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b50909 0%, #e81b2c 20%, #e81b2c 80%, #b50909); color: #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
리콴유 | 고촉통 | 리셴룽 | 로렌스 웡 | ||
싱가포르 대통령 | }}}}}}}}}}}} |
<colbgcolor=#e81b2c><colcolor=#ffffff> | |||
| |||
영어 이름 | Lawrence Wong Shyun Tsai | ||
중국 이름 | 黃循財 (웡순차이[1], 황쉰차이[2]) | ||
출생 | 1972년 12월 18일 ([age(1972-12-18)]세) | ||
싱가포르 | |||
국적 |
| ||
재임 기간 | 제4대 총리 | ||
2024년 5월 15일 ~ 현직 | |||
링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e81b2c><colcolor=#fff> 학력 | Tanjong Katong Secondary School (졸업) 위스콘신 대학교 (경제학 / 학사) 미시간 대학교 (응용 경제학 / 석사) 하버드 대학교 케네디 행정 대학원 (행정학 / 석사) | |
배우자 | 루쩌루이 (呂子蕊,Loo Tze Lui) | ||
약력 | 싱가포르 국가 발전부 장관 (2015년~2020년) 싱가포르 교육부 장관 (2020년~2021년) 싱가포르 재정부 장관 (2021년~현직) 싱가포르 부총리 (2022년~2024년) 싱가포르 금융 관리국(중앙은행) 국장 (2023년~2024년) 싱가포르 총리 (2024년~현직) | ||
정당 | [[인민행동당| 인민행동당 ]] | ||
종교 | 개신교 (감리회) |
1. 개요
싱가포르 공화국의 제4대 총리이자 집권 여당인 인민행동당의 서기장.싱가포르 역사상 최초로 독립 이후[3] 태어난 총리다.
2. 생애
1972년 싱가포르에서 태어났다. 부모는 중국 하이난 출신으로 알려져 있으며 아버지는 기업인, 어머니는 교사였다. 싱가폴에서 빅토리아 주니어 컬리지를 졸업하였으며[4] 국비장학금을 받고 미국으로 유학을 가 1994년 위스콘신 대학교에서 경제학 학위와 1995년 미시간 대학교 응용 경제학 석사를 취득하고 1997년 8월부터 싱가포르 재정부 소속 연구 기관에서 공무원으로 입문했다.2004년 하버드 대학교 행정대학원을 졸업했다. 2005년부터 2008년까지 리콴유 선임장관실 비서로 일하기도 했다.
2011년 총선에서 당선되어 국회에 입성했다. 같은 해 국방장관 겸 교육부 장관에 임명되었다. 2012년 8월 정보통신부, 교육부 선임장관에 임명되었다. 11월에는 문화청소년부 장관 겸 정보통신부 선임장관에 임명되었다.
2015년 총선에서 재선에 성공하였다. 10월에는 국가개발부 장관에 임명되었다. 2016년 8월, 국방장관은 유임했으며 동시에 재무차관에 임명되었다. 2020년 총선에서 다시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2021년 5월 내각 개편 때 재무장관에 임명되었다. 2022년 6월 부총리에 임명되었다.
이후 차기 총리 후보로 거론되었으며, 2023년 11월 공식적으로 4대 총리 후보로 확인되었고, 2024년 5월 15일 제4대 싱가포르 총리가 되었다. 이로써 리콴유-리셴룽 부자의 세습 정치는 일단 표면적으로는 막을 내렸다.
과거의 고촉통 총리처럼, 리셴룽 전 총리의 아들인 리홍이[5]로의 3대 세습을 위한 징검다리 역할에 머물지, 아니면 1990년대 대만에서 장제스-장징궈 세습 체제를 종식시키고 민주화로의 이행을 주도한 리덩후이의 길을 열어갈 것인지 지켜볼 일이다.[6]
3. 기타
- 1990년대에 결혼하였으나 3년 만에 이혼하였다. 이 후 재혼하였는데 현 부인은 전직 은행원이자 현직 자산관리사라고 한다. 자식은 없다.
- 개신교 (감리회) 신자다.[7]
- 형이 있는데 싱가포르 DSO 국립 연구소에서 일하는 항공 우주 엔지니어라고 한다.
- 기타 연주[8], 오토바이 타기가 취미라고 한다.
