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1 00:32:37

경제자유투사당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50px><tablebordercolor=#fff> 파일:1014px-SA_Parliament_coat_of_arms.svg.png남아프리카 공화국 의회
원내 구성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연립여당
파일:아프리카 국민회의 로고.svg
아프리카 국민회의

159석
파일:민주동맹 로고.svg
민주동맹

87석
파일:잉카타_자유당.png
잉카타 자유당

17석
파일:Logo_of_Patriotic_Alliance_(South_Africa).png
애국동맹

9석
파일:CDDA90DC-1CC3-43AF-98D3-964CA172A0BE.png
자유전선 플러스

6석
파일:남아공 연합민주운동 로고.png
연합민주운동

3석
파일:aljama-logo.jpg
알자마아

2석
파일:Rise_Mzansi_logo.svg
Rise Mzansi
2석
파일:1024px-GOOD_(political_party).svg.png
GOOD

1석
파일:1024px-Pan_Africanist_Congress_of_Azania_logo.svg.png
범아프리카
아자니아 회의

1석
야당
파일:민족의 창 로고.png
민족의 창

58석
파일:경제자유투사당 로고.svg
경제자유투사당

39석
파일:액션SA로고.webp
액션 SA

6석
파일:944px-ACDP_logo.svg.png
아프리카
기독민주당

3석
파일:Logo_of_the_Build_One_South_Africa.svg
Build One South Africa

2석
파일:아프리카 변혁운동 로고(글자 없음).png
아프리카 변혁운동

2석
파일:Cape_Coloured_Congress_Logo.png
컬러드 국민회의

2석
파일:Logo_of_the_United_Africans_Transformation.png
통합 아프리카 변혁

1석
재적
400석
}}}}}}}}}
파일:경제자유투사당 로고.svg
Economic Freedom Fighters
<colcolor=#842a2a,#fff><colbgcolor=#f5f5f5,#2d2f34> 약칭 EFF
한국어 명칭 경제자유투사당
슬로건 Our land and jobs, now!
지금, 우리의 집과 직업을!
창당일 2013년 7월 26일
이념 마르크스-레닌주의
반제국주의
울트라내셔널리즘[1]
좌익 대중주의
파농주의
상카라주의
흑인 민족주의[2]
스펙트럼 극좌
상징색
빨간색 (#842A2A)
주소 82 De Korte Street, 요하네스버그
대표 줄리어스 말레마(Julius Malema)
의장 베로니카 멘테(Veronica Mente)
사무총장 마셜 들라미니(Marshall Dlamini)
학생 조직 EFF 학생 명령
상원 의원
11석 / 90석
하원 의원
39석 / 400석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성향3. 여담4. 역대 선거결과5. 둘러보기

1. 개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공산주의, 흑인 민족주의 성향의 극좌 정당으로 ANC의 당원이었던 줄리어스 말레마가 창당하였다.

2. 성향

토지 몰수 정책을 통해 빈민층에게 토지를 재분배하는 방식으로 토지개혁을 단행하고[3], 부정부패를 척결하고, 빈민층에게 대대적으로 저가 사회 주택을 보급하고 최저임금 제도를 제정하며[4] 주요 산업의 국유화 등을 공약으로 삼고 있다.

2024년 선거에서는 공약으로 광산 회사의 자본을 압류해 무료 WiFi, 전기 공급, 상시 운영 진료소 설립한다는 공약을 내세웠다. #

말레마는 가벼운 발언으로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주류 언론과 백인에 의해 인종차별주의자라고 비난받은 적이 여러 번 있었고[5] 실제로 증오발언 관련해서 재판도 몇 번 열렸다.[6] 그러나 남아공에서는 아파르트헤이트가 끝난 뒤에도 흑백간 빈부격차는 여전히 뿌리깊게 남아 있고 ANC의 중도화 정책으로 여러 기간산업체를 민영화했지만 실업률은 고공행진하는 것이 현실인지라 젊은 흑인 사이에서는 지지율이 낮지 않다.

