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31 20:36:48

홍대갈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홍성흔
#!if 문서명2 != null
, [[이대호]]
#!if 문서명3 != null
, [[카림 가르시아]]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41e42>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롯데 자이언츠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41e42><colcolor=#fff> 기본 정보 <colbgcolor=#041e42><colcolor=#fff> 모기업 파일:롯데지주 로고.svg 롯데 | 롯데그룹 산하 스포츠단
구단 롯데 자이언츠 | 롯데 자이언츠 2군
롯데 자이언트(실업 시절)
프런트 | 선수단
경기장 1군 메인 사직 야구장(재건축)
과거 구덕 야구장철거
1군 보조 울산 문수 야구장(1호 기록)
과거 마산 야구장
2군 상동 야구장
현재 시즌 2026 시즌
역사 정보
통합 역사 역사
우승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1984년 한국시리즈(V1) | 1992년 한국시리즈(V2)
암흑기 암흑기(8888577, 5788, 7A788777)
선수단 역대 선수 | 프랜차이즈 스타 | 역대 등번호 | 역대 필승조
영구 결번 11 최동원 | 10 이대호
기타 역대 기록 | 역대 신인드래프트
주요 정보 특징 팀 컬러 | 유니폼(얼터너티브)
라이벌리 상대 전적
vs 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svg | 낙동강 시리즈
vs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 클래식 씨리즈
vs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 | 헤리티지 시리즈
vs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 | 항구 시리즈
vs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 엘꼴라시코
지역 연고 학교 개성고 | 경남고 | 부경고 | 부산고 | 부산공고 | 부산정보고 | 동래고해체
팬덤 정보 유튜브 Giants TV(자티비)
응원 응원단장 | 응원단 | 응원도구 | 마스코트
선수 응원가 | 팀 응원가 | 마! | 부산 갈매기 | 돌아와요 부산항에
팬덤 유명 자이언츠 팬 | 롯데 자이언츠 갤러리 | 갈매기 마당 | 샤다라빠 | 오롯이 | 꼴리건 | 아주라
기담 팀 관련 엘롯기 | 엘롯한 | 두엘롯 | 한롯기 | 헬로키티 | 기롯삼한 | 조류동맹 | 야구는 경상도
선수 관련 로나쌩 클럽 | 비갈 | 금테안경 | 턱거돼 | 마무리 브레이커
성적 관련 봄데 | 8치올 | 기세 | 데이비슨의 저주
라인업 관련 이왕기름넣을거 최대성능으로 가득염 | 족까고마 | 롯데시네마 | 남두오성 | 홍대갈 | 2010년 롯데 전설의 라인업 | 박트리오 | 나나랜드 | 구최김 | 유돈노 | 윤나고황 | 롯데 육상부
매직 로이스터 매직 | 아로요 매직
기타 여담 이야깃거리
사건 사고 논란 및 사건사고
(경기 관련 | 팬 관련 | 선수 관련 | 구단 관련)
작품 죽어도 자이언츠 | 나는 갈매기 | 1984 최동원 | 꼴데툰
주관 대회 롯데기 야구대회 | 전국 명문고 야구열전
틀 문서
역대 구단주 | 역대 대표이사 | 역대 단장 | 역대 감독 | 역대 2군 감독 | 역대 주장 | 영구 결번 | 역대 외국인 선수 | 역대 응원단장 | 역대 시즌 | 역대 1차 지명 선수 | 역대 1라운드 지명 선수 | 역대 지명 선수 | 역대 은퇴식 | 개막전 선발 투수 | 프런트 | 코칭 스태프 | 선수단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군 입대 선수 | 등록 선수 | 육성선수 | 유니폼 | 응원단 | 마스코트 | 선수 통산 기록 일지 | 선수 플레이 스타일 }}}}}}}}}

