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NHK'''{{{#!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NHK(동음이의어)]]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NHK(동음이의어)#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NHK(동음이의어)#|]]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다른 뜻: }}}[[NHK(동음이의어)]]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NHK(동음이의어)#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NHK(동음이의어)#|]]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ececec, #fff 20%, #fff 80%, #ececec)"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V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 지상파 채널 | |||||||
| [[NHK 종합 텔레비전| | [[NHK 교육 텔레비전|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위성 채널 | |||||||
| [[NHK BS| | [[NHK BS 프리미엄 4K| | [[NHK BS8K|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라디오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 중파방송 | FM방송 | |||
| [[NHK 라디오 제1방송| | [[NHK 라디오 제2방송| | [[NHK-FM|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국제방송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 TV | 단파방송 | |||
| [[NHK 월드 JAPAN| | [[NHK 월드 프리미엄| | [[NHK 월드 라디오 일본|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기타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 인터넷 서비스 | OTT | 제작사 | ||
| | [[NHK+| | [[NHK 엔터프라이즈| | ||||||||
| [[NHK 글로벌미디어서비스| | ||||||||||
| [[NHK 에듀케이셔널|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폐국 | ||||||||
| [[조선방송협회| | [[대만방송협회| | |||||||||
| [[만주전신전화| | [[오키나와방송협회| | |||||||||
| [[JSTV| | [[TV JAPAN|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관련 문서 | |||||||
| 프로그램 목록 · 지역 프로그램 목록 · 아나운서 · 조직 |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10px -10px; margin-right:auto; margin-left:auto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c1d1f> | <rowcolor=#808080,#fff>일본방송협회 日本放送協会 Japan Broadcasting Corporation | }}} | |
| | ||||
| 도쿄도 시부야구 NHK 본사와 방송 스튜디오(요요기 스튜디오) | ||||
| <colbgcolor=#808080><colcolor=#fff> 국가 | | |||
| 설립일 | 1924년 11월 29일((사)도쿄방송국으로 출범) | |||
| 법인화일 | 1950년 6월 1일(특수법인으로서의 설립일) | |||
| 본사 | 도쿄도 시부야구 진난2초메 2-1 (東京都渋谷区神南二丁目2-1) | |||
| 성격 | 무자본 특수법인(방송법 제16조 근거) | |||
| 회장 | 이나바 노부오(稲葉 延雄) | |||
| 주요 특징 | 광고 없는 공영방송 – 수신료 기반 운영 뉴스, 교양, 다큐, 드라마, 교육 등 다양한 장르 제공 국내뿐만 아니라 일본국제방송(JIB)을 통해 해외에도 영향력 | |||
| 매출액 | 연결 : 약 6,659억 엔(2024년도 결산 기준)# 단독 : 약 6,125억 엔(2024년도 결산 기준)# | |||
| 순이익 | 연결 : 약 -404억 엔(2024년도 결산 기준)# 단독 : 약 -449억 엔(2024년도 결산 기준)# | |||
| 직원 수 | 10,268명 (2023년)# | |||
| 총자산 | 연결 : 약 1조 3,797억 엔(2024년도 결산 기준)# 단독 : 약 1조 2,666억 엔(2024년도 결산 기준)# | |||
| 관련단체 [1] | 중간지주회사 (주)NHK 미디어홀딩스[MHD] (주)NHK 미디어홀딩스의 자회사 NHK 엔터프라이즈[MHD자회사], NHK 에듀케이셔널[MHD자회사], NHK 글로벌미디어서비스[MHD자회사], NHK 프로모션[MHD자회사], NHK 아트[MHD자회사] 기타 자회사 일본국제방송(JIB)[8], NHK 테크놀로지스[9], NHK 출판[10], NHK 비즈니스크리에이트[11], NHK 문화센터[12], NHK 영업서비스[13], 일본 브로드캐스트 네트워크[14] 관련회사 방송위성시스템[15], NHK Cosmomedia America,Inc[16], NHK Cosmomedia (Europe) Ltd.[17][청산수속], BS컨디셔널액서스시스템즈[19] 관련공익법인 등 NHK재단[20], NHK 교향악단[21], NHK학원[22], NHK 후생문화사업단[23] <복리후생단체> 일본방송협회건강보험조합, 일본방송협회공제회 임의단체[24] NHK 도쿄 어린이 합창단[25] | |||
| 링크 | ||||
1. 개요2. 역사3. 역대 회장4. 방송 권역5. 방송파(채널)
5.1. 폐국된 방송망
6. 조직7. 소속 아나운서8. 수신료9. 방송 프로그램10. 재난재해 및 긴급경보방송11. NHK ONE11.1. NHK ONE의 개요11.2. NHK ONE의 서비스
12. 관련단체13. 反NHK 세력14. NHK배15. 여담16. 둘러보기11.2.1. NHK ONE NHK+11.2.2. NHK ONE 뉴스11.2.3. NHK ONE for School11.2.4. NHK 고교강좌11.2.5. NHK 넷 라디오 라지루★라지루11.2.6. NHK 어학(ゴガク)11.2.7. NHK ONE 의료·건강
11.3. NHK ONE의 기타 사항1. 개요
일본방송협회([ruby(日本放送協会, ruby=にっぽんほうそうきょうかい)]) 이하 NHK는 일본의 공영방송이다.약칭 'NHK'는 '일본방송협회'의 일본어 발음을 로마자로 표기한 \'Nippon Hōsō Kyōkai'의 두문자어이다. 도쿄도 시부야구의 방송센터(본부)[26]를 필두로 일본 전국에 54개의 지역 방송국이 있고 만 여 명의 정직원을 두고 있다.[27] 아카이브는 사이타마현 카와구치시에 있다. 아시아태평양방송연맹 회원사이다.
NHK는 일본 최대 규모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으며 사실상 일본 지역단위(도도부현) 전체를 커버하는 유일한 방송국이다. 일본 5대 민영방송 네트워크 중에서는 NHK처럼 모든 지역을 커버하는 곳이 없다. 일본 전국 47개 도도부현 중 TBS 테레비의 JNN과 후지 테레비의 FNN/FNS는 4개 현에 지역국이 없고, 테레비 아사히의 ANN은 7개 현, 닛폰 테레비의 NNN/NNS는 2개 현에 계열/가맹사가 없으며 테레비 도쿄의 TXN은 34개 현에 계열국이 아예 없어서 그냥 6대 도시권 주변만 대충 커버하는 수준이다. 따라서 일부 현에서도 지상파는 2, 3개밖에 송출되지 않는 지역이 있는지라 이런 지역은 케이블방송 재전송 장사가 잘 된다.[28] 하지만 NHK의 경우 전국 도도부현에 모든 지국이 있기 때문에 정보 취합이 그만큼 빠르고 재난방송 등에서도 강점을 보이는 것이다.
NHK G의 대표 뉴스 프로그램 NHK 뉴스 7, NHK 뉴스 워치 9은 모두 이중 언어를 지원하는데 무려 1980년대 중반부터 지원했다. '二が国語/bilingual'이란 텍스트가 표시되는 경우, 이중 언어를 지원한다는 의미이다. 이는 NHK E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이중 언어는 영어로만 지원되며, 가끔 '캐치! 세계의 톱뉴스'라든가 BS 위성채널을 통해 외국 뉴스를 재전송하는 경우 부음성으로 원어를 송출하기도 한다. 현재 한국어를 포함한 다른 외국어 서비스는 NHK 월드 JAPAN을 이용해야 한다. 다만, NHK+는 일본어 CC(자막)만 제공된다.[29]
NHK는 공영방송답게 상업광고를 일체 편성하지 않고 수신료를 꽤 비싸게 받는 특성이 있으며(그래도 BBC보다는 싸다), 프로그램 제작 및 편성 면에 있어서 보수적인 특징을 드러낸다. 다만 방송기술 활용과는 별개로 방송기술 개발 면에서는 NHK가 최첨단을 달린다. NHK의 기술력 중 대표적인 것이 HD 방송기술 개발로, 1988 서울 올림픽 당시 세계 최초로 아날로그 HD방송 시험중계를 한 전력이 있다.
