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1 14:08:00

맥도날드/타국

맥도날드/해외에서 넘어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맥도날드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한국의 맥도날드에 대한 내용은 맥도날드/대한민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c20d00><colcolor=#ffc300>
파일:맥도날드 진출 국가.svg
맥도날드의 진출 현황을 그린 세계 지도
색깔별로 맥도날드의 진출 시기를 알 수 있다.
옅은 회색은 아직 진출한 적이 없는 국가, 짙은 회색은 진출했었으나 철수한 국가다.
[1]
1. 개요2. 미국3. 유럽
3.1. 영국3.2. 프랑스3.3.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3.4. 이탈리아3.5. 바티칸3.6. 베네룩스3.7. 그리스3.8. 튀르키예3.9. 스페인, 포르투갈3.10. 세르비아3.11. 핀란드, 폴란드, 덴마크3.12. 우크라이나
4. 아시아
4.1. 일본 4.2. 중국4.3. 홍콩, 마카오, 대만4.4. 동남아시아
4.4.1. 싱가포르
4.5. 인도
5. 중동
5.1. 이스라엘
6. 아프리카
6.1. 이집트6.2. 모로코6.3. 남아프리카 공화국6.4. 모리셔스
7. 아메리카
7.1. 캐나다7.2. 라틴아메리카
7.2.1. 멕시코7.2.2. 브라질7.2.3. 과테말라7.2.4. 푸에르토리코7.2.5.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8. 오세아니아
8.1. 호주8.2. 뉴질랜드
9. 철수한 국가
9.1. 아이슬란드9.2. 몬테네그로9.3. 북마케도니아9.4. 자메이카9.5. 바베이도스9.6. 볼리비아9.7. 산마리노9.8. 버뮤다9.9.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9.10. 러시아
9.10.1. 철수 후 상황
9.11. 벨라루스9.12. 카자흐스탄9.13. 이란
10. 진출하지 못한 나라11. 기타12.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맥도날드는 진출한 나라마다 철저히 로컬라이징한다. 기본 메뉴도 각 나라 고유의 조미료를 사용하며 나라마다 입맛에 맞는 고유 메뉴는 물론, 매장 분위기나 위치 등을 전부 맞춰서 만든다. 예를 들어 유럽프랑스, 독일, 스페인, 포르투갈 등지에서는 포도주맥주 등 주류도 팔고 수프가 인기있는 홍콩, 마카오, 싱가포르, 태국, 대만 같은 동남아시아의 경우에는 수프류를 세트 메뉴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그리고 이슬람교 문화권인 아랍어중동, 아프리카 국가들과 튀르키예,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에서는 주로 할랄 인증을 받은 양고기쇠고기, 닭고기를 패티로 사용하는 햄버거를 주로 팔며 돼지고기류는 일절 제외한다. 역시 중동국가로 돼지를 금기시하는 유대교를 신봉하는 이스라엘 역시 코셔 인증을 받은 식재료만 사용한다. 괜히 세계화의 상징이 된 것이 아니다.

한국의 경우는 불고기 버거, 빅 불고기 버거[2], 더블 불고기 버거, 에그 불고기 버거, 허니 버터맛 후렌치 후라이, 그리고 흑역사로 비운의 김치 버거가 있다. 관점에 따라서는 맥빙수를 가장 한국적인 메뉴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타 메뉴보다 관리도 힘들고 제조시간도 오래 걸려 결국 단종되었다. 또한 한국인들의 입맛을 맞추려는 건지 매운맛을 살린 맥스파이시 치킨텐더와 맥스파이시 상하이 버거도 개발해 판매한다. 기간한정으로 맥스파이시 너겟도 판매했는데 단종되었다.

맥도날드가 최초로 해외(+미국을 제외한 아메리카)에 진출한 국가는 미국과 국경을 맞대고 있는 나라인 캐나다로 1967년 6월 3일 리치먼드에 진출했다.[3] 그 다음에는 코스타리카로 1970년 12월 8일 산호세에 진출했다.[4]

맥도날드 해외 진출의 분수령은 1971년이었는데, (진출 순으로) 오세아니아, 유라시아(아시아 + 유럽)에 맥도날드가 처음 들어온 것이 1971년이었으며, 그 주인공은 각각 호주, 일본, 네덜란드였다. 그리고 같은 해에 파나마(1971년 9월 1일), 서독(1971년 11월 22일)도 맥도날드 매장을 개점했다.

2. 미국

파일:attachment/맥도날드/한국 이외/McDonald.jpg
시카고의 한 맥도날드

맥도날드의 본사가 있는 나라답게 2023년 3월 기준 13,682개의 매장이 있다.

본고장인 미국에서는 의외로 평가가 박하다. 고객만족도에서 패스트푸드 체인 중 거의 늘 꼴찌에 다른 업종들과 비교했을 때도 악명 높은 일렉트로닉 아츠, 컴캐스트, 스프린트 코퍼레이션와 함께 바닥을 깔아주는 역할을 한다. 햄버거 먹으러 미국에 갔으면 맥도날드에 가는 것이 제일 바보짓이라고 한다. 대신 그만큼 (미국 기준으로는) 가격도 저렴하고, 가장 흔히 보이는 대중적인 햄버거 체인이기도 하다. 한 마디로 한국에서 롯데리아 취급이랑 동급으로 보면 된다.

본사가 미국이고 햄버거가 미국에서 탄생한 음식이다보니 미국 맥도날드가 한국 맥도날드보다 나을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실제로는 미국 맥도날드를 갔다가 맛이 없어서 충격을 받는 경우도 적지 않다. 주관적인 입맛의 문제라기보다는 절대적인 품질의 문제. 서비스 수준도 좋지 않다는 말이 있어서, 왜 미국에서 평가가 박한 지를 알 수 있다.

그래도 아이들 사이에서 선호도가 높고 예전에는 미국에서도 애들 생일 때 친구들 다 불러모아서 맥도날드에서 파티하는 일도 많았지만, 비만이 사회문제가 된지 상당한 시일이 흘렀기 때문에 다소 주춤해진 상태이다. 그 이후로 샐러드 메뉴가 강화되었다. 최근에는 미국 각 매장에 커피 전문가를 배치시켜 커피판매에 힘을 쓰고 있다. 덕분에 스타벅스의 성장세가 떨어져 스타벅스도 대응에 나서고 있다.

지역마다 가격이 상이하다. 그랜드 캐니언의 입구부분에 해당하는 애리조나주 코코니노카운티 투세연(Tusayan)에 있는 맥도날드는 비싼 가격으로 여행자들을 당황하게 한다. 이 점포의 제품 가격이 정말로 세계에서 가장 비싼 지 어떤지는 알 수 없으나, 미국 내 다른 곳에 비해 매우 비싼 것은 사실이다. 해당 지점 내에서는 '영업조건으로 인해 높은 가격을 책정하고 있다'라고 알리는 안내문을 볼 수 있으며 실제로 가격도 다른 미국내 맥도날드들과 비교했을 때 2~3배에 달해 이용객들을 당황하게 하고 있다. 그 외에 뉴욕, 그 중에서도 맨하탄 지역의 맥도날드도 미국의 다른 점포들보다 더 비싼데, 할인 쿠폰에서도 맨하탄 점포는 타 지역 점포보다 50센트에서 1달러 정도를 더 받는다고 명시되어 있다.

미국 맥도날드는 우리나라와는 다르게 고가 버거(빅맥, 피시버거(필레오피시), 쿼터 파운더 치즈, 더블 쿼터 파운더 치즈 4종류)는 상자에 담아서 준다. 나머지는 한국과 동일하게 종이에 싸준다.

그리고 미국의 맥도날드의 꽃은 사실 일반 버거류가 아닌 아침 메뉴. 한국의 맥모닝과는 비교를 불허하며 맥도날드를 싫어하던 사람도 아침 메뉴는 좋아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크게 맥머핀, 비스킷, 맥그리들 샌드위치가 있으며 맥머핀은 잉글리시 머핀, 비스킷은 미국식 비스킷, 맥그리들은 시럽을 먹인 팬케익 번 사이에 재료를 넣은 것이며 이 중 맥그리들이 가장 인기가 많은 편으로 단 패티 사이에 짠맛이 나는 재료들이 들어가서 한입한입이 단짠단짠이다. 그 외에도 팬케이크도 판매하며 이 또한 시럽이 매우 달다. 그 인기를 반증하듯 이제는 all day breakfast를 시행해 24시간 내내 아침 메뉴를 제공한다. 펜케이크 같은 달달한 맛을 선호하는 사람이라면 맥그리들이나 팬케이크를 한번쯤 시도해 보는 것을 추천한다.

미국에서 아시아 인종이 가장 많이 살고있는 하와이에서는 아침에 이나 스팸 등이 포함된 메뉴를 팔며, 평상시에도 사이민(Saimin)이라는 컵라면을 판다. 참고로 맥도날드에서 쌀밥이나 컵라면을 판다는 건, 미국 본토에서는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다.

보스턴에서는 계절에 따라 뉴잉글랜드 지방의 명물인 랍스터롤을 판매한다. 버터를 발라 구운 빵 사이에 차가운 랍스터 샐러드를 끼워넣어 주는데 랍스터 어육량이 의외로 높고 패스트푸드 치고 신선해서 먹어볼만하다. 웬만한 관광지에서 사먹는 비싼 랍스터롤보다 맛있는편.

역대 미국 대통령빌 클린턴도널드 트럼프는 맥도날드의 햄버거를 상당히 좋아하는 인물인데, 한국에서 김영삼칼국수 사랑이나 노무현라면 사랑처럼 대통령의 서민성을 강조할 때 맥도날드가 등장하기도 한다. (미국은 아니지만, 영국에서도 윌리엄 왕세자나 해리 왕자가 유년기때 시시때때로 맥도날드 음식을 즐겨 먹었다고 하며, 해피밀 장난감도 사가곤 했다고 한다. 높으신분이라 해도 초딩입맛은 비슷비슷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020년 들어 콜라보를 다양하게 진행하는 중인데 힙합 가수인 트래비스 스캇과 콜라보를 진행하여 상당한 인기를 끌었다.

2024년 들어서는 판데믹 이후의 극심한 인플레이션으로 맥도날드의 가격이 5년만에 급상승하는 바람에 미국 전방위적으로 판매부진을 겪고 있다. 특히나 빅맥 세트가 코네티컷의 어느 한 지점에서 $17.5(약 24,000원)라는 틱톡 비디오가 퍼진게 치명타였다. 2024년 2분기 실적 발표가 어닝 쇼크로 마무리되었고, 맥도날드는 부랴부랴 5달러 Value Meal(실속 세트)를 준비중이나, 기간 제한 프로모션이라 소비자나 가맹점주들[5]의 반응은 둘다 좋지 않다.

3. 유럽

3.1. 영국

1974년 11월 13일 진출한 이후 런던부터 중소도시까지 없는 데가 없는 주요 패스트푸드점이다. 특히 런던에서는 방금 본 거 같은 맥도날드가 조금만 더 가면 또 나오는 경우도 있을 정도. 맛도 미국 본토의 맛과 일치한다. 감자튀김이 다른 패스트푸드 프렌차이즈에 비해서 꽤 괜찮은 편이다.

다만 영국의 물가가 어디가지 않아서 그런지 한국 기준에선 상당히 비싼 편. 빅맥 세트의 경우 5파운드가 넘는 가격으로 한화로 대략 8,000원 수준이다. 한국처럼 Go Large와 Go Super라는 옵션이 있어서 소액을 더해서 감자튀김과 탄산음료의 사이즈를 올릴 수가 있다.

밀크티의 나라 영국답게 밀크티를 판다. 맛은 그럭저럭 먹을만한 편. 밀크티 만큼이나 아침식사가 유명한 나라지만 맥모닝은 미국에서 파는 맥모닝과 크게 다르지 않다. 그나마 미국 맥모닝과 달리 포리지 메뉴가 있다는 정도가 약간 다를 뿐이다. 스코틀랜드 매장은 스코틀랜드의 특산물(?)인 아이언 브루(Irn-Bru)를 취급한다.

특이하게도 세트메뉴 주문시 학생증을 보여주면 치즈버거나 맥플러리 하나를 공짜로 준다. 국제학생증도 가능하다.

여담이지만 영국 맥도날드 남자화장실은 물을 쓰지 않는 소변기를 사용한다.

3.2. 프랑스

미국을 대표하는 패스트푸드점이란 이미지 때문에 환경운동가나 웰빙주의자, 반세계화주의자, 때론 반미 분위기 속에 자주 공격목표가 되고 있다. 이탈리아에서도 대표적인 양키 음식이라 천대받지만, 특히 프랑스가 심하다. 하지만 이런 기사도 나오는 걸 보면 요즘은 인식이 점점 바뀌는 것 같다. 이는 프랑스 직장인들의 생활패턴과도 연관이 있는데 1990년대 이전까지는 여유있게 점심식사를 즐기는 것이 대세였지만 35시간제 근무제도 도입 이후로는 점심시간을 줄여서 일하자는 주의가 팽배해졌고 거기에다가 점심값으로 상당한 돈을 지출해야 되다 보니 패스트푸드나 샌드위치, 냉동식품 등으로 간단히 때우자는 사람들이 늘어서 벌어진 현상이다. 물론 맥도날드의 현지화 노력도 간과할 수는 없기는 하다.

파일:external/farm8.staticflickr.com/6573784395_b97c6fe5a4_z.jpg
샹젤리제 거리 맥도날드. 특유의 노란색이 아닌 하얀색이라 패션브랜드 간판 같은 분위기다.

유럽 여행을 가보면 어디서든 찾을 수 있는 맥도날드가 프랑스에서는 정말 찾기 힘들다고 잘못 알려져 있는데 사실은 프랑스에도 이미 네덜란드와 독일(정확히는 서독)에 이어 유럽 3번째로 맥도날드의 국제 진출 초기인 1972년 6월 30일에 크레테유에 첫 점포가 생겼으며, 오히려 통계상으로도 1,500개 이상의 매장이 있어 전 세계적으로 미국, 중국, 일본 다음으로도 많다. 그 유명한 파리의 샹젤리제 거리에서도 '간판을 흰색으로 칠해야 한다.'라는 규칙 때문에 노란색 M자를 하얗게 해놔서 눈 크게 뜨지 않으면 그냥 지나치기 일쑤라서 프랑스에서는 잘 안보인다고 하는 것인 듯. 2000년대 이후로는 루브르 박물관 옆에도 맥도날드가 생겼을 정도로 번화가에서도 빠르게 확산중이다.

프랑스에서는 천한 양키 음식이라는 인식때문에 인기가 별로 없었으며 그마저도 맥도날드에 대항한 '퀵(Quick)'이라는 벨기에 브랜드가 인기를 나누고 있다. 프랑스어권 여러 나라에서 항상 볼 수 있는 풍경이 맥도날드와 퀵이 붙어있는 광경인데, 지역에 따라 인기도가 조금씩 다르다.[6] 가격대는 물가 비싼 유럽권에서도 약간 센 편이다. 그렇지만 일반적인 레스토랑에서 먹는 것보다는 가격대가 싼 축이고 빠르게 사서 먹을 수 있기 때문에 2000년대 이후로는 돈 좀 아낄려는 직장인들이나 학생들에게 인기를 얻었으며 이것이 프랑스에서 맥도날드가 천한 양키음식이라는 이미지에도 전국적으로 매장을 낼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다.

1980년 당시, 남부 지방의 어떤 농부가 트랙터를 몰고가서 맥도날드 매장을 밀어버린 적도 있고, 프랑스에서도 꽤 유명한 조제 보베같은 경우에는 1999년에 맥도날드 미요점 신축공사장에서 기물을 때려부순 걸로 떠서 대통령 후보까지 했다. 그리고 득표율도 10%나 나왔다나. 여기엔 세계화 현상으로 인해 피해 의식이 생긴 프랑스 농민들의 맥도날드에 대한 반감도 작용하고 있다. 그런데 맥도날드 입장에선 좀 억울한 면도 있는게, 프랑스 맥도날드 매장에서 쓰이는 식품들은 당연히 상당수가 프랑스 국내산, 즉 프랑스 농민들에게서 구입한 것들이다.

때문에 프랑스 맥도날드 측에서는 철저한 로컬라이징을 실시하는데 심지어 로날드까지 때려치우고 공식 마스코트아스테릭스를 내세우는 판이다.[7] 그런데도 인기가 그리 크지 않다.

2012년에는 280Variation이라는 한정 메뉴를 팔았던 적이 있다. 아마 본래 취지는 맛을 선택할 수 있다는 것 같은데 실상은 매장마다 운영형태가 약간씩 다른 모양이다.

3.3.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

원래 햄버거 패티 자체의 원산지가 독일 함부르크인만큼, 독일은 애초부터 프랑스, 이탈리아 등의 남유럽 국가들과는 달리 햄버거 체인들이 비교적 쉽게 자리잡은 동네이다.

독일은 세계 최초로 매장의 음료 메뉴로 맥주를 팔도록 한 나라다. 아쉽게도 현재는 팔지 않는다. 왠지 케밥집에 밀려서 장사가 잘 안될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실제로는 경쟁 업체인 버거킹과 박터지게 싸우는 중이며 사람들도 꽤 많이 온다. 독일 내 맥도날드 매장 수는 1536개로[8], 세계에서도 한 손에 꼽는 매장수 덕분인지 꽤 자주 보인다.

현지화에 꽤 신경을 쓰는 모양인데 과거 메뉴로는 고기 패티 대신 뉘른베르크 특산 소시지를 끼운 뉘른버거(Nürnburger)와 베를린의 명물인 커리부어스트(Currywurst)가 있다. 최근엔 뢰스티(독일식 감자전)를 응용한 메뉴를 밀어주는 모양새다.

일부 매장은 맥도날드와 맥카페가 나누어져 있기도 하다. 가격대는 의외로 비싸지는 않은편. 저가메뉴도 꽤 많다.

오스트리아에는 트리플 치즈버거가 있다.

