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각국 범죄단지의 현황이다. 2025년 동남아시아에서 범죄단지로 인해서 치안이 매우 좋지 않은 캄보디아뿐만이 아니라, 미얀마, 라오스, 필리핀 등지에서도 범죄단지가 운영 중이며 태국의 매싸이, 매솟 등 미얀마 국경지대에서도 외국인들을 납치하는 조직들이 활동한다.2.
캄보디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범죄단지/현황/캄보디아#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범죄단지/현황/캄보디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캄보디아는 2025년 기준 동남아 국가들 중에서도 가장 악명이 높고 위험한 범죄단지가 형성되어 있었으나, 10월 대한민국의 언론과 수사당국에 이들 조직들이 대대적으로 알려지며 단지를 비우고 라오스로 도피하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1]
3.
미얀마 ·
태국
미얀마 역시 범죄단지가 성행하는 다른 국가들처럼 지정학적 약점을 가지고 있다. 바다로 나가야 할 길에 험준한 미개발 산악지대가 길게 뻗어 있는데다가, 남서부 라카인주 지역은 라카인족 반군인 아라칸군의 약진으로 해안가 대부분 지역을 뺏었기 때문에 통제에서 벗어나 정부가 항구를 이용할 수 없는 상태이다. 미얀마의 내륙 지대 역시 산악과 정글투성이로 물류비와 개발비가 더 많이 들며, 이 때문에 도로나 비행장 짓기도 어렵다. 기초적 보급도 어렵기 때문에 미얀마군은 매번 정글과 산악에서 반군들에게 고전하고 있다. 미얀마에 흐르는 에야와디강(이라와디강)의 경우 우기/건기의 수심차가 커서 운송에 적합하지 못하다.경제규모도 대부분 천연가스나 비취 같은 광물, 보석 등 1차 자원이 대부분인데다 내수시장도 땅덩이가 넓긴 하지만 대부분이 뜨문뜨문 떨어진 시골 지역에, 인구의 절반이 주류 불교도 버마족의 행태에 적대적인 소수민족이거나 비불교도들이라 이들을 고려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2]
미얀마의 경우 1962년 버마 군사반란 이후 쭉 소수민족 반란과 버마 공산당의 인민전쟁, 민주화 운동, 골든 트라이앵글 지역의 마약 카르텔 활동[3] 등 내전에 준하는 상황에 놓여 있어 상시 국방비로 엄청난 돈이 소모되고 있었으며, 버마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무분별한 화폐 발행, 지속적인 이전 화폐 무효화 및 신규 화패 발행, 주술 맹신 등 궤멸적인 버마식 사회주의 경제정책으로 화폐개혁이 대실패, 1987년에는 기어코 초인플레이션[4]이 터져 버마에 풀려 있던 화폐의 75%가 무용지물이 되는 등 냉전 시기부터 극빈국이 되어버린 상황이었다.
네 윈이 쫓겨난 이후에도 소 마웅, 탄 슈웨 등의 쿠데타가 거듭되며 군부의 독재와 부정부패는 척결될 기미를 보이지 않았으며, 외국에서는 경제제재가 극심해져 민생은 파탄에 이르렀다. 아웅산 수치 정권이 들어서며 조금이나마 민주화된 후에도 문민통제도 안 되고, 여전히 의석의 25%를 차지하며 권세를 누리던 미얀마군은 정신을 못 차리고 계속해서 로힝야 학살 등의 국제적 어그로를 끌며 경제적, 정치적 고립을 유발시켰다. 결국 2021년 미얀마 쿠데타가 터지며 다시 군사독재국가로 거듭나 또 다시 세계의 경제제재 대상이 되며 전 국토가 전쟁터가 되어버리면서 완전히 파탄국가 상태가 된 상황이었다. 거기에 2025년 미얀마 대지진으로 그나마 남아 있던 국가 기반시설이 한 차례 더 파괴되면서 경제적으로 너무나도 큰 타격을 입어 왔다. 서방과의 관계도 험악하여 8888 항쟁 이래 집권하는 군부 세력이 바뀔 때마다 매 차례 미국에게 경제제재를 받는 수준이다. 특히 시작부터 민간인을 대규모로 학살하고 시작한 2021년의 쿠데타에서는 그나마 미얀마에게 우호적으로 대하던 대한민국과 일본, 호주, 뉴질랜드까지 공개적으로 비판하고 아웅산 수치의 석방을 요구하며 미얀마와의 관계를 단절하겠다고 엄포를 놓았다.
그렇다고 군부가 경제 정책에 큰 도움이 된 것도 아닌지라 전쟁 4년만에 쇠퇴기에 접어들어 에너지는 부족하고, 외환은 바닥을 보이며, 국방비는 끝없이 빠져나가고 있다. 그 국방비가 장병들에게 온전히 돌아가는 것 역시 아니어서 파산 직전에 이른 미얀마군은 더 이상 징집병들에게 사망 수당조차 못 줄 지경이니 지급하지 않겠다고 발언하기도 했다.# 결국 미얀마는 중국과 러시아 등 얼마 안 되는 반서방 진영 국가들에게 지원 대부분을 의지하는 실정으로, 이 탓에 검증되지 않은 중국발 자본이 들어오기 쉬워졌다.
거기에 미얀마는 2021년 군부의 쿠데타와 그로 인해 발생한 내전으로 인해 무법지대로 전락한 지 오래라 치안이 굉장히 불안정하여 사람들이 관광으로도 많이 찾지 않고, 국가적 통제가 덜하다. 때문에 범죄자들이 숨어들어 일하기에는 그야말로 최적의 조건인 상황이다. 그래서 미얀마는 캄보디아에 버금갈 정도로 범죄단지 문제가 심각한 양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나마 도심과 연결된 캄보디아와 달리 미얀마는 전 국토가 미얀마 내전 때문에 반은 전쟁터, 반은 정글과 산악 미개발지인 특성상 무사 탈출이 더욱 힘들다. 미얀마에 위치한 범죄단지들은 현재 미얀마에서 진행 중인 내전의 상황을 악용하여 접근이 어려운 곳에 숨고 와방연합군, 국경수비대로 전환한 일부 카렌족 불교군, 카렌 국민군, 아라칸 로힝야 구원군과 같이 원래부터 인신매매와 마약 밀매를 업으로 삼던 현지 군벌, 마약 카르텔, 현지의 중국계 미얀마인 삼합회 조직들은 물론 현재 미얀마를 지배하는 미얀마군(땃머도) 군부 정권과도 유착관계를 형성한다. 또한 캄보디아, 필리핀과 유사하게 2019년부터 미얀마 정부 측에서 외국인들의 카지노 유치를 적극 지원하는 정책을 새롭게 실시하게 되었고, 이 때문에 해외에서 도망 나온 범죄자들이 미얀마로 더 몰려들게 되어 카지노를 차리고 눌러앉는 경우가 비일비재해졌다.#
캄보디아와 비슷하게 국제적인 제재에 시달리는 미얀마 군경과 친군부 군벌들은 범죄단지를 진압할 생각은커녕 전쟁에서의 세력 유지용 자금을 벌어다 주는 이들을 오히려 옹호하고 지원해 주고 있다. 신고해야 할 미얀마 경찰은 그 폭력성이나 부정부패 면에서 캄보디아 국가경찰보다도 심각한 진짜 정치경찰, 부패경찰로 신고할 시에는 오히려 잡혀가 구금당하는 것을 더 걱정해야 하는 상황이다. 미얀마 경찰은 미얀마 내무부 소속인데, 내무부는 문민 장관이 아닌 미얀마군 수장 국방장관[5]이 직접 통제하는 3개 부처 중 하나로 군부정권의 직접통제 아래에 있어 사실상 미얀마군의 꼭두각시나 다름없다. 그래서 미얀마군의 의중에 따라 그간 가만히 있다가, 중국이 본격적으로 범죄단지 수사에 대한 압력을 넣자 그제서야 공조수사를 명목으로 움직이기 시작했으며 미얀마의 범죄단지 문제에는 미얀마 정부뿐만 아니라 정부에 대항하는 카렌 민족해방군의 모체격인 카렌민족연맹의 일부나 와주연합군[6]도 같이 엮여 있다.
최근에는 미얀마의 범죄단지 문제가 태국에도 번져 아예 범죄자들이 태국으로 원정을 가서 사람을 납치하여 미얀마, 혹은 캄보디아[7]로 데려가는 일이 벌어지고 있다. 태국에서는 이전에도 파타야 임동준 살인사건과 같이 범죄조직의 감금 및 강제노동 사건이 벌어진 적이 있으며, 일부 어선들이 이런 인신매매 조직들과 연계하여 마치 염전노예나 새우잡이배 노예처럼 돈 주고 사온 외국 피해자들을 감금하고 노동시키는 일이 벌어져 문제가 되었다. #1#2
무법지대 특성상 미얀마의 범죄단지들은 그야말로 선이라는 것이 없는 폭력성과 잔혹성으로 악명 높으며 내부에서 찍은 영상이 퍼져나가는 것조차 막지 않고 놔 둔다. 캄보디아의 범죄단지와도 연관되어 프놈펜과 시아누크빌 범죄단지에서 실적이 좋지 않으면 포이펫, 바벳 등 태국 국경지대로 옮겨졌다가 그래도 개선되지 않으면 과거에는 현지 중국 야매 병원들이나 보코시로 보내어 장기매매를 하던 것이 지금은 미얀마의 범죄단지로 보낸다고 한다. 미얀마 범죄단지로 보내진 이들을 장기적출이나 기타 수단으로 제거하는 최종 기착지 역할을 하고 있다.#
벨라루스 출신 모델 베라 크라브초바(Вера Кравцова, Vera Kravtsova)가 9월 중순 경 모델 일을 하기 위해 태국 방콕에 입국했다가 10월 4일 연락이 두절되었고, 이후 취업사기를 당하여 미얀마 범죄단지로 납치당해 장기적출을 당했다는 소식이 더 선, 데일리 메일, 콤소몰스카야 프라우다를 비롯한 영국과 러시아의 타블로이드지들 및 텔레그램, SNS에서 중점적으로 돌고 있다.#1#2#3 이후 벨라루스 외무부와 주베트남 벨라루스 대사관에서 공식적으로 벨라루스 국민을 수색하고 있다고 보도되며 기정사실화되었다.#1#2 단, 태국 이민국 측과 콤소몰스카야 프라우다는 납치가 아니라 제 발로 미얀마에 간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으며, 벨라루스 외무부 측은 베라의 실종에 대해 과장된 정보가 너무 많은 상황이라고 발표했다. 콤소몰스카야 프라우다는 베라의 부모님이 신원 미상의 누군가로부터 베라가 미얀마 현지에서 화장되었다는 메시지를 받았다고 주장했다.#1#2
왕싱의 납치 사건 이후 미얀마의 범죄단지 수사에 대한 중국의 압박이 더욱 강해졌고, 태국 역시 이에 합류하여 미얀마에게 본격적으로 국경지대 범죄단지 문제에 따지고 들기 시작했다. 2025년 중순부터는 미얀마군과 군벌들도 중국과 태국의 눈치를 봐서라도 범죄단지를 향한 수사에 조금이나마 나서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8]
3.1. 샨주
중국계 미얀마인 및 소수민족들이 많이 거주하는 샨주, 특히 코캉(果敢, ကိုးကန့်)에 있는 범죄단지는 미얀마군 및 현지 코캉족[9] 유지 세력과 은근한 유착관계를 이루며 미얀마를 방문한 중국인들을 마구잡이로 납치하고 미얀마로 중국인들을 꾀어 감금하는 등 악명을 떨치고 있다. 샨주의 범죄단지들도 캄보디아와 같은 경로로 세워진 것이 대부분이다. 코캉 지역은 중국계 미얀마인들이 많이 거주하여 말도 통하고, 중국 윈난성 바로 옆에 있어 쉽게 월경할 수 있는 특성상 도박이 불법인 중국 국민들을 위해 중국발 자본으로 세워진 카지노가 분포한 대표적인 지역이었다. # 코캉은 미얀마군의 행정도 제대로 닿지 않아 코캉족 지방 토호들이 사실상 전권을 장악하고 있었으며, 범죄단지를 운영한 주체도 대부분 공권력과 유착된 이 지방 토호들이었다. 그래서 보통 중국에서 귀화하거나 수배를 피해 도망쳐 나온 중국인 범법자들이 문제를 일으키는 다른 지역들과 달리 샨주에서는 원래부터 이 지역에 살던 화교(코캉족)들, 그러니까 중국계 미얀마인 현지인들이 범죄단지 문제를 일으키는 비중이 높다.이에 보다 못한 중국 공안 측에서 미얀마군의 의중을 무시하고 요원들을 투입시켜 해당 범죄단지를 무력 진압하기도 했다. 미얀마 군사정권은 잘 알려져 있다시피 친중 성향으로, 우호국 국민을 납치하는 데 협조하고 뒤를 봐준 것이다. 미얀마군이 얼마나 막나가는 집단인지 알 수 있는 부분이다.
한국에서 제일 유명한 곳이 캄보디아의 태자단지와 망고단지고, 대만과 일본에서 제일 유명한 곳이 KK파크라면 중국에서 제일 화제를 일으켰던 범죄단지들은 바로 북미얀마(缅北) 지역의 범죄단지들이다. 이후 샨주에 이어 카인주에서도 왕싱 납치 사건이 벌어지자 카인주의 악명 역시 올라갔다.
3.1.1. 코캉 5대 가문
코캉에서 범죄단지를 운영한 주 세력은 샨주의 스캠 및 카지노 사업을 주도하는 현지 친군부 코캉족 토호 겸 군벌 집단인 코캉 5대가족(果敢五大家族)이었다. 이들은 바이(白) 가문, 2 곳의 류(刘) 가문, 웨이(魏) 가문, 그리고 밍(明) 가문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원래는 5대가문이 아니라 4대가문으로, # 지역 정치인 바이숴청(白所成, ပယ်ဆောက်ချိန်), 기업가 류정샹(刘正祥, လီကျိန်းချန်), 코캉 임시행정위원회 공안 및 사법 업무 담당이자 2023년 이미 사망한 웨이차오런(魏超仁, ဝေချောင်ရန်)과 웨이화이런(魏怀仁, ဝေဟွိုင်ရန်, 혹은 웨이싼(魏三, ဝေစန်း)) 형제, 헤로인 장사와 광물 채광을 주 업무로 하고 있었던 마약 카르텔 두목이자 마찬가지로 이미 사망한 류궈시(刘国玺, ဦးလျိုကောင်းချင်း)를 통틀어 4대가문이라 칭했으나, 2020년 류궈시의 사망 후 쇠락하는 류궈시 가문을 빼고 새로 떠오르는 밍쉐창(明学昌, မြီရှောက်ချန်)의 가문을 껴서 4대가문이라고 부르거나 아니면 둘 다 포함해서 5대가문이라 부른다. 밍 가문은 5대가문에 제일 최근에 진입한 신흥 가문이었다.이들은 가문 하나하나가 전부 삼합회, 마약 카르텔 수준의 범죄집단을 이끄는 수뇌부들로, 가문마다 자기들 소유의 범죄단지를 굴리고 있었다. 밍쉐창처럼 나머지 5대가문 수장들도 국경수비대 간부 아니면 감독위원인 등 BGF에서 한 자리씩을 차지하고 있었고, 그 외에도 지역 정치인, 의원, 위원회 임원, 대기업 회장, 심지어는 도박 근절위원장이나 자선사업가 등 온갖 감투를 다 쓰고 코캉의 기득권 행세를 하고 있었다.
원래 5대가문의 멤버들은 군대와 별 인연 없는 마약상 겸 교육자 출신인 류정샹을 빼고 전부 한 때 버마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시절부터 네 윈 정부와 버마군에 맞서 싸우던 버마 공산당(CPB) 출신이었다.[10] 8888 항쟁의 실패와 중국의 지원 중단 이후[11] 1989년부터 버마 공산당의 대분열이 시작되자, 버마 공산당의 간부 중 하나였던 펑자성(彭家声, ဖုန်ကြားရှင်)은 원래의 활동 기반이던 코캉으로 돌아가 현지 중국계들을 모아 새로운 파벌인 미얀마 민족민주연합군(MNDAA)을 창설한다. 4대 가문 수장들은 펑자성을 따라 버마 공산당에서 MNDAA로 이적한 간부 출신으로 펑자성의 마약 카르텔 산업을 도우면서 막대한 이득을 취하고 있었다.[12]
당시 소 마웅의 쿠데타로 버마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을 무너뜨린 미얀마군 신군부는 물 만난 듯 곳곳에서 터져 나온 소수민족 반군들의 소요로 혼란스러운 시기라 제 코가 석자였던 상황이었다. 따라서 소 마웅의 국가법질서회복위원회(SLORC)는 버마 공산당의 뒷통수를 치고 나온 펑자성 세력이 코캉에서 자치를 실시하도록 그냥 인정하는 방향으로 MNDAA와 협상을 맺는다. 이로 인해 코캉은 '샨주 코캉 특별구'가 되어 와주처럼 미얀마 안의 독립국과 같은 지위를 얻게 되었고, 펑자성의 별명은 '코캉왕(果敢王)'이 되었다.
