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을 확인하세요.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
문화대혁명으로 파괴되는 중국 문화재 |
1. 개요2. 유래3. 사례 및 관련 단체
3.1. 한국3.2. 북한3.3. 스페인3.4. 러시아3.5. 일본3.6. 중국3.7. 캄보디아3.8. 페루3.9. 베트남3.10. 콜롬비아3.11. 시리아3.12. 독일3.13. 이탈리아3.14. 팔레스타인3.15. 미국3.16. 인도3.17. 네팔3.18. 튀르키예3.19. 그리스3.20. 에티오피아3.21. 부탄3.22. 필리핀3.23. 프랑스3.24. 포르투갈3.25. 스리랑카3.26. 벨기에3.27. 방글라데시3.28. 레바논3.29. 칠레3.30. 에콰도르3.31. 이란3.32. 파라과이3.33. 캐나다
4. 같이 보기5. 둘러보기1. 개요
Red Terror / 赤色테러좌익 세력이 벌이는 테러. 반대로 '백색 테러(White Terror)'는 사전적으로는 사회 일반 권력자나 지배 계급이 반정부 세력이나 혁명 운동에 대하여 행하는 탄압을 일컫는데 범위를 넓혀서 우익 세력이 벌이는 테러도 그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공산주의자들이 행하는 폭력 행위를 일컬으며 현대에는 용례가 확장되어 좌익적인 집단이나 사람이 정치적 선동 목적으로 벌이는 테러를 총칭한다.
2. 유래
러시아 혁명 당시 적색을 상징색으로 삼았던 볼셰비키의 비밀경찰 체카가 벌인 학살극에서 유래하였다.다만, 적색 테러의 영문명인 "red terror"는 러시아 혁명 이후 소련이 건국된 1922년까지 공산주의자들이 벌인 학살 행위로 의미가 한정되는 편이다. 이는 백색 테러의 영문명인 "white terror" 역시 "극우 세력에 의한 정치적 폭력"이라는 일반적인 의미보다는 역사적으로 그렇게 이름붙여진 몇몇 사건들[1]에 한정되어 사용되는 것과 비슷하다. 그러나 한국어에서 '적색 테러'는 '백색 테러'와 마찬가지로 극좌 세력에 의한 폭력이라는 일반론적인 의미를 가지는데 이는 관련 연구들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해방정국의 적색테러 스페인 내전 공화파의 적색테러
한국에서는 민족주의가 좌우파 모두에서 공유되는 이념이었기 때문에 적색 테러와 백색 테러의 분류가 애매한 경우가 있으나 민족을 앞세웠더라도 친북·친공적인 의도로 벌어진 테러는 '적색 테러'로 간주하는 편이다. 예컨대 김구의 치하포 사건은 조선인의 관점에서 일본인을 겨냥한 테러였기 때문에 백색 테러로 분류되지만 우리민족끼리를 외치며 주한미국대사를 피습한 사건은 미국이나 미국민에게 대한민국 체제 혹은 한국민[2]의 우월성을 선전하려는 목적이 아니라 북한의 정치적 입장에 동조하려는 목적이었기 때문에 적색 테러로 분류된다.
멩기스투 하일레 마리암의 에티오피아 인민민주공화국 시절은 어찌나 고약했는지 현지인들에게는 그 시절 자체가 적색 테러(Red Terror) 시절로 불릴 정도다.[3]
3. 사례 및 관련 단체
3.1. 한국
- 남조선로동당
- 조선인민유격대
- 조선청년전위대(≒조선민주청년동맹) - 야인시대에서 심영이 찾던 단체가 조선청년전위대이다.
- 제주 4.3 사건 - 남로당 무장대의 봉기[4]
- 여수·순천 10.19 사건 - 14연대 남로당계 군인들의 반란
- 대구 제6연대 사건 - 제6연대 소속 남로당계 군인이 장교를 살해하고 반란을 벌인 사건#
- 육영수 피살 사건
- 설인종 고문치사 사건, 부산외대 김태수 음독 사건, 이종권 치사 사건, 이석 치사 사건, 서울대 민간인 감금 폭행 고문 사건 - NL 정파 과격 학생운동세력이 벌인 고문 사건들
- 연세대 사태
- 민투위 강도 사건
- 정원식 폭행 사건
- 주한미국대사 관저 불법 침입 사건
- 마크 리퍼트 주한미국대사 피습 사건
- 윤소하 의원 협박 사건 - 정의당 윤소하 의원 사무실에 죽은 새 시체와 칼과 협박 편지를 보낸 사건. 우익 세력의 백색 테러로 몰아갔지만 실제로는 NL 단체들의 공작이었다.
- 광주 미국문화원 방화 사건
- 부산 미국문화원 방화 사건
- 이재명 지지자 국회 흉기난동 사건
3.2. 북한
3.3. 스페인
3.4. 러시아
- 러시아 내전 당시 적색테러
- 니콜라예프스크 사건: 볼셰비키와 아나키스트가 손잡고 반혁명 진영을 학살한 사건.