- 영어와 표준중국어는 능통하며, 말레이어도 어느 정도 구사한다. 부모는 표준 중국어를 하지 못한다고 하며 자신의 표준 중국어 구사 능력은 학교 교육과 자신의 노력 덕이라고 한다.[9]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em;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아시아 ]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사실상 군부 소속 ☭ 공산국가의 수상 ♔ 전제군주국, 혹은 사실상 전제군주국인 입헌군주국 | |||||
| | | ||||
[[네팔 공산당(통합 마르크스-레닌주의)| 네팔 공산당 (통합 마르크스-레닌주의) ]] | [[민주진보당| 민주진보당 ]] | [[더불어민주당| 더불어민주당 ]] | ||||
카드가 프라사드 올리 (4차) | 줘룽타이 | 김민석 | ||||
| | | ||||
[[티모르 재건국민회의| 티모르 재건국민회의 ]] | [[라오 인민혁명당| 라오 인민혁명당 ]] | [[무소속| 무소속 ]] | ||||
샤나나 구스망 (3차) | 쏜싸이 씨판돈 | 나와프 살람 | ||||
| | | ||||
[[인민정의당| 인민정의당 ]] | [[몽골 인민당| 몽골 인민당 ]] | [[무소속| 무소속 ]] | ||||
안와르 이브라힘 | 롭상남스랭 어용에르덴 | 민 아웅 흘라잉 | ||||
| |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베트남 공산당| 베트남 공산당 ]] | ||||
살만 빈 하마드 알할리파 (왕세자) | 무함마드 유누스 (임시) | 팜민찐 | ||||
| | | ||||
[[무소속| 무소속 ]] | [[조선로동당| 조선로동당 ]] | [[무소속| 무소속 ]] | ||||
체링 토브가이 (2차) | 박태성 | 하사날 볼키아 (국왕) | ||||
| | | ||||
[[무소속| 무소속 ]] | [[국가 인민의 힘| 국가 인민의 힘 ]] | [[인민행동당| 인민행동당 ]] | ||||
무함마드 빈 살만 알사우드 (왕세자) | 하리니 아마라수리야 (2차) | 로렌스 웡 (2차) | ||||
| | | ||||
[[무소속| 무소속 ]] | [[탈레반| 탈레반 ]] | [[무소속| 무소속 ]] | ||||
무함마드 빈 라시드 알막툼 (두바이 아미르) | 하산 아훈드 (권한대행) | 살렘 살레 빈 브라이크 | ||||
| |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우즈베키스탄 자유민주당| 우즈베키스탄 자유민주당 ]] | ||||
하이삼 빈 타리크 알사이드 (국왕) | 자파르 하산 | 압둘라 아리포프 (2차) | ||||
| | | ||||
[[알푸라타인| 알푸라타인 ]] | [[리쿠드| 리쿠드 ]] | [[인도 인민당| 인도 인민당 ]] | ||||
모하메드 시아 알수다니 | 베냐민 네타냐후 (6차) | 나렌드라 모디 (3차) | ||||
| | | ||||
[[자유민주당(일본)| 자유민주당 ]] | [[중국공산당| 중국공산당 ]] | [[아마나트| 아마나트 ]] | ||||
이시바 시게루 (2차) | 리창 | 올자스 벡테노프 | ||||
| | | ||||
[[무소속| 무소속 ]] | [[캄보디아 인민당| 캄보디아 인민당 ]] | [[무소속| 무소속 ]] | ||||
모하메드 빈 압둘라흐만 알사니 (왕족) | 훈 마넷 | 아마드 알압둘라 알사바 (국왕의 조카) | ||||
| | | ||||
[[무소속| 무소속 ]] | [[타지키스탄 인민민주당| 타지키스탄 인민민주당 ]] | [[태국 자랑당| 태국 자랑당 ]] | ||||
아딜베크 카시말리예프 | 코히르 라술조다 | 아누틴 찬위라꾼 | ||||
| | |||||
[[파키스탄 무슬림 동맹| 파키스탄 무슬림 동맹 ]] | [[무소속| 무소속 ]] | |||||
셰바즈 샤리프 (2차) | 무함마드 무스타파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유럽 ]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바티칸 시국의 명목상 정부수반은 바티칸 시국 행정부 장관이다. *** 스위스의 총리는 행정부 소속이 아니며 명목상 정부수반이 없다. | |||
