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90c23, #c8102e 20%, #c8102e 80%, #990c23);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제1공화국 | |||
초대 | 제2대 | 제3대 | 임시 | |
카를 레너 | 미하엘 마이어 | 요한 쇼버 | 발터 브라이스키 | |
제3대2 | 제4대 | 제5대 | 제4대2 | |
요한 쇼버 | 이그나츠 자이펠 | 루돌프 라메크 | 이그나츠 자이펠 | |
제6대 | 제3대3 | 제7대 | 제8대 | |
에른스트 슈트레루비츠 | 요한 쇼버 | 카를 바우고인 | 오토 엔더 | |
제9대 | 제10대 | |||
카를 부레슈 | 엥겔베르트 돌푸스 | |||
연방국 |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엥겔베르트 돌푸스 | 쿠르트 슈슈니크 | 아르투어 자이스​잉크바르트 | ||
제2공화국 | ||||
초대2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
카를 레너 | 레오폴트 피글 | 율리우스 랍 | 알폰스 고르바흐 | |
제16대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
요제프 클라우스 | 브루노 크라이스키 | 프레트 지노바츠 | 프란츠 프라니츠키 | |
제20대 | 제21대 | 제22대 | 제23대 | |
빅토르 클리마 | 볼프강 쉬셀 | 알프레트 구젠바우어 | 베르너 파이만 | |
제24대 | 제25대 | 제26대 | 제25대2 | |
크리스티안 케른 | 제바스티안 쿠르츠 | 브리지테 비어라인 | 제바스티안 쿠르츠 | |
제27대 | 제28대 | 제29대 | ||
알렉산더 샬렌베르크 | 카를 네하머 | 크리스티안 슈토커 | }}}}}}}}} |
오스트리아 공화국 제30대 총리 크리스티안 슈토커 Christian Stocker | |||
| |||
<colbgcolor=#D81E05><colcolor=#fff> 출생 | 1960년 3월 20일 ([age(1960-03-20)]세) | ||
니더외스터라이히 비너노이슈타트 | |||
국적 |
| ||
임기 | 오스트리아 총리 | ||
2025년 3월 3일 ~ 현직 | |||
약력 | 국민의회의원 (2019~현직) 인민당 사무총장 (2022~2025) 인민당 대표 직무대행 (2025~현직) 오스트리아 총리 (2025~현직) | ||
링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81E05><colcolor=#fff> 부모 | 아버지 프란츠 슈토커 | |
배우자 | |||
자녀 | |||
학력 | 빈 대학교 (법학 / 법학박사) | ||
종교 | 가톨릭 | ||
소속 정당 | [[오스트리아 인민당| 인민당 ]] | ||
의원선수 | 3 (하원) | ||
지역구 | 니더외스터라이히 남부 | }}}}}}}}} |
1. 개요
오스트리아의 법조인 출신 정치인으로 오스트리아 공화국 제30대 총리이다.2. 생애
오스트리아 인민당 소속으로 국민의회 의원을 지낸 프란츠 슈토커(Franz Stocker)의 아들이다. 비너노이슈타트에서 태어나 여기서 유년기와 청소년기를 보낸 후 1979년 비엔나 대학교에 입학해 법학을 전공해 법학박사 학위를 취득했고, 이후 주로 변호사로 활동했다.2.1. 정치 활동
1990년 비너노이슈타트 시의회의원으로 정치에 입문했고, 1992년부터 시의회 원내대표, 감사위원회 위원장을 차례로 맡은 뒤, 2000년부터 인민당의 비너노이슈타트 지구당 위원장을 맡았으며, 같은 해 부시장으로 처음 선출되었다. 2015년부터 제1부시장으로 재직 중이다.2017년 총선에서 니더외스터라이히 남부 지역구 후보로 출마했다. 처음에는 당선에 실패했지만 자신의 앞선 순번으로 당선된 요한 레들러(Johann Rädler)가 사임한 뒤 그 자리를 승계하면서 2019년 6월 12일 처음으로 국민의회의원에 당선되었다.
2021년 6월, 국민당 비너 노이슈타트 지구당 대표로 재선되었으며, 같은 해 12월 제바스티안 쿠르츠 총리가 연루된 재무부 자금 유용 사건과 관련하여 당내 부패 조사위원회 위원으로 임명되었고, 쿠르츠 축출에 개입하게 됐다. 이후 카를 네하머 총리 체제에서 2022년 3월, 국민당 원내 대변인으로 선출되었으며, 같은 해 9월에는 인민당 사무총장으로 임명되었다.
