국 내에서 일으킨 테러 사건이 최소 15건이고 2004년 의회 증언에서도 FBI에 의해 금지된 테러 집단으로 언급되기도 했다.
- HANY VELETANLIC: 불법 총기 수출, 불법 총기 및 소음기 소유로 제재.
- Mission Communications LLC: 미국 현지 경보기 제조사. 이란에 자사 제품 수출한 것이 화근이 되어 제재되었다.
- SPORTS ZONE (MNC GROUP INTERNATIONAL, INC.): 가민(Garmin)을 시리아에 2006년 수출하여 제재.
- SMILEWALLET, LLC: 아르헨티나와 골드파마와 마약 거래에 관여.
2.31.
미얀마
- 개인
- 민 아웅 흘라잉
- 민 슈웨†: 미얀마 부통령 및 2021년~2024년 대통령 권한대행.
- 미야 툰 오오: 현 미얀마 국방장관.
- 타이 자: 미얀마의 사업가로 군인 집안 출신인 점과 아버지가 네윈과 친하다는 배경을 바탕으로 흐투 그룹과 에어 바간[85]을 세웠다. 탄 슈웨와 극진한 사이로 탄 슈웨 정권이 러시아에서 무기를 수입하는 데 큰 도움을 준 국방 브로커이기도 했다. 아웅산 수치 정권 당시에는 조용히 살다가 2021년 미얀마 쿠데타 이후 다시 돌아와 러시아에서 무기를 조달하기 위한 군사 대표단에 합류하였고 이에 대한 보답으로 군사정권에게 팜유 수입권을 받았다. 2016년 아웅산 수치 정부가 들어섬에 따라 버락 오바마 행정부가 미얀마 제재를 종료하며 잠시 제재 리스트에서 제외되었으나, 쿠데타 이후인 2022년 미국 재무부에 의해 두 아들과 함께 다시 SDN에 추가되었다.
- 소 윈: 육군 부원수, 현 미얀마 부총리.
- 틴 아웅 산: 현 미얀마 부총리. 전 미얀마 해군 총사령관.
- 소 툿: 전 미얀마 내무부 장관. 현직 미얀마 육군 중장.
- 테인 소: 미얀마군 전 소장 출신이자 현 연방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
- 레이첼 타이자: 타이 자의 막내딸로 미얀마의 가수 겸 패션 디자이너이다. 2023년 이후 미얀마 군사정권에 재정 지원을 한 혐의로 제재 리스트에 올랐다.
- 티다 오오: 현 법무부 장관.
- 코 코 흘라잉
- 예 윈 오오
- 킨 마웅 스웨: 국가민주군 대표이자 국가행정위원회 위원.
- 캬우 민: 전 보건복지부 장관
- 칫 나잉: 연방정부부처 장관.
- 윈 셰인: 현 재무부 장관.
- 찬 녜인: 전 교육부 장관.
- 흘라 툰: 미얀마 대통령실장이자 전 재무수입부 장관. 미얀마 예비역 소장 출신이기도 하다.
- 마웅 코
- 모 민 툰
- 핀 산
- 아웅 테인 린
- 아웅 린 드웨
- 자우 민
- 예 아웅
- 세인 윈: 전 국방부 장관
- 소 툰
- 틴 나잉 테인
- 소 타
- 소 대니얼
- 테인 뉸트
- 우 타웅
- 마웅 마웅 소
- 장치푸 (쿤사)†[B]: 2007년 사망.
- 소칫투: 카렌 민족군의 수장. 범죄단지를 지원하여 스캠 범죄를 저지른 혐의로 제재되었다.
- 소투에무, 소칫칫: 소칫투의 아들들. 범죄단지를 지원하여 스캠 범죄를 저지른 혐의로 제재되었다.
- 소 민 민 오오: 카렌 국민군 임원이자 전직 국민군 대령으로 KNA의 다양한 돈줄 회사들을 관리하고 있다. 스웨 코코 지역 범죄단지를 지원하여 스캠 범죄를 저지른 혐의로 제재되었다.
- 단체
- 미얀마 국방부 및 미얀마군 (땃머도)
- 미얀마 외환은행
- 연합와주당
- 흐투 그룹
- 카렌 국민군(카렌 민족군): 카인주 등지에서 활동하는 카렌족 군벌. 본래 카렌 민족해방군에서 내분을 겪고 독립한 민주카렌불교도군이 전신으로, 카렌 민족해방군과는 달리 미얀마군과 유착을 이루며 이런 저런 혜택을 받고 부역하며 마약 밀매, 인신매매, 통신사기, 도박 사업, 범죄단지 사업 등에 협조한다. 민주카렌불교도군 시절에는 국경수비대라는 이름으로 미얀마군 밑으로 들어가 있었지만 2024년을 기점으로 다시 미얀마군에서 독립하여 독자 군벌이 되었다. 단 여전히 미얀마군과의 협력은 끊지 않고 있다. 삼합회와 중국 수배범 셔즈장을 도와 범죄단지를 운영하는 등 온갖 범죄 행위에 깊게 엮여 있으며 이로 인해 미국에게 국제 범죄단체로 규정되어 제재를 받게 되었다.
- 연방선거관리위원회
- 카렌 국경수비대
- 미얀마 재향군인회
2.32.
바레인
2.33.
방글라데시
- 개인
- 모하마드 안와르 라티프 칸: 방글라데시 육군 대령이자 국경 경비대 전 사령관으로 방글라데시 경찰 정예 부대인 신속대응대대를 이끌었다. 에크라물 하크 살인사건을 비롯한 요인 암살, 불법 납치, 구금 등을 비롯한 신속대응대대 활동 간 벌어진 각종 인권침해로 인해 미국의 제재 대상이 되었다.
- 차우두리 압둘라 알 마문: 전 경찰청장으로 신속대응대대 활동 간 벌어진 각종 인권침해로 인해 미국의 제재 대상이 되었다.
- 베나지르 아흐메드: 전 경찰청장으로 신속대응대대 활동 간 벌어진 각종 인권침해로 인해 미국의 제재 대상이 되었다.
- 칸 모하마드 아자드: 방글라데시 육군 대령. 신속대응대대 활동 간 벌어진 각종 인권침해로 인해 미국의 제재 대상이 되었다.
- 미프타 웃딘 아메드
- 모하마드 자한기르 알람
- 토파옐 무스타파 소와르
- 단체
- 신속대응대대
- 하르카트 울 지하드 알 이슬라미 방글라데시 (HuJI-B)
- 벵골 주 (IS-BP)
2.34.
베네수엘라
- 개인
- 니콜라스 마두로
- 이사아스 로드리게스†
- 델시 로드리게스: 베네수엘라 부통령.
- 타렉 엘 아이사미: 베네수엘라 전 부통령 및 산업국가생산부, 석유부 장관.
- 블라디미르 파드리노 로페스: 베네수엘라 국방부 장관.
- 파비오 사바르세
- 다리오 비바스
- 에르네스토 비예가스
- 호세 비엘마 모라
- 카르멘 술레타
- 에르난 다리오 벨라스케스
- 라몬 셀레스티노 벨라스케스
- 이리스 바렐라
- 헤수스 수아레스 슈리오
- 타렉 윌리암 사브
- 일리아나 호세파 루차
- 카리슬리아 로드리게스
- 호르헤 헤수스 로드리게스
- 훌리안 이사이아스 로드리게스
- 알렉시스 로드리게스 카베요
- 더글라스 아르놀도 리코
- 호세 리베라 바스타르도
- 세르히오 호세 리베로
- 네스토르 레베롤
- 엔리 랑헬 실바
- 프란시스코 랑헬 고메스
- 마누엘 살바도르 케베도
- 오마르 호세 프리에토
- 카를로스 알베르토 오소리오
- 카롤 파디야 레예스 데 아레투레타
- 루이스 에두아르도 파라 리베로
- 우고 카르바할
- 디오스다도 카베요
- 단체
2.35.
벨기에
2.36.
벨라루스
- 개인
- 루카셴코 일가
- 니콜라이 카르펜코프: 벨라루스 내무부 차관
- 나탈리아 에이스만트: 루카센코의 언론 비서.
- 빅토르 흐레닌
- 단체
2.37.
벨리즈
- 존 살디바: 벨리즈의 정치인으로 사기꾼 레브 데먼으로부터 5만 달러를 뇌물로 수수했다는 부정부패 혐의로 제재 리스트에 올랐다.
2.38.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마린코 차바라: 전 연방 대통령
- 에딘 가차닌: 보스니아 마피아의 두목으로 발칸반도의 마약왕으로 손꼽힌다.
2.38.1.
스릅스카 공화국
- 개인
- 단체
2.39.
북마케도니아
- 개인
- 사쇼 미얄코프: 전 안보 및 방첩행정부장.
- 니콜라 그루예프스키: 전 총리.
- 스테브초 야키모프스키: 마케도니아 시민 옵션의 지도자이자 전 카르포스 시장.
- 단체
2.40.
북한
- 개인
김일성†김정일†김정남†: 김정남 피살 사건으로 사망하면서 지정 해제.- 김정은
- 김여정
- 김수길
- 김정식
- 김경옥†: 2024년 사망.
