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90c23, #c8102e 20%, #c8102e 80%, #990c23);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제1공화국 | |||
초대 | 제2대 | 제3대 | 임시 | |
카를 레너 | 미하엘 마이어 | 요한 쇼버 | 발터 브라이스키 | |
제3대2 | 제4대 | 제5대 | 제4대2 | |
요한 쇼버 | 이그나츠 자이펠 | 루돌프 라메크 | 이그나츠 자이펠 | |
제6대 | 제3대3 | 제7대 | 제8대 | |
에른스트 슈트레루비츠 | 요한 쇼버 | 카를 바우고인 | 오토 엔더 | |
제9대 | 제10대 | |||
카를 부레슈 | 엥겔베르트 돌푸스 | |||
연방국 |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엥겔베르트 돌푸스 | 쿠르트 슈슈니크 | 아르투어 자이스​잉크바르트 | ||
제2공화국 | ||||
초대2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
카를 레너 | 레오폴트 피글 | 율리우스 랍 | 알폰스 고르바흐 | |
제16대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
요제프 클라우스 | 브루노 크라이스키 | 프레트 지노바츠 | 프란츠 프라니츠키 | |
제20대 | 제21대 | 제22대 | 제23대 | |
빅토르 클리마 | 볼프강 쉬셀 | 알프레트 구젠바우어 | 베르너 파이만 | |
제24대 | 제25대 | 제26대 | 제25대2 | |
크리스티안 케른 | 제바스티안 쿠르츠 | 브리지테 비어라인 | 제바스티안 쿠르츠 | |
제27대 | 제28대 | 제29대 | ||
알렉산더 샬렌베르크 | 카를 네하머 | 크리스티안 슈토커 | }}}}}}}}} |
오스트리아 공화국 제30대 총리 크리스티안 슈토커 Christian Stocker | |||
| |||
<colbgcolor=#D81E05><colcolor=#fff> 출생 | 1960년 3월 20일 ([age(1960-03-20)]세) | ||
니더외스터라이히 비너노이슈타트 | |||
국적 |
| ||
임기 | 오스트리아 총리 | ||
2025년 3월 3일 ~ 현직 | |||
약력 | 국민의회의원 (2019~현직) 인민당 사무총장 (2022~2025) 인민당 대표 직무대행 (2025~현직) 오스트리아 총리 (2025~현직) | ||
링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81E05><colcolor=#fff> 부모 | 아버지 프란츠 슈토커 | |
배우자 | |||
자녀 | |||
학력 | 빈 대학교 (법학 / 법학박사) | ||
종교 | 가톨릭 | ||
소속 정당 | [[오스트리아 인민당| 인민당 ]] | ||
의원선수 | 3 (하원) | ||
지역구 | 니더외스트라이히 남부 | }}}}}}}}} |
1. 개요
오스트리아의 법조인 출신 정치인으로 오스트리아 공화국 제30대 총리다.2. 생애
오스트리아 인민당 소속으로 국민의회 의원을 지낸 프란츠 슈토커(Franz Stocker)의 아들이다. 비너노이슈타트에서 태어나 여기서 유년기와 청소년기를 보낸 후 1979년 비엔나 대학교에 입학해 법학을 전공해 법학박사 학위를 취득했고, 이후 주로 변호사로 활동했다.2.1. 정치 활동
1990년 비너노이슈타트 시의회의원으로 정치에 입문했고, 1992년부터 시의회 원내대표, 감사위원회 위원장을 차례로 맡은 뒤, 2000년부터 인민당의 비너노이슈타트 지구당 위원장을 맡았으며, 같은 해 부시장으로 처음 선출되었다. 2015년부터 제1부시장으로 재직 중이다.2017년 총선에서 니더외스터라이히 남부 지역구 후보로 출마했다. 처음에는 당선에 실패했지만 자신의 앞선 순번으로 당선된 요한 레들러(Johann Rädler)가 사임한 뒤 그 자리를 승계하면서 2019년 6월 12일 처음으로 국민의회의원에 당선되었다.
2021년 6월, 국민당 비너 노이슈타트 지구당 대표로 재선되었으며, 같은 해 12월 제바스티안 쿠르츠 총리가 연루된 재무부 자금 유용 사건과 관련하여 당내 부패 조사위원회 위원으로 임명되었고, 쿠르츠 축출에 개입하게 됐다. 이후 카를 네하머 총리 체제에서 2022년 3월, 국민당 원내 대변인으로 선출되었으며, 같은 해 9월에는 인민당 사무총장으로 임명되었다.
2024년 총선에서 같은 지역구에 재출마해 무난히 당선되어 원내에 재입성했다. 그러나 소속 당인 인민당이 극우 성향의 자유당에 밀려 2위에 그치면서 위기를 맞게 되었다. 알렉산더 판데어벨렌 대통령이 극우파를 잠정 배제하고 중도우파인 인민당에 정부 구성 권한을 먼저 부여하면서, 당대표인 카를 네하머 총리를 대신해 인민당과 사회민주당(사민당), 신오스트리아자유포럼(NEOS)과의 연정 3자 협상을 이끌었으나 최종 결렬되었다.
2025년 1월 5일 카를 네하머 총리가 연정 협상 결렬에 책임을 지고 총리직 사퇴를 선언하며 당대표직에서도 물러나자 당 지도부의 결정에 따라 당대표 직무대행을 맡았다. 아울러 정부 구성 권한이 자유당에게로 넘어가면서 헤르베르트 키클 자유당 대표가 주도하는 연정 협상에 참여했다. 그러나 애초에 슈토커 본인이 자유당과의 연정 구성을 마뜩치 않아 하기도 했고, 공영방송 수신료 정책과 외교 노선 등에 관한 의견차를 좁히지 못해 2월 12일 협상 결렬을 선언했다.
이에 다시 정부 구성 권한을 넘겨받아 인민당과 사민당, NEOS 간의 3당 협상을 재추진했다. 한 번 결렬된 협상을 다시 추진하는 데 대한 회의적인 시선이 뒤따랐지만 2월 27일 3당 연정 협상을 최종 타결하고 합의문을 발표하며 연정을 이끌 차기 총리로 낙점되었고, 2025년 3월 3일 오스트리아의 신임 총리로 취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