2024년 총선에서 같은 지역구에 재출마해 무난히 당선되어 원내에 재입성했다. 그러나 소속 당인 인민당이 극우 성향의 자유당에 밀려 2위에 그치면서 위기를 맞게 되었다. 알렉산더 판데어벨렌 대통령이 극우파를 잠정 배제하고 중도우파인 인민당에 정부 구성 권한을 먼저 부여하면서, 당대표인 카를 네하머 총리를 대신해 인민당과 사회민주당(사민당), 신오스트리아자유포럼(NEOS)과의 연정 3자 협상을 이끌었으나 최종 결렬되었다.
2025년 1월 5일 카를 네하머 총리가 연정 협상 결렬에 책임을 지고 총리직 사퇴를 선언하며 당대표직에서도 물러나자 당 지도부의 결정에 따라 당대표 직무대행을 맡았다. 아울러 정부 구성 권한이 자유당에게로 넘어가면서 헤르베르트 키클 자유당 대표가 주도하는 연정 협상에 참여했다. 그러나 애초에 슈토커 본인이 자유당과의 연정 구성을 마뜩치 않아 하기도 했고, 공영방송 수신료 정책과 외교 노선 등에 관한 의견차를 좁히지 못해 2월 12일 협상 결렬을 선언했다.
이에 다시 정부 구성 권한을 넘겨받아 인민당과 사민당, NEOS 간의 3당 협상을 재추진했다. 한 번 결렬된 협상을 다시 추진하는 데 대한 회의적인 시선이 뒤따랐지만 2월 27일 3당 연정 협상을 최종 타결하고 합의문을 발표하며 연정을 이끌 차기 총리로 낙점되었고, 2025년 3월 3일 오스트리아의 신임 총리로 취임했다.
2.2. 총리 재임기
3.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em;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아시아 ]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사실상 군부 소속 ☭ 공산국가의 수상 ♔ 전제군주국, 혹은 사실상 전제군주국인 입헌군주국 | |||||
| | | ||||
[[네팔 공산당(통합 마르크스-레닌주의)| 네팔 공산당 (통합 마르크스-레닌주의) ]] | [[민주진보당| 민주진보당 ]] | [[무소속| 무소속 ]] | ||||
카드가 프라사드 올리 (4차) | 줘룽타이 | 이주호 (권한대행) | ||||
| | | ||||
[[티모르 재건국민회의| 티모르 재건국민회의 ]] | [[라오 인민혁명당| 라오 인민혁명당 ]] | [[무소속| 무소속 ]] | ||||
샤나나 구스망 (3차) | 쏜싸이 씨판돈 | 나와프 살람 | ||||
| | | ||||
[[인민정의당| 인민정의당 ]] | [[몽골 인민당| 몽골 인민당 ]] | [[무소속| 무소속 ]] | ||||
안와르 이브라힘 | 롭상남스랭 어용에르덴 | 민 아웅 흘라잉 | ||||
| |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베트남 공산당| 베트남 공산당 ]] | ||||
살만 빈 하마드 알할리파 (왕세자) | 무함마드 유누스 (임시) | 팜민찐 | ||||
| | | ||||
[[무소속| 무소속 ]] | [[조선로동당| 조선로동당 ]] | [[무소속| 무소속 ]] | ||||
체링 토브가이 (2차) | 박태성 | 하사날 볼키아 (국왕) | ||||
| | | ||||
[[무소속| 무소속 ]] | [[국가 인민의 힘| 국가 인민의 힘 ]] | [[인민행동당| 인민행동당 ]] | ||||
무함마드 빈 살만 알사우드 (왕세자) | 하리니 아마라수리야 (2차) | 로렌스 웡 (2차) | ||||
| | | ||||
[[무소속| 무소속 ]] | [[탈레반| 탈레반 ]] | [[무소속| 무소속 ]] | ||||
무함마드 빈 라시드 알막툼 (두바이 아미르) | 하산 아훈드 (권한대행) | 살렘 살레 빈 브라이크 | ||||
| |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우즈베키스탄 자유민주당| 우즈베키스탄 자유민주당 ]] | ||||
하이삼 빈 타리크 알사이드 (국왕) | 자파르 하산 | 압둘라 아리포프 (2차) | ||||
| | | ||||
[[알푸라타인| 알푸라타인 ]] | [[리쿠드| 리쿠드 ]] | [[인도 인민당| 인도 인민당 ]] | ||||