- 대숙청
적색테러라는 단어의 어원이 되는 사건이다. 1918년 8월에 일어난 모이세이 유리츠키 암살사건[7]과 레닌 암살미수 사건[8]을 계기로 위기감을 느낀 볼셰비키 정부는 혁명 당시 폐지한 사형제를 부활시키고 적색테러라고 불리는 강경책을 시행했다. 이로인해 '쿨락'이라 불리는 부농층, 자본가, 백군, 반볼셰비키 좌익 등 반볼셰비키 세력들에 대한 즉결처형이 이루어졌다.
3.5. 일본
3.6. 중국
- 1926~1927년 호남, 호북 지역에서의 공산주의 폭동.
- 정강산 투쟁 중 마오쩌둥의 공포정치.
- 부전사변
- 제5차 초공작전 중의 중국공산당의 숙청.
- 정풍운동
- 삼반오반운동
- 반우파 투쟁
- 문화대혁명: 마오쩌둥이 헤게모니 장악을 위해 벌인 대규모 쿠데타이자 적색 테러.
- 민생단 사건: 적색 테러와 민족주의 테러가 섞인 끔찍한 혼종.[9]
3.7. 캄보디아
3.8. 페루
3.9. 베트남
3.10. 콜롬비아
- 콜롬비아 혁명군 (FARC)
- 콜롬비아 혁명군 항전파 (세군다 마르케탈리아, 카를로스 파티뇨 전선)
- 콜롬비아 민족해방군 (ELN)
- 인민해방군 (EPL)
3.11. 시리아
- 구타 화학 무기 공격 참사: 좌익 성향의 시리아 바트주의 정권이 수도 다마스쿠스 동부 구타(ghouta) 지역에 화학 무기를 살포해 수백-수천 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사건.
3.12. 독일
- 바더 마인호프
- 투파마로스 베스트베를린 (TW)
- 로테 조라 (Rote Zora)
- 6월 2일 운동 (Bewegung 2. Juni)
- 혁명세포 (RZ, Revolutionäre Zellen)
- 반제국주의 세포 (AIZ, Antiimperialistische Zelle)
3.13. 이탈리아
3.14. 팔레스타인
3.15. 미국
- 공생해방군 (SLA, Symbionese Liberation Army)
- 흑인해방군 (BLA. Black Liberation Army)
- 신세계 해방전선 (NWLF, New World Liberation Front)
- 5월 19일 공산주의자 조직 (M19CO, May 19th Communist Organization)
- 연합자유전선 (UFF, United Freedom Front)
- 웨더 언더그라운드 (WUO, Weather Underground)
3.16. 인도
3.17. 네팔
3.18. 튀르키예
- 쿠르디스탄 노동자당 (PKK)
- 아르메니아 해방을 위한 아르메니아 비밀군 (ASALA, Հայաստանի Ազատագրութեան Հայ Գաղտնի Բանակ)
- 인민해방군-튀르키예전선 (THKP-C, Türkiye Halk Kurtuluş Partisi-Cephesi)
- 튀르키예 공산당(마르크스-레닌주의)
- 튀르키예 마르크스-레닌주의 공산당 (MLKP)
- 튀르키예 마오이스트 공산당 (MKP)
- 혁명본부 (DK)
- 혁명인민해방당/전선 (DHKP-C)
3.19. 그리스
- 혁명적 인민투쟁 (ELA)
- 11월 17일 혁명조직 (17N)
3.20. 에티오피아
3.21. 부탄
3.22. 필리핀
- 필리핀 공산당(1968)
- 필리핀 국가민주전선
- 신인민군 (NPA, BHB)
- 알렉스 본카야오 여단 (ABB)
3.23. 프랑스
3.24. 포르투갈
- 4월 25일 인민군 (FP-25): 1980년부터 1987년까지 포르투갈에서 활동한 좌익 성향의 테러리스트 그룹. 카네이션 혁명을 주도한 오텔루 사라이바 드 카르발류(Otelo Nuno Romão Saraiva de Carvalho) 전 대위가 1975년 쿠데타에 실패한 후 조직하였다.
- 혁명 여단 (BR)
3.25. 스리랑카
- 애국인민운동 (DJV)
3.26. 벨기에
- 공산주의자 전투원 세포 (CCC, Communist Combatant Cells)
3.27. 방글라데시
3.28. 레바논
- 레바논 무장혁명파 (LARF)
3.29. 칠레
- 마누엘 로드리게스 애국전선 항전파 (FPMR): 피노체트 정권에 대항하여 군사정권 정복을 목표로 활동을 하던 칠레의 좌익 무장단체이자 도시 게릴라 조직으로 피노체트 정권뿐만 아니라 피노체트를 비호하는 미국, 영국 등의 군사 시설 및 상업 시설,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 등을 테러 목표로 삼았기 때문에 미국 국무부와 영국 비밀정보국에게 테러조직으로 지정되었다. 피노체트 정권 종식 이후에는 피노체트 정권 잔당들과 맥도날드, KFC 등 미국의 상업 시설물을 노렸다. 이후 민정이양까지 완전히 끝나고 무장해제를 반대했던 항전파 조직도 무장행동을 중단하면서 1999년 미국 국무부 리스트에서 지정 해제되었다.
