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3 16:47:26

쿠바나 항공


아메리카의 플래그 캐리어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유나이티드 항공 로고.svg파일:유나이티드 항공 로고 화이트.svg
파일:델타항공 로고.svg파일:델타항공 로고 화이트.svg
파일:아메리칸 항공 로고.svg파일:아메리칸 항공 로고 화이트.svg
파일:에어캐나다 로고.svg파일:에어캐나다 로고 화이트.svg
파일:아에로멕시코 로고.svg파일:아에로멕시코 로고 화이트.svg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콘비아사 로고 수정.svg
파일:코파항공 로고.svg
파일:라탐항공그룹 로고.svg파일:라탐항공그룹 로고 다크.svg
파일:골 항공 로고.svg
파일:아줄 브라질 항공 로고.svg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파일:쿠바나 항공 로고.svg
파일:아비앙카 로고.svg
파일:라탐항공그룹 로고.svg파일:라탐항공그룹 로고 다크.svg
파일:라탐항공그룹 로고.svg파일:라탐항공그룹 로고 다크.svg
파일:스타 페루.svg파일:스타 페루 WH.svg
파일:바하마 국기.svg 바하마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볼리비아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트리니다드 토바고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자메이카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가이아나
파일:바하마 항공 로고.svg
파일:볼리비아 항공 로고.svg파일:볼리비아 항공 로고 화이트.svg
파일:캐리비안 항공 로고.svg
파일:케이맨 제도 기.svg 케이맨 제도 파일:영국 원형 국기.svg 파일:수리남 국기.svg 수리남 파일: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국기.svg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엘살바도르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
파일:케이맨 항공 로고.svg
파일:수리남 항공 로고.svg
파일:svg 에어 로고.jpg
파일:아비앙카 로고.svg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파일:버뮤다 기.svg 버뮤다 파일:영국 원형 국기.svg
파일:아비앙카 로고.svg
파일:라탐항공그룹 로고.svg파일:라탐항공그룹 로고 다크.svg
파일:에어로리저널.png
파일:버뮤디에어.png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 파일:그린란드 기.svg 그린란드 파일:덴마크 원형.png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파일:아라젯.png
파일:라탐항공그룹 로고.svg파일:라탐항공그룹 로고 다크.svg
파일:에어그린란드 로고.svg
파일:라탐항공그룹 로고.svg파일:라탐항공그룹 로고 다크.svg
파일:아르헨티나 항공 로고.svg
파일:아루바 기.svg 아루바 파일:니카라과 국기.svg 니카라과 파일:앵귈라 기.svg 앵귈라 파일:영국 원형 국기.svg
파일:아루바 항공 로고.png
파일:라 코스테나.png
}}}

||<-3><tablealign=right><tablebordercolor=#014fa3><tablewidth=100%><bgcolor=#014fa3><tablebgcolor=#ffffff,#1c1d1f> 쿠바나 항공
Cubana | Cubana de Aviación
||
파일:쿠바나 항공 로고.svg
<colbgcolor=#014fa3><colcolor=#fff>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쿠바|{{{#!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쿠바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쿠바}}}{{{#!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설립일 1929년 10월 8일 ([age(1929-10-08)]주년)
보유 항공기 수
8
취항지 수 5
허브 공항 호세 마르티 국제공항 (HAV)
부호
<colbgcolor=#014fa3><colcolor=#fff> CUBANA
CU
CUB
39[1]
항공권 식별 번호
136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table bordercolor=#004FA3><nopad> 파일:F06370CF-F1CF-4A7D-9C5D-7696251C2651.jpg ||
일류신 Il-96-300
1. 개요2. 역사3. 보유 기종4. 취항지5. 사건사고6. 여담

1. 개요

쿠바의 플래그 캐리어.