파일:external/4.bp.blogspot.com/eff2.jpg
남아공 내 백인들의 허니문은 끝났다.
아프리카 국민회의의 온건한 정책으로 백인들이 토지, 기업 등에 대한 소유권을 보장받았던 좋았던 시절은 끝났다는 뜻이다.

파일:external/dc913cbd7e1143c0f201707082b2bd5263d9bf77d7db1501ad215d4d30bb7508.jpg
백인을 죽여라!
백인 혐오 포스터를 들고 있는 EFF 당원들.

백인들에게는 인기가 거의 없다. 몇몇 당원들이 대놓고 백인을 혐오하는데 어찌보면 당연한 소리다. 당 전체적으로도 백인은 남아프리카를 훔쳤다!는 말을 밥 먹듯이 한다. 이들은 더 나아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일부 백인들이 "백인 문화"라고 부르며 지키려고 하는 아파르트헤이트 시절 문화 유산을 모두 제거해야 한다고도 주장한다.

파일:external/media.2oceansvibe.com/updatescampus2345.jpg

남아프리카 공화국 초대 대통령 찰스 로버츠 스와트의 동상을 파괴하는 EFF 지지자들.

파일:external/media.2oceansvibe.com/MonumentFire.jpg

보어 전쟁 참전 용사 추모비를 파괴하는 EFF.

파일:external/myzanews.files.wordpress.com/img_20150406_192824.jpg

엉망이 된 조지 5세의 동상.

이러다보니 당연히 백인 의원이 많은 민주동맹과는 매우 적대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

파일:external/nolstuijt.files.wordpress.com/democraticalliancemarchcosatuprotestorshivaidsisbetterthanda3.jpg

AIDS, HIV가 민주동맹보다 낫다는 표지를 들고 있는 EFF 지지자들.

애당초 말레마가 ANC에서 출당된 것도 입이 싸서 '보어인을 쏴라!'라는 곡을 애창한 데다[7] 당시 대통령인 제이콥 주마를 수시로 까왔기 때문이라는 게 중론이다. 여하튼 남아공의 실업률이 갈수록 높아지면서 청년 실업자층에서의 인기는 높은 편이지만 상기했듯 백인들 사이에서 인기는 거의 없다.

창당 후 파업에 나서기도 했으며 1990년대 이후 장기집권 여당인 ANC를 강하게 비판하는 선명 노선으로 인기를 높여 왔고 기어코 2014년 총선에선 도시 지역에서 선전해서 25석의 의석을 확보했다. 이후 주마의 사저 문제를 신나게 까고 대학등록금 투쟁에도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청년층 사이에서의 지지율을 크게 높이는 형국이다. 2015년 상반기에 말레마가 세금 체납 혐의로 고발되면서 위기에 처했지만 법원에서 무죄 판결을 받으면서 일단 위기를 넘겼다.

2016년 지방선거에서 8.3%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당초 기대치에 못 미치기는 했지만 요하네스버그나 포트 엘리자베스, 프리토리아, 에커훌레니 등 주요 대도시 지역에서 캐스팅보트를 쥐었다.

2019년 총선에서도 ANC의 지지율이 하락하는 과정에서 흑인 젊은층들에게 지지율을 따내는 데 성공하여 44석의 의석을 확보해 약진했다.

2023년 3월 20일 이른바 National Shutdown, 나라를 중단시킨다는 슬로건으로 전국에서 대대적인 시위를 벌일 것을 공언했는데 이유는 라마포사 정권아프리카 민족회의의 무능과 부패를 참지 못해 라마포사를 끌어내리고 나라를 다시 제대로 세우기 위해서라고 한다. 이러니 정부에서도 만약의 사태를 대비해 남아공군 3천 명을 급파하는 등 긴장을 고조시켰다.

