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태국의 정치인 검 30대 총리 후보자}}}에 대한 내용은 [[피타 림짜른랏]]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피타 림짜른랏#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피타 림짜른랏#|]]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국제적인 체스 기관 FIDE}}}에 대한 내용은 [[세계체스연맹]]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세계체스연맹#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세계체스연맹#|]]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태국의 정치인 검 30대 총리 후보자: }}}[[피타 림짜른랏]]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피타 림짜른랏#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피타 림짜른랏#|]]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국제적인 체스 기관 FIDE: }}}[[세계체스연맹]]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세계체스연맹#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세계체스연맹#|]]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fff 아랍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border:1px solid #ccc"'''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공통·두 지역 이상 겹치는 음식 | ||||||||
| <colbgcolor=#fff> 육류·생선 | 케밥 · 코프타 | ||||||||
| 채소류 | 돌마 | ||||||||
| 빵류 | 난 · 사모사 · 쿠브즈 · 참깨빵 · 마나키시 | ||||||||
| 과자류 | 바클라바 · 잘레비 · 할바 | ||||||||
| 쌀류 | 비르야니 · 필라프 | ||||||||
| 음료·술 | 샤르바트 · 아락 | ||||||||
| 수프·스튜·죽 | 초르바 | ||||||||
| 유제품 | 라브네 | ||||||||
| | |||||||||
| 빵류 | 애시 | ||||||||
| 쌀류 | 캅사 | ||||||||
| 음료·술 | 아랍 커피 | ||||||||
| 수프·스튜·죽 | 하리스 | ||||||||
| | |||||||||
| 육류·생선 | 마스코프 · 무삭칸 · 쉬쉬케밥 · 샤와르마 | ||||||||
| 빵류 | 라바시 · 사문 · 피데 | ||||||||
| 과자류 | 누가 · 쿠나파 · 클레이차 | ||||||||
| 쌀·콩류 | 마클루바 · 만사프 · 무자다라 · 쿠지 | ||||||||
| 음료·술 | 아이란 | ||||||||
| 수프·스튜·죽 | 압구시트 | ||||||||
| 소스 | 타히니 · 훔무스 | ||||||||
| | |||||||||
| 육류·생선 | 하맘 마슈위 | ||||||||
| 빵류 | 바스부사 · 키스라 · 피데 | ||||||||
| 채소류 | 팔라펠 | ||||||||
| 쌀·콩류 | 쿠샤리 · 풀 | ||||||||
| 수프·스튜·죽 | 몰로키야 · 타갈리아 | ||||||||
| | |||||||||
| 육류·생선 | 샥슈카 | ||||||||
| 빵류 | 타구엘라 | ||||||||
| 면류 | 쿠스쿠스 | ||||||||
| 쌀·콩류 | 라블라비 | ||||||||
| 음료·술 | 아타이 | ||||||||
| 수프·스튜·죽 | 타진 · 하리라 | ||||||||
| | |||||||||
| 식재료 | 기 | ||||||||
| 육류·생선 | 팁스 | ||||||||
| 빵류 | 말라와흐 · 라허흐 | ||||||||
| 쌀류 | 바리스 이스쿠카리스 & 스쿠데카리스 | ||||||||
| ※ 문서가 있는 음식만 표기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0038b8><colbgcolor=#fff> 육류 | <colcolor=#000,#fff>샥슈카 · 쉬쉬케밥 · 슈니첼 · 케밥 |
| 음료·술 | 아타이(차) | |
| 빵류 | 말라와흐 · 맛짜 · 바스부사 · 베이글 · 참깨빵 · 쿠브즈 · 피타 · 하만타셴 · 할라(빵) | |
| 면류 | 쿠스쿠스(식재료) | |
| 쌀류 | 마클루바 · 만사프 · 무자다라 · 캅사 | |
| 과자류 | 누가(과자) · 쿠나파 · 할바 | |
| 채소류 | 돌마 | |
| 수프 | 구야시 · 타펠슈피츠 | |
| 기타 | 라트케 · 코셔 푸드 · 타히니 · 팔라펠 · 훔무스 | }}}}}}}}} |