- 김원홍
- 김철남
- 김철삼
- 김영철
- 리재일
- 리용무
- 박진혁(해커)
- 조경철
- 조용원
- 전일호
- 정경택
- 오극렬†: 2023년 사망.
- 유철우
- 최부일
- 최휘
- 박영식
- 리만건
- 황병서
- 최룡해
- 김기남†
- 단체
2.41.
불가리아
- 개인
- 단체
2.42.
브라질
- 개인
- 알렉상드르 지 모라이스: 브라질 연방대법원 판사. 자이르 보우소나루에 대한 '정치적 박해' 혐의와 브라질인 및 미국인의 기본권 침해 혐의로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에 의해 제재 및 미국 입국이 금지되었다.
- 단체
2.43.
사우디아라비아
- 개인
- 사우드 알카타니: 전 사우드 왕실 고문으로 2018년 해임되기 전까지 무함마드 빈 살만의 고문으로 일하며 빈 살만의 외교정책 및 국내정책에 큰 영향을 미쳤다. 사우디아라비아 언론인 암살 사건를 감독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암살 사건이 전격 보도되자 해임당했다. 카타니는 해외자산관리국으로부터 마그니츠키법에 따라 특별지정을 받아 제재 대상에 올랐다. 튀르키예 역시 자말 카슈끄지 암살 혐의로 카타니에 대해 체포영장을 발부했다.
- 살라 무하마드 알투바이지: 사우디아라비아 언론인 암살 사건의 사우디 암살팀 소속으로 해부 전문가이다. 사우디군 대령 신분이었으며 사우디 법의학 과학 위원회 수장이기도 했다. 자말 카슈끄지 살해 혐의로 일단은 사형선고를 받았지만 카슈끄지 유족들에게 사면받았다.
- 오사마 빈 라덴†: 2011년 사살.
- 함자 빈 라덴†[A]: 오사마 빈 라덴의 아들. 2019년 공습으로 사망.
- 이브라힘 살리흐 모하메드 알야쿱[A]: 사우디의 시아파 테러리스트. 사우디 헤즈볼라(헤즈볼라 알헤자즈)의 멤버로 1996년 코바 타워 자폭테러참사의 범인. 현재 현상수배중이다.
야신 카디: 테러 지원 의혹을 받은 사우디 제다의 억만장자 사업가로 오랜 법정공방 끝에 테러 혐의가 없음으로 판결나 2014년 리스트에서 제외되었다.- 단체
- 신속대응군 (타이거 스쿼드): 사우디군 장교 150여명으로 이루어진 무함마드 빈 살만 휘하 보안 분대로 2017년 사우디아라비아 대숙청과 사우디아라비아 언론인 암살 사건을 일으킨 것으로 유력한 부대이다. 빈 살만의 정적을 제거하기 위한 암살분대의 성격을 띄고 있다.
- 알하라마인 재단[A]: 리야드에 본사를 둔 자선 재단으로 알카에다를 비롯한 지하드 테러리스트들에게 자금을 지원한 혐의로 유엔안전보장이사회 알카에다 제재 위원회에 의해 알카에다 제재 목록에 올랐다.
- 선의의 연합[A]: 50개 이상 이슬람 자선 단체와 기금으로 구성된 포괄적 조직으로, 가자 지구의 하마스 세력에 금전적 지원을 하고 있는 단체이다. 2008년 이스라엘에 의해 가자지구 활동을 금지당했고 미국 재무부에 의해 행정명령 13224호에 따라 특별 지정 테러 단체로 지정되었다.
- 베네볼런스 인터내셔널 재단: 사우디아라비아 제다에 위치해있던 위장 이슬람 자선 단체로 알카에다에게 자금 지원을 한 혐의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와 미국 재무부에 의해 금지되었다.
- 알카에다 두 모스크의 땅 지부 (AQBH)†[A]
-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 사우디아라비아 주[A]
- 사우디 헤즈볼라(헤즈볼라 알헤자즈)
2.44.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2.45.
세르비아
- 개인
-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2006년 옥사.
- 스베토자르 마로비치
- 고란 라도사블례비치: 전직 세르비아 경찰로 특수경찰부대 소속 대테러 팀원이었다. 코소보 전쟁 당시 41명의 알바니아계 민간인을 학살한 쿠쉬카 학살과 라샤크 학살 등 여러 대량학살과 불법 구금, 고문 등 인권침해 사건들에 연관된 혐의로 제재 리스트에 올랐다.
젤리코 라즈나토비치†- 단체
2.46.
소말리아
- 개인
모하메드 파라 아이디드†- 하산 다히르 아웨이스
- 모하메드 사이드 아톰
- 압두카디르 모하메드 압두카디르[A]
- 압시르 "보야" 압딜라히
- 하산 압둘라 헤르시 알투르키†
- 알리 모하메드 게디
- 아흐마드 디리[A]
- 푸아드 칼라프[A]
- 알리 모하메드 라게[A]
- 이세 모하무드 유수프
- 단체
2.47.
수단 공화국
2.48.
수리남
- 데시 바우테르서†: SDN 목록에는 오르지 않았지만 2024년부터 미국 정부에게 입국 금지 등 제재를 당했다. 다만 재재당한 해 연말에 사망.
2.49.
스리랑카
- 개인
샤벤드라 실바: 스리랑카군 육군 대장이자 국방참모총장. 스리랑카 내전 시절 그가 이끌던 58사단이 저지른 타밀 민간인 7만 명을 학살한 등 인권침해 혐의로 미국 입국이 금지되고 제재를 받았다.벨루필라이 프라바카란†- 단체
- 타밀엘람 해방 호랑이 (LTTE)†[A]
- 타밀 재활 기구 (TRO)[A]: 스리랑카 북동부의 타밀 난민들을 위해 세워진 일종의 구호 단체였지만 LTTE에 자금을 조달한다는 혐의를 받아 미국 재무부에 의해 특별 지정 테러 조직으로 지정되어 제재를 당했다.
2.50.
스웨덴
2.51.
스페인
- 개인
- 조수 '테르네라' 우루티코에체아[A]: 전 바스크와 자유(ETA) 멤버로 플라자 레푸블리카 도미니카나 폭탄 테러와 사라고사 막사 폭탄 테러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고 10년간 복역했다. 2002년부터 도피 생활을 시작해서 2006에는 ETA를 탈퇴하고 2013년에는 스페인 정부 측과 노르웨이에서 협상을 통해 ETA 무장해제 및 해체에 기여하였다. 2019년 프랑스 경찰에 다시 체포되어 구금되었다. 2021년 재판에서는 무죄 판결을 받았다.
- 미겔 가리고이츠 아스피아주 루비나[A]: ETA 전 수괴로 2006년 바라하스 국제공항 폭탄 테러로 ETA와 스페인 정부 간 휴전을 깨뜨린 인물. 2008년 프랑스에서 체포되었다.
- 주르단 마르티테기[A]: ETA 전 수괴로 ETA 군사 특공대 지휘관을 맡고 있었으며 굉장히 폭력적인 인물로 알려져 있었다. 2008년 프랑스에서 체포되었다.
- 알레한드로 카오 데 베노스
- 단체
2.52.
슬로바키아
2.53.
시리아
2024년 시리아 반군 공세로 바트주의 시리아가 무너진 후 2025년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측에서 소멸한 바트주의 시리아 정부 측 기관에 대한 제재 대부분을 해제했다.- 개인
- 알아사드 가문
- 바샤르 알아사드
- 아스마 알아사드
- 마헤르 알아사드
- 부슈라 알아사드
- 하페즈 바샤르 알아사드
- 카람 알아사드
- 마날 알아사드
- 사메르 알아사드
- 와심 알아사드
- 주헤이르 알아사드
수헤일 알 하산[116]와심 알 카탄- 조지 하스와니
- 사메르 포즈
- 아메르 포즈
- 하산 포즈
- 자밀 하산: 시리아 공군정보국 국장.
- 무달랄 쿠리
- 히샴 이크티야르
- 마클루프 가문
- 마젠 알 타라지
- 알리 맘루크
- 아크람 알리 무하마드
- 압델파타 쿠드시예
- 모하마드 나시프 케이르벡
아부 무함마드 알줄라니- 단체
바트주의 시리아 정부†시리아 바트당†시리아 아랍군† : 2024년 시리아 반군 공세 결과 바트주의 시리아 정부군 전체가 붕괴하여 사라졌다.시리아 공화국 수비대†공안경찰†- 국방군 (NDF)†: 정규군이 아닌 친정부 민병대 형태의 준군사조직이다. 2024년 시리아 반군 공세로 붕괴.
시리아 항공- 샴 윙즈 항공
시리아 일반정보국†: 2024년 시리아 반군 공세로 붕괴.시리아 정치보안국†: 2024년 시리아 반군 공세로 붕괴.- 샤비하†: 마헤르 알아사드가 이끌던 친아사드 정치깡패 집단. 시리아 내전이 고착화되면서 사실상 해체.
- 세드나야 교도소† : 인간 도축장이라는 별명이 붙은 시리아의 대표적인 정치범수용소로 매주 또는 격주마다 수십 명이 처형당하는 곳이었다. 수감부터 사형에 이르기 까지 바샤르 알아사드의 승인이 뒤따랐다. 2024년 시리아 반군 공세로 함락되었다.