NHK가 보수적이라는 것은 이를테면 정시 뉴스 시간에 표출되는 뉴스 그래픽은 1980년대 당시와 다를 바 없는 고딕스러운 폰트로 아무 CG효과 없이 나오고, 스포츠 중계를 하건 뭘 하건 오후 5시에는 어김없이 중계를 끊고 5분이라도 뉴스를 편성한다. 하지만 그 뉴스 그래픽을 자세히 보면 당대의 최첨단 기술이 다 녹아있고, 촬영기법도 타 민방이 감히 못 따라올 기술력을 뽐내는 식. #예시-1990년 태풍 19호 기상특보. 분명 오프닝 타이틀은 당시 슈퍼컴퓨터를 활용한 화려한 그래픽인데 방송 포맷은 1980년대 초반 형식이다.
즉 단지 활용도에 있어서 보수적이라는 것이지 편성은 가끔 '이게 일본 방송이라고?' 싶을 정도로 진보적인 내용이 튀어나오기도 한다. 예컨대 일본 정부가 꺼리는 731 부대, 강제위안부와 같은 전범행위에 대한 다큐도 만들었을 정도. 다만 이는 NHK 내부의 일부 뜻있는 제작진이 공영방송답게 제작해야 한다며 호기롭게 질러버리는 행위에 가깝다. 같은 NHK 내에서도 1993년작 '다큐먼트 태평양전쟁'은 역사를 돌아보며 반성하는 태도를 취하지만[30] 2010년작 "일본과 조선반도"는 1편에서 "일본이 10년만 더 한반도를 지배했어도 일본과 좀 더 동화되었을 것이다"라는, 한국인이 들으면 얼탱이 없어질 내용을 방송하기도 하는 등 같은 방송국 내에서도 제작진이 누구냐에 따라 논조가 왔다갔다한다. 확실한 것은 2010년대 일본에서 아베 신조의 재집권 이후로는 보도 쪽에서는 확실히 보수 성향으로 돌아선 채 일관되게 유지되고 있으며, 레이와 시대에 들어서도 이는 변하지 않았다.
사실 이는 한국 KBS가 좀 막장스럽게 정부의 충실한 스피커노릇을 할 뿐, 세계의 공영방송들은 대부분 보수 정권이 들어서면 비슷한 힘겨루기를 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31] BBC도 토니 블레어 정권 당시 그레그 다이크 사장이 쫓겨난 적이 있고, 프랑스도 TF1이 민영화되는 내홍을 겪고 있다. 2025년에는 미국에서 트럼프가 재집권하며 VOA가 폐국되어버렸다. 트럼프는 정부조직인 VOA를 폐국하고 OAN이란 민간 미디어에 이 기능을 외주 주기로 하였는데, OAN는 친 트럼프 성향이다못해 트럼프 대선 캠프의 주장을 가감없이 그대로 실어버리는 막장 미디어라 미국 내에서도 비판이 거세다.[32] 상술한 1993년작 NHK스페셜 다큐먼트 태평양전쟁의 캐스터 겸 CP 야마모토 하지메(山本肇)도 방송 제작 다음해에 제31회 갤럭시상·TV부문 개인상을 수상하는 영광을 얻었음에도 불구하고#, NHK 시즈오카 방송국장으로 영전 아닌 좌천을 당하며 현장 제작에서 손을 놓아야 했다.[33][34]
2. 역사
1924년에 개국한 도쿄방송국(JOAK)이 그 모체로서 1926년에 도쿄, 오사카(JOBK), 나고야(JOCK)의 3개 방송국이 통합하여 사단법인 일본방송협회를 설립하였다. 원래는 경성방송국(JODK)[35]도 포함되어 있었지만 이내(1932년) 조선방송협회로 분리되어 나갔다.[36][37] 2차대전 후 방송법을 새로 제정하면서 사단법인에서 특수법인으로 전환했다. 현재 쓰이는 'NHK'란 약칭도 이때부터 정식으로 처음 사용하기 시작했다.무려 1964 도쿄 올림픽이 끝난 1964년부터 HD 방송 연구를 시작하였고 NHK에서 최초로 송출한 HD 방송이 1988 서울 올림픽 중계방송이다. 다만 1988년부터 2000년대까지 내보냈던 HD 방송은 MUSE 방식 아날로그 HD (하이비전) 방송이고, ISDB-T 방식의 디지털 HD 방송을 송출하기 시작한 건 2003년부터로, 한국(2001년 시작)보다 늦다.[38][39] 일본 최대 공영 방송이자 세계적으로도 유명한 공영방송이라는 타이틀에 비해 VOD는 뉴스 클립 정도밖에 시청할 수 없었다. 한국의 KBS에서 VOD 서비스를 시작한 것이 1998년이다.[40] 본격적으로 VOD 서비스를 시작한 게 2008년이 되어서부터였다. 일단 계획 상으로 VOD 서비스를 그 이전부터 시작하려 했지만 방송법과 저작권[41] 문제가 걸려서 2007년에 방송법이 개정되고 나서야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었다. KBS에 비해 거의 10년 씩이나 늦은 셈. 거기에 돈을 또 내야 하는 건 물론이고 돈을 내더라도 다시 보기 가능 기간이 짧거나 하는 문제도 있으며 일본 국외에서 시청이 불가능하다. 또한 TV방송의 인터넷 동시전송이 2020년이 되어서야 시작했는데 이 또한 한국에서는 인터넷 초창기인 1996년에야 한 걸 생각하면 매우매우 늦은 것이다. 기술력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지방방송사의 생존권 문제가 걸려 있어서 서비스를 못 한 것인데 2020년이 되어서야 가능하게 된 것이다.[42]
이미 1960년대부터 막대한 수신료 수입에 힘입은 거대 방송사였음에도 상당 기간 동안 프로그램 보존 면에서 좀 문제가 있는 부분이 있어 1970년대 중반까지의 프로그램 보존이 미비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는데[43], 웬만한 서양 국가에서 1950년대부터 TV 프로그램을 문화유산으로 본 것과 다르게, 일본 방송계에서는 단순히 비용 문제로 비디오 테이프를 한번 찍었다가 나중에 재활용해서 찍는 것이라는 개념이 팽배해있었고, NHK도 마찬가지라서 1980년대 이전의 프로그램 보존이 미비한 것이다.[44][45]
1977년 국제TV아카이브연맹(FIAT)이 세워진 후 1980년대 일본 전국에서 방송자료 보존 운동이 일자 대부분의 프로그램을 잘 보존하고 있기는 하지만 아쉬움이 큰 건 사실이다. 그래서인지 NHK아카이브스는 2014년부터 시청자나 기관 등을 상대로 '프로그램 발굴 프로젝트'를 아시아 최초로 진행했다. 한국 KBS가 2019년부터 해온 '시청자 영상 공모'도 이를 참고로 한 걸로 보인다.
