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사망자 수순 지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외부 링크는 미국 지질조사국 및 미국 연방해양대기청의 산출 근거 | ||||
<rowcolor=#fff> 순위 | 사망자(명) | 규모 | 명칭 | 진앙 | |
1 | 316,000 | M 7.0 | 2010년 아이티 지진 | 아이티 포르토프랭스 지역 | |
2 | 227,898 | M 9.1 | 2004년 남아시아 대지진 |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섬 해역 | |
3 | 87,587 / M 8.0 | 2008년 쓰촨성 대지진 | 중국 쓰촨성 지역 | ||
4 | 87,351 / M 7.6 | 2005년 카슈미르 지진 | 파키스탄 카슈미르 지역 | ||
5 | 59,259 / M 7.8 | 2023년 튀르키예·시리아 대지진 | 튀르키예 카흐라만마라쉬 지역 | ||
6 | 34,000 / M 6.6 | 2003년 밤 지진 | 이란 밤 지역 | ||
7 | 20,085 / M 7.7 | 2001년 구자라트 지진 | 인도 구자라트 지역 | ||
8 | 19,759 / M 9.1 | 2011년 동일본 대지진 | 일본 산리쿠 해역 | ||
9 | 8,964 / M 7.8 | 2015년 네팔 대지진 | 네팔 구르카 지역 | ||
10 | 5,782 / M 6.4 | 2006년 남아시아 대지진 | 인도네시아 자바섬 | ||
11 | 최소 5,397 / M 7.7 | 2025년 미얀마 대지진 | 미얀마 만달레이 | ||
12 | 4,340 / M 7.5 | 2018년 인도네시아 술라웨시 지진 | 인도네시아 술라웨시 섬 지역 | ||
13 | 2,946 / M 6.8 | 2023년 모로코 마라케시사피 지진 | 모로코 마라케시-사피 지역 | ||
14 | 2,698 / M 6.9 | 2010년 위수 지진 | 중국 위수 지역 | ||
15 | 2,530 / M 6.3 | 2023년 10월 아프가니스탄 지진 | 아프가니스탄 헤라트 북서부 지역 | ||
16 | 2,266 / M 6.8 | 2003년 부메르데스 지진 | 알제리 부메르데스 | ||
17 | 2,248 / M 7.2 | 2021년 아이티 지진 | 아이티 니프 지역 | ||
18 | 2,000 / M 6.1 | 2002년 힌두 쿠쉬 지진 | 아프가니스탄 |
지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규모 · 진도 · 지진대 · 조산운동 · 습곡산맥(신기 습곡산맥) · 단층(단층산맥 · 대한민국의 단층) 슬로우 슬립 · 쓰나미 · 지진파 · 판 구조론 · 내진설계 · 이상진역 · 지반 액상화 | ||||
발생 양상과 분류 단층지진 · 수도직하지진 · 고유지진 · 군발지진 · 발생 깊이에 따른 분류(천발지진 · 중발지진 · 심발지진) | ||||
지진경보 지진속보 및 지진조기경보(재난문자 기준 · 재난방송 ·사용자 맞춤형 지진정보서비스)긴급지진속보(일본) · 쓰나미 경보 · 국가지진열도속보 및 예경공정(중국) | ||||
국가별 주요 지진 목록 틀:대한민국 주요 지진 · 틀:일본 주요 지진 | ||||
전체 지진 목록 목록 | ||||
국가별 지진 문서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튀르키예 · 칠레 · 대만 | ||||
대한민국 관련 사이트 기상청(최근지진) · 기상청(지진목록) · 사용자 맞춤형 지진정보서비스 | ||||
해외 관련 사이트 일본 기상청 · 중국 지진국 · USGS(지진 목록) · EMSC(지진 목록) | ||||
관련 프로젝트 나무위키:프로젝트/지진 | }}}}}}}}} | |||
최근 발생한 주요 지진 | ||||
발생 국가: | ||||
<rowcolor=#000,#e4e4e4> 발생 시각 (UTC+3) | 규모 | 진원 | 최대 진도[USGS] | |
2025년 4월 23일 12시 49분 10초 [KST] | Mw 6.2 | 말마라 에르글리시 남동쪽 21km 해상 | Ⅷ | |
쓰나미 여부 쓰나미 주의보 해제 예상 최고높이: -m 실측 최고높이: 0.06m |
<colbgcolor=#3d5f7e><colcolor=#fff><colkeepall> 2025년 미얀마 대지진 ၂၀၂၅ မြန်မာ့ငလျင် แผ่นดินไหวในประเทศพม่า พ.ศ. 2568 2025 Myanmar earthquake | ||
<nopad> | ||
<nopad> | ||
발생 | <colbgcolor=#3d5f7e><colcolor=#fff><nopad> 본진 | 2025년 3월 28일 12시 50분 54초(UTC+6:30) |
최대여진 | 2025년 3월 28일 13시 02분 04초(UTC+6:30) | |
진앙 | 본진 |