시리아텔시리아 관광부†: 2024년 시리아 반군 공세로 붕괴. 시리아 내전을 겪고 있음에도 외국인들에게 시리아를 안전한 곳으로 홍보하는 것으로 악명이 높았다.- 알누스라 전선†[A]
- 하야트 타흐리르 알샴 (HTS)†[A]: 바트주의 시리아 정부 붕괴 이후 테러조직 지정 및 제재 취소가 논의되고 있다. 2025년 1월 29일 아흐메드 알샤라 임시대통령의 승리 선언으로 해체되고 병력은 신 시리아군으로 흡수되었다.
- 카티바트 알타위드 왈지하드 (KTJ)[A]
- 알 아바스 여단 (리와 아부 알파달 알아바스 여단)†
- 하라카트 샴 알이슬람 (안사르 알 딘 전선)[A]
- 리와 파테미욘 (FD)
- 후라스 알딘†[A]
- 준드 알아크사†[A]
- 리와 알 무하지린 왈 안사르 (LMA, 자이시 알 무하지린 왈 안사르)†
- 리와 알자이나비윤: 재이란 시아파 파키스탄인으로 구성된 시리아의 민병대.
라타키아 항구 일반회사타르투스 항구 일반회사
2.54.
시에라리온
2.55.
아르헨티나
2.56.
아이티
- 개인
- 지미 셰리지에
- 미셸 마르텔리: 가수 출신 전 대통령. 아이티를 마약 중간 기착지로 만들어 마약 밀매 환경을 조성했다는 이유로 2024년 제재 대상에 올랐다. 캐나다의 쥐스탱 트뤼도 행정부 역시 무장 범죄조직의 불법 활동을 보호하고 가능하게 한 혐의로 마르텔리를 제재 리스트에 올렸다.
- 로니 셀레스탱
- 존송 "이조" 앙드레: 미국 시민을 납치한 혐의로 수배된 5 세공(Segond) 갱단의 두목.
- 가리 보도
- 뤽송 엘랑: 갱단 그랑 그리프의 두목.
- 르넬 데스티나: 갱단 그랑 라빈(Gran Ravine)의 두목.
- 비텔롬므 이노상: 갱단 Kraze Barye의 리더. 2021년 다른 갱단인 400 Mawozo와 함께 생후 8개월 가량의 아동 8명을 포함, 총 17명의 선교사를 납치하였고 몸값을 요구하였다. 또한, 2022년에는 아이티에서 미국인 1명을 납치하던 중 살해하였다. 인질 납치, 인질 납치 미수, 살인, 살인 미수의 혐의로 기소되었고, 현상금은 200만 달러이다.
- 프로페인 빅토르
- 유리 라토르튀
- 조세프 랑베르
- 단체
- G9 혁명군(Fòs Revolisyonè G9 an Fanmi e Alye)[A]: 지미 셰리지에가 이끄는 갱스터 연합.
- 비브 앙상(Viv Ansanm)[A]: 지미 셰리지에가 이끄는 아이티 갱스터 연합. 지미 셰리지에의 G9 혁명군(Fòs Revolisyonè G9 an Fanmi e Alye)과 경쟁 관계에 놓여 있던 그뻽(G-Pép)이 합쳐져 생긴 거대 갱 연합체 겸 자칭 정치집단이다.
- 그랑 그리프[A]: 아이티 아르티보니트 주에서 가장 큰 세력을 가진 갱스터 집단으로 2025년 2월 케냐에서 파견된 MSS 요원을 살해하는 데에도 가담했다.
2.57.
아일랜드
2.58.
아프가니스탄
- 개인
- 주마 칸[B]: 아프간의 발루치인 마약왕이자 군벌.
- 무함마드 물라 오마르†[A]: 2013년 도피 중 병사.
- 시라주딘 하카니[A]
- 굴부딘 헤크마티아르
- 바시르 누르자이[B]
- 단체
- 탈레반[A]
- 하카니 네트워크[A]
- 호라산 이슬람 국가[A]
- 움마 타미르 에 나우 (UTN)
- 카티바트 알 이맘 알 부하리[A]
- 하르카트 울 지하드 알 이슬라미[A]
- 알 와파 알 이가타 알 이슬라미야[A]: 아프가니스탄 와지르 아크바르 칸에 본부를 둔 이슬람 자선 재단으로 탈레반, 알카에다를 비롯한 지하드 테러리스트들에게 자금을 지원한 혐의로 행정명령 13224호에 등재되었고 미국 국무부 제재대상이 되었다.
- 나지르 사령관 그룹 (CNG)[A]
- 자마트 알 다와 일라 알 쿠란 왈 순나 (JDQS, 살라피 그룹)[A]
- 주마 칸의 황금의 초승달 지대 마약 카르텔
2.59.
알바니아
2.60.
알제리
- 개인
- 단체
- 살라피스트 설교전투그룹 (GSPC)[A]
- 알 무라비툰†[A]
- 무장 이슬람 조직 (GIA)[A]
- 서아프리카 유일신과 성전 운동 (MOJWA)[A]
- 알카에다 이슬람 마그레브 지부 (AQIM)[A]
- 준드 알칼리파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 알제리 주)†[A]
2.61.
앙골라
- 개인
조나스 사빔비†: 2002년 사살당한 이후 해제.- 레오폴디누 프라고수 두 나시멘투: 조제 에두아르두 두스 산투스 대통령 당시 앙골라 대통령실 소통 담당자였으며 앙골라에서 손꼽히는 대기업인 코찬 그룹의 이사회장이었다. 수십억 달러를 횡령한 혐의로 코찬 그룹의 두 계열사와 함께 2021년 미국 재무부에 의해 제재 리스트에 올랐다.
- 엘데르 비에이라 디아스
- 단체
앙골라 완전독립 민족동맹 (UNITA): 앙골라 내전 종식 이후 해제.
2.62.
에리트레아
- 개인
- 아브라하 카싸: 에리트레아군 준장이자 에리트리아 국가안보국 국장.
- 필리포스 월데요하너스
- 단체
2.63.
에콰도르
2.64.
엘살바도르
- 개인
- 마우리시오 푸네스†: 엘살바도르의 전 대통령. 대규모 돈세탁 혐의와 2012년 엘살바도르 갱단 일시 휴전 당시 MS-13과 18번가 갱이 휴전하는 대가로 양측 갱단 간부들에게 온갖 특혜와 뇌물을 제공한 혐의로 제재 리스트에 올랐다.
- 살바도르 산체스 세렌: 엘살바도르의 전 부통령. 푸네스와 마찬가지로 대규모 돈세탁 혐의로 제재 리스트에 올랐다.
- 단체
2.65.
영국
- 개인
- 단체
- 신 아일랜드 공화국군 (New IRA)[A]
- 아일랜드 공화국군 연속파 (CIRA)[A]
- 아일랜드 공화국군 진정파 (RIRA)
- 얼스터 방위 협회 및 얼스터 자유 투사 (UDA/UFF)[A]: 북아일랜드의 친영국 충성파 민병대이자 테러조직. 아일랜드 마피아와의 마약거래와도 연관되어 있다.
- 주황 의용군 (OV)[A]: 북아일랜드의 친영국 충성파 민병대이자 테러조직.
- 붉은 손 방위대 (RHD)[A]: 북아일랜드의 친영국 충성파 민병대이자 테러조직.
- 충성파 의용군 (LVF)[A]: 북아일랜드의 친영국 충성파 민병대이자 테러조직.
- 인터팔: 런던에 소재한 팔레스타인 지원 단체. 하마스에 금전, 물적 지원을 한다는 의혹이 있다.
- Natural Gifts BV, Erjm Limited: 그림이 마약 판매에 사용한 기업.
2.66.
예멘
- 개인
- 압둘 마지드 알 진다니†[A]: 예멘 이만 대학교 창립자이자 정치인, 수니파 이슬람학자. 알카에다와 하마스에 금전지원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후티가 2014년 수도 사나를 점령하자 예멘에서 탈출하여 사우디로 행했으나 2017년부터 가택연금에 들어갔다.[156] 2020년 튀르키예로 이주하여 2024년 사망.
- 안와르 알 아울라키†[A]: 전 알카에다 지도자. 2011년 미군의 드론 공격으로 사망
- 압둘 말리크 알후티[A]
- 알리 압둘라 살레†
- 아메드 살레: 알리 압둘라 살레 전 대통령의 아들. 국민전체회의에서 활동하고 있다.
- 람지 빈 알시브[A]
- 단체
2.67.
온두라스
2.68.
요르단
2.69.
우간다
- 개인
- 아벨 칸디호: 우간다군 합동참모총장으로 우간다군의 아프리카 각지 개입 시 일어난 인권침해로 인해 미국의 제재 대상이 되었다.
- 칼레 카이후라
- 존슨 뱌바샤이자
- 무사 발루쿠[A]: 반군이자 테러조직인 연합민주군(ADF)의 수괴.
- 조지프 코니[A]: 반군이자 테러조직인 신의 저항군(LRA)의 수괴.
- 단체
2.70.