2021년부터 3년간 총 630억 엔의 지출을 줄이고 위성방송과 AM라디오의 채널 일부를 통폐합한다. 위성방송은 현재의 'BS1'과 'BS프리미엄'을 일원화하여 2023년까지 둘 중 하나는 BS4K로 프로그램을 모두 이전한다는 계획과 함께 AM라디오 두 개 채널을 2025년까지 한 채널로 통합할 예정이다. 이는 민영 방송사들이 비용 대비 실익이 없다는 이유로 AM라디오를 포기하고 있는 움직임에 발맞추어 인터넷의 활용도가 높아졌다는 연구결과가 나왔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국내매체현지매체 대신 코로나19 위기 국면을 맞아 수신료 7000억 원 규모를 감면하도록 했다.# 여러모로 국내에서 수신료를 인상하려는 모습과 대비된다. 다만 NHK의 수신료는 한국 KBS보다는 몇 배는 더 많다.[46][47]
상술한 계획의 일환으로 2023년 12월 1일부터 'BS1'과 'BS프리미엄'은 'NHK BS'로, 'BS4K'는 'NHK BS프리미엄 4K'로 개편한다. 'NHK BS'는 BS1과 BS프리미엄에서 하던 프로그램 대부분을 같은 시간, 한 채널에서 계속 볼 수 있다고 밝혔다.(홍보영상)
3. 역대 회장
NHK의 공식 데이터는 여기를 참조.(PDF)- 이와하라 켄조 (1926~1936)
- 코모리 시치로 (1936~1943)
- 시모무라 히로시 (1943~1945)
- 오오하시 하치로 (1945~1946)
- 타카노 이와사부로 (1946~1949)
- 후루카키 테츠로 (1949~1956)[48]
- 나가타 키요시 (1956~1957)
- 노무라 히데오 (1958~1960)
- 아베 신노스케 (1960~1964)
- 마에다 요시노리 (1964~1973)
- 오노 키치로 (1973~1976)
- 사카모토 토모카즈 (1976~1982) - 최초의 본사 출신 회장.
- 카와하라 마사토 (1982~1988)
- 이케다 요시조 (1988~1989)
- 시마 케이지 (1989~1991)
- 카와구치 미키오 (1991~1997)
- 에비사와 카츠지 (1997~2005)
- 하시모토 겐이치 (2005~2008)
- 후쿠치 시게오 (2008~2011)[49] - 前 아사히 맥주 대표취체역 회장 겸 CEO.#
- 마츠모토 마사유키 (2011~2014) - 前 도카이 여객철도 대표취체역 부회장#
- 모미이 카츠토 (2014~2017) - 국내에서는 ”정부가 오른쪽(보수/우파)이라고 말하는데 NHK가 왼쪽(진보/좌파)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정부 뜻을 거역할 수 없다)”, “전쟁을 한 모든 나라에는 위안부가 있었다”는 발언으로 유명하다.
- 우에다 료이치 (2017~2020) - 前 NHK 경영위원회 위원 겸 감사위원회 위원장, 前 미쓰비시 상사 대표취체역 부사장, 前 미국 미쓰비시 상사 사장.#
- 마에다 테루노부 (2020~2022) - 역대 회장 중 가장 논란이 되는 인물로 현 자민당 정권의 나팔수로 잘 알려져 있다.
- 이나바 노부오 (2023~현재) - 前 리코 경제사회연구소 참여, 前 리코 임원(취체역회 의장, 전무취체역 집행역원, 특별고문), 前 일본은행 이사#
4. 방송 권역
일본방송협회의 지역별 방송권역은 총무성 고시 기간방송보급계획###[50] 및 기간방송용주파수사용계획#[51]을 기반으로 정해졌다.[52]- NHK 종합 채널
- 홋카이도는 단일 도도부현 중 가장 많은 NHK 방송국을 보유한 곳이다.[53] 그 외의 도도부현 중에서는 후쿠오카현에 후쿠오카, 키타큐슈방송국이 소재하고 있는 바 후쿠오카는 NHK 방송국이 2개 이상 존재하고 있는 유일한 현이다.[54]
- 이 중 간토 지방은 이바라키현[55]을 제외한 대부분이 NHK 수도권국[56]이 직접 담당하지만 실제로는 나머지 5현에도 NHK 지역방송국이 있다.[57] 점심 전에 방송하는 간토 지역 교양 프로그램인 히루마에 홋토(ひるまえほっと) 및 6시 지역국 뉴스인 수도권 네트워크에 주로 등장하며 재난방송시에도 가끔 등장한다.
- 지역 방송국 중에서, (거점방송국을 포함한)대다수의 방송국들은 본국[본국]으로 분류되어있다. 그렇지만, 일부 방송국은 중계국[중계국]으로 분류되어있다.[60]
- NHK 교육 채널
- 기간방송보급계획(1988년 우정성 고시 제660호)에서, NHK 교육 채널은 방송대상지역이 일본 전국으로 정해져 있다.
- 기간방송용주파수사용계획(1988년 우정성 고시 제661호)에서, NHK 교육 채널은 NHK 종합 채널과는 달리, 본국[본국]이 도쿄 한 곳이며, 도쿄 이외에는 중계국[중계국]으로 분류되어있다.[63]
- NHK 교육 채널은 방송대상지역이 일본 전국으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전국 방송 범위로 프로그램을 편성한다. 그렇지만, 고시엔 대회 각 지역별 예선은 지역방송 범위로 중계방송을 해주고, 거기에 더해서 일부 지역은 자체 방송 프로그램을 편성하는 경우가 있다.[64]
- NHK는 지상파 기준으로 NHK 종합(NHK General, 줄여서 NHK G)과 NHK E테레(エヌエイチケイEテレ)로 나뉜다. 전 명칭은 NHK 교육(NHK E)이나 2010년 이후 변경. E는 EBS의 E 와 같은 Education이다.
- 본항에 기재하는 채널과 주파수에 붙는 단위인 ch.와 kHz, MHz는 생략한다.
- 호출부호의 좌측은 제1라디오·FM방송(-FM)·종합TV(-DTV)에 쓰이며, 우측은 제2라디오·E테레(-DTV)에 쓰인다. 단, 호출부호가 하나만 있는 경우에는 종합TV와 FM방송에만 호출부호가 부여되어 있고 나머지는 상위 기간국의 채널이므로 호출부호가 없다.
- NHK 각 방송국의 호출부호 중 JODK가 결번인데 조선에 설치되었던 경성방송국 (1929년 이후 조선방송협회)의 호출부호로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JOEK 등 여러 개의 결번이 존재하지만, 특히 JODK는 구 경성방송국의 이미지가 뚜렷하기 때문인지 계속 결번으로 두는 모양새이다. 경성방송국 외 조선방송협회 소속 방송소(부산, 평양, 청진 등)들이 쓰던 콜사인은 JBxK로 일본 국내와는 달랐으며 해방 후 모두 HLKx로 바뀌었다.
- 오키나와의 경우도 미군정 시기 동안 오키나와방송협회(OHK)가 별도로 존재했으며, 미국 호출부호(KSGA, KSGB)를 사용했다. 오키나와가 일본으로 반환된 1972년 이후 NHK에 합병되어 지금의 NHK 오키나와 방송국[오키나와]이 되었다.
- 방송국의 굵은 글씨는 기간국(KBS의 총국에 해당)이며, 아래에 서술된 방송국을 거느린다.