펑자성의 주 수입은 마약이었다. 펑자성은 이미 버마 공산당원 시절이었던 1970년대부터 코캉에 최초의 헤로인 공장을 설립하고 20년간 코캉 지역의 헤로인 밀매를 주름잡고 있었다. 1999년 언론인과 마약 전문가와의 대화에서 그는 "아편 지역을 정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10년 동안 아편 거래를 종식시키려고 노력해 왔다고 말했으며 실제로 2003년에는 코캉 지역을 '마약 청정지대'로 선포하기도 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말뿐이었고 MNDAA는 여전히 지역에서 마약 생산을 계속 하고 있었다. 당시 미얀마에서 쿤사와 더불어 가장 악명 높은 마약상 중 한 명이었던 로싱한(罗星汉)[13] 및 그 아들인 툰 민 나잉(뤄빙중(罗秉忠), ထွန်းမြင့်နိုင်, 스티븐 로(Steven Law))와도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미얀마군은 펑자성의 코캉 자치권을 인정해주는 대신 마약 거래를 전면 중단할 것을 요구했다. 이는 당시 미얀마군의 뒤를 봐 주던 중국의 압력이 강하게 작용했다.[14] 이 때문에 마약 대신 써 먹을 것을 찾던 펑자성이 새롭게 코캉 지역의 수입원으로 찾아낸 것이 바로 중국인들을 대상으로 한 국경지대 카지노 산업이었다. 당시 골든 트라이앵글 지역에서는 마약 거래가 점차 감소하기 시작하며 많은 지역들이 새 수입원으로 도박이 금지된 중국 및 태국의 국경지대인 특성을 이용한 카지노를 열었는데 코캉도 이 같은 물결에 동참하게 된 것이다.[15]
1999년 언론인과 마약 전문가와의 대화에서 펑자성은 "아편 지역을 정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10년 동안 마약과의 전쟁으로 아편 거래를 종식시키려고 노력해 왔다고 말했으며 실제로 2003년에는 코캉 지역을 '마약 청정지대'로 선포하기도 하는 등, MNDAA는 한동안 진짜로 마약과 관계를 끊을 것처럼 홍보했다. 물론 이는 국제사회의 압력 때문에 중국과 미얀마에게 잘 하고 있다고 보여주기식으로 대처한 것이고, 실제로는 그 이후로도 펑자성은 마약으로 수익을 내고 있었다. 한편으로는 여론 반전을 위해 바이숴청 등을 마약단속위원회에 앉히고, 2009년 코캉에서의 양귀비꽃 재배를 전면 중단함으로써 180년이 넘어가는 코캉의 양귀비꽃 재배 역사에 종지부를 찍기도 했으나, 펑자성이 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그냥 명분쌓기용이었을 뿐 실제로는 그냥 아편 및 헤로인 관련 자산을 처분하고 인기 있던 메스암페타민으로 종목만 바꾼 것에 불과했다. 또한 헤로인은 새로 제조만 안 했을 뿐이지 그 이후에도 류궈시나 이들과 손잡은 다른 조직 등이 계속 밀매했으므로 별 의미도 없었다.
허나 이전보다 마약 수익의 비중이 줄어든 것은 확실했고, 카지노 수익은 마약만큼의 돈벌이는 되지 못하니 간부들의 불만은 점점 높아졌다. 2003년부터 미얀마 정부측에서 양귀비 재배를 전면 금지하면서 주민들이 생계용으로 최소한도로 키우고 있던 양귀비마저 전부 금지되어 코캉은 아사자가 나올 정도로 극한 빈곤에 빠지게 되었다. 2009년 8월 7일 4대 가문 수장들은 '코캉 연합군'을 결성하여 바이숴청의 주도로 펑자성의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미얀마군 및 와주연합군의 도움을 받아 라우카이에서 쿠데타를 일으키며 변절했다. 이를 코캉 사건 혹은 88사건(88事变)이라고 한다. 펑자성은 코캉 사건으로 코캉 지역에 대한 모든 실권을 잃고 자신을 따르는 장병 및 민간인 최대 3만 7천여명과 함께 코캉에서 쫓겨나 중국으로 도피해 난민 신세가 되고 말았다. 펑자성은 이후 자신을 배신한 코캉 간부들 및 미얀마 군경에 대항하여 게릴라 투쟁을 벌이다 2022년 사망했다. #
참고로 88사건 당시 쿠데타 세력을 도와 이 작전을 진두지휘한 미얀마군 지휘관이 바로 현재 미얀마를 지배하고 있는 민 아웅 흘라잉이다. 코캉 사건은 민 아웅 흘라잉의 출세가도가 시작되는 계기를 만들어 준 사건으로 평가된다.
중국은 이 당시 겉으로는 미얀마군을 지지하며 쿠데타 세력의 코캉 접수를 사실상 묵인했다. 그러나 미얀마에 있는 중국 시민들을 보호할 것과 상황을 종식시킬 것을 강하게 경고했으며 국경 공세에 대한 사전 경고를 받지 못한 것에 분노를 표했다. 미얀마 외무부는 일단 중국에게 사과했으나, 한 편으로는 정부 국영신문인 미얀마 타임스에 달라이 라마 14세가 대만을 방문한 건에 관한 기사를 국영 언론 사상 최초로 개제하면서 은근히 기싸움을 했다. # 반대로 중국 역시 2009년부터 광동성 선전시 인민검찰원에서 바이숴청, 바이잉녕, 바이잉창 등 핵심 구성원들을 기소하는 등으로 맞섰다.
미얀마군은 펑자성에게 불법 무기 및 마약 공장 소유, 자택에서의 마약 발견 등 누명을 씌워 수사를 빌미로 쫓아내고, MNDAA를 쫓아낸 자리에 코캉 연합군 멤버들로 이루어진 임시위원회를 세워 코캉을 차지했다. 밍쉐창도 이 과정에서 민병대를 이끌고 봉기를 주도하며 펑자성의 MNDAA 세력을 쫓아내는 데 일조했다. 5대가문 일원들은 고스란히 미얀마군의 회유에 포섭되어 미얀마군이 자기들에게 충성하는 지역 군벌들을 미얀마군 통제 하에 두어 정치경찰로 써먹고 국경 밀수 수익도 나눠먹을 겸용으로 세운 국경수비대(BGF, နယ်ခြားစောင့်တပ်)의 완장을 차서 미얀마군의 일원이 되거나, 미얀마군이 운영하는 국영기업과 거래하며 지역 카지노와 광산, 벌목장, 마약 시장, 국경 무역권을 주름잡는 특권층이 되었다. 펑자성과 관계를 유지하던 로싱한과 툰 민 나잉은 어차피 군부의 힘 없이는 일 벌리기 힘든 미얀마 대기업 특성상 친군부 성향이었으므로 쿠데타 세력들과도 원래 펑자성과 하던 대로 계속 거래를 이어 나갔으며, 와주연합군 역시 코캉 5대가문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다. 이들은 코캉 천하를 손에 넣은 후 서로 경쟁하기도 했으나 대체적으로는 서로 세력 균형을 유지하며 코캉을 지배해 왔다. 쿠데타를 이끈 바이숴청은 코캉 자치구의 주석으로 취임해 전권을 가지게 되었고, 2009년부터 코캉 지역에는 14년간 이어지는 4대 가문의 통치 시기가 개막했다.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이 터지자 캄보디아 범죄단지가 그랬듯 이들에게도 위기가 찾아왔다. 국경 폐쇄로 카지노로의 현금 유입이 중단되면서 코캉 경제에 큰 타격이 불가피해진 것이다. 이 때부터 밍쉐창을 비롯한 가문 수장들이 하나둘씩 통신사기로 업종을 전환하며 코캉 곳곳에 범죄단지를 마련하고, 외국에서 찾아오는 범죄자들을 숨겨주며 카지노 업무 중단에 대처했다.
이 과정에서 5대 가문에게 호재가 된 사건이 하나 있었으니 바로 팬데믹 도중에 벌어진 2021년 미얀마 쿠데타였다. 아웅 산 수 치를 쫓아내고 새로이 미얀마의 독재자가 된 민 아웅 흘라잉은 상술했듯 88사건 당시 쿠데타 세력을 도와주며 펑자성을 쫓아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이었고, 쿠데타와 동시에 들어오는 서방, 대한민국, 일본 등의 제재가 그의 정부에 가중되자 코캉의 범죄 가문들에게 대규모 세금 납부를 포함한 경제적, 정치적 생명줄을 의지했다. 코캉 행정기관의 SNS 게시물과 미얀마 국영 매체에 따르면 이 가문들은 값비싼 대리석 불상과 금박 탑 건립 같은 민 아웅 흘라잉의 공덕 쌓기 사업에 거액을 기부했고, 중국과의 유대를 활용해 양국 간 무역과 인프라 프로젝트를 지속했다. 가문의 수장들은 여러 상을 받으며 미얀마에서 가장 영예로운 시민이 되었고 주요 지역 정상회의에서 미얀마를 대표했다.
3.1.1.1. 바이 가문
바이 가문(白家, 백씨 일가)은 가장 강성했던 가문이자 현재의 5대가문이 만들어지는 계기가 된 쿠데타를 주도한 가문이다.창립자 바이숴청은 어려서부터 초등학교조차 가 본적이 없는 무학자 출신이었으나 18살 나이에 버마 공산당 산하 인민해방군에 입대하면서 풍부한 지략과 교활한 성격으로 활약했고, 펑자성의 곁에서 그를 보좌하며 MNDAA를 이끌었었다. 바이숴청은 펑자성의 뒤를 이어 코캉 연합군의 부사령관으로 승진했다.#
바이숴청은 주석이 되긴 했으나 당선이 아닌 권력 강탈에 가까웠고, 미얀마군과의 협상 때문에 코캉이 미얀마 정부에게 복종할 것을 선언하고 미얀마군을 진주시키는 등의 행위로 큰 인기는 없었다. 물론 무력 동원권은 바이숴청이 쥐고 있었고, 지역 민병대 역시 전부 친군부 성향으로 물갈이 되었기 때문에 이에 대해 마음 놓고 말할 수 있는 코캉 주민은 없었다. 바이숴청은 2012년 암살 시도를 겪었으나 생존하는 데 성공했다. 2910년에는 코캉 의회 의원으로, 2011년에는 코캉 자치구 초대 지도위원회 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 코캉 특별구는 2011년 코캉 자치구로 변경되었고, 자치구 운영진에는 자신의 일가친척, 친구, 동창들을 앉혀 족벌정치를 실행했다. 2016년 주석직에서 물러난 바이숴청은 겉으로는 은퇴한 척 했으나 막후에서는 여전히 가족들의 권력을 확장하기 위해 여러가지 공작을 지시했고, 여전히 경찰과 민병대의 주도권을 쥐고 있었다.
88사건 이후 코캉의 실권을 장악한 바이숴청과 그 일가는 원래부터 잘 하고 있던 메스암페타민을 비롯한 마약 밀매 및 제조, 인신매매, 무기거래는 물론 통신사기, 고의살인, 고의상해, 납치, 갈취, 카지노 운영, 불법 월경 조직, 매춘 조직 및 강요 등에 가담하고 있었다. 2018년부터 창성기술단지(蒼勝科技園, Cangsheng Technology Park)를 필두로 바이성 빌딩(百胜大厦), 텅룽(腾龙), 신바이리(鑫百利), 왕저홍루(王者红楼), 바이허 맨션(白鹤公馆) 등 41개의 대규모 범죄단지를 개발 및 건설하여 온라인 사기 사업을 굴리고 있었다. 바이숴청은 막후에서 일가의 스캠 산업을 조종했으며, 본토에서 도망 나온 범죄자 6명을 포섭해서 자기네 구역에서 '사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도 했다. 양리창(杨立强), 천솽푸(陈双福), 옌제펑(鄢杰峰) 등 코캉에서 바이 가문의 지원을 받으면서 안정된 환경에서 범죄를 저지른 외부 범죄자들은 이른바 "쩐주(金主)"라고 불렸다. 이런 '쩐주'들은 중화권에서 수배를 피해 도피한 범죄자도 있었고, 그냥 자발적으로 입국한 사람도 있었다.
일가 구성원 중 가장 악명 높은 것은 차남 바이잉창(白应苍, ပယ်ရင်းချိန်)과 차녀 바이잉란(白应兰)이었다. 바이잉창은 젊은 나이에 코캉자치구 민병대대 대장, 코캉자치구 경제개발관리국 부국장, 바이 가문의 가족기업 '얌!브랜드(Yum!Brands)' 사장을 역임하며 호텔, 노래방, 카지노 사업을 운영했다. 담당 사업에서 알 수 있듯 바이잉창은 창성기술단지를 운영하던 총책이었으며, 노예들을 쥐어짜내 번 돈으로 호화로운 삶을 살았다. 특히 피트니스 영상을 자주 공개하거나 2023년에는 30살 생일을 창성기술단지에서 성대하게 열고 홍콩 배우 증지위를 비롯한 유명인사들이 생일 축하 영상을 보낸 것을 자랑하는 등 소셜 미디어로 호화 생활을 과시하는 것을 즐겼다. 허나 11월부터 광동성 선전시 공안국에서 이미 바이잉창을 겨냥한 수사를 진행하며 공안국을 직접 미얀마로 파견했다. 바이잉창은 30번째 생일을 보낸 지 3주도 안 된 12월 10일 랴오닝성 다롄시 공안국에게 현상금이 걸려 수배범이 되었다. # 훗날 바이잉창이 체포되고 나서 밝혀진 바로는 바이 가문의 범죄로 인해 중국인 6명이 사망하고, 3만 1천 건 이상의 사기 사건이 발생했으며, 사기 자금 106억 위안(약 12조 8천억 원) 이상, 도박 자금 180억 위안(약 19조 4천억 원) 이상이 유출되었고, 약 11톤의 마약이 제조 및 밀매되었다.
창성기술단지 역시 악랄한 환경으로 악명이 높았다. 도망자는 힘줄이 잘려 작열하는 햇빛 아래 그대로 방치되었고, 밤에는 물에 반쯤 잠긴 철창에 사람을 가둬놓았다고 한다. 또한 실적이 저조하면 손가락을 자르거나 손에 잡히는 모든 물건을 동원하여 구타하며 그 장면을 영상으로 촬영해 가족에게 보내겠다고 협박했다. 여성의 경우 여기 오면서 부과된 부동산 관리비, 전기세, 수도세, 생활비를 지불하라는 명목으로 매춘을 강요받고 간부들이 마음대로 성폭행을 일삼았다고 한다. 다른 범죄단지로 팔려나가는 일도 비일비재했다고 한다. 코캉 국경경찰(BGP, နယ်ခြားစောင့်ရဲတပ်ဖွဲ့)을 비롯한 코캉 지역의 경찰력은 이미 바이 가문에게 장악당한 상태라 범죄단지 간 총격전이 일어나도 단순 개인갈등으로 발표하는 등 사태 수습은커녕 얼버무리기 바빴으며 군대 역시 마찬가지로 바이 가문이 제공하는 뇌물을 받고 오히려 이들을 보호하고 있었다. 당장이라도 무력을 동원할 수 있는 바이잉창의 영향력이 얼마나 악명이 높았는지 그는 "코캉 4대 젊은이(果敢四少)" 중 하나로 꼽히기도 했다. 바이 가문은 아예 폐공장을 개조한 고문실을 마련하고 특수 고문 도구까지 개발하여 사람들을 고문했다. 이런 저런 범죄단지로 팔려가다가 끝내 필요가 없어진 이들은 '칸위엔'이라 불리는 최종 기착지에서 고문 영상을 촬영하여 가족들에게 마지막 남은 몸값까지 뜯어낸 후 장기매매 시설로 보내 처리했다고 한다. #1 #2 [16]
바이잉란은 신바이리 그룹(鑫百利集团)을 이끌며 사교계 명사로 명성을 떨치고 있었다. 바이잉란은 바이잉창과 더불어 호텔과 관광사업을 관리하는 한편 바이잉창처럼 도박, 음란물, 사기 범죄 행위에 관여되어 있다. 바이잉란은 빼어난 외모로 코캉 지역은 물론 중화권에서도 인기가 있었으며[17], 이를 이용해 인플루언서 행세를 하기도 했다. 바이잉란은 SNS에 자신을 아름다운 외모의 여성 CEO이자 자선 사업의 여신으로 포장하여 자신의 호화롭고 풍요로운 생활상과, 7천만원 상당의 금액을 홍바오(红包)[18]로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그 자리에서 고아원에 기부하는 등의 자애로운 모습을 홍보했고, 그 과정에서 '코캉을 비롯한 미얀마 북부는 이처럼 일자리도 풍부하고 높은 연봉을 받을 수 있는 풍족한 곳이며 사람들도 소박하고 친절하여 누구나 큰 성공을 거둘 수 있다'라는 메시지를 강조하는 숏폼 콘텐츠를 뿌려대면서 사람들의 머리에 박아넣는 것을 빼먹지 않았다. 결국 바이잉란의 이러한 영상을 보고 수많은 사람들이 속아 코캉으로 떠난 후 납치되어 범죄단지와 홍등가, 광산, 리조트에 노예로 팔리고 말았다. 이 때문에 바이잉창처럼 바이잉란도 자주 붙어 다녔던 웨이 가문의 웨이롱(魏榕)과 묶여서 '북미얀마의 쌍마(缅北双煞)', 즉 쌍둥이 마귀라는 악명이 붙었다. 원래 불리던 별명은 '코캉 쌍둥이 미인(果敢双娇)'이었는데 둘의 극악무도한 범죄행각이 전부 까발려진 이후로는 그냥 마귀 둘로 추락했다. 도박으로 돈을 번 가문 출신에 본인도 도박 산업을 크게 벌이고 있었음에도 코캉 도박위원회 위원장을 맡기도 했다. #
사녀 바이잉가이(白应改)와 그의 3번째 남편인 본토 저장성 출신 사기꾼 차오창리(曹强力) 부부는 공동으로 범죄단지를 개장해 직접 운영했다. 금슬이 좋았던 둘은 악의적인 면에서도 코드가 잘 맞았고, 가문의 보호 아래 로맨스를 즐기며 본인들이 직접 노인을 대상으로 한 의료보험 및 연금 사기를 고안할 정도로 열정적으로 범죄단지 운영에 임했다.