스위스에는 빅맥 가격이 매우 비싸기로 유명하다. 가격이 6.5 스위스 프랑인데 한화로 무려 8~9,000원대다!

3.4. 이탈리아

주요 기차역마다 반드시 볼 수 있는 브랜드. 역사 안쪽에 있거나 바깥에 있거나 둘 다 있거나 하며, 오히려 역세권 밖에선 발견하기 힘들다. 일단 로마, 나폴리, 피렌체, 피사, 베네치아[9], 밀라노, 제노바, 베르가모 중앙역, 라스페치아 중앙역(친퀘테레 여행의 출발지), 베로나, 팔레르모에서 확인하였다.

이탈리아 맥도날드는 다른 유럽과는 차원이 다른 방향으로 흉악한데, 그야말로 모든 것이 돈이다. 감자튀김을 시키면 나오는 케첩이나 마요네즈를 돈 주고 사먹어야 하며 (50센트), Wi-Fi도 이탈리아 현지번호가 있어야만 사용할 수 있다. 심지어 일부는 화장실도 유료로 운영하는 중이다. 유럽 내 맥도날드의 방문취지가 상당히 좁아진 셈이다. 유일한 장점은 유럽에서도 드물게 24시간 운영한다는 것 정도를 들 수 있다.

이탈리아 지역한정 메뉴는 일맥(ilMac)과 일맥 파르미지아노 레지아노(ilMac P.R.). 포카치아 빵에 이탈리아 특산 치즈를 넣은 메뉴이다.

이탈리아에서 맥도날드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컸기 때문에 1985년에야 진출했다. 로마의 스페인 광장에 처음 문을 열었을 때 시위와 소송, 당국의 폐쇄 위협에 시달렸다.

이탈리아의 커피 가격이 대체로 싼 편이라 (1~1.5유로) 맥카페도 그렇다. 1.2유로면 맛있는 카푸치노를 마실 수 있다. 에스프레소의 종주국답게 맥도날드에서 파는 에스프레소도 결코 나쁘지 않으며, 크로와상도 1유로 정도여서, 커피와 함께 마시면 3유로도 안하는 가격에 저렴히 먹을 수 있다. 맥모닝 메뉴가 이런 카페(에스프레소)나 카푸치노에 크루아상,페스트리 종류를 끼워 파는 게 주종을 이룬다.

1985년 3월 20일 볼차노에 첫 진출했다.

3.5. 바티칸

성 베드로 광장 근처 교황청 소유의 건물에 1달에 3만 유로(약 3천 740만원)의 임대료를 지불하고, 538㎡ 넓이의 매장을 내기로 계약을 맺었는데, 햄버거 냄새와 점포를 찾는 관광객들의 소음으로 오염될 것을 우려하며 이 지역에 거주하는 추기경들이 반발하고 있다. #

그리고 2016년 12월 30일에 건물 1층에 본사 직영점이 오픈했다. 와이파이와 생일파티 공간을 갖추고 있으며, 누텔라를 바른 햄버거도 판다고 설명했다. #

3.6. 베네룩스

룩셈부르크의 경우는 주요장소에 상당히 많이 입점해 있을 정도로 쉽게 볼 수 있다.

벨기에네덜란드의 일부 맥도날드는 화장실마저 유료다.[10] (35센트) 룩셈부르크도 1유로를 투입구에 넣고 들어가는 것이 원칙이나 자물쇠를 풀어놓는 등 유연하게 운영하는데 반해, 벨기에/네덜란드는 아예 화장실 문 지키는 잡무담당 직원이 따로 있다. 그러나 네덜란드의 일부 맥도날드는 화장실을 무료로 개방해 놓았다.[11]

네덜란드[12]에서는 런치 세트는 고사하고, 세트 메뉴도 당연히 없어 모두 단품을 구매해야 하며 케첩 등 소스류도 돈을 받는다. 단 소스의 종류는 다양한 편. 모두 단품으로 시켜야하다보니 상당히 비싸다. 물론 저렴하게 먹을 수도 있다. 햄버거는 1유로나 1.5유로(치즈버거)짜리 등이 있지만 사이즈가 아동용이며, 콜라도 좀더 저렴한 스몰사이즈가 따로 있다. 물론 우리가 생각하는 콜라잔의 크기보다 한참 작다. 그야말로 치사하게 느껴질 정도. 네덜란드 맥도날드는 크로켓버거라는 한국의 불고기버거에 해당하는 로컬라이징 메뉴가 있다. 벨기에는 맥주도 있다.

여담으로 네덜란드는 1971년 8월 21일 유럽 최초로 맥도날드가 진출한 국가이다. 당시 맥도날드 매장은 노르트홀란트주 잔담의 Vermiljoenweg 거리에 있었다.

3.7. 그리스

이탈리아와 마찬가지로 24시간 영업을 장점으로 하며, 경쟁업체는 향토색이 강한 패스트푸드 브랜드인 구디스(Goody's).[13] 그렇잖아도 경제적으로 분위기 어두운 현지 내 인기도는 막상막하를 이루는데, 점점 더 저렴한 구디스 쪽으로 기울어지고 있다.

그리스 지역한정 메뉴는 그릭맥(Greek Mac)이라고 불리는 것으로, 오레가노를 넣은 맥도날드 패티를 피타 샌드위치로 만든 것이다. 참고로 그릭맥이랑 튀르키예 지역메뉴인 맥투르코(McTurco)의 맛은 거의 똑같다. 그리고 그리스와 튀르키예 맥도날드만의 특징이 있다면 다른 맥도날드와는 다르게 감자튀김소금, 후추, 케찹, 마요네즈를 한꺼번에 챙겨준다.

3.8. 튀르키예

무슬림이 다수인 국가이지만 메뉴구성이나 운영은 중동보단 그리스에 더 가깝다. 지리적으로는 서아시아 국가지만 영토가 유럽 쪽에도 약간 있고 역사, 문화적으로 유럽과 서로 영향을 주고받고 한 것이 적지 않은 튀르키예의 특성상 들어온 역사는 빠르지만 사람들에겐 더 맛있는 케밥들에 밀려서 생각보다 흥행하진 않는다. 그래도 젊은 층에겐 꽤 인기있다. 정확히는 식사를 해결하기 보단 디저트를 먹는 개념으로 가는 곳에 가깝다.

튀르키예에서는 젊은 처자들이 남몰래 데이트하기 좋은 장소 1위로 여긴다. 특히 에미뇌뉘 부두 근처에 위치한 맥도날드 2층에서는 항상 커플로 의심되는 사람들로 바글바글한 상황. 하지만 아직까지 지점 개수는 2022년 기준으로 253개점으로 지점이 많은 상황은 아니며, 대부분 대형 쇼핑몰이나 번화가에 밀집해 있다. 특히 백화점이나 쇼핑몰에 입주한 맥도날드에서는 라마단 기간에도 아랑곳 않고 햄버거를 먹는 수많은 튀르키예인들을 볼 수 있다. 사실 튀르키예는 세속국가로 이슬람이 국교도 아니며 이들의 조상인 중앙아시아튀르크인들은 원래 몽골계 유목민족으로 형제 민족인 몽골인들과 마찬가지로 모든 종교에 관대한 유목민이라 나이롱 무슬림이 많다.

가격대는 튀르키예의 물가를 고려해보면 굉장히 센 편으로[14]이다. 미국/영국/홍콩/싱가포르/호주/뉴질랜드 등 최선진국에선 '돈 없을 때 끼니 때우기 좋은 곳', 한국 등 후발 선진국들에선 '적절한 가격에 빨리 맛있게 먹는 곳'으로 여기지만 현지인들에 따르면 튀르키예에서는 맥도날드가 '서구화된' 좀 심하게 말하자면 문명개화의 상징으로 여겨지는 탓이라고 한다. 물론 그 이면엔 케밥, 피데 등 더 맛있고 저렴하며 건강도 해치지 않는 길거리 음식이 널린 튀르키예의 풍족한 식생활의 영향이 크다. 튀르키예인들은 미국식 정크푸드가 건강을 해치고 사람을 일찍 병들어 죽게 만드는 몹쓸 쓰레기 음식이라는 인식을 하고 있다. 여기에는 미국식 패스트푸드 재료에 이슬람에서 더러운 동물로 금기시하는 돼지고기가 맘껏 들어가 그런 면도 좀 있다.

튀르키예에는 무슬림들이 절대다수를 차지하기 때문에 메뉴에 돼지고기를 쓰지 않으며 양고기 미트볼로 만든 쾨프테 버거(Köfte burger)는 물론 아예 케밥처럼 납작한 빵 속에 고기와 야채와 말아놓은 것도 있다.

파일:external/1.bp.blogspot.com/mcd_tr_mcturco_meat.jpg
철저하게 현지화 과정을 거쳤는데, 튀르키예인의 입맛이 굉장히 보수적인 탓이라 햄버거는 본래의 레시피를 살린다 치더라도 함께 곁들이는 사이드 메뉴나 음료수, 그리고 일부 메뉴는 앞서 말한 쾨프테버거나 McTurco처럼 현지화되어 있다. 소시지 맥머핀같은 경우는 돼지고기를 먹지 않는 무슬림의 종교적 습관을 반영해 패티를 100% 쇠고기로 처리했다.[15] 맥도날드에서 홍차와 아이란(Ayran)이라는 튀르키예 전통의 요구르트 음료, Akdeniz Salata(지중해식 샐러드)도 판다.

그리고 지역한정 메뉴 종류도 많은데, 위에 소개한 그리스의 그릭맥과 흡사한 맥투르코,[16] 아래 광고에도 나오는 막스 부르게르[17], 그리고 튀르키예 전통 아침식사를 판다. 구성 내용은 오이, 토마토, 올리브, 해쉬브라운, 페타치즈, 버터, 잼, 맥머핀 두개, 그리고 홍차.[18]

참고로 상하이 스파이스버거를 "매운 닭버거 클래식"(Acılı tavuk klasik burger)이란 이름으로 찾아볼 수 있다.

세트를 시키면 함께 딸려나오는 소스는 그리스와 마찬가지로 케찹, 마요네즈, 소금, 후추지만, 주문할 때 말해서 바꿀수 있다. 준비된 소스는 케찹 마요네즈 외에도 겨자(Hardal), 핫소스(Acı Sosu), 갈릭마요네즈(Sarımsaklı Mayonez), 바베큐소스(Barbekü Sosu), 렌치소스(Ranch Sos), 버팔로소스(Buffalo Sos)가 있다.

튀르키예는 대학생들이 대부분 부모님한테 용돈과 학비를 받아 생활하고, 특히 여성들의 아르바이트 자리가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맥도날드버거킹 같은 외국계 패스트푸트점 아르바이트는 여성 지원자를 받는 거의 유일한 곳이라고 보면 된다.

골 때리는 광고로도 유명하다. 아무래도 미국 브랜드라는 게 외세를 극혐하는 튀르키예인들의 자존심을 상하게 하여 신경을 자극하는 건지, 광고에서부터 최대한 튀르키예화를 시키려고 노력하는 중. 그 중 하나를 가져오면 다음과 같다.

Biz ne yapsak, kendimizden bir tat katmayı severiz.
우린 뭘 하든간에 우리 스스로 한가지의 즐거움을 가미하길 좋아한답니다.

Mesela ateşi ilk biz bulsaydık, önce mangal yapardık.
가령 불을 우리가 처음으로 발견했더라면, 먼저 케밥그릴을 만들었을거예요.

Aya ilk biz çıksaydık, kırk gün kırk gece doyasıya kutlardık.
에 최초로 우리가 도착했다면, 40일 낮, 40일 밤을 지쳐 나가떨어질 때까지 축하했을겁니다.

İlk robotu biz yapsaydık, adını kanka koyardık.
최초의 로봇을 우리가 만들었다면, 그 녀석의 이름은 '형씨'[19]라고 지어주었을겁니다.

Peki hamburgeri biz yapsaydık,
좋아요, 햄버거를 우리가 처음 만들었다면,

köftesi okkalı,sarımsaklı, soğanlı ekmeğinide esaslı yapmaz mıydık?
두툼한 쾨프테에 마늘에 양파를 넣은 빵을 바탕으로 만들지 않았을까요?

İşte Mcdonald’dan Max burger!
여기 맥도날드에 맥스 버거가 있습니다!

Türk usulü hamburger,yeni acı sosumuzla da iyi gider.
튀르키예 사람들이 만든 햄버거, 우리들의 신제품 매운소스와 함께하면 더 좋습니다.

MC DONALD'S GİBİSİ YOK!
(로고송) 맥도날드만한 데는 없어요!

여담이지만 그나마도 몇 군데 없는 튀르키예 맥도날드 옆에는 버거킹과 아르비스같은 경쟁사들이 자리잡고 있다. 부르게르 튀르크(Burger Türk)라는 자국브랜드가 있었지만 2022년 현재는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몰락했다. 그리고 케밥, 피데가 맛있는 동부 튀르키예 지역에는 맥도날드를 비롯한 모든 패스트푸드점이 아직 발도 못 들이는 신세이기도 하다.

여담으로 튀르키예 맥도날드가 힘을 못쓰는 또다른 이유는 창렬한 구성때문이기도 하다. 버거킹이나 아르비스같은 경쟁사에 비해 가격도 높고, 딱히 매리트가 있지도 않다.

3.9. 스페인, 포르투갈

포르투갈독일과 더불어 맥도날드에서 맥주를 파는 몇 안되는 나라이다. 워낙 축구가 일상이다보니 저녁시간이면 맥도날드에서도 몇몇이 모여서 맥주끼고 축구를 보는 모습이 심심치 않게 보인다. 이는 포르투갈은 물론 스페인 매장도 마찬가지다.

원래는 스페인 매장과 같이 관리되어서 음료컵 안내문이 포르투갈어스페인어가 함께 쓰여져 있었다. 이건 스페인에서도 같은 컵이 사용된다. 그러나 최근엔 포르투갈 지사가 따로 분사했는지 더이상 스페인어가 써 있지는 않다.

2004년 부터는 샐러드 메뉴가 등장했고, 2012년 경제위기 상황을 겨냥한 1유로짜리 햄버거가 메뉴에 등장했다. 자국 로컬라이징 메뉴로는 전통 돼지고기 바비큐 샌드위치를 변형한 McBifana와 같은 메뉴의 소고기 버전인 McPrego가 있고, 사이드로 감자튀김 대신 포르투갈식 수프들을 고를 수 있다. 그외 한정 판매 같은 경우 2013년 하반기에는 낙농업이 유명한 아소르스 제도의 치즈를 이용한 Queijo da Ilha 버거와 호날두 고향으로 유명한 마데이라 제도에서 현무암으로 굽는 전통 빵을 이용한 Bolo de Caco 버거를 판매했었다.

Mlovers라는 멤버십이 있다.

3.10. 세르비아

유고슬라비아 연방 시절이던 1988년에 진출했으며 콜라나 주스 등 음료수 이외에도 술이나 에너지 드링크도 판매한다.

3.11. 핀란드, 폴란드, 덴마크

핀란드에는 맥도날드가 진출해 있긴 하지만 헤스버거(Hesburger)라는 현지 브랜드가 더 흔하게 보이는 편이다. 이 점은 남쪽의 발트 3국도 비슷하다. 핀란드 로바니에미에 있는 맥도날드는 세계 지도상 가장 북쪽에 위치한 맥도날드 라고 한다.

폴란드에는 맥로얄, 비스맥(Wieś mac), 럼버잭(Drwala 겨울 한정)이라는 버거들이 있다.

덴마크 맥도날드의 경우 자전거를 타고 드라이브 스루 주문을 할 수 있는 점포가 있다. 그러나 덴마크의 속령인 페로 제도에는 맥도날드가 진출하지 않았다.[20]

3.12. 우크라이나

소련 붕괴 이후 맥도날드는 러시아에 이어 우크라이나에도 진출했다. 하지만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거의 모든 매장이 휴업을 단행했지만 2022년 9월 말에 키이우에 9개 지점을 다시 열었다. 이어 어딘가에 7개 매장을 더 열었다.

4. 아시아

4.1. 일본

파일:external/static5.businessinsider.com/mcdonalds-paid-people-to-get-in-line-for-a-quarter-pounder-burger-in-japan.jpg
일칭, 마쿠도나루도 한바가(マクドナルドハンバーガー,MAKUDONARUDO HANBAGA). 약칭은 마쿠도(マクド,MAKUDO 관서지방) 혹은 막쿠(マック,MAKKU 관동지방). 일본에서 영어식으로 '먹다널즈(McDonald's[məkdˈɒnə͡ldz]) 혹은 맥(Mac)이라고 하면 못 알아 듣는 경우도 허다하다.

일본에서 운영되는 햄버거 프랜차이즈 사업체는 의외로 수가 꽤 많으나, 맥도날드 이상의 규모를 갖춘 햄버거 프랜차이즈는 존재하지 않는다. 미국계 외식업계 전업계 중에서도 넘사벽으로 매장수가 많으며[21] 현지 업체로 따져도 매장 수 하나만큼은 타 업체에 비해 전혀 꿇리지 않는다는 규동 체인들 중에 맥도날드 보다 지점이 많은 체인이 단 한곳도 없다. 오히려 맥도날드가 47개 도도부현 전역에 매장을 차릴 동안 이쪽은 지점이 없는 도도부현이 허다하다.

패스트푸드의 인기가 다소 시들해져서 일부 매장을 정리했으나, 그래도 2021년 기준 2,900개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어 미국, 중국 다음으로 많은 매장을 보유하고 있다. 모스버거2021년 기준 1,255개이다. 가장 많은 곳은 도쿄도로 346곳이며, 오사카부는 233개, 가나가와현은 221개가 있다. 최북단 맥도날드 지점이 삿포로아사히카와도 아닌 무려 홋카이도소야 종합진흥국에 있는 왓카나이에 있다. 최남단 역시 나하시가 아닌 이시가키시에 있다.