| '''{{{#fff 조지아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border:1px solid #ccc"'''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공통·두 지역 이상 겹치는 음식 | ||||||||
| <colbgcolor=#fff> 육류 | 샤슐릭 · 샤와르마 | ||||||||
| 쌀류 | 필라프&플로브 | ||||||||
| 과자류 | 헬와 | ||||||||
| 채소류 | 돌마&사르마&예니스타 | ||||||||
| 수프 | 초르바&슈르파 | ||||||||
| 튀르키예·아제르바이잔·아르메니아 | |||||||||
| 육류·생선 | 되네르 케밥(쉬쉬케밥 · 이스켄데르 케밥) · 캐비어 | ||||||||
| 음료·술 | 라크 · 아르메니아 브랜디 · 아이란 · 차이 · 튀르크 커피 | ||||||||
| 빵·면 | 괴즐레메 & 구탑 · 까틀라마 · 라바시 · 바클라바&파흘라바 · 시미트 · 피데&마트나카시 · 피쉬 · 카다이으프 · 에크멕 | ||||||||
| 수프·스튜·죽 | 고르메 사브지 · 피티 · 하리사 | ||||||||
| 디저트·기타 | 누가(과자) · 돈두르마 · 로쿰 · 카이막 · 피슈마니예 | ||||||||
| 조지아 | |||||||||
| 지역별 종류 | 압하스 요리 | ||||||||
| 빵·만두 | 하차푸리 · 힌칼리 | ||||||||
| 기타 | 추르치헬라 | ||||||||
| 북캅카스 | |||||||||
| 과자 | 차크차크 | ||||||||
| }}}}}}}}} | |||||||||
| | |
| 언어별 명칭 | |
| 한국어 | 피타 |
| 그리스어 | πίτα |
| 튀르키예어 | pide |
| 영어 | Pita bread, Pocket bread |
1. 개요
본 항목에서는 튀르키예어 pide로 불리는 두 종류의 빵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1.1. 1. 둥글납작한 모양의 빵
피데는 튀르키예 및 중동 요리에서 일반적인 납작한 모양의 빵의 일종을 말한다.[1] 한국과 그리스에서는 보통 이것을 피타라고 부른다.한국의 경우 1항의 빵은 이미 '피타 브레드'로 널리 알려져있지만, 피타의 종류는 정말로 다양해서 케밥을 쌀 때 쓰는 얄팍한 빵(이것은 라바시라고도 부름)부터 튀르키예어로 풍선빵(Balon pidesi)이라고 부르는 공갈빵처럼 불어나는 두툼한 빵에 이르기까지 각양각색의 모습을 띤다. 아랍권에서는 아랍 빵이란 뜻인 쿱즈 아라비 (خبز عربي)라 부른다. 자세한 내용은 쿠브즈 문서 참고.
다만 1항의 피타는 한국에서는 주로 '튀르키예 빵'으로 알려졌음에도 불구하고 튀르키예'만'의 빵은 아니며, 오히려 동부 지중해 및 근동의 공통 문화에 가깝다. 당장 희랍어 피타(πίτα)부터가 튀르키예와는 상관없이 12세기에도 빵의 의미로 쓰였다. 현재도 빵의 의미로 쓰지만, 정교회 축일날 먹는 파누로피타(Φανούροπιτα)나 멜로피타(Μελόπιτα)같이 빵보단 케이크에 가까운 것들도 피타라고 부른다.
1.2. 2. 양념과 토핑을 얹어서 구운 일품요리
피타 빵과 같은 반죽 위에 다진고기나 치즈를 놓고 오븐에서 조리한 것으로, 단독으로 식사를 할 수 있는 일품 요리이다. 위에 올라가는 토핑재료에 따라 다양한 이름이 붙는다.[2][3] 이 분류는 한국에서도 피데라고 부르며, 튀르키예의 요리만을 의미한다. 그 외에는 후술하겠지만 조지아의 하차푸리, 그리스의 페이니를리처럼 다른 이름으로 불린다.속을 넣거나 토핑을 올리고 굽는 2항목의 피데는 중동에서는 먹지 않고 튀르키예와 그리스를 비롯한 발칸 반도 지방과 조지아 등 카프카스[4]에서만 만들어먹는데, 튀르키예인은 마르코 폴로가 동방으로 여행을 떠났을 때 튀르키예를 지나면서 자신들의 음식을 배웠고 이것이 이탈리아로 들어와서 피자가 되었다고 주장하며 자부심을 갖는다. 물론 피자는 1770년에야 정립된 음식이니 알아서 해석하자.[5]
2. 튀르키예에서
튀르키예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피데는 크이말르 피데(Kıymalı pide)로 간 쇠고기와 토마토, 고추, 양파 등으로 양념한 토핑을 올리고 그 위에 날계란을 부은 다음 오븐에 구운 요리인데 그외에도 '함시'라고 부르는 멸치 사촌뻘인 생선이나 치즈, 버섯같은 것을 올리기도 한다. 그냥 소스없이 모짜렐라 치즈와 비슷한 카샤르 치즈(Kaşar peyniri)만 뿌린 종류도 있는데 그런 종류는 고르곤졸라 피자와 비슷한 맛이다.튀르키예에서도 특히 피데로 유명한 지방은 흑해(Karadeniz)지방으로 이 지방의 피데는 보트 모양으로 좁고 긴 모양을 하는데, 값도 굉장히 싸고 양도 많은 데다 맛도 좋은 편이라 관광객에게도 인기가 많다. 한국에서도 고급 튀르키예 레스토랑에 가면 맛볼 수 있으니 한번 찾아가보는 것도 좋다. 참고로 국내 방송에서도 나온 바 있는데 파샤(지방 총독이나 군사 장교, 중앙 관료 등 고위직에게 붙던 일종의 명예 칭호) 피데라는 이름으로 파는데 진짜 오스만 제국 시절 장군복이나 최고위대신 옷차림을 하고 나온 종업원이 피데를 들고 나와 썰어준다.