모하메드 시아 알수다니 | 베냐민 네타냐후 (6차) | 나렌드라 모디 (3차) | ||||
| | | ||||
[[자유민주당(일본)| 자유민주당 ]] | [[중국공산당| 중국공산당 ]] | [[아마나트| 아마나트 ]] | ||||
이시바 시게루 (2차) | 리창 | 올자스 벡테노프 | ||||
| | | ||||
[[무소속| 무소속 ]] | [[캄보디아 인민당| 캄보디아 인민당 ]] | [[무소속| 무소속 ]] | ||||
모하메드 빈 압둘라흐만 알사니 (왕족) | 훈 마넷 | 아마드 알압둘라 알사바 (국왕의 조카) | ||||
| | | ||||
[[무소속| 무소속 ]] | [[타지키스탄 인민민주당| 타지키스탄 인민민주당 ]] | [[태국인당| 태국인당 ]] | ||||
아딜베크 카시말리예프 | 코히르 라술조다 | 패통탄 친나왓 | ||||
| | |||||
[[파키스탄 무슬림 동맹| 파키스탄 무슬림 동맹 ]] | [[무소속| 무소속 ]] | |||||
셰바즈 샤리프 (2차) | 무함마드 무스타파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유럽 ]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바티칸 시국의 명목상 정부수반은 바티칸 시국 행정부 장관이다. *** 스위스의 총리는 행정부 소속이 아니며 명목상 정부수반이 없다. | |||
| | | ||||
[[신민주주의당| 신민주주의당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
키리아코스 미초타키스 (2차) | 주소이트 콘스탄틴 | 딕 스호프 | ||||
| | | ||||
[[노동당(노르웨이)| 노동당 ]] | [[사회민주당(덴마크)| 사회민주당 ]] | [[독일 사회민주당| 독일 사회민주당 ]] | ||||
요나스 가르 스퇴레 (2차) | 메테 프레데릭센 (2차) | 올라프 숄츠 | ||||
| | | ||||
[[신단결| 신단결 ]] | [[무소속| 무소속 ]] | [[사회민주당(루마니아)| 사회민주당 ]] | ||||
에비카 실리냐 | 미하일 미슈스틴 (2차) | 마르첼 치올라쿠 (2차) | ||||
| | | ||||
[[기독사회인민당| 기독사회인민당 ]] | [[리투아니아 사회민주당| 사회민주당 ]] | [[애국연합| 애국연합 ]] | ||||
뤼크 프리당 | 긴타우타스 팔루츠카스 | 브리기테 하스 | ||||
| | | ||||
[[무소속| 무소속 ]] | [[지금 유럽!| 지금 유럽! ]] | [[무소속| 무소속 ]] | ||||
이자벨 베로 아마데이 (권한대행) | 밀로이코 스파이치 | 도린 레체안 | ||||
| | | ||||
[[노동당(몰타)| 노동당 ]] | [[무소속| 무소속 ]] | [[Open VLD| Open VLD ]] | ||||
로버트 아벨라 (2차) | 공석 | 바르트 더베버르 | ||||
| | | ||||
[[무소속| 무소속 ]] | [[독립사회민주연대| 독립사회민주연대 ]] |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마케도니아 국민통합민주당| VMRO-DPMNE ]] | ||||
알렉산드르 투르친 | 보랴나 크리슈토 | 흐리스티얀 미츠코스키 | ||||
| | | ||||
[[국민통일당| 국민통일당 ]] | [[유럽 발전을 위한 불가리아 시민| GERB ]] | [[무소속| 무소속 ]] | ||||
위날 위스텔 | 로센 젤랴즈코프 | 주로 마추트 | ||||
| | | ||||
[[온건당| 온건당 ]] | [[스위스 녹색자유당| 스위스 녹색자유당 ]] | [[스페인 사회주의노동자당| 스페인 사회주의노동자당 ]] | ||||
울프 크리스테르손 | 빅토르 로시 | 페드로 산체스 (3차) | ||||
| | | ||||
[[사회민주당(슬로바키아)| 방향-사회민주주의 ]] | [[자유운동(슬로베니아)| 자유운동 ]] | [[시민계약(정당)| 시민계약 ]] | ||||
로베르트 피초 (4차) | 로베르트 골로프 | 니콜 파시냔 (3차) | ||||
