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01 13:56:43

피델 카스트로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ffffff 20%, #ffffff 80%, #ffffff); color: #002A8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2A8F>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카를로스 살라드리가스 사야스 라몬 사이딘 안셀모 알리에그로 이 밀라 펠릭스 란시스 산체스
<rowcolor=#002A8F> 제5대 제6대 제7대 (제4대)
카를로스 소카라스 라울 로페스 델 카스티요 마누엘 안토니오 데 바로나 펠릭스 란시스 산체스
<rowcolor=#002A8F> 제8대 제9대 (임시) 제10대
오스카 간스 풀헨시오 바티스타 안드레스 도밍고 모랄레스 델 카스티요 호르헤 가르시아 몬테스
<rowcolor=#002A8F>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안드레스 리베로 아게로 에밀리오 누녜스 포르투온도 곤살로 겔 호세 미로 카르도나
<rowcolor=#002A8F> 제15대 제16대 제17대 제18대
피델 카스트로* 라울 카스트로* 미겔 디아스카넬* 마누엘 마레로 크루스 }}}
* : 각료이사회 위원장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0062a3 0%, #0072BD 20%, #0072BD 80%, #0062a3); color: #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국가원수
<rowcolor=#fff> 초대 제2대 제3대
피델 카스트로 라울 카스트로 미겔 디아스카넬
2019년 대통령직 재설치 이후
<rowcolor=#fff> 제4대
에스테반 라소 에르난데스
쿠바 대통령 · 쿠바 국가이사회 위원장 }}}}}}}}}}}}

쿠바 제15대 총리 및 각료이사회 위원장
<colbgcolor=#0072BD><colcolor=#ffffff>
쿠바 초대 국가이사회 위원장
피델 카스트로
Fidel Castro
파일:카스트로.jpg
1959년 첫 공식 사진
본명 피델 알레한드로 카스트로 루스
Fidel Alejandro Castro Ruz
출생 1926년 8월 13일
쿠바 제1공화국 올긴주 비란
사망 2016년 11월 25일 (향년 90세)
쿠바 아바나
재임기간 쿠바 제15대 총리
1959년 2월 16일 ~ 1976년 12월 2일
쿠바 공산당 중앙위원회 제1비서
1965년 10월 3일 ~ 2011년 4월 19일
초대 국가이사회 위원장[1]
1976년 12월 2일 ~ 2008년 2월 24일
서명 파일:피델 카스트로 서명.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72BD><colcolor=#ffffff> 직업 정치인, 변호사
학력 아바나 대학교 법학
종교 무종교 (무신론)
정당 정통당 (1946년 ~ 1952년)
7월 26일 운동 (1955년 ~ 1962년)
쿠바 사회주의 혁명연합당 (1962년 ~ 1965년)

[[쿠바 공산당|]] (1965년 ~ 2016년)
경력 쿠바 총리 (1959년 2월 16일 ~ 1976년 12월 2일)
쿠바 각료이사회 위원장 (1976년 12월 2일 ~ 2008년 2월 24일)
쿠바 국가이사회 위원장 (1976년 12월 2일 ~ 2008년 2월 24일)
쿠바 혁명군 총사령관 (1976년 12월 2일 ~ 2008년 2월 24일)
쿠바 공산당 중앙위원회 제1비서 (1965년 10월 3일 ~ 2011년 4월 19일)
신체 191cm[2], 80kg, O형[3]
형제 라울 카스트로, 화니타 카스트로, 엔마 카스트로
배우자 미르타 디아스 발라트
자녀 7남 2녀 }}}}}}}}}

1. 개요2. 생애3. 평가4. 어록5. 여담6. 대중매체에서7. 관련 문서8. 둘러보기

1. 개요

파일:시가를 피는 카스트로.jpg
너희가 지금 온갖 더러운 모함으로 나를 더럽히더라도 그것은 역사적으로 중요한 것도 아니며, 역사가 나의 무죄를 증명하리라.

피델 카스트로

쿠바의 정치인. 현 공산당 체제의 쿠바를 설립한 인물. 부패하고 무능했던 풀헨시오 바티스타 정권으로부터 쿠바를 해방시킨 혁명가이자 국부라는 평가와 언론 탄압은 물론 정적과 반대파 숙청을 행한 독재자라는 평가가 엇갈리고 있다.

