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17 21:13:02

에브라힘 라이시

파일:이란 대통령 문장.svg
이란 이슬람 공화국 대통령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 제1대 제2대 제3-4대 제5-6대
아볼하산 바니사드르 모함마드알리 라자이 알리 하메네이 악바르 하셰미 라프산자니
<rowcolor=#fff> 제7-8대 제9-10대 제11-12대 제13대
모하마드 하타미 마무드 아마디네자드 하산 로하니 에브라힘 라이시
}}}}}}}}}}}} ||
이란 이슬람 공화국 제13대 대통령
에브라힘 라이시
ابراهیم رئیسی | Ebrahim Raisi
파일:에브라힘 라이시.jpg
<colbgcolor=#303A3B><colcolor=#ffffff> 본명 세예드 에브라힘 라이솔사다티
سید ابراهیم رئیس‌الساداتی
Sayyid Ebrahim Raisolsadati
출생 1960년 12월 14일 ([age(1960-12-14)]세)
이란 제국 라자비호라산주 마슈하드
재임기간 제13대 대통령
2021년 8월 3일 ~ 현직
서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303A3B><colcolor=#ffffff> 배우자 <colcolor=#373a3c,#ddd>자밀레 알라몰호다[1]
자녀 2명
학력 샤히드 모타하리 대학
콤 신학대학
종교 이슬람교(시아파)
신체 170cm
소속 파벌
[[원칙파|
원칙파
]]
소속 정당 [[전투적 성직자회|
전투적 성직자회
]]
}}}}}}}}}

1. 개요2. 생애
2.1. 법조인 경력2.2. 정치 경력2.3. 대통령 취임 후
3. 논란
3.1. 인권 탄압
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이란법조인이자 정치인으로, 제13대 이란 대통령이다. 본명은 에브라힘 라이솔사다티지만 흔히 에브라힘 라이시로 알려져 있다.

현재 알리 하메네이 사후 차기 라흐바르가 될 유력한 인물이다.

2. 생애

마슈하드성직자 집안에서 태어났으며, 5세 때 아버지를 여의었다. 이맘 레자 사원이맘이자 마슈하드의 금요기도 이맘인 아흐마드 알라몰호다의 사위이기도 하다.

2.1. 법조인 경력

1980년 카라지에서 검사 활동을 시작했으며, 이후에는 하마단에서도 검사로 활동했다. 서로 무려 300km 이상 떨어져 있지만, 용케도 멀리를 왔다갔다 하면서 무리 없이 활동했다. 이쯤 되면 체력은 꽤 대단한 듯. 1985년 수도 테헤란검찰청 차장으로 임명되었다.

1994년부터 2004년까지 10년 간 종합검사실장을 지내다가, 이후 대법원 차장으로 임명되어 10년 간 재직했다. 그 후에는 2년 간 검찰총장을 역임했으며, 2019년부터 대통령이 되기 전 까지 대법원장직을 맡고 있는 중이었으며. 2021년 8월 3일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물러났다.

법조계를 잠시 떠난 2016년부터 2019년까지 공익신탁 아스탄 쿠드스 라자비의 관리인 및 대표를 지내기도 했다.

2.2. 정치 경력

과거 이슬람공화당 소속이었으나, 이 당은 1987년 해산되었다. 현재는 전투적 성직자회 소속. 2006년 남호라산 주 전문가 회의 의원으로 당선되어 현재까지 재직 중이다. 이 또한 2021년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물러날 예정.

2017년 대선에 이슬람혁명군인민전선 후보로 출마했으나, 38.3%의 득표율로 하산 로하니 대통령에 밀려 낙선했다. 알리 하메네이가 내심 지지하던 후보였고, 모함마드 바게르 갈리바프 전 테헤란 시장이 라이시를 지지하며 사퇴했는데도 큰 표차로 낙선한 것. 다만 여론조사에서 일찌감치 로하니에게 뒤지고 있었던 점을 감안하면, 낙선은 이미 예견된 일이었다.

그 후 2021년 대선에 다시 출마했다. 사실상 범여권 및 중도파[2]가 일찌감치 압돌나세르 헴마티중앙은행 총재로 단일화한 반면, 보수파들은 여러 후보가 난립한 상황이라, 로하니의 낮은 인기에도 불구하고 행여나 보수파의 분열로 중도파 헴마티가 당선되는 것이 아니냐는 보수파 일각의 우려가 있었다.