우즈베키스탄
- 개인
- 굴나라 카리모바: 우즈벡의 거물 사업가로 이슬람 카리모프의 딸. 이슬람 카리모프와의 갈등으로 2013년부터 가택연금을 탕하여 감시를 받고 있다.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가 정권을 물려받은 이후에도 유효하며 2019년에는 가택연금 수칙 위반으로 감옥에 수감, 2020년 돈세탁 등 기타 부패 혐의로 13년이 추가되었다.
- 나즈미딘 잘롤로프[A]
- 단체
- 우즈베키스탄 이슬람 운동 (IMU)[A]
- 이슬람 지하드 연합 (IJU)[A]
2.71.
우크라이나
- 개인
- 빅토르 야누코비치
- 미콜라 아자로우
- 빅토르 메드베드추크
- 콘스탄틴 쿨릭: 우크라이나의 전 검사로 헌터 바이든 관련 문서 작성에 관여했으며 루디 줄리아니가 2019년 그를 만나 조 바이든과 관련된 의혹을 논의할 계획이었으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정부가 새로 임명한 검찰총장 루슬란 리아보샤프카에 의해 해임당하고 미국 정부로부터 제재 대상이 되었다. 이전부터 우크라이나 검찰에 의해 부패 혐의로 여러 차례 기소되었고 2023년 11월에는 우크라이나 검찰에 의해 반역죄로 기소당했다.
- 단체
- 구국위원회
아조우 여단: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당시 2022년 통합 예산법에 따라 무기 지원이 제한된 적이 있다. 2024년 미국 국무부에 의해 해제되었다.
2.72.
이라크
- 개인
- 후세인 알티크리티 일가
- 사담 후세인†: 2003년 이라크 전쟁 당시 체포되어 2006년 사형.
- 사지다 탈파
- 우다이 후세인†: 2003년 이라크 전쟁 당시 사살.
- 쿠사이 후세인†: 2003년 이라크 전쟁 당시 사살.
- 라그하드 후세인
- 라나 후세인
- 할라 후세인
- 알리 후세인
- 알리 하산 알 마지드†: 2003년 이라크 전쟁 당시 체포되어 2010년 사형.
- 바르잔 이브라힘 알 티크리티†: 2003년 이라크 전쟁 당시 체포되어 2007년 사형.
- 후세인 카멜†: 1996년 암살.
- 타리크 아지즈†: 2003년 이라크 전쟁 당시 체포되어 2015년 옥사.
- 아비드 하미드 마흐무드†: 2003년 이라크 전쟁 당시 체포되어 2012년 사형.
- 타하 야신 라마단†: 2003년 이라크 전쟁 당시 체포되어 2007년 사형.
- 압둘 바키 알 사둔†: 2015년 체포되어 2021년 옥사.
- 이자트 이브라힘 알 두리†: 2020년 사망.
- 아야드 푸타이 알 라위†: 2003년 체포되어 2018년 옥사.
- 마흐무드 디얍
- 후다 살레 마흐디 암마쉬†: 2016년 사망.
- 팔리흐 알 파야드: 인민동원군 의장이자 전 국가안보 고문.
- 아부 바크르 알 바그다디†[A]: 2019년 사살.
- 아부 이브라힘 알하셰미 알쿠라시†[A]: 2022년 사살.
- 카이스 카잘리[A]
- 아흐메드 압둘라 알주부리
- 아크람 알카비
- 아부 마흐디 알무한디스†: 카타이브 헤즈볼라 민병대 부사령관. 2020년 바그다드 국제공항 공습으로 사망.
- 아부 무스타파 알셰이바니
- 단체
바트주의 이라크 정부†- 유일신과 성전 (알카에다 이라크 지부, 알카에다 두 강의 땅 지부)†[A]: 2006년 해체.
- 이라크 이슬람 국가 (ISI)†[A]
- 이라크 이슬람 저항군
- 카타이브 헤즈볼라 (KH)[A]
- 하라카트 헤즈볼라 알누자바 (HAN)[A]
- 카타이브 사예드 알슈하다 (KSS)[A]
- 아사이브 아흘 알-하크 (AAH, 카잘리 네트워크)[A]
- 하라카트 안사르 알라 알아우피야[A]
- 카타이브 알이맘 알리[A]
- 알카에다 쿠르디스탄 여단[A]
- 낙쉬반디 기사단군[A]
- 안사르 알 이슬람[A]
- 쿠르디스탄 자유 생명당 (PJAK)
- 알자우라 TV†
2.73.
이란
- 개인
- 알리 하메네이
- 모즈타바 하메네이
- 가셈 솔레이마니†: 전 쿠드스군 사령관. 2020년 바그다드 국제공항 공습으로 사망.
- 에브라힘 라이시†: 이란 전 대통령. 2024년 이란 대통령 헬기 추락 사고로 사망.
- 모하마드 바게리†: 전 이란군 총참모장. 2025년 6월 이스라엘의 이란 공습으로 사망.
- 호세인 살라미†: 전 이슬람 혁명 수비대 총사령관. 2025년 6월 이스라엘의 이란 공습으로 사망.
- 골람 알리 라시드†: 전 이슬람 혁명 수비대 부사령관. 2025년 6월 이스라엘의 이란 공습으로 사망.
- 모하마드 팍푸르: 현 이슬람 혁명 수비대 총사령관.
- 압둘라힘 무사비: 현 이란군 총참모장.
- 에스마일 카니†: 전 쿠드스군 사령관. 2025년 6월 이스라엘의 이란 공습으로 사망.
- 골람레자 솔레이마니: 현 바시즈 사령관.
- 모하마드 알리 자파리: 전 이슬람 혁명 수비대 총사령관
- 마무드 아마디네자드
- 모하마드자바드 자리프: 전 외무장관.
- 아미르알리 하지자데흐†: 전 이슬람 혁명 수비대 항공우주군 사령관. 우크라이나 국제항공 752편 격추 사건에 유력한 책임이 있는 자였다. 2025년 6월 이스라엘의 이란 공습으로 사망.
- 모하마드자바드 아자리 자흐로미
- 아볼가셈 살라바티
- 모하마드 레자 자헤디†: 이스라엘의 주시리아 이란영사관 공습으로 사망.
- 모센 레자이
- 모하마드 모흐베르
- 페레이둔 압바시†: 핵물리학자. 2025년 6월 이스라엘의 이란 공습으로 사망.
- 알리 샴카니†: 전직 이란 해군 장교이자 라흐바르의 정치고문. 2025년 6월 이스라엘의 이란 공습으로 사망.
- 아흐마드레자 라단
- 사이드 라지 무사비†
- 사이드 이자디†
- 골람호세인 게이파르바르†
- 골람호세인 모흐세니에제이
- 호세인 타엡
- 아지즈 나시르자데: 현 이란군 참모총장. 미국은 이란군 참모총장이 누구든 간에 그 직함을 SDN에 등재함으로써 제재한다.
모하마드 메흐디 테흐란치†하산 사야드 호다에이†- 단체
- 이란 공군
- 이슬람 혁명 수비대[A]
- 이슬람 혁명 수비대 육군
- 이슬람 혁명 수비대 해군
- 이슬람 혁명 수비대 항공우주군[A]
- 이슬람 혁명 수비대 핵사령부
- 바시즈[A]
- 쿠드스군[A]
- 이슬람 혁명 수비대 정보기관
- 이란 방송
- 이란항공
- 마한항공
- 이란 정보부 (VAJA)
- 이란 이슬람 공화국 경찰 사령부 (이란 경찰)
- 사이버 경찰
- 도덕경찰
- 경찰특수부대
- 에빈 교도소: 테헤란에 있는 교도소 겸 정치범수용소. 팔라비 왕조 시기에 세워진 뒤 이란 이슬람 혁명 이후에도 정치범과 양심수를 수감 및 처형하는 시설로 운영 중이다. 이외에도 이란의 수많은 감옥과 정치범수용소들이 제재 대상에 올라 있다.
- 이스파한 중앙 교도소
- 카리자크 구금센터
- 카르차크 교도소
- 바킬라바드 교도소
- 파샤푸예 교도소
- 고하르다쉬트 교도소
- 준달라†
- 자이쉬 울 아들[A]: 준달라의 후신격인 발루치인 독립 단체를 표방하는 테러조직.
- ZTE 파르시: ZTE의 이란 주재 법인으로 제재가 해제된 본사와 달리 여전히 CSL에 올라가 있다.
- 파르스 페트로차이나: CSL에 등재되지 않은 본사와는 달리 이란 지부는 CSL에 등재되었다.
- 이란 석유부
- 이란 항공산업기구
- 이란 항공기산업 (사하)
- 카스피안 항공
- 메라즈 항공
- 이란 우주연구센터
- 파르스 통신사
- 타스님 통신사
2.74.
이스라엘
- 개인
벤 지온 고프스타인: 이타마르 벤그비르와 연관이 깊은, 레하바를 이끌고 있는 카하네주의 및 반기독교 활동가. 바루흐 골드슈테인이 1997년 헤브론에서 무슬림 순례객을 학살한 헤브론 학살을 칭찬할 정도의 강경파이다. 2025년 해제.- 단 게르틀러: 콩고민주공화국에서 다양한 자원 회사에 투자하고 있는 억만장자 사업가로 조제프 카빌라와 친밀하다. 사업 관련한 인권침해 혐의로 제재 리스트에 올랐다.