만달레이 서북서쪽 17㎞ 지역[1] |
최대여진 |
만달레이 남남서쪽 32㎞ 지역[2] | |
진원깊이 | 본진 | 10.0㎞[USGS] |
최대여진 | 10.0㎞[USGS] | |
규모 | 본진 | ML 8.2[TSB] / Mw 7.7[USGS][7] |
최대여진 | ML 7.4[TSB] / Mw 6.7 | |
최대진도 | 본진 | Ⅹ[9][10] |
최대여진 | Ⅷ[11] | |
여진 | 394회 이상[TSB] | |
인명피해 | 사망 |
최소 5,350명 이상[13]
최소 34명 이상
1명 |
실종 |
최소 530명 이상
50명 | |
부상 |
최소 11,360명 이상
최소 34명 이상
2명 | |
재산피해 |
전체 GDP 초과 추정[USGS1][15]
불명 |
1. 개요
2025년 3월 28일 15시 20분 54초, 미얀마의 저가잉주 근방에서 발생한 모멘트 규모 7.7 / 리히터 규모 8.2의 지진.1948년 미얀마가 독립한 이래 가장 거대한 지진이며, 독립 이전 미얀마의 역사까지 포함해도 1912년 규모 7.7~7.9의 메묘(Maymyo) 지진 이후 113년 만의 최대 지진이다. 원자 폭탄 334개와 맞먹는 위력이라고 하며 진원의 깊이가 10㎞ 밖에 되지 않아 더욱 피해가 커졌다. 이 지진으로 미얀마 전역은 물론 1,000㎞[16] 떨어진 인접국 태국의 방콕에서도 건물 붕괴로 인한 매몰 사고가 발생하는 등 수많은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가 발생하였다.
진앙은 사가잉 북서쪽 약 16㎞(10마일) 지점으로 미얀마 제2의 도시 만달레이 근교이다.
2. 발생 구조와 기작(메커니즘)
<nopad> |
이 단층에서는 역사 기록에서도 많은 수의 강한 지진이 연달아 발생했다. 구역에 따라서 단층은 1년에 약 18-49㎜ 정도 움직이며, 상당히 활동적으로 단층이 음직이고 있다. 이 단층에서 일어난 최대 지진은 1839년 3월 23일 발생한 잉와(Ava) 지진이다. 규모는 Mw 8.1 - 8.3으로 추정되며, 미얀마 역사상 내륙 지진으로는 최대의 지진이다. 이후에도 수많은 지진(비슷한 구역에서 발생한 1912년 지진을 포함하여)이 발생하였다. 20세기, 2025년 지진 근방에서 가장 최근의 규모 7이상의 강진은 1956년 규모 Mw 7.1의 지진이다. 다만, 문제는 이번 지진이 발생한 부분은 과거 1912년에 발생한 규모 7.7 - 7.9로 추정되는 1912년 지진 이후 해당 지역에서는 무려 110여 년 동안 규모 7 후반의 거대 지진이 없던 공백 상태였던 점이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축적된 에너지가 한 번에 발산하며 사가잉 단층의 해당 구역에서는 발생 가능하다고 예측되어 온 최대 규모 7.7 - 7.9 수준에 일치하는 강력한 지진이 발생하게 되었다.[출처3][출처4]
진앙은 USGS 기준 사가잉주(Sagaing Region) 근방으로 파악된다. 미얀마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인 만달레이시에서 북서쪽으로 20㎞ 정도에 위치해 있다. 여기에서 시작된 지진으로, 남-북쪽으로 단층을 따라서 최소 460㎞, 최대 523㎞의 길이의 단층이 1m에서 최대 4.3m 이동한 것으로 보인다.[출처1][출처4][22]단층이 움직인 지역이 진앙지 만달레이 기준으로, 북쪽으로는 만달레이시 근방 북단 지역인 Singu부터 남쪽으로는 수도 네피도를 넘어서 바고(Bago)도의 Kyauktaga근방까지 이어진다. 이번 지진에서 단층이 파열된 길이는 근대 이래 지진의 역사에서도, 특히 주향이동단층에서는 독보적으로 긴 편이다. 최대 추정치인 523㎞의 길이는 1906년의 샌프란시스코 지진의 약 475㎞보다 긴 파열이며, 1949년에 500㎞를 넘는 것으로 측정되어 현대 주향이동단층 지진 중, 관측 최대의 길이를 기록한 캐나다 하이다과이(퀸샬럿 섬) 지진에 버금가는 수준의 길이이다.
이렇게 기나긴 단층의 움직임으로 사가잉 단층을 따라서 매우 넓은 지역에서 강한 진동이 이어졌다. 이번 지진으로 독일 지질연구소(GFZ)에서 수도 네피도에 설치한 지진계에서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측진도 9.5(진도 Ⅹ)에 해당하는 진동이 관측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USGS 자료에 따르면 진도 Ⅸ 를 겪은 곳은 북쪽은 Shwebo에서 남쪽으로는 Kyauktaga에서 북으로 40㎞에 위치한 소도시 Pyu까지 이어진다. 따라서, 인구가 많은 미얀마 제 2도시와 수도까지 포함하여 미얀마 내에서 진도 Ⅸ 또는 그 이상의 진동을 경험한 인구는 최소 621만 명이 넘을 것으로 추정하였다.[출처2] 이는 지금의 미얀마 전체 인구(5,300만명)의 약 10.7%에 해당하는 인구이다.