하지만 우려 자체를 할 필요가 없이 라이시가 약 62%에 가까운 득표율로 초압승했으며, 그나마 대항마로 출마한 모흐센 레자이도 라이시와 마찬가지로 보수파였는데다가, 11.79%로 크게 낙선했다. 무려 50%에 가까운 격차로 초압승한 셈이다. 정작 중도파 및 범여권 단일 후보로 출마한 헴마티는 10%도 안 되는 8.38%의 득표율로 광탈했다.[3]

이로서 보수파의 부활을 알리는 신호탄이 되기는 했지만, 애초에 후보 등록 과정에서 개혁파 후보들은 다 탈락시키는 등 이란 당국의 답정너 행태로 젊은층을 중심으로 투표 보이콧 운동까지 일어났다. 실제로 2017년 대선보다 투표율 자체가 크게 떨어져 (73.33% → 48.78%) 이슬람 공화국이 수립된 이후 최저치를 기록하였으며, 그나마도 표 중 14%인 417만표가 무효표였다.[4] 반라이시 성향 유권자들은 투표를 보이콧하거나 무효표를 찍었으니 당연히 라이시가 초압승할 수밖에 없었다.

게다가 이란의 대통령은 그럴싸한 타이틀과는 달리 별다른 실권이 없다. 실권을 쥐고 있는 자는 바로 최고지도자 알리 하메네이다. 다만 라이시가 하메네이의 신임을 받는 것으로 보아서 큰 무리는 없을듯하다.

2023년 현재 하메네이가 80을 넘긴 고령이라 후계자를 물색해야 하는데, 어지간한 역대 대통령들이 재선까지 한 것으로 보아 라이시도 이변이 있지 않는 한 2025년 재선은 확실하며, 이 시점에서 하메네이는 86세가 된다. 이런 점으로 보아 라이시는 사실상 하메네이의 후계자로 이미 내정되었다고 봐도 무관하지 않다. 사실 하메네이의 신임을 받고 있다는 점, 보수파들로부터 인기가 높다는 점에서 2019년 전후로 후계자 후보군에 오른 상황이었다. 호메이니 사후 대통령이었던 하메네이가 라흐바르를 계승한 점에서 하메네이 사후까지 라이시가 대통령이라면 하메네이처럼 라흐바르를 계승할 가능성은 있다.

2.3. 대통령 취임 후

2021년 8월 3일, 하산 로하니의 뒤를 이어 대통령에 취임했다.

미국의 제재 대상에 포함된 국영기관 세타드(Setad)의 수장 모하마드 모크베르를 신임 부통령에 임명했다#

2022년 2월 21일에는 카타르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 국왕과 회담을 갖고 JCPOA(이란 핵합의)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2022년 9월부터 2023년 초까지 이어지고 있는 반체제 시위로 인해 정치적 위기에 몰렸다.

2023년 1월 17일,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지속적인 서방의 고강도 제재를 받고 있는 러시아에 “이란과 러시아가 제재에 맞서 싸울 수 있는 협력기구를 설립하고 함께 맞설 군대도 동원해야 한다”고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3. 논란

3.1. 인권 탄압

테헤란 검찰청에서 활동하던 1988년 기소위원회 위원 4명 중 하나였는데, 이 위원회는 정치범 및 반대파 처형으로 서구권 언론 및 재야로부터 "살인위원회"라는 낙인이 찍힌 바 있다. 이 때 처형된 인사들은 대게 인민전사기구민중당(Tudeh) 등 공산주의자들이었다. 호메이니, 하메네이 같은 이란 혁명을 일으켜 집권한 이들은 반공 성향이기에 당연한 결과였다. 미국과 서방 진영을 반대하기 때문에 친소, 친공산주의로 오해할 수 있지만 이란 신정 정부는 단순 반미, 반서방이기만 할 뿐, 엄연히 자본주의 시스템을 따르고 있다. 애초에 공산주의는 종교는 인민의 아편이라는 슬로건인데, 이슬람 시아파를 대놓고 국교로 삼고 있고 그걸 명분으로 집권한 게 현 신정 정부이므로 당연히 공산주의에 부정적일 수밖에 없다.