2. 역사

1929년 Compañía Nacional Cubana de Aviación Curtiss SA라는 비행 학교 겸 전세 항공사로 설립되었고 쿠바가 미국의 반속국 신세였던 1932년, 팬암에 인수되어 자회사가 되었다. 1959년 쿠바 혁명 이후 팬암에서 분리되었고, 미국의 금수조치로 인해 소련제 Il-14, Il-18, An-12, An-24를 도입해 남미에 취항했다. 1970년대에는 Tu-154, Il-76, Yak-42를 도입해 DC-3, DC-4를 대체했으며 북아프리카에 취항했다.[2]

1990년대 소련 붕괴이후 동구권 여객기의 부품 조달이 어려워지자 임시로 보잉, 에어버스 여객기를 리스해 운항하다 2000~2010년대 Il-96, Tu-204, An-158을 도입해 구형 여객기들을 교체했다.

21세기 들어 미국과의 관계 개선 시도가 조금씩 진행되고 있지만 현재까지는 완전한 해결은 보지 못하고 있으며, 캐나다토론토몬트리올, 그리고 유럽 쪽으로 갈 때도 미국 영공을 우회해서 날아간다. 미국 이외 캐나다와 중남미, 유럽권에서는 쿠바가 상당히 휴양 관광지로 인기가 있기 때문에[3] 일견 비슷한 처지로 보이는 북한에 비해서 관광객 수요가 큰 편이다.

3. 보유 기종

※ 2022년 2월 기준.
등록기호 제작사 기종 제작번호 제작년도 좌석
CU-T1548 ATR ATR 72-200 453 1995 66
ZS-XZB[4] ATR 72-500 731 2006
CU-T1710[장기주기중] 안토노프 An-158 201-01 2013 99
CU-T1711[장기주기중] 201-02
CU-T1712[장기주기중] 201-03
CU-T1713[장기주기중] 201-04 2014
CU-T1714[장기주기중] 201-05
CU-T1715[장기주기중] 205-06 2015
CU-T1250 일류신 Il-96-300 015 2005 262
CU-T1251 016 2006
CU-T1254 017
CU-C1700 투폴레프 Tu-204-100CE 036 2006 화물
CU-C1703 037 2008
CU-T1701 Tu-204-100E 035 2007 176
CU-T1702 042

미국의 금수조치로 인해 그 전부터 있었던 서방 항공기가 퇴역한 이후로는 옛 소련일류신, 투폴레프, 안토노프 항공기만 보유하고 있고, 서방제 ATR 72는 리스하여 운용하고 있다. 소련제 비행기는 사실상 개점 휴업 상태이며, 스페인행 장거리 노선은 PlusUltra[11] 라는 차터 항공사가 A340으로 대신 운항하고 있다.

4. 취항지

국가 도시 공항 비고
쿠바 카요코코섬 하르딘 델 레이 공항
산티아고데쿠바 안토니오 마세오 공항
스페인 마드리드 마드리드 바라하스 공항
베네수엘라 카라카스 시몬 볼리바르 국제공항

5. 사건사고

총 53건의 크고 작은 사고를 겪었다.

6. 여담

  • 2024년 한국-쿠바 수교가 성립되면서 양국간 항공노선 취항에 대한 장애요소가 해결되긴 하였으나, 쿠바의 경제력과 미국의 제재, 항속거리 문제 등을 고려했을 때 양국 노선 개설 가능성은 희박하며 동아시아를 경유하거나 목적지로 삼는 항공 노선이 없다.

[1] 보잉 707을 주문할 당시 썼던 코드이나 경제제재로 인도되지 않았다.[2] 그중 앙골라의 루안다는 TAAG 앙골라 항공로부터 Il-62를 리스해 취항했다.[3] 언어도 스페인어로 주변국들과 통하고 물가도 싼데다, 카리브해 주변국보다 치안이 안전한 편이다. 대신 북한과 마찬가지로 쿠바에 입국하면 평생 미국 ESTA 입국이 막힌다.[4] 솔렌타 항공 리스[장기주기중] [장기주기중] [장기주기중] [장기주기중] [장기주기중] [장기주기중] [11] 옛 스페인 제국 및 현 스페인의 표어로도 유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