- 이호르 콜로모이스키: 우크라이나 내부 대표적인 올리가르히로 꼽히는 인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가 출연한 것으로 유명한 인민의 종을 방영한 1+1 채널 소유주이다. 집권 초기 젤렌스키가 콜로모이스키에게 조종당하는 게 아닌가 하는 의혹이 있었을 정도로 거물 인사이지만 이후 젤렌스키와 사이가 틀어져 2022년 국적이 박탈당했다. 따라서 우크라이나에서 활동하지만 우크라이나 국적은 없으며 이스라엘과 키프로스 국적만 있다. 2023년 자금 세탁 및 사기 혐의로 우크라이나 보안국에 체포되었고 2024년에는 살인 청부, 2025년에는 국가 반역 및 테러조직 지원 혐의로 추가 기소되었다.
- 단체
- 카흐 (카하네 하이)†[A]: 카하네주의를 창시한 뉴욕 브루클린 출신 랍비 메이어 카하네가 창당한 정당. 카하네와 같은 극우 미국계 및 소련계 이스라엘인이 많았던 정착촌 지역들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 대놓고 인종차별을 주장하는 과격한 성향 및 1992년 예루살렘에서 있었던 정육점 수류탄 테러에 대해 두 분파 모두 지지를 보낸 것 때문에 둘 다 1992년 선거 출마 금지를 당했다. 이에 일부 과격 분파가 시카리라는 무장 테러단체를 또 창설해서 좌파 정치인들에게 테러를 행했다. 1994년 헤브론 학살의 주범인 테러리스트 바루흐 골드슈테인이 이 카흐의 지지자였고, 카흐가 골드스타인의 행위를 지지하는 성명을 낸 것 때문에 반테러법에 따라 불법 정당이 되어 1994년 이스라엘에서 활동이 전면 금지되었다. 이츠하크 라빈을 암살한 이갈 아미르 역시 카흐 및 카하네 하이와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타마르 벤그비르를 비롯한 2020년대 이스라엘의 극우 무브먼트를 이끄는 상당수가 카흐 추종자 출신이며 오츠마 예후디 역시 카흐와 관련된 당이다.
- NSO 그룹
정착촌: 2024년 2월 바이든 행정부의 조치로 요르단 서안 지구에서 팔레스타인인에 대한 폭력을 가한 혐의로 정착촌 운동을 주도하는 극우 정착민 개인과 단체 여러 개에 제재를 가하고, 이들의 미국 자산을 동결하고, 미국 기관과 개인이 이들과 상업적 관계를 맺는 것이 금지되었다. 2025년 1월 21일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제재가 해제되었다. #레하바: 오츠마 예후디와 연관이 깊은 이스라엘의 카하네주의 단체로 반기독교 활동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타마르 벤그비르가 활동하고 있다. 2025년 해제.차브 9: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당시 가족이 하마스, 팔레스타인 이슬람 투쟁 운동 등에 인질로 잡힌 피해자들과 가족이 살해당한 유족들을 중심으로 정착촌 주민들, 예비군 출신들이 모여 만든 테러조직. 가자 지구에 대한 모든 인도적 지원에 대해 반대하며 가자 지구로 향하는 구호 행렬에 방화 등 테러를 가하고 있으며 이스라엘군과 경찰까지 공격하고 있다. 이타마르 벤그비르 및 베잘렐 스모트리히와 같은 극우 인사들에게 지원을 받고 있다. 2025년 해제.
2.75.
이집트
- 개인
- 단체
- 이집트 이슬람 지하드†[A]
- HASM 운동 (이집트 무장 운동, 하라카트 사와드 미스르)[A]
- 리와 알 타우라[A]
- 무하마드 자말 네트워크[A]
- 이집트의 군인들 (아즈나드 미스르)†[A]: 안사르 바이트 알마크디스에서 분리된 조직으로, 이집트군이 아니라 별개의 이슬람 극단주의 단체이다.
- 안사르 바이트 알마크디스†
-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 시나이 주†[A]
2.76.
이탈리아
- 개인
- 주세페 델'아퀼라: 카모라 분파 세컨딜리아노 동맹의 일원.
- 미켈레 자가리아: 카모라 분파 카살레시 클랜의 전 두목. 2011년 체포.
- 프란체스코 스키아보네: 카모라 분파 카살레시 클랜의 전 두목. 1993년 체포.
- 프란체스코 비도녜티: 카모라 분파 카살레시 클랜의 핵심 간부.
- 니콜라 파나로: 카모라 분파 카살레시 클랜의 전 멤버. 2010년 체포.
- 안토니오 이오비네: 카모라 분파 카살레시 클랜의 전 두목. 2010년 체포.
- 마리오 카테리노: 카모라 분파 카살레시 클랜의 전 멤버. 2011년 체포.
- 파올로 디 라우로: 카모라 분파 디 라우로 클랜의 전 두목. 2005년 체포.
- 마르코 디 라우로: 카모라 분파 디 라우로 클랜의 전 멤버. 2019년 체포.
- 프란체스카 알바네제: 유엔 팔레스타인 인권 특별보고관. 2025년 6월 작성한 보고서를 발표하며, 가자 지구에서의 대량 학살이 여러 기업에 수익성이 좋기 때문에 지속되고 있으며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 아마존 등 48개 기업이 국제법을 위반하여 이스라엘 정착촌의 팔레스타인 이주를 돕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트럼프 행정부 산하 미국 재무부는 행정명령 14203호에 따라 모든 미국인과 기업이 그녀와 거래하는 것을 금지하는 제재를 가했다.
- 단체
2.77.
인도
- 개인
- 다우드 이브라힘[B]: 거물 인도 마피아 조직인 D-컴퍼니 두목으로 파키스탄 계열 테러리스트들과 연관된 인물.
- 초타 샤킬[B]: 인도 마피아로 D-컴퍼니의 주요 간부.
- 타이거 메몬[B]: 인도 마피아로 D-컴퍼니의 전직 간부이자 마약 밀수범, 테러리스트. 1993년 뭄바이 연쇄 폭탄 테러에 큰 책임이 있다.
- 아심 우마르[A]
- 이크발 미르히[B]
- 단체
2.78.
인도네시아
- 개인
- 아민 압둘라흐만[A]: 자마 안샤루트 다울라 소속 사이비 성직자.
- 모하마드 아흐완[A]: 자마 안샤루트 타우히드의 자칭 에미르.
산토소†[A]: 동인도네시아 무자헤딘의 수괴. 2016년 사살.- 단체
- 제마 이슬라미야 (JI)†[A]: 2002년 발리 폭탄 테러의 주범. 2024년 해체 선언.
- 자마 안샤루트 다울라 (JAD)[A]
- 자마 안샤루트 타우히드 (JAT)†[A]
- 동인도네시아 무자헤딘 (무자히딘 인도네시아 티무르, MIT)†
- 마젤리스 무자헤딘 인도네시아 (MMI, 인도네시아 무자헤딘 회의)[A]
2.79.
일본
- 개인
- 시노다 겐이치: 야마구치구미 6대 조장.
- 타카야마 키요시: 야마구치구미 와카가시라이자 고도카이 핵심 인물.
- 하시모토 히로후미(강홍문): 야마구치구미의 전 총괄위원장.
- 이리에 타다시: 야마구치구미의 6대 총본부장.
- 노무라 사토루: 쿠도카이의 총재. 2014년 체포. 야쿠자 회장 중 최초로 사형을 선고받은 인물로 유명하며 2024년 무기징역으로 감형되었다.
- 다노우에 후미오: 쿠도카이의 회장. 2014년 체포. 무기징역을 선고받았다.
- 니시구치 시게오†: 스미요시카이의 6대 회장. 2017년 사망.
- 후쿠다 하레아키: 스미요시카이의 7대 회장.
- 키요타 지로(신병규): 이나가와카이의 5대 회장이자 현 총재.
- 우치보리 카즈야: 이나가와카이의 6대 회장.
- 타케우치 테루아키: 고도카이의 3대 회장. 야마구치구미의 7대 회장으로 유력하게 꼽히는 인물이다.
- 이노우에 구니오: 고베 야마구치구미의 회장.
- 모리오 우타오: 야마키 K.K.의 전 CEO. 야마구치구미의 간부이다.
- 츠다 치키라: 야마키 K.K.의 현 CEO. 야마구치구미의 간부이다.
- 타카기 야스오: 토요신요지츠교 K.K.의 현 CEO. 야마구치구미의 간부이다.
- 미츠야스 카츠아키: 토요신요지츠교 K.K.의 전 CEO. 야마구치구미의 간부이다.
- 고토 타다마사: 고토구미의 전 조장.
- 이케다 타카시(김효지): 이케다구미의 조장이자 고베 야마구치구미의 샤테이카시라.
- 단체
2.80.
조지아
2.81.