이로 인해 국제사면위원회의 지탄을 받았으며, 미국 해외자산통제국의 제재 대상에도 올랐다. 아무리 반미국가의 페이크 수장인 이란 대통령이라지만 대놓고 미국의 제재를 받는 인물이 대통령이 된 것은 처음이다.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em;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아시아 ]
* 의원내각제 하의 대통령
** 아랍에미리트의 대통령은 아부다비의 아미르가 겸직하여 사실상 군주에 가깝다.
*** 이란의 국가원수는 라흐바르이며, 대통령은 정부수반이다.
**** 현직 장성급 장교들이 국회의원을 겸직하는 정당이라 사실상 미얀마군 소속에 가깝다.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무소속|
무소속
]]
[[민주진보당|
민주진보당
]]
[[국민의힘|
국민의힘
]]
람 찬드라 파우델 (초선) 차이잉원 (재선) 윤석열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동티모르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티모르 재건국민회의|
티모르 재건국민회의
]]
[[무소속|
무소속
]]
[[인민민족회의|
인민민족회의
]]
조제 하무스오르타 (재선) 나지브 미카티 (권한대행) 모하메드 무이주 (초선)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몽골 인민당|
몽골 인민당
]]
[[통합단결발전당|
통합단결발전당
]]
[[아와미 연맹|
아와미 연맹
]]
오흐나깅 후렐수흐 민 슈웨 (권한대행) 샤하부딘 추푸 (초선)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통일국민당(스리랑카)|
통일국민당
]]
[[바트당|
바트당
]]
[[무소속|
무소속
]]
라닐 위크레메싱게 (초선) 바샤르 알아사드 (4선) 타르만 샨무가라트남 (초선)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무소속|
무소속
]]
[[국민전체회의|
국민전체회의
]]
[[우즈베키스탄 자유민주당|
우즈베키스탄 자유민주당
]]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나얀 라샤드 알알리미
(대통령 지도 위원회 의장)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3선)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쿠르디스탄 애국 연합|
쿠르디스탄 애국 연합
]]
[[전투적 성직자회|
전투적 성직자회
]]
[[이스라엘 노동당|
이스라엘 노동당
]]
압둘 라티프 라시드 (초선) 에브라힘 라이시 (초선) 이츠하크 헤르초그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인도 인민당|
인도 인민당
]]
[[민주항쟁당|
민주항쟁당
]]
[[무소속|
무소속
]]
드라우파디 무르무 (초선) 조코 위도도 (재선)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재선)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메켄칠|
메켄칠
]]
[[타지키스탄 인민민주당|
타지키스탄 인민민주당
]]
[[투르크메니스탄 민주당|
투르크메니스탄 민주당
]]
사디르 자파로프 (초선) 에모말리 라흐몬 (5선) 세르다르 베르디무하메도프 (초선)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키스탄 무슬림 동맹|
파키스탄 인민당
]]
[[파타|
파타
]]
[[필리핀 연방당|
필리핀 연방당
]]
아시프 알리 자르다리 (재선) 마흐무드 압바스 (초선)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주니어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유럽 ]
* 의원내각제 하의 대통령
** 산마리노의 국가원수는 대통령이 아닌 두 명의 집정관이다.
*** 오스트리아와 포르투갈은 헌법상 이원집정부제이나 사실상 의원내각제 국가이다.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남오세티야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무소속|
무소속
]]
[[느하스|
느하스
]]
[[독일 사회민주당|
독일 사회민주당
]]
카테리나 사켈라로풀루 (초선) 알란 가글로예프 (초선)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 (재선)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에드가르스 린케비치 (초선) 블라디미르 푸틴 (5선) 클라우스 요하니스 (재선)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무소속|
무소속
]]
[[지금 유럽!|
지금 유럽!
]]
[[무소속|
무소속
]]
기타나스 나우세다 (초선) 야코브 밀라토비치 (초선) 마이아 산두 (초선)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노동당(몰타)|
노동당
]]
[[무소속|
무소속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회민주당|
사회민주당
]]
[[독립사회민주연대|
독립사회민주연대
]]