3.30. 에콰도르
- 알파로 비베, 까라호! (엘로이 알파로 인민 무장군, AVC): 원문은 ¡Alfaro Vive, Carajo!로 "알파로는 살아 있다, 빌어먹을!"이라는 뜻이며, 실제 사용한 조직 이름이다. 쿠바, 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니카라과의 지원을 받았던 비마르크스주의 계열 좌익 조직으로 에콰도르 내 여러 납치 및 강도 사건에 혐의가 있다. M-19나 투팍 아마루 혁명 운동과 같은 남미 내 다른 조직들과도 연계하였다. 특이하게도 동맹들과 달리 목표물과 상관 없는 민간인들은 최대한 테러에서 배제하려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1991년 에콰도르 보안군의 활동으로 조직원들이 대규모로 체포되거나 사살당하자 자체적으로 무장 해제하고 사실상 해산되었다.
- 에콰도르 공산당 - 붉은 태양
- 인민전사그룹
3.31. 이란
3.32. 파라과이
- 파라과이 인민군 (EPP, Ejército del Pueblo Paraguayo)
3.33. 캐나다
- 퀘벡해방전선 (FLQ, Front de libération du Québec)
4. 같이 보기
- 에베르파 - 귀족/성직자 학살을 주도한 극좌 세력이였지만 당시에는 적색 테러라는 개념이 없었다. 이 시기의 극좌 급진주의(급진적 자유주의)자들은 오늘날의 사회주의 계열 극좌파와 차이점도 존재하는데 부르주아 중 부유한 이들의 사유재산권을 공격하거나 모조리 죽여서 사회주의 국가를 건설하자고 주장한 것이 아니라 봉건제도의 완전한 철폐를 위해 봉건제도와 관련된 모든 이들을 죽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당대 극좌 급진주의자들의 주 테러의 타겟은 모든 부유층이 아니었으며 귀족/성직자였다.[10] 따라서 오늘날의 반자본주의적 사회주의와 완전히 동일시하기 힘들다.[11]
5. 둘러보기
[1] 이를테면 프랑스 혁명 당시 왕당파 복고주의자들의 테러, 러시아 혁명 당시 백군의 테러, 중국 내전기 중국국민당 정부의 반공 테러 등이 그 예시이다.[2] 북한인, 조선족, 고려인 등을 포함하는 한국인이 아니라 오직 대한민국에 속한 국민을 의미한다.[3] 이와 유사하게 대만에서는 장제스 통치 시절 자체가 현지인들에게는 백색 테러라고 불리고 있다. 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시절 리비아도 무아마르 카다피를 싫어하는 사람들에게 녹색 테러라고 일컬어지기도 한다.[4] 진압을 위해 파견된 서북청년단이 무고한 제주 주민들에게까지 폭력을 휘둘러 백색 테러로도 분류된다.[5] 아나키스트, 공산주의자 포함[6] 적색테러는 내전 발발 직후에 최고조에 달했으며, 그 후에는 백색테러가 압도했다.[7] 8월 17일 체카 페트로그라드 지부장 유리츠키가 사관생도 출신 백군 지지자인 레오니드 카네기서에게 살해된 사건.[8] 8월 30일 좌파 사회혁명당 당원인 파니 카플란이 공장 노동자들을 격려하고 나오던 레닌을 암살하려다 실패한 사건. 암살은 실패했으나 목에 총상을 입은 레닌은 평생을 후유증에 시달려야 했으며 비교적 이른 나이에 사망한 원인이 되었다.[9] 엄밀히 말하면 좌파 민족주의도 있기 때문에 이 사건은 (극)좌파 민족주의 테러라고 하면 어느 정도 맞을 것이다.[10] 이 시기 부르주아들은 중간계급으로 간주되었고 부르주아 계열 부자들은 "귀족처럼 혈통으로 성공한 봉건 기득권이 아닌 순수 능력으로 성공한 이들"로 비춰져 도리어 추앙받은 반면 재산이 그보다 적거나 심지어 가난하더라도 귀족/성직자들은 다 때려 죽여야 할 놈들 취급받으며 테러 내지 학살의 메인 타겟이 되었다.[11] 그나마 현대 극좌와 동일시할 만한 집단 중에는 격앙파가 있었다. 이들은 부르주아 중 부유층에 대해서도 적대적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