바이숴청의 장남 바이잉녕(白应能)은 통합단결발전당 코캉지부의 당서기이며 얌브랜드의 회장으로 부동산, 도박, 엔터테인먼트 사업을 주도하고 있다.[19]
장녀 바이잉샹(白应香)은 코캉 부녀회 이사이자 코캉 자선 재단을 설립하여 브랜드 세탁을 도맡고 있으며 미얀마 북부 지역에 금품과 물품을 기부하는 자선 단체 이미지를 적극적으로 구축했다. 삼녀 바이잉핑(白应萍) 역시 얌!브랜드의 이사로 있으나, 그렇게 많은 대외활동을 하진 않았다.
바이 가문은 부정하게 모은 재산을 바탕으로 호화로운 삶을 누리고 지역 유지로 거듭났다. 2023년 5월 17일에는 수 백명이 참석한 바이숴청의 74세 생일 파티가 성대하게 열렸는데, 붉은 옷을 입은 바이숴청이 마치 왕처럼 마호가니 상석에 앉아 생일 축하 인사를 받고, 중무장한 경찰과 민병대의 경호 속에 동원된 학생들에게 악기를 연주시키고 유명 가수를 불러 콘서트를 여는 등 대관식과도 같은 생일 잔치를 벌였다.
3.1.1.2. 웨이 가문
웨이 가문(魏家, 위씨 일가)은 헨리 그룹(亨利集团, Henry Group)이라는 카지노 및 호텔 그룹을 운영하며 뒤로는 14곳의 스캠 단지를 운영하고 있었다. 도박과 음란물 산업에 광범위하게 관여한 헨리 그룹 회장이자 그룹 산하 범죄단지를 담당하던 두목 웨이롱(魏榕)은 웨이차오런의 딸로 2018년부터 2023년까지 코캉에 헨리호텔, 신진장호텔, 신진장 카지노(新锦江赌场), 싱지 엔터테인먼트 클럽(星际娱乐会所), 진하이 국제 KTV(锦海国际KTV)를 비롯한 온라인 사기단지를 건설했다. 웨이롱은 뉴미디어 응용이 특기로, 선남선녀들을 모집해 먹튀용 인플루언서들로 육성해내서 코캉 사업체에 대한 홍보 영상을 찍고 본인도 인플루언서로 활동하면서 코캉 지역을 아름다운 관광지로 포장했으며, 고소득 일자리가 많다는 내용을 실어 사람들을 꾀어냈다. 또한 같은 인플루언서인 절친 바이잉란과도 상시 붙어다니기도 했다. 헨리 그룹 문화예술 부문 소속인 와족 인플루언서이자 수많은 사람들을 속여 샨주와 와주르 끌여들인 리사이가오(李赛高)는 이렇게 육성된 대표적인 사기용 바람잡이이다.[20] 허위광고에 속아 코캉으로 온 중국인 구직자들은 즉시 납치되어 스캠 단지로 끌려갔다. 웨이롱은 코캉에서의 삶과 더불어 21세기 골드 러쉬와 코캉의 선남선녀를 찾으라며 외국인들을 유혹했다. 그리고는 속아서 온 피해자들을 그대로 납치하여 코캉의 금광으로 보내어 강제노동을 시키고, 범죄단지로 보내어 로맨스 스캠을 하도록 강요하여 본인이 그 상상 속 선남선녀가 되도록 강요했다.그럼에도 웨이롱은 코캉 사회복지재단 사장을 역임하면서 자신을 자선사업가로 철저하게 위장했다. 웨이롱의 푸젠성 출신 남편이자 양곤 소재 푸젠성 상공회의소 창립회장 린칭차오(林清朝) 역시 자선사업가이자 '의인'으로 유명했는데, 2018년 미얀마의 몬순 강우로 인한 홍수가 터졌을 때 구호물품을 지원하거나 고아 75명을 위해 20만 위안을 기부하는가 하면,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이 터졌을 때에는 화교연합회와 협력하여 푸젠성의 코로나 퇴치를 위해 82만 개의 의료용 장갑과 300개의 체온계를 구매 후 푸젠성 적십자사에 기부, 자선재단에 50만 위안을 기부하여 우한시의 전염병 예방 및 통제활동을 지원했다. 미얀마에도 싱가포르와 인도에서 수입한 N95 마스크 360세트, 라텍스 장갑, 보안경, 일반 마스크 20만 장을 기부하여 중국과 미얀마 양측으로부터 찬사를 받기도 했다. 웨이롱 역시 미얀마 재난극복을 위해 쌀 150톤과 마스크 30만 장, 1억 짯을 기부하며 참여했다. 이에 미얀마 정부는 2020년 린칭차오에게 기부증서와 감사장을 발급, 2022년 푸젠성에서는 적십자 인도주의 금메달을 수상하기도 했다. 그러나 린칭차오 역시 헨리 그룹의 실질적 대주주라는 소문이 돌고 있어 역시 규탄의 대상이 되고 있다.#
헨리 그룹은 웨이롱의 홍보술에 힘입어 미얀마뿐만 아니라 캄보디아와 태국으로도 사업을 확장했다. 웨이 가문은 다른 가문들이 아무리 머릿수가 많아 봤자 질적으로는 민병대나 경찰, 정치깡패 수준의 병력만 동원 가능한 것과 달리 웨이차오런의 동생이자 현재 웨이 가문의 수장 웨이화이런이 미얀마군 산하에 정식으로 들어가 있던 코캉 국경수비대의 군권을 장악하고 있었다. 이는 바이숴청의 독주를 막기 위한 조치였으며 미얀마군의 요구에 응하기 위한 결정이었다고 한다.[21] 또한 샨주 내 또다른 자치주인 와주를 장악하고 있는 와주연합군과도 인맥이 닿아 있었다. 이외에도 경찰과 별도로 2017년 사병 집단인 공장민병여단을 창설했다. 이러한 무장 단체들의 보호를 받는 웨이 가문의 범죄단지는 쉽게 탈출할 수 없었으며, 내부에서도 경영진의 지시를 따르지 않거나 사기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하위 수준의 통신 사기 조직원들을 "중견 간부"들이 폭력적으로 통제하고, 학대하고, 구타하고, 심지어 죽이는 것을 허용했다. 심지어는 피해자 중 Rh O- 혈액형을 가진 사람이 있자 "혈액공급소"라는 곳으로 보내어 45일마다 약 1,500ml의 혈액을 강제로 채혈하여 이익을 취했다.#
공안 당국은 웨이 가문이 사기, 고의 살인, 고의 상해, 납치, 갈취, 카지노 운영, 불법 구금, 매춘 조직, 마약 밀매, 마약 사용 은닉, 불법 국경 월경 조직 등 여러 범죄 혐의를 받고 있다고 밝혔다. 이러한 범죄로 인해 중국인 8명이 사망했고, 사기 관련 범죄 자금은 50억 위안, 도박 관련 자금은 90억 위안, 매춘 조직 관련 자금은 1,900만 위안을 초과하는 금액이었다.
웨이화이런은 그 이외에도 라우카이 선관위원, 국경방위대 감독위원회 주임, 샨주 주의회 의원, 그리고 끝내는 미얀마 하원의원에 선출되는 등 온갖 감투를 쓰고 정치와 군사에 막대한 영향력을 미쳤다.
이들이 벌어들인 범죄수익은 대부분 돈세탁이 되어 있어 그 중 파악된 것만 사기 관련 금액이 60억 위안(약 1조2천억원)이고 도박장 매출은 100억 위안에 가깝다고 전해졌다.
3.1.1.3. 류정샹 가문
류 가문(刘家, 유씨 일가)은 다른 가문들과 출신성분이 다르다. 류정샹은 미얀마 군부의 지원을 받아 범죄단지를 여럿 운영하고 있는 풀릴라이 그룹(福利来集团, 풀리 라이트 그룹)의 창립자로, 다른 5대가문 인원들과 달리 MNDAA와 인연이 없는 사람이다. 대신 미얀마군과 친밀한 국영기업들과 유착하여 돈을 불리고 코캉과 미얀마 중앙 군부를 이어주었다.류정샹은 본래 군벌과 상관 없이 독자적으로 코캉 지역에서 활동하던 마약상으로, 어린 시절부터 마약 밀매에 몸담으며 미얀마 군부 및 정부 관리들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다. 원래 이 지역을 주름잡던 마약왕 류밍(刘明)이 미얀마 군경에 사살된 후, 류정샹은 미얀마 군부의 지원을 받아 류밍 의 영토와 사업을 인수하여 순식간에 이 지역 최대 마약상 중 한 명으로 성장했다. 1992년, 펑자성은 마약과의 전쟁을 시작하면서 류정샹은 살기 위해 펑자성의 제안을 받아들여 마약상 일을 그만두고 투항했다.
류정샹은 투항한 대가로 홍얀향(紅彌鄕) 부주임직이나 홍얀학교 교장직을 맡는 등 이런 저런 관직을 받으며 교육자로써 살아가다가 풀릴라이 그룹을 설립해 기업가로 거듭난다. 그룹 설립 이후 류정샹은 코캉 도시건설 사장과 상공회의소 회장을 역임하면서 코캉 지역 부동산 업계에서 거의 독점적인 지위를 확보했으며, 2000년에는 풀릴라이 그룹 산하의 퍼시픽 엔터테인먼트 회사가 설립되어 게임 산업에도 진출한다. 2017년에는 5개 중대로 구성된 사병조직 롱탕 민병대대(龙塘民兵大队)를 창설했다. 2018년에는 캄보디아 시아누크빌에 오리엔탈 플라자(东方汇, Oriental Plaza) 사기단지를 건설하여 "코캉 4대 가문" 중 최초로 사기단지 사업에 진출한 가문이 되었다. 엄청난 부를 쓸어모은 그는 이내 '코캉 최대 부자(果敢首富)'로 알려지게 되었다.
풀릴라이 그룹은 부동산, 국경무역, 여행업을 비롯해 수력발전, 인터넷 통신 등 인프라 건설에도 손대고 있으며, 코로나19 이후에는 호텔, 유흥주점 등으로 쓰이던 곳을 개축한 범죄단지를 운영하며 온갖 전산사기, 납치, 마약, 군수무기 밀매, 국제 자금 세탁, 조직 성매매, 성인방송과 몸캠피싱 등의 범죄를 저질러 왔다. 풀릴라이 그룹이 관할하는 범죄단지는 미얀마뿐만 아니라 캄보디아 시아누크빌에도 위치해 있다고 한다. 류정샹의 동생이자 호텔 사업가, 그리고 류 가문 내 범죄단지 담당인 류장치(刘正琦, Liu Zhangqi)도 밍쉐창처럼 통합단결발전당 국회의원이다. 류장치는 밍쉐창의 손자 중 한 명이기도 하다.
류정샹의 아들이자 풀릴라이 그룹 전무이사인 류지광(刘积光) 역시 코캉 내 범죄단지들을 관리하고, 회사를 이용해 돈세탁을 담당하고 있었다. 웨이 가문이 뉴미디어를 들고 나온 것처럼, 류씨 가문도 범죄자들에게 '손가방만 들고 와도 바로 입주 가능한 서비스'를 무기로 범죄자들에게 설비가 완료된 부동산을 팔아 큰 돈을 벌었다. 류정샹은 이들 자금책에게 한 달에 100만∼150만 위안(약 2억∼3억원)의 건물세를 받는 식으로 부동산 임대 서비스를 했다. 또 사기단지에 인력을 공급하는 '중개' 역할을 맡아 인력 모집, 수송, 밀입국, 통제를 하는 등 인신매매에서 주요한 역할을 했다. 류씨 가문은 사업 확장을 바탕으로 500여명의 민병대를 산하에 두고 있었다. 이들이 벌어들인 범죄수익은 파악된 것만 100억 위안(약 2조원) 이상이다.[22] 류씨 일가가 가진 범죄단지는 트라이엄프 빌딩과 로즈 매너를 포함한 코캉 지역에만 28개가 위치해 있으며 카지노, 사창가 등으로 궈보 오리엔탈, 워너 인터내셔널, 바이루먼 등을 운영하고 있었다. 전성기 시절 풀릴라이에서는 1만 명이 넘는 사기꾼들이 일하고 있었다.
웃기게도 류정샹은 사석에서는 항상 '준법정신'과 '불교 정신'을 강조하는 이중적인 사람이었다고 한다. 자선에 열정적으로 임하여 2019년과 2021년에 두 차례 "자선 기부" 상을 받았으며, 총 기부액은 약 18억 5천만 짯(약 632만 위안)에 달하기도 했다. 2021년 12월에는 미얀마 수도 네피도에서 열린 성대한 시상식에서 미얀마 총리 민 아웅 흘라잉으로부터 불교 포교에 기여한 국가 최고 공로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현재 류정샹에게는 10~50만 위안의 포상금이 걸려 있다.
3.1.1.4. 류궈시 가문
한편 또 다른 류씨인 류궈시의 가문은 류궈시 사후 가세가 기울어 있던 상태였다. 때문에 다른 일가들이 온갖 관직과 기업 요직에 앉아 범죄단지를 수십개씩 굴리고 피해자들의 장기를 빼다 팔며 부정축재를 하는 동안 류궈시의 일가친척들은 코캉의 주요 관직이나 기업에 참여하는 등 두각되는 이력을 보인 적이 없었다.허나 이들도 범죄단지 사업에 아예 참여를 하지 않은 것은 아니라, 다른 가문들보다는 규모가 작긴 하지만 마찬가지로 통신 사기와 인신매매 등 온갖 불법 행위에 연루되어 왔다. 범죄단지 운영과 더불어 취업사기를 당한 외국인 중 일부는 가문 소유 광산으로 빼돌려 허가 없이 강제노동 및 불법 채광을 시켰다.