| | | ||||
[[신민주주의당| 신민주주의당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
키리아코스 미초타키스 (2차) | 주소이트 콘스탄틴 | 딕 스호프 | ||||
| | | ||||
[[노동당(노르웨이)| 노동당 ]] | [[사회민주당(덴마크)| 사회민주당 ]] | [[독일 기독교민주연합| 독일 기독교민주연합 ]] | ||||
요나스 가르 스퇴레 (2차) | 메테 프레데릭센 (2차) | 프리드리히 메르츠 | ||||
| | | ||||
[[신단결| 신단결 ]] | [[무소속| 무소속 ]] | [[국민자유당(루마니아)| 국민자유당 ]] | ||||
에비카 실리냐 | 미하일 미슈스틴 (2차) | 일리에 볼로잔 | ||||
| | | ||||
[[기독사회인민당| 기독사회인민당 ]] | [[리투아니아 사회민주당| 사회민주당 ]] | [[애국연합| 애국연합 ]] | ||||
뤼크 프리당 | 긴타우타스 팔루츠카스 | 브리기테 하스 | ||||
| | | ||||
[[무소속| 무소속 ]] | [[지금 유럽!| 지금 유럽! ]] | [[무소속| 무소속 ]] | ||||
이자벨 베로 아마데이 (권한대행) | 밀로이코 스파이치 | 도린 레체안 | ||||
| | | ||||
[[노동당(몰타)| 노동당 ]] | [[무소속| 무소속 ]] | [[Open VLD| Open VLD ]] | ||||
로버트 아벨라 (2차) | 피에트로 파롤린 | 바르트 더베버르 | ||||
| | | ||||
[[무소속| 무소속 ]] | [[독립사회민주연대| 독립사회민주연대 ]] |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마케도니아 국민통합민주당| VMRO-DPMNE ]] | ||||
알렉산드르 투르친 | 보랴나 크리슈토 | 흐리스티얀 미츠코스키 | ||||
| | | ||||
[[국민통일당| 국민통일당 ]] | [[유럽 발전을 위한 불가리아 시민| GERB ]] | [[무소속| 무소속 ]] | ||||
위날 위스텔 | 로센 젤랴즈코프 | 주로 마추트 | ||||
| | | ||||
[[온건당| 온건당 ]] | [[스위스 녹색자유당| 스위스 녹색자유당 ]] | [[스페인 사회주의노동자당| 스페인 사회주의노동자당 ]] | ||||
울프 크리스테르손 | 빅토르 로시 | 페드로 산체스 (3차) | ||||
| | | ||||
[[사회민주당(슬로바키아)| 방향-사회민주주의 ]] | [[자유운동(슬로베니아)| 자유운동 ]] | [[시민계약(정당)| 시민계약 ]] | ||||
로베르트 피초 (4차) | 로베르트 골로프 | 니콜 파시냔 (3차) | ||||
| | | ||||
[[사회민주동맹| 사회민주동맹 ]] | [[피어너 팔| 피어너 팔 ]] | [[무소속| 무소속 ]] | ||||
크리스트륀 프로스타도티르 | 미할 마틴 (2차) | 알리 아사도프 | ||||
| | | ||||
[[안도라 민주당| 안도라 민주당 ]] | [[알바니아 사회당| 알바니아 사회당 ]] | [[무소속| 무소속 ]] | ||||
샤비에르 에스포트 자모라 (2차) | 에디 라마 (3차) | 블라디미르 델바 (권한대행) | ||||
| | | ||||
[[에스토니아 개혁당| 에스토니아 개혁당 ]] | [[노동당(영국)| 노동당 ]] | [[오스트리아 인민당| 오스트리아 인민당 ]] | ||||
크리스텐 미할 | 키어 스타머 | 크리스티안 슈토커 | ||||
| | | ||||
[[무소속| 무소속 ]] | [[이탈리아의 형제들| 이탈리아의 형제들 ]] | [[조지아의 꿈| 조지아의 꿈 ]] | ||||
율리아 스비리덴코 | 조르자 멜로니 | 이라클리 코바키제 | ||||
| | | ||||
[[시민민주당| 시민민주당 ]] | [[자결당| 자결당 ]] | [[크로아티아 민주연합| 크로아티아 민주연합 ]] | ||||
페트르 피알라 | 알빈 쿠르티 (2차) | 안드레이 플렌코비치 (3차) | ||||
| | | ||||
[[무소속| 무소속 ]] | [[사회민주당(포르투갈)| 사회민주당 ]] | [[시민 연단| 시민 연단 ]] | ||||
알렉산드르 로젠베르크 | 루이스 몬테네그루 | 도날트 투스크 (3차) | ||||
| | | ||||