전문가들은 과거 발생한 여러 차례의 강진의 역사를 근거로 들며 해당 단층은 한 부분이 파열되면 짧은 순간에 추가적으로 여러 부분이 파열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어, 향후 수년 내에 사가잉 단층에 추가적인 강한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을 제시하기도 한다. 실제로, 2년 사이, 1929년, 1930년 5월, 12월에 규모 7급 지진이 서로 일어난 단층대에 가까운 곳에서 이어서 발생했다. 이번 지진으로 움직인 단층의 남쪽 끝자락 pyu시에서 남쪽으로 양곤 근방 남쪽 해역의 단층대는 180㎞ 남짓 남아있다. 이 곳은 1930년 5월 바고(Bago) 지진이후 90년 넘게 규모 7 이상의 지진이 없는 공백기를 가지고 있다. 전문가에 따르면, 이곳 근방의 단층의 공백역이 한번에 깨지면 최대 규모 7.7의 지진이 발생할 수 있다고 추정한다.[출처3]
3. 피해
규모 7.7의 지진에는 USGS에서 추정 경제 손실 및 사망 PAGER을 RED로 발령했고, 사망자 발생 예측은 1천 ~ 1만 명일 확률 18%, 1만 ~ 10만 명 34%, 10만 명 이상 44%로 발표했다. 이어서 규모 6.7의 여진에도 추정 경제 손실 및 사망 PAGER을 RED로 발령했고, 사망자 발생 예측은 1백 명 이하일 확률 15%, 1백 ~ 1천 명일 확률 32%, 1천 ~ 1만 명일 확률 32%, 1만 명 이상일 확률 18%로 발표했다.[출처2] 이번 지진으로 움직인 단층 부분이 미얀마 제2의 도시 만달레이는 물론 수도인 네피도를 넘어 관통했기 때문에 피해규모가 클 수밖에 없다.사망자가 최소 59,000명 이상 발생한 2023년 튀르키예·시리아 대지진은 당시 미 지질조사국 PAGER에 따라서 사망자가 1만 ~ 10만 명일 확률 36%, 10만 명 이상일 확률 27%로 예측된 바 있다. 즉, 이 지진보다도 인명피해가 클 가능성이 높다. 무엇보다 미얀마는 튀르키예보다도 지진 대비가 더욱 미흡한 국가인터라 피해가 막심해질 확률이 높을 수밖에 없다.
피해가 미얀마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라 태국 등 인근 국가에도 발생했다. 진앙지에서 직선거리로 약 1,000㎞, 단층 파열지점 남쪽단에서도 약 700㎞이나 떨어진 태국 방콕 시내에서 건설중이던 고층 건물이 무너져내리는 피해가 발생했다. 참고로, 700㎞면 대한민국 서울시에서 중국 창춘시나 일본 와카야마시와 맞먹을 정도로 먼 거리이다.
3.1. 미얀마
- 만달레이 남서쪽에서 사가잉과 만달레이를 잇는 사가잉 대교(Sagaing Bridge)가 붕괴되었다. 구글맵
붕괴 이전의 마하무니 탑(좌)과 지진 직후 붕괴된 모습(우) - 만달레이에 위치한 미얀마 3대 불교 성지 중 하나인 마하무니(Mahamuni) 사원과 탑이 붕괴되었다. 피해 사진 구글맵 이 사원은 1784년에 세워진 고찰로 탑 전체가 금박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미얀마인들이 신성하다고 여기는 길이 4m의 금동불 마하무니상이 보관되어 있었다.
- 수도 네피도의 공항 관제탑이 무너져 관제탑에서 근무하던 직원 전원이 사망했다. #
- 만달레이 공항 내 여러 건물이 무너져서 만달레이행 항공편도 일시 중단됐다. #
- 미얀마 샨 주 핀다야의 오래된 불교 사원의 사리탑이 무너지고 건물 전체가 심하게 파손되었다. #
- 수도에서 남쪽으로 70마일(약 112.65㎞) 떨어진 따웅우 마을의 모스크가 무너져 3명이 사망했다. #
- 만달레이 지역에서 사망자 수는 최소 20명 이상이며, 약 200명이 부상을 입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
- 미얀마 군정의 발표에 따르면 3월 29일 기준 사망자가 1천 명을 넘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 네피도에 기지국을 둔 군영방송 MWD TV#와 군부 사이트 미야와디 웹포털#의 송출이 중단되었다.
- 2025년 3월 30일 기준 미얀마 지진 사망자가 2,000명을 넘어섰다.#
- 2025년 4월 2일 기준 미얀마 지진 사망자가 3,000명을 넘어섰다.
- 2025년 4월 3일 기준 미얀마 지진 사망자가 4,000명을 넘어섰다.