[[민주전선(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민주전선
]]
미리암 스피테리 데보노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6선) 데니스 베치로비치 (초선)
젤카 츠비야노비치 (초선)
젤코 콤시치 (4선)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마케도니아 사회민주주의 동맹|
마케도니아 사회민주주의 동맹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스테보 펜다로프스키 (초선) 에르신 타타르 (초선) 루멘 라데프 (재선)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산마리노* **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통합좌파당|
통합좌파당
]]
[[사회민주당(산마리노)|
사회민주당
]]
[[세르비아 진보당|
세르비아 진보당
]]
[[중도당|
중도당
]]
알레산드로 로시 (재선)
밀레나 가스페로니 (초선)
알렉산다르 부치치 (재선) 비올라 암헤르트 (초선)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주자나 차푸토바 (초선) 나타샤 피르츠 무사르 (초선) 바하근 하차투랸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신아제르바이잔당
]]
그뷔드니 소를라시위스 요한네손 (재선) 마이클 D. 히긴스 (재선) 일함 알리예프 (5선)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압하지야 국기.svg 압하지야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바이람 베가이 (초선) 아슬란 브자니야 (초선) 알라르 카리스 (초선)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알렉산더 판데어벨렌 (재선)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초선) 세르조 마타렐라 (재선)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살로메 주라비슈빌리 (초선) 페트르 파벨 (초선) 비오사 오스마니 (초선)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정의개발당|
정의개발당
]]
조란 밀라노비치 (초선) 니코스 흐리스토둘리디스 (초선)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3선)
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 국기.svg 트란스니스트리아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무소속|
무소속
]]
[[사회민주당(포르투갈)|
사회민주당
]]
[[무소속|
무소속
]]
바딤 크라스노셀스키 (재선) 마르셀루 헤벨루 드 소자 (재선) 안제이 두다 (재선)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르네상스(정당)|
르네상스
]]
[[국민연합당|
국민연합당
]]
[[청년민주동맹|
청년민주동맹
]]
에마뉘엘 마크롱 (재선) 알렉산데르 스투브 (초선) 슈요크 터마시 (초선)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아메리카 ]
* 의원내각제 하의 대통령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가이아나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파일:니카라과 국기.svg 니카라과
[[인민진보당|
인민진보당
]]
[[풀뿌리운동|
풀뿌리운동
]]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
]]
이르판 알리 (초선) 베르나르도 아레발로 다니엘 오르테가 (5선)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도미니카 연방 국기.svg 도미니카 연방*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현대혁명당|
현대혁명당
]]
[[무소속|
무소속
]]
[[국가재건운동|
국가재건운동
]]
루이스 아비나데르 (초선) 실바니 버튼 (초선) 안드레스 마누엘 로페스 오브라도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바베이도스 국기.svg 바베이도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민주당(미국)|
민주당
]]
[[무소속|
무소속
]]
[[베네수엘라 연합사회당|
베네수엘라 연합사회당
]]
조 바이든 (초선) 샌드라 메이슨 (초선) 니콜라스 마두로 (재선)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볼리비아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수리남 국기.svg 수리남
[[사회주의 운동|
사회주의 운동
]]
[[노동자당|
노동자당
]]
[[진보개혁당|
진보개혁당
]]
루이스 아르세 (초선)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3선) 찬 산토키 (초선)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자유당(아르헨티나)|
자유당
]]
[[무소속|