[[민주운동| 민주운동 ]] | [[국민연합당| 국민연합당 ]] | [[청년민주동맹| 청년민주동맹 ]] | ||||
프랑수아 바이루 | 페테리 오르포 | 오르반 빅토르 (5차)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아메리카 ]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공산국가의 수상 | ||
| | | ||||
[[인민진보당| 인민진보당 ]] | [[국민민주회의(그레나다)| 국민민주회의 ]] | [[도미니카 노동당| 도미니카 노동당 ]] | ||||
마크 필립스 | 디콘 미첼 | 루스벨트 스케릿 (5차) | ||||
| | | ||||
[[바베이도스 노동당| 바베이도스 노동당 ]] | [[진보자유당| 진보자유당 ]] | [[인민연합당| 인민연합당 ]] | ||||
미아 모틀리 (2차) | 필립 데이비스 | 조니 브리세뇨 (2차) | ||||
| | | ||||
[[세인트루시아 노동당| 세인트루시아 노동당 ]] | [[통일노동당| 통일노동당 ]] | [[세인트키츠 네비스 노동당| 세인트키츠 네비스 노동당 ]] | ||||
필립 조셉 피에르 | 랄프 곤살베스 (5차) | 테런스 드루 | ||||
| |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자메이카 노동당| 자메이카 노동당 ]] | ||||
알릭스 디디에 피스-에메 (권한대행) | 개스턴 브라운 (3차) | 앤드루 홀네스 (3차) | ||||
| | | ||||
[[캐나다 자유당| 캐나다 자유당 ]] | [[쿠바 공산당| 쿠바 공산당 ]] | [[인민민족운동| 통일국민회의 ]] | ||||
마크 카니 | 마누엘 마레로 크루스 (2차) | 캄라 퍼사드비세사 (2차) | ||||
| ||||||
[[무소속| 무소속 ]] | ||||||
구스타보 아드리안젠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아프리카 ]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군부에 의해 임명 ♔ 사실상 전제군주국인 입헌군주국 | ||||
| |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남서아프리카 인민기구| 남서아프리카 인민기구 ]] | ||||
바 우리 | 후이 두아르테 드 바호스 | 엘리자 은구라레 | ||||
| | | ||||
[[무소속| 무소속 ]] | [[번영을 위한 혁명| 번영을 위한 혁명 ]] | [[사회민주당(르완다)| 사회민주당 ]] | ||||
알리 라민 제인 | 샘 마테카네 | 에두아르 응기렌테 (2차) | ||||
| |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
압둘 하미드 드베이바 | 크리스티앙 은차이 (3차) | 압둘라예 마이가 (임시) | ||||
| | | ||||
[[독립국민연합| 독립국민연합 ]] | [[노동당(모리셔스)| 노동당 ]] | [[공정당| 공정당 ]] | ||||
아지즈 아칸누시 (2차) | 나빈 람굴람 (4차) | 모크타르 울드 디제이 | ||||
| | | ||||
[[모잠비크 해방전선| 모잠비크 해방전선 ]] | [[민주방위국민회의-민주방위군| 민주방위국민회의-민주방위군 ]] | [[무소속| 무소속 ]] | ||||
마리아 벤빈다 레비 | 제르베 은디라코부차 | 장 에마뉘엘 웨드라오고 (임시) | ||||
| | | ||||
[[폴리사리오 전선| 폴리사리오 전선 ]] | [[독립민주행동당| 독립민주행동당 ]] | [[무소속| 무소속 ]] | ||||
보우치라야 함무디 바요운 (3차) | 아메리쿠 하무스 (2차) | 우스만 송코 | ||||
| | | ||||
[[평화개발연합당| 평화개발연합당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
함자 압디 바레 | 다팔라 알하지 알리 (권한대행) | 데이비드 모이니나 셍게 | ||||
| |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번영당| 번영당 ]] | ||||
나디르 라르바우이 | 러셀 들라미니 (왕족) | 아비 아머드 (2차) | ||||
| | | ||||