- 2025년 4월 8일 기준 미얀마 지진 사망자가 5,000명을 넘어섰다.
3.2. 태국
|
지진으로 붕괴된 태국 감사원 청사의 조감도 |
|
2025년 1월의 모습 최상층까지 골조공사가 마무리 되었다. |
|
붕괴된 건물의 모습 |
건물이 붕괴되는 상황을 촬영한 영상 |
- 방콕 짜뚜짝 시장 인근에서 공사 중이던 33층(137m) 규모의 고층 건물이 지진으로 인해 붕괴되었으며 7명이 사망하고 100여 명이 잔해에 매몰되었다. # # # 태국 국립감사원(SAO) 청사로 건설중인 태국 정부 소유의 건물로 2020년 착공되어 2026년 완공 예정이었다. 지진 직전 최상층까지 골조 공사가 완공되고 저층부 외벽에 커튼 월 유리 설치가 진행중이었다.
- 진앙지와 약 1,000㎞ 떨어진 곳의 건물이 완전히 붕괴되었다는 점에서 많은 주목을 받았다. 이에 대해서 이번 지진에서는 0.05㎐ 정도의 저주파 대역의 지진파가 강하게 발생했고 이러한 저주파 에너지는 파장이 길어 멀리까지 전달되는 특성상 1,000㎞ 이상 거리를 퍼져 나가도 많이 감쇄되지 않으며, 고층 건물은 저층 건물들과 달리 저주파에 민감하여 고유 진동수(Natural frequency)가 맞아떨어지게 되면 공명 현상을 일으키면서 큰 영향을 받게 된다는 분석이 존재한다.[출처]
- 이번 지진에서 고층 건물의 완전 붕괴 사례는 해당 건물 뿐이었으며 실제로 지진의 피해범위 내에서 같은 시기 건축중이던 다른 고층 건물들은 대부분 크레인 붕괴는 있어도 건물 자체가 큰 피해를 입지는 않았다. 이 건물이 완전히 붕괴된 이유는 구조 또는 작업 과정에 치명적인 문제가 있을 가능성[27]이 매우 높다고 점쳐지고 있고, 태국 정부에서도 이를 염두에 두며 대대적인 수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 건물은 중국계 시공사인 중국 철도10국 성건공사(中铁十局城建公司)[28][29]가 건설 중이었으며, 2025년 3월 31일에 중국인 여러 명이 건설 현장 사무실에 침입해 서류와 전자기기등을 빼내려던 시도가 적발되며 의혹이 깊어지고 있다. 해당 공사는 공사비가 21억 3,600만바트(약 922억 7,520만원)가 책정된 대규모 공사였다. 재시공 여부는 발표되지 않았으나 막대한 예산과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 대만의 타이베이 101도 건설 중이던 2002년 3월 31일 6.8 규모의 강진이 발생했으나 타워크레인이 무너져도 건물 골조는 멀쩡했던 사례가 존재한다.지진 당시 타이베이 101의 크레인 붕괴 모습. 심지어 당시 타이베이 101은 지진이 벌어진 당시 겨우 절반 정도 지어진 상태였고 예정된 내진 댐퍼 구조물조차 설치되지 않았던 상태였다. 다만 타이베이101의 경우 진앙지와의 거리가 100㎞ 정도로 훨씬 가까웠으나, 지진이 잦은 대만의 특성상 건설 전부터 훨씬 강화된 내진 설계가 적용되었으며 규모 7.7은 규모 6.8에 비해 25배 이상의 에너지가 방출되고 특히 이번 붕괴사건은 저주파 에너지의 영향이 컸다는 점에서 두 사건을 단순 비교하기는 힘들어 보인다.