- 사이타마, 치바, 요코하마 방송국은 평시에는 지역별 FM 방송 송출, 제작을 담당하지만 도쿄 시부야 소재 방송센터가 수도직하지진 등으로 불능상태에 빠졌을 때 도쿄 본국을 대신하여 방송을 제작, 송출하도록 짜여져 있다. 만약 이 방송국들마저 사용할 수 없게 되면 오사카 방송국이 대신하게 된다.[66]
| 방송국 | 호출부호 종합계통, 교육계통 順 [67][68] | 채널 | 가시청권역 | ||||||
| TV 채널 | 라디오 주파수 | ||||||||
| 종합 | 교육 | 제1 | 제2 | FM | |||||
| 방송센터[69] (도쿄 시부야)[渋谷] | JOAK, JOAB | 27 | 26 | 594 | 693 | 82.5 | 일본 전국 일본 전국을 총괄하는 일본방송협회의 본부 | ||
| 수도권국[71] (도쿄 시부야)[渋谷] | 도쿄도 광역권[73] 간토·고신에츠 지역을 총괄하는 거점방송국 | ||||||||
| 요코하마 방송국 | JOGP | × | × | × | × | 81.9 | 가나가와현 | ||
| 사이타마 방송국 | JOLP | × | × | × | × | 85.1 | 사이타마현 | ||
| 치바 방송국 | JOMP | × | × | × | × | 80.7 | 치바현 | ||
| 마에바시 방송국 | JOTP | 37 | × | × | × | 81.6 | 군마현 | ||
| 우츠노미야 방송국 | JOBP | 47 | 39 | × | × | 80.3 | 도치기현 | ||
| 미토 방송국 | JOEP | 20 | 13 | × | × | 83.2 | 이바라키현 | ||
| 나가노 방송국 | JONK, JONB | 17 | 13 | 819 | 1467 | 84.0 | 나가노현 ,북부, | ||
| 마츠모토 지국 | × | × | × | × | 84.8 | 나가노현 ,남부, ,(구 마츠모토 방송국. 1988년 7월 22일 지국으로 강등)#, | |||
| 니가타 방송국[74] | JOQK, JOQB | 15 | 13 | 837 | 1593 | 82.3 | 니가타현 | ||
| 코후 방송국 | JOKG, JOKC | 21 | 23 | 927 | 1602 | 85.6 | 야마나시현 | ||
| 삿포로 방송국 | JOIK, JOIB | 15 | 13 | 567 | 747 | 85.2 | 홋카이도 ,이시카리, 시리베시, 소라치(중부·남부)#, 홋카이도 지역을 총괄하는 거점방송국 | ||
| 무로란 방송국 | JOIQ, JOIZ | 24 | 16 | 945 | 1125 | 88.0 | 홋카이도 ,이부리, 히다카, → 삿포로 방송국과 사실상 통합(2022년 4월 1일)[75] | ||
| 하코다테 방송국 | JOVK, JOVB | 18 | 14 | 675 | 1467 | 87.0 | 홋카이도 ,오시마, 히야마, | ||
| 아사히카와 방송국 | JOCG, JOCC | 15 | 13 | 621 | 1602 | 85.8 | 홋카이도 ,카미카와, 루모이, 소야, 소라치(북부)#, | ||
| 키타미 방송국 | JOKP, JOKD | 18 | 13 | 1188 | 702 | 86.0 | 홋카이도 ,오호츠크, → 아사히카와 방송국과 사실상 통합(2022년 4월 1일)[76] | ||
| 오비히로 방송국 | JOOG, JOOC | 15 | 13 | 603 | 1125 | 87.5 | 홋카이도 ,토카치, | ||
| 쿠시로 방송국 | JOPG, JOPC | 33 | 29 | 585 | 1152 | 88.5 | 홋카이도 ,쿠시로, 네무로, → 오비히로 방송국과 사실상 통합(2022년 4월 1일)[77] | ||
| 센다이 방송국 | JOHK, JOHB | 17 | 13 | 891 | 1089 | 82.5 | 미야기현 도호쿠 지역을 총괄하는 거점방송국 | ||
| 아키타 방송국 | JOUK, JOUB | 48 | 50 | 1503 | 774 | 86.7 | 아키타현 | ||
| 야마가타 방송국 | JOJG, JOJC | 14 | 13 | 540 | 1521 | 82.1 | 야마가타현 ,내륙지역(무라야마·모가미·오키타마), | ||
| 츠루오카 지국 | × | × | × | × | 86.0 | 야마가타현 ,해안지역(쇼나이), ,(구 츠루오카 방송국. 1988년 7월 22일 지국으로 강등)#, | |||
| 모리오카 방송국 | JOQG, JOQC | 14 | 13 | 531 | 1386 | 83.1 | 이와테현 | ||
| 후쿠시마 방송국 | JOFP, JOFD | 15 | 14 | 1323 | 1602 | 85.3 | 후쿠시마현 ,나카도리(북부), | ||
| 코리야마 지국 | × | × | × | × | × | 후쿠시마현 ,나카도리(중부, 남부), 아이즈, ,(구 코리야마 방송국. 1988년 7월 22일 지국으로 강등)#, | |||
| 이와키 지국 | × | × | × | × | 86.1 | 후쿠시마현 ,하마도리, ,(구 이와키 방송국. 1988년 7월 22일 지국으로 강등)#, | |||
| 아오모리 방송국 | JOTG, JOTC | 16 | 13 | 963 | 1521 | 86.0 | 아오모리현 ,츠가루지역(동부), | ||
| 히로사키 지국 | × | × | × | × | × | 아오모리현 ,츠가루지역(서부), ,(구 히로사키 방송국. 1988년 7월 22일 지국으로 강등)#, | |||
| 하치노헤 지국 | × | × | × | × | 81.8 | 아오모리현 ,난부지역, ,(구 하치노헤 방송국. 1988년 7월 22일 지국으로 강등)#, | |||
| 나고야 방송국 | JOCK, JOCB | 20 | 13 | 729 | 909 | 82.5 | 아이치현 ,서부, 츄부(도카이·호쿠리쿠) 지역을 총괄하는 거점방송국 | ||
| 토요하시 지국 | × | × | × | × | 85.3 | 아이치현 ,동부, ,(구 토요하시 방송국. 1988년 7월 22일 지국으로 강등)#, | |||
| 시즈오카 방송국 | JOPK, JOPB | 20 | 13 | 882 | 639 | 88,8 | 시즈오카현 ,동부, | ||
| 하마마츠 지국 | × | × | × | × | 82.1 | 시즈오카현 ,서부, ,(구 하마마츠 방송국. 1988년 7월 22일 지국으로 강등)#, | |||
| 기후 방송국 | JOOP | 29 | × | × | 909 | 83.6 | 기후현 ,미노지역(남부), | ||
| 타카야마 지국 | × | × | × | × | 86.1 | 기후현 ,히다지역(북부), ,(구 타카야마 방송국. 1988년 7월 22일 지국으로 강등)#, | |||
| 츠 방송국 | JONP | 28 | 44 | 729 | 909 | 81.8 | 미에현 | ||
| 후쿠이 방송국 | JOFG, JOFC | 19 | 21 | 927 | 1521 | 83.4 | 후쿠이현 | ||
| 카나자와 방송국 | JOJK, JOJB | 15 | 13 | 1224 | 1386 | 82.2 | 이시카와현 | ||
| 도야마 방송국 | JOIG, JOIC | 27 | 24 | 648 | 1035 | 81.5 | 도야마현 | ||
| 오사카 방송국 | JOBK, JOBB | 24 | 13 | 666 | 828 | 88.1 | 오사카부 긴키 지역을 총괄하는 거점방송국 | ||
| 교토 방송국 | JOOK | 25 | × | x[78] | × | 82.8 | 교토부 | ||
| 고베 방송국 | JOPP | 22 | × | × | × | 86.5 | 효고현 ,남동부, 아와지섬, | ||
| 히메지 지국 | × | × | × | × | 84.2 | 효고현 ,남서부, 중부, 북부, ,(구 히메지 방송국. 1988년 7월 22일 지국으로 강등)#, | |||
| 오츠 방송국 | JOQP | 26 | × | 945 | × | 84.0 | 시가현 | ||
| 나라 방송국 | JOUP | 31 | × | × | × | 87.4 | 나라현 | ||
| 와카야마 방송국 | JORP | 23 | × | × | × | 84.7 | 와카야마현 | ||
| 히로시마 방송국 | JOFK, JOFB | 14 | 15 | 1071 | 702 | 88.3 | 히로시마현 ,서부, 츄고쿠 지역을 총괄하는 거점방송국 | ||