한편 튀르키예에서도 가장 음식이 맛있기로 유명한 동남부 아나톨리아(Güney doğu anadolu) 지방에서도 라흐마준(Lahmacun / لحم بعجين)이라는 피자 요리가 있는데, 마찬가지로 다진 고기와 토마토 소스를 이용해서 맛을 내지만 흑해 지방의 두툼한 피데에 비해 밀전병 같이 바삭거리는 느낌이 들 정도로 얇다. 게다가 이 지방 요리는 튀르키예에서도 맵기로 유명한 지라, 라흐마준도 매콤한 향신료를 치는데 이 매콤짭짤한 라흐마준에 이곳 사람은 야채를 싼 다음 둘둘말아서 레몬즙을 뿌려먹는다. 외국에서도 'Turkish Pizza'라고 소개할만큼 잘 알려져있는데, 정작 이스탄불에선 1980년대까지만 해도 라흐마준을 촌뜨기나 먹는 음식으로 여겼다고(...).
아랍권에는 라흐마준과 비슷한 마나키쉬 (مناقيش)가 있는데, 토마토나 매운 소스가 없고 치즈나 자아타르 (허브 일종) 혹은 둘 모두를 올려 구운 긴 빵 형태이다. 치즈 피데 정도로 생각하면 편하다.
중부지방인 콘야의 향토요리인 에틀리에크멕(Etliekmek)도 일종의 피데이다.
3. 종류
마찬가지로 1항의 빵과 2항의 요리가 혼재되어있으니 읽을때 주의할 것.| |
| Balon pidesi의 모습 |
유럽에 가면 흔히 '튀르키예 빵' 내지는 (특히 영국에서) '그리스 빵'이라는 이름으로 팔린다. 특히 튀르키예인이 많은 독일에서는 조그만 슈퍼마켓에서도 이 빵을 볼 수 있는데, 가격도 1유로 정도 밖에 하지 않는 데다가 (한국인 관점에서 볼 때) 딱딱하고 거친 이쪽 동네 빵에 비해 훨씬 부드럽고 쫄깃쫄깃하기 때문에 자주 사 먹게 된다. 따뜻한 빵만 있으면 다른 어떤 반찬이 없어도 식사를 할 수 있을만큼 맛있다. 설사 빵이 식었다고 할 지라도 피클이나 수프와 함께 먹으면 그만.
| |
| 유무르탈르 피데(Yumurtalı pide)[6] |
| |
| 크이말르 피데(Kıymalı pide) |
가장 인기있는 종류는 크이말르 피데. 한국에서는 고급 레스토랑에서나 팔지만, 정작 튀르키예에서는 길거리 음식의 업그레이드 수준 정도로 취급한다. 피데 하나에 비싸봤자 150리라(5,250원)정도 밖에 안 되는데, 좀 먹는다고 하는 남정네가 아니고서야 혼자서 다 못 먹을 정도로 양이 많다. 게다가 튀르키예 식당 특유의 빵 혹은 홍차 리필도 제공되니 한끼 식사로도 손색이 없을 지경.