3.1.1.5. 밍쉐창 가문
밍지아(明家, 명씨 일가)는 가장 최근에 5대가문에 진입했다. 버마 공산당 출신인 창립자 밍쉐창은 어려서부터 도둑질로 유명하여 "소도둑, 옷도둑 밍쉐창"이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였다. 버마 공산당에 합류한 밍쉐창은 이후 펑자성의 통신장교로 시작하여 버마 공산당의 당군인 버마 인민해방군 동북군구 사령관 조밍의 통신장교로써 근무했다. 모종의 사유로 인민해방군에서 전역한 밍쉐창은 고향 칭수이허 마을로 돌아와 노새를 끌며 일종의 만물상을 시작했는데, 처음에는 쌀이나 기름 같은 일상용품을 거래했으나 나중에는 마약 행상인으로 변질되고 말았다. 마약 산업은 밍쉐창에게 큰 돈을 벌어다 주었고 어느새 마을에서 가장 부유한 가정으로 성장했고, 나중에는 칭수이허 마을의 촌장이 되었다.도박과 마약 밀매 등 범죄에 몸담던 밍쉐창은 이후 1989년 젊을 적 따랐던 펑자성이 버마 공산당에서 빠져나와 MNDAA를 세우고 코캉의 자치권을 얻어내자 칭수이허 마을 촌장에서 코캉 특별구 법무부 재정과장으로 벼락출세를 하게 된다. 이후엔 코캉 동구 부구장을 거쳐 구장이 되었고, 지역 책임자로 재임하는 동안 양귀비꽃 대신 기를 천연 고무, 사탕수수 등 대체작물 재배 장려 업무를 담당했다. 밍쉐창은 코캉 일대의 사탕수수 재배를 촉진하기 위해 개인 명의로 1,000만 위안의 대출을 받았고, 개인적으로 409만 위안을 투자하여 동산중학교를 설립했으며, 이에 2006년 또 승진하여 코캉현 부현장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2009년 코캉 사태가 벌어지자 밍쉐창은 지금까지 자신을 도와준 펑자성을 바로 배신하고 바이숴청에게 붙어 민병대를 이끌고 펑자성 축출에 가담했다. 바이숴청은 이 공로로 권력을 잡은 후 밍쉐창을 코캉 현 행정관으로 승진시켰다. 밍쉐창은 계속해서 벼락승진을 거듭하여 2011년에는 샨주 주의회 의원, 코캉자치구 부의장, 코캉자치구 일상업무위원회 및 지도위원회 위원을 역임하게 되었다.
미얀마 땅에 범죄단지 산업을 처음 도입한 인물로 꼽힌다. 밍 가문은 밍쉐창의 고향 칭수이허, 밍쉐창이 새로 정착한 스위안쯔, 코캉 구시가지 등지에 와호산장(臥虎別墅), 싱푸교(星福橋), 위샹국제그룹(烏翔国际集团) 등의 스캠 범죄단지들을 거느리고 있었다. 코캉에서 제일 규모가 크고 오래된 단지인 와호산장은 약 200에이커에 달하며 4개의 건물, 빌라, 호텔 및 최첨단 장비와 무장 방어 시스템, 기타 시설을 포함하는 구조이다.
와호산장은 본래 작은 카지노와 사격 연습을 위한 지하실을 갖춘 단순한 식당으로 건설되었으나 2019년 중국인 푸위빈(傅雨彬)이 구매한 이후 2020년경부터 범죄단지로 전환되었다. 와호산장이 지어진 토지는 밍쉐창의 장남 밍궈안(明国安)의 소유로, 2019년 중국인 황문성(黃文生), 천창비(陈昌非)에게 매각했다. 이들은 푸위빈에게 다시 토지를 매매했고, 푸위빈이 그 자리에 사기 범죄단지를 짓고 밍궈안과 같이 사기 사업을 시작한 것이 와호산장 사기 역사의 시초이다. 전성기에는 약 1만 명이 와호산장에서 사기꾼으로 일했으며 옥상에는 미얀마군이 보내 준 저격수까지 있었다. 주요 활동으로는 공안, 검찰, 법원 지역을 사칭하는 보이스피싱, 허위 투자 및 재무설계 홍보, 온라인 카지노, 인터넷 방송 등이 있었다. 또한 다른 가문들처럼 우훙밍(吳宏明), 뤄젠장(羅建章), 장지(姜吉) 등 중화권에서 도망 나온 '쩐주'들을 모집하여 범죄단지 내에 숨겨주거나 입주시키는 사업 역시 하고 있었다.
본래 밍지아의 범죄단지들은 밍궈안이 맡아 운영하고 있었다. 밍궈안은 제21경찰대대, 그러니까 현직 경찰 신분이었다. 밍궈안은 경찰 신분을 악용하여 식당이었던 와호산장을 통신사기 단지로 개축했고, 고강일월그룹(果敢日月集团)을 운영하며 카지노 운영, 부동산 개발, 교육 산업 등에 관여했다. 한때는 동산소학교와 중학교의 교장을 지내기도 했는데, 두 학교 다 범죄조직에 인력을 공급한 혐의로 기소되었다. 그러나 밍궈안의 처지는 오래 가지 못했는데, 천벌이라도 받았는지 2022년 순찰 중 타고 있던 경찰마에서 낙마하여 심각한 외상성 뇌손상을 입고 식물인간이 되고 말았기 때문이었다. 이 때문에 중국 상하이에서 유학 중이던 밍궈안의 딸이자 밍쉐창의 손녀 밍전전(明珍珍)이 급히 코캉으로 불려와 범죄단지 관리를 맡게 되었다.
밍전전은 밍궈안에 이어 범죄단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했고, 밍전전 단독으로 관리했던 청더맨션(承德公馆, 혹은 홍루(红房子)), 동후산장(东湖山庄) 등 6개 단지의 임대 수입은 전성기에는 연 2천만 위안(약 3천만 원)을 넘으며 기존의 2배 가량으로 키워내는 등 운영에 수완을 보였다. # 그러나 와호산장에 갇혀 있던 노동자들은 납 파이프로 의식을 잃을 때까지 폭행을 당하거나 물고문, 즉결총살 등을 당했으며 우리에 갇힌 사자, 호랑이, 곰 등 맹수들을 이용해 피해자들을 협박했다고 한다. 또한 외국 각국에서 보안요원들을 고용하여 단지에서 얻는 이익을 보호했다. 전직 에스토니아 해군 장교인 알렉스 클리세비츠는 "중국 사업가"를 위한 근접 경호원을 구하는 구인 광고에 응모한 후 코캉에 도착한 11명 중 하나로, 일을 시작한 첫날 쇠사슬에 묶인 남자가 의식을 잃을 때까지 맞는 것을 보았다고 증언했다.
여러 관직을 거쳤던 밍쉐창은 이후 은퇴생활을 즐긴다. 은퇴 이후에도 밍쉐창이 지역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은 대단했다. 코캉 지역 언론은 밍쉐창을 일컬어 종종 전 지도자(老领导)라고 띄워줬으며, 바이잉창도 중추절을 맞아 밍쉐창을 방문하여 예를 표하기도 했다. 2023년 1월에는 손자 밍광중(明光忠)의 북경대학 입학을 대대적으로 축하하는 연회를 열어 각급 지방 지도자와 사회단체가 참여하여 밍쉐창을 찾기도 했다. 밍쉐창은 밍광중이 코캉 자치구 180여년 역사상 최초로 북경대에 입학한 사람이라면서 선전했으나, 이는 사실 학력위조의 결과물로 2023년 11월 13일 북경대 홍보부 측에서 밍광중이 본교 학생이 아니며 지원서류도 없다고 답변하면서 거짓말이었음이 밝혀졌다.
동년 7월 밍쉐창 부부가 69번째 생일을 맞았을 때도 지역 각계 인사들뿐만 아니라 군, 정계 인사들까지 찾아와 연회에 참석하기도 했다. 은퇴 이후에도 코캉자치구 행정위원회 실무회의에 참석하고, 9월 6일에는 뻔뻔스럽게도 통신사기 및 관련 범죄 단속을 위한 코캉자치구 특별회의에 참석하여 통신사기 및 관련 범죄를 근절하기 위한 대책을 논의, 10월 26일, 그는 코캉 자치구 내 통신 사기 및 기타 파생 불법 행위 근절을 위한 특별 실무 회의에 참석하여 관련 단속 활동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밍쉐창이 1027 작전 시작 후 자살하면서 이것이 밍쉐창의 마지막 언론 노출이 되었고, 69번째 생일이 마지막 생일잔치가 되고 말았다.
밍쉐창은 현지에선 건실한 사업가 행세를 하며 군부의 집권여당 통합단결발전당 소속 국회의원이 되기도 했다. 범죄조직 보스가 지역 군벌로써 무력을 통제하고, 독재정당 국회의원이라는 감투를 얻었으니 현지에서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둘렀다. 밍쉐창 역시 코캉 국경수비대의 간부이기도 했다. 밍 가문은 범죄단지 운영을 비롯해 사기, 살인, 납치, 마약 밀매, 그리고 카지노 사업을 운영하며 번 돈으로 호화로운 생활을 영위했다.
3.1.2. 10.20 사건
2023년 9월경부터 중국 경찰이 윈난성과 접경한 지역인 샨주 라우카이에 위치한 스캠 범죄단지들을 조사하기 위해 파견 활동 중, 한 달 정도 지난 10월 후반경부터 밍씨 가문이 관리하는 단지에 잠입한 언더커버 요원 4명이 발각되어 스위엔쯔에 위치한 밍씨 일가의 저택으로 끌려와 앞마당에 생매장당했다는 '10.20 사건' 소문이 퍼졌다.결론부터 말하자면 10.20 사건은 실제로 일어난 일이었다. 그러나 신화통신에 의하면 이들은 실제로는 공안이 아니라 구금되었다가 도망치면서 총격전에 휘말려 죽은, 밍지아에게 납치되어 온 피해자들이었다.[23] 그러나 당시 많은 네티즌들이 이 소문을 믿어 충격에 빠졌었고[24], 곧바로 적법한 수사를 요구하는 여론이 들끓었다.
또한 피해자가 공안이 아닐 뿐 단지에 공안이 잠입해 있던 것 자체는 사실이었고, 생매장도 사실이었다. 실제로는 4명이 더 추가되어 8명이 매장되었고, 이 중 4명은 시신, 4명은 숨이 붙어 있는 생존자였음에도 생매장당했다. 이는 밍전전의 지시 때문이었다.
중국 공안이 밝힌 사건의 발단은 이렇다. 수사망이 좁혀오자 밍씨 가문은 와호산장에 입주해 있던 '쩐주'들에게 20일에 해당 단지를 급습할 것이니 알아서 잘 준비하라는 통보를 보낸다. 이는 밍전전의 지시로 사기 연루자들의 중국 송환을 막기 위해 다른 밍씨 범죄단지에서 밍전전이 관리하는 청더맨션, 동후산장 등 단지로 쩐주들을 안전하게 호송하고 노예들을 옮기는 작업을 하기 위해 밍씨 일가 측에서 꾸민 일종의 대외용 쇼였다.[25] 그러나 이 과정에서 이동하던 중 심상치 않은 분위기를 깨달은 피해자 8명이 탈출을 시도하자 밍지아 조직원들이 도망가던 피해자들에게 무차별 발포했다. 이들 중 시신과 부상자, 생존자를 구분하지 않고 전부 매장한 채 도주한 것이었다. ## 이를 실제 잠입해 있던 진짜 공안 언더커버들이 본국에 알린 것으로 알려졌다.
이 사실이 알려지자 중국 네티즌들의 여론은 '제2의 메콩강 학살'[26] 이라며 들끓었다. 이로 인해 중국에서도 이 범죄자 일당에 대한 처벌 요청이 쇄도하고, 중국 정부에서 공식적으로 미얀마 내 통신사기 가담자가 10만여 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하는 발표가 뜨면서 샨주의 범죄단지들이 본격적으로 주목을 받게 되었다.#
3.1.3. 1027 작전과 5대 가문 시기의 종결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1027 작전#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1027 작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라우카이 전투#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라우카이 전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라시오 전투#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라시오 전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일이 진정될 기미가 보이지 않자 결국 미얀마군의 한심한 행태를 보다 못한 중국은 중국-미얀마 관계를 감수하고서라도 아예 MNDAA를 지원하고 연합작전을 펼쳐 이들 지역을 공격하고, 이 과정에서 범죄자들을 대거 구속하여 중국으로 압송해 갔다. MNDAA 반군은 코캉족 군벌로 성향도 시진핑 사상을 따르는 친중 군벌이기에 중국의 요청에 잘 협조하였다.
광동성 선전시 공안 당국은 2023년 11월경부터 본격적으로 수사를 진행하기 시작했다. 선전 공안은 전국 200여 개 도시에 1,000여 명의 정예 요원을 파견하여 수천 명의 통신 사기 피해자를 조사하고 증거를 수집하여 증거를 포괄적으로 수집하고 확보했으며 미얀마 법집행기관을 압박하여 협력수사를 통해 마약 제조도구 등 물적 증거를 압수할 수 있었다. 또한 전쟁 위협을 무릅쓰고 미얀마 북방에 다섯 차례에 걸쳐 특수부대를 급파하기도 했다. 저장성 저우산 공안국 역시 수사에 척극 협력하여 주요 용의자를 체포 및 심문했다.
2023년 10월 27일부터 MNDAA, 타앙민족해방군, 아라칸군의 '삼형제 동맹(ညီနောင်မဟာမိတ်သုံးဖွဲ့, 三兄弟联盟)'과 버마 공산당, 카친 독립군 등 기타 연합군에 의해 시작된 1027 작전으로 반군 연합이 이들의 거점인 코캉을 전면 침공하게 되었다.
지금까지 밍기적대던 미얀마는 작전이 시작된지 3일이 지난 10월 30일이 되서야 뒤늦게 미얀마군을 동원하여 코캉의 범죄단지들을 급습했다. 코캉 지역 언론은 미얀마 정부가 와호산장 사기 조직에 대한 특별수사 및 수색작전을 군에 위임했다고 보도했고, 같은 날 불법 입국하여 사기에 연루된 중국 국적자 700여명이 와호산장 내에서 체포, 10월 31일에는 현지 경찰의 수색 작전을 통해 중국에서 도주한 후 와호산장에 숨어 있던 중국인 용의자 300여명을 체포했다고 밝혔다. 2023년 11월 2일 미얀마군은 와호산장에 또 기습을 가해 수백 명의 통신 사기범을 체포하고 많은 수의 총기와 탄약을 압수했다. 그러나 이미 이런 식으로 대처하기에는 너무 늦은 상황이었다.#
제일 먼저 타겟이 된 것은 이 사태를 유발한 밍씨 일가였다. MNDAA는 소문의 중심에 있는 바로 그 스위엔쯔 저택이 '전략적 거점에 위치해 있다'는 이유로 저택을 152mm 야포 일제사로 날려버려 이 과정에서 많은 조직원들이 죽었다.[27]
11월 15일에는 중심지 라우카이에 삼형제 동맹이 입성하여 라우카이 전투가 시작되었다. 밍쉐창은 라우카이에도 반군이 진격해 들어오자 11월 15일 밤 라우카이에서의 전투 개시 하루도 안 지나서 라우카이 시내 아파트에서 자살했다. 이들 범죄자가 저장성 인민재판소 법정에 세워지고 중국 현지에서 이들에 대한 처벌 청원이 속속 올라왔다. # # 밍쉐창의 자녀들이자 똑같이 범죄단지 운영에 가담한 밍궈핑(明国平), 밍쥘란(明菊兰)은 라우카이에 숨어 있다 다음날인 11월 16일 미얀마의 협조로 체포되어 난산 국경 검문소에서 중국 공안에게 인계되었다. # 밍전전 역시 같은 날 체포되었다. #
밍씨 일가가 체포된 이후 특별조사위원회는 신속하게 심문 작업을 진행했고 쿤밍, 린창, 원저우 공안기관은 합동 조사를 실시하여 미얀마 북부에서 귀국하여 사기에 연루된 수만 명을 조사했다. 이 사건을 경험했거나 알고 있던 400여 명을 추적 조사하여 사건의 진상을 파악하고 정식 수사에 착수했으며, 문제의 저택 앞마당 역시 발굴되어 유해가 수습되었다.
물론 미얀마 정부가 그러거나 말거나 이미 중국의 지지로 자신감을 얻은 삼형제 동맹은 파죽지세로 범죄단지 운영집단들은 물론 현지 미얀마 군경, 친정부 민병대까지 전부 쓸어버리면서 코캉 깊숙히 진격하였다. 와호산장은 12월 8일 MNDAA가 점령했다. 잠깐의 휴전 끝에 이듬해 1월 5일 라우카이 시내가 함락되었다. 동년 8월 3일에는 지역 거점 라시오까지 점령, 미얀마 내전 개전 이래 14개 미얀마군 사령부 중 최초로 미얀마군 북동부 지역사령부를 점령했다. # 작전 결과 현지 미얀마 군경과 5대가문이 궤멸되면서 2009년부터 14년여간 이어저 온 코캉의 범죄시대는 일단락되었다.