| 후쿠야마 지국 | × | × | × | × | 84.8 | 히로시마현 ,동부, ,(구 후쿠야마 방송국. 1988년 7월 22일 지국으로 강등)#, | |||
| 오카야마 방송국 | JOKK, JOKB | 32 | 45 | 603 | 1386 | 88.7 | 오카야마현 | ||
| 아마구치 방송국 | JOUG, JOUC | 16 | 13 | 675 | 1377 | 85.3 | 야마구치현,(시모노세키시 제외), | ||
| 시모노세키 지국 | × | × | × | × | 83.1 |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시[79], ,(구 시모노세키 방송국. 1988년 7월 22일 지국으로 강등)#, | |||
| 마츠에 방송국 | JOTK, JOTB | 21 | 19 | 1296 | 1593 | 84.5 | 시마네현 | ||
| 돗토리 방송국 | JOLG, JOLC | 29 | 20 | 1368 | 1125 | 85.8 | 돗토리현 ,동부, | ||
| 요나고 지국 | × | × | × | × | 85.3 | 돗토리현 ,서부, ,(구 요나고 방송국. 1988년 7월 22일 지국으로 강등)#, | |||
| 마츠야마 방송국[80][81] | JOZK, JOZB | 16 | 13 | 963 | 1512 | 87.7 | 에히메현 시코쿠 지역을 총괄하는 거점방송국 | ||
| 고치 방송국[82] | JORK, JORB | 15 | 13 | 990(AM) 92.8(FM) | 1152 | 87.5 | 고치현 | ||
| 토쿠시마 방송국[83] | JOXK, JOXB | 34 | 40 | 945 | × | 83.4 | 도쿠시마현 | ||
| 타카마츠 방송국[84] | JOHP, JOHD | 24 | 13 | 1368 | 1035 | 86.0 | 카가와현 | ||
| 후쿠오카 방송국[85] | JOLK, JOLB | 28 | 22 | 612 | 1017 | 84.8 | 후쿠오카현 ,서부[86][87][88], 규슈·오키나와 지역을 총괄하는 거점방송국(1992년~현재) | ||
| 키타큐슈 방송국 | JOSK, JOSB | 40 | 42 | 540 | 1602 | 85.7 | 후쿠오카현 ,북부[89], | ||
| 사가 방송국 | JOSP, JOSD | 33 | 25 | 963 | × | 81.6 | 사가현 | ||
| 나가사키 방송국 | JOAG, JOAC | 15 | 13 | 684 | 1377 | 84.5 | 나가사키현 ,남서부, 고토열도, | ||
| 사세보 지국 | × | × | × | × | 86.0 | 나가사키현 ,북부, 서부, 이키섬, 쓰시마섬, ,(구 사세보 방송국. 1988년 7월 22일 지국으로 강등)#, | |||
| 쿠마모토 방송국[90] | JOGK, JOGB | 28 | 24 | 756 | 873 | 85.4 | 구마모토현[91] 규슈·오키나와 지역을 총괄하는 거점방송국이었다.(1928년~1992년) | ||
| 오이타 방송국 | JOIP, JOID | 15 | 14 | 639 | 1467 | 88.9 | 오이타현 | ||
| 미야자키 방송국 | JOMG, JOMC | 14 | 13 | 540 | 1467 | 86.2 | 미야자키현 | ||
| 가고시마 방송국 | JOHG, JOHC | 34 | 18 | 576 | 1386 | 85.6 | 가고시마현 | ||
| 오키나와 방송국[오키나와] | JOAP, JOAD | 17 | 13 | 549 | 1125 | 88.1 | 오키나와현[93] 오키나와방송협회 승계(1972년 5월 15일) 오키나와 복귀 특별조치법 근거 | ||
5. 방송파(채널)
| ※ 라디오 제2방송과 NHK 교육 채널을 제외하고는 24시간 종일방송을 실시한다. ※ 인터넷으로 라디오 제1방송(삿포로/센다이/도쿄/나고야/오사카/히로시마/마츠야마/후쿠오카)/제2방송(전국)/FM(삿포로/센다이/도쿄/나고야/오사카/히로시마/마츠야마/후쿠오카)을 들을 수 있는 실시간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 라지루★라지루(らじる★らじる)를 송출하고 있다. 다만, 일본 국내 한정으로 해외에서는 VPN을 통해 접속해야 한다. ※ 2016년 9월 1일부터 도쿄, 오사카, 나고야, 센다이 방송을 포함하여 새로이 삿포로, 히로시마, 마츠야마, 후쿠오카의 방송이 추가되었다. ※ Radiko도 동시 송출 중이다. |
- 일본 국내 라디오 방송
- NHK 라디오 제1방송: 뉴스 및 스포츠 중계 등 종합 편성. 한국의 공영방송과 비교하면 MBC 표준FM이 종합 편성이라는 점에서 가장 비슷하며 외에도 2000년대 초중반 이전, 2000년대 후반 - 2010년대 중후반, 2020년대 중반 이후의 KBS 제1라디오[94], KBS 제3라디오, YTN 라디오, KFN 라디오 등과 성격이 비슷하다. 영국의 BBC Radio 4와도 성격이 비슷하다.
- NHK 라디오 제2방송: 어학 및 고교강좌 중심 교육방송, 기상통보, 주식시황을 방송. EBS FM과 성격이 비슷하면서도 다르다.[95] 2026년 3월 31일 폐국 예정.#
- NHK-FM: 음악 중심 편성. 그 중에서도 고전음악 위주라는 점에서 영국의 BBC Radio 3, 한국의 KBS 1FM과 성격이 비슷하다. 그외에도 대중음악을 편성한다는 점에서는 BBC Radio 1, KBS 제2라디오, KBS 2FM, MBC FM4U와도 약간의 공통분모점이 있다.[96] 한국의 음악 라디오 및 FM 방송과 다른 점은 뉴스를 1일 3회(7시, 12시, 19시) 편성하고[97] 어학 및 고교강좌도 2020년대 초중반부터 편성 중이다. 재난방송 시에는 라디오 제1방송과 동시 방송하거나 피해 현장의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에 몇몇 스포츠의 라디오 중계를 담당한다.
- 일본 국내 텔레비전 방송
- 지상파 - 이 채널들은 한국으로 치면 KBS와 EBS의 지상파 채널이랑 성격이 비슷하다.
- NHK 종합 텔레비전 (NHK G): 영국의 BBC One, 한국의 KBS 1TV와 성격이 비슷하다.
- NHK 교육 텔레비전 (NHK E): 영국의 CBeebies, 한국의 EBS(구 KBS 3TV)와 성격이 비슷하다.
- 위성 - 이 채널들은 한국으로 치면 KBS 2TV와 KBS N, MBC 플러스, EBS, YTN의 TV 채널 부분과 연합뉴스TV, 대한민국의 국영방송 채널이랑 성격이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 NHK BS (BS-15): BS는 Broadcasting Satellite의 약자. 매 시각 50분마다 'BS뉴스'라는 10분짜리 뉴스를 편성하는 것이 특징으로[98] 뉴스/시사/스포츠 중계 및 해외 소식 중심으로 편성하는데, 특히 애매하는 비는 시간대에는 월드뉴스라는 이름으로 외신 보도 영상에 일본어 음성만 더빙해 방송한다. 한국 뉴스는 KBS 뉴스만 나온다.[99] 'VJ 특공대'가 현역이던 시절에는 이것도 수입해다 방송해주기도 했다. 그리고 월드 웨이브 아시아나 월드 웨이브, 아침에는 월드 웨이브 모닝, 밤에는 월드 웨이브 투나잇 같은 국제뉴스 프로그램도 방영되는 편이다. 과거 KBS위성1TV[100] 혹은 YTN의 TV채널 부분과 국민방송, 국방TV, 국악방송, 국회방송, 공영쇼핑, 소상공인방송, 연합뉴스TV랑 성격이 비슷하긴 한데 이 채널들 자체가 무궁화 위성 시험 때 KBS 위성 1, 2TV 편성정책[101]을 NHK BS-1, 2에서 벤치마킹한 것이기 때문이다. 2023년 12월 1일부터 NHK BSP와 함께 현 채널명으로 통폐합되었다.
- NHK BSP4K (BS-17): 2016년 8월 1일에 일본판 4K UHD인 NHK/A-PAB 4K/8K 시험 방송으로 시작했다. 2018년 12월 1일, 4K 전용의 현 채널명으로 개국했다. 2023년 12월 1일부터 'NHK BSP 4K'로 개명되었다.
- NHK BS8K(BS-14): 8K UHD 전용 채널로 위에 있는 4K 전용 채널과 함께 2018년 12월 1일에 개국한 8K 전용 채널.