3. 여담

2020년대 기준으로 10대 후반부터 30대 흑인들에게 인기가 많은 편이다. 이들은 넬슨 만델라 전 대통령이 활동하던 시절 얘기는 교과서에서나 접했을 뿐 직접적인 경험은 없다 보니 집권정당 아프리카 민족회의에 콘크리트 지지를 보내진 않으며 남아공이 아파르트헤이트 철폐 이후 서방 제재도 풀리며 경제가 제법 성장하긴 했지만 양극화도 매우 심해져 콩고물은 일부 부자 흑인과 백인들만 나눠먹었다고 생각하기에 부정부패와 전기, 수도 등 기초적인 사회 인프라도 제대로 관리 못하는 아프리카 민족회의가 장기집권하는 것에 상당수는 염증도 보이고 있다.[8] 그런데 이때 경제자유투사당이 아직 남아공의 경제는 아파르트헤이트를 못 벗어났으니[9] 화끈하게 흑인들에게 경제적인 자유를 주겠다는 슬로건으로 젊은 세대에게 어필하자 경제자유투사당에 대한 지지가 몰리게 되었다.

동성애에 대해 극도로 보수적인 아프리카 흑인 사회의 특성상 과거에는 성소수자 권리에 부정적인 모습을 보였으나 2014년을 기점으로 대표인 줄리어스 말레마가 성소수자들의 권익 지지를 선언하는 등 현재는 성소수자 인권 신장에 찬성하는 쪽으로 돌아섰다.[10] 2014년 실시된 여론조사에서도 민주동맹 지지층의 31%, 아프리카 국민회의 지지층의 29%만이 성소수자에 대해 긍정적 인식을 가졌으나 경제자유투사당 지지층에서는 35%가 성소수자에 대해 긍정적으로 응답한 바 있다.

이웃나라나미비아에서도 경제자유투사당을 본뜬 나미비아 경제자유투사당(NEFF)이 창당되었으나[11] 2014년 총선에서 0.3%를 득표하면서 의석 획득에는 실패했다. 그러다가 2019년 총선에서 2석의 의석을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2024년 총선에서는 1석을 얻어 의석수가 줄어들긴 하였지만 원내정당을 유지하는데 성공하였다.

2025년 시릴 라마포사 남아공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백인 농부들이 남아공에서 탄압받고 있다는 내용의 과장되었거나 허위 정보로 드러난 각종 영상 자료를 틀며 라마포사 대통령을 직접적으로 비난해 논란을 일으켰다.## 이 중 트럼프가 근거 자료로 든 영상으로 경제자유투사당의 백인을 죽이자는 선동 영상 역시 있었다.

4. 역대 선거결과

  • 2014년 총선: 25/400, 6.35%
  • 2019년 총선: 44/400, 10.79%
  • 2021년 지방선거: 10.38%
  • 2024년 총선: 39/400, 9.85%

5. 둘러보기

파일:낫과 망치.svg 공산주의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33%; min-height:2em"
{{{#!folding [ 이념 전반 ]
{{{#!wiki style="margin:-5px 0 -5px; letter-spacing:-0.05em"
<table bgcolor=#fff,#1f2023><colbgcolor=#cd0000,#cd0000><colcolor=#fed800,#fed800> 분파마르크스-레닌주의
현실사회주의 · 카스트로주의 · 호자주의 · 호찌민 사상 · 마오주의 (마르크스-레닌-마오주의 · 중국특색 사회주의 ·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 주체사상