일본 맥도날드는 아시아 최초의 맥도날드[22][23]라는 기록을 가지고 있는데, 1971년 7월 20일[24] 후지타 덴(藤田 田, 1926~2004)이 돈을 빌려서 도쿄도 미츠코시 백화점 긴자점 내에 점포를 연 것이 시초였다.[25][26] 2호점은 도쿄 요요기에 있으며, 1호점이 개점한지 얼마 지나지 않아 개점했기 때문에[27] 요요기점이 현존하는 일본 내의 맥도날드 중 가장 오래된 점포가 된다. 이렇게 도쿄 수도권에 1, 2호점이 들어선 후, 차츰 지방으로 확대되어 오사카, 후쿠오카, 나가사키, 삿포로 등 지방도시로 확대된다.

1971년 기준 맥도날드 '햄버거' 가격은 80엔, 빅맥 가격은 200엔이었다. 당시 샐러리맨 평균 월급이 66,100엔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서민들이 사먹기에 아주 큰 무리는 없는 가격이었다. 참고로 버블경제 시절 이들의 가격은 각각 210엔[28]/380엔[29]이었으며, 2023년 현재에는 각각 170엔/450엔이다. #1 #2

그러나 일본 내의 패스트푸드는 맥도날드가 최초는 아니다. 일본 최초의 햄버거 패스트푸드점은 1970년 8월에 사업을 시작한 도무도무 버거(ドムドムバーガ―)이며, KFC도 맥도날드 진출 약 1년 전인 1970년 11월 21일 먼저 진출하였다.

명칭의 경우 원래 맥도날드에서 하려던 명칭은 '마쿠다나루즈(マクダーナルズ)'였다.[30] 그것을 본 일본 맥도날드의 초대 사장이 그건 부르기에 좀 어렵지 않겠느냐 해서 고심 끝에 나온 명칭이 '마쿠도나루도(マクドナルド)'[31]

1990년대 이후부터는 인상 깊은 마케팅 전개로 사람들 사이에서 오르내리고 있다. 대표적으로 스마일은 무료란란루가 있다. 사실 이건 전 세계 모든 맥에 해당이지만. 포인트는 SMILE의 M자가 맥도날드의 마크 모양이라는 점이다.

'메가 맥'이란 세계에 유래가 없는 파격 상품 출시로 세계적인 화제가 되기도 했다. 그외에도 분기별, 월 별로 신메뉴를 계속해서 꾸준히 내놓는데, 판매 실적에 따라서 시즌 메뉴로 정착시키거나 나중에 이벤트성으로 재판매하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1991년부터 가을 추석 즈음에 나오는 시즌 메뉴 月見(달맞이)[32] 버거나[33], 겨울 시즌에 파는 그라탕 고로케 버거 등이 그것. 한국식 불고기 버거도 'KBQ(코리안 바베큐) 버거'라는 이름으로 한때 팔았지만, 판매 부진으로 1회성에 그쳤다.

메가 맥의 이례적인 성공 이후 시작된 프로젝트는 Big America 시리즈로 이어져, 하와이안 버거 등 여러 인기 제품들이 출시되었으며, 미국 각 지역의 이름을 본뜬 특색 있는 상품을 판매한 바 있다.빅 아메리카 시리즈는 2010년대에 몇번이고 재판-신 시리즈가 나올만큼 인기 있었다. [34]

이후 2010년 4/4분기는 i'con chicken 시리즈라는 신 시리즈로 이번에는 치킨류로 기간메뉴를 발매하였다. 총 4종류로 치즈퐁듀, 져먼 소세지, 디아볼로, 카르보나라. 그리고 2011년에는 전 해의 성공을 힘입어 마찬가지로 총 다양한 종류의 버거[35]를 라인업으로 삼은 빅 아메리카 2를 판매했다. 2012년에는 그랜드 캐년 버거, 라스베가스 버거, 브로드웨이 버거, 비벌리 힐즈 버거를 묶어 빅 아메리카 3를 판매했다. 이후 빅 아메리카 시리즈는 나오지 않았지만, 2015년에는 그 대신으로 하와이안 시리즈라는 이름으로 하와이안 바베큐 버거, 로코모코 버거를 내놓았다.

사내 교육용으로 특별 제작한 닌텐도 DS 소프트로 직원 교육을 시키고 있다. 때문에 점포 사무실에는 전용 DS가 놓여있고 휴식시간에는 기본 용도인 교육에 방해되지 않는 범위에서 자기 소프트를 가져와서 플레이 하는 점원도 있다. 포켓몬 교환용으로 쓰는 점원도 있다. ECdP(E Crew developement Program) 교육용 DS소프트는 기본적인 조리 메뉴얼을 비롯하여 직접 조리 과정을 체험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다.

참고로 일본 맥도날드를 소재로 한 GBC용 게임 '맥도날드 이야기(マクドナルド物語)'가 2001년에 출시되었다고 한다. 개발유통사는 맥도날드 코퍼레이션TDK 코어.


아시아 지역에서는 단독적으로 1위의 매상고를 자랑하고 있으며, 일본 전국에 3,000개소 이상의 점포를 보유하고 있다. 따라서 도쿄 등 대도시에서는 어느 정도 유동인구가 있는 역사 근처에는 맥도날드 점포가 위치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다만 일본인의 특성에 맞게 판매량의 중심은 100엔 버거. 디플레가 끝난 2010년대 후반부터는 전반적으로 가격이 많이 올라 100엔 버거는 사라졌고 대신해서 런치메뉴를 원코인(500엔)내에 판매하는 메뉴를 만들었다.

일반적으로 'マック(맛쿠)'라고 부르나, 간사이 지역에서만은 'マクド(마쿠도)'라고 부른다.[36][37][38] '마쿠나루(マクナル)' 또는 '엠도(エムド)'라고 부르는 지역도 간혹 가다 있다.

24시간 영업이라는 강점 때문에 가끔 홈리스들이 동가식서가숙하는 것으로 인해 심야시간에 커피 1잔 시키고 밤새도록 죽치고 앉는 사람들을 '맥도날드 난민'이라고 부르며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39] 집값이 비싸고 집 내부가 너무 좁아서 맥도날드에서 잠을 청하는 이들이 생긴 것인데, 홍콩도 비슷한 문제가 있으며, 대게 독거노인이나 중국본토인, 남아시아 이주민 등이 이렇게 되는 경향이 있다. 그들이 사는 집은 너무 열악해 여러 식구가 살기에 비좁거나 위생이 불량한 경우가 아주 많다.[40] 불가피한 사정으로 밤을 새우는 여행객들은 몰라도 일용직 근로자나 외국인 노동자, 혹은 노숙자 등이 영업방해나 극히 일부지만 범죄를 벌이는 경우가 있었다. 미국의 경우에는 매장 내에 15분에서 20분 이상 있을 수 없다는 경고문이 붙어 있다만 일본에서는 상상조차 못할 일이다. 그러나 코로나19 유행 이후 완전 24시간 영업을 하는 매장은 많이 줄었다.

나루토 시리즈가 발매되는 등 단순히 유아용 이외에도 은근히 마니아층을 노린 듯한 해피밀 전략이 내비추어지고 있다.

맥도날드 문서에 나오는 살인자 맥 재판에 나오는 일본 맥도날드 사장이던 후지타 덴(藤田 田)을 검색하면 한국에선 일본 맥도날드를 크게 키워 부자가 된 사업가로서 긍정적인 정보가 다수로 검색된다.[41] 하지만 후지타는 맥머더(살인자 맥) 재판 당시 "일본인이 햄버거 같은 육고기는 안 먹고 물고기만 먹어 키도 작아지고 이렇게 볼품없어졌다는 거냐?" 같은 서구권의 비아냥을 듣으면서 일본에서도 욕을 먹었다. 이 때문인지 승승장구하던 후지타 덴 체제의 일본 맥도날드는 판매 악화에 빠져들었다.

2000년, 후지타 덴은 마지막 발버둥으로 '주말에만 제 가격을 받고 평일에는 절반인 65엔에 파는 파격적인 저가 정책'으로 겨우 매출 성장을 크게 이뤘지만, 단 1년뿐이었다. 되려 수익성 악화로 빠져들어 다음 해에는 80엔으로 올렸다가 거꾸로 판매율이 바닥으로 떨어졌고, 다시 59엔으로 값을 내렸지만, 일본에선 "이랬다가 저랬다가 뭐하는 거냐"는 비아냥을 들으며 2년 연속 최악의 매출을 보인 끝에, 2003년 후지타 덴은 그 경영악화 책임으로 32년만에 사장에서 물러나야 했다. 후지타는 퇴임식에서 "내가 죽을 날이 멀지 않을 것 같다"며 절망에 빠진 얼굴을 했는데, 정말로 1년만인 2004년에 78살로 병사했다.

이후 후지타의 뒤를 이어 잇따른 비지니스적 성공을 이끈 CEO 하라다 에이코가 맥도날드로 자리를 옮겼다. 그는 일본 애플사의 중역이었으며, 이를 빗대어 '맥(MAC)에서 맥(McD)으로'라는 신문 기사가 난 유명한 일화도 있었는데, 하라다식 경영 역시 연이은 실적 부진으로 실패한 것이라는 진단이 나오고 있어 결국 2015년 하라다는 중역 자리에서 퇴임하는 것으로 물러나게 되었다.

2009년 3월, 제2회 WBC를 후원하여 대대적으로 홍보함과 동시에 기념상품(화일 등)을 내놓았다. 일본 우승시, 전국 매장에 우승 기념으로 햄버거 등을 할인하였는데, 3월 29일 하루 매상 26억 4천만엔으로 역대 1위를 기록하였고, 3월 매상 역시 496억엔으로 역대 1위였다. 전년 같은 달 대비 8.6% 상승했다. 종전 1위는 2008년 8월 2008 베이징 올림픽 당시로 486억엔이었다고.[42]

메뉴는 한국과 약간 다르며, 가격은 2023년 빅맥단품 기준으로 한국은 5,200원 일본은 4,100원 정도로 한국에비해 1,000원 이상 저렴하다. 한동안 런치 메뉴가 없었다가 실적이 부진하자 맥런치 할인을 했었고, 한국의 천원의 행복처럼 100엔 메뉴도 있었지만, 2015년 10월 26일을 기해 오테고로 세트라는 200엔 메뉴로 대체되었다.[43] 현재는 맥도날드 앱에서의 할인 정도가 고작이다.

실적은 디플레 이후부터 디플레 탈출을 선언한 2012년 이후에도 꾸준히 하향세를 걷고 있다. 일본 내수시장의 축소와 웰빙 열풍, 일본 내 로컬 브랜드들의 흥기 등 여러가지 요인이 겹쳐 실적이 매년 부진을 면치 못하고, 2014년 브라질 월드컵 스페셜 메뉴들도 영 신통치 않은 판매량을 기록했다.

맥도날드는 일본 사장까지 교체하는 강수를 두면서 분전하고 있으나, 2014년 여름, 맥도널드에 닭고기를 납품하는 상하이시 공장의 위생관리 문제가 불거져, 평판은 계속 나빠지고 있는 상황이다.[44]

여기에 한층 더해, 2015년 1월 아오모리의 맥도날드에서 프렌치프라이 안에 이빨로 보이는 물건이 나와 뉴스에 보도되었다. 또한, 문제시되었던 맥너겟에 비닐 조각이 들어간 일이나 철조각이 나온 지점도 발각되었으며, 이물질이 혼입된 케이스가 다수 적발되었다.이러한 일이 겹치면서 2월 판매량은 연이은 판매량 부진 속에서도 돋보이는 28% 판매량 감소라는 초유의 실적을 보였다. 결국 하라다 CEO도 악재 속에 퇴진을 결정. 반대로 경쟁사인 모스버거는 실적이 매년 좋아지고 있다고 한다.

결국 연이은 이물질 혼입 사건 이후, 계속되는 부진을 털어내지 못하고, 2015년 11월 경에는 292억엔의 적자를 기록하고 말았는데, 일본 내 맥도날드는 원래부터 패스트푸드 치고는 비싼 편이었고, 맥도날드를 선택할 만한 메리트는 점점 없어지고 있는 것이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적자에 걸맞게 과밀집 상태였던 지역별 점포를 추가로 더 정리했다. 점포가 정리된 곳 중에서, 번화가에 있는 곳은 지리정보시스템으로 맥도날드가 '장사가 잘 될 것'이라 예측한 곳이기 때문에 모스버거, 버거킹, 훼미리마트 등이 경쟁적으로 들어오고 있다. 맥도날드가 '보증'한 가게 위치 + 가게 집기, 조리설비, 기존 아르바이트 인력 등 또한 이용할 수 있어서 외식업체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중이다.

그후 점포 정리, 메뉴 개선, 식품 안전 개선 등의 노력을 한 결과 2017년에는 2011년 상장 후 매장당 평균 매출이 최고액을 기록했는데, 이는 새로 부임한 CEO인 사라 카사노바의 공이 크다고 분석하는 중. 2017년 12월기 순이익은 전기 대비 4.5배나 증가한 240억 엔으로, 각종 경제지에서 일본 맥도날드의 부활이라는 키워드로 보도할 정도였다.[45]

2019년, 일본 영화 날씨의 아이에 등장. 남자주인공 모리시마 호다카와 여자주인공 아마노 히나가 처음 만나는 스팟으로 등장한다. 일본 맥도날드에서는 콜라보 겸으로 콘스프를 팔았다.

2023년, 일본 영화 스즈메의 문단속에 전작과 마찬가지로 등장했다. 여자주인공 이와토 스즈메가 여정을 진행하는 자신이 신세를 진 니노미야 루미의 도움으로 차를 얻어타고 고베시로 갔을 때 식사를 하러 들르는 스팟으로 나온다. 일본 맥도날드에서 스즈메를 모델로 하는 콜라보 광고와 한정판 동화책이 나왔다.[46]

2020년 1월, 맥도날드 아키하바라쇼와도리점이 22년간의 여정을 끝내고 폐점한다는 소식을 간판으로 알렸다. 그러나 이것이 유명해진 것은 옆옆 가게 버거킹 아키하바라쇼와도리점이 맥도날드 폐점 전날 이 간판을 패러디해서 해당 지점의 마지막을 배웅하였는데, 문장들의 첫글자만 따서 읽으면 "우리들의 승리다" 로 읽혀서 유명해졌다.# 이후 2022년 4월 1일 재개점하였는데, 이때도 버거킹은 포스터를 남겼다.[47]

2020년 6월 18일, 일본 맥도날드가 "세계의 맥도날드에서 비프 버거 집결'" 캠페인을 벌이면서 일본 맥도날드에서 만든 ‘가루비맥(かるびマック)’ 버거를 소개해 논란이 되고 있다. 일본에서는 불에 구워 먹는 고기요리를 보통 야키니쿠(やきにく)라 부르며, 한국 요리를 표기할 경우 'キムチ(기무치·김치의 일본식 발음)’나 ‘マッコリ(막코리·막걸리의 일본식 발음)’ 등과 같이 가타카나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갈비’를 가타카나인 ‘カルビ’가 아닌 히라가나 ‘かるび’로 표기해 한국에서 논란이 되었다. 그리고 일본 대표 버거로[48] 일본식 한국 요리인 야키니쿠 갈비(고기)가 들어간 버거를 출시한 것이다. #

다만 재일 조선인/한국인들과 일본인들이 일본에서 만들어 파는 갈비는 한국에서 흔히 접하는 재워나오는 갈비와는 다른 소스를 적신 후 굽는 방식의 요리이기도 하다. 그리고 갈빗대까지 한꺼번에 내놓고 구워먹는 갈빗대 통구이인 한국식 갈비와 달리 야키니쿠 갈비는 미리 살을 발라내 나온 걸 구워먹는 갈빗살 구이이다. 하지만 분명 이런 형태의 차이가 존재하더라도 갈비는 한국 요리에서 갈라져 나온 요리이고, 지금도 일본 내 한인들이 만들어 파는 메뉴이기 때문에 이 일본 요리라고 하는 것에 한국 내에서 충분히 불쾌함을 느낄 수 있다.

다만 이 이벤트에 나온 가루비 버거에 대한 한국 내 논란은 이 이벤트의 성격에 대한 오해에 기인한 부분이 크다. 일본에서 판매하는 갈비 요리의 국적 논란을 떠나, 사실 이 이벤트 자체가 각국의 요리를 이용한 버거를 소개한 이벤트가 아닌 각국 맥도날드 지사들이 개발하여 판매한 메뉴를 소개한 이벤트이다. 때문에 한국에서 잘못 알려진 것과 달리 "일본 요리 가루비가 쓰인 버거"가 아닌 "일본 맥도날드에서 개발해 판매한 버거"로 가루비 버거가 등장한 것이다. 이는 갈비 버거를 맥도날드 내에서 최초로 내놓은 것이 한국 맥도날드도 아니고 일본 맥도날드이기 때문이다. 다른 브랜드까지 따지자면 롯데리아가 1998년에 불갈비 버거를 내놓은 것이 있기는 하다.

그러나 롯데리아 불갈비 버거는 버거 자체가 길쭉한 샌드위치 빵을 쓴 샌드형인 데다, 갈비살을 써서 불갈비 버거가 아니라 불갈비 소스를 썼다고 해서 불갈비 버거라 일본 맥도날드 가루비 버거와는 차이가 있다.

거기다 롯데 그룹에 대한 한국 내 국적 논란을 차치하고라도, 롯데리아는 맥도날드와는 다른 기업, 다른 브랜드이다. 때문에 갈비 버거 자체를 맥도날드 그룹 내에서 처음으로 개발해 만들어서 판매한 게 일본 맥도날드인 것은 사실이고, 일본 맥도날드에서도 가루비 버거를 자신들이 개발해낸 메뉴라고 여길 소지가 충분히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일본 맥도날드에서도 자신들이 개발해 판매했던 가루비 버거라는 메뉴를 기념하여 이벤트를 실시한 것이다. 이는 해당 이벤트에서 영국 측 대표 메뉴로 "스모키 바베큐 버거"가 나왔다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는데, 바비큐는 분명 미국 요리이지만 이 바베큐를 응용해 처음으로 맥도날드 내에서 햄버거 메뉴로 만들어 출시한 건 영국 맥도날드이고, 이 때문에 스모키 바베큐 버거가 영국 맥도날드의 대표 메뉴로 등장한 것이다. 때문에 일본 내 한인들 사이에서도 "이벤트 취지는 이해가 되는데, 원래 메뉴를 출시할 때 흔히 가루비를 표기할 때 쓰는 가타카나가 아닌 히라가나로 쓴 건 좀 뜬금 없다."라는 반응이 나오고는 했다.