49년 8일 혹은 52년 2개월 3일간 집권하면서 세계에서 가장 오래 집권한 독재자, 가장 오래 재임한 비(非) 왕실 국가원수 기록을 보유한 인물이다. 미국과의 오랜 대립 속에 반미(反美)적인 성향을 지닌 것으로 유명하며 한때 복지 정책을 통해 쿠바인에게 인기를 얻기도 했으나 공산권의 붕괴로 인해 쿠바 역시 큰 타격을 입었다. 사회 보장을 유지하는 한편 농업을 협동조합, 도시영농/유기농 생산 체제로 완전히 개편해내어 그리 풍족하지는 않지만 적어도 제3세계 국가들에서 흔히 일어나는 헬게이트가 쿠바에서는 일어나지 않았다. 구(舊) 동구권이나 사회주의 국가, 쿠바의 지원이나 협력을 받았던 라틴아메리카와 아프리카 등지의 국가들에서는 여전히 호의적인 평가가 우세하다. 그에 대한 평가는 현재까지도 크게 갈리지만 그가 반미주의의 상징이자 현대사의 흐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인물임은 부정할 수 없다.

2. 생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피델 카스트로/생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피델 카스트로/생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피델 카스트로/생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평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피델 카스트로/평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피델 카스트로/평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피델 카스트로/평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어록

피델 카스트로 한국어 봇
혁명은 장미의 침대가 아니다. 다만 미래와 과거의 투쟁일 뿐이다.
너희가 지금 온갖 더러운 모함으로 나를 더럽혀도 그것은 역사적으로 중요한 것도 아니며, 역사가 나의 무죄를 증명할 것이다.
제국주의 세력이 촉발시킨 2차대전은 파시즘의 격퇴, 세계 사회주의 형성, 식민지 종속국가들의 주권 투쟁에서 정점에 이르렀다. 1945년과 1957년 사이 12억 이상의 인구가 아시아 아프리카에서 독립을 쟁취했다. 인민이 흘린 피는 결코 헛되지 않았다. 식민지 종속국가의 인민운동은 세계를 뒤흔들고 제국주의의 최후 위기를 특징짓는 보편적 현상이다. 쿠바와 남아메리카는 세계의 일부다, 우리의 문제는 제국주의라는 일반적 위기와 예속 민중의 투쟁이 야기하는 문제의 일부다. 즉 그 분쟁은 새로 탄생하는 세계와 죽어가는 세계의 분쟁이다. 우리 조국을 음해하는 섬뜩하고 잔인한 캠페인은 제국주의자들이 인민의 해방을 방해하기 위해 자행하는 부질없고 처절한 노력이다. 쿠바는 특별한 방식으로 제국주의자들을 괴롭힌다. 쿠바혁명에 대한 양키들의 증오에 무엇이 은폐되어 있는가? 현 세계에서 침략 목적으로 가장 강력하고 부유한 제국주의 세력과 전 대륙의 독재 세력을 연합시키는[4] 그 음모를 어떻게 합리적으로 설명할 것인가? 그들을 연합시키고 부추기는 것은 공포다. 그것을 설명할 수 있는 것도 공포다. 혁명적 수단을 통해 쿠바에서 집권한 노동자, 농민, 지식인, 학생, 진보적 중산층에 대한 공포가 아니라, 노동자, 농민, 학생, 지식인, 진보적 중산층이 혁명적 수단으로 양키 독점 세력과 아메리카 대륙의 반동적 독재자들이 착취하고 억압해온 가난한 국가들에서 권력을 쟁취할지도 모른다는 공포, 아메리카 대륙의 약탈 당한 인민이 압제자들에게서 총칼을 회수하여 쿠바처럼 아메리카의 자유 인민으로 우뚝 설지도 모른다는 공포다.
조국이 아니면 죽음을!
사회주의가 아니면 죽음을!
우리는 승리할 것이다!
인민대중의 저항에 대응하고 정복할 수 있는 기술같은건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이는 전 세계 곳곳에서 증명된 바 있다. 베트남의 사례를 봐라.
미국이 멸망하기 전까진 절대로 죽을 일은 없다.[5]

5. 여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피델 카스트로/여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피델 카스트로/여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피델 카스트로/여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대중매체에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피델 카스트로/매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피델 카스트로/매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피델 카스트로/매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관련 문서

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0000> 파일:카스트로 투명.svg피델 카스트로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ff0000> 일생 생애 · 쿠바 혁명 · 피그만 침공 · 쿠바 미사일 위기
평가 평가,(긍정적 평가 · 부정적 평가),
대중매체 매체에서
여담 여담
기타 라틴아메리카 근현대사 · 포코 이론
가족 동생 라울 카스트로 · 배우자 빌마 에스핀
파일:낫과 망치.svg 공산주의 }}}}}}}}}