| |
| 남동부 출신 튀르키예인의 대표 향토음식인 라흐마준의을 야채와 함께 싼 모습 |
| |
| 그리스의 페이니를리(Πεϊνιρλι) |
그리스에는 페이니를리(Πεϊνιρλι)라는 이름의 피데 요리가 있다. 주로 테살리아, 마케도니아, 트라키아 지방의 향토요리로 알려져 있는데, 알다시피 이 지역은 1912년까지도 오스만 제국령으로 남아있던, 튀르키예의 영향력이 가장 오랫동안 남아있던 지역들이다. 애초에 음식 이름인 '페이니를리'부터가 튀르키예어로 '치즈가 들어있는'(peynirli) 이라는 뜻이다. 기본적으로 치즈를 베이스로 토핑하지만, 여기에 다진 고기(κιμάς), 살라미(σαλάμι), 수주키(σουτζούκι, 튀르키예식 소시지)를 추가하기도 한다. 툭하면 튀르키예와 요리 종주권을 두고 티격태격하는 그리스인조차도 이 요리의 기원에 대해서만큼은 튀르키예에서 왔다고 받아들이고 있으며 음식 이름도 터키어 단어이기 때문에 뜻을 모르는 사람이 많다.
아랍어권에서는 1항의 피데 빵과 비슷한 것을 즐겨 먹는다. 자세한 것은 쿠브즈 문서 참조.
4. 만드는 법
집에서 간단하게 만들 수 있는 피데 요리법을 소개한다.빵 재료: 밀가루, 물, 소금, 이스트, 설탕, 올리브유
토핑 재료: 카샤르 치즈(없으면 모짜렐라 치즈도 무방함), 다진 고기, 계란, 토마토, 양파, 파슬리, 소금, 후추 적당히
먼저 이스트를 설탕 조금과 실온의 물에 풀고, 활성화 될때까지 기다린 다음 밀가루, 소금을 넣고 잔가루가 남지 않도록 잘 치대어 반죽한다. 오랫동안 반죽할 수록 빵이 쫀쫀해져서 특유의 식감이 나온다. 그 다음 반죽을 1시간 정도 두어서 2배 크기로 커질때까지 발효시키고, 손에 올리브유를 한번 바른 다음 잘라서 모양을 만든다. 만약 1항의 피타를 만들거면 그냥 만들어진 반죽을 둥글납작하게 쫙 밀고 오븐에 구우면 땡이다.
토마토와 양파, 파슬리는 잘게 채썰어서 준비하고 밀대로 반죽을 얇게 민 다음 가장자리를 접어서 긴 나룻배모양으로 만든 다음, 준비한 토핑을 올린다. 이 기본 토핑에 치즈만 올려도 되고, 다진 고기만 올려도 되고 계란만 올려도 되고 셋 다 올려도 무방하다.
180도로 예열한 오븐에서 빵이 노릇노릇해질때까지 잘 굽고, 먹으면 된다.
5. 창작물에서
- 대항해시대 온라인에서는 '비타'라고 번역되어 나온다. 행동력을 15만큼 올려주는 음식이다.
- Don't Starve에서 거북순 피타(Barnacle Pita)라는 요리 아이템이 등장한다. 먹으면 체력+20, 허기+37.5, 정신력+5를 올려 준다.
6. 관련 문서
[1] 위키피디아 튀르키예어판 'pide' 항목에서 가져옴. 원문은 'Pide, Türk ve Orta Doğu mutfaklarında yaygın olan yassı bir ekmek çeşididir.'[2] 원문은 Pide ekmeği içine kıyma veya peynir konarak fırında pişirildiğinde kendi başına tüketilebilen başlı başına bir yemek olma özelliğini kazanır. Pideler hazırlanmasında kullanılan içe göre çeşitli adlarla tanınır. (피데는 빵에 다진 고기 혹은 치즈를 놓고 오븐에서 조리한 것으로 단독으로 식사를 할 수 있는 일품 요리이다. 피데를 만들때 사용되는 속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알려진다.)[3] 기본적으로 튀르키예에서는 모든 음식에 빵을 곁들이는데 피타가 나올 때는 빵 없이 피데만 먹기 때문에 이런 설명이 붙었다.[4] 조지아의 국민음식 하차푸리도 일종의 피데로 흑해 지방의 치즈, 계란이 들어간 피데 종류와 거의 똑같다.[5] 물론 피자가 피데의 영향을 받은 부분이 없지는 않지만, 피자가 처음 등장했을 시기는 이미 오스만 제국도 뼛속까지 서구화가 된 뒤라서 역으로 피자에서 아래의 2항의 피타가 나왔다고 볼 수도 있다. 무엇보다도 신대륙 작물인 토마토는 마르코 폴로 시절 구대륙에 없었고, 만약 토마토 소스 없는 것도 피자로 칠 수 있다면 그런 의미의 피자는 로마 공화정 시기에도 있었다.[6] 계란이 들어간 피타라는 뜻이다. 다만 사진속의 피데는 튀르키예식 유무르탈르 피데가 아니라 조지아의 아짜룰리 하차푸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