다만 이렇게 히라가나로 가루비를 표기한 것도 이유가 있는데, 야키니쿠가 일본에서 인지도를 얻기 훨씬 이전인 1949년에 창립한 유명 식품 회사인 가루비가 하필이면 "カルビー"를[49] 사명으로 쓰는데, 이게 고기 요리 가루비, 즉 "カルビ"와 표기와 발음 모두에서 매우 유사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일본 내에서 둘을 혼동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고, 이를 감안했을 때 만약 カルビ를 메뉴판에 올리면 회사 가루비와 고기 요리 가루비 사이에서 고객 혼동을 야기하는 것은 물론, 최악의 경우 가루비와 맥도날드 사이의 기업 간 분쟁으로 비화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이를 회피하기 위해 히라가나 かるび를 쓴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 맥도날드의 2019년 직영점과 가맹점 합계 매출액은 5,490억 엔으로, 창립 이래 최고 액수를 기록하였다.

2021년 3월 10일부터 일본풍 구운 주먹밥을 모티브로 한 신제품이 출시되는데, 후쿠시마현산 쌀 사용을 표기하여 논란이 되고있다.

애니메이션과 콜라보도 자주 하는 편이다. 2022년 6월 15일에는 샤아 아즈나블과 콜라보를 했다. 샤아의 아이덴티티인 3배와 빨갛다에 초점을 둔 것인지 콜라보 메뉴들이 전부 빨간색 혹은 3이랑 연관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2022년 8월에는 도라에몽과 콜라보하여 도라에몽 라무네 맥 셰이크와 도라에몽 초코바나나파이를 여름 기간 한정 출시하였다.

2023년 9월 12일, 쟈니 키타가와 연습생 성착취 파문으로 쟈니스 소속 연예인의 광고에 대해 "앞으로 기용하지 않는다"라고 밝혔다.

2023년 9월 20일~24일에 올라온 트위터 애니메이션 광고[작가]#, #, #가 올라왔는데, 그중 20일에 올라온 가족이 맥도날드 햄버서 세트를 말 없이 먹으면서 화목하면서 행복해 하는 내용의 애니메이션 광고가 미국 트위터에서 뜨거운 반응을 이끌어냈다.

이것이 주목을 받자 미국의 몇몇 성소수자나 PC주의자들이 일본 공식 광고글에 '저 가족은 가부장적이다. 동성가족으로 바꿔야한다.' 혹은 '저 어머니의 눈빛을 보니 근친을 좋아할 것 같다' 등의 억지 주장을 하며, 영상에 나오는 부모들을 동성가족으로 바꾸는 만행을 저지르자, 대다수는 어이가 없다면서 남의 행복을 보면 배가 아프냐며 비판했다. 일본 맥도날드는 2023년 11월 1일~5일에 시리즈물로 올려 좋은 반응을 얻었다. 4 5 6 그 뒤로도 일본 맥도날드는 만화풍 광고를 내며 호평을 받고 있다. 2024년 10월에는 한정 메뉴를 공개하면서 공식 모에화 캐릭터인 '이마다케다부치 타베미(いまだけダブチ食べ美)'[51]를 공개한 바 있다. #[52] 또한 소개 영상에선 란란루라 불리는 로널드의 과거 CM 영상 또한 따라하기도 했다. #


2024년 8월 17일에 맥도날드 일본 공식 XAI를 사용해서 만든 넷 광고를 공개해 논란이 됐다. #

4.2. 중국

파일:중국 계림 맥날.jpg
중국 광시 좡족 자치구 구이린시에 있는 맥도날드 매장이다.
파일:external/farm4.static.flickr.com/3294081197_77c21e8cc4.jpg
2008 베이징 올림픽 당시 선수촌에서 운영되었던 맥도날드 매장이다.

중국에서는 1990년 10월 8일 광둥성 선전시 뤄후구 둥먼에 처음 들어왔다.[53] 어마어마한 인구 수에 걸맞게 2022년 연말 기준 무려 4,978개의 맥도날드가 있다.

麦当劳라는 현지화된 이름으로 불리는데 발음이 '마이땅라오'로 한국 한자음으론 맥당로다. 저 뜻을 직역하면 '농민을 위한 것'이라는 생뚱맞은 뜻이 되어 버리는데[54] 덕분에 중국 진출 초창기에는 정말 농민을 위한 음식점으로 인지되어 이미지가 괜찮았다고 한다. 처음 듣는 대부분의 외국인은 웃게 되는 발음이다. 단 이 음차는 광동어의 영향을 받은 쪽이다.[55] 광동어 발음으로는 막동로우 정도로 발음된다. 다만 2017년부터 법인명이 맥도날드의 금색 아치 로고를 따서 지은 金拱门(진궁먼)으로 바뀌었지만 매장명은 마이땅라오 그대로 유지된다. 중국인들도 마이땅라오를 주로 사용하며 진궁먼은 어감이 너무 쌩뚱맞아서(...) 법인 명칭 변경 소식이 처음 전해졌을 때는 잠깐 밈처럼 퍼졌다가 지금은 잘 쓰이지 않는다.

KFC의 맞은편에서 자주 발견할 수 있다. 정말로. 실상 버거킹을 비롯한 다른 패스트푸드점이 거의 없는 중국에서는 KFC와 양대산맥을 이루고 있다. 다만 가는 곳마다 있는 KFC에 비해 지점수가 훨씬 적으며 찾아보기가 쉽지 않다. 중국인들에게 로컬라이징에 적극적인 KFC가 선호되는 경향 때문인 듯 하다. 원체 닭고기가 많아 닭고기 메뉴가 많은 중국식 식습관에 딱 맞는데다 아침에 죽도 판매하는 KFC와는 달리 특별한 중국식 메뉴는 없는 편이다. 중국인들도 아직까진 맥도날드는 느글거리는 서양 음식이라고 생각한다. 다만 햄버거 패티가 중국식인 경우가 있는데[56] 매번 출시만 하고 사라져버리는 편이다. 그래도 맛은 그리 나쁘진 않다.

중국 본토의 전 맥도날드는 24시간 영업을 기본으로 한다. 배달도 하는데 역시 9위안 (1,800원)의 운송비가 붙는다.

중국 1호 맥도날드는 경제특구인 광둥성 선전시에 있다. 1990년 처음 오픈했을 때는 큰 맘먹고 가야되는 비싼 레스토랑 취급이었고 이것이 1990년대2000년대까지도 이어졌다. 그러나 2008 베이징 올림픽을 앞둔 2007년부터 중국인들이 경제력이 생겨서 피자헛과 함께 엄청난 열풍이 불어닥쳐서 2010년대에는 상황이 크게 변해서 이제는 간단하게 먹고갈 수 있는 곳 취급을 받는다. 이때 중국인들이 햄버거피자를 얼마나 많이 찾았던지 치즈 재고가 순식간에 동이 나버리기도 했다.

2014년 7월에는 중국 맥도날드에서 사용할 수 없는 고기를 사용한다는 보도가 나와서 상당히 곤혹을 치르고 있었다. # 맥도날드에 고기를 납품하는 업체가 그랬다는 것이지만. TV에서 대대적으로 때린건 '맥도날드에 납품하는', 즉 대기업에도 납품하는데 이른바 썩은 고기를 사용한다는 부분이라 상당한 후폭풍에 시달리는 중이며 이후에 일시적으로 메뉴의 변동이 있고 KFC나 버거킹 등 기타 패스트푸드들도 거래처 단속에 나섰다고 한다. 문제는 중국뿐만 아니라 한국을 제외한 각 인접국들의 맥도날드가 이 파동으로 인해서 수익이 줄어들면서 해당 국가들에서도 단속에 나섰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한동안 육류가 들어간 버거판매를 중단하고 감자튀김과 콜라만 판매하는 촌극이 벌어져 중국내에서 "중국 맥도날드는 햄버거 안 파는 햄버거 가게"라고 조롱거리가 된 적이 있다.

2019년에는 전 세계 맥도날드를 통틀어 가히 역대급이라 해도 무방한 앵거스 버거 시리즈가 나왔다.[57] 더블패티 라지세트 기준 54.5위안. 싱글패티 미디움세트가 40.5위안으로 중국 맥도날드 역대 최고가. 간혹 조리된 1/3파운더 패티가 하나도 없을 경우[58] 세트메뉴를 시켰을 때 콜라와 감자튀김이 먼저 오고 버거가 나중에 온다.[59] 중국 맥도날드의 입지는 과거에 혼자 날아다니던 KFC 턱밑까지 쫒아올 정도로 크게 올라갔으며 고급화의 성공사례다.

동남아시아 국가 지점들처럼, 먹고 나면 알아서 알바생들이 치워준다.

핀테크가 세계에서 가장 많이 발달한 나라이므로, 매장 방문 시에 현금보다 위챗페이알리페이로 주문하는 게 대중적이다.[60] 매장에 대놓고 "QR코드로 주문하세요"라고 되어 있으므로 위쳇페이)나 쯔푸바오가 없으면 점원에게 요청해야 한다.[61]

4.3. 홍콩, 마카오, 대만

홍콩, 마카오, 대만중국 본토보다 먼저 들어왔고 일찍부터 보편화 되어있다. 홍콩은 1975년 1월 8일 홍콩섬 완차이에 1호점이 들어온 게 시작이었다. 이후 중화민국이 통치해 비교적 중국본토보다 대외교류가 활발한 대만에서도 1984년 1월 28일에 타이베이시에 맥도날드가 들어오게 되었고 포르투갈 땅 마카오도 마찬가지(1987년 4월 11일)였다. 1988년 맥도날드가 진출한 대한민국보다도 빨리 진출한 것이다.

홍콩 영화 '첨밀밀'에서도 장쑤성 출신 본토인인 주인공 여명이 "중국에는 맥도날드가 없는데 홍콩엔 있다"며 신기해 하기도 하고, 영어를 못 해서 일자리를 못 구하다 같은 대륙인인 장만옥의 도움을 받은 후[62] "영어를 잘 하면 맥도날드에서 일할 수 있겠다"는 기대를 하며 영어학원[63]으로 가기도 한다. 그리고 1990년대가 배경인 영화들에서 대륙인들이 홍콩에 와서 맥도날드를 처음 접하고 눈이 휘둥그레지는 게 많았다. 1990년대에는 중국에서 맥도날드는 베이징시, 상하이시, 광저우시 등 대도시들이나 선전시, 주하이시, 하이난성 등의 경제특구에 몇 개 있는 게 전부였고, 가격도 비싸서 당시 아무 때나 먹고갈 수 있는 음식점이 아닌 꽤나 비싼 고급 레스토랑 취급을 받았다. 서민들이 편하게 한끼 먹고가는 이미지가 된것은 2010년대 이후의 일이다.

홍콩에서는 24시간 운영이 원칙이며 돈 없는 배낭여행객[64]의 경우 중국 음식은 입맛에 안 맞아 먹을 엄두 안 날 때 여기로들 가서 구룡반도의 침사추이나 홍콩섬의 완차이 맥도날드에선 전 세계 모든 인종의 2-30대 젊은이들의 집합을 볼 수 있다. 특히 침사추이의 맥도날드 지점들에선 여러나라 말이 다 들리며 로컬사람보다 각종 인종의 외국인이 더 많아 인종의 전시장 같은 느낌이 들게 된다.

참고로 홍콩, 마카오는 중국 본토가 패스트푸드가 들어오면서 비만이 문제가 되기 시작한 것과 달리 비만율은 낮은 편이다. 그 이유로는 홍콩인이나 대만인를 물처럼 자주 마시며 더운 기후 땜에 땀이 자주 나서, 그리고 그렇다고 해서 자가용을 끌고 다니거나 할 환경도 안 되어서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가까운 거리는 걷다 보니까[65] 운동량이 많아서 그런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외식 위주의 문화인 지라 콰이찬, 차찬텡 등 여타 외식 비용이 저렴한 것도 한 몫 했다.

홍콩 국제공항의 맥도날드를 기준으로 한국과 다른 점이 좀 있다.
  • 참깨빵이 아니다.
  • 신맛이 좀 많이 난다.
  • 아침에 에그타르트를 판다.

그리고 공항과 홍콩섬 지역의 점원들은 모두 영어를 잘 하지만 구룡반도신계는 대부분 광둥성이나 푸젠성에서 온 본토 중국인들이 점원이라 영어가 잘 안 통하기도 하니 명심하자. 이럴 땐 표준 중국어를 쓰는 게 답이다. 다들 의무교육은 받고 와서 표준중국어는 할 줄 안다. 홍콩인에게 표준중국어 쓰면 기분나빠하지만, 본토인들은 되려 영어가 막막하다 자기네 말 써주면 반가워한다.

홍콩은 아마 세계에서 가장 맥도날드가 밀집된 지역이 아닐까 싶은 동네중 하나인데 일개 시 규모정도 밖에 하지 않는 동네에 200개나 넘는 지점이 있다. 진짜다. 한국의 지점수가 약 400개를 좀 넘는걸 감안하면 정말 많은 수의 매장이 있는 셈이다. 어찌나 매장이 흔한지 심지어 라마 섬 같은 외딴 섬에도 지점이 있고 아파트 단지마다 맥도날드 하나씩은 꼭 있다.

마카오의 맥도널드도 홍콩과 비슷하게 에그타르트를 팔며 온 세상 여러 인종이 다 모인다. 특히 포르투갈어를 쓰는 과거 포르투갈 식민지 출신답게 포르투갈인/스페인인브라질인라틴아메리카 각 국가 사람들, 그리고 가까운 일본에서 오는 일본계 브라질인들을 많이 볼 수 있다. 그 다음이 중국 대륙유커들과 대만인들이다. 마카오도 그 좁은 국토에 홍콩만큼 충분히 매장이 많다. 외국인이 가장 많이 몰리는 곳은 단연 관광지인 세나두 광장에 있는 맥도날드 지점과 카지노를 낀 코타이 지역 지점들이다.

점원들의 경우 홍콩과 달리 포어권이라 포르투갈어, 광동어, 표준 중국어만 가능한 경우가 많아 의사소통이 어렵기는 하다. 그럴 땐 키오스크를 이용하자. 키오스크는 영어/광동어/포르투갈어의 세가지 언어를 지원한다.[66] 키오스크 결제방식은 위챗페이나 알리페이[67], MPay등을 사용가능하고, 현금으로도 직접 결제할 수 있다. 그리고 전반적으로 포르투갈이나 브라질 색채에 중국식을 섞은 느낌이 나서 이국적이다.

홍콩의 살인적인 집값탓에 위의 일본 맥도날드 문단에서도 설명한 것과 같은 맥도날드 난민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살고있는 집이 너무 좁고 열악해 살 집이 있는데도 맥도날드에서 노숙한다는 사람도 있다고 할 정도인데, 주로 독거노인들이 해당된다. 그 밖에도 중국본토나 남아시아 등에서 이주한 이주민들도 좁은 집에 여러 식구가 살려니 너무 열악해서 차라리 나와서 노숙하는 사람들도 있다. 적어도 맥도날드는 냉난방도 잘 되고 화장실도 깨끗하며 요즘에는 와이파이 서비스도 제공되기 때문이다.

홍콩과 마카오의 맥도날드에도 키오스크가 설치되어 직원과의 의사소통 없이도 편리하게 주문을 할 수 있다. 홍콩 맥도날드는 광동어 번체를 모르더라도 영어로 언어를 변경하여 주문을 할 수 있으나, 마카오도 광동어, 영어 사용이 가능하며 결제 수단은 홍콩판 알리페이나 위쳇페이, 옥토퍼스(마카오는 마카오패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주문만 전송한 뒤 카운터에서 현금으로 결제할 수도 있다.

4.4. 동남아시아

필리핀에서는 졸리비(Jollibee)라는 토종 패스트푸드 레스토랑이 맥도날드를 제압했다. 졸리비는 1980년대 당시 현지에서는 고급으로 인식되었으며 지방 중소도시까지 대대적으로 진출하기 이전인 198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초순까지는 달라스 햄버거라는 햄버거 체인이 인기였다. 어쨌든 아직까지도 필리핀에서는 맥도날드의 점포 수가 토종 브랜드인 졸리비보다 적다. 특이사항이 있다면 스파게티[68], 안남미로 지은 밥, 분쇄육이 아닌 그럴 듯한 치킨 메뉴를 취급한다는 점이 있다.

태국은 현지 메뉴 중 콘파이가 있는걸로 유명하다. 또한 망고찹쌀밥도 있는데, 이 망고찹쌀밥은 한국 내 태국 식당에서도 디저트 메뉴로 파는곳이 있다. 일본 문화가 대중화된 특성에 맞게 사무라이 버거라는 메뉴가 있다. 막상 시켜보면 별 특별한 건 없고, 데리야키 소스 위주의 돼지고기 버거다. 또, 태국에서는 주요 프랜차이즈들이 라이스 메뉴를 갖고 있기 때문에 태국 맥도날드도 몇가지 라이스 메뉴가 있다. 소스도 케쳡과 칠리 소스 2가지가 있다. 정작 태국에서 맥도날드는 KFC에 밀려 2인자~3인자 신세인데 KFC가 닭 좋아하는 태국인들 입맛에 더 잘맞아서 그런 듯 하다. 여담으로 푸껫의 어느 맥도날드 매장의 앞에는 합장을 하고 있는 로널드 맥도날드 동상이 있다. 진짜다. 로널드가 현지화된 건데, 푸켓 말고도 방콕의 카오산 로드에도 똑같은 게 있다. 그리고 태국인들 소득에 비해서 매우 비싸다. 맥모닝의 빅 브랙버스트 세트만 해도 한화로 9천원 정도 한다. 대신 음료수를 많이 주긴 한다. 라지 사이즈 음료는 무려 950ml나 된다.