압송된 밍지아 조직원 39명은 유죄 판결을 받았다. 특히 생매장을 지시한 손녀 밍전전과, 자녀 밍궈핑, 밍쥘란을 포함해 저우웨이창(周卫昌), 뤄자량(罗家良), 우훙밍(巫鸿明), 우센룽(吴森龙), 푸위빈 등 주요 간부 및 쩐주 11명은 2025년 9월 30일 전원 사형을 선고받았다. ## 그 외 비휘쥔, 장지(姜基), 뤄젠장(罗建章), 추지(邱智) 등 다른 간부들 및 쩐주들도 징역 24년형 등의 처분을 받았다. 이들이 범죄수익으로 끌어모은 수익은 도합 100억 위안으로 한화 약 1조 9,600억에 달한다고 한다. 땃머도와 삼형제 동맹 측 모두 이 결정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다. 밍쉐창의 시신 역시 중국으로 이송되어 부검을 거친 후 코캉으로 송환되었다. #
밍지아가 멸망한 이후 2주 정도가 지난 2023년 11월 19일에는 갑자기 헬기가 추락하여 바이숴청, 바이잉창, 바이잉란, 그리고 차오창리가 사망했다는 소식이 갑작스럽게 커뮤니티 등지에서 나돌게 된다. 한창 작전이 진행되던 중이라 반군에 의해 격추된 것이 아니냐는 이야기가 돌았다. 그러나 이는 가짜뉴스로, 바이 일가가 죽음을 위장하여 도주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꾸며낸 이야기라는 설이 유력하다. 어찌 되었건 이 추락사고에서 사망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으며, 바이숴청과 바이잉창은 나중에 멀쩡히 살아 있는 상태로 발견되어 중국으로 압송되었고 바이잉란과 차오창리는 아직까지 도주 중이다. 한 달 정도 지난 12월 11일 경 중국 공안 측에서 공식적으로 코캉 10대 수배범 목록을 발표하면서 이 넷의 사망설은 부정되었다.
류장치와 웨이차오런의 아들 웨이칭타오(魏清涛), 밍쥐란의 남편인 비휘쥔(毕会军) 등 11명은 1027 작전이 시작되기에 앞서 10월 1일 윈난성 린장에서 열린 무역박람회에 갔다가 중국 당국에 체포되었다. # 이들은 체포된 지 한 달이 지난 11월 10일 무슨 일을 당했는지 초췌해진 모습으로 코캉의 가족들에게 범죄단지의 피해자들을 조속히 풀어줄 것을 호소하고 자신의 죄를 자백하는 영상을 구금 상태에서 촬영했다. #
밍지아 일원들뿐만 아니라 다른 세 가문들의 핵심 인사들도 중국 공안에게 차례로 현상금이 내걸려 2023년 말~2024년 초를 기점으로 대량으로 잡혔다. 바이숴청, 바이잉창, 바이잉녕과 바이잉핑, 류정샹과 동생 류정마오(刘正茂), 웨이화이런 같이 통신 스캠 사업으로 재산을 불리던 4대가문의 친군부 한족 유력인사들과 그들을 보좌하던 일부 간부들도 웨이 가문 핵심 관련자만 36명이 잡히는 등 추가로 반군에게 체포되었다. 일반 조직원들도 대량으로 압송되었다. 4대가문 이외에도 개별적으로 성위안그룹(系盛源集团, Shengyuan Group)을 운영하며 샨주에서 14개의 범죄단지를 굴려 피해액만 11억 위안의 통신사기를 저지른 쉬파치(徐发启), 뤄위쥔(罗玉军) 등 기타 범죄단지 운영총책들도 잡혀 중국으로 압송되었다.
2024년 1월 30일 공안은 지속적인 수색 결과 핵심 구성원 171명, 도주자 2,908명을 포함하여 미얀마 북부에서만 총 4만 4천여명의 범죄 용의자를 중국으로 압송했다고 밝혔다. #
상술한 펑자성 배신 이력 때문에 4대가문 인원들은 원래도 MNDAA에게 단단히 찍혀 있던 상황이었다. 또한 국경수비대에 가담하며 미얀마군의 앞잡이 노릇을 했기 때문에 다른 반정부 군벌들과 민주화 운동가들에게도 이들은 범죄자였다. 따라서 코캉의 수비가 중국의 지지 하에 토담 무너지듯 빠르게 뚫리고 패권이 MNDAA에게 넘어가자마자 도망칠 새도 없이 다같이 잡히고 말았다. 이들은 코캉까지 찾아온 윈난성 공안과 선전시 검찰에게 인계되어 그 길로 중국으로 압송되었다. # 웨이롱과 웨이칭쑹(魏青松), 바이잉란, 바이잉샹, 바이잉가이, 차오창리, 류지광을 비롯한 일부 잔당들은 아직 공안의 눈을 피해 도주 중이다. MNDAA는 라우카이와 라시오 시내를 접수한 이후 범죄단지와 스캠 문제를 청산하고 있다. #
결과적으로 미얀마는 괜히 세력을 유지하겠답시고 범죄자들을 봐 주고 있다가 결국 믿고 있던 중국의 개입으로 멀쩡한 영토를 통째로 반군에게 상납하고 말았다. 1027 작전의 패배는 미얀마 독립 이래 미얀마군이 겪은 가장 중대한 영토 상실이었다. 특히 라시오 전투의 패배로 북동부 지역사령부가 MNDAA에게 점령당하면서 미얀마군 입장에서는 2021년 쿠데타로 권력을 잡은 후 사상 최초로 사령부를 반군에게 점령당한 대참사가 터지고 말았다.
허나 중국 역시 샨주 범죄단지 성행에 책임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윈난에 갔다가 체포된 류장치 일행은 5월까지만 해도 네피도에서 열린 미얀마 주재 중국 대사와 린창시 시장 등 중국 관리들이 대거 참여한 고위급 중국-미얀마 국경 박람회에 귀빈으로 참석하여 '상호이익증진의 주역'으로 취급받고, 화웨이, 차이나텔레콤 옆에서 나란히 부스를 차리며 기업가로 대접받았다. 이들은 5달만에 전 중국 인민들에게 찍힌 반동 범죄자가 되어 허무하게 끌려갔다. 시진핑 주석이 중국 국경과 그 너머의 인프라 프로젝트를 통해 중국의 지역적, 세계적 영향력을 구축하려는 1조 달러(1300조 원) 규모의 일대일로 사업을 추진하는 데 이 중국계 미얀마인들은 유용한 파트너이자 안정의 보증인이었다. 기업 기록에 따르면 한족인 이 가문들은 중국에 회사를 설립하고 보통 중국 국민들에게만 발급되는 신분 증명서를 획득하는 등 거의 중국인에 준하는 취급을 받고 있었다.
코캉의 범죄 가문들이 중국 국가 관리들과 깊이 협력했다는 증거는 중국 인터넷과 SNS에서 부분적으로 삭제되었지만, 일부는 워싱턴포스트가 보관하고 그 진위를 확인했다.# 워싱턴포스트는 10.20 사건이 불거지기 이전에는 오히려 중국 측에서 이들을 동남아 진출 교두보로 이동하며 '경작'했다고 비판했다. 또한 중국 법원 기록을 검토하여 지난 10년간 코캉과 연관된 형사 사건 1100건 이상을 발견했으며 그 중 일부는 구체적으로 세 가문이 운영하는 합숙소, 사업체와 관련이 있었다고 보도했다. 기록에서 볼 수 있는 거의 모든 사건이 불법 도박, 인신매매, 마약과 관련된 하급 조직원들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지만, 가문의 수장들은 계속해서 인접한 윈난성 관리들을 비롯한 중국 관리들과 일했다고 한다. 허나 계속되는 인신매매가 국내 정치 문제로까지 버티자 중국이나 미얀마나 중앙에서 뒤늦게나마 이를 수습한 것이다.
워싱턴포스트는 류 가문의 풀릴라이 그룹, 고보 이스트의 자회사 워너인터내셔널, 웨이 가문의 헨리 그룹 등 코캉 가문들이 운영하는 회사들에 웹사이트에 여전히 나와 있는 주소로 이메일을 보냈지만 어떤 답변도 받지 못했다. 중국 정부의 지속적인 단속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범죄 네트워크들은 근절하기 어려운 것으로 드러났다. 체인애널리시스 회사의 암호화폐 지갑 분석과 미얀마의 상업 수도 양곤에 있는 가문들의 사무실을 직접 방문한 결과에 따르면 코캉 가문들과 연관된 자회사들과 사업들은 전투 이후에도 여전히 온전히 남아있었다고 한다. 워싱턴포스트는 류 가문의 룰릴라이 그룹과 그 자회사들, 온라인 카지노 운영자인 워너 인터내셔널을 포함해 연결된 암호화폐 지갑의 확인된 주소를 블록체인 분석 회사인 체인애널리시스에 제공한 결과, 이 사업체들이 2024년 4월까지도 테더 중개 지갑을 통해 수백만 달러를 계속 이동시키고 있었음을 발견했다는 답장을 받았다.#
한편으로는 MNDAA 역시 범죄단지, 인신매매, 마약 및 스캠 사업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2024년 4월에는 스캠 및 살인에 관련된 MNDAA 소속 군인 3명이 공개처형당하기도 했다.[28] # 또한 중국은 샨주에서 범법자들을 모두 끌고 온 후 태도를 바꿔 2024년경부터 MNDAA 수장 펑다쉰(彭大顺, ဖုန်တာရွှင်)을 중국으로 불러들인 후 감금하는 등의 수단으로(본인들은 단순 건강검진이라고 주장했다) 라우카이를 점령한 삼형제 동맹 반군들에게 미얀마군에게 통제를 다시 넘길 것을 종용했다. 협상 끝에 결국 일정 지역이 다시 땃머도의 수중 아래 돌아가게 된다. 때문에 제2차 라우카이 전투는 2025년 현재도 진행중에 있다.
2024년 시점에서 코캉 범죄가문들이 소유하던 카지노와 호텔, 클럽들은 전투가 끝난 후 그대로 방치되어 벽이 무너지고 탄흔이 한가득 남은 폐건물로 남아있게 되었다. 피해자들을 협박할 때 이용당한 호랑이 1마리와 곰 5마리는 여전히 그 우리 안에서 생존하여 반군 장병들이 주는 닭고기를 받아먹으며 살고 있었다고 한다.
2025년 10월 15일 중국 중앙 텔레비전은 방송 프로그램으로 체포된 이들 5대 가문 일원들이 그동안 코캉에서 벌여 왔던 범죄 활동을 대중에 공개했다.#
3.1.4. 와주
샨주 안에 있는 비공식 자치주인 와주 역시 와주연합군과 연계된 범죄단지들이 운영 중에 있다. 원래는 도망쳐 온 범죄자들에게 높은 보호료를 받으면서 보호해 주는 것에 그쳤으나, 이윽고 자신들도 직접 범죄단지를 운영하는 것으로 추세가 바뀌었다.이전부터 와주연합군의 마약 사업에 가담해 왔던 와주연합군 2518연대장 겸 와주 건설부장 천얀반(陈岩板)과 와주연합군 총사령관 바오유샹(鲍有祥, ပေါက်ယူချန်း) 가문의 사위이자 샨주 멍능현의 현장 샤오얀콰이(肖岩块)가 범죄단지 사기에 가담했다. 와주연합군 측에서는 천얀반을 통일와주당 정치국 위원직과 와주 건설부장직에서 해임하고 당과 군에서 제명시켰는데 범죄단지와 관련이 있는 조치인지는 불명이다. 이들은 공안에 의해 현상금이 걸려 있으며 아직도 수배 중이다.
그러나 와주연합군과 이를 이끄는 바오 일가가 범죄단지에서 무관하다고는 단정짓기 힘들다. 현재 와주의 범죄단지 운영에는 총사령관 바오유샹의 가족들이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바오유샹의 조카 바오쥔펑(鲍军峰)은 중국 이중국적자로, 젊은 시절 쿤밍의 육군사관학교에서 수학한 후 싱가포르와 영국의 군사학교를 다닌 엘리트 출신이다. 바오쥔펑은 학업을 마친 후 와주 멍보현에 범죄단지를 설립하고 단지에 입주한 사기조직들로부터 높은 보호비를 징수받았다. 바오준펑은 처벌은 커녕 2022년 8월 와주연합군 부사령관직에 임명되는 등 오히려 승진하였다. 바오쥔펑은 2023년 10월 통신사기에 연루된 혐의로 중국 공안에 체포되었다. #
바오얼펑의 조카 중 한 명이자 와주연합군 포병여단장인 바오쥔롱(鲍军龙)의 아내 주셴메이(朱仙美) 역시 중국 현지에서 악녀로써 악명이 높다. 주셴메이는 본래 중국에서 여캠 방송을 진행하던 인터넷 방송인으로 바오쥔롱에게 결혼한 후 와주 범죄단지로의 인원모집에 적극 가담했다. 주셴메이의 주 레퍼토리는 어느 날 군벌 집안 조카와 결혼한 자신의 이야기를 마치 로맨스 소설이나 드라마같은 식으로 포장하여 신데렐라 컴플렉스를 자극하고, 비싼 외제차 운전석에서 온갖 명품을 휘황찬란하게 온 몸에 두른 사진을 찍어 부를 과시하며 와주에 오면 자신처럼 부유한 군벌과 결혼해서 호화생활을 할 수 있다는 식으로 SNS 이용자층의 허영심을 자극했다. 나중에는 아예 미얀마 북부의 군벌 자제 남성들과 중국인 여성이 연애를 하는 웹소설 장르까지 나오게 되었다. 와주연합군 군복을 입고 찍은 사진도 있다. # 바오쥔롱 역시 와주연합군의 범죄단지 관련 사업 부문에 대한 전권을 일임받아서 진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셴메이는 이렇게 모은 돈으로 인플루언서이자 사교계 스타 생활을 했다. 이런저런 파티나 행사에 참여하여 중화권 스타들과 사진을 같이 찍으면서 친분을 과시하는 것은 물론 송혜교, 서기, 장자니와도 사진을 찍기도 했다. 또한 다이아몬드, 에메랄드, 비취 등 온갖 휘황찬란한 주얼리들과 오트 쿠튀르 옷을 입어 SNS에 찍어 올렸다. #
3.2. 카인주 및 매싸이·매솟
카인주 역시 상황이 좋지 못하다. 카인주는 미얀마 군부정권에 제일 격렬하게 저항하는 소수민족 중 하나인 카렌족의 주 거주지이자 카렌 민족해방군의 활동거점이다. 때문에 이 곳은 2021년 미얀마 쿠데타 훨씬 이전인 버마 연방 시절부터 미얀마에서 나가겠다는 카렌족과 그렇겐 못 두겠다는 버마족 미얀마군의 혈투가 상시 펼쳐지는 치안 불안지대이자 유사 전쟁터였고, 그 특성상 접근이 굉장히 어려운 곳이다. 때문에 이 상황을 백번 이용한 범죄자들이 많이 들어와 범죄단지를 차리게 되었다.한편으론 군부정권에게 이런 저런 혜택을 받고 부역하며 마약 밀매, 인신매매, 통신사기, 도박 사업, 검문소에서의 뇌물 수수 등에 협조하는 친군부 군벌인 카렌 국민군(KNA, Karen National Army, ကရင်အမျိုးသားတပ်မတော်)도 활동한다. 이들은 원래 카렌 민족해방군 소속이었으나 내분을 겪고 따로 떨어져 나온 민주카렌불교도군(DKBA, Democratic Karen Buddhist Army, တိုးတက်သော ဗုဒ္ဓဘာသာ ကရင်အမျိုးသား တပ်ဖွဲ့)이 그 전신이다.
민족해방군과 대판 싸우고 나온 DKBA 세력들은 이후 미얀마군 측으로 변절하고, 아예 조직 자체가 미얀마군에 합류한다. 이들은 샨주의 5대 가문이 그랬듯 2009년 휴전 협정을 맺은 모든 반군을 국경수비대 아래에 묶어 놓으라는 명에 따라 국방장관으로부터 국경수비대 완장을 부여받고 정치경찰, 용역깡패 역할을 해 줬다. 이들은 미얀마군에 부역하면서 카인주 지역의 반정부 반군들 및 민주화 운동가들을 대신 처리해주는 대신에 많은 혜택을 받았으며, 군부 정권과 연계된 범죄조직들과도 관계를 맺고 있다. 미얀마군의 하부조직답게 DKBA 시절부터 대신 민간인을 학살하거나 말 안 듣는 마을을 불태우고, 전쟁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마약과 무기를 밀매하는 등 전쟁범죄에도 힘썼다.