[[민족저항운동| 민족저항운동 ]] | [[무소속| 무소속 ]] | [[적도 기니 민주당| 적도 기니 민주당 ]] | ||||
로비나 나반자 | 무스타파 아드불리 | 마누엘 오사 은수에 은수아 | ||||
| | | ||||
[[연합마음운동| 연합마음운동 ]] | [[진보인민연합| 진보인민연합 ]] | [[무소속| 무소속 ]] | ||||
펠릭스 몰루아 | 압둘카데르 카밀 모하메드 (3차) | 알라마예 할리나 | ||||
| | | ||||
[[카메룬 인민민주운동| 카메룬 인민민주운동 ]] | [[민주운동(카보베르데)| 민주운동 ]] | [[공화연합| 공화연합 ]] | ||||
조셉 응구테 (2차) | 울리스스 코헤이아 이 시우바 (2차) | 로베르 뵈그레 맘베 | ||||
| | | ||||
[[콩고 노동당| 콩고 노동당 ]] | [[콩고의 미래| 콩고의 미래 ]] | [[탄자니아 혁명당| 탄자니아 혁명당 ]] | ||||
아나톨 콜리넷 마코소 (2차) | 주디스 툴루카 수민와 | 카심 마잘리와 (2차) | ||||
| | |||||
[[공화국을 위한 연합| 공화국을 위한 연합 ]] | [[무소속| 무소속 ]] | |||||
포르 냐싱베 | 사라 자파라니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오세아니아 ] | ♔ 사실상 전제군주국인 입헌군주국 NZ 뉴질랜드의 자유연합 | |||
| | | ||||
[[뉴질랜드 국민당| 국민당 ]] | [[무소속| 무소속 ]] | [[바누아투 지도자당| 바누아투 지도자당 ]] | ||||
크리스토퍼 럭슨 | 달튼 타겔라기 (2차) | 조섬 나팟 | ||||
| | | ||||
[[사모아 연합 내 믿음| 사모아 연합 내 믿음 ]] | [[소유통합책임당| 소유통합책임당 ]] | [[쿡 제도당| 쿡 제도당 ]] | ||||
피아메 나오미 마타아파 | 제러마이아 머넬레 | 마크 브라운 (2차) | ||||
| |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팡구당| 팡구당 ]] | ||||
아이사케 에케 | 펠레티 테오 | 제임스 마라페 (2차) | ||||
| | |||||
[[인민동맹| 인민동맹 ]] | [[호주 노동당| 호주 노동당 ]] | |||||
시티베니 람부카 (3차) | 앤서니 앨버니지 (2차) | }}}}}}}}} | ||||
재위 중인 군주 · 재임 중인 대통령 및 총통 · 집권 중인 공산국가 지도부 |
싱가포르 공화국 부총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
토흐친차이 | 고켕스위 | S. 라자라트남 | 고촉통 | ||
제4대 | 제5대 | 제6대 | 제7대 | ||
옹텡청 | 리셴룽 | 토니 탄 | S. 자야쿠마르 |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
웡 칸 셍 | 테오치히엔 | 타르만 샨무가라트남 | 헹스위킷 | ||
제12대 | 제13대 | ||||
로렌스 웡 | 간킴용 | ||||
싱가포르 대통령 · 싱가포르 총리 | }}}}}}}}} |
[1] 광동어 발음의 변형[2] 표준 중국어[3] 1965년[4] 영국 및 영연방 국가들 특유의 예비대학과정으로 2년제이며 한국의 전문대학교들과는 다르게 싱가폴에서는 컬리지를 가려면 무조건 대입시험 성적이 못해도 상위 25%안에는 들어야 한다. 이 컬리지 과정을 마친 뒤 4년제 대학으로 진학하는 방식[5] 리셴룽 전 총리의 2남이고 본인은 정치에 관심 없다고 밝혔으나 이미 리콴유 추도문 읽기를 포함해서 주목을 받고 있다.[6] 사실 1990년대와 달리 2020년대 들어서는 비록 여전히 권위주의적이기기는 해도 과거보다는 싱가포르인들이 민주적 의식에 서서히 눈을 뜨고 있기 때문에 단순히 전자로 머물 가능성은 그렇게 높지는 않아 보인다.[7] 노비나 쪽에 위치한 Barker Road Methodist Church에 다닌다.[8] 2025년 국경일 행사 축하 영상에서 기타 연주를 하며 출연하기도 하였다[9] 이상한 게 아닌 게 이 사람 부모 세대는 적어도 1930~40년대생이다. 이 세대는 표준 중국어 보단 방언이 익숙한 세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