3.3. 그 외 국가
- 중국 더훙 다이족 징포족 자치주의 루이리 통상구에 위치한 건물 일부가 부분 파손되었다. 중앙인민방송에 따르면 이 사고로 경미한 부상자 일부가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 얼마나 지진이 강력했는지 미얀마 중심부가 진앙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인도차이나반도 전역을 비롯하여 중국의 더훙 다이족 징포족 자치주, 인도, 말레이시아, 방글라데시, 부탄, 네팔까지 광범위한 국가에서 진동이 느껴지면서 다수가 대피하는 소동이 있었다. #
- 지진으로 인해 베트남에서도 대피 중 1명이 실신하여 사망하는 사고가 있었다.#
==# 반응 및 대응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태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태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태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얀마|{{{#!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얀마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얀마}}}{{{#!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중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중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중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중국 본토
- 시진핑 국가주석은 미얀마가 강력한 지진으로 재해를 당해 대규모 인명 피해와 재산 손실이 발생했다는 소식에 놀랐다면서 중국 정부와 국민을 대표해 희생자들에게 깊은 애도를 표하며, 희생자 가족과 부상자 및 재해지역 주민들에게 진심 어린 위로를 전하고, 중국과 미얀마는 동고동락하는 운명 공동체로, 양국 국민의 우정은 깊고 두텁다면서 중국은 미얀마 측에 필요한 도움을 제공하고, 재난지역 주민들이 하루빨리 재해를 극복하고 가산을 재건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기사(연합뉴스)
- 29일 중국 국제개발협력기구 리밍 대변인은 미얀마의 지진 구호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1억 위안[30]의 긴급 지원을 제공하고 두 개 구조팀을 파견하고 텐트, 담요, 구급상자, 식량, 식수 등을 공급한다고 밝혔다. 중국은 추후에도 미얀마에 지원할 의지가 있음을 밝혔다. 기사(산화통신)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홍콩|{{{#!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홍콩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홍콩}}}{{{#!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마카오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만|{{{#!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만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만}}}{{{#!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영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데이비드 래미 영국 외무ㆍ영연방 및 개발부장관이 이번 지진에 피해를 입은 모든 사람들과 함께 할 것이며 FCDO(외무부, 영연방 및 개발부)는 적극적으로 지원할 준비가 되어있다고 X(트위터)를 통해 밝혔다. 또한 미얀마 또는 태국에 체류하고 있는 자국민을 보호하기 위해 핫라인을 안내했다. #
- 영국 국왕 찰스 3세가 이번 지진으로 피해를 입은 모든 미얀마 국민들에게 "가능한 한 깊은 애도"와 조의를 표했다.#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독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독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독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독일 외교부가 X(트위터)를 통해 이번 지진의 희생자와 부상자에 연대를 표하며 필요하다면 지원을 더 늘릴 것이라고 밝혔다.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프랑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프랑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탈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탈리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그리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그리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그리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그리스 외무부가 이번 지진으로 숨진 희생자들에 애도를 표하며 미얀마 국민들과 연대한다고 밝혔다.
- 키리아코스 미초타키스 총리와 콘스탄티노스 타술라스 대통령도 조의를 표시했다.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스위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스위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스위스 외교부가 미얀마 국민들과 이번 지진으로 피해를 입은 모든 사람들에 위로를 표하며 스위스 정부는 임시 피난처, 식수 등 인도적 지원을 하기로 결정했다고 X(트위터)를 통해 밝혔다.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아일랜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아일랜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바티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바티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바티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멕시코|{{{#!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멕시코}}}{{{#!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러시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러시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벨라루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벨라루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벨라루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우크라이나|{{{#!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우크라이나}}}{{{#!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우크라이나는 2021년 이후 미얀마와 국교단절에 준한 상태이기 때문에 정부 차원에서의 논평은 없었다.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카자흐스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카자흐스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카자흐스탄 대통령이 미얀마와 태국에 조의를 표하며 부상자들의 빠른 쾌유를 바란다고 밝혔다. #
유럽 연합
-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이 이번 지진에 희생자의 유족과 부상자에 위로를 표하며 미얀마와 연대할 것이며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 EU는 미얀마에 250만 유로(약 40억 원)을 긴급 지원했다.#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인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인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인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스리랑카|{{{#!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스리랑카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스리랑카}}}{{{#!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필리핀|{{{#!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필리핀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필리핀}}}{{{#!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베트남|{{{#!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베트남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베트남}}}{{{#!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인도네시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인도네시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말레이시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말레이시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싱가포르|{{{#!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싱가포르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싱가포르}}}{{{#!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브루나이|{{{#!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브루나이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브루나이}}}{{{#!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이시바 시게루 총리는 패통탄 친나왓 태국 총리에게 전날 보낸 메시지에서 "피해를 본 분들에게 진심으로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며 "우리는 좋은 친구인 태국 국민과 함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기사(연합뉴스)
- 이와야 다케시 외무대신은 미얀마 국민들에게 애도를 표하는 메세지를 발표했다. 원문 링크
{{{#!folding [ 번역문 펼치기 · 접기 ]
미얀마 국민 여러분, 최근 미얀마 중부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인해 미얀마 내 큰 피해가 발생했다는 소식을 접하고 매우 안타까운 마음을 금할 수 없습니다. 피해를 입은 분들께 진심으로 위로의 말씀을 드립니다.
피해를 입은 분들의 빠른 회복과 피해 지역의 조속한 복구를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우리는 일본의 좋은 친구인 미얀마 국민 여러분과 함께 합니다.
레이와 7년(2025년) 3월 28일
외무대신 이와야 다케시}}} - 일본 외무성은 일본 정부로써 가능한 많은 지원을 할 준비가 되어 있다는 입장을 밝혀, 일단 처음에는 물자 공급을 우선적으로 빨리 할 방향으로 조정하고 있다.#
- 일본인 2명이 만달레이에서 부상을 입은 것을 확인했다. 그 후 병원에서 치료를 받았다고 하며, 생명에 지장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 만달레이에 살고 연락이 끊어진 일본인 1명의 사망이 확인되었다.#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란|{{{#!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란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란}}}{{{#!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아제르바이잔|{{{#!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아제르바이잔}}}{{{#!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튀르키예|{{{#!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튀르키예}}}{{{#!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아랍에미리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아랍에미리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카타르|{{{#!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카타르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카타르}}}{{{#!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카타르 아미르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가 미얀마와 태국에 조의를 표하며 부상자들의 빠른 쾌유를 바란다고 밝혔다.#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아르메니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아르메니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집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집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집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요르단|{{{#!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요르단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요르단}}}{{{#!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4. 영향
- BOYNEXTDOOR의 아시아 투어 KNOCK ON Vol.1의 3월 29일 태국 공연이 이 지진의 영향으로 취소되었다.