파일:낫과 망치.svg 공산주의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33%; min-height:2em"
{{{#!folding [ 이념 전반 ]
{{{#!wiki style="margin:-5px 0 -5px; letter-spacing:-0.05em"
<table bgcolor=#fff,#1f2023><colbgcolor=#cd0000,#cd0000><colcolor=#fed800,#fed800> 분파마르크스-레닌주의
현실사회주의 · 카스트로주의 · 호자주의 · 호찌민 사상 · 마오주의 (마르크스-레닌-마오주의 · 중국특색 사회주의 ·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 주체사상

볼셰비키-레닌주의
파블로주의 · 신트로츠키주의 (클리프주의) · 제3의 진영 · 포사다스주의

그 외: 사회적 아나키즘 · 좌익공산주의 · 서구 마르크스주의 · 포스트 마르크스주의 · 국민공산주의 · 유럽공산주의 · 기독교 공산주의
인물카를 마르크스 · 프리드리히 엥겔스 · 카를 카우츠키 · 블라디미르 레닌 · 레프 트로츠키 · 미하일 칼리닌 · 알렉산드라 콜론타이 · 나데즈다 크룹스카야 · 이오시프 스탈린 · 니키타 흐루쇼프 · 겐나디 주가노프 · 요시프 브로즈 티토 · 천두슈 · 리다자오 · 마오쩌둥 · 저우언라이 · 체 게바라 · 피델 카스트로 · 라울 카스트로 · 로자 룩셈부르크·프랑수아 노엘 바뵈프·루이 오귀스트 블랑키 · 카를 리프크네히트 · 안토니오 그람시 · 호찌민 · 응우옌반린 · 보응우옌잡 · 폴 포트 · 담딘 수흐바타르 · 허를러깅 처이발상 · 고토쿠 슈스이 · 시이 가즈오 · 고이케 아키라 · 키라 요시코 · 야마조에 타쿠 · 아카미네 세이켄 · 박헌영 · 김일성 · 심영 · 빌헬름 피크 · 발터 울브리히트 · 에리히 호네커 · 게오르게 게오르기우데지 · 엔베르 호자 · 헹크 스네이블릿·호세 카를로스 마리아테기 · 밥 아바키안 ·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 헬렌 켈러 · 김알렉산드라 · 차루 마줌다르 · 푸슈파 카말 다할
이론공산주의 · 사회주의 · 노동가치론 · 변증법적 유물론 · 마르크스 경제학 · 여성해방론 · 프롤레타리아 독재 · 민주집중제 · 계획경제 · 반자본주의 · 무신론 · 사회주의법 · 인민민주주의
정당공산당
상징낫과 망치 ·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 붉은 별 · 적기
관련 문서분파 · 역사 · 서기장 · 적색 테러 · 탈공산주의 · 통일전선 ·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 파일:레닌_투명.svg 레닌주의 · 파일:스탈린_투명.png 틀:스탈린주의 · 파일:트로츠키_투명.svg 틀:트로츠키주의 · 파일:마오쩌둥 투명.svg 틀:마오주의}}}}}}}}}{{{#!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33%; min-height:2em"
{{{#!folding [ 정당 · 조직 ]
{{{#!wiki style="margin:-5px 0 -5px; letter-spacing:-0.05em"
<colbgcolor=#cd0000,#cd0000><colcolor=#fed800,#fed800>
볼드체: 여당 또는 연립여당
이탤릭체: 당 내 일부 분파가 공산주의를 표방하는 정당
현존 정당
아시아
중국공산당 파일:중국 국기.svg · 일본공산당 파일:일본 국기.svg · 노동자공산당 파일:일본 국기.svg · 노동의 해방을 목표로 노동자당 파일:일본 국기.svg · 조선로동당 파일:북한 국기.svg · 노동당(대만) 파일:대만 국기.svg · 베트남 공산당 파일:베트남 국기.svg · 라오 인민혁명당 파일:라오스 국기.svg · 버마 공산당 파일:미얀마 국기.svg · 네팔 공산당(통합 마르크스-레닌주의) 파일:네팔 국기.svg · 네팔 공산당(마오주의 센터) 파일:네팔 국기.svg · 네팔 공산당(통합 사회주의) 파일:네팔 국기.svg · 인도 공산당 파일:인도 국기.svg · 인도 공산당(마르크스주의) 파일:인도 국기.svg · 방글라데시 노동자당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 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 팔레스타인 해방민주전선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 팔레스타인 인민당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 이스라엘 공산당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 예멘 사회당 파일:예멘 국기.svg · 카자흐스탄 공산당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 노동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민중민주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레바논 공산당 파일:레바논 국기.svg · 이란 투데당 파일:이란 국기.svg
유럽유럽 좌파당 파일:유럽연합 국기.svg · 유럽의회 좌파-GUE/NGL 파일:유럽연합 국기.svg · 유럽 공산주의자 행동 파일:유럽연합 국기.svg · 그리스 공산당 파일:그리스 국기.svg (틀:그리스의 정당 참조) · 네덜란드 신공산당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적색당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 노르웨이 공산당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 인민을 위해 복무하라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 좌파당 파일:독일 국기.svg · 독일 공산당 파일:독일 국기.svg · 라트비아 사회당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 러시아 연방 공산당 파일:러시아 국기.svg · 러시아의 공산주의자들 파일:러시아 국기.svg · 러시아 마오주의당 파일:러시아 국기.svg · 룩셈부르크 공산당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 몰도바 공화국 공산당 파일:몰도바 국기.svg · 벨기에 노동당 파일:벨기에 국기.svg · 벨라루스 공산당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 불가리아 공산당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 