2010년 민주카렌불교도군 제5여단이 분열되어 다시 민족해방군 측에 합류했고, 2020년대 들어 민주카렌불교도군의 일부 세력은 미얀마군 상층부와 또 내분을 겪고 갈라진다. 내분을 겪고 미얀마군과 결별한 이들과 달리 미얀마군에서 조직적으로 독립하는 대신 미얀마군 편을 계속해서 들기로 한 세력이 바로 카렌 국민군이다. 국민군은 미얀마군처럼 본인들이 직접 레스토랑, 편의점, 관광지 개발, 케이블카, 광산 등 온갖 사업을 벌리고 ZMH 그룹과 같은 친군부 기업들과 관계를 맺기도 한다. 그래서 국민군에는 일반적인 군 계급 외에도 이사 등 직급도 있다. 국민군은 공식적으로는 미얀마군에서 분리독립한 상태이지만 땃머도 및 범죄조직들과의 관계는 계속 유지하고 있다. 이들은 다른 조직범죄단에 부동산을 임대해주고, 인신매매, 밀수, 범죄단지에 전력공급시설을 지원하는 등 사이버 범죄 산업에 적극 협력한다. #
샨주가 중국-미얀마 국경 지대라 중국 본토에 주로 피해를 준다면 카인주는 태국-미얀마 국경 지대에 있는 특성상 태국과 방글라데시에 그 위험이 번진다. 납치를 주 업으로 하는 범죄조직들은 태국의 접경지대에서도 활동중이며 이들은 태국 국경지대에 찾아온 외국인들, 특히 가난하고, 빽 없고, 말도 안 통해서 탈출할 때 어려움을 겪는 방글라데시 국적자들을 납치하여 미야와디 등으로 데려와 감금시키기도 한다. 시드니 모닝 헤럴드의 취재에 의하면 어떤 방글라데시인은 오토바이 사고 후유증을 치료하기 위해 태국을 찾았다가 불상의 범죄 조직에게 납치되어 미얀마로 끌려갔다고 한다. 미얀마에서 에티오피아 국적자들이 대량으로 감금된 것이 밝혀진 적도 있었는데, 이들은 원래 태국으로 일하러 오는 것으로 범죄조직이 속여 납치된 것이었다. #
엽문 3와 중국 드라마 '매괴적고사' 등에 출연한 중국 배우 왕싱(王星)이 이렇게 미얀마 카인주로 납치된 피해자들 중 하나로, 태국에 촬영 차 출장을 갔다가 캐스팅 명목으로 2024년 12월 매솟으로 유인되어 미얀마로 납치당했다. 왕싱은 2025년 1월 6일 범죄 단지가 많이 위치한 미얀마 카인주의 국경도시 미야와디에서 발견되어 구출되었다. 발견되었을 때에는 삭발을 당해 있었고, 이전보다 체격이 야위어 있던 상태였다. 왕싱을 납치한 10여명의 범죄자는 공안이 태국, 미얀마와 공조수사를 진행한 끝에 체포되어 중국으로 압송되었다. #
그러나 샨주에 이어 카인주까지 중국인 대량 납치가 이슈화된 이후로는 미얀마 군부와 카렌 국민군도 중국의 압력에 못 이겨 보이스피싱 일당 807명 중 중국인 352명을 공안에 넘겨주거나, 상술한 왕싱을 납치한 10명을 중국에 인계하는 등 이전보다는 적극적으로 협조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조치는 중국의 심기를 건드리지 않기 위해 중국인이 피해를 입은 사건에 한정될 뿐 아직도 미얀마 땅에서는 많은 수의 범죄단지가 운영되고 있다.
캄보디아뿐만 아니라 미얀마 범죄단지에도 한국인이 납치되어 끌려온다. 피해자는 태국 수완나품 공항에서 한국인 유인책에 의해 미야와디로 납치되었다. #
미국 해외자산통제국은 2025년 5월 국민군과 국민군의 수장 소 칫 투(စောချစ်သူ), 두 아들 소 투 에무(Saw Htoo Eh Moo), 소 칫 칫(Saw Chit Chit), 그리고 카렌 국민군 임원이자 전직 국민군 대령으로 KNA의 다양한 돈줄 회사들을 관리하고 있는 소 민 민 오오(Saw Min Min Oo)를 마약 밀매와 범죄단지 운영, 강제노동, 아동노동을 비롯한 다양한 인권침해에 연관되어 있다고 판단하여 SDN 리스트에 올렸다. 소 칫 투는 군정 수장 민 아웅 흘라잉과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2025년 9월 8일에는 국민군과 관련된 9명의 개인 및 회사에 추가로 제재를 가했으며 마르코 루비오는 국민군을 국제 범죄단체로 규정하였다.
3.2.1. KK파크
| KK파크(KK원구) |
| |
| KK파크 전경. 태국 지역 상공에서 바라보며 찍은 사진이다.해당 위치 |
카인주 미야와디에 위치한 KK 파크(KK 원구, KK 공원) 범죄단지는 카인주 범죄단지의 상징이나 다름없는 대표적인 범죄단지로, 카렌 국민군이 보안과 전기를 제공한다고 알려져 있다. 단지의 경비들이 국민군 패치를 부착한 것이 포착되었다고 한다. # 실제로 캄보디아 범죄단지가 부상하기 전에는 KK파크가 범죄단지의 대명사격이었고, 특히 대만인들과 인도인들이 많이 잡혀 있던 것으로 악명 높다. 지금도 일본에서는 KK파크가 범죄단지 전체를 칭하는 단어로 사용되고 있다.
| 완콕코이(尹國駒, Wan Kuok-koi) |
KK파크는 마카오인 완콕코이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고 알려진 범죄단지이다. KK가 완콕코이의 이름에서 따 온 것. 완콕코이는 홍콩의 유명 삼합회 조직중 하나인 14K(十四K) 마카오 지부의 두목이며, 2020년부터 부정부패 혐의로 글로벌 마그니츠키 제재에 따라 미국 재무부에 의해 SDN 리스트에 등재되었다. #
현직 삼합회 간부가 직접 통치하고 있는 범죄단지인 만큼 KK파크의 고문은 캄보디아보다도 굉장히 잔혹하고 현지 경찰과 연관이 있다는 것을 자랑이라도 하려는 것인지 범죄자들이 경찰 제복을 입고 침대 밑에 들어간 피해자를 전기충격기로 고문하는 영상이 찍히기도 했다. 또한 내부 정보 통제에도 전혀 신경을 안 쓰는지 그 영상과 사진들이 인터넷에 많이 퍼져 있는 편이다. 이 영상들은 2020년대 초반부터 인터넷에 퍼지기 시작했다.
캄보디아보다도 상황이 안 좋은 미얀마답게 KK파크의 규모는 캄보디아의 웬만한 범죄단지들보다도 훨씬 크다. 또한 위 사진의 대규모 단지 말고도 해당 사진 장소의 북서쪽 방향 지역에도 KK원구 단지가 2~3곳이 추가로 더 있다. 해당 지역들은 미얀마 반군이 점령중인 지역이기에 외부에서 제대로 된 취재조차 힘든 상황으로 캄보디아의 범죄단지들보다 더 열악한 상황일 것으로 보인다.
태국은 2023년에 태국 주재 미얀마 대사관의 슈웨 코코와 KK파크에 대한 전력 공급 중단 요청에 따라 두 범죄단지로 통하는 전력 공급을 끊었다. 그러나 이러한 조치에도 불구하고 두 범죄단지는 자체 발전기를 돌리고 국경수비대의 도움을 받아 연료를 밀수하며 버텨냈다. 결국 이듬해인 2024년 KK파크는 2년도 되지 않아 피해자들로부터 1억 달러 이상을 뜯어내는 데 성공했다. #
2025년 10월 21일 중국과 태국의 압박을 이기지 못한 미얀마군이 결국 백기를 들고 KK단지를 직접 습격해 2,198명을 체포하고 정식 라이선스를 받지 않은 해적판 스타링크 단말기 30대 등 범죄 장비들을 압수하였다. 급습 당시 현장에는 1층 건물 10채, 2층 건물 100채, 4층 건물 20채, 5층 건물 2채를 포함해 상점, 차고, 진료소 등 건물 수백 채가 들어서 있었다. 현지 매체 알린은 "이 복합단지 내 어떤 건물도 공식 허가, 건축 허가, 토지 소유 증명서를 찾을 수 없었다"고 전했다.#1#2 단, 미얀마 군부가 범죄단지 의혹에 깊게 개입된 만큼 후술할 카렌 민족군의 스웨 코코 습격이나 캄보디아 국가경찰의 태자단지, 망고단지 습격처럼 군부가 일부 복합단지만 통제하고 중국과 태국의 압력에 진압 시늉만 한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하는 이라와디, BBC, 더 디플로마 등의 의견도 있다.
미얀마군 장병들이 범죄자들이 KK단지에서 도망쳐 나와 강을 건너고 있는데도 쳐다만 보면서 방조했다고 한다. 미얀마군은 스타링크 등 장비는 압수했으나 '범죄 증거는 찾을수 없었다'고 밝혔고, 미얀마군의 동맹세력인 카렌 국민군(카렌국경수비대)은 급습 전날 21일부터 KK단지에 정보를 흘려 중국인 간부들을 빼냈고, 급습 당일에는 문을 열고 나머지도 도망치도록 하면서 범죄자들이 도망가는 데 도움을 주었다.
현지 관계자는 단지 내 200여동 건물에 2천 2백여명이 있었으나 실질적 체포자는 없었으며, 도망친 이들은 태국 국경지대나 인근 마을에 한동안 머무르면서 추적을 피했고, 당일 매솟의 태국 국경 게이트에는 중국, 베트남, 한국, 인도, 파키스탄 등 다양한 국적자들이 1,500여명정도 몰려 있는 것이 포착되었다. 태국은 이들 중 단 160명만 입국을 허가했다. 사기 행위도 계속되었다고 한다. 사실상 그냥 다 알고 잠깐 나갔다 온 셈이다. #
한편 스타링크 측은 범죄에 이용된 것으로 보이는 단말기 2천 500여대를 차단했다고 밝혔다. #
27일 미얀마군이 KK파크 일부를 폭파해 파괴했다는 소식이 보도되었다. 29일 미얀마 정보부는 지난 9달동안 중국, 태국 정부와 합동으로 범죄단지에 대한 단속을 벌여 외국인 10,119명을 붙잡아 이 중 9,340명을 출신국으로 송환시켰다고 밝혔다. # 단, 미얀마 정보부는 현재 미얀마 군부의 선전작업에 앞장서는 국가부처이며 미얀마의 검열 작업에도 깊숙히 관여해 있는 곳이기 때문에 실제로 그만큼의 범죄자들이 체포되었는지는 교차확인이 필요해 보인다.
3.2.2. 슈웨 코코
| 서즈장(佘智江) |
서즈장의 회사인 야타이 인터내셔널 홀딩스 그룹은 서즈장과 미얀마 카렌 국민군의 합작투자회사이다. 특히 미얀마의 야타이 신도시 개발은 이들이 투자하는 가장 큰 프로젝트 중 하나이다. 스카이뉴스에서의 인터뷰에서 관련자가 출연하기도 했는데, 본인들은 그냥 투자개발 회사이며 범죄집단들은 그저 자신들의 수많은 투자자들 중 하나일 뿐이고, 그들이 무엇을 하는 지 알 수 있겠느냐며 반박했다. 또한 자기들은 2020년부터 인신매매와 스캠에 대한 예방조치를 실행했고 현재 자기들이 개발 중인 야타이 신도시에는 단 한 건의 인신매매 사건도 없었다고 주장했다. 이외에도 사라왁 출신 말레이시아인 림쥔제(Lim Jun Jie)와 차우톈위(Chow Tian Yu)가 이사 겸 소액 주주로 있다.
미얀마 주재 중국 대사관은 해당 프로젝트가 제3국의 투자이며 일대일로 이니셔티브와 아무 관련이 없다며 공개적으로 반박했다. 그러나 2017년 야타이 필리핀 대표와 카렌 국민군이 최초 신도시 개발 협정을 체결할 때 미얀마 주재 중국 대사관 경제통상 참사관 셰궈샹(谢国祥, Xie Guoxiang)이 그 자리에 참석해 있었고, 야타이 그룹의 본사는 홍콩에 등록되어 있다. 서즈장은 해당 행사에서 현재 범죄단지가 세워져 있는 슈웨 코코에 대해 분명하게 거론했으며 중국 기업의 카렌 주 투자를 지원하겠다고 제안했다고 한다. 따라서 중국 권력층이 범죄단지 건립에 아예 책임이 없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서즈장은 그 이후로도 캄보디아 후난 상공회의소를 포함한 11개 협회의 명예 회장 또는 창립 회장, 홍콩 미얀마-중국 우호 협회의 상임 명예 회장을 역임하고 있었고, 중국해외화교연합회 산하 중국해외화교기업연합회 부회장을 역임했으며, "중국해외화교기업" 잡지 표지에도 등장했다. 2018년 11월 시진핑이 필리핀을 방문했을 때 로드리고 두테르테 전 필리핀 대통령의 초대를 받아 시진핑이 주최한 환영 만찬에 참석하기도 했다.#
서즈장은 2014년 산둥성에서 불법 복권 사업으로 유죄 판결을 받고 오랫동안 쫓겨 온 현상수배범으로, 중간에 캄보디아 국적을 사면서 귀화 캄보디아인이 되었다. 2022년 태국 경찰에게 체포될 때까지 도피 생활을 이어 왔으며, 2025년 시점에도 서즈장은 여전히 태국 감옥에 갇혀 있다. 태국 감옥에 갇힌 이후 서즈장은 지속적으로 "사실 본인의 투자 프로젝트는 중국 일대일로 프로젝트의 결과물이며 본인도 필리핀의 앨리스 궈처럼 중국 정부가 캄보디아로 보낸 간첩이다", "체포되었기 때문에 중국 정부에게 정치적 목적으로 죽임을 당할 것이다", "감옥에서 고문과 비인도적 처우를 받았다"라고 호소해 왔지만 정확히 밝혀진 것은 없다. 서즈장은 캄보디아와 미얀마에서의 심각한 인권 침해 혐의로 미국의 제재 리스트에 올랐다.
서즈장은 2018년부터 2021년 2월까지 여러 회사를 등록하고 온라인 도박 플랫폼을 개설하여 33만 명의 도박사들을 유치, 총 2,220만 달러에 달하는 불법 범죄수익을 창출하여 해외로 반출시켰다. ##2
이렇게나 악명 높은 슈웨 코코였지만 왕싱 납치 사건 이후로 분노한 중국의 압력에 의해 수사 대상이 되었다. 서즈장이 체포되고도 슈웨 코코는 2025년 초까지 잘 가동되고 있다가 2월부터 왕싱의 납치 사건을 계기로 시작된 중국 당국의 압력에 따라 태국에서 다시금 미얀마로의 전력 송전과 연료 공급을 차단했다. 이어서 이들과 붙어 먹던 국경수비대/카렌 국민군 역시 중국의 압력에 못 이겨 결국 슈웨 코코를 수색하여 억류되어 있던 피해자 61명을 태국으로 송환한 것을 시작으로 7천 명 가량의 피해자들이 태국을 통해 본국으로 송환되기 시작했다. # 이들은 태국군 기지에서 보호를 받은 후 귀국을 기다리고 있다. 중국인 600여 명 역시 3편의 항공편을 통해 본국으로 귀국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는 중국의 심기를 당장 거슬리지 않기 위해 보여주기식으로 범죄단지 운영진들과 국경수비대가 짜고 벌인 일이라는 의혹도 있다. ###
3.2.3. 동메이 파크
완콕코이는 이외에도 똑같이 인신매매와 사이버 스캠, 불법 도박이 이루어지는 동메이 파크(东美园区, Dongmei Park, 혹은 사이시강 산업 파크(赛西港工业园区, Saixigang Industrial Park))를 운영하고 있다. 동메이 파크가 2020년 개장할 당시 전 말레이시아 총리 나집 라작의 총리실에서 2008년부터 2013년까지 이슬람교 관련 업무를 담당하던 통일말레이국민조직(UMNO) 소속 마시타 이브라힘(Mashitah Ibrahim)과 그 남편인 외교관 압둘 샤코르 빈 아부 바카르(Abdul Shakor bin Abu Bakar)가 참여하여 논란이 되었는데, 이 중 아부 바카르는 동메이 파크의 몸체인 홍콩 소재 동메이 투자그룹에 이사로 등재되어 있었다. 이브라힘은 본인 페이스북에 자기가 동메이 파크 프로젝트의 '철의 여인'이라고 자랑스럽게 올려놓기도 했다고 한다. 동메이 파크 역시 미국의 경제제재 목록에 오르게 되었다. 동메이 그룹에는 아부 바카르 외에도 또 다른 말레이시아인 용문홍(洪永文, Yong Mun Hong)이 이사 겸 주주로 등록되어 있다.3.2.4. 그 외
태국 하원의원인 랑시만 롬(รังสิมันต์ โรม)은 미야와디에는 태국 기업 파트너와 운영되는 카지노가 17곳 이상 있으며 태국 정부와 연루된 곳도 있다고 밝혔다. 이외에도 타웅인 강변에 위치한 진신 파크(金鑫园区, Jinxin Park)[29], 위롱 베이 파크(御龙湾园区, Yulong Bay Park)[30], 아폴로 파크(阿波罗园区, Apollo Park)[31] 등 미얀마 국경수비대/카렌 국민군, 그리고 중화권 자본과 관여된 범죄단지는 한 두곳이 아니다. 이들 타웅인 강변 범죄단지에서도 도망자의 다리를 부러뜨리거나 태국에서 고소득 직업을 준다고 속여 납치하고 고문하는 등 온갖 인권침해와 강제노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 또한 민렛판(Minletpan), 야타이 신도시 부지 등 새로 지어지는 중국계 부지에서도 기존 범죄단지 건물들과 똑같은 특징을 가진 건물들이 계속 개발되고 있는 것이 포착되며 새로운 범죄 시설이 건설되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도 있다.또 다른 사이버 스캠 단지 환야(Huanya)의 경우에는 카렌 민족군이 아니라 카렌 민족해방군의 정치주체인 카렌민족연맹(KNU)과 연관된 곳이다.[32] KNU는 자신들이 사이버 스캠에 관련되었다는 것을 극구 부인하며 카렌주에서 일어나는 모든 범죄단지 문제를 비판하였다. 또한 2023년 여론의 비판에 따라 KNU 지도부는 환야 단지가 사이버 스캠에 연루되었는지 내부 조사를 실시하겠다고 천명했다. ##
4.