- BNK48 & CGM48 선발 총선거 2025는 이 지진의 여파로 소속사 측에서 개최 연기를 고려 했으나 재난 전문 안전 요원을 추가로 배치하고 예정대로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5. 기타
- 지진의 발원지인 미얀마는 내전 중이며 이로 인해 현지 행정력 및 대처 속도에서 여러모로 부족한 모습을 보여줬다. 이게 단적으로 드러난 게 지진 직후의 대처 차이로, 지진에 영향을 받은 중국 원난성과 태국 방콕은 피해 상황을 실시간으로 보고한 것에 비해 미얀마는 지진 발생지[32]가 발생지인지라 발생 약 4시간 뒤가 되서야 자국 언론이나 기관도 아닌 AP등 외신들을 통해 보도가 되었으며, 이런 시간차로 인해 초창기엔 해당 지진이 '미얀마 지진'이 아닌 '방콕 지진'으로 불릴 정도로 오해하는 경우도 더러 있었다.
상술한대로 미얀마에서는 해당 지진에 대한 자체적인 상황 파악과 이후 수습 예정등에 대해서는 알리지 않고 있으며, 이때문에 외국에서도 미얀마 본국의 지진으로 인한 피해 규모를 정확히 확인하지 못하고 있다. 다만 지진의 위력이 위력이라 피해가 결코 작지 않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기존부터 세계 최빈국이었고 내전으로 인프라가 많이 파괴되거나 제 기능을 못하는 상황이기에 수습이 지연되는 것으로 인한 2차 피해도 상당할 것으로 추측되기도 한다.[33]
- 2023년 튀르키예·시리아 대지진 이후로 2년만에 알프스-히말라야 조산대에서 발생한 규모 7 후반대의 거대 지진이다. 인구 밀집지역을 강타하여 막대한 인명피해가 우려되고 있다는 점에서도 비슷하다.
- 이번 지진은 지진파의 도달 속도보다 단층이 파열되는 속도가 더 빠른 초전단(슈퍼시어) 지진에 해당한다. 초전단 지진 중 비슷한 규모의 지진으로는 1906년 샌프란시스코 지진, 2008년 쓰촨성 대지진, 상술한 2023년 튀르키예·시리아 대지진이 있다.[34]
- 지진으로 인해 방콕의 여러 건물에서 옥상 수영장 물이 폭포수처럼 쏟아지는 장면이 목격되었다. 영상
- 초고층 콘도미니엄 단지 내 건물을 연결하는 중간 52층 구름다리가 끊어지던 중에 한국인 권영준 씨[36]가 구름다리를 뛰어넘어 극적으로 목숨을 건진 것이 큰 화제가 되었다. 운동을 하던 중 진동을 느껴 맞은편 건물에 있는 집에서 태국인 아내[37]와 갓 돌이 지난 딸을 구하려고 구름 다리를 건넜다고 밝혔다. 전속력으로 달려 자택이 있는 블록에 다다른 권씨는 아내와 딸을 찾았을 때 두 사람은 이미 밖으로 안전하게 대피한 상태였다. 이후 위험성 때문에 남은 힘을 다해 40층을 걸어서 내려와 건물을 빠져나왔다고. 권씨가 가벼운 찰과상만 입었을 뿐 가족 모두 무사했다. 태국 방송국에서 이를 보도하면서 권씨는 가족을 구하기 위해 위험을 무릅쓴 '국민 남편'이라며 유명인사가 됐다. 아내는 SNS를 통해 “이젠 높은 콘도에 살 엄두가 안 난다. 부모님과 함께 다같이 이사 온 상태”라고 전했다. #1 #2 #3 #4
- 태국의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게 되었다. 특히, 고층건물 에 대한 기피현상까지 나왔다.#
==# 관련 보도 #==
순식간에 와르르…미얀마 덮친 '규모 7.7' 강진에 태국도 흔들
미얀마 내륙서 규모 7.7 강진‥1,000km 밖 방콕 빌딩까지 '와르르'
국경 접한 중국 윈난도 흔들‥주변국 피해 확산
"본적없는 심각한 지진"‥교민들은 서로의 생사부터 확인
쇼핑몰서 뛰쳐나와‥여행객이 겪은 지진 순간
다리 끊기고 수백 채 붕괴…동남아 뒤흔든 '미얀마 강진'
1000km 먼 방콕도 비명…"건물 밖 쏟아졌다" 공포 순간
미얀마에 7.7 강진…방콕에서도 고층 빌딩 ‘와르르’
미얀마 7.7 규모 강진에…"사망자 1만명 넘을 가능성 높아"
태국도 지진으로 33층 건물 '와르르'…47명 실종 상태
미얀마 현지 교민 "지진 피해로 물·식량 조달 어려워"
아비규환 미얀마‥"사망자 1만 명 넘길 수도"
만달레이 교민들 일부 연락 두절‥외교부 "피해 확인 중"
태국 방콕 33층 건물 '폭삭'‥79명 매몰, 수색은 난항
미얀마 강진 왜?‥유라시아-인도 지각판 충돌 '위험지대'
군정이 통제하는 미얀마‥피해 집계·구조는 더디기만
도미노처럼 무너져 폐허로…"1만 명 사망 가능성"
한인 20∼30명 한인식당 대피…"구호품 절실"
100여 명 실종·매몰…"어떻게 이런 일이" 절규
미얀마 강진 사망자 1천 명 넘어…‘건물 붕괴’ 지금 방콕은?