| | | ||||
[[사회민주동맹| 사회민주동맹 ]] | [[피어너 팔| 피어너 팔 ]] | [[무소속| 무소속 ]] | ||||
크리스트륀 프로스타도티르 | 미할 마틴 | 알리 아사도프 | ||||
| | | ||||
[[안도라 민주당| 안도라 민주당 ]] | [[알바니아 사회당| 알바니아 사회당 ]] | [[무소속| 무소속 ]] | ||||
샤비에르 에스포트 자모라 (2차) | 에디 라마 (3차) | 블라디미르 델바 (권한대행) | ||||
| | | ||||
[[에스토니아 개혁당| 에스토니아 개혁당 ]] | [[노동당(영국)| 노동당 ]] | [[오스트리아 인민당| 오스트리아 인민당 ]] | ||||
크리스텐 미할 | 키어 스타머 | 크리스티안 슈토커 | ||||
| | | ||||
[[무소속| 무소속 ]] | [[이탈리아의 형제들| 이탈리아의 형제들 ]] | [[조지아의 꿈| 조지아의 꿈 ]] | ||||
데니스 시미할 | 조르자 멜로니 | 이라클리 코바키제 | ||||
| | | ||||
[[시민민주당| 시민민주당 ]] | [[자결당| 자결당 ]] | [[크로아티아 민주연합| 크로아티아 민주연합 ]] | ||||
페트르 피알라 | 알빈 쿠르티 (2차) | 안드레이 플렌코비치 (3차) | ||||
| | | ||||
[[무소속| 무소속 ]] | [[사회민주당(포르투갈)| 사회민주당 ]] | [[시민 연단| 시민 연단 ]] | ||||
알렉산드르 로젠베르크 | 루이스 몬테네그루 | 도날트 투스크 (3차) | ||||
| | | ||||
[[민주운동| 민주운동 ]] | [[국민연합당| 국민연합당 ]] | [[청년민주동맹| 청년민주동맹 ]] | ||||
프랑수아 바이루 | 페테리 오르포 | 오르반 빅토르 (5차)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아메리카 ]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공산국가의 수상 | ||
| | | ||||
[[인민진보당| 인민진보당 ]] | [[국민민주회의(그레나다)| 국민민주회의 ]] | [[도미니카 노동당| 도미니카 노동당 ]] | ||||
마크 필립스 | 디콘 미첼 | 루스벨트 스케릿 (5차) | ||||
| | | ||||
[[바베이도스 노동당| 바베이도스 노동당 ]] | [[진보자유당| 진보자유당 ]] | [[인민연합당| 인민연합당 ]] | ||||
미아 모틀리 (2차) | 필립 데이비스 | 조니 브리세뇨 | ||||
| | | ||||
[[세인트루시아 노동당| 세인트루시아 노동당 ]] | [[통일노동당| 통일노동당 ]] | [[세인트키츠 네비스 노동당| 세인트키츠 네비스 노동당 ]] | ||||
필립 조셉 피에르 | 랄프 곤살베스 (5차) | 테런스 드루 | ||||
| |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자메이카 노동당| 자메이카 노동당 ]] | ||||
알릭스 디디에 피스-에메 (권한대행) | 개스턴 브라운 (3차) | 앤드루 홀네스 (3차) | ||||
| | | ||||
[[캐나다 자유당| 캐나다 자유당 ]] | [[쿠바 공산당| 쿠바 공산당 ]] | [[인민민족운동| 인민민족운동 ]] | ||||
마크 카니 | 마누엘 마레로 크루스 (2차) | 스튜어트 영 | ||||
| ||||||
[[무소속| 무소속 ]] | ||||||
구스타보 아드리안젠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아프리카 ]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군부에 의해 임명 ♔ 사실상 전제군주국인 입헌군주국 | ||||
| |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
레몽 은동 시마 (임시) | 바 우리 | 후이 두아르테 드 바호스 | ||||
| | | ||||
[[남서아프리카 인민기구| 남서아프리카 인민기구 ]] | [[무소속| 무소속 ]] | [[번영을 위한 혁명| 번영을 위한 혁명 ]] | ||||