- 국제방송
- NHK 월드 JAPAN: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영어 방송. 한국의 KBS 월드 혹은 Arirang TV랑 비슷하다. 최근에는 일본 정부의 '쿨 재팬' 기조 영향인지 아니메 관련 다큐를 심심하면 틀어준다. 물론 일본 국내용이 아닌 해외전용. 2018년 3월까지는 NHK World TV였으나, '일본의 NHK'를 널리 알리기 위해 동년 4월에 지금의 이름으로 개칭되었다.
- NHK华语视界: 중화권을 대상으로 하는 중국어 국제채널로 2019년 1월 15일에 개국했다. 중국어 뉴스와 일본어 강좌 등을 방송하며, NHK World Japan의 프로그램은 간자체 자막을 넣어 내보낸다.
- NHK 월드 프리미엄: 일본 쪽 방송을 일본어 그대로 수중계하고 있으나 악명 높은 일본의 저작권법 덕에 스포츠뉴스 등에서 일부 화면이 정지영상으로 대체되어 나오기도 한다. 대체로 NHK G(종합)의 프로그램 80%에 NHK교육 프로그램 20% 정도 비율로 수중계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도 IPTV, 케이블, 스카이라이프 등의 유료SO에서 송출을 하고 있으며, NHK 종합 수중계 채널이나 마찬가지기 때문에 도호쿠 대지진 등의 재난방송 시 외신들의 주요 소스가 되기도 한다. 그리고 재외국민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KBS KOREA랑 성격이 비슷하다.
- TV JAPAN: 북미권 국제방송 채널로 NHK 월드 프리미엄과 비슷한 구성이지만 민방 프로그램도 함께 편성되며, 미주와의 시차로 인하여 뉴스 이외의 모든 프로그램이 동시 송출되진 않는다.
JSTV도 영국과의 시차를 고려하진 않던데 - NHK 월드 라디오 일본: 일본어를 포함한 18개의 언어로 제작하는 단파라디오 방송이다. KBS 월드 라디오와 아리랑 TV의 아리랑 라디오랑 비슷하다. 한국어 방송도 있으나 남북관계를 의식한 건지 코리언이라고 하며 여기로 접속하면 된다.
5.1. 폐국된 방송망
- NHK BS 프리미엄 (BS-15): 특별히 장르에 구애받지 않고 여러 가지 마이너한 프로그램을 방송하던 채널이다. 전반적으로 보았을 때 지상파 채널이나 BS1에 비해서 드라마나 예능, 애니메이션 등 오락 프로그램의 비중이 좀 더 높은 편이고 종합 채널과 시간차 방송도 한다[102] 과거엔 시사위주이 BS1과 대비되는 오락성 NHK BS2라는 식으로 편성정책이 짜여져 있었고 HDTV 방송용의 NHK BS-hi가 있었으나, HD가 보편화되면서 BS-hi와 BS2를 2011년 3월 폐국, 통합하여 NHK BS 프리미엄으로 재편되었다. 과거 KBS위성2TV[103], MBC 플러스, EBS 1TV와 KBS 2TV랑 성격이 비슷하다. 2023년 12월 1일부터 NHK BS1 및 NHK BS4K와 함께 NHK BS 및 NHK BSP4K로 통폐합되었으며, 한시적으로 BS프리미엄에서 쓰던 103번 채널을 활용해 2024년 1월 9일부터 2024년 이시카와현 노토 지방 지진 관련 정보를, 다음 날부터 NHK 종합 텔레비전의 가나자와 방송국 송출분[104]을 한시 중계하다 7월 1일부로 폐국.
- JSTV: 유럽권 국제방송 채널로 상기 NHK 월드 프리미엄을 그대로 중계하는 JSTV 2, 민방 프로그램을 함께 송출하며 유럽권 시차에 맞게 편성되는 JSTV 1 채널을 각기 운영중이다. 2023년 10월 이후 폐국.
6. 조직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일본방송협회/조직#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일본방송협회/조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 소속 아나운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일본방송협회/아나운서#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일본방송협회/아나운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8. 수신료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일본방송협회/수신료#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일본방송협회/수신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9. 방송 프로그램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일본방송협회/방송 프로그램#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일본방송협회/방송 프로그램#|]]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0. 재난재해 및 긴급경보방송
신속, 정확한 방송으로 세계 재난방송의 교과서로 불린다. NHK는 일본 재해대책기본법에서 보도기관 중에서는 유일하게 '지정 공공기관'으로 규정되어 있다.일본 기상청과 핫라인이 있어 지진 시작 3초 만에 경보자막이 송출되고 30~60초 이내에 바로 뉴스특보로 전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쓰나미 경보가 발령되거나 지자체장의 지시에 따라 정규방송을 모두 끊고 긴급경보방송으로 전환한다. 핫라인과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는 특보 원고를 자동으로 작성해주고 전국 각지에 설치된 500여대의 무인카메라가 촬영한 지진 발생 순간이나 현장 영상을 실시간으로 보여준다.
긴급경보방송으로 전환되면 관련되는 정보를 영어와 중국어, 한국어/조선어, 포르투갈어로 전달한다. 영어는 물론이고 이웃국가 언어인 중국어와 한국어로 전하는 건 당연할 수 있다고 해도 뜬금없이 웬 포르투갈어냐고 생각할 수 있는데, 일본인이 가장 많이 이민 간 곳은 브라질로, 일본인 이민사에서 가장 역사가 긴 나라다. 일본계 브라질인들이 80년대 부로 역이민을 오면서 자연스레 포르투갈어도 수요가 늘었다. 일본계 브라질인이 많은 지역의 소규모 관공서 등에서는 영어와 포르투갈어만 대응하기도 한다.
2011년 도호쿠 대지진 당시에는 지진 감지 2초만인 오후 2시 46분 48초에 긴급지진속보 자막을 내보냈고 1분 20초만인 오후 2시 48분 19초부터 특보 방송을 시작했다. 대형 쓰나미(大津波) 경보가 발령된 것은 지진발생 3분여만인 오후 2시 50분 9초였다. 위 영상을 보면 도쿄의 스튜디오에 강한 진동이 와서 혼돈의 카오스가 펼쳐지는 와중에 아나운서는 꿋꿋이 멘트를 하고 있다. 진정한 방송인의 자세가 아닐 수 없다.[105][106]
헬기도 그와 동시에 출발해 지진 직후의 각 지역의 모습들을 생중계로 찍기 시작했는데, 특히 미야기현 센다이시[107], 나토리시를 휩쓴 검은 파도에 건물들이 쓸려나가는 장면은 전세계 사람들에게 충격과 공포를 안겨 주었다. 이 장면은 헬기로 쓰나미를 생중계한 영상 중에서는 세계 최초이다. 모든 중계장비를 통틀어서 세계 최초의 쓰나미 생중계 영상은 이와테현 카마이시시의 어떤 다리 밑을 덮치는 거대 파도를 로봇 카메라로 중계한 것이다.
원래는 시민들의 동요를 막기 위해 아나운서가 침착하고 차분한 목소리로 속보를 전하는 것이 매뉴얼이었다. 하지만 동일본 대지진 당시 이러한 목소리가 시민들에게 사태가 어느 정도로 심각한지 파악하지 못하게 되어 대피를 지연시키는 큰 문제점이 발견되어 이후 매뉴얼을 변경하였다고 한다. 2012년 12월 7일에 도호쿠 일대에 쓰나미 예보가 다시 내려질 때는 '동일본대지진을 기억하십시오! 목숨을 구하기 위해 조금이라도 빨리 대피하십시오! 뒤를 보지 마십시오! 지금 있는 장소가 안전하다고 절대 생각하지 마십시오!' 라는 단호한 말투와 멘트로 바뀌었다. 이후 2016년 후쿠시마 지진에서도 같은 멘트와 다급한 멘트가 이어졌다.
J알러트나 특별경보[108] 등의 중요한 정보가 뜨면 모든 정규 방송을 중단하고 뉴스센터로 넘긴다.