무소속
]]
[[국민민주행동|
국민민주행동
]]
하비에르 밀레이 (초선) 아리엘 앙리 (권한대행) 다니엘 노보아 (초선)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엘살바도르 파일:온두라스 국기.svg 온두라스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무소속|
무소속
]]
[[자유재건당|
자유재건당
]]
[[국민당(우루과이)|
국민당
]]
클라우디아 로드리게스 데 게바라 (대행) 시오마라 카스트로 (초선) 루이스 라카예 포우 (초선)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사회융합당|
사회융합당
]]
[[사회민주진보당|
사회민주진보당
]]
[[인간적인 콜롬비아|
인간적인 콜롬비아
]]
가브리엘 보리치 (초선) 로드리고 차베스 로블레스 (초선) 구스타보 페트로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트리니다드 토바고*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
[[무소속|
무소속
]]
[[민주혁명당(파나마)|
민주혁명당
]]
[[콜로라도당|
콜로라도당
]]
크리스틴 캉갈루 (초선) 라우렌티노 코르티소 (초선) 산티아고 페냐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무소속|
무소속
]]
디나 볼루아르테 (초선)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아프리카 ]
* 의원내각제 하의 대통령
** 현재 군사정권이거나 혹은 사실상 해당 국가의 군 소속
파일:가나 국기.svg 가나 파일:가봉 국기.svg 가봉** 파일:감비아 국기.svg 감비아
[[신애국당|
신애국당
]]
[[가봉군|
가봉군
]]
[[국가인민당(감비아)|
국가인민당
]]
나나 아쿠포아도 (재선) 브리스 클로테르 올리기 응게마(권한대행) 아다마 배로 (재선)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기니비사우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
[[기니군|
기니군
]]
[[마뎀 G15|
마뎀 G15
]]
[[남서아프리카 인민기구|
남서아프리카 인민기구
]]
마마디 둠부야 (권한대행) 우마루 시소쿠 엠바루 (초선) 난골로 음붐바 (초선)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남수단 국기.svg 남수단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전진보회의|
전진보회의
]]
[[수단 인민해방군|
수단 인민해방운동
]]
[[아프리카 국민회의|
아프리카 국민회의
]]
볼라 티누부 (초선) 살바 키르 마야르디트 (초선) 시릴 라마포사 (초선)
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라이베리아 파일:르완다 국기.svg 르완다
[[니제르군|
니제르군
]]
[[통일당|
통일당
]]
[[르완다 애국 전선|
르완다 애국 전선
]]
압두라하마네 치아니 (권한대행) 조셉 보아카이 (초선) 폴 카가메 (4선)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파일:말라위 국기.svg 말라위
[[무소속|
무소속
]]
[[젊은 말라가시 청년들|
젊은 말라가시 청년들
]]
[[말라위 의회당|
말라위 의회당
]]
모하메드 알 멘피 (대통령위원회 의장) 안드리 라조엘리나 (3선) 라자루스 차퀘라 (초선)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말리군|
말리군
]]
[[투쟁 사회주의운동|
투쟁 사회주의운동
]]
[[공정당|
공정당
]]
아시미 고이타 (권한대행) 프리티비라즈싱 루푼 (초선) 모하메드 울드 가주아니 (초선)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파일:베냉 국기.svg 베냉 파일:보츠와나 국기.svg 보츠와나
[[모잠비크 해방전선|
모잠비크 해방전선
]]
[[무소속|
무소속
]]
[[보츠와나 민주당|
보츠와나 민주당
]]
필리프 뉴시 (재선) 파트리스 탈롱 (재선) 모크위치 마시시 (초선)
파일:부룬디 국기.svg 부룬디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파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국기.svg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민주방위국민회의 - 민주방위세력|
민주방위국민회의 - 민주방위세력
]]
[[부르키나파소군|
부르키나파소군
]]
[[폴리사리오 전선|
폴리사리오 전선
]]
에바리스트 은다이시미예 (초선) 이브라힘 트라오레 (권한대행) 브라힘 갈리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상투메 프린시페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파일:세이셸 국기.svg 세이셸
[[독립민주행동당|
독립민주행동당
]]
파스테프당
[[세이셸민주동맹|
세이셸민주동맹
]]
카를루스 빌라 노바 (초선) 바시루 디오마예 파예 (초선) 와벨 람칼라완 (초선)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파일:소말릴란드 국기.svg 소말릴란드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평화개발연합당|