스위스 노동당 파일:스위스 국기.svg · 연대 파일:스위스 국기.svg · 스웨덴 공산당 파일:스웨덴 국기.svg · 스웨덴 공산당(1995) 파일:스웨덴 국기.svg · 수마르 파일:스페인 국기.svg · 아일랜드 공산당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 이윤 이전에 인민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 오스트리아 공산당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 오스트리아 노동당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 보헤미아 모라바 공산당 파일:체코 국기.svg ·노동인민진보당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 튀르키예 공산당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튀르키예 노동자당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트란스니스트리아 공산당 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 국기.svg · 포르투갈 공산당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프랑스 공산당 파일:프랑스 국기.svg · 노동자투쟁 파일:프랑스 국기.svg · 반자본주의신당 파일:프랑스 국기.svg · 신인민전선 파일:프랑스 국기.svg · 프랑스의 극적인 공산주의 르네상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 프랑스 혁명공산당(PRC) 파일:프랑스 국기.svg · 프랑스 혁명공산당(PCRF) 파일:프랑스 국기.svg · 헝가리 노동자당 파일:헝가리 국기.svg
아프
리카
남아프리카 공산당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 경제자유투사당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 이집트 공산당 파일:이집트 국기.svg · 케냐 공산당 파일:케냐 국기.svg
아메
리카
미국 공산당 파일:미국 국기.svg · 미국 혁명공산당 파일:미국 국기.svg · 사회주의해방당 파일:미국 국기.svg · 아메리카 공산당 파일:미국 국기.svg · 캐나다 공산당 파일:캐나다 국기.svg · 캐나다 공산당(마르크스-레닌주의) 파일:캐나다 국기.svg · 쿠바 공산당 파일:쿠바 국기.svg · 베네수엘라 공산당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 인민진보당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 자유 페루 파일:페루 국기.svg · 브라질 공산당 파일:브라질 국기.svg · 사회주의자유당 파일:브라질 국기.svg · 칠레 공산당 파일:칠레 국기.svg · 사회주의 운동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 에콰도르 공산당 - 붉은 태양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공산당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 우루과이 공산당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 아르헨티나 공산당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해산된 정당
소련 공산당 · 이탈리아 공산당 · 조선공산당 · 남조선로동당 · 세르비아 공산당· 폴란드 통일노동당 · 알바니아 노동당 ·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 인도네시아 공산당 · 불가리아 공산당 ·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 ·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 · 말라야 공산당 · 캄푸치아 공산당 · 루마니아 공산당 · 중화민국 공산당 · 영국 공산당 · 독일 사회주의통일당 · 헝가리 노동인민당 · 헝가리 사회주의 노동자당 · 튀르키예 공산당(1920년) · 호주 공산당 · 조선독립동맹 · 티베트 공산당 · POUM · 네덜란드 공산당 · 소말리아 혁명사회당 · 중화민국 공산당코민테른 · 코민포름 · 코메콘 · 바르샤바 조약 기구 · 인터내셔널 · 제4인터내셔널
탈공산주의 정당
몽골 인민당 파일:몽골 국기.svg · 카자흐스탄 인민당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 캄보디아 인민당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 사회당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헝가리 사회당 파일:헝가리 국기.svg · 기니카보베르데 아프리카독립당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 모잠비크 해방전선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 상투메 프린시페 해방운동-사회민주당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 앙골라 완전독립 민족동맹 파일:앙골라 국기.svg · 앙골라 해방인민운동 파일:앙골라 국기.svg · 짐바브웨 아프리카 국민연합 - 애국전선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 콩고 노동당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 티그라이 인민해방전선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 파라분도 마르티 민족해방전선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 파일:니카라과 국기.svg · 진보사회주의당 파일:모로코 국기.svg
국제 조직 공산당-노동자당 국제회의(가맹 정당) · 세계반제플랫폼 · 공산당 연합 - 소련 공산당}}}}}}}}}{{{#!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33%; min-height:2em"
{{{#!folding [ 국가 ]
{{{#!wiki style="margin:-5px 0 -10px; letter-spacing:-0.05em"
인민공화국 또는 사회주의 공화국을 표방하는 국가
공산주의 정당이 여당으로 집권 중인 국가 (: 연립정부의 일원)
붕괴된 국가
}}}}}}}}}
}}}