미얀마, 아비규환 속 '필사의 구조'…이 와중에 공습까지
과자처럼 갈라진 도로 넘어…강진 진앙 가까이 가 보니
미얀마 강진, 얕은 진원·낡은 건물이 참사 피해 키워
폐허 속 삐져 나온 어머니의 손‥쿠데타 정권은 이 와중 또 '포격'
만달레이 교민들‥"여진때문에 노숙, 전기도 끊겨"
'7.7 지진' 미얀마 최대 도시 양곤 현지 상황은?
'원자폭탄 334개' 위력의 지진…장비 부족해 '맨손 구조'도
"식수 좀 주세요" 전기도 끊겨 '막막'…피해 교민 사실상 고립
강진에도 '폭격' 퍼부었다…미얀마 내전까지 '최악 위기'
지각판·얕은 진원·내진설계 미흡…피해 키웠다
이제는 시간과의 싸움…장비·의료품 부족에 한계
“불도 안들어오고 물도 끊겨”…만달레이 교민 연결
미얀마 강진 왜 피해컸나…“진원 깊이 10km 밖에 안돼”
만달레이의 비극…"어어 하는 순간 5층호텔 내려앉았다"
'사실상 고립' 만달레이 교민, 대피소 생활…"앞으로가 걱정"
한인회장 "교민 힘내고 있어…만달레이따 많이 도와달라"
"얼마나 살릴 수 있을까"…골든타임 지난 '통곡의 미얀마'
눈 돌리는 곳마다 건물 잔해…직접 마주한 만달레이의 참상
참사 앞에서도 반군 지역 폭격…재난 뒷전인 미얀마 군부
'두 지각판' 경계 미얀마…지진 피해 클 수밖에 없던 이유
양곤에서 수도 네피도로‥마을은 폐허가 돼 있었다
72시간 넘었다‥"전세계적 동참 필요"
미얀마 강진 골든타임 넘겨…WHO '최고 등급 비상사태'
'여진 공포' 속 물·기름 부족…미얀마에서 고립된 교민들
SBS 취재진, 미얀마 수도 도착…현장서 본 처참한 상황
“여기요, 도와주세요” 어둠 속 간절한 외침…골든타임 종료
도로 끊기고 통신 막히고…구조대 구호품 이동도 난항
만달레이의 비극…무너진 사원첨탑, 옛왕조 수도 초토화
미얀마 강진 합동 상황점검회의...교민 안전 확보에 만전
시신 냄새 진동하는 미얀마… “텐트조차 없어 환자들 방치”
초대형 재난에도 손놓은 군부… 미얀마, 생지옥 됐다
미얀마 주민·환자, 여진공포로 노숙 선택
골든타임 지났어도 '필사의 수색'…미얀마 군부는 사상자 축소
"여진 공포" 취재진도 대피…'생지옥' 만달레이 거리 지금
무너진 고대 왕조‥만달레이는 그냥 방치돼 있었다
서로 다독이며 버티는 교민들 "힘내고 있어요"
폐허 된 진앙 만달레이…도시 기능 마비 '곳곳 아비규환'
“내 동생이 저기 있어요”…만달레이 지금은?