볼셰비키-레닌주의
파블로주의 · 신트로츠키주의 (클리프주의) · 제3의 진영 · 포사다스주의

그 외: 사회적 아나키즘 · 좌익공산주의 · 서구 마르크스주의 · 포스트 마르크스주의 · 국민공산주의 · 유럽공산주의 · 기독교 공산주의
인물카를 마르크스 · 프리드리히 엥겔스 · 카를 카우츠키 · 블라디미르 레닌 · 레프 트로츠키 · 미하일 칼리닌 · 알렉산드라 콜론타이 · 나데즈다 크룹스카야 · 이오시프 스탈린 · 니키타 흐루쇼프 · 겐나디 주가노프 · 요시프 브로즈 티토 · 천두슈 · 리다자오 · 마오쩌둥 · 저우언라이 · 체 게바라 · 피델 카스트로 · 라울 카스트로 · 로자 룩셈부르크·프랑수아 노엘 바뵈프·루이 오귀스트 블랑키 · 카를 리프크네히트 · 안토니오 그람시 · 호찌민 · 응우옌반린 · 보응우옌잡 · 폴 포트 · 담딘 수흐바타르 · 허를러깅 처이발상 · 고토쿠 슈스이 · 시이 가즈오 · 고이케 아키라 · 키라 요시코 · 야마조에 타쿠 · 아카미네 세이켄 · 박헌영 · 김일성 · 심영 · 빌헬름 피크 · 발터 울브리히트 · 에리히 호네커 · 게오르게 게오르기우데지 · 엔베르 호자 · 헹크 스네이블릿·호세 카를로스 마리아테기 · 밥 아바키안 ·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 헬렌 켈러 · 김알렉산드라 · 차루 마줌다르 · 푸슈파 카말 다할
이론공산주의 · 사회주의 · 노동가치론 · 변증법적 유물론 · 마르크스 경제학 · 여성해방론 · 프롤레타리아 독재 · 민주집중제 · 계획경제 · 반자본주의 · 무신론 · 사회주의법 · 인민민주주의
정당공산당
상징낫과 망치 ·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 붉은 별 · 적기
관련 문서분파 · 역사 · 서기장 · 적색 테러 · 탈공산주의 · 통일전선 ·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 파일:레닌_투명.svg 레닌주의 · 파일:스탈린_투명.png 틀:스탈린주의 · 파일:트로츠키_투명.svg 틀:트로츠키주의 · 파일:마오쩌둥 투명.svg 틀:마오주의}}}}}}}}}{{{#!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33%; min-height:2em"
{{{#!folding [ 정당 · 조직 ]
{{{#!wiki style="margin:-5px 0 -5px; letter-spacing:-0.05em"
<colbgcolor=#cd0000,#cd0000><colcolor=#fed800,#fed800>
볼드체: 여당 또는 연립여당
이탤릭체: 당 내 일부 분파가 공산주의를 표방하는 정당
현존 정당
아시아
중국공산당 파일:중국 국기.svg · 일본공산당 파일:일본 국기.svg · 노동자공산당 파일:일본 국기.svg · 노동의 해방을 목표로 노동자당 파일:일본 국기.svg · 조선로동당 파일:북한 국기.svg · 대만 공산당 파일:대만 국기.svg · 베트남 공산당 파일:베트남 국기.svg · 라오 인민혁명당 파일:라오스 국기.svg · 버마 공산당 파일:미얀마 국기.svg · 네팔 공산당(통합 마르크스-레닌주의) 파일:네팔 국기.svg · 네팔 공산당(마오주의 센터) 파일:네팔 국기.svg · 네팔 공산당(통합 사회주의) 파일:네팔 국기.svg · 인도 공산당 파일:인도 국기.svg · 인도 공산당(마르크스주의) 파일:인도 국기.svg · 방글라데시 노동자당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 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 팔레스타인 해방민주전선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 팔레스타인 인민당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 이스라엘 공산당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 예멘 사회당 파일:예멘 국기.svg · 카자흐스탄 공산당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 노동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민중민주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레바논 공산당 파일:레바논 국기.svg · 이란 투데당 파일:이란 국기.svg
유럽유럽 좌파당 파일:유럽연합 국기.svg · 유럽의회 좌파-GUE/NGL 파일:유럽연합 국기.svg · 유럽 공산주의자 행동 파일:유럽연합 국기.svg · 그리스 공산당 파일:그리스 국기.svg (틀:그리스의 정당 참조) · 네덜란드 신공산당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적색당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 노르웨이 공산당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 인민을 위해 복무하라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 좌파당 파일:독일 국기.svg · 독일 공산당 파일:독일 국기.svg · 라트비아 사회당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 러시아 연방 공산당 파일:러시아 국기.svg · 러시아의 공산주의자들 파일:러시아 국기.svg · 러시아 마오주의당 파일:러시아 국기.svg · 룩셈부르크 공산당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 몰도바 공화국 공산당 파일:몰도바 국기.svg · 벨기에 노동당 파일:벨기에 국기.svg · 벨라루스 공산당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 불가리아 공산당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 스위스 노동당 파일:스위스 국기.svg · 연대 파일:스위스 국기.svg · 스웨덴 공산당 파일:스웨덴 국기.svg · 스웨덴 공산당(1995) 파일:스웨덴 국기.svg · 수마르 파일:스페인 국기.svg · 아일랜드 공산당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 이윤 이전에 