중국
- 개인
- 천취안궈: 중국 공산당 제19차 정치국 위원
- 장춘셴: 중국공산당 제18차 정치국 위원
- 왕천: 중국공산당 제19차 정치국 위원
- 장샤오밍: 전 국무원 홍콩마카오사무처 부처장
- 여우콴: 전 중국공산당 통일전선 부장
- 리상푸: 전 국무위원 겸 국방부 장관
- 차이다펑: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부위원장
- 차오젠밍: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전 부위원장
- 첸주: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전 부위원장
- 파드마 초링: 전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부의장
- 딩중리: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부위원장
- 하오밍진: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부위원장
- 아르켄 이미르바키: 전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부의장
- 지빙쉬안: 전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부위원장
- 셴웨웨: 전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부위원장
- 완어샹: 전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부위원장
- 왕동밍: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부위원장
- 우웨이화: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부위원장
- 주하이룬: 신장 위구르 자치구 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전 부위원장
- 왕밍산: 신장 위구르 자치구 정법위원회 서기
- 훠류준: 신장 위구르 자치구 공안부 전 공산당 서기
- 에르킨 투냐즈: 신장 위구르 자치구 주석 및 중국공산당 신장 위원회 부서기.
- 탄톈유: 중국과학원 자동화 연구소 교수이자 홍콩 연락사무소 부국장.
- 쇼흐라트 자키르
- 쑨진롱
- 쑨칭예
- 정옌슝
- 뤄휘닝
- 왕쥔정
- 우잉제
- 자오웨이[B]: 골든 트라이앵글 지역에서 킹스 로만스 카지노를 운영하는 중국인 카지노 사업가이자 마약밀수범.
- 단체
- 킹스 로만스 그룹
- 신장생산건설병단
- DJI
- 중국광핵집단
- 중국교통건설
- 중국남방공업
- 중국북방공업
- 중국병기장비집단
- 중국선박집단
- 중국위성통신
- 중국발사체기술연구원
- 중국철도건설
- 중국항공공업집단
- 중국항천과기집단공사
- 중국핵공업집단
- 중국중차
- 차이나모바일
- 차이나유니콤
- 차이나텔레콤
- 화웨이
- 센스타임
ZTE- 중화인민공화국 공안부 신장 위구르 자치구 공안청
- 인스퍼(INSPUR) : 최근 카카오사에서 이 회사 서버 도입 논란이 있었다.
- 튀르키스탄 이슬람당 (TIP)[A]
- SMIC
- 시안항공공업
- 하이크비전
- 하이테라
- 다화 테크놀로지: 과거 NHN이 24시간 CCTV 턴키솔루션에 이 회사 CCTV를 수입, 설치했던 흑역사가 있다. 이로 인해 해당 솔루션인 토스트캠도 사실상 접어버리는데 한몫한 것은 덤.
2.82.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프랑수아 보지제
- 미셸 조토디아
- 비 시디 술레이만†: 수천명의 사람을 고문, 강간, 강제이주한 것에 책임이 있는 군벌 집단 귀환, 회복, 재활(3R)의 수괴였던 인물로 2021년 기습을 당한 부상이 악화되어 사망.
- 압둘라예 이센: 전직 군벌로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재탄생을 위한 인민전선(FPRC)를 이끌었다. 미셸 조토디아 시절엔 잠깐 무기를 내려놓고 스포츠 및 청소년부 장관을 역임하기도 했지만 2015년부터 부하들을 시켜 무슬림들을 죽이라고 명령하거나 국민투표에 참여한 사람들을 학살하는 등 많은 전쟁범죄 사항에 연루되어 있어 제재를 받았다. 2023년 방기에서 체포되어 전쟁 범죄 및 반인륜 범죄로 기소되어 현재 재판 중에 있다.
- 하룬 게이: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재탄생을 위한 인민전선(FPRC) 소속 군벌. 이센과 마찬가지로 전쟁범죄 혐의에 연루되어 제재받았다.
- 알프레드 예카톰
- 우마르 유누스†
- 마하마트 살레
- 막심 모콤
- 외젠 응가이코세
2.83.
짐바브웨
로버트 무가베†: 2019년 사망. 2024년 바이든 정부가 지정 해제.그레이스 무가베: 2024년 바이든 정부가 지정 해제.- 에머슨 음낭가과
- 오파 무칭구리: 로버트 무가베 시절부터 일한 짐바브웨 아프리카 국민연합 - 애국전선 소속 정치인으로 국방부 장관이다. 2003년 미국 제재 목록에 등재되었다. 기존 국제 마그니츠키법에 따라 지정되었던 대부분의 무가베 정부 시절 인사들이 2024년 바이든 행정부에 의해 제제 리스트에서 지정 해제되었지만 무칭구리를 비롯한 11명은 지정이 갱신되어 아직도 리스트에 올라 있다.
오버트 음포푸: 2024년 바이든 정부가 지정 해제.- 오언 은쿠베
조이스 무주루: 2024년 바이든 정부가 지정 해제.- 고드윈 마탕가
어거스틴 치후리: 2024년 바이든 정부가 지정 해제.'- 쿠다콰셰 타그위레이
2.84.
카자흐스탄
2.85.
캄보디아
- 개인
- 리용팟: 중국계 캄보디아인 사업가이자 상원의원. 훈 센의 개인 고문이며 아동노동, 캄보디아 범죄단지 운영 등 인권침해 혐의로 제재받았다.
- 테아 빈: 캄보디아 해군 사령관.
- 힝 분 히엥: 캄보디아 총리 경비대 사령관.
- 셔즈장: 중국계 귀화 캄보디아인 사업가이자 범죄자. 2014년 산둥성에서 불법 복권 사업으로 유죄 판결을 받고 오랫동안 쫓겨 온 현상수배범으로, 2022년 태국 경찰에게 체포될 때까지 도피 생활을 이어 왔다. 훈 센 정권과 미얀마군, 마카오 삼합회의 도움을 받아 캄보디아와 미얀마에서 대규모 사이버 스캠 범죄단지를 운영했다.
- 동러청(董勒成): 중국계 귀화 캄보디아인 사업가. 시아누크빌의 가상화폐 사기와 관련된 온갖 부동산 개발 투자에 관여하였고 진쉬(Jinsui) 범죄단지를 운영했다. 훈 센 총리가 2018년 유엔 총회에 갈 때 호화 전용기를 제공할 정도로 최측근 중 한 명이다.
- 쉬아이민(徐爱民): 중국계 귀화 캄보디아인 사업가. 캄보디아인 사업가 리시 삼낭(Rithy Samnang)과 함께 카이보 호텔(Kaibo Hotel)을 운영하며 그 안에 스캠 범죄단지를 같이 가동했다. 캄보디아로 이주하기 전 2013년 중국 본토에서 수십억 달러 규모의 불법 온라인 도박 조직을 운영한 혐의로 10년형을 선고받았고, 홍콩에서도 은행을 통해 4,600만 달러의 자금을 세탁한 혐의로 인터폴 적색 수배를 받고 뛰쳐나온 현상범이다.
- 트리 피압(Try Pheap): 훈 센의 전 고문역. 심각한 환경파괴 및 인권 탄압으로 미국에게 경제제재를 받았다.
- 단체
- 유니언 개발그룹 (UDG): 시아누크빌 만 건너편 50km정도 떨어진 거리의 롱 베이에서 중국 최대 규모 부동산 개발을 이끌고 있는 중국계 기업. 2020년 미국은 UDG를 국유기업으로 지정하고 UDG가 자행한 대량 강제 퇴거에 대해 제재했다.
- 카이보 호텔: 쉬아이민이 소유한 호텔이자 스캠 범죄단지.
- 헝허 바벳 자산 유한회사(Heng He Bavet Property Co. Ltd.) 및 MDS 헝허 투자회사(M D S Heng He Investment Co. Ltd.): 롱 베이의 범죄단지 건물 중 하나를 소유한 중국계 투자회사.
- 휘원 그룹: 동남아시아 지역 범죄 조직 및 북한의 사이버 공격 관력 수익 돈세탁 혐의로 2024년 제재되었다.
- LYP Group: 리용팟이 소유한 회사로 스캠 범죄단지 운영 및 그에 따른 인권침해로 2024년 제재되었다.
- 가든 시티 호텔, 코콩 리조트, 프놈펜 호텔, 오스마크 리조트: 리용팟이 소유한 호텔 및 리조트 시설. 범죄단지에서 사 온 노예들을 이용하여 강제노동에 동원한 혐의로 제재되었다.
- KBX 인베스트먼트: 쉬아이민이 소유한 부동산 개발 회사.
2.86.
캐나다
- 사미둔: 캐나다를 중심으로 12개국에서 활동하는 비영리단체. 수감된 팔레스타인 활동가들의 석방을 돕고 그들의 옥중 생활을 지원하는 자선단체를 표방하고 있지만 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과의 강한 연관성을 가진 세탁용 가짜 단체라는 강한 의혹을 받고 있다. 캐나다에서도 테러조직으로 지정당하여 활동을 금지당했다.
2.87.
코소보
2.88.
코트디부아르
2.89.
콜롬비아
- 개인
파블로 에스코바르†카를로스 레더곤살로 로드리게스 가차†그리셀다 블랑코†호르헤 루이스 오초아 바스케스후안 다비드 오초아 바스케스†파비오 오초아 바스케스- 힐베르토 로드리게스 오레후엘라†: 칼리 카르텔의 전 수괴. 1995년 체포 후 2022년 옥사.
