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정호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
2010 유격수 부문 골든글러브 | 2012 유격수 부문 골든글러브 | 2013 유격수 부문 골든글러브 | 2014 유격수 부문 골든글러브 |
2014 플레이오프 MVP |
2014 KBO 리그 장타율왕 |
현대 유니콘스 등번호 25번 | ||||
이정호(2005) | → | 강정호(2006) | → | 송지만(2007) |
현대 유니콘스 등번호 17번 | ||||
송지만(2004~2006) | → | 강정호(2007) | → | 팀 해체 |
우리 히어로즈 등번호 17번 | ||||
팀 창단 | → | 강정호(2008) | → | 이상열(2009) |
넥센 히어로즈 등번호 16번 | ||||
정성훈(2008) | → | 강정호(2009~2014) | → | 결번 |
파일:PIT-Jung Ho Kang.jpg | |
이름 | 강정호 (姜正浩 / Jung Ho Kang) |
출생 | 1987년 5월 2일 ([age(1987-05-02)]세) |
전라남도 강진군 | |
국적 | |
학력 | 광주화정초 - 무등중 - 광주일고 |
신체 | 183cm, 95kg |
포지션 | 3루수, 유격수 |
투타 | 우투우타 |
데뷔 | 2006년 2차 지명 1라운드 (전체 8번, 현대) |
경력 | 현대 유니콘스 (2006~2007) 우리-서울-넥센 히어로즈[1] (2008~2014) 피츠버그 파이리츠 (2015~2019) |
1. 소개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박진만의 삼성 라이온즈 FA 이적 이후 현대 유니콘스의 유격수 돌려막기를 끝낸 주인공이자 현대 왕조가 마지막으로 남긴 유산. 안정적인 수비력에 리그 최상위권의 타격으로 2010년대 대한민국 최고의 유격수로 손꼽힌다. KBO 리그에서 압도적인 모습을 보여주면서 메이저 리그에 직행한 최초의 야수가 되었다. 그야말로 먼치킨으로 김재박 - 이종범 - 박진만 - 강정호라는 대한민국 역대급 유격수 계보의 일원이다.[2][3][4] 메이저 리그 진출 뒤에는 유격수와 3루수를 오가면서 뛰다가 부상 이후로는 사실상 3루수로 고정되었다.또한 힘든 세월을 견뎌 낸 넥센 히어로즈의 프랜차이즈로서 미국 메이저 리그에서 활약한 초창기에도 넥센 팬들의 사랑을 받았으며[5], 한국 프로야구 출신의 첫 타자 메이저리거라는 점에서 소속 팀을 초월하는 인기를 모았다.
그러나 음주운전을 저지르고 자기범인도피교사까지 한 것으로 파악됨에 따라 많은 이들의 실망을 사게 되었고, 이후 사건처리 과정에서 과거부터 계속되었던 반복적인 음주운전 전력이 드러나고 특히 어처구니 없는 대응으로 이미지가 완전히 시궁창이 되었다. 뿐만 아니라, 현재는 해당 죄목으로 인해 프로 경력이 중단되었다가 겨우 복귀했으므로, 불명예스러운 선수 경력은 기정사실화된 상태.
2. 선수 경력
|
3. 플레이 스타일
4. 사건사고/논란
5. 이모저모
6. 연도별 성적
- 붉은 표시는 리그 시즌 1위 기록. 진한 표시는 리그 시즌 5위 내 기록. 20-20도 별도로 표시함.
역대 기록 | ||||||||||||||
연도 | 팀 | 출장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4사구 | 출루율 | 장타율 |
2006 | 현대 | 10 | 20 | .150 | 3 | 1 | 0 | 0 | 1 | 1 | 0 | 0 | .150 | .200 |
2007 | 20 | 15 | .133 | 2 | 0 | 0 | 0 | 0 | 0 | 0 | 0 | .133 | .133 | |
연도 | 팀 | 출장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4사구 | 출루율 | 장타율 |
2008 | 우리 | 116 | 362 | .271 | 98 | 18 | 1 | 8 | 47 | 36 | 3 | 37 | .334 | .392 |
2009 | 서울 | 133 (1위) | 476 | .286 | 136 | 33 (1위) | 2 | 23 | 81 | 73 | 3 | 51 | .349 | .508 |
2010 | 넥센 | 133 (1위) | 449 | .301 | 135 | 30 (3위) | 2 | 12 | 58 | 60 | 2 | 74 | .391 | .457 |
2011 | 123 | 444 | .282 | 125 | 22 | 2 | 9 | 63 | 53 | 4 | 56 | .353 | .401 | |
2012 | 124 | 436 | .314 (2위) | 137 | 32 (4위) | 0 | 25 (3위) | 82 (5위) | 77 | 21 | 85 (4위) | .413 (3위) | .560 (2위) | |
2013 | 126 | 450 | .291 | 131 | 21 | 1 | 22 (5위) | 96 (3위) | 67 | 15 | 77 (5위) | .387 | .489 | |
2014 | 117 | 418 | .356 (4위) | 149 | 36 (3위) | 2 | 40[6] (2위) | 117 (3위) | 103 (5위) | 3 | 83 (5위) | .459 (2위) | .739 (1위) | |
연도 | 팀 | 출장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4사구 | 출루율 | 장타율 |
2015 | PIT | 126 | 421 | .287 | 121 | 24 | 2 | 15 | 58 | 60 | 5 | 45 | .355 | .461 |
2016 | 103 | 318 | .255 | 81 | 19 | 0 | 21 | 62 | 45 | 3 | 51 | .354 | .513 | |
2017 | MLB 기록 없음 | |||||||||||||
2018 | 3 | 6 | .333 | 2 | 0 | 0 | 0 | 0 | 0 | 0 | 0 | .333 | .333 | |
2019 | 65 | 172 | .169 | 29 | 7 | 1 | 10 | 24 | 15 | 0 | 12 | .222 | .395 | |
KBO 통산 (9시즌) | 902 | 3070 | .298 | 916 | 193 | 10 | 139 | 545 | 470 | 51 | 463 | .383 | .504 | |
MLB 통산 (4시즌) | 297 | 917 | .254 | 233 | 50 | 3 | 46 | 144 | 120 | 8 | 108 | .331 | .466 |
[1] 現 키움 히어로즈.[2] KBO 리그에서 유격수로 뛴게 5시즌밖에 안된다는 이유로 이종범을 제외하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이종범 유격수 5년어치 누적 WAR이 강정호 KBO 유격수 누적 WAR보다 높고, 김재박 등보다도 훨씬 높다. 대중적으로는 공·수를 모두 갖춘 대형 유격수 하면 보통 이종범과 강정호, 좀 나이가 있는 세대의 경우 김재박을 들곤 한다.[3] 박진만과 강정호 사이에 안정적인 수비력을 근거로 손시헌을 집어넣는 사람도 간혹 있다.[4] 강정호는 40홈런 이상을 기록했고 기록할 수 있는, 셋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장타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추후 평가가 달라질 수 있다.[5] 넥센 팬들은 대개 강정호를 히어로즈 그 자체라고 칭하는데, 넥센 초창기 시절부터 선배들이 줄줄이 팔려 나가는 어려운 시기에도 꿋꿋이 팀을 지킨 강정호에 대한 애정이 각별하였다.[6] KBO 리그 유격수 최초 40홈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