문서가 있는 야구 선수 통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1975~1992).svg
남두오성
파일:두산 베어스 마스코트 엠블럼(1999~2009).svg
우동수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2003~2008).svg
이왕기름넣을거
최대성능으로 가득염
파일:삼성 라이온즈 워드마크(1995~2007/화이트).svg
이마양
파일:한신 타이거스 엠블럼.svg
JFK
(전준호 · 이종운 · 박정태 · 김민호 · 김응국) {{{-1 ([[타이론 우즈|{{{#000 (이왕기 · 최대성 · 가득염) (승엽 · 해영 · 준혁) (후지카와 큐지 · 제프 윌리엄스 · 쿠보타 도모유키)
파일:LG 트윈스 엠블럼(2006~2014).svg
방화신기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2010~2024).svg
KILL 라인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채최박
파일:SK 와이번스 엠블럼(2006~2019).svg
벌떼야구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2009~2017).svg
홍대갈
(고창성 · 임태훈 · 이재우 · 이용찬) (태인 · 형우 · 석민) (성흔 · · 가르시아)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조원수박차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2009~2017).svg
족까고마
파일:LG 트윈스 엠블럼(2006~2014).svg
빅5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JOKKA 라인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윤안임오
(현근 · · 김상 · 성훈 · 우찬) (이재곤 · 김수완 · 고원준 · 진명호) (이병규 · 박용택 · 이진영 · 이대형 · 이택근) (정현욱 · 오승환 · 권혁 · 권오준 · 안지만) (성환 · 지만 · 창용 · 승환)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2010~2016).svg
LCK포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2007~2024).svg
김고추정이
파일:넥센 히어로즈 엠블럼(2010~2015).svg
싸융짱문오
파일:넥센 히어로즈 엠블럼(2010~2015).svg
넥벤져스
파일:넥센 히어로즈 엠블럼(2010~2015).svg
조한손
(이범호 · 최희섭 · 김상현) (경언 · 동진 · 승우 · 현석 · 양기) (김영민 · · 시환 · 성현 · 재영) (강정호 · 박병호 · 서건창 · 밴헤켄) (상우 · 현희 · 승락)
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2011~2018).svg
나테이박
파일:캔자스시티 로열스 엠블럼(2002~2018).svg
불펜 3대장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2009~2017).svg
롯데시네마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2010~2024).svg
판타스틱 4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화이트 모자 로고.svg
추강대엽
(성범 · 임즈 · 호준 · 석민) (켈빈 에레라 · 웨이드 데이비스 · 그렉 홀랜드) (니퍼트 · 보우덴 · 유희관 · 장원준) (신수 · 정호 · · 이승)
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2011~2018).svg
단디 4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2007~2024).svg
살려조
파일:kt wiz 엠블럼.svg
엄주곤
파일:SK 와이번스 엠블럼(2006~2019).svg
웨시퍼
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2011~2018).svg
배구장 트리오
(김진성 · 원종현 · 임창민 · 임정호) (상백 · · 정성) (서진용 · 박종훈 · 김태훈) (재환 · 창모 · 현식)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간채골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2009~2017).svg
박트리오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2018~2022).svg
나나랜드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곤규엽
파일:SK 와이번스 엠블럼(2006~2019).svg
서태훈
(이천웅 · 채은성 · 이형종) (진형 · 시영 · 세웅) (종덕균안 · 원탁) (이성김헌 · 이성 · 김동) (진용 · · 하재)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2017~2020).svg
박전문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2007~2024).svg
변노유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화이트 모자 로고.svg
류윤김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보루갈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화이트 모자 로고 3.svg
류김양
(준표 · 상현 · 경찬) (우혁 · 시환 · 로결) (현진 · 석민 · 광현) ( · 이즈 · 가르시아) (현진 · 광현 · 현종)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2021~2023).svg
최신맥주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
JJJ 라인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2018~2022).svg
구최김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굴비즈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박신홍문
( · · · ) (상현 · 현식 · 해영) (승민 · 준용 · 원중) (김지찬 · 김현준 · 이재현) (해민 · 민재 · 창기 · 성주)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
유돈노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
후니하니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임김오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
윤나고황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오김박
(강남 · 한현희 · 진혁) (최지 · 박성) (창민 · 재윤 · 승환) (동희 · 승엽 · 승민 · 성빈) (지환 · 현수 · 해민)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2007~2024).svg
노채안
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svg
천박한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
머갈툴순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최원태인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
롯데 육상부
(시환 · 은성 · 치홍) (재환 · 시원 · 석현) (김대한 · 안재석 · 김민석 · 박준순) (최원태 · 원태인) (황성빈 · 장두성 · 김동혁)
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svg
3김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
노이조
(형준 · 휘집 · 주원) (경은 · 로운 · 병현)
: 구성 선수의 이적/은퇴 없이 현재까지 해체되지 않고 존재하는 통칭
}}}}}}}}} ||