인도네시아이슬람 국가이고 맥도날드에서는 이슬람이 금하는 돼지고기를 쓴다는 인식 때문에 지점 수가 튀르키예 보다 적은 224개점으로 많이 없다. 이슬람에서 할랄로 분류되는 닭고기가 메인인 KFC한테 많이 밀리는 편이다. 인도네시아는 힌두교를 믿는 발리도 있고 이슬람이 대다수라 힌두인들이 금기하는 쇠고기와 이슬람에서 금기하는 돼지고기를 모두 쓸 수 없어 닭고기가 주류다. 그나마 자카르타엔 지점이 꽤 있으며 당연하지만 할랄 푸드 식자재로 패티를 만들고 돼지기름도 안 쓴다.

말레이시아이슬람교 국가인 만큼 돼지고기는 취급하지 않고 쇠고기와 닭고기 위주의 메뉴 구성을 하고 있다. 당연히 할랄 푸드 인증을 받은 것이다. 특징이라면 KFC처럼 뼈 있는 치킨을 판다는 것이다. 치킨과 샐러드, 밥과 소스를 박스밀 형태로 제공한다. 그리고 사회에서 큰 영향력을 가진 화교, 즉 중국계 말레이시아인들을 의식해서 설날에는 행운버거를 팔고 붉은 돈봉투를 서비스로 준다. 여담으로 인건비가 낮아서 인지 다 먹고 남은 쓰레기는 놔두면 알바생들이 당연하다는 듯이 치운다. 그래서 한국에서 하던 대로 직접 버리려고 하면 알바들이 받아 간다. 이는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들도 똑같다.

베트남의 맥도날드는 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2번째로 늦게 진출하였는데,[69] 첫 매장이 2014년 2월 8일에 호치민에 개점하였다. 개점 당시 약 2만여명의 사람들이 맥도날드의 햄버거를 맛보기 위해서 줄을 섰다고 한다. 2023년 이후에도 베트남의 맥도날드 매장은 베트남 전국에 33개(!)에 불과하다. 그 이유는 맥도날드의 메뉴 가격이 베트남 현지인들에게는 제법 비싼 편이고, 현지인들의 대다수는 가격이 훨씬 저렴한 길거리 음식베트남 쌀국수바인미를 주로 먹기 때문에 맥도날드의 매장이 생각보다 적은 것이다. 거기에 베트남에선 한국계 브랜드 롯데리아가 토착화되어 확실히 시장을 독점하고 있기도 하다.

4.4.1. 싱가포르

싱가포르는 유일한 아세안 선진국으로 위의 나라들과는 사정이 많이 다르다. 이쪽은 오히려 홍콩, 마카오, 대만과 비교해야 한다.

싱가포르에도 점포가 굉장히 많다. 거의 모든 지하철역의 출구마다 있는 쇼핑몰에 하나씩은 들어가있다고 봐도 될 정도다. 싱가포르 역시 영미권 국가인 영국의 통치를 받아 영미권의 영향으로 쇼핑몰이 마을 중심지 역할을 하다가 보니까 싱가포르 MRT도 쇼핑몰과 역사를 합체시켰다.

다수는 아니지만 20%로 상당수를 차지하는 원주민 말레이인이나 인도계 싱가포르인 무슬림 인구를 고려하여 돼지고기 메뉴는 없고 닭고기가 주류다. 힌두교를 믿는 인도계 싱가포르인들도 있어 이들을 배려하여 쇠고기도 잘 없고 있으면 쇠고기라고 표기해 알아서 피하게 한다. 특이하게도 맥너겟 등의 치킨 메뉴에 커리 소스를 준다. 이는 일찍이 싱가포르로 건너온 인도인들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유감스럽게도 한국인 입맛에 맞지 않는 소스다.

환율을 1 싱가포르 달러 당 800~900원 상당으로 개념을 머리 속에 잡고있는 사람에게는 체감 메뉴 가격이 한국에 비해 꽤 저렴하다. 싱가포르 달러미국 달러호주 달러, 유로 등과 같은 고가치 화폐인 걸 감안하면 싱가포르 맥도날드는 상당히 저렴한 셈이다.

한국과 달리 퇴근을 일찍 하는 업무지구의 지점들의 경우 24시간 영업을 하지 않고 밤이 되면 문을 닫는 곳들도 있지만 거주지구에 위치한 대부분의 지점들은 낮이든 밤이든 항상 어느정도 이상의 손님 수를 가지고 있다. 늦은 밤에서 새벽에 이르는 시간에도, 노트북을 가지고 삼삼오오 모여서 무언가를 하는 학생 및 밀린 업무 처리하는 직장인들과 동네 아줌마/아저씨들을 볼 수 있다. 여기서는 와이파이가 터지기 때문에 인터넷으로 과제를 하는 학생이나 이메일 등을 체크하며 밀린 일 하는 직장인들을 볼 수 있다.

다만 호커스라 불리는 푸드코트 문화가 발달되어 있어서 저렴하고 빠르다는 점은 현지에서 크게 어필하지 못한다. 저렴하고 빠른 건 이미 호커센터에 가서 간단한 음식인 볶음면만두치킨 커리, 케밥 등을 먹어도 똑같다. 싱가포르는 위생을 중요시하는지라 호커센터도 위생수준이 주변 동남아시아 빈국은커녕 홍콩과도 달리 그리 나쁘지는 않기도 하다.

그리고 홍콩처럼 도시국가인 사정상 대중교통 및 도보 이동이 보편화되고 미국식 자가용 문화가 활성화되지 않아서 드라이브 스루는 적다. 있긴 한데 활성화되진 않았다.

여담으로 한국풍 메뉴로 서울 스파이시 버거와 김치 쉐이커를 판다. 서울 스파이시 버거는 패티 종류가 치킨과 소고기로 2개이고 양념치킨 소스와 비슷한 양념이 발라져 있다. 현지 블로거들에 따르면 맛있게 매운 맛이라고 한다. 김치 쉐이커는 김치맛 가루가 뿌려져 있는데 새콤한 맛이 중독된다. 물론 토종 한국인이 먹기엔 "이게 뭐가 한국풍이냐"고 할 순 있지만, 외국인들에겐 한국풍 요리가 그렇게 인식되는 게 사실이다. 사실 매운 음식이라고는 인도 요리 정도가 알려진 싱가포르에서 이 정도만 되어도 신선한 충격을 주기 충분했다.

그 밖에 프렌치프라이치즈를 얹기도 하고, 으깬 감자(매시드 포테이토)도 취급한다.

4.5. 인도


인도에서의 맥도날드는 1996년 10월 13일 델리에 진출하였다. 그러나 인도가 힌두교에서 소를 모티프로 한 신이 존재하기 때문에 소고기를 먹을 수 없거나 먹지 않는 사람이 많으며, 주에 따라 다르지만 일부 주에는 소를 도축하는 것이 금지하는 법이 존재하기 때문에 인도 맥도날드에서는 맥도날드의 전통적인 메뉴인 소고기 버거류를 팔지 않는다. 당초 인도측에서 힌두교 율법 문제를 이유로 소고기 메뉴를 거부했고, 맥도날드도 무슬림들이나 시크교들을 대상으로만 장사를 할리는 당연히 없기 때문에인도의 무슬림 규모가 1억 5천만 정도인데? 맥도날드 본사가 인도 한정으로 소고기 버거류 메뉴는 제외시키기로 하였던 것. 또한 돼지고기도 인구의 10% 가량을 차지하는 이슬람교인들은 먹지 않은데다가, 힌두교인들이 돼지고기를 위생 문제 때문에 꺼리기는 마찬가지라서 돼지고기 버거류 또한 뺐다.

대신 닭고기는 힌두교도나 무슬림들도 다 먹을 수 있다는 점이 중요하고 딱히 금기시하지 않는 편이기도 하여서 닭고기의 비중이 매우 높은 편이다. 대표적인 예로 빅맥 같은 경우, 패티를 닭고기로 대체하여 마하라자 맥(Maharaja Mac)이라는 이름으로 판매하고 있다. 마하라자힌디어로 왕이라는 뜻이다. 빅맥이랑 비슷한 뉘앙스라고 생각하면 된다. 1996년 진출 초기에는 양고기를 이용하여 패티를 만들었으며, 2000년 이후에는 닭고기로 패티를 만들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특히 채식주의자들이 많은 나라인지라 채식주의 메뉴가 정말 많은데, 시금치, 옥수수, , , 감자, 당근, 양파 등을 다진 것으로 만든 채식 패티들이나 연성 치즈인 파니르에 튀김옷을 입혀 튀겨낸 것을 고기 패티 대신 넣은 머핀 및 버거류가 전체 메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이런 비건 혹은 락토-비건 채식 메뉴에는 녹색 표시가 되어 있고, 그 외에 달걀을 패티 대신 넣은 맥머핀이나 버거부터는 동물성 음식이라는 뜻으로 적색 표시가 되어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채식메뉴 도입이 어느정도 성공을 거두자 맥도날드 본사에서 미국이나 유럽 각국의 채식주의자들을 대상으로 잇따라 채식메뉴들을 시판하는데 영향을 끼쳤다.

이 뿐만 아니라 요리에 각종 마살라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나라인지라 상당히 강한 맛의 향신료가 가미된 것들이 많다. 마하라자 맥도 카레 가루를 첨가하는지 패티 주변에 머스타드 소스와는 미묘하게 다른 노란색이 감돌며, 맛도 일반 빅맥과 달리 카레 맛이 난다.

맥도날드는 인도에서 처음부터 중산층이나 부유층들을 타켓으로 삼고 있기 때문에[70], 서민들이 차마 가기힘들 정도로 햄버거 값을 비싸게 책정해놓아서 세금이 더 엄청나며 위생검사도 극악으로 까다롭게 한다. 예를 들어 뭄바이에서는 위생검사를 하러 온 공무원이 KFC와 더불어 맥도날드를 위생이 최악이라며 영업정지 몇 달을 화끈하게 때려준 적이 있는데 그 사유가 파리 몇 마리가 가게 안에 있어서였다고 한다. 당연히 맥도날드와 KFC는 "아니 근처에 파리가 많으니 어쩌라고? 그리고 인도인 가게들에 파리가 넘치는데 왜 우리만?.."과 같은 이유로 항의했으나 인도 측이 "야, 너희 가게는 저런 서민 가게들이 받는 돈과 차원이 다르게 비싸게 받아먹는데 당연히 그만큼 너희들이 더 신경써야지, 어딜 저런 서민들 가게와 견줘?" 라는 투로 무시하고 결국 영업금지 처분을 내린 적도 있다. 그리고 이 가게는 나중에 아예 문 닫고 철수했다.

인도 맥도날드 내에서 소고기가 들어간 메뉴는 일체 들어가지 않지만 해외 맥도날드에서 율법문제로 트러블이 벌어진 적이 있으며 인도 내에서도 쇠고기 메뉴가 있다는 음모론이 횡행하는 상황인지라 힌두교 극우과격파들이 예의주시하고 있으며 자칫하면 이들에게 집단으로 매장이 박살날 수 있는데다가 관계자가 죽을 각오를 해야한다.[71] 이때문에 총으로 중무장한 사설 경비원이 인도인이라면 몸수색을 하고 들여보낼 정도로 긴장하면서 영업을 하기도 한다.(외국인은 그냥 통과)[72][73]

이들은 인도 정치권 및 온갖 권력층 비호를 받기에 조심할 수 밖에 없다.[74] 마찬가지로 이슬람권 및 이스라엘에서는 돼지고기 재료는 알아서 피하고 있다. 애초에 종교적으로 금기시 되는 음식들을 팔면 장사가 잘 될일이 만무한데다가 국제적으로 매장을 낸 만큼 그런 일로 가게들이 초토화되고 불매운동이 벌어지면 한두개 나라에서만 타격을 입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5. 중동


중동북아프리카 등 이슬람권의 맥도날드 메뉴는 할랄 푸드 인증을 받은 재료를 사용하고 있다. 중동에서는 그래도 자원부국인 아라비아 반도 국가들에서 맥도날드가 보편적이며 특히 두바이, 도하, 바레인 등에선 되려 서울만큼, 혹은 서울보다 조금 더 매장이 많기까지 하다. 그러나 석유가 안 나와 빈곤한 요르단이나 석유가 나오지만 내전으로 피폐해진 예멘, 시리아, 이라크[75] 등에선 꿈도 꿀 수 없는 얘기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요르단은 1990년대 중후반에 겨우 맥도날드가 들어왔으며, 시리아이라크의 경우 아예 반미국가라 맥도날드가 들어오지도 못했는데 이라크의 경우 사담 후세인 정권 붕괴 이후인 2006년에 맥도날드가 진출했으나 이마저도 미군 군사기지에 딱 1곳만 입점해있다. 그리고 걸프 연안국과 요르단, 이라크 외에 레바논에도 맥도날드가 있다.

중동 지역에서 특히 아라비아 반도 국가들의 맥도날드에서는 인구에서 인도인, 파키스탄인 이주민이 많다는 점으로 인도풍 메뉴를 출시하기도 한다. 애초 척박한 아라비아에서 예전부터 자주 먹던 먹거리가 인도 음식이었으며 아라비아와 인도는 아라비아 해를 사이에 두고 마주 보는 가까운 거리라서 교류가 많았고 19세기 이후 영국의 식민통치로 인도인 세포이들이 대거 이주해 와서 인도 음식이나 인도풍 메뉴는 아라비아 반도 국가들에서 보편화되어 있다. 문화적으로도 인도 영향이 강해 인도 영화의 주 고객 중 하나가 아라비아 반도 국가들이기도 하다. 또 아라비아 반도 국가들에선 대부분의 버거를 종이 상자에 담아준다. UAE 기준으로 스파이시 맥치킨부터는 상자에 담아준다.

5.1. 이스라엘


일단은 유대교의 본산인 만큼 유대교의 전통 코셔 푸드에 궤를 맞추어서 판다. 할랄처럼 돼지고기 메뉴는 팔지 않으며 코셔만의 특징인 육류유제품을 동시에 섭취하지 못하는 교리에 맞춰 치즈버거 역시 팔지 않는다. 모조치즈 쓰면 되잖아 또한 안식일엔 불과 전기를 쓸 수 없다는 교리를 철저히 지키는 독실한 신자들을 위해 가열할 필요 없이 내놓을 수 있는 다양한 샐러드 메뉴를 추가하고 있다

6. 아프리카

경제적으로 열악한 아프리카에서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경우 남아공을 제외하면 꿈도 못 꿀 일이고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이집트, 남아프리카공화국, 모로코, 모리셔스에만 들어와 있다.[76] 그 외엔 내전을 치렀거나, 혹은 내전 중이거나 경제적으로 찢어지게 가난한 라이베리아, 콩고민주공화국, 남수단, 소말리아, 부룬디, 르완다, 에티오피아, 수단, 말라위와 석유와 가스 등 지하자원은 나오지만 정국, 치안 사정이 매우 안 좋은 알제리리비아 등은 진출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6.1. 이집트

이집트의 경우 수도 카이로와 제2도시 알렉산드리아 등에 입점해 있다. 아프리카에선 비교적 안정적인 축에 속하는 나라지만, 이집트의 1인당 국민소득이 대한민국의 1980년 정도 수준에 불과하여 아주 낮은 편이기 때문에, 고급화된 레스토랑 취급을 받고 있어서 밸류라인 메뉴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메뉴가 한국의 쿼터파운더 버거와 비슷한 높은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다.[77] 맥도날드 뿐만 아니라 피자헛도 이는 마찬가지다. 당장 한국에서도 현재보다 못 살던 시절인 1980년대1990년대엔 피자헛이 고급 레스토랑 취급을 받아 그럴 듯한 인테리어까지 갖춘 지점이 많았다. 이집트 맥도날드에서 파는 현지화 메뉴로는 코푸타를 이용한 맥 아라비아타히나 버거가 있다.

6.2. 모로코

모로코도 이집트와 비슷하다. 모로코 역시 할랄 푸드만 취급하며 현지화되어 있다. 이쪽은 프랑스의 영향으로 맥도날드를 사실 천박한 양키 음식 정도로 보는 시선도 좀 있으며 프랑스계 브랜드가 더 인기가 있고 이집트에 비해 잘사는 나라라 이집트처럼 고급 레스토랑화되어 있지는 않다. 불어권 아프리카답게 메뉴는 모두 프랑스어, 아랍어로 적혀 있으며 프로모션도 대게 프랑스어로 나간다.

참고로 모로코는 1992년에 아프리카 최초이자 중동권 최초로 맥도날드가 입점한 나라이다.

6.3. 남아프리카 공화국


그래도 살만한 아프리카 나라 중 하나인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경우는 미국이나 호주 등 영미권과 별 차이가 없다. 차이가 있다면 남아공의 열악한 치안 덕분에 각 지점마다 보안강도가 상당히 빡세다는 정도이다. 메뉴 등은 미국 메뉴와 동일한데 이슬람권인 북서아프리카와 달리 영국-네덜란드계 기독교 백인 국가로 출발한 덕에 이렇다할 제한이 없으며 정서도 영미권과 거의 흡사하기에 분위기 등도 영미권과 비슷한지라 당연한 일이다. 빈부격차가 심한 나라여서 돈 없는 흑인들보다는 돈 있는 백인들이 더 많이 간다.

6.4. 모리셔스

아프리카에서 최고 수준의 1인당 GDP를 유지하는 국가인 모리셔스의 경우는 이쪽도 남아공과 마찬가지로 영미권 국가와 별 차이가 없다. 이외에도 모리셔스는 21세기 최초로 맥도날드가 들어선 나라이기도 한다.