라오스
| 자오웨이(赵伟) |
라오스 역시 다른 국가들보다는 조용하지만 범죄단지가 착실하게 건립되어 운영 중에 있다. 라오스는 내륙국에 개발하기 힘든 산악, 열대우림 국가인 특성상 과거부터 인도차이나반도에서 특히 가난하다는 평을 받아온 최빈국이었다. 아편 농사와 내수용 찹쌀 농사, 염전의 소금, 숯 생산, 광업 정도를 제외하면 워낙에 국가기반 산업이 미비한데다 바다로 나가려면 태국과 베트남의 허락을 받아야 한다. 메콩강의 라오스 지류는 산지 사이를 흐르기 때문에 폭이 좁고 수심이 깊어 대형 선박이 오가기 불편하며, 철도조차 2009년에야 처음 개설했다. 캄보디아조차 1932년에 개설했고, 베트남도 1936년에는 개설했음을 생각하면 굉장히 늦은 축이다. 심지어는 철도만 만들어 놓은거라 2021년까지는 국내 전체의 철도역이라곤 태국과의 국경지대에 있는 태국국유철도 소유의 타날렝(Thanaleng) 역뿐이었다. 인구도 적어 내수용으로 쌀, 소금, 숯을 생산한다 해도 그 규모가 크지 못하다. 소규모이긴 하지만 아직도 라오스 내란이 지속되고 있기도 하다.
또한 자국 내 호치민 루트와 이를 돕는 파테트라오의 존재 이유로 이웃 베트남 전쟁의 여파가 라오스 왕국까지 미쳐 미국의 폭격과 북베트남의 지뢰, 부비트랩 살포로 인해 아직도 전 국토에 불발탄이 남아 있는 등 전쟁 상흔을 오랫동안 겪어야 했다. 또한 냉전 시기에는 베트남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기 때문에, 친소련 국가들 외 베트남에 악감정이 있는 미국, 태국, 중국 등에게는 베트남, 캄푸치아 인민공화국과 세트로 묶여 경제제재를 당하는 등 오랫동안 외면을 받아 왔다.
냉전이 끝난 90년대 이후 라오스는 중국과의 교역 비중이 높아지면서 본격적인 친중 국가가 되었고, 중국의 영향력이 커지기 시작했다. 일찍이 AIIB와 일대일로에도 참여했고, 2021년 라오스 제2의 철도인 중국 라오스 철도가 개설되는가 하면 중국 기업의 희토류 채굴 사업도 허가하는 등 인민폐가 통용될 정도로 중국 친화적인 경제 정책으로 중국발 자본들을 받아들이기 시작했다.
특히 라오스의 골든 트라이앵글 경제특구(GTSEZ) 지역은 원래부터 이 지역 전통 사업이었고, 쿤사의 몽타이군이 국경을 넘어와 본격적으로 키운 동네의 주 사업이었던 양귀비꽃 재배와 아편 및 헤로인 생산을 대체하기 위해 중국발 자본으로 카지노 도시를 많이 세웠는데, 여기에 불순한 중국발 자본들까지 모여들며 사기는 물론 기존에 하던 마약 밀매와 야생동물 밀렵[33], 벌채, 돈세탁까지 저질러지고 있다. 라오스의 골든 트라이앵글 경제특구는 미국으로부터 부정부패와 국제 범죄조직의 중심으로 규정되어 제재를 받은 중국인 자오웨이가 이끄는 킹스 로만스 카지노(Kings Romans Casino)를 중심으로 카지노 집단들의 사설 경비원과 CCTV 감시카메라가 깔린 자치령처럼 운영되는 것으로 악명 높으며 대형 카지노 범죄조직들과 연계된 특구 곳곳의 고층 빌딩에 이러한 범죄단지들이 비밀리에 위치해 있다고 한다.
자오웨이는 골든 트라이앵글 경제특구를 2007년부터 99년간 임차했다. 캄보디아처럼 특히 2019년부터 2020년까지의 코로나 봉쇄 기간 동안 해외여행 제한으로 인해 방문객이 카지노에 접근하지 못할 때 이러한 사이버 사기 범죄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했다. #1#2
UNODC에 의하면 자오웨이는 미얀마의 군벌이자 마약 카르텔인 와주연합군과도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캄보디아에도 세력을 확장하고 있다고 한다. #
자오웨이는 2018년 국제 범죄조직(TCO)의 간부로 판단되어 외국 마약왕 지정법(킹핀법)에 따라 특별지정 마약 밀매업자로 미국의 제재 목록에 올랐다. # 영국은 이에 더해 자오웨이의 아내이자 킹스 로만스 그룹 공동이사인 중국계 호주인 쑤구이친(苏桂琴, Su Guiqin), 카지노 사장인 호주인 아바스 에베라힘(Abbas Eberahim)[34]과 태국인 주주 낫 룽따완키리(นัท รุ่งตะวันคีรี, Nat Rungtawankhiri)를 같이 제재했으며 이윽고 미국의 리스트에도 올랐다.
그 외에도 2020년대 캄보디아 범죄단지 사태를 기점으로 캄보디아에 있는 범죄단지 운영조직들이 캄보디아를 탈출해서 라오스로 이동하고 있으며,# 이미 10월 20일 기준으로 상당수가 이미 라오스에 정착했다고 한다.
라오스 오지마을 한국인에 자주 언급되는 보케오 역시 골든 트라이앵글 내에 속해 있는 악명 높은 범죄단지이다. 채널의 주인 이우용(피용) 씨에게 도움을 받았던 마을 사람들 중에 일부가 방학 때 자녀들을 보케오 등 골든 트라이앵글로 보내 범죄로 돈벌이를 시키거나, 피용의 옛 제자들 중 일부가 보케오로 가서 범죄자로 전락하는 등의 일이 있기도 했다. 피용 역시 이에 분노하여 보케오로 사람을 보내는 이들이나 자발적으로 보케오로 범죄를 위해 떠나는 이들에게는 일체 지원하지 않겠다고 선언하기도 했다.
5.
필리핀
이전부터 필리핀 관광객 연쇄 표적납치 살인사건, 필리핀 한인 납치 살해 사건 등 납치 및 사기 범죄가 횡행하던 필리핀에서도 스캠 기지 사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이전부터 대한민국 및 일본, 태국, 호주, 베트남 등 중화권 외에도 다국적 범죄자들의 텃밭이었던 필리핀 특성상 중화권 범죄조직뿐만 아니라 다양한 국적 범죄자들이 자기들만의 스캠 기지와 불법 도박 거점을 설립하고 자국민들을 납치하여 착취하는 문제가 빈번하다. #1#@필리핀의 범죄단지들도 정부 허가를 받아 중국인들이 세운 카지노 시설 출신인 곳들이 많다. 캄보디아 훈 센 행정부가 차이나머니를 노리고 온라인 도박 시장 활성화를 위해 사업권을 뿌렸던 것처럼 필리핀의 로드리고 두테르테도 2016년에 POGO라고 하여 해외 사업자들에게 유사한 라이센스를 발행했다. POGO는 불법 총기 소지, 매춘, 필리핀 국가경찰과 관공서에 대한 뇌물 수수 등 무분별하게 유입된 중국인들 때문에 다양한 해악을 불러왔고 결국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주니어에 의해 2024년 국정연설을 빌어 금지되었다. # 그러나 POGO로 생겨난 중국계 카지노들은 아직도 마닐라 교외를 포함한 필리핀 군도 곳곳에 남아 범죄단지로 전환되어 큰 해악을 끼치고 있다. #
밤반과 클라크 경제특구(CFEZ, Clark Freeport and Special Economic Zone)에서 범죄단지가 발견되어 각각 800여명, 1,300여명의 내외국인 피해자들이 구출되었다. 필리핀의 범죄단지는 외국인들도 납치하지만 필리핀 현지인들을 더 많이 납치하여 노역을 시킨다는 특징이 있다고 한다. ## 세부에서도 이전에 POGO 시설로 쓰였던 범죄단지에서 외국인 피해자 162명이 발견되어 구출되었다. #
5.1. 앨리스 궈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앨리스 궈#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앨리스 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중국 국적으로 밝혀진 전 밤반 시장 앨리스 궈(궈화핑) 역시 범죄단지 문제와 관련된 인물이다. 필리핀 상원의원 윈 가찰리안(Win Gatchalian)은 앨리스 궈가 2024년 5월 상원 조사에서 사이버 범죄와 감시 활동에 연루된 것으로 알려진 '용병'들의 본거지로 쓰인다고 발표한 온라인 도박 전문 POGO 단지 준위안 기술 주식회사(Zun Yuan Technology, Inc.) 및 홍성 게임기술 주식회사(Hong Sheng Gaming Technology Inc.)의 운영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했다.
앨리스 궈의 가족으로 알려진 웨슬리 궈 및 그의 여자친구 카산드라 옹(Cassandra Ong) 역시 범죄단지 산업에 관련되어 있던 것이 밝혀지기도 했다. 카산드라가 50% 이상 지분을 가진 사업체가 럭키 사우스 99(Lucky South 99)라는 POGO 출신 범죄단지에 투자한 사실이 있었다. 이 곳의 두목은 린쉰한(林训涵, Lin Xunhan)이라는 인물로 해당 지역에서 거물 범죄조직 두목으로 악명을 떨치고 있었다. 카산드라는 또다른 12명의 관계자와 함께 불법 구금 및 노동착취 혐의로 기소되었다. #
옹 역시 기소되자 싱가포르로 도피했고, 이후 인도네시아 바탐의 메가몰 바탐센터에서 쉴라 궈(Shiela Guo)와 함께 체포되어 이민국에 구금되었다. 이틀 후 둘은 필리핀으로 송환되어 국가수사국(NBI)에게 인계되었다.
6.
동티모르
2025년 9월에 유엔 마약범죄사무소(UNODC)가 발표한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동티모르에도 범죄단지들이 건립되려 하는 움직임이 보이고 있다고 한다. 합법적인 투자 회사로 위장한 초국적 범죄 조직이 동티모르의 경제특구용 디지털 신분증 시스템 개발에 참여하여 이를 악용하여 통신 사기 조직을 구축한 것으로 드러났다. 조직의 우두머리는 이전에도 싱가포르에서 개인정보 탈취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이 사기 네트워크에는 기존 범죄단지 오너들인 완콕코이와 콕안, 완콕코이의 후계자이자 현재 수감중인 마카오인 삼합회 간부 겸 사기꾼인 앨빈 차우(자우쵝와(周焯華), 혹은 사이마이와(洗米華)) 등 국적을 불문하고 여러 조직범죄자들과 부패한 정치인들이 가담해 있었다. UNODC는 이들이 침투한 수법이 시아누크빌과 미야와디, 골든 트라이앵글 경제특구의 초기 개발에 사용된 수법과 유사하다고 지적했다. 페이퍼 컴퍼니, 전문 법률 서비스, 투자 시민권 프로그램[35] 등을 이용해 규제가 느슨한 경제특구에 사업 거점을 마련하고 자금 세탁, 지하 은행, 대규모 온라인 사기 등 범죄 행위에 관여하도록 사전 준비를 하는 것이다. #
7. 동남아시아 이외 지역
유럽 국가인 조지아의 휴양도시 바투미에서도 범죄단지 사건이 터졌다. 조지아 역시 이전부터 사이버 스캠으로 악명이 높은 곳 중 하나로 꼽혔다.# 샤오페이(小飛, 가명)는 대만 삼합회 죽련방(竹聯幫) 출신으로, 조직의 돼지도살을 위한 조지아 출장 명령에 불만을 품고 내친 김에 도망 나와 아예 자기 조직을 차린 사람이었다. 샤오페이는 캄보디아 범죄단지를 모방하여 대만 및 중국 본토에서 피해자들을 납치해 스캠 사업을 했다. 샤오페이는 바투미 시내 중심가의 프린세스 호텔 카지노와 내셔널 팰리스 호텔에 많은 객실을 임대해서 여권을 뺏고, 통관 서류를 1인당 20달러에 구매해서 직원과 사기꾼들을 밀입국시켰다. 대만은 조지아와 외교관계가 없는 데다 항공편은 최소 16시간이 소요되며 도중에 튀르키예나 러시아에서 환승해야 하는 등 직항조차 없어 탈출에 매우 불리하다. 노예가 탈출하면 경찰에 '절도' 혐의로 신고하여 전부 돌려받았다고 한다.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서도 중국, 캄보디아, 대만 범죄자들이 사이버 범죄 기지를 차려서 취업사기로 꾀어진 노예들의 여권을 뺏고 로맨스 스캠 사기에 협조하도록 협박하거나 아예 그 자리에서 동남아 범죄단지로 팔아 버리는 일이 터졌다.[36] 이들은 피해자에게 동정표를 사기 위해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피해자인 척도 한다고 한다. 캄보디아와 마찬가지로 두바이 범죄조직도 간단한 이력조차 필요 없는 쉬운 일에 고수익을 붙여 피해자들을 속이고, 피해자들이 수락하면 갑자기 직책이 라오스, 캄보디아, 태국 등으로 변경되었다면서 동남아로 보내버린다고 한다. #1 #2 인력 알선만 하는 것이 아니라 두바이와 라스 알카이마 등 UAE 내 각지에도 중국 조직들이 세운 범죄단지가 만 명 정도가 일하는 대형만 4~5개[37], 점조직 형태는 셀 수도 없을 정도로 많으며 여기서도 당연히 감금, 범죄 강요, 타이핑 연습이나 소통학 및 공감능력 등 심리학 서적 공부 강요[38], 아라비아 사막의 뜨거운 모래 아래 물도 주지 않고 묻어두거나 총이나 경관봉으로 두들겨 패고, 사람에게 소변을 보고 마시게 하는 등의 고문이 횡행한다고 한다. UAE는 다른 나라들과의 차이점으로 경제 사정이 어렵다거나 치안 상황이 좋지 않다는 인식이 미미하기 때문에 '두바이에서 일한다', '라스 알카이마에서 일한다' 등에 쉽게 넘어갈 위험이 더 높다. 이쪽도 햇수가 갈수록 캄보디아, 미얀마에서 수사가 거세지자 범죄단지들이 도피하는 새로운 기착지가 되고 있다. # #
동남아시아뿐만 아니라 아프리카 일부 국가에도 설립되어 운영되고 있다. 사기조직이 나미비아에서 현지 청년 88명을 모집하여 범죄단지에 가두어 놓고 돼지도살 사기에 협조하도록 강제한 사건이 터졌다. # 이 사건의 용의자는 중국인 11명, 짐바브웨인 5명, 나미비아인 2명, 싱가포르인 1명, 그리고 쿠바인 1명이 포함되었다.
보통 사설보안원 및 민간경찰들이 24시간 삼엄한 경비를 서고 있어 외부인의 접근이나 관심, 조사가 제한되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범죄단지 문제가 심각한 곳들은 미비한 비자 단속으로 입국한 외국 범죄자들이 주축이 된 아랍에미리트를 제외하면 공통적으로 자체적인 산업기반이 열악하고 불충분하여 국외파견 노동자들이 본국으로 송금하는 돈에 많이 의존하고 있는 나라들이다. 경제사정과 인프라가 어렵고 가난한 데다 너무 낮은 최저시급 및 고임금 일자리를 구하기 매우 어렵다는 사회구조적 문제도 그 원인이다. 따라서 중앙정부가 제대로 된 공권력, 치안유지, 사회서비스를 행사하기 어렵고 소득은 제자리 걸음인데 생활물가만 계속 오르는 터라 주로 돈 많은 선진국, 신흥공업국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범행을 계속 시도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이전부터 통신사기로 유명했던 나이지리아, 부르키나파소 같은 곳들도 공유하는 특징이다.