- 미겔 로드리게스 오레후엘라: 칼리 카르텔의 전 수괴. 1995년 체포.
- 카를로스 카스타뇨 힐†: 콜롬비아 연합자위군(AUC) 창설자이자 수괴. 2004년 암살.
- 비센테 카스타뇨 힐: 연합자위군 전 수괴. 아직까지 실종 상태이지만 살해당했다는 설이 유력하다.
- 디에고 무리요 베하라노 (돈 베르나): 오피시나 델 엔비가도 카르텔의 두목이자 연합자위군 주요 간부. 2005년 체포.
- 다니엘 렌돈 에레라 (돈 마리오): 클란 델 골포의 전 수괴. 2009년 체포.
- 다이로 안토니오 우수가 (오토니엘): 클란 델 골포의 전 수괴. 2021년 체포.
- 빅토르 파티뇨 포메케 (엘 키미코): 전 칼리 카르텔 두목. 경찰 출신으로 부에나벤투라에서 전기톱을 동원한 학살을 벌였던 것으로 악명 높다. 1995년 6월 콜롬비아 경찰에 자수했지만 1997년 석방 후 노르테 델 바예 카르텔에서 범죄 활동을 이어나갔다. 그러다가 2002년에 다시 체포되어 미국으로 인도되어 DEA와의 사법거래에 동의하고 2010년 사법거래로 친족들이 노르테 델 바예 카르텔에 죽은 복수를 위해 콜롬비아로 돌아왔다. 현재는 최대 1000명에 달하는 사병을 이끌며 에콰도르에서 활동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윌베르 바렐라 (하본)†: 오를란도 에나오 사후 노르테 델 바예 카르텔의 두목 자리에 오른 인물이자 로스 라스트로호스의 두목. 2008년 1월, 베네수엘라에서 오른팔이었던 디에고 라스트로호와 하비에르 카예 세르나의 손에 살해당했다.
- 디에고 몬토야 (돈 디에고): 노르테 델 바예 카르텔의 두목이자 로스 마초스의 두목.2007년 12월에 체포, 1년 뒤 미국으로 인도되어 45년형을 선고받았다.
- 미겔 산타니야 "젠틸 두아르테" 보타체†
- 살바토레 만쿠소
- 에르난 히랄도
- 엑토르 헤르만 부이트라고
- 디에고 레온 몬토야 산체스
- 단체
메데인 카르텔†칼리 카르텔노르테 데 바예 카르텔†- 클란 델 골포 (AGC)
로스 라스트로호스†: 노르테 델 바예 카르텔의 잔존 세력이 만든 마약 카르텔.- 오피시나 데 엔비가도: 메데인 카르텔에서 떨어져 나온 마약 카르텔.
- FARC 항전파 (세군다 마르케탈리아, 카를로스 파티뇨 전선, 반테러리스트 인민혁명군 등)[A]
- 콜롬비아 민족해방군 (ELN)[A]
- 콜롬비아 연합자위군 (AUC)†[A]: 2008년 이후 클란 델 골포 등 일부 분파를 제외하고 사실상 해체.
2.90.
콩고민주공화국
- 개인
- 코르네유 낭가: 전 콩고 독립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이자 현 콩고 강 연합의 지도자.
- 베르트랑 비심와: 3월 23일 운동의 지도자.
- 보스코 은타간다: 소년병 징집으로 악명을 떨친 전직 르완다 애국전선 출신 반군 지도자.
- 윌리 은고마: M23의 대변인.
- 에바리스트 보샵
- 윌리엄 야쿠툼바: 콩고주권국민연합(CNPSC)의 사령관.
- 프랑수아 올렝가
- 파시피크 은타웅구카 '오메가': 르완다 해방을 위한 민주군의 간부 중 한 명.
- 칼레브 뮈통: 조제프 카빌라 정권 시절 콩고 국가정보국(ANR) 국장으로 카빌라 정권을 위한 고문, 살해 협박, 납치, 암살 시도 등을 지휘했다.
- 가브리엘 아미시 "탱고 포" 쿰바
- 로랑 은쿤다: 인민수호국민회의의 수장.
- 시미레이 뮈사 귀돈(Shimiray Mwissa Guidon): 신은두마콩고방위군의 수장. 집단 강간 및 소년병 운용의 혐의가 있다.
- 셀레스탱 카냐마
- 단체
2.91.
쿠바
- 개인
- 단체
2.92.
키르기스스탄
- 라임베크 마트라이모프: 전 키르기스스탄 국가세관청 부청장으로 대규모 돈세탁 혐의에 연루되어 제재당했다.
2.93.
파나마
2.94.
파라과이
2.95.
파키스탄
- 개인[220]
- 칼리드 셰이크 모하메드[A]
- 하피즈 사이드[A]: 파키스탄의 테러리스트로 뭄바이 연쇄 테러로 악명 높은 테러단체 라쉬카레 타이바의 공동창립자 중 한 명이다.
- 일리아스 카시미리†[A] : 파키스탄군 특수부대 출신 군인으로 잠무카슈미르 지역에서 알카에다 및 탈레반과 관련된 다양한 테러 조직에 몸담으며 테러 활동을 이끄는 자였다. 2011년 미군의 드론 공격으로 사망.
- 사지드 미르[A]: 파키스탄의 라쉬카레 타이바 소속 테러리스트.
- 압둘 레흐만 마키†[A]: 파키스탄의 라쉬카레 타이바 간부이자 하피즈 사이드의 매형 겸 사촌이다.무함마드 물라 오마르와 아이만 알자와히리와도 깊은 관계를 맺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파즐루르 레만 칼릴[A]: 테러조직 하르카트 울 무자히딘의 창립자.
- 말릭 이샤크†[A]: 테러조직 라쉬카레 장비의 공동 창립자 중 한 명. 2015년 사살.
- 사이예드 살라후딘[A]: 카슈미르에서 활동하는 테러조직 히즈불 무자히딘의 지도자.
- 왈리 울레만†[A]: 와지리스탄 지역에서 파키스탄 탈레반 운동을 이끌었던 테러리스트.
- 술탄 바시루딘 마흐무드[A]: 움마 타미르 에 나우의 창립자. 파키스탄의 원자로 설계자 및 책임자 경력을 가진 핵 공학자 겸 이슬람 학자, 탈레반 지지자로 파키스탄의 포괄적 핵실험 금지조약 서명 의지에 항의하여 파키스탄 원자력위원회에서 뛰쳐나간 초강경파였다.
- 차우두리 압둘 마지드†: 마흐무드와 마찬가지로 원자로 전문가이자 핵화학자였으며 움마 타미르 에 나우의 창립 멤버였다.
- 라오 안와르
- 압둘 카디르 칸†
- 아미르 함자[A]
- 자키우르 레만 락비[A]
- 단체
- 라쉬카레 타이바[A]: 뭄바이 연쇄 테러의 주범 단체.
- 라쉬카레 장비[A]
- 하르카툴 무자히딘[A]
- 히즈불 무자히딘[A]
- 파키스탄 탈레반[A]
- 자마툴 아흐라르[A]: 파키스탄 탈레반의 한 분파로 2023년 페샤와르 모스크 폭탄 테러를 일으킨 이슬람 극단주의 단체이다.
- 발루치스탄 해방군 (BLA)[A]
- 자이셰 모하메드 (JeM)
- 움마 타미레나우 (UTN)[A]: 술탄 바시루딘 마흐무드에 의해 설립된 단체로 아프간의 인프라를 재건하고 탈레반 점령 지역을 개발하기 위해 자금을 모은다는 목적으로 활동하였다. 대부분 파키스탄의 고위직 혹은 엘리트들로 이루어져 있었다.
- 알아흐타르 신탁: 테러 단체 자이쉬 에 모하메드가 테러 조직으로 지정당하기 전 설립한 위장 자선 단체로 알카에다 및 탈레반에게 몰래 물적 지원을 하던 단체이다.
- 하르카트 울안사르 (자미아트 울 안사르, HuA)
- 팔라에인사니아트 재단†[A]: 라쉬카레 타이바의 창립자인 하피즈 사이드가 라호르에 세운 위장 재단.
- 밀리 무슬림 연맹: 라쉬카레 타이바를 압둘라 아잠과 공동설립한 하피즈 사이드가 만든 정당으로 사실상 라쉬카레 타이바의 후신으로 취급받고 있다.
- 울레마 원조기구 (알라시드 신탁)†: 파키스탄 카라치에 본사를 둔 자선단체로 1999년에 탈레반을 위한 기금을 조성한 혐의로 미국 재무부에서 이를 국제 테러 조직으로 지정하였다.
2.96.
팔레스타인
- 개인
- 셰이크 아흐메드 야신†: 하마스 창설자. 2004년 미사일 공격으로 사살.
- 압델 아지즈 란티시†: 2004년 사살.
- 아이만 노팔†: 2023년 사살.
- 마르완 이사†[A]: 2024년 사살.
- 이스마일 하니예†[A]: 하마스 지도자. 2024년 이스마일 하니예 암살 사건으로 사망.
- 야히야 신와르†[A]: 2024년 사살.
- 모하메드 데이프†[A]: 2024년 사살.
- 아지즈 드위크: 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개전과 함께 체포.