2017년 9월 15일 북한의 ICBM 미사일 발사 당시.
2018년 시마네 지진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진도 5약 이상의 지진이 정파 방송 중인 새벽에 일어나더라도
이러한 이유로 일본 지진 소식을 국내 방송에서 보도할 때 높은 확률로 NHK의 보도 내용을 인용한다. 특히나 지진과 관련한 재난 상황에서는 NHK를 따라잡을 수 있는 방송사가 거의 없다시피하니 이는 당연하다. 특히 지난 2016년 9월 발생한 경주 지진[109][110]이 그 대표적인 예시이다.
그 외 폭우 예보 등 중대한 뉴스가 있는 경우 자투리 시간을 활용하거나 다음 프로그램을 휴방해서 뉴스속보를 편성하거나 정규 뉴스 프로그램 시간을 연장하거나 한다. 해당 자투리 시간을 활용해서 다음에 방영되는 프로그램 시작시간을 미루는 경우가 매우 많은데, 예컨대 뉴스7의 경우 20시 42분에 방영 예정인 '#NHK'(해시태그 NHK)를 휴방하고 해당 방영 분량만큼 3분을 연장해 방송하고 19시 30분 이후 방영되는 프로그램을 3분씩 딜레이하여 송출하는 방식이다. 더 중대한 내용인 경우 19시 30분부터 27분간 방영되는 프로그램을 휴방한 뒤 해당 프로그램 분량인 27분 연장방송 후 아예 20시부터 정규방송을 진행한다.
사실 한국과 마찬가지로 일본에도 긴급재난문자(에리어메일(NTT)/긴급속보메일(소프트뱅크)) 서비스가 시행 중에 있으나, NHK의 긴급재난방송에 밀려 사실상 콩라인으로 전락된 상태다.[111] 물론 평소에 TV보다 휴대폰을 자주 사용하는 사람에겐 일본의 긴급재난문자 또한 재난에 대비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11. NHK ONE
일본방송협회(NHK)의 통합 인터넷 서비스. 2025년 10월 1일 출시되었으며, 방송 프로그램의 동시전송, 다시보기·다시듣기 전송, 뉴스 기사·동영상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참고로 NHK ONE은 일본국 국내용 인터넷 서비스로 출시되었다.#11.1. NHK ONE의 개요
일본방송협회(NHK)의 인터넷 업무는 이전까지 '필수 업무'인 방송 업무를 보완하는 '임의 업무'였다. NHK의 라디오 인터넷 전송·다시듣기 서비스인 라지루라지루, NHK의 텔레비전 방송 인터넷 전송·다시보기 서비스인 NHK+는 그러한 전제하에서 서비스를 개시했다. 2024년, 일본국 방송법 일부 개정안이 통과되어, '임의 업무'였던 인터넷 업무가 '필수 업무'로 격상하면서, '필수 업무'인 방송 업무와 동격이 되었다.[112] 이후, 준비기간을 거쳐서, 2025년 10월 1일 새로운 인터넷 서비스인 NHK ONE의 서비스를 개시했다.[113]11.2. NHK ONE의 서비스
11.2.1. NHK ONE NHK+[114]
- NHK ONE NHK+ 지상파 동시 스트리밍 홈페이지[115]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NHK+#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NHK+#|]]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1.2.2. NHK ONE 뉴스
이전까지는 웹사이트인 NHK NEWS WEB, 애플리케이션인 NHK 뉴스·방재 애플리케이션이라는 명칭으로 누구한테나 서비스를 제공했으나, 2025년 10월 1일부터 NHK NEWS WEB은 NHK ONE 뉴스, NHK 뉴스·방재 애플리케이션은 NHK ONE 뉴스·방재 애플리케이션으로 개편되면서 NHK ONE의 서비스로 포함되었으며, 이전과는 달리 수신계약 대상에 포함되었다.[117]11.2.3. NHK ONE for School
초등학생 대상의 학교방송 웹사이트 및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이다. 이전까지는 NHK for School 이라는 명칭의 웹사이트 및 애플리케이션이었으나#, 2025년 10월 1일부터 NHK ONE 서비스를 개시하면서, NHK ONE for School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은 수신계약 대상으로 전환되었다.[118] 단, 라디오 프로그램은 종전처럼 이용 가능하다.#11.2.4. NHK 고교강좌
고등학생 대상의 과목별 교과강좌 웹사이트이다. 2025년 10월 1일부터 NHK ONE 서비스를 개시하면서, 고교강좌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119]은 수신계약 대상으로 전환되었다. 단, 고교강좌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은 수신계약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으며, 종전처럼 이용하는게 가능하다.#11.2.5. NHK 넷 라디오 라지루★라지루
지상파 라디오 방송 인터넷 전송 및 다시듣기 서비스 사이트 및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이다.NHK ONE의 다른 서비스의 사이트 및 애플리케이션과는 달리, 해당 서비스의 사이트 및 애플리케이션은 수신계약 대상이 아니라서, 종전대로 이용하는 게 가능하다.#
11.2.6. NHK 어학(ゴガク)
NHK의 어학 학습 사이트 및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이다. 2025년 10월 1일부터 NHK ONE 서비스를 개시하면서, 각 언어별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은 수신계약으로 전환되었다.[120] 단, 각 언어별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은 수신계약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으며, 종전처럼 이용하는게 가능하다.#11.2.7. NHK ONE 의료·건강
NHK의 의료·건강 프로그램에서 소개한 정보를 알기 쉽게 정리한 사이트이며, 각종 질병·증상별 의료 정보를 찾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체조 동영상이나 셀프 체크 등으로 건강 만들기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11.3. NHK ONE의 기타 사항
- 이전까지 NHK NEWS WEB, 각 방송 프로그램의 공식 홈페이지, NHK의 각종 애플리케이션은 수신계약의 범주에는 아예 포함되지 않는 서비스였으나, 2025년 10월 1일, NHK ONE이 출시되면서, NHK ONE 뉴스(舊·NHK NEWS WEB), 각 방송 프로그램의 공식 홈페이지가 NHK ONE의 서비스로 포함되면서 수신계약 대상에 포함되었다.
- NHK ONE은 일본국 국내용 서비스라, 해외에서는 일부 서비스 정도만 열람이 가능하다.
- 실시간 텔레비전 방송 및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 다시보기는 지상파 방송[121]만 제공하고 있다.
- 2025년 11월 18일부터 수신계약을 하지 않고, NHK ONE 공식 홈페이지에 접속하게 되면, 수신계약 안내 메시지가 하단 화면에 뜨게 된다.#[122]
12. 관련단체
| |
| NHK 관련단체 계통도(2025년 3월 31일 기준)# |
■일본국 총무성령 방송법시행규칙[124]
■일본방송협회 관련단체#[125]
■일본방송협회 관련단체 운영기준#[126]
일본방송협회(NHK)에서는 일본국 방송법 및 방송법시행규칙에 정의되고 있는 '자회사'[지주], '관련회사', '관련공익법인등'의 3개를 관련단체라고 총칭하고 있으며, 이들을 모기업인 일본방송협회(NHK)와 하나로 묶어서 'NHK 그룹'이라고 칭하고 있다.#
'자회사'[지주] 및 '관련회사'에 대해서 일본방송협회(NHK)는 일본국 방송법에 근거해 주주로서 출자하고 있다.[129] 그리고, '관련공익법인등'은 일반재단법인, 학교법인, 사회복지법인 등[130]이 있으며, 공영방송 일본방송협회(NHK)의 관련단체에 걸맞게 다양한 공익적인 사업을 하고 있다.#
그리고, 일본방송협회(NHK) 관련단체는 각각의 사업분야에서 공영방송 NHK의 업무를 보완하고 지원하여, NHK와 함께 방송문화의 창조에 노력하는 것을 기본적인 역할로 하고 있으며, NHK의 업무의 효율적으로 추진하면서 경비 절감을 도모하고, 이와 동시에 NHK 소프트 자산이나 노하우를 사회에 환원하여 부차적인 수입 등으로 일본방송협회(NHK)·NHK의 관련단체의 재정에 공헌하여 시청자들의 부담을 줄이는 방향을 추구하고 있다.#
일본방송협회의 관련단체는 2025년 4월 1일 기준, 자회사 13사[131], 관련회사 4사, 관련공익단체등 6단체가 있다.# 그리고, 이들 관련단체[132]의 2024년도 총 매출액·사업수익은 2,729억 엔이며, 일본방송협회(NHK)와의 내부거래로 인한 수익은 1,762억 엔[133], 일본방송협회(NHK)와의 내부거래 이외의 수익은 967억 엔[134]이다. 관련단체의 총 직원수는 2024년도 말 기준, 5,928명이고, 이들 중 관련단체에서 자체채용한 인원은 4,286명(72.3%), 일본방송협회(NHK)에서 파견된 인원은 427명(7.2%), 일본방송협회(NHK)에서 전적(転籍)한 인원은 1,215명(20.5%)이다.#
한편, 일본방송협회의 관련단체 임원들의 대다수는 일본방송협회(NHK) 출신들이 임명되고 있지만, 일부는 관련단체 자체 채용 출신들도 임명되고 있다.