인민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 오스트리아 공산당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 오스트리아 노동당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 보헤미아 모라바 공산당 파일:체코 국기.svg ·노동인민진보당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 튀르키예 공산당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튀르키예 노동자당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트란스니스트리아 공산당 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 국기.svg · 포르투갈 공산당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프랑스 공산당 파일:프랑스 국기.svg · 노동자투쟁 파일:프랑스 국기.svg · 반자본주의신당 파일:프랑스 국기.svg · 신인민전선 파일:프랑스 국기.svg · 프랑스의 극적인 공산주의 르네상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 프랑스 혁명공산당(PRC) 파일:프랑스 국기.svg · 프랑스 혁명공산당(PCRF) 파일:프랑스 국기.svg · 헝가리 노동자당 파일:헝가리 국기.svg
아프
리카
남아프리카 공산당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 경제자유투사당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 이집트 공산당 파일:이집트 국기.svg · 케냐 공산당 파일:케냐 국기.svg
아메
리카
미국 공산당 파일:미국 국기.svg · 미국 혁명공산당 파일:미국 국기.svg · 사회주의해방당 파일:미국 국기.svg · 아메리카 공산당 파일:미국 국기.svg · 캐나다 공산당 파일:캐나다 국기.svg · 캐나다 공산당(마르크스-레닌주의) 파일:캐나다 국기.svg · 쿠바 공산당 파일:쿠바 국기.svg · 베네수엘라 공산당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 인민진보당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 자유 페루 파일:페루 국기.svg · 브라질 공산당 파일:브라질 국기.svg · 사회주의자유당 파일:브라질 국기.svg · 칠레 공산당 파일:칠레 국기.svg · 사회주의 운동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 에콰도르 공산당 - 붉은 태양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공산당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 우루과이 공산당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 아르헨티나 공산당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해산된 정당
소련 공산당 · 이탈리아 공산당 · 조선공산당 · 남조선로동당 · 세르비아 공산당· 폴란드 통일노동당 · 알바니아 노동당 ·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 인도네시아 공산당 · 불가리아 공산당 ·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 ·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 · 말라야 공산당 · 캄푸치아 공산당 · 루마니아 공산당 · 중화민국 공산당 · 영국 공산당 · 독일 사회주의통일당 · 헝가리 노동인민당 · 헝가리 사회주의 노동자당 · 튀르키예 공산당(1920년) · 호주 공산당 · 조선독립동맹 · 티베트 공산당 · POUM · 네덜란드 공산당 · 소말리아 혁명사회당 · 코민테른 · 코민포름 · 코메콘 · 바르샤바 조약 기구 · 인터내셔널 · 제4인터내셔널 ·
탈공산주의 정당
몽골 인민당 파일:몽골 국기.svg · 카자흐스탄 인민당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 캄보디아 인민당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 사회당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헝가리 사회당 파일:헝가리 국기.svg · 기니카보베르데 아프리카독립당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 모잠비크 해방전선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 상투메 프린시페 해방운동-사회민주당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 앙골라 완전독립 민족동맹 파일:앙골라 국기.svg · 앙골라 해방인민운동 파일:앙골라 국기.svg · 짐바브웨 아프리카 국민연합 - 애국전선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 콩고 노동당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 티그라이 인민해방전선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 파라분도 마르티 민족해방전선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 파일:니카라과 국기.svg · 진보사회주의당 파일:모로코 국기.svg
국제 조직 공산당-노동자당 국제회의(가맹 정당) · 세계반제플랫폼 · 공산당 연합 - 소련 공산당}}}}}}}}}{{{#!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33%; min-height:2em"
{{{#!folding [ 국가 ]
{{{#!wiki style="margin:-5px 0 -10px; letter-spacing:-0.05em"
인민공화국 또는 사회주의 공화국을 표방하는 국가
공산주의 정당이 여당으로 집권 중인 국가 (: 연립정부의 일원)
붕괴된 국가
}}}}}}}}}
}}}