사라 쿠공겔롸 (2차) | 알리 라민 제인 | 샘 마테카네 | ||||
| | | ||||
[[사회민주당(르완다)| 사회민주당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
에두아르 응기렌테 (2차) | 압둘 하미드 드베이베 | 크리스티앙 은차이 | ||||
| | | ||||
[[무소속| 무소속 ]] | [[독립국민연합| 독립국민연합 ]] | [[노동당(모리셔스)| 노동당 ]] | ||||
쇼겔 코칼라 마이가 (임시) | 아지즈 아칸누시 | 나빈 람굴람 (4차) | ||||
| | | ||||
[[공정당| 공정당 ]] | [[모잠비크 해방전선| 모잠비크 해방전선 ]] | [[민주방위국민회의-민주방위군| 민주방위국민회의-민주방위군 ]] | ||||
모크타르 울드 디제이 | 아드리아누 말레이안 | 제르베 은디라코부차 | ||||
| | | ||||
[[무소속| 무소속 ]] | [[폴리사리오 전선| 폴리사리오 전선 ]] | [[독립민주행동당| 독립민주행동당 ]] | ||||
아폴리네르 조아킴 키엘렘 드탐벨라 (임시) | 보우치라야 함무디 비요운 | 파트리스 에메리 트루부아다 (2차) | ||||
| | | ||||
[[무소속| 무소속 ]] | [[평화개발연합당| 평화개발연합당 ]] | [[무소속| 무소속 ]] | ||||
우스만 송코 | 함자 압디 바레 | 오스만 후세인 (권한대행) | ||||
| |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
데이비드 모이니나 셍게 | 나디르 라르바우이 | 러셀 들라미니 (왕족) | ||||
| | | ||||
[[번영당| 번영당 ]] | [[민족저항운동| 민족저항운동 ]] | [[무소속| 무소속 ]] | ||||
아비 아머드 | 로비나 나반자 | 무스타파 아드불리 | ||||
| | | ||||
[[적도 기니 민주당| 적도 기니 민주당 ]] | [[연합마음운동| 연합마음운동 ]] | [[진보인민연합| 진보인민연합 ]] | ||||
마누엘라 로카 보테이 | 펠릭스 몰루아 | 압둘카데르 카밀 모하메드 (3차) | ||||
| | | ||||
[[개혁당(차드)| 개혁당 ]] | [[카메룬 인민민주운동| 카메룬 인민민주운동 ]] | [[민주운동(카보베르데)| 민주운동 ]] | ||||
알라마예 할리나 | 조셉 응구테 (2차) | 울리스스 코헤이아 이 시우바 (2차) | ||||
| | | ||||
[[공화연합| 공화연합 ]] | [[콩고 노동당| 콩고 노동당 ]] | [[콩고의 미래| 콩고의 미래 ]] | ||||
로베르 뵈그레 맘베 | 아나톨 콜리넷 마코소 (2차) | 주디스 툴루카 수민와 | ||||
| | | ||||
[[탄자니아 혁명당| 탄자니아 혁명당 ]] | [[공화국을 위한 연합| 공화국을 위한 연합 ]] | [[무소속| 무소속 ]] | ||||
카심 마잘리와 | 빅투아르 토메가 도그베 | 아메드 하차니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오세아니아 ] | ♔ 사실상 전제군주국인 입헌군주국 | ||
| | | ||||
[[뉴질랜드 국민당| 국민당 ]] | [[변화를 위한 재통일 운동| 변화를 위한 재통일 운동 ]] | [[사모아 연합 내 믿음| 사모아 연합 내 믿음 ]] | ||||
크리스토퍼 럭슨 | 샬롯 살와이 (2차) | 피아메 나오미 마타아파 | ||||
| |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
제러마이아 머넬레 | 사미우 바이풀루 (권한대행) | 펠레티 테오 | ||||
| | | ||||
[[팡구당| 팡구당 ]] | [[인민동맹| 인민동맹 ]] | [[호주 노동당| 호주 노동당 ]] | ||||
제임스 마라페 | 시티베니 람부카 (2차) | 앤서니 앨버니지 | }}}}}}}}} | |||
재위 중인 군주 · 재임 중인 대통령 및 총통 · 집권 중인 공산국가 지도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