7. 아메리카

7.1. 캐나다

1967년에 전세계 최초로 해외에 맥도날드가 진출한 나라다. (사실 맥도날드 뿐만 아니라 상당수의 미국 대기업들이 해외에 진출을 할 때 가장 먼저 진출을 하는 나라가 캐나다다.)

형제국인 미국과 별 다를거 없이 흡사하며 국민들의 인식 수준도 가장 대중적이면서 거리에 널린 햄버거 체인점이라는 것도 똑같다.

다만 굳이 차이점이 있다면 캐나다 요리푸틴이 맥도날드 메뉴에 존재하며 맥도날드의 M자 마크에 캐나다의 상징인 빨간 단풍잎 그림이 조그맣게 그려져있다. 또한 전반적으로 본토인 미국보단 맛이 있는 편. 캐나다 햄버거 3대장 웬디스, 하비스, A&W 바로 다음이라는 평가. 호주와 동일하게 앵거스 버거를 판매한다.

파일:6F19A4D1-113B-486D-85BE-D7943051765E.jpg
1990년대 초반에는 피자를 팔기도 했다. ‘맥피자’라고 불렸다.

제3세계에서 주로 부유층들이 가는 식당이라는 이미지가 있는 것과 별개로 캐나다 특히 몬트리올 같은 대도시 내 맥도날드는 주로 실직 난민들이나 노숙자들이 시간 때우는 장소 즈음으로 전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 점은 캐나다 뿐만 아니라 유럽 일부 지역도 마찬가지로 차라리 캐나다는 난민들이나 노숙자들이 비교적 순하기라도 하지 이탈리아 북부 파도바 같은 곳은 중앙역 근처의 맥도날드 들어가기가 좀 무서울 수도 있다.)

7.2. 라틴아메리카

미국과 붙어있는 라틴아메리카 각 국가에서도 맥도날드가 인기다.

7.2.1. 멕시코

미국과 접경하는 멕시코에는 맥도날드가 단연 인기있다. 피자헛과 함께 멕시코인들이 아주 좋아하는 미국식 패스트푸드점이 맥도날드다. 멕시코 시티칸쿤 등에는 맥도날드가 거의 도배되어 있으며 지방 중소도시에서도 하나씩은 꼭 있다. 예전부터 미국/문화의 영향이 강렬한 멕시코이고 빈부격차가 심해 브라질처럼 서민들의 주머니가 사정이 좋지 않은지라 멕시코인들은 점차 가격이 저렴한 패스트푸드에 맛들려 갔으며 그 결과 비만 문제가 사회문제로 떠오르게 되었다. 현재 멕시코는 미국과 함께 세계적인 비만국가가 되어 비만 퇴치에 노력을 기울이고는 있으나 쉽지가 않다.

7.2.2. 브라질

1979년 2월 13일 리우데자네이루에 남아메리카 최초의 맥도날드 매장이 들어섰으며, 브라질에서도 현지 넘버원 패스트푸드점이다. 최근 들어 버거킹이 맥도날드의 아성을 넘보려하지만 맥도날드의 맛에 오래 길들여진 브라질인들은 현재도 맥도날드를 선호하는 추세이다.

7.2.3. 과테말라

파일:external/www.gettingstamped.com/Mc-Donalds-4-644x320.jpg
과테말라는 안티구아 시에 있는 맥도날드 체인점이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맥도날드 체인점'으로 유명하다.

7.2.4. 푸에르토리코

미국의 직할영토인 푸에르토리코도 맥도날드가 당연히 흔하고 인기가 많다. 수도 산후안은 맥도날드가 도배되어 있으며 미국 본토처럼 드라이브 스루를 운영한다. 덕분에 푸에르토리코인들의 비만율도 하늘을 찌른다.

7.2.5.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허나 유럽 문화의 영향이 강해 미국식 패스트푸드를 천박한 양키 음식으로 취급하여 평가절하하는 아르헨티나, 우루과이는 평가가 그럭저럭이고,[78] 미국으로부터 고강도의 경제제재를 당하는 쿠바에서는 맥도날드를 아예 찾아볼 수 없다. 다만 쿠바에서는 맥도날드 같은 다국적 프랜차이즈가 잘 없다 뿐이지 일상적으로 햄버거를 엄청 많이 먹는 편이다.[79] 실제로 한국인이 쿠바에 여행 가면 가장 만만한 음식이 암부르게사(Hamburguesa)라고 길거리 햄버거이다. 아르헨티나와 우루과이의 경우 이탈리아인 이민자들이 많아 수제 피자, 파스타와 큼지막한 스테이크 등 더 맛있는 게 얼마든지 많아 굳이 미국식 패스트푸드를 먹을 필요를 느끼지 못하는 사람이 많으며, 은근히 영국, 미국에 대한 반감이 있어 더욱 멀리한다. 맥도날드가 리오플라텐세 지역 진출을 여러번 시도하고는 있지만 쉽지 않다. 다만 옆나라 칠레에서는 그럭저럭 인기가 있는 편이다. 근데 정작 KFC, 버거킹은 진출해서 잘만 영업중이다.

8. 오세아니아

오세아니아에도 맥도날드가 진출했으며, 피지에도 맥도날드가 존재한다. 현재 수바와 나디, 라우토카 등에서 4개의 매장이 운영되고 있으며, 피지 맥도날드 전용 웹사이트도 있다.

그 외 맥도날드가 존재하는 오세아니아의 지역, 나라들은 누벨칼레도니, 사모아, 미국령 사모아 등이 있다.

8.1. 호주

호주에서는 McDonald's라는 명칭을 공식적으로 사용하기는 하나, 툭하면 홍보에 Macca's라는 이름을 사용한다. 전용 모바일 앱 이름마저 MyMacca's이다. 이는 뭐든지 줄여 말하는 호주인들의 언어문화를 반영하였기 때문이다. 뉴질랜드에서도 Macca's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호주는 버거킹도 헝그리 잭(Hungry Jack's)으로 현지화한 부분이 재미있는데, 비록 버거킹의 경우는 상표권 분쟁 역사가 있었기는 하나 (헝그리 잭스 항목 참고) 이런 걸 미국과 은근히 신경전을 벌이며 자존심을 강조하는 호주인들의 특성으로 보기도 한다.

의외로 호주는 비북아메리카 지역 최초로 맥도날드가 들어선 국가이다. 1971년 5월 30일 뉴사우스웨일스주에 호주 최초의 맥도날드가 들어섰다. 이후 발전을 거듭해 맥도날드 점포는 도시 지역이라면 어디든 아주 흔하게 되었으며, 외곽이나 변두리라 해도 대형 쇼핑몰 안에는 십중팔구 입점해 있다. 시드니멜버른, 브리즈번 등의 대도시에서 돈 없는 배낭여행객들의 끼니를 해결해주는 아주 고마운 음식점이기도 하다.

공항에서도 쉽게 볼 수 있는데, 그런 곳의 지점들도 비록 메뉴구성에 차이는 있지만 가성비 메리트는 존재하기에 저가항공을 이용하는 승객들은 아예 여기서 식사를 싸서 탑승하기도 한다.

한인이 많은 시드니의 맥도날드는 시드니에서 일하는 워홀러들이나 어학연수, 유학을 온 유학생들도 즐겨 찾기도 한다. 브리즈번 시티의 Queen Street Mall에 있는 지점도 인근 버거킹과 함께 한국 출신 젊은이들의 만남의 장소로 많이 이용된다.

이렇게 보편적인데도 의외로 맥도날드가 호주에서 가장 흔한 패스트푸드점인건 아니다. 2024년 기준 가장 지점이 많은 프랜차이즈는 1200개 이상의 지점을 보유한 서브웨이이며, 맥도날드는 1000개를 갓 넘겼다.[80]

가격 면에서는 애매한데, 2023년 12월 기준, 빅맥세트 small meal 가격이 11.95 호주달러로 한화 약 10,500원 정도로 호주 물가에 비하면 저렴하다고 볼 수도 있지만, 한국 빅맥의 다양한 메뉴와 맥올데이 등 잦은 할인, 넘쳐나는 제휴 할인 등을 생각하면 호주가 마냥 싸다고 볼 수는 없다. 빅맥 지수도 한국보다 높다. 2024년 기준 호주는 5.07, 한국은 4.11이다.

MyMacca's 앱을 적극적으로 사용하면 전용 메뉴나 전용 딜도 있고 누적 포인트로도 음식을 시킬 수 있기에 유용하지만, 교묘하게도 일부 세트메뉴나 딜 등은 앱에 뜨지 않고 직접주문이나 키오스크로 주문할 때만 보이게 만든 경우가 있어 주의해야 한다. 이런 이유로 키오스크에서 부득이 주문해야 할 경우, 회원 QR코드를 스캔시켜두면 적립은 그대로 할 수 있으니 좋다.

단품이 아닌 세트를 주문할 경우 (현지에서는 meal이라고 한다) 구성은 타국과 비슷하게 후렌치후라이와 음료 (호주에서는 chips라고 부름)가 추가되는 것뿐인데 가격의 상승폭이 일관되지 않다는 것도 특징. small meal 기준 4달러에서 5달러 정도가 추가된다. 한국에서의 세트를 생각하면 medium meal 정도는 시켜야 하는데 이 경우 상당히 비싸진다.

칩스는 가든 샐러드로 대체가 가능한데, 탄수화물 섭취량을 조금이라도 줄이고 싶다면 유용하게 써먹을 수 있다. 세트메뉴 대신 무설탕 음료 단품을 추가해도 되겠지만, 이 땐 음료 개별품의 가성비가 크게 떨어진다. 세트나 음료 관련 가성비가 떨어지는 건 맥도날드뿐 아니라 호주 식당들의 전반적인 특징이기는 하다.

드라이브 스루가 되는 매장의 경우, 우선순위가 드라이브 스루쪽에 들어가는 모양인지 현장 주문은 앱 사용 여부를 막론하고 꽤 오래 걸리는 경우가 있으니 주의하자. 매장 방문 전에 앱으로 미리 주문을 해두면 도움이 된다. 이런 부분 역시 호주 식당들이 대개 비슷하기는 하다.

호주에서 맥플러리를 주문하면 오레오쿠키가 아이스크림과 혼합되어있지 않고 그냥 위에 얹어져서 나온다. 맥플러리 머신이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고장이 잦아서 퇴출하였다고 하는데 이에 대해서 '아이스크림에 쿠키조각 조금 얹어놓고 비싼 돈 받아먹는다'니 '이럴바에는 그냥 따로 오레오를 사와서 저렴한 소프트콘에 얹어먹겠다'라는 말이 나오는 등 소비자들의 반응은 좋지 않은 편이었다.

쇠고기로 유명한 국가답게 각국의 앵거스 비프로 만든 버거가 있다.[81] 또한 사람보다 양이 더 많다고 할 정도로 양을 엄청나게 키우는 두 나라인지라 양고기로 만든 Serious Lamb Burger라는 것도 있었다.

2023년 12월 기준, 양고기 버거는 없고 앵거스도 3종류에서 2종류로 줄었지만 Classic Angus 버거가 퀄리티나 밸런스 면에서 압도적이다. 가격은 small meal 기준 13.65 호주달러.

한편 한국에서는 맥카페가 가성비 커피, 저렴한 커피의 대명사급이지만 호주 맥카페는 가격적 메리트가 거의 없다는 점에 주의. 커피 퀄리티가 특별한 것도 아니다. 할인 딜이 생겼을 때만 먹든지, 다른 카페가 문을 닫은 야간 시간대에 커피가 필요하면 이용하든지 하는 것도 방법이지만, 하여튼 식사나 만남, 개인용무 등을 위해 공간을 이용하면서 커피를 곁들이는 건 몰라도, 오로지 커피를 마시기 위해 애용할만한 곳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8.2. 뉴질랜드

뉴질랜드 사우스랜드지방 인버카길에는 세계 최남단 맥도날드가 있다. 그리고 기본세트 이외에 'Hunger Buster'라는 세트를 따로 판매한다. 이름 그대로 '배고픔을 부수'기 위해 버거, 후렌치 후라이, 음료수 외에 추가적인 메뉴를 더 제공하는 식이다. 예를 들어 BigMac Hunger Buster에는 빅 맥 세트에 치즈버거와 선데이 아이스크림을, Chicken Mcnuggets Hunger Buster에는 치즈버거 세트에 맥너겟을 추가로 제공하는 식이다. 어떤 식인지 직접 체험해보고 싶다면 https://mcdonalds.co.nz/menu에서 Hunger Buster메뉴를 찾고 세트 구성대로 사서 먹어보자.

9. 철수한 국가

9.1. 아이슬란드

본래 체인점을 늘릴 예정이었으나 극심한 경제난으로 인해 2009년에 사라졌다.[82] 기존의 매장들은 아이슬란드 현지의 패스트푸드 업체인 metro에서 인수했다. 다만 재진출할 계획이 있다고 한다. 한편 2019년에는 맥도날드 철수 당일 한 남성이 구입한 햄버거와 감자튀김이 10년 넘게 원형 그대로 유지된 모습이 공개되어 화제가 되기도 했다.

9.2. 몬테네그로

현지식당들을 보호한다는 차원에서 없어졌으나 2023년에 다시 생길 계획이 있다고 한다.[83]

9.3. 북마케도니아

유럽본사와 현지 지부 사이에 갈등이 생겨 없어졌다. 그러나 다시 생길 계획이 있다고 한다.

9.4. 자메이카

정부 문제와 매출 감소로 철수.

9.5. 바베이도스

1989년에 열었으나, 판매 부진으로 인해 1년 만에 철수.

9.6. 볼리비아

판매 부진 및 높은 가격 혹은 대통령과 국민들에 의해 철수. 이로 인해 가이아나와 함께 유이하게 맥도날드가 없는 남미 국가다.

9.7. 산마리노

1999년에 첫 진출, 단 하나의 매장으로 운영하였으나 2019년 폐업으로 모두 철수했다.[84]

9.8. 버뮤다

버뮤다는 외국 프랜차이즈가 들어오는 것을 불법으로 막았지만[85] 미군기지에 딱 1개 지점을 허용했었다. 1995년 미군기지가 문을 닫았을 때 정부도 기존 법을 활용해 맥도날드도 문을 닫아버렸다.

9.9.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2022년 말 라이선스가 어른의 사정으로 회수되어 철수하였다.

9.10. 러시아

파일:russia-mcdonalds.jpg
2022년(左), 1990년(右)[86] 맥도날드의 러시아 철수와 진출.[87]

비교적 규모가 큰 유럽 시장에서도 꽤 성업하던 브랜드였으며 매점 수로는 독일, 프랑스, 영국 다음으로 많은 매장 수를 보유했다. 현지 표기로 Макдоналдс를 사용했는데 막도날즈 정도로 발음한다.

펩시가 1970년대 중반에 소련에 진출하여 큰 성공을 거두자 충격을 받은 코카콜라, 맥도날드나 피자헛 같은 미국의 다른 요식업 업체들도 고수익을 누리고 소련에 진출하려고 했는데 1970년대 말부터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의 여파로 미소관계가 악화일로에 치달으면서 진전을 보지 못했다가 1980년대 중후반에 미소관계가 개선되면서 다시금 진출의 물꼬가 터지기 시작했고 맥도날드도 같이 소련에 진출하였다.

다만 소련 진출의 물꼬가 터졌다고 해도 곧바로 소련에 진출하게 된 것은 아니라서 합작업체를 찾느라 좀 시간이 걸렸다. 어쨌든 협상이 마무리 되고 준비과정을 거쳐서 1990년 모스크바의 푸시킨 광장에 첫 매장을 열었다. 미국과 자본주의의 상징 중 하나인 맥도날드가 소련 한복판에 들어서는 것이니 냉전의 종식과 소련의 변화를 극적으로 상징하는 장면으로 관심을 모았다. 개장 첫날 3만명 넘는 인파가 몰려들어 광장에 엄청난 줄이 생기는 진풍경을 보여 국제적으로도 화제가 된 바 있고[88][89] 이후에도 맥도날드 매장이 몇 개 오픈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런 풍경은 90년대 중반까지 이어졌다.

참고로 1990년에 처음 문 열였을 때는 빅맥이 3루블 75코펙, 나머지 햄버거 메뉴도 3루블 정도 했는데 당시 소련의 평균 월급이 250루블 정도인데다가 당시 소련의 일반 카페에서는 1인분에 1루블이면 한끼를 때울수있었기 때문에 상당히 가격이 비싼 식당이었다. 4인 가족이 맥도날드에서 한끼를 때우면 하루 일당이 날아갔을 정도였다. 이원복의 만화 현대문명진단에서도 이때 서양 언론의 보도를 인용해서 일당으로 햄버거를 4개 먹을 수밖에 없다는 언급이 나온다. 그런데 1991년부터 1999년에 이르는 기간에는 물가 폭등으로 임금 수준이 폭락하면서 하루 일당으로 햄버거 하나 사 먹는 것도 벅찬 시대가 열리기도 했다. 그러나 러시아의 경제가 정상화된 2000년대 중반부터 철수 직전까지는 대중적인 음식점이라는 인식으로 뒤바뀌었다.

사실 당시 소련인들 입장에서 본다면 햄버거와 콜라, 치킨너겟, 소프트 아이스크림이라는 것이 딱히 낯선 음식은 아니었기는 했지만[90] 그동안 소련의 식당에서 점원들도 무뚝뚝한 표정으로 손님을 맞이하는 것이 일반적이었고 임직원들의 서비스 정신도 영 엉망이었던 데 반해 맥도날드에서는 점원들이 친절하게 맞이해 주는 것이 큰 화제였다. 이것이 초반 반짝 인기에 그치지 않았는데 맥도날드의 메뉴가 소련 기준으로 상당히 비싼 값을 책정했음에도 주말이나 공휴일만 되었다 하면 자리를 잡기 어려웠다고 하며 1991년부터 러시아의 경제가 막장으로 전락해 맥도날드 햄버거 가격이 서민들이 감당하기 어려웠음에도 이처럼 맥도날드가 줄을 길게 서야 할 정도의 인기를 누리게 된 것은 맥도날드 매장이 얼마 되지 않아서 그만큼 희소성이 강하다는 점도 있지만 영화에 나오는 미국인들처럼 식사를 하려는 분위기를 느끼고 싶어하는 고객들이 꽤 많아서 그랬다고 했다. 그래서 전세계 맥도날드 지점 중 매출액 1위 자리를 꾸준히 차지했으며 맥도날드 매장이 어느 정도 늘어나면서 줄 서는 일은 줄어들었지만 모스크바 푸시킨 지점은 세계에서 가장 매출이 많은 맥도날드 지점이었다.