[1] Ultranationalism. 국수주의로도 번역됨.[2] EFF 스스로는 인종차별주의 정당임을 부정하며 흑인 외 인종의 당원 가입도 불가능하지는 않다. 실제로 대학생과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소수의 백인 및 아시아계 당원이 존재한다. 다만 후에 서술할 문제로 인해 이 정당의 이념이 백인을 대상으로 하는 인종차별주의라고 봐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3] 사실 짐바브웨에서 시행한 백인 농지 몰수 정책을 재현하겠다는 것이다. 농업생산력 측면에서만 보자면 실패한 정책이다. 하지만 현재도 보어인 농민과 흑인들과의 사이가 나쁘기 때문에 지지를 많이 받고 있는 정책이고 짐바브웨에서도 무가베는 잘못된 독재자이지만 그래도 이 정책은 정당했다는 평가가 지금도 흑인들 사이에서 압도적이다.[4] 남아공은 최저임금을 2010년대까지 제정하지 않던 국가였다. 이유는 경제발전을 위해서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는데 최저임금 제도를 제정하는 게 걸림돌이라는 주장 때문이었다. 그나마 2010년대 중후반에 최저임금 제도가 도입되기는 했지만 남아공 물가에 비하면 턱없이 낮기는 마찬가지이다.[5] 유럽/미국과 남아공에서의 백인의 위치는 똑같지 않다. 유럽/미국에서 백인이라는 정체성은 (개별적 변수를 제외하면) 절대로 소수자라고 볼 수 없지만 남아공에서는 조금 다르다. 일단 아파르트헤이트의 영향으로 경제적으로 백인이나 아프리카너들은 약자라고 보기는 힘들지만 남아공 인구의 10%가 채 안 되기 때문에 정치적으로나 사회적으로는 사회적 약자로 간주되고 아프리카너는 공식적으로도 소수민족이다. 덕분에 주류 언론들은 말레마와 경제자유투사당을 파시스트 취급하기도 한다.[6] 말레마는 "믿을 수 있는 백인은 죽은 백인"이라고 발언하기도 하였고 인도인은 전부 흑인 차별한다는 식으로 선동하기도 해서 인권단체, 비백인 유색인종들에게도 어그로를 끌었다.[7] 아파르트헤이트 시절에는 대표적인 민중가요 중 하나였지만 제목에서도 볼 수 있듯 보어인을 혐오하는 노래이기 때문에 아파르트헤이트 종결 후 줄곧 논란이 되어 왔고 결국 2011년 남아공 대법원에서 금지곡 판결을 받았다.[8] 다만 냉정하게 평가하면 아프리카 나라 중에 남아공 정도로 사는 나라도 생각보다 많진 않다. 지금도 남아공은 사실상 블랙 아프리카의 맹주 역할을 하는 국가다.[9] 현재 남아공 인구의 90%가 흑인인 데 비해 대학 진학율 및 취업율은 그에 훨씬 미치지 못하고 있다. 10% 정도 되는 소수인종인 백인이 전문직도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교육과 취업에서 흑인에게 선제 권리와 특혜를 주는 Broad Based Black Economic Empowerment(약칭 BEE)를 법제화 한 게 30년 가까이 됐는데도 말이다.[10] 참고로 남아공은 이미 90년대 만델라 대통령 시절 헌법에 성적 지향에 따른 차별을 금지하는 문구를 명시한 바 있고 2006년에 전세계 5번째, 아프리카에선 최초로 동성결혼 합법화를 성공시킨 나라다.[11] 사실 나미비아도 ANC와 비슷한 중도좌파 성향의 남서아프리카 인민기구가 장기집권하고 있으나 아이러니하게도 심한 빈부격차 때문에 1인당 GDP 수준에 비해 상당수 국민들의 생활수준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