<colcolor=#fed800,#fed800> 파일:스탈린_투명.png
{{{#fed800,#fed800 마르크스-레닌주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d0000,#cd0000> 이념 <colcolor=#000,#ddd>반서방 · 반파시즘 · 마르크스-레닌주의 · 군국주의 · 대러시아 · 소비에트 내셔널리즘 · 인민민주주의 · 일국사회주의론 · 전체주의 · 2단계 혁명론
분파 현실사회주의 · 반수정주의 (마오주의 · 주체사상 · 호자주의 · MLM) · 국민공산주의 · 카스트로주의 · 곤살로 사상
정당/조직 소련 공산당 · 몽골 인민당 · 독일 통일사회당 · 폴란드 통일노동당 ·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 · 헝가리 사회노동당 · 루마니아 공산당 · 불가리아 공산당· 알바니아 노동당 · 중국공산당 · 조선로동당 · 유럽 공산주의자 행동 · 독일 공산당/마르크스-레닌주의 · 독일 마르크스-레닌주의당 · 코민테른 · 코민포름
군사 조직 소련군 · NKVD
인물 이오시프 스탈린 · 허를러깅 처이발상 · 발터 울브리히트 · 볼레스와프 비에루트 · 클레멘트 고트발트 · 라코시 마티아스 · 게오르게 게오르기우데지 ·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 엔베르 호자 · 마오쩌둥 · 김일성 · 누르 모하마드 타라키
국가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 몽골 인민 공화국 · 독일 민주 공화국 · 폴란드 인민공화국 ·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 헝가리 인민공화국 ·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 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공화국 · 중화인민공화국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련 주제 적색 파시즘
파일:낫과 망치.svg 공산주의 ·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소련 · 파일:마오주의 깃발.svg 마오쩌둥 사상 }}}}}}}}}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파일:기네스 세계기록 로고.svg기네스
세계 기록
}}}
The most failed assassinations
(가장 많은 실패한 암살 시도)
<rowcolor=#fff> 대상 기록 장소 등재 시일
<rowcolor=#000,#fff>
피델 카스트로 루스
638회
쿠바
기네스 세계 기록 설명 페이지

[1] 각료이사회 위원장, 혁명군 총사령관 겸직[2] 젊은 시절 키. 그가 언제 태어났는지를 감안하면 사실상 거인 수준이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고, 현재 기준으로도 거인이다. 보통 지도자의 경우 체구가 커야 카리스마가 있다는 이미지가 있는데, 샤를 드골과 함께 이 부문의 본좌격 인물이라고 보아도 좋을 정도로 체구가 크다. 그와 비슷한 나이대와 비슷한 체구를 가진 인물은 대표적으로 크리스토퍼 리, 이디 아민이 있다.[3] 출처 출처[4] 3억 5천만 인구를 대변하는 이 세력은, 다른 국가의 안보를 위협할 금융, 군사 수단도 없이 경제적으로 저발전 상태에 있는 고작 인구 7백만 명의 소국을 공격하려 한다.[5] 파일:external/www.dogdrip.net/c58a5159508da3e6c60fd8f15ed1ab7c.jpg도널드 트럼프를 비판하는 측에선 트럼프가 미국 대통령이 된 덕분에 카스트로가 죽었다는 밈이 나오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