물론 경제 사정이 나아지고 맥도날드뿐만 아니라 다른 외국계 프랜차이즈가 다수 들어온 데다 맥도날드의 점포 수도 급속히 늘어나면서 맥도날드도 익숙한 브랜드가 되었다. 모스크바에는 수많은 맥도날드 지점이 들어섰고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도 맥도날드를 흔하게 볼 수 있었지만 시베리아나 극동 지역은 맥도날드가 드물었다. 물론 대도시인 노보시비르스크에는 5개 정도 있었으며 러시아에서 맥도날드를 보유한 가장 동쪽에 있는 도시는 2020년 12월 20일까지 크라스노야르스크였으나 2020년 12월 21일에 블라디보스토크에서 개점하고 동년 12월 23일 하바롭스크에서 개점해서 러시아 성탄절인 2021년 1월 7일 기준으로 하바롭스크로 바뀌었다. 그 중간에 있는 이르쿠츠크, 울란우데에는 맥도날드가 없다.

예카테린부르크를 기점으로 서쪽, 즉 우랄 산맥 이서지방에선 맥도날드가 흔했던 듯하다. 웬만한 규모의 도시에는 하나씩 있었다고 보면 되고 덕분에 맥도날드의 위상도 미국의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나름 가격대 있는 중급 레스토랑에서 몸에 그리 좋지는 않은 음식을 파는 패스트푸드점 정도로 떨어지게 되었다.

동부 우크라이나 위기 당시 위생 점검을 이유로 맥도날드가 3개월 동안 폐쇄되기도 했는데 서방의 경제제재에 대한 러시아의 보복 조치로 보는 견해가 많다. 일부 맥도날드 지점들이 3개월 동안 폐쇄된 적이 있었으나 11월 19일에 모스크바 1호점이 재개장한 것을 시작으로 영업을 재개했다. 동부 우크라이나 위기 당시 우크라이나에서 러시아로 넘어간 크림반도의 맥도날드 지점 3개는 서방의 경제제재로 폐쇄 조치되었다.
파일:external/photo.qip.ru/178053249.jpg
파일:external/img.murmanout.ru/72914.jpg
세계 최북단 맥도날드였던 무르만스크점이다.
무르만스크에 세계 최북단 맥도날드가 위치해 있었다.

여타 국가와 메뉴가 비교적 비슷하지만 그래도 가장 큰 특징이라면 맥카페에서 본격적으로 차를 제공했다는 점을 꼽을 만했다. 물론 타 국가에 있는 맥카페도 차를 제공하긴 하지만 대개 구색 맞추기에 지나지 않을 뿐더러 이마저도 없는 경우가 많지만 러시아만큼은 차 라인업이 충실한 편이었다. 아무래도 러시아인들이 차를 상당히 많이 마시는 편이라 이런 것 같으며 맥모닝(МакЗавтрак) 메뉴로 블린과 까샤[91]를 판매했다.

다른 유럽 국가들처럼 가난한 배낭여행객에게 작은 휴식 공간이 되어 주었는데 화장실과 와이파이 이용이 가능한 곳이 많았다. 다만 러시아에서 맥도날드는 대부분 쇼핑몰 안에 입점했다 보니 화장실은 아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했다. 러시아 맥도날드 자체도 싼 편이었다.

진출 30년 만에 극동으로 진출할 계획으로 알려졌으며 블라디보스토크에서 개점할 계획이었다.#

2020년 12월 21일에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맥도날드 2개 매장이 개점하였다.#(러시아어) 그 다음날인 12월 22일에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다른 매장 1개가 개점하였다.#(러시아어) 또 그 다음날인 12월 23일에는 하바롭스크에서도 매장 2개가 개점하였다.#(러시아어) 2021년 1월 6일 기준으로 극동 연방관구에서는 블라디보스토크 지점 3개와 하바롭스크 지점 2개가 영업했다.

2022년 3월 8일부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대러제재의 일환으로 러시아 전역의 맥도날드가 철수했다. 러시아 지역의 맥도날드가 전세계의 9%의 수익을 차지하고 있었는데 이를 포기한 것이다. #

9.10.1. 철수 후 상황

파일:쟈쟈 바냐 로고.svg
바냐루카랑 무관하다.
철수 후 현지 운영 업체에서 맥도날드의 이름을 바냐 아저씨(Дядя Ваня, 쟈쟈 바냐)로 바꿔서 지금 팔고 있는 메뉴를 그대로 판다고 한다. 어차피 레시피는 다 알고 있고, 대부분의 재료도 현지에서 조달하고 있으며 그간 영업한 것을 하루 아침에 포기할 수 없으니 이름만 바꿔서 영업하는 것이다. 원조 프랜차이즈가 불가피한 사정으로 철수하면 현지 기업들이 이름만 바꿔서 영업하는 것[92]은 세계 어딜가든 흔한 일이다.

파일:맥도날드철수후러시아상황.jpg
또한 맥도날드라는 거대한 프랜차이즈 식당과 경쟁하는 다른 러시아의 식당들은 손님이 늘고 매출이 늘어나서 오히려 좋아하고 있다.

일단 직후의 상황을 보자면,
  • 맥도날드가 철수한다고 햄버거를 못 먹는 것도 아닐 뿐더러, 경쟁사인 버거킹은 여전히 영업하고 있다.
  • 맥도날드 햄버거 레시피는 러시아 지사도 다 알고 있다.[93] 만들던 것을 그대로 만들어서 팔면 된다.
  • 맥도날드 러시아 지사가 철수해도 러시아 지사 운영 업체는 이름만 바꾸고 계속 영업하며, 거기서 일하던 종업원 대부분은 그대로 고용이 승계된다.[94]
  • 재료는 애초부터 현지에서 조달하고 있었다. 러시아는 2014년 이후 여러 경제 제재로 인해서 외국산 상품들의 수입이 어려워 졌기에 식량자급률이 100%를 넘기 때문이다. 다만 흔히들 착각을 하는데, 식량자급률이 90%를 넘어가는 북한의 예시처럼 식량 자급률이 높다는 것이 식량이 풍족하다는 의미는 아니다. 또한, 식량 자급률이 높더라도 특정 재료는 물량이 부족한 경우도 있다.[95]

물론 서방 언론에서는 맥도날드 철수로 인해 러시아인들이 느끼는 아쉬움을 조롱조로 표현(이를테면 맥도날드 짝퉁들이 맥도날드보다 맛이 없을 것이라는 시민들의 인터뷰 하나만 잘라서 공개 게시하는 등등)하는 경우가 적지는 않은데, 맥도날드는 을 내지 않고 가벼운 마음으로 저렴하게 먹는 패스트푸드점 중 관리가 잘 되는 곳 중 하나일 뿐이다. 이미 러시아 내에는 라케타 등등 자체 고급 햄버거 브랜드가 성업 중이다. 반도체 등과 다르게 요식업은 특성상 진입 장벽이 낮은 분야이기 때문에 맥도날드를 대체할 햄버거 매장이나 브랜드들이 들어서는 것은 일도 아니다.

즉 러시아인들 입장에서는 아쉽다는 이상의 감정을 가지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 때문에 맥도날드가 자충수를 쓴 것이 아니냐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 맥도날드가 러시아에서 철수하면서 맥도날드의 전체 매출의 9%인 20억 달러, 한화 2조 5,000억원(2021년 기준)[96]이 날라갔다.

파일:브쿠스노 이 토치카 로고.svg
6월 12일, 러시아 사업가인 알렉산드르 고보르에 의해 인수되었고, 이름은 '브쿠스노 이 토치카(Вкусно и точка)'로 바뀌었다. 이는 영어로 하면 'Tasty and Period'로 '맛있고, 마침표', '맛있다. 끝.'으로 번역할 수 있다.

BBC에 의하면 맥도날드가 러시아 맥도날드를 싼값에 매각하는 계약을 체결했으나 인수자에게 15년 콜옵션을 조건으로 걸었기에 미국 정부의 제재만 끝나면 사실상 러시아 맥도날드는 부활할 예정이라고 한다. 맥도날드의 철수에 전후하여 핀란드의 햄버거 브랜드 헤스버거 역시 러시아와 벨라루스에서 철수하였다.
HeyNews에 매장 영상이 올라왔다.

9.11.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전쟁 당시 러시아에 협조했음에도 불구하고 한동안 철수하지 않았으나 벨라루스 현지에서 맥도날드를 운영하는 회사가 브랜드를 2022년 11월 22일부로 러시아와 같은 '브쿠스노 이 토치카'로 변경하면서 사실상 철수한 상태다.

9.12. 카자흐스탄

2016년 3월 8일 진출했으나, 러시아의 제재로 맥도날드가 러시아의 식료품을 쓰지 않아서 카자흐스탄에서도 식료품 공급이 부족해져서 2023년 1월 5일 철수했다.

9.13. 이란

많은 이들이 이란이 반미 국가라 맥도날드가 당초 진출하지 못했다고 하지만 사실은 팔레비 왕조 시절에 이미 진출한 적이 있다. 당시 팔레비 왕조의 친미, 친서방 노선에 따라 맥도날드도 한때 테헤란에 지점을 둔 적이 있었다. 1970년대만 했어도 테헤란에서 맥도날드 간판도 있고 햄버거를 사 먹는 이란인들의 모습도 보여질 정도이다. 그러나 1979년 아야톨라 루홀라 호메이니와 반왕정파 세력에 의해 이슬람 혁명이 일어나고 반미, 반서방 노선으로 전향되면서 그 해 이란에서 전면 철수했다.

10. 진출하지 못한 나라

맥도날드가 한 때나마 진출했다가 철수한 나라를 제외하고, 맥도날드가 전혀 진출하지 못한 나라들은 다음과 같다:
  • 북한
  • 시리아
  • 볼리비아
  • 리비아 : 카다피 독재 정권 및 반미 성향 때문에 진출한 적이 없다만 축출한 뒤에도 없다.
  • 아프가니스탄 : 사회주의와 탈레반 1기 시절부터 반미 노선이 짙어서 진출을 하지 못했고 2001년 미국의 공격으로 과도 정부가 들어선 이후에도 진출하지 않았으나 2021년 탈레반 2기가 수립하게 되면서 진출이 어렵게 되었다.
  • 버뮤다(Buermuda) : 영국 속령 지역이지만 맥도날드가 한 번도 진출한 적이 없다.

볼리비아의 경우 대통령마저 건강이 좋지도 않은데 돈의 상술 때문에 우리나라에 들어오려는 것 자체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는 언급으로 맥도날드 진출에 반감을 나타내었다.

북한나라 전체가 미제승냥이라고 하는데 미국 대표 패스트푸드가 진출할리가 없다.[97] 당연히 맥도날드가 없다.

11. 기타

위에 튀르키예 말고도 더 많은 나라에서 미국이나 몇몇 극히 일부 나라의 인식과 달리 맥도날드는 비싸다. 아랍어권에서도 석유가 나는 자원부국이 아닌 나라들이나 중남미, 아시아, 아프리카까지 맥도날드나 KFC같은 곳은 서민이 아닌 현지 부유층이 주로 먹는 이미지이다. 그래서 이런 나라에서는 모처럼 외식을 마음먹고 하려면 맥도날드에서 온가족이 가서 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그런 가정이라면 적어도 중산층 수준으로 넉넉한 편이다.
이런 경우가 있는데 유럽이나 미국에서 조리사가 되고 싶어하던 나이지리아인 밀입국자가 유럽으로 가려고 준비하며 불법체류중인 모로코에서 만난 스페인 기자에게 자신은 맥도날드 주방장이 되고 싶다는 말을 했다. 스페인 기자가 맥도날드에는 주방장이 없다는 말을 하자 도저히 믿을 수 없다고 경악했다고 한다. 맥도날드에 가본 적이 있냐고 질문하자 그 나이지리아인은 라고스에 2곳인가 있는데 엄청나게 비싸서 들어간 적도 없었다는 답변을 했다. Teufelskoche라는 책자[98]에서 나온 사례인데 여기선 분명히 맥도날드라고 나왔지만 사실 나이지리아엔 맥도날드가 없기 때문에 아마도 다른 레스토랑이 맥도날드로 와전된 것 같다. 아무튼 그만큼 많은 나라에서는 비싼 외국 레스토랑으로 인식되고 있다는 뜻.

미국의 상징인 덕에 반미 시위가 벌어지면 거의 항상 부숴지는 가게이다. 코소보 전쟁 당시 신 유고 연방 맥도날드 가게들이 불바다가 되고 부숴지는 일이 벌어지면서 맥도날드 베오그라드 지점에선 "우리도 폭격맞습니다. 맥도날드라고 나토나 미군이 공습 안하는 게 아닙니다."라고 하소연하는 걸개를 달기도 했다. 또한 중국 대사관 오폭 때도 중국인들이 중국 내 맥도날드 몇몇 지점을 박살내버렸다.

미국의 신자유주의 성향의 경제학자이자 언론인인 토머스 프리드먼은 1999년에 저서 '렉서스와 올리브나무'에서 "맥도날드가 진출해 있는 나라 사이에는 전쟁이 발생하지 않는다."라는 자본주의세계화에 의한 평화 이론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때 마침, 코소보 전쟁이 발발하여 맥도날드가 진출한 세르비아가 나토군에게 공습을 당했기 때문에 많은 비판을 받았다. 이후로도 맥도날드가 진출해 있는 러시아가 역시 맥도날드가 있는 조지아와 우크라이나를 연이어 침공하는 등 반례가 종종 나타났다.

알바니아에는 맥도날드의 짝퉁인 콜로나트(Kolonat)라는 브랜드가 있다. 로고가 공산주의의 상징인 낫과 망치를 닮았다. 간판 컬러가 맥도날드를 베낀 수준이다.

펄프 픽션의 도입부에 현지화된 프랑스의 맥도날드와 미국을 비교하는 대화가 나온다.[99] 참고로 이 장면은 심슨 가족 시즌7의 21번째 에피소드에서 크러스티 버거와 맥도널드를 비교하는 것으로 패러디되었다.

한국에서는 메뉴판에 한국어영어를 병기하지만, 다른 나라들에서는 해당 국가의 언어로만 메뉴가 적혀있는 경우도 있다. 영어조차 없으니 그야말로 그림만으로 주문할 수밖에... 그래도 숫자가 병기된 경우가 많으니 그걸로 주문할 순 있다. 현지인들은 영어조차 못 알아듣는 케이스가 벌이지기도 하니, 여행을 가려면 간단한 현지 언어 정도는 배우는 것이 좋을지도 모른다. 그래야 그냥 고민 없이 'Big Mac Please.'라고 할 수 있다. 요즘은 세계적으로 키오스크를 많이 사용하니 키오스크를 이용해보자.

빅맥의 크기는 국가마다 다르다. 가령 미국 빅맥은 한국의 것보다 크고, 러시아의 빅맥은 한국의 2/3 크기 정도다.

로컬라이징의 대표 사례로 알려져 있어 세계 지리 등 교과서에 등장하기도 한다. 빅맥 지수와 함께 맥도날드가 공부에 도움이 되는 예시 중 하나.