1. 개요2. 상세3. 역사
3.1. 2008 시즌3.2. 2009 시즌3.3. 2010 시즌3.4. 2010 시즌 이후
4. 둘러보기

1. 개요

파일:홍대갈.jpg
우측부터 성흔, , 카림 가르시아

2009년부터 2010년까지 롯데 자이언츠에서 활약했던 홍성흔-이대호-가르시아으로 이어지는 클린업 트리오.

2. 상세

파일:홍대갈_2.webp
2009년 홍대갈은 69홈런 249타점을 합작하며 훌륭한 공격력을 보여주었으며, 이대호의 커리어하이 시즌이었던 2010년에는 거기서 더 나아가 세 타자가 96홈런 332타점을 합작하며 KBO 역사에 남을만한 공격력을 보여주면서 당시 투수들에게 그야말로 공포의 대상으로 군림했다.

3. 역사

3.1. 2008 시즌

  • 붉은 글씨는 1위 입상 성적. 진한 글씨는 리그 5위 내 입상 성적.
<rowcolor=#ffffff> 이름 경기수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wRC+ WAR*
이대호 122 435 131 23 0 18 94
(3위)
73 0 62 56 .301 .400 .478 0.879 147 5.51
(4위)
가르시아 125 513 130 25 2 30
(2위)
111
(1위)
68 2 48 100
(2위)
0.283 .353 .541
(2위)
0.894 140.7 3.80
2008년 카림 가르시아가 외국인 타자로 롯데에 입단하여 해당 성적과 같이 좋은 활약을 보여주고 있는 와중에,[1] 홍성흔이 2009년 FA로 두산에서 롯데로 합류하게 되면서 강력한 클린업 트리오가 결성되었다. 해당 클린업 트리오는 당시 KBO 리그 최고의 공격력을 자랑했던 중심 타선이었다.

3.2. 2009 시즌

  • 붉은 글씨는 1위 입상 성적. 진한 글씨는 리그 5위 내 입상 성적.
<rowcolor=#ffffff> 이름 경기수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wRC+ WAR*
홍성흔 119 487 158
(4위)
33
(1위)
0 12 64 71 9 49 55 .371
(2위)
.435
(5위)
.533 .968 155.4 4.19
이대호 133
(1위)
549 140 28 1 28
(4위)
100
(3위)
73 0 51 65 .293 .377 .531 .908 131 4.84
가르시아 130 539 124 29 1 29
(3위)
84 72 4 62 124
(1위)
0.266 .354 .518 0.872 114.1 2.58
홍대갈이 결성된 첫해인 2009년 세 선수의 평균기록은 타율 0.308 23홈런 83타점에 달했다.

