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메리카의 플래그 캐리어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케이멘 항공 Cayman Airways | |
부호 | 항공사 호출 부호 (CAYMAN) IATA (KX) ICAO (CAY) BCC (-) |
항공권 식별 번호 | 378 |
설립연도 | 1968년 |
허브 공항 | 오언 로버츠 국제공항 |
보유 항공기 수 | 8[1] |
취항지 수 | 12 |
자회사 | 케이맨 항공 익스프레스 |
마일리지 | Sir Turtle Rewards |
항공 동맹 | 미가입 |
링크 |
|
보잉 737-8 MAX |
1. 개요
영국의 속령인 케이맨 제도의 항공사.2. 역사
1955년 코스타리카의 항공사인 LACSA의 자회사로 케이맨 브랙 항공이 설립되었다. 1968년 케이맨 제도 정부가 지분의 51%를 인수하며 DC-3 1대로 운항을 시작했다. 1970년대 초, DC-6, BAC 1-11를 리스해 자메이카의 킹스턴, 미국 플로리다, 휴스턴에 취항하며 노선망을 확대했다. 또한 1980년대 초에는 727-200과 DC-8-52를 도입하고 보잉 727-100을 리스해 BAC 1-11을 대체했으며 727과 DC-8은 737-200으로, 737-200은 737-300, 737-400으로 교체했다.1990년대, 케이맨 제도에 팬 아메리칸 항공, 아메리칸 항공, 노스웨스트 항공같은 대형 항공사들이 취항하며 잠시 휘청였지만 댈러스, 아바나, 시카고에 취항하며 이를 극복했다. 이후 2016년, 보잉 737 MAX 8를 도입하며 구형 737들을 전부 교체했다.
3. 취항지
국가 | 도시 | 공항 | 비고 |
케이맨 제도 | 케이맨 브랙 | 찰스 커크코넬 국제공항 | |
그랜드 케이맨 | 오웬 로버츠 국제공항 | 허브 | |
리틀 케이맨 | 에드워드 보든 비행장 | ||
쿠바 | 아바나 | 호세 마르티 국제공항 | |
온두라스 | 로아탄 | 후안 마누엘 갈베스 국제공항 | |
자메이카 | 킹스턴 | 노먼 맨리 국제공항 | |
몬테고 베이 | 생스턴 국제공항 | 계절편 | |
미국 | 덴버 | 덴버 국제공항 | 계절편 |
마이애미 | 마이애미 국제공항 | ||
뉴욕 | 존 F. 케네디 국제공항 | ||
템파 | 템파 국제공항 |
4. 보유 기종
제작사 | 기종 | 보유 대수 | 비고 |
보잉 | 737-8 MAX | 4 | |
드 해빌랜드 캐나다 | DHC-6-300 | 2 | 자회사 케이맨 항공 익스프레스에서 운항 |
사브 | Saab 340+ | 2 |
[1] 자회사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