한편, 북한에서 이런 범죄가 있다는 오해가 있으나, 특별한 조치가 없는 이상 일반인 대상의 인터넷 자체가 금지되며 북중국경에서 인터넷 '사용'자체가 단속 대상이고, 북한 입국부터 어려우므로 이런 유형의 범죄는 어렵다. 북한인이 관여하는 사이버 범죄는 북한 정권이 국가 명령이나 회사 출장의 형태로 해외로 북한인을 파견하여 기획하는 것이다. 민간이 관여하는 국제적인 범죄는 외국인 납치감금보다는[39] 필로폰(빙두, 얼음) 제조 같은 마약 문제나 남의 나라에서 북한 외교관들이나 노동자들이 상부에 바칠 외화벌이 목적으로 행사하는 밀수, 밀렵 문제가 더 크다. 더욱히 2023년 주한미군 월북 사건에서 보듯 자발적으로 들어온 사람도 내쫓을 만큼 외지인의 대해 극도로 배척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북한이 납치감금을 할 이유는 오토 웜비어처럼 저들 입장에서 중죄를 저지른 것이 아닌 이상 제로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단, 북한 역시 과거 냉전 시기에는 진짜로 납치감금을 국가가 나서서 저질렀다. 대일, 대유럽 첩보 활동이 활발하던 북한 김일성 정권은 언어교육, 정보수집 등에 필요한 인원보충을 위해 대사관에 잘못 들어온 사람을 끌고 들어가거나 외국인에게 의도적으로 접근해 납북을 일삼는 등 현대의 동남아시아 범죄조직들과 똑같은 짓을 저질렀다. 또한 납북에 당한 피해자들도 북한 정권의 강요 등으로 인해 납북에 참여하는 등 범죄단지 문제처럼 피해자가 가해자가 되는 일까지 일어났다.[40] 이로 인해 생긴 대표적인 사건이 최은희·신상옥 납치사건, 고상문 납북 사건, 납북 일본인 문제이다.
[1] 일부는 미얀마로도 가고 있다고 한다.[2] 미얀마의 상좌부 불교는 타국과 달리 유독 보수화되어 있어 미얀마군의 민간인 학살을 옹호하거나 타교도들을 앞장서서 탄압하는 데 적극 가담하고 있다.[3] 이 마약 카르텔들도 그냥 마약 카르텔이 아니라 저마다 독립을 원하는 소수민족들이 독립 군자금을 위해 마약을 키우고 있던 터라 하나하나가 전부 반군 집단이었다.[4] 1987년 당시 독재자 네 윈이 점성술사의 '9는 행운의 숫자'라는 말만 믿고 45, 90 짯 지폐를 마구 만들어 배포한 것이 그 원인이었다. 미얀마군의 미얀마 전통 주술 야다야 맹신으로 터지는 문제는 그야말로 고질병 수준이다.[5] 국방장관 역시 문민통제가 제대로 안 되는 미얀마답게 현역 군인이 맡는다. 그 때문에 경찰은 2021년 미얀마 쿠데타에서도 아웅산 수치 정부가 아닌 땃머도 반란군의 명을 따라 비이성적이다 싶을 정도의 유혈진압을 강행하여 군대, 친정부 민병대와 함께 쿠데타 이후 1년만에 2,500여명을 살해했다. 이 같은 대처는 결국 시위가 미얀마 내전으로 확장되는 데 크게 기여했다.#[6] 단 이들은 미얀마 내전에서 2021년부터 사실상 무저항 중립을 유지하며 자기들의 세력 유지에만 골몰하고 있다.[7] 사깨오주같이 캄보디아와 가까운 지역의 경우.[8] 범죄단지를 운영하는 군벌 대부분이 국경지대에 있는 특성상 중국 및 태국과의 거래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일례로 범죄단지를 운영하는 군벌 중 하나인 와주연합군은 점령 강역인 와주가 북와주, 남와주로 나뉘어 있는데, 북와주에서는 인민폐가, 남와주에서는 태국 바트가 통용되어 경제가 중국과 태국에게 종속되어 있다.[9] 코캉족은 미얀마 내 한족 계열 소수민족으로, 간단하게 말해 중국(윈난)계 미얀마인 집단이다. 청나라 시절 영국령 버마로 건너와 상업이나 서비스업, 육체노동에 종사하던 한족들이 이후에도 떠나지 않고 그대로 샨주에 눌러 앉아 형성된 민족이다. 따라서 이 곳에서는 미얀마 짯보다는 인민폐가 더 많이 통용되고, 언어도 대놓고 코캉식 중국어와 간체자를 사용한다.[10] 네 윈 정부는 버마식 사회주의와 비동맹 운동을 주창하긴 했으나 기본적으로는 반공주의 성향이었기 때문에 공산당을 극히 경계했다.[11] 도시 게릴라 투쟁을 계획했으나 준비가 충분히 되지 못하여 실패했고, 다른 소수민족 반군들의 협조도 더뎠기 때문에 이렇다 할 반향을 일으키지 못했다.[12] 별개로 범죄단지와 연관된 또 다른 조직인 와주연합군 역시 이 때 버마 공산당에서 갈라져 나왔다.[13] 마찬가지로 코캉족 출신으로 펑자성과는 출신 사상이 정반대였다. 로싱한은 네 윈 정부가 버마 공산당을 탄압하기 위해 구성한 지역 반공주의, 버마식 사회주의 민병대인 까끄웨예(KKY)의 간부 출신이었다. 쿤사와는 한때 협력하다가 갈라져 라이벌이 되었다. 1970년대 헤로인 밀매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했고, 1973년 태국에서 체포되어 버마로 송환, 사형을 선고받았으나 1980년 사면된 후 다시 군부와 좋은 관계를 유지하면서 미얀마 최대 기업 아시아 월드를 창립하고는 재벌로 거듭나 이후 탄 슈웨, 테인 세인과도 친하게 지냈다. 2013년 양곤에서 편히 죽었다.[14] 중국은 원래 아편 전쟁의 트라우마로 인해 마약 관련 범죄자는 빽 있는 얼다이가 아닌 이상 무조건 엄히 처벌한다.[15] 마찬가지로 도박이 금지되거나 하기 힘든 중국, 태국, 베트남을 겨냥하여 생겨난 캄보디아 카지노의 양상, 그리고 훗날 이 곳들이 범죄단지가 된 것까지 거의 똑같다.[16] 유튜버 대륙남에 의하면 이 때 뜨내기 유괴범들처럼 처음부터 중국인들이 평생 살면서 볼 수도 없을 높은 값을 부르지 않고, 일부러 '소중한 가족의 목숨인데 이 정도면 낼 만 하다' 싶은 가격으로 몸값을 요구하여 자발적인 몸값 지불을 유도한다고 한다. 고문실까지 잡혀갔다가 겨우 목숨만 건져 탈출해 나온 생존자에 의하면 방금 전에도 고문을 실행한 듯 피비린내가 건물에서 진동했다고 한다. 여담으로 이 생존자 역시 총책이었던 친구에게 배신당하여 납치되었다.[17] 물론 실제 수배 사진을 보면 보정과 포토샵의 힘을 좀 많이 빌렸음을 알 수 있다.[18] 중화권에서 경사로운 일에 주고받는 붉은 돈봉투.[19] 2023년 5월 16일 TV 연설을 통해 '군자는 돈을 좋아하지만 정당한 방법으로 돈을 벌어야 한다. 마약 산업과 같은 모든 형태의 사기는 궁극적으로 인류를 위협하는 범죄 행위이다.'와 같은 기만적인 말을 쏟아냈다.[20] 중국 원정군 후손을 사칭하였다.[21] 미얀마군은 당시 휴전 협정을 맺은 모든 민족 무장단체를 또 다시 따로 놀거나 소수민족 반군으로 거듭나지 못하도록 국경수비대 아래 묶으라고 지시하였다. 카렌 민족군 역시 같은 방식으로 카렌 국경수비대가 된 것이다.[22] 사기가 26억 위안(약 5천억원) 이상, 도박이 80억 위안(약 1조6천억원) 이상, 알몸 채팅을 통한 갈취가 1천700여만 위안(약 34억원), 조직적 성매매가 1천600여만 위안(약 32억원) 수준이라고 한다.[23] 허나 피해자임과 동시에 범죄에 동원된 것도 사실이기 때문에 많은 매체들은 이들을 '조직원'이라고 표현한다.[24] 중국 공안은 대한민국 경찰에 대한 인식과는 달리 현지에서는 막강한 공권력과 수사권한, 가혹행위로 그야말로 공포의 대상이다. 수원 토막 살인 사건의 범인 우위엔춘조차도 경찰에게 잡혔으니 고문당하거나 구타당할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한국 경찰은 패지 않아서 좋다는 식으로 인터뷰한 적도 있다. 그런 공안을 아무렇지도 않게, 그것도 중국 피가 흐른다지만 외국인들이 잡아다가 생매장했다고 하니 중국인들이 혼란이 빠진 것이 당연하다.[25] 2025년 중후반부터 캄보디아의 태자단지, 망고단지가 단지 건물을 싹 비우고 라오스로 이동하고, 그 자리에 캄보디아 국가경찰이 와서 조사하는 것과 비슷하다.[26] 2011년 10월 5일 골든 트라이앵글 태국 방면의 메콩강 지류에서 중국 상선 화핑(华平)호와 미얀마 상선 위싱(玉兴) 8호가 수적에게 납치되어 중국 선원 13명이 사망한 사건. 범인은 과거 쿤사의 측근 출신이었던 샨족계 미얀마인 마약상 나우 캄(နော်ခမ်)이었다. 나우 캄은 쿤사를 따라 몽타이군에 몸담고 있다 1996년 사면을 조건으로 항복한 후 로싱한이나 코캉 5대가문처럼 미얀마 정부의 보호를 받고 있었다. 2006년 중국과 태국의 압력으로 미얀마군이 나우 캄의 마약 카르텔 조직을 수사하기 시작하자 국경을 넘어 탈출했다. 이후 2007년부터 메콩 강 유역에서 활동하면서 마약 카르텔 겸 무장 수적단을 꾸려 지나가는 상선와 유람선에 통행세를 삥뜯고, 거절할 시 유탄발사기로 침몰시키고 무차별 발포하는 식으로 수적질을 일삼으며 여러 번 선원들을 납치, 살해했다. 심지어는 2009년에는 공안 순찰선에도 총격을 가하여 경찰 2명과 선원 1명이 중상을 입기도 했다. 그 중 가장 크게 터진 것이 메콩강 학살이었고, 결국 평소에 나우 캄을 벼르고 있던 태국과 중국의 합동 수사로 인해 200만 바트 현상금이 걸리게 되어 라오스로 도주했으나 2012년 라오스 경찰에게 체포되어 중국으로 압송, 2013년 사형을 선고받고 3월 1일 공범 태국인 생 캄(Hsang Kham), 라오스인 자 시카(Zha Xika), 무국적자 이 라이(Yi Lai)와 함께 약물주사형으로 처형당했다. 이 과정에서 마약 단속군 부대에 소속된 태국군 장병 9명이 나우 캄 조직과 연계된 것으로 밝혀져 같이 처벌되었으며, 당시 중국 내에서의 과도한 언론 보도와 처형 생중계는 미얀마에서 중국이 샨족과 버마족을 마약 문제의 근원으로 몰고 가려는 시도가 아니냐는 논란을 낳기도 했다. 미얀마는 이 때도 중국과 태국에게 마약 카르텔 진압에 소극적으로 대하며 사실상 범죄자들을 방관하는 중이라는 비난을 받았다.[27] 단 밍씨 가족 본인들과 현금이나 귀중품, 노예 등은 사전에 옮겨 놓았다고 한다.[28] MNDAA와 와주연합군 점령지에서는 미얀마와 별개로 2010년대 이전 중국처럼 총살형을 통한 공개처형을 실시한다. 공개재판 후 형장으로 바로 끌고 가며, 처형에는 보통 77식 권총을 이용한다. 반군에서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도 존재하는 관계로 간혹 이러한 공개재판과 처형 직전 형장으로 끌려가는 내용까지 담은 영상들이 게시되기도 한다.[29] 안후이성 중국인인 차오궈레이(曹国雷, Cao Guolei)와 라시오에 등록된 미얀마인 스웨타이(Shwe Htay)가 이사로 등록되어 있다. 또한 중국인 슝스자(熊世佳, Xiong Shijia)가 관리자로 지목되고 있다. 국민군 두령 소칫투는 여기를 직접 방문해서는 사진까지 찍고 갔다.[30] 상술한 소칫투의 아들인 소 투 에 무, 자금관리인 소 민 민 오오와 더불어 소 소에 흘라잉 오오(Saw Soe Hlaing Oo), 그리고 싱가포르 시민인 우지영(胡紫阳, Aw Ziyang)이 위롱 베이 리조트 관광 개발 회사 주주로 있다.[31] 허베이성 출신 중국인 리춘환(李春焕, Li Chunhuan)과 카친 주 거주자 틴 아웅(Htin Aung), 윈 나잉(Win Naing) 등이 투자 회사 주주로 있다.[32] 카렌 민족해방군은 카렌민족연맹 산하 당군의 역할을 맡고 있다.[33] 호랑이, 천산갑, 아시아흑곰, 아시아코뿔소, 아시아코끼리 등 멸종위기 동물들이 주로 잡힌다. 특히 호랑이는 주로 뱀술처럼 술을 담그고 고기를 얻기 위해, 흑곰과 코끼리, 코뿔소는 웅담, 상아, 서각을 얻기 위해 팔린다.[34] 말레이시아계 호주인#으로 호주, 태국, 라오스 일대에서 활동한다.[35] 투자를 많이 한 외국인에게 시민권을 부여하는 제도. 키프로스나 아랍에미리트, 피지, 도미니카 연방 등지에서도 이런 제도를 유치하는 중이다. 그래서 세계의 재벌 혹은 올리가르히들 중에는 뜬금없이 키프로스나 아랍에미리트 시민권을 가진 사람들을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으며 중국인들이 파워가 약한 중국 여권 대신 도미니카 여권을 얻기 위해 대량으로 투자하기도 한다. 범행 주체가 사이비 종교라는 것에 차이가 있긴 하나 사업체에 가둬두고 강제노동을 시킨다는 면에서 비슷한 신옥주의 은혜로교회 피지섬 신도 감금사건도 피지의 투자 시민권 제도를 악용하여 벌어진 일이다.[36] 아랍에미리트는 중국인들에게 무비자를 열고 있는 데다 두바이는 그 중에서도 특히 해외 투자유치에 매우 적극적이기 때문에 중국인 범죄자들이 쉽게 자리잡을 수 있었다고 한다. 두바이에 있는 중국인이 30만인데 이 중 범법자만 10~20만명이라는 증언도 있을 정도이다. #[37] DIP(Digital Investment Property)단지, DIC(Digital Investment Center)단지, 용리(永利)단지, 오아시스 단지, 피닉스 단지, 왕자(王子)단지 등. 왕자단지는 영어로 프린스 파크인데, 캄보디아의 태자단지와 같은 프린스이지만 한문으로 하면 왕자단지로 다르다.[38] 피닉스 단지에 끌려갔던 장 모씨의 인터뷰 내용에 의하면 보이스피싱이나 로맨스 스캠을 더 잘 하기 위해서 필요하다는 이유로 강제로 타이핑 횟수를 80타까지 늘리라고 하거나 서적을 주고 공부하라고 했다고 한다.[39] 물론 자국인들은 탈북을 막기 위해 해외에서도 얼마든지 감금해두고 노동을 시킨다. 감금하지 않더라도 해커, 외교관, 벌목꾼, 북한식당 종사자 등 외화벌이를 위해 나간 해외 북한 노무자들은 지속적으로 본국의 감시와 당성 테스트, 귀국 명령을 받는다.[40] 대표적으로 요도호 사건의 범인 타미야 타카마로의 아내이자 납북 관여로 국제 지명수배된 타미야 준코가 있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범죄단지|범죄단지]]}}}{{{#!if external != "o"
[[범죄단지]]}}}}}}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범죄단지?uuid=50d7be11-7f19-4a6f-8a21-f2a3c5e5d88e|r1138]]}}}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범죄단지?uuid=50d7be11-7f19-4a6f-8a21-f2a3c5e5d88e#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범죄단지?from=1138|이전 역사 보러 가기]]}}}#!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범죄단지|범죄단지]]}}}{{{#!if external != "o"
[[범죄단지]]}}}}}}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범죄단지?uuid=50d7be11-7f19-4a6f-8a21-f2a3c5e5d88e|r1138]]}}}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범죄단지?uuid=50d7be11-7f19-4a6f-8a21-f2a3c5e5d88e#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범죄단지?from=1138|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