3.3. 2010 시즌

  • 붉은 글씨는 1위 입상 성적. 진한 글씨는 리그 5위 내 입상 성적.
<rowcolor=#ffffff> 이름 경기수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wRC+ WAR*
홍성흔 111 498 151
(2위)
28 1 26
(4위)
116
(2위)
88
(3위)
2 54 49 .350
(2위)
.427
(3위)
.601
(2위)
1.028
(2위)
171.9
(2위)
5.15
(4위)
이대호 127 552 174
(1위)
13 0 44
(1위)
133
(1위)
99
(1위)
0 61 77 .364
(1위)
.444
(1위)
.667
(1위)
1.111
(1위)
192
(1위)
8.82
(1위)
가르시아 118 485 108 16 1 26
(4위)
83 73 3 49 123
(4위)
0.252 .328 .476 0.804 104.3 1.99
가르시아가 비교적 부진하여 가르시아가 하위 타선으로 밀려나고 대신 조성환이 3번 타자로 들어오고 홍성흔이 5번 타자로 들어오기도 했으며[2] , 홍성흔이 시즌 초반 이대호보다 좋은 타격 페이스를 보여주며 이대호와 타이틀 경쟁을 치렀으나, 이후 윤석민의 사구로 손등 골절상을 입게 되어 몇 경기를 결장했고 이후 시즌 후반 이대호가 더욱 바짝 홍성흔을 따라잡으면서 이대호가 전대미문의 타격 7관왕을 달성하였다. 홍성흔은 대신 5개 부문에서 2위를 달성했다.

3.4. 2010 시즌 이후

2010 시즌 종료 이후 롯데는 비교적 부진했던 가르시아와의 재계약을 포기하고 대신 투수인 브라이언 코리와 계약하며 가르시아가 롯데를 떠나게 되면서 결국 홍대갈은 해체되었다. 카림 가르시아는 이후 멕시코에서 뛰다 한화 이글스를 통해 KBO에 리턴했고, 다음해인 2011 시즌 종료 이후 이대호가 FA로 일본 오릭스에 입단하였다. 그 다음 해는 홍성흔마저 친정팀 두산으로 돌아가게 되었다.

2011시즌에는 빠진 가르시아 대신 전준우가 10시즌보다 더욱 발전된 모습으로 3번 타자 자리를 꿰차게 되었고, 손아섭, 황재균, 문규현 등 다른 롯데 선수들 또한 전년도보다 더욱 타격쪽에서 발전된 모습을 보여주며 세이버메트릭스 상으로는 11롯데의 타선이 10롯데 타선보다도 더욱 강한 모습을 보여주었다.[3]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2955> 파일:롯데 자이언츠 영구결번_이대호.svg관련 문서
이대호
Lee Dae-ho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선수 경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선수 경력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경남고등학교 야구부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1996~2002).svg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2003~2008).svg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2009~2017).svg 롯데 자이언츠 1기
Lotte Giants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2005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파일:오릭스 버팔로즈 엠블럼.svg 오릭스 버팔로즈
ORIX Buffaloes
2012년 · 2013년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엠블럼.svg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Fukuoka SoftBank Hawks
2014년 · 2015년
파일:시애틀 매리너스 엠블럼.svg 시애틀 매리너스
Seattle Mariners
2016년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2009~2017).svg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2018~2022).svg
롯데 자이언츠 2기
Lotte Giants
은퇴 투어
국가대표 경력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svg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Korea Republic National Baseball Team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3년 · 2015년 · 2017년
}}}}}}}}} ||
기록
연도별 주요 성적 · 수상 경력 · 통산 홈런 일지
평가
플레이 스타일 · 언사 · vs 김태균 · 추강대엽
논란 및 사건사고
치킨박스 투척 피해 · 판공비 인상 논란
기타
방송 및 기타 활동 · 홍대갈 · 여담 · 턱거돼 · 사진
파일:이대호 서명.png
}}}}}}}}} ||

[1] 2008 시즌에는 조성환이 3번 타자로 나오면서 조대갈이라고 불렸고, 이후 홍성흔이 합류하게 되어 조성환이 2번 타자로 나오면서 '조홍대갈'로 불리기도 했으며, 홍성흔이 부상으로 빠지고 조성환이 3번을 치게 될 때는 '조대갈'로 불리기도 했다.[2] 시즌 전반적으로 3번 조성환, 5번 홍성흔, 6번 가르시아로 출전한 경기수가 가장 많아서 2010시즌은 홍대갈 보다는 조대홍갈 에 가깝다.[3] 2010년 팀 wrc+ 112.9, 2011년 팀 wrc+ 1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