- 압드 알 아지즈 아우다[A]: PIJ의 공동 창립자.
- 라마단 샬라†
- 지야드 알 나할라[A]: 팔레스타인 이슬람 투쟁 운동의 지도자.
- 무함마드 자이단†: 팔레스타인 해방전선의 지도자. 2003년 이라크 전쟁 당시 체포되어 2004년 옥사.
- 아부 오바이다†
- 가지 하마드
- 아흐메드 지브릴†
- 탈랄 나지
- 자인 알아비딘 무함마드 후사인 (아부 주바이다)[A]
- 파티 하마드
- 단체
- 하마스[A]
- 팔레스타인 이슬람 투쟁 운동 (PIJ)[A]
- 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 (PFLP)[A]
- 팔레스타인 해방민주전선 (DFLP)
- 팔레스타인 해방 전선 (PLF)[A]
- 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 총사령부 (PFLP-GC)[A]
- 사비린 운동†[A]: 2019년 하마스에 의해 강제 해산.
- 야르무크 순교자 여단 (칼리드 빈 알 왈리드 군대)†[A]
2.97.
페루
- 개인
- 빅토르 퀴스페 팔로미노 (호세 동지)[A]: 빛나는 길의 현 지도자.
- 페르난도 제바요스[B]: 페루 최대 항공사 아에로 콘티넨테의 창업주. 회사가 마약 거래 및 돈세탁에 연루되어 있다는 혐의를 받고 제재 리스트에 올랐다.
- 단체
2.98.
프랑스
2.99.
필리핀
- 개인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이멜다 마르코스: 1986년 에드사 혁명으로 마르코스 부부가 미국에서 축출되자 미국 정부는 부부의 스위스 은행 계좌, 뉴욕과 캘리포니아 등지 부동산 등 미국 내 자산들을 동결했다. 이후 미국 법원은 이를 인권탄압과 부정부패로 얻어낸 재산으로 판별하고 몰수했다. 또한 망명지인 하와이 외 자유로운 미국 여행 등은 금지되었다.- 호세 마리아 시손†[A]: 필리핀 공산당(1968) 창설자. 2022년 사망.
- 아폴로 퀴볼로이: 다바오를 기반으로 하는 사이비 종교 예수 그리스도 왕국을 이끄는 종교인. 돈세탁, 성매매 및 인신매매 혐의로 2022년 FBI 수배자가 되었고 2023년에는 미국 재무부와 국무부로부터 심각한 인권 침해 혐의로 제재를 당했다. 2024년 필리핀 경찰에 체포.
이스닐론 하필론†[A]: 아부 사야프의 리더로 필리핀 남부 민다나오 섬 근방에서 외국인 납치와 폭탄 테러를 일으켰다. 2017년 ISIL 필리핀 지부를 선포하기 위해 마우테 형제와 함께 마라위 시를 점거하여 항전하다 정부군에 사살.- 아흐메드 산토스†[A]: 라자 술레이만 운동의 리더. 2000년 아부 사야프와 함께 말레이시아 사바의 유럽, 중동 다이빙 관광객들을 상대로 한 납치 사건에 대해 2024년 무기징역을 선고받았다.
- 하잔 사와드잔†[A]
- 루벤 페스타노 라비야 주니오르[A]
- 단체
- 아부 사야프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 동아시아 주)†[A]
-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 필리핀 주 (ISPP)†[A]
- 마우테 그룹[A]: 마라위 전투의 원인이 된 친ISIS 테러조직 세포.
- 필리핀 공산당(1968)[A]
- 라자 술레이만 운동 (RSM)[A]
2.100.
탄자니아
2.101.
태국
- 웨이쉬에캉[B]: 골든 트라이앵글 지역에서 활동한 태국의 마약왕. 와방연합군과 연계되어 있다.
2.102.
트란스니스트리아
2.103.
튀니지
- 튀니지 전투원 그룹†[A]
- 안사르 알 샤리아 튀니지†[A]
-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 튀니지 주 (JAK-T, 준드 알칼리파 튀니지)†[A]
2.104.
튀르키예
- 개인
압둘하미트 귈: 튀르키예 전 법무부 장관.쉴레이만 소일루: 튀르키예 전 노동사회보안부, 내무부 장관.- 압둘아지즈 카스카리: 투르코사 수출입 트랜짓 주식회사 대표자.
- 단체
- 쿠르디스탄 노동자당 (PKK)†[A]
- 쿠르디스탄 자유 매 (TAK)[A]
- 혁명인민해방당/전선 (DHKP/C)[A]
2.105.
홍콩
- 개인
- 존 리
- 캐리 람
- 크리스 탕
- 테레사 쳉
- 스티븐 로
- 레이먼드 시우
- 에드위나 라우
- 켈빈 콩 혹 라이
- 프레드릭 초이
- 에릭 창: 홍콩 헌법 및 대륙 사무 담당 비서관이자 전직 이민국 국장.
- 앤드류 칸 카이-얀
- 탐유청
- 단체
2.106.
헝가리
로간 안탈: 헝가리 총리 내각부 장관으로 오르반 빅토르의 최측근으로 꼽히는 인물. 국제 마그니츠키법 제재로 2025년 1월 8일 신규 등재되었다. 그러나 한 달 후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과 함께 제재가 해제되었다.- Cytrox: 상술한 NSO 그룹의 백도어인 페가수스와 파급효과가 맞먹었던 프리데터라는 백도어를 만든 것으로 악명높다. 특히 이 회사는 상술한 NSO[282]와 달리 아예 SDN에 당당히 등재되었다.
2.107. 다국적
-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 및 모든 지부들[A]
- 알카에다 및 모든 지부들[A]
토네이도 캐시: 이더리움과 호환되는 네트워크 실행 기반 오픈 소스, 완전 분산형 암호화폐 회사. 라자루스가 절도한 4억 5500만 가량 달러를 포함, 70억 달러 이상의 불법적으로 입수된 가상화폐를 이더리움으로 돈세탁했다는 혐의를 받아 해외자산관리국의 제재 대상이 되었고 GitHub 리포지토리도 폐쇄되었다. 창립자들 역시 체포되었다. 다만 미국 현지에서 최근 오픈 소스 거래소 제재가 위법이라는 판결이 나와버리면서 미국 시간 2025년 1월 23일부로 제재가 해제되었다.- 큐빗 세미컨덕터 : 대성국제무역 및 이동진과 같은 사례로 제재된 한국, 아일랜드계 반도체 회사.
- 테러그램 콜렉티브[A]
[1] 미국 상무부, 미국 국무부, 미국 재무부 등 각 부서에서 관리하는 목록을 통합한 것이다.[A] 행정명령 13224호에 따른 미국 국무부와 미국 재무부의 특수 지정 국제 테러리스트 목록에 등재된 인물 혹은 단체.[A] [A] [A] [A] [A] [A] [A] [10] 물론 이외에 한국 국적자 중 최요셉(최요섭)이란 제재 대상자가 있으나 몇몇 외국인과 같이 핵물질을 이란으로 불법 반출한 거 외에는 공식적으로 알려진 바가 없다.[A] [A] [A] [A] [A] [A] [A] [A] [A] [20] 이 회사 때문에 이 화사와 합작법인을 차려 운영하던 전세계 수많은 자동차 제조사들이 마쓰다를 제외하고 거의 다 철수하는 헬게이트를 열었다.[A] [A] [A] [A] [A] [A] [27] 국체가 아닌 우크라이나에 위치한 개별 단체로 등록되어 있다.[28] 국체가 아닌 우크라이나에 위치한 개별 단체로 등록되어 있다.[A] [A] [A] [A] [A] [A] [A] [A] [A] [A] [A] [A] [A] [B] 외국 마약 조직 책임자 지정법에 따라 제재된 인물.[B] [B] [B] [B] [B] [B] [B] [B] [B] [B] [B] [B] [B] [B] [B] [B] [B] [B] [B] [B] [B] [B] [B] [B] [B] [B] [B] [B] [B] [B] [B] [B] [A] [A] [A] [A] [A] [A] [A] [A] [A] [A] [85] 군부의 자본이 포함되지 않은 미얀마 최초이자 유일한 완전 민간 회사이다. 그러나 타이 자 본인이 군부와 유착 관계에 있는 인물이기 때문이 큰 의미는 없다.[B]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116] 2017년 독가스 사용 책임으로 재무부에 의해 제재되었다. #[A] [A] [A] [A] [A] [A] [A] [A] [A] [A] [B] [A] [A] [B]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156] 2017년은 무함마드 빈 살만이 사우디 국내 와하브파 성직자들을 억누르고 대규모 숙청을 단행하고 있을 때였다.[A] [A] [A] [A] [A] [A] [A] [B]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B] [B] [B] [A] [B] [A] [A] [A] [A] [A] [A] [A] [A] [A] [A] [A] [B] [A] [A] [A] [A] [A] [220] 주로 핵개발 시설 연구원 및 탈레반 협조자들이 지정된다.[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B] [A] [A] [A] [A] [A] [A] [A] [A] [A] [A] [A] [A] [A] [A] [B] [A] [A] [A] [A] [A] [A] [282] CSL만 등재[A] [A] [A] [A] [A] [A]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