12. 관련 문서



[1] 이란은 과거 맥도날드가 진출했으나 철수한 국가인데 이 지도에는 칠해지지 않은 오류가 있다.[2] 2010년 9월에 런치 세트 가격 인상 이후로 특 불고기 버거가 더블 불고기 버거라는 이름으로 런치 세트에 편입되면서 빅 불고기 버거가 런치 세트에서 퇴출되었다.[3] 캐나다는 미국의 기업들이 본격적으로 세계에 진출하기 전에 시험적으로 진출하는 국가이다.[4] 캐나다와 코스타리카 진출 사이에는 푸에르토리코(1967.12.6), 미국령 버진아일랜드(1970.9.5)에도 진출했다. 하지만 이 둘은 미국령이다. 그 외에도 에는 1971년 6월 10일 맥도날드가 진출했다.[5] 가맹점주들은 본사가 프로모션 비용을 가맹점주에게 떠넘긴다고 반발하는 중이다.[6] 프랑스에선 거의 막상막하로 양분화 룩셈부르크에선 단연 맥도날드가 우위에 있고 벨기에는 퀵이 앞선다.[7] 우리나라로 치면 마치 맥도날드 마스코트를 둘리로 정한 격이다.[8] 2022년 3월 기준[9] 2012년 7월, 찾기도 힘든 본섬 안에 있던 것이 이사갔다. 카피라이트도 베네치아 유일한 맥도날드![10] 특히 유럽의 경우는 화장실도 사유 재산이라는 인식이 강하다.[11] 암스테르담 Rokin인근, 로테르담 시청 인근, Breda역 인근 등.[12] 사실 네덜란드에만 해당하는 얘기는 아니다. 다수의 유럽 국가가 그렇다.[13] 일부 여행안내서에는 이곳을 저렴한 맛집으로 선정하기도 했다.[14] 빅맥 세트가 2021년 기준 34리라이다. 한국돈으로 하면 4,760원. 튀르키예에서는 이 가격이면 빵 무한리필되는 일반식당에서 요리와 음료 하나 시켜먹고도 남을 수 있는 돈이다. 물론 시골로 내려가면 저 돈으로 둘이서 포식할 수도 있다. 그러나 2022년 이후 튀르키예의 물가가 폭등함으로써 현재로선 예측할 수 없는 상황.[15] 그런데 튀르키예는 이슬람권 국가이면서도 정치적, 사회적으로 세속화된 국가이다. 그래도 돼지만큼은 금기시한다. 애초 이 사람들은 별 생각없이 돼지는 사람이 못 먹는 동물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어서 키우지도 않는다.[16] 둘 다 케밥이나 기로스가 베이스라 비슷하다. 애초 현재의 튀르키예 요리그리스 요리인도 요리/페르시아 요리가 반반 섞였다.[17] Max Burger, 튀르키예 전통빵인 꽃모양의 빵(Çiçek ekmeği)을 본뜬 버거번에 매운소스와 마늘, 양파를 가미한 빅맥 비슷한 버거를 말한다[18] 하지만 동부지방의 튀르키예인들을 빼고 대부분 튀르키예인들은 아침식사에 육류를 먹지 않는다. 그래서 일반 맥모닝메뉴보다 잘 나간다는 듯.[19] 튀르키예어로 kanka는 '피를 나눈 형제'라는 뜻인 kan kardeş의 축약형이다. 하지만 진짜 친형제뿐만 아니라 친한 사이에서는 (남자들끼리) 누구나 쓸 수 있는 말이다.[20] 대신 버거킹은 있다.[21] 이와 대조적으로 대한민국에는 배스킨라빈스, 던킨도너츠, 스타벅스, 커피빈, 도미노피자, 피자헛 등 맥도날드 보다 매장 수가 많은 미국계 외식업체가 여러 곳 있다.[22] 2번째는 1975년 진출한 홍콩이다.[23] 여담으로 버거킹이 최초로 진출한 아시아 국가는 1984년 진출한 대한민국이다.[24] 일본 진출 1개월 후 네덜란드가 유럽 최초로 맥도날드가 진출했다.[25] 2007년 미츠코시 백화점의 리뉴얼 공사로 인해 폐점했다.[26] 여담으로 2021년 일본 맥도날드는 맥도날드 개점 50주년을 맞아 일본 맥도날드의 역사를 되짚어보는 공식 사이트를 만들기도 했다. #[27] 1호점 개점으로부터 단 4일 후에 개점했다고 한다.[28] 1985~1995[29] 1990~1995[30] 미국식 발음인 '먹다널즈'를 일본어로 최대한 비슷하게 표기한 것으로 일본어의 언어 한계 상 맥도널즈를 100% 완전히 표기하지 못해 저렇게 되었다.[31] 일본어 발음은 물론, 간판의 글꼴 균형까지 고려했다고 한다.[32] 달걀 부침과 달맞이 소스를 끼워넣었는데 달걀을 좋아하는 일본인 입맛에 맞아 판매량이 좋아 매년 재판한다. 맥도날드 뿐만 아니라 일본 내 각 패스트푸드점이나 편의점도 비슷한 메뉴를 팔곤하는데, 가짜 노른자를 썼다는 의혹이 있는 다른 패스트푸드점과는 달리 맥도날드는 진짜 달걀을 이용했다는 것이 뉴스로 보도된적도 있다. 달걀부침이 아닌 노른자만 얹어주는 메뉴는 가짜 노른자일 확률이 크다는 것.[33] 데리야키 달걀 버거라는, 소스 외에는 달맞이 버거와 아무 차이도 없는 것도 파는데 시즌이 겹치는 것을 피하려고 이쪽은 봄에 내놓는다.[34] 특히 몇몇 지역들의 대표 버거는 점심 무렵이면 재료가 바닥나서 품절될 만큼 인기가 있었는데, 이건 인기 탓도 있지만 예상 판매량을 실제보다 현저히 낮게 본사의 잘못된 예상도 한몫 했다.[35] 하와이안 버거, 아이다호 버거, 마이애미 버거, 맨하탄 버거 등으로 미국 지명을 붙였다.[36] 아즈망가 대왕 코믹스판에서도 언급. 투하트 중 호시나 토모코(관서 코베 출신)와 후지타 히로유키가 둘이 서로 맞다고 투닥거린다.[37] 어느 정도냐면, 같은 신문의 같은 기사라도 도쿄에서는 マック(맛쿠)로, 오사카에서는 マクド(마쿠도)라고 표기할정도.[38] 비슷하게 유니버설 스튜디오 재팬를 관서지역에서는 유니바(ユニバ)라고 부르지만 관동지역에서는 USJ라고 부른다.[39] 2019년에 개봉한 신카이 마코토 감독의 날씨의 아이에서도 주인공 호다카가 상경 후 돈이 다 떨어지자 맥도날드에서 쪽잠을 청하는 장면이 나온다.[40] 사실 이 문제는 홍콩이나 일본만 아니라 한국도 비슷한 편이다. 주로 돈은 없고 잘 곳이 없는 가출 청소년들이 24시간 영업하는 맥도날드에 모인다고 한다.[41] 맥 머더 재판은 별로 안 나오는 것과 대조적이다.[42] 올림픽 또한 스폰서라 상당한 광고를 했다.[43] 100엔 메뉴는 오직 기본 햄버거 하나뿐이며, 그것도 구석에 아주 조그맣게 적혀있어서 없어진줄 아는 사람들도 있었다. 심지어 오테고로 세트는 말과는 달리 120엔짜리 치즈버거에 달걀부침 1장 더 들어간 수준임에도 80엔을 더 받는다. 그외에도, 더블 치즈버거 단품을 치즈버거 단품 2개보다 비싸게 파는 등 비상식적인 가격 책정이 이어지고 있다.[44] 상한 닭고기에 바닥에 떨어진 걸 주워 기계에 던져넣는 충격적인 고발 영상이 전국에 방영되어, 그 해 맥너겟 메뉴는 멸망했다. 너겟 납품처를 태국쪽 공장으로 바꿔서 판매를 재개했지만 크게 부진했었다. 어떻게든 이미지를 회복하려고 맥너겟 6피스 무료 티켓에, 맥너겟6피스를 구입하면 맥너겟6피스 쿠폰을 끼워주는 공격적인 판촉에 틈만나면 100엔 세일을 벌였으나 한동안 비위생적이라는 이미지를 가져가야만 했었다.[45] 그러나 이때부터 과거 일본 맥도날드가 선보였던 다양하고 컨셉있는 기간한정 메뉴는 급격히 줄었고, 기간한정 메뉴도 현재 라인에서 약간의 변화를 주는 수준에서 그치는 정도로 간소화 되었으며 그나마도 일반적으로 잘 팔리는 메뉴만 한시적으로 부활시키는 방식이 메인이 되었다. 거기에 메뉴 개선이라는 명목으로 단가가 비싸고 인기가 없어 매번 새로 만들어야 해서 조리과정에서 품이 많이 들어 내부에서는 불만이 많았던 쿼터파운더 치즈더블 쿼터파운더 치즈의 판매를 완전히 중단해버렸다. 대신 저녁시간대에 추가금액을 내고 패티를 두배로 늘려주는 요루맥을 추가했지만, 요루맥이어도 원본 쿼터파운더치즈버거와는 아무래도 차이가 있기 때문에 고기를 좋아하는 고객들은 1파운드 버거도 간간히 판매하는 버거킹으로 옮기는 경우도 있다.[46] 참고로 한정판 동화책은 한국 개봉 2주차 특전으로 우리말 번역 버젼으로 나온다.[47] 내용만 보면 버거킹이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 있지만, 맨 뒷글자만 따서 읽으면 가게의 크기보다 중요한 것이 된다.[48] 같은 이벤트에 내놓은 버거로 캐나다는 '마이티 비프 오리지널 버거', 영국은 '스모키 바베큐 버거'를 출시했다.[49] 이쪽은 "칼슘"과 "비타민"의 앞글자를 따와 가타카나로는 カルビー를, 로마 알파벳으로는 Calbee라는 이름을 붙였다.[작가] 浦浦 浦ちゃん(@urachan1629)[51] 'いまだけダブーズバーガー食べて(한정판 더블치즈버거 먹어 봐)'란 문장을 이름화한 것. 캐릭터의 폭발적인 인기와는 별개로 문장을 거의 그대로 가져다 이름 붙인 것이나 다름없는지라 네이밍 센스 쪽은 미묘하다는 평. #[52] 캐릭터 디자인은 하마후구(はまふぐ)#가 담당했다.[53] KFC의 경우 3년 빠른 1987년에 진출했으며, 베이징시 첸먼(前门)에 1호점을 개점했다.[54] 맥도날드 뿐만 아니라 외래 브랜드들은 거의 다 이런 식으로 이름이 붙여진다. 대개 발음이 비슷하면서 뜻이 괜찮은 단어를 선정해서 짓는다.[55] 중국의 외국어 음차표기는 대만/홍콩쪽 음차를 그대로 쓰는 경우가 꽤 많다. 중국이 외래 문물을 받아들이던 창구가 광둥성 연안이고 대륙은 중화인민공화국이 건국된 이래로 1970년대까지 해외 교류가 별로 없었고 개혁개방이 되었다고 해서 소득수준이 하루 아침에 선진국 급이 된것이 아니라서 중국에 전해지는 서구 자본주의 문물은 영국 식민지였던 홍콩이나 중화민국이 실효 지배하는 대만부터 진출하게 마련이었다.[56] 북경 오리구이를 흉내낸 베이징 덕 등이 있다.[57] 원조는 호주, 뉴질랜드 맥도날드고 아시아엔 홍콩/마카오 맥도날드에서만 출시되었다.[58] 대부분 패티 굽는 속도가 주문량을 못 따라가는 경우다. 1/3파운더니만큼 두꺼워서 1/10파운더 패티보다 시간이 더 걸리기 때문이다. 초기에는 이 현상이 간간히 있었으나 거의 없어졌다.[59] 버거 패티는 당연히 갓 구워진 것이므로 많이 뜨겁다.[60] 2010년대 후반 이후 핸드폰 결제가 일상화 된 중국에서 식당이나 상점에서 현금을 꺼내는 것은 "나 외국인이오"라고 홍보하는 거나 다름없게 되었다. 단기 여행 비자로 중국에 입국하면 현지 은행에서 위챗페이나 알리페이 계정을 새로 만들 수 없다.[61] 특히 단기체류로 온 외국인 관광객에게는 쓸모없는 어플이나 마찬가지다.[62] 장만옥은 광저우 출신으로 홍콩에 온지 꽤 됐고, 덕분에 영어도 유창하며 이미 그 나름대로 자리를 잡은 상황이었다. 물론 그 실체는 그냥 사람 애먼 곳에 보내는 브로커였지만.[63] 영국인 이민자가 운영하는 작은 학원으로, 그 정체는 순 욕만 가르치는 엉터리 교습소. 선생이라는 인간부터가 태국인 기생을 애인으로 끼고 다니는 양아치다. 여기서 엉터리 영어를 배운 본토 중국인들은 결국 "영어 따윈 필요없다"며 체념한다. 그래도 이 양아치 영국인 선생도, 태국인 애인이 에이즈로 고통받자 업고 뛰며 병원에 데려가긴 했다.[64] 특히 유럽, 아메리카, 오세아니아, 인도/중동, 동남아시아 등을 다녀온 뒤 스탑오버하는 한국과 일본, 대만 여행객들.[65] 홍콩은 안 그래도 차량 댓수가 많고 대부분의 길이 좁아서 일방통행이라 교통 정체가 심하고 중국발 스모그까지 최근 심해져 버리는 바람에 자가차량 보유를 까다롭게 해 놓았다. 일본처럼 운전면허는 따기도 힘들고 주차비도 아주 비싸다. 그래서 다들 차라리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두세 정거장 정도는 그냥 걷는다. 자가운전할 바엔 오히려 택시가 나을 정도. 미국식 생활패턴과 정 반대.[66] 일부 광동어만 지원되는 키오스크도 존재한다.[67] 두가지 모두 홍콩마카오판만 사용가능[68] 나폴리탄과 비슷하며, 바나나로 만든 케찹 소스를 이용한 것이 특징이다.[69] 가장 늦게 진출한 국가는 2016년 진출한 카자흐스탄. 다만 후술하듯 현재는 철수한 상태다.[70] 90년대 초 한국과 같다.[71] 실제로 인도에서 소고기를 도축하던 이슬람인 및 하위 카스트 노동자를 이런 극우파들이 살해한 일이 종종 벌어지거나 소고기를 파는 가게에 테러를 가하는 경우 또한 벌어진다.[72] 인도선 어지간한 건물이나 가게에서는 테러리스트나 거지, 도둑들 때문에 입구나 건물 전체를 둘러싸고 경비원이 산탄총 들고 경비를 서는 경우가 흔하다. 맥도날드만 이러는 건 아니다. 번화가에서는 가게마다 경비원이 있는 경우가 흔하다.[73] 이는 치안이 안좋은 남미, 동남아도 그렇다.[74] 근데 인도서 맥도날드를 열 정도의 사람이면 뒤에 봐주는 사람이든 자본이든 만만치 않다. 보통은 돈이 '아주 많은' 부자가 사업을 이것저것 하면서 체인점에도 손 대는 경우가 많다. 맥도날드도 그냥 대규모로 항의가 들어오지 않을 정도로 적당히 굽히는 거지 굳이 과격파를 매우 두려워 해서 그러는 건 아니다. 막말로 맥도날드를 소유할 정도의 사람이면 보통은 과격파와 뒤에 봐주는 사람을 조져버릴 정도의 힘은 있다.[75] 그래도 이 2개국들은 장기전 수준으로 답이 없이 싸워대는 예멘과는 달리 최소 IS들을 때려잡는데 성공했으며, 시리아는 아예 튀르키예 지원 반군과 쿠르드족이 지배하고 있는 북부와 동부 지역을 제외하면 거의 전국에 산재해 있던 반정부군 세력들을 토벌하였다.[76] 이외에도 프랑스 자치령인 레위니옹에도 들어와 있다.[77] 심지어 가장 저렴한 메뉴조차 이집트인의 평균 일급보다 더 비싸다.[78] 아르헨티나의 경우 그럭저럭 잘 진출하여 정착하였다는 평가도 있다. 토종 기업인 '팜퍼 닉(PUMPER NIC)'을 90년대초부터 물량 공세로 몰아내고(1999년 폐업) 햄버거 프랜차이즈의 최강자로 군림하였다.[79] 쿠바식 햄버거는 감자튀김을 버거 안에 넣어먹는데, 만약 맥도날드가 쿠바로 진출할 경우 비슷한 방식으로 로컬라이징될 확률이 높다. 소련으로부터 지원을 받던 시절에는 패티로 소련산 통조림 고기를 넣었다 한다.[80] KFC - 도미노피자 - 헝그리잭스 등으로 순위가 이어진다.[81] 그리고 이 계열의 버거는 중국 및 홍콩/마카오 맥도날드에 수출되어 대박쳤다. 원래 홍콩에 2016년 수입된 게 시초였으며 이후 중국에도 들어왔다.[82] 같은 이유로 버거킹도 비슷한 시기에 아이슬란드에서 전면 철수하였다.[83] 반면 버거킹은 이후 2022년 대신 진출하였다.[84] 인근에 이탈리아 레스토랑이 있어서 장사가 잘 안 됐다고 한다.[85] 이 법이 시행되기 전에는 KFC가 개점했었다. 물론 폐업.[86] 1990년 1월 31일, 소련 최초의 맥도날드가 신장개업한 날. 38,000명에 달하는 인파가 왔다[87] 코카콜라와 함께 미국 중심의 자본주의 체제를 상징하는 맥도날드의 소련 진출이 구 냉전의 종식을 상징적으로 보여준 사건이었다면, 이와 반대로 30여 년이라는 시간이 흘러 가면서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맥도날드의 러시아 시장 철수는 역설적으로 신냉전의 본격적인 시작을 상징적으로 드러내는 사건으로 남아 버렸다.[88] 여담으로 공산권 최초로 맥도날드가 들어온 나라는 1988년에 들어온 유고슬라비아로, 한국 첫 진출 5일 전(1988년 3월 24일)에 진출했다. 다만 유고슬라비아는 제3세계 국가였으며, 제2세계 최초의 맥도날드는 한국 진출 15일 후인 1988년 4월 13일 진출한 헝가리이다. 소련 진출 약 8개월 후 중국에도 맥도날드가 들어섰다.[89] 사실 1986년 4월 24일 쿠바에도 맥도날드가 진출하긴 했지만, 관타나모 만에 주둔한 미국 병사들만 이용이 가능하고, 일반 쿠바 주민들은 접근이 불가능하다. 이후 2024년 현재까지 쿠바에 맥도날드는 이 매장이 유일무이하다.[90] 다만 햄버거를 흔한 한끼 식사나 간식거리로 먹은 것은 아니고 주로 냉동식품이나 일부 식당에서 파는 수준이었다. 스탈린 시절인 1930년대에 햄버거를 대대적으로 보급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독소전쟁으로 인해 실패했기 때문이다.[91] 러시아식 죽이다.[92] 아예 환타처럼 원조의 레시피를 기반으로 새로운 제품을 만드는 경우도 있다.[93] 설령 본사에서 레시피를 비밀에 붙였다 해도, 과거와 달리 인터넷에서 조금만 검색하면 프랜차이즈의 레시피 정도는 쉽게 공수가 가능하다.[94] 완전 철수 전까지는 맥도날드 측에서 급여를 지급한다.[95] 가령 러시아 내에서 밀의 자급률은 500%, 토마토가 30%의 자급률, 양상추가 50%의 자급률을 보이더라도, 전체 식량 자급률은 100%를 훌쩍 넘기는 것이다. 다만 러시아는 밀 같은 필수 식량은 거의 다 자급할 수 있다.[96] 참고로 한국 시장이 2020년 기준 9,800억원.[97] 이게 아니여도 국제적으로 걸려있는 제재 때문에 더더욱 불가능하다. 특히, 대북제재를 위반하는 이가 있는지 눈에 불을켜고 감시하고 있는 큰형님이 어딘지를 생각하면...[98] 한국어 번역판 제목 <날 것의 인생 매혹의 요리사>[99] 프랑스는 미터법 때문에 쿼터 파운더 치즈를 "Royale with Cheese"라고 부른다는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