취재진 인터뷰 중에도 "어, 지진!"…구조도 복구도 '막막'
‘진앙’ 사가잉 상황은?…“교민, 철수 결정”
미얀마, 강진 사망 3085명…비 예보에 "전염병·익사 우려"
'기적의 구조' 멈춘 미얀마…수습보다 '통치 정당화' 힘쓰는 군정
만달레이 교민들 철수 시작…현지인, 구호품에 기대 사투
6. 관련 문서
7. 외부 링크
- 【缅甸7.9级地震】缅甸7.9级地震的发震断裂(实皆断裂) 震前活动特征研究结果 - 중국지진국(CEA)
- 2025 M 7.7 Mandalay, Burma (Myanmar) Earthquake - 미국 지질조사국(USGS)
- 2025년 저가잉 지진 - 한국어 위키백과
8. 둘러보기
문서가 존재하는 2025년 지진 | ||||
[[틀:지진/2024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currentcolor" ]]→ 2025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color=#fff><rowcolor=#fff> 발생일 | 규모 | 지진명 | 최대진도 |
<colbgcolor=#868e96> 01. 07. | M 7.1 | 중국 티베트 지진 | Ⅸ | |
01. 13. | M 6.7 | 휴가나다 지진 | 5- | |
01. 21. | M 6.4 | 대만 자이 지진 | 6- | |
01. 27.~ | ~M 5.3 | 그리스 에게해 군발지진[1] | Ⅶ | |
02. 07. | M 3.1 | 충주 지진 | Ⅴ | |
03. 28. | M 8.2 | 미얀마 대지진 | Ⅹ | |
M 7.4 | Ⅷ |
}}}}}}}}}
- [ 각주 펼치기ㆍ접기 ]
- [1] 해당 군발지진은 해당 군발지진 중 가장 큰 지진인 규모 5.3의 지진이 발생한 2월 4일을 기준으로 분류하였음.
[1] 22.001°N 95.925°E[2] 21.707°N 95.969°E[USGS] [USGS] [TSB] 태국 지진국(Thailand Seismological Bureau) 발표.[USGS] [7] 이는 히로시마에 떨어진 원자폭탄 위력의 32배 수준이다.[TSB] [9] 계측진도 9.5 네피도 근방 DMH/GEOFON station. 출처: USGS shakemap station[10] 추정 최대진도 9.882 출처: shakemap metadata[11] 추정 최대진도 8.294 출처: shakemap metadata[TSB] [13] 미국 지질조사국의 PAGER 프로그램은 미얀마 사망자 수가 1만 명 이상일 가능성을 78%로 추산했다.#[USGS1] PAEGR, Estimated economic losses may exceed the GDP of Burma. Estimated Economic Losses[15] 2024년 12월 기준 미얀마의 전체 GDP는 약 680억 600만 달러(한화 약 100조 504억 원)로 미얀마 다음으로 막대한 지진피해를 입은 태국의 전체 GDP(약 5,488억 9,000만 달러 / 한화 약 807조 5,270억 원)의 12.4%에 불과하다.[16] 한반도의 지리로 비교하면 함경북도 백두산에서 제주특별자치도 마라도까지의 거리와 비슷하다. 다만 후속 분석에서 사가잉 단층의 약 500㎞에 달하는 부분이 파열되었음이 밝혀져 해당 부분의 최남단에서 방콕까지 거리는 약 700㎞가 된다.[인용] 2025년 저가잉 지진(위키피디아)[출처3] 논문 Two seismic gaps on the Sagaing Fault, Myanmar, derived from relocation of historical earthquakes since 1918[출처4] ECHO Daily Map[출처1] USGS 단층면해[출처4] [22] 발생 당일, 초기 분석치는 200㎞였다.[출처2] USGS PAGER[출처3] [출처2] [출처]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학과 교수 인터뷰[27] 중국 시공사 측에서는 코어를 중심으로 빔(대들보)를 두지 않고 건설하는 무량판 구조를 채택하였는데, 일부 전문가들 사이에선 이 구조 자체가 문제일 수도 있다고 의견을 제시하기도 했다.[28] 중국 철로공정총공사(CREC)의 자회사이며, 수주받은 이후 위챗에서 "중국철도제10공정그룹의 태국 내 입지와 발전을 보여주는 쇼케이트 프로젝트"라고 자신만만하게 소개글을 올렸으나 건물 붕괴 후 삭제했다.기사(기사 캡쳐)[29] 이탈리아업체와 컨소시엄을 맺어 수주했으며 그 외 태국 업체등이 끼어있는 형태였다. 이 중에서도 이탈리아나 타 업체가 맡은 분야는 외부 유리 및 내장공사이며 본 공사는 대부분 중국 측이 담당했다.[30] 한화 202억 원 상당[31] 홍콩 소방처 공식 유튜브 계정에서 업로드한 영상. 양자형기 전달과 존 리 행정장관의 연설이 있었다.[32] 이번 지진의 진앙지인 사가잉주 남부는 2024년에 미얀마 국민통합정부의 미얀마 시민방위군의 게릴라 활동이 믾은 지역이다.[33] 해당 지진이 벌어진 2025년에서 17년 전인 2008년 당시에도 나르기스라는 사이클론으로 약 14만 명이 사망하고 당시 미얀마 GDP의 56%에 달하던 153억 달러의 막대한 재산피해를 입힌 적이 있다.[34] 슈퍼시어 지진은 일종의 소닉붐과도 유사하게 나타나며, 주로 이번 지진과 같은 대규모의 주향이동성 단층에서 발견된다.[35] 미얀마 남부 끝자락에 위치한 미얀마 최대 도시이자 과거 수도이다. 미얀마 중부 살짝 위에서 일어난 이번 지진과 다소 거리가 있는 위치였으나 지진의 위력이 워낙 크다보니 영향을 받은 것.[36] 태국에 거주하며 개인 사업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37] 인플루언서이자 뷰티 사업을 영위하는 사업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