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color=#ffffff> 라카인주 ရခိုင်ပြည်နယ် Rakhine State | |||||
| |||||
라카인주 주기 | |||||
<colbgcolor=#34B233> 국가 | |||||
주도 | 시트웨 | ||||
면적 | 36,788km2 | ||||
인구수 | 3,188,807명[1] | ||||
시간대 | UTC+06:30 | ||||
도지사 | 아웅 쪼 민 |
라카인주의 명소인 탄드웨의 응아빨리 해변과 먀욱우 유적이 나온다.
1. 개요
미얀마 서부에 위치한 주. 1990년 미얀마 정부에서 라카인주라는 이름을 채택하기 전까지 아라칸주로 알려져있었다.2. 역사
900년대 당나라의 쇠락과 남조의 멸망부터 시작해 버마족이 아라칸 산맥을 넘어 현재 라카인주에 정착하게 되어 이 지역의 원주민들과 문화, 혈통적으로 혼합되어 미얀마 본토의 버마족에서 분리되어 라카인족이 된다.[2] 1100년에는 이들이 이 지역에서 권력을 쌓아오면서 바간 제국의 조공국이 되고 이 관계는 13세기까지 이어진다.라웅옛 왕국의 멸망 이후 델리 술탄국과 벵골 술탄국의 지배를 받은 후 1429년 라웅옛의 마지막 왕이었던 민 소 몬[3]이 의형제이자 친구였던 벵골 술탄국 잘랄 웃 딘 샤의 도움을 받아 먀욱우를 중심으로 아라칸 왕국이 설립된다.
이후 벵골 술탄국이 약해진 틈을 타 1531년 치타공을 정복하여 해상무역을 주도하면서 벵골 만 일대의 지역강국으로 성장한다.
18세기에는 무굴 제국에 밀리면서 세력은 줄어들게 되고 내부적으로 정치적 싸움도 격해져 불안정한 사회가 계속해서 이어지게 된다. 또한, 이 시기에 포르투갈 제국의 지배 잠시나마 겪게 된다.
결국 1785년 1월 2일, 마하 탐마다[4] 왕 대에 이르러 꼰바웅 왕조의 보도파야 황제[5] 의해 무너지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