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주의 사상의 분파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생태낭만주의 (보수주의적 생태주의) | ||||
자연주의* | 환경주의 | 생태 실천주의 | 근본생태주의 | 문화적 에코페미니즘 | |
에코내셔널리즘 | 생태공동체주의 | 신멜서스주의 | 에코테러리즘 | 녹색 제국주의 | |
에코파시즘 | 급진적 환경주의 | ||||
생태합리주의 | |||||
생태사회주의 | 사회생태주의 | 시장생태주의 | 사회적 에코페미니즘 | 생태 러디즘 | |
생태합리주의 (정치적 생태주의) | |||||
녹색 정치 | 녹색 보수주의 | 녹색 자유주의 | 녹색 자유지상주의 | 녹색 아나키즘 | |
그 외 / 연관 개념 | |||||
사회 정의 | 기후정의 | 환경 운동 | 그린뉴딜 | 녹색 성장 | |
환경 보호 | 지구의 날 | 채식주의 | 지속가능발전 | 동물권 | |
대안세계화 | 탈성장 | 생태학 | |||
관련 단체 | |||||
하인리히 뵐 재단 | 글로벌 그린스 | 그린피스 | 지구의 벗 | 세계자연기금 | |
* : 자연주의(Naturalism)는 생태주의의 분파가 아니며 철학의 이념(사상) 중 하나다. | |||||
주요 3대 이념의 분파 (사회주의 · 자유주의 · 보수주의) · 기타(내셔널리즘 · 생태주의 · 포퓰리즘) |
1. 개요
Eco-socialism생태사회주의는 생태주의와 사회주의를 결합한 이념으로, 기존의 사민주의 사상에 기후 및 생태적 가치들을 추가했다고 보면 된다. 사회경제적 위협일 뿐 아니라 인류 공동체의 생존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는 자본주의 기반의 무분별한 개발 논리를 강하게 비판한다. 사회주의의 자본 분배 개념을 더 넓은 의미로 확장하고 기후 문제의 해결을 중점에 둔다는 부분에서 사회정의나 기후정의와도 연결된다.
세계적으로 녹색당들이 주로 표방하는 경우가 많다. 대한민국에서는 사회당, 진보신당에서 주장하였으며, 현재는 녹색당이 추구하는 이념이다.
2. 역사
러시아 혁명 기간에 기존의 레닌주의에 반대한 사회주의자들이 19세기~20세기의 무분별한 산업화로 나타난 환경 문제에 관여하면서 나타났다.시대가 지남에 따라 정권 획득의 한계성이 있다는 일념 하에 1975년 프랑스에서 최초로 약간의 자본주의를 허용하고 점점 개량주의적인 성향을 띠게 되었다.
생태사회주의의 주요한 상대는 엄연히 자본주의자들이라서 냉전 시기에 생태주의의 일부라기보단 사회주의의 일부로 분류되기도 했다.
생태사회주의자들은 트로츠키주의와 스탈린주의를 비판하기도 했다.
21세기 들어 마르크스주의와 생태주의를 연결하려는 시도가 활발해지고 있으며 존 벨라미 포스터와 사이토 코헤이가 대표적이다. 이들은 사변적 유물론, 신유물론[1]이라 불리는 21세기 대륙철학의 조류와도 연관이 깊다.
3. 생태사회주의를 주장하거나 주장했던 정당 목록
3.1. 대한민국
분류:생태사회주의 정당 목록을 참고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