평화개발연합당
]]
[[쿨미예 평화통일개발당|
쿨미예 평화통일개발당
]]
[[수단군|
수단군
]]
하산 셰흐 마하무드 (재선) 무세 비히 압디 (초선) 압델파타흐 알부르한 (주권위원회 의장)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시에라리온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시에라리온 인민당|
시에라리온 인민당
]]
[[민족해방전선(알제리)|
민족해방전선
]]
[[앙골라 인민해방운동|
앙골라 인민해방운동
]]
줄리어스 마다 바이오 (3선) 압델마지드 테분 (초선) 주앙 로렌수 (재선)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에리트레아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민주정의인민전선|
민주정의인민전선
]]
[[무소속|
무소속
]]
[[민족저항운동|
민족저항운동
]]
이사이아스 아페웨르키 (초선) 살러워르크 저우데 (초선) 요웨리 무세베니 (6선)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
[[무소속|
무소속
]]
[[국가개발통일당|
국가개발통일당
]]
[[민주당(적도 기니)|
민주당
]]
압델 파타 엘 시시 (3선) 해케인드 히칠리마 (초선) 테오도로 오비앙 응게마 음바소고 (7선)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공화국 파일:지부티 국기.svg 지부티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연합마음운동|
연합마음운동
]]
[[진보인민연합|
진보인민연합
]]
[[짐바브웨 아프리카 국민연합 - 애국전선|
짐바브웨 아프리카 국민연합 - 애국전선
]]
포스탱아르샹주 투아데라 (재선) 이스마일 오마르 겔레 (5선) 에머슨 음낭가과 (재선)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카보베르데
[[차드군|
차드군
]]
[[카메룬 인민민주운동|
카메룬 인민민주운동
]]
[[카보베르데 독립아프리카당|
카보베르데 독립아프리카당
]]
마하마트 데비 이트노 (권한대행) 폴 비야 (7선) 조제 마리아 네베스 (초선)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파일:코모로 국기.svg 코모로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통합민주연대|
통합민주연대
]]
[[코모로의 부흥을 위한 대회|
코모로의 부흥을 위한 대회
]]
[[공화주의자의 집회|
공화주의자의 집회
]]
윌리엄 루토 (초선) 아잘리 아소우마니 (5선) 알라산 와타라 (3선)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콩고 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콩고 노동당|
콩고 노동당
]]
[[민주사회진보연합|
민주사회진보연합
]]
[[탄자니아 혁명당|
탄자니아 혁명당
]]
드니 사수 응게소 (7선) 펠릭스 치세케디 (재선) 사미아 술루후 하산 (초선)
파일:토고 국기.svg 토고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공화국을 위한 연합|
공화국을 위한 연합
]]
[[무소속|
무소속
]]
포르 냐싱베 (4선) 카이스 사이에드 (초선)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오세아니아 ]
* 의원내각제 하의 대통령
** 2027년 독립 예정
*** 대통령이 아닌 군주로 보는 의견도 있다
파일:나우루 국기.svg 나우루 파일:마셜 제도 국기.svg 마셜 제도 파일:미크로네시아 연방 국기.svg 미크로네시아 연방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데이비드 아데앙 (초선) 힐다 하이네 (재선) 웨슬리 시미나 (초선)
파일:바누아투 국기.svg 바누아투* 파일:부건빌 주기.svg 부건빌**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무소속|
무소속
]]
[[부건빌 인민동맹당|
부건빌 인민동맹당
]]
[[무소속|
무소속
]]
니케니케 부로바라부 (초선) 이스마엘 토로아마 (초선) 바알레토아 수알루비 2세 (재선)
파일:키리바시 국기.svg 키리바시 파일:팔라우 국기.svg 팔라우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키리바시 포용당|
키리바시 포용당
]]
[[무소속|
무소속
]]
[[피지퍼스트|
피지퍼스트
]]
타네티 마마우 (재선) 수량겔 휩스 주니어 (초선) 윌리암 카토니베레 (초선) }}}}}}}}}
재위 중인 군주 · 집권 중인 공산국가 지도부
재임 중인 총리 및 수상


[1] 이슬람 성직자인 아마드 알라몰호다의 딸이다.[2] 이란은 대한민국처럼 분명한 정당 제도를 시행하는 나라가 아니다. 그냥 중도파와 보수파/원칙파로 구분하는 것이 특징. 이 때문에 대통령이 속한 정파가 실질적인 여당 역할을 하고 있다. 2021년 대선 시점에서는 루하니 대통령이 중도파이므로, 중도파 후보가 사실상 여당 후보라고 볼 수 있는 셈.[3] 이를 대한민국에 대입할 경우, 10%도 득표하지 못 한 후보는 선거비용을 그대로 까먹는다(...).[4] 직전 2017년 대선에서 무효표는 120만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