12.1. 관련단체 목록
12.1.1. 자회사
- NHK 미디어홀딩스 - 일본방송협회(NHK)의 중간지주회사.[135] 약칭 MHD[MHD]. 아래 5개 회사를 자회사로 두고 있다.[137]
- NHK 엔터프라이즈 - NHK 미디어홀딩스의 자회사.[MHD자회사] 일본방송협회의 프로그램 제작, 기획, 판매 및 저작권 관리, 국제방송 관련업무, 인터넷 및 모바일 관련 업무, 해외 콘텐츠 구입 및 판매, 방송용 시설 등의 운영관리, 방송 관련 이벤트의 기획·실시 및 그에 관한 건축공사의 설계·시공 등 방송 프로그램 등과 관련된 업무 등을 맡고 있다.#
- NHK 글로벌미디어서비스 - NHK 미디어홀딩스의 자회사.[MHD자회사] 일본방송협회(NHK)의 뉴스·보도 프로그램, 스포츠 중계, 지역 방송 프로그램, 수화 방송 프로그램, 각종 방송 프로그램 제작 및 업무지원, 스포츠 중계 영상에 대한 구매·판매 및 권리 등의 관리, 방송 프로그램을 포함한 각종 자막 등의 제작, 영상·디지털 콘텐츠 제작, 방송 프로그램 등의 배포 및 반포, 이벤트·심포지엄 등의 기획 및 운영, 스포츠 관련 사업 등의 위탁 운영, 방송 프로그램 관련 통번역 등의 업무를 맡고 있다.#
- NHK 에듀케이셔널 - NHK 미디어홀딩스의 자회사.[MHD자회사] 일본방송협회의 교육·교양 프로그램의 기획, 제작, 판매 및 저작권 관리, 이벤트, 심포지움 등을 맡고 있으며, 방송대학의 프로그램 제작도 맡고 있다.#
- NHK 아트 - NHK 미디어홀딩스의 자회사.[MHD자회사] 일본방송협회(NHK)의 방송 프로그램 제작과 관련된 미술업무 등을 맡고 있다.#
- NHK 프로모션 - NHK 미디어홀딩스의 자회사.[MHD자회사] 일본방송협회(NHK)의 방송 프로그램에 관한전시회, 콘서트, 이벤트, 영상·콘텐츠, 강연·포럼의 기획·운영 등의 업무를 맡고 있다.#
- NHK 출판 - 일본방송협회(NHK)의 방송 프로그램에 관한 책자 발행 업무, 그와 관련된 기획·이벤트 운영 등, 방송과 관련된 출판 업무 등을 맡고 있다.#
- NHK 문화센터 - 컬처강좌(교양, 실용, 취미, 건강 및 현지(現地)강좌)의 기획, 운영업무와 각종강연회, 행사의 기획 실시 및 수탁 업무 등을 맡고 있다.#
- 일본국제방송 - 외국인 대상의 텔레비전 국제방송 프로그램의 제작, 송출의 위탁 등 국제방송과 관련된 업무를 맡고 있다.#
- NHK 테크놀로지스 - 일본방송협회(NHK)의 방송 프로그램의 제작에 관한 기술업무, 방송설비, 공동수신설비의 건설·보전, 컴퓨터 시스템의 관리·운용의 위탁 등에 관한 업무를 맡고 있다.#
- NHK 비즈니스크리에이트 - 일본방송협회(NHK)의 건물·설비 등의 종합관리, 경리, 인사, 급여, 복리후생에 관한 사무위탁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 NHK 영업서비스 - 일본방송협회(NHK)의 수신료 관련 업무, 시청자 대응 업무 등 방송의 영업 등과 관련된 업무 등을 주로 맡고 있다.#
- 일본 브로드캐스트 네트워크 - 일본방송협회(NHK)가 민영방송과 공동으로 중계국 등 방송 인프라를 이용 및 운용하기 위하여 설립된 회사이다.# 일본방송협회(NHK)가 100% 지분을 보유한 자회사로 설립되었으며, 추후 민영방송사의 출자도 받을 예정이었다.# 그러나, 일본방송협회(NHK)와 민영방송사 간에 해당 회사의 임원 구성 비율을 놓고 갈등이 생겼는데, 민영방송 측은 과반수 이상의 임원 비율을 요구했으나, NHK에서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한다.# 게다가, 일본방송협회(NHK)에서 해당 회사가 채산성이 없다고 판단을 했기 때문에, 이후 상황은 불투명한 상태이다.
12.1.2. 관련회사
- 방송위성시스템 - 방송위성의 조달, 방송위성의 운용 및 관리 외에도 기간방송국 제공사업 등을 맡고 있으며, 최대 주주는 49.9%의 지분을 보유한 일본방송협회(NHK)이다. 일본방송협회(NHK) 이외의 주주로는 5대 민방(의 지주회사 또는 BS방송 자회사)과 WOWOW가 있다.#
- BS컨디셔널액서스시스템즈 - 약칭 B-CAS사. 주요 사업으로는 B-CAS방식의 전체적인 운용·관리·유지 및 보급촉진, B-CAS카드의 발행·운용·관리와 소유권의 보유, B-CAS카드의 각종 암호·키 데이터의 운용·관리 등이 있다. 일본방송협회(NHK)를 포함하여 5대 민영방송사(의 BS방송 자회사), 그밖의 BS방송 회사, 그리고, B-CAS 카드를 제작하는 도시바, 파나소닉, 히타치 제작소가 주주로 있다.#
- NHK Cosmomedia America,Inc. - 방송 프로그램 공급, 스트리밍 서비스 및 콘텐츠 제작을 담당하는 미국 법인이다.#
- NHK Cosmomedia (Europe) Ltd. - 방송 프로그램 공급, 스트리밍 서비스 및 콘텐츠 제작을 담당하는 유럽 법인이다.# 2024년 1월 29일에 개최한 주주총회에서 청산을 특별결의 했으며, 현재 청산 수속을 진행하고 있다.#
12.1.3. 관련공익법인등(等)
- 일반재단법인 NHK재단 - NHK 재단의 주요 사업은 사회공헌사업, 시청자 서비스 사업, 국제사업, 기술사업, 연수사업(NHK·NHK 관련단체의 직원 연수 담당, 민영방송의 방송관련 연수 위탁 등) 등, 방송과 관련된 공익 사업 등을 담당한다. NHK재단은 2023년 4월, NHK 관련단체 개편을 단행하면서, 일반재단법인 NHK서비스센터를 존속법인으로 두고, 일반재단법인 NHK인터내셔널, 일반재단법인 NHK엔지니어링시스템, 일반재단법인 NHK방송연수센터를 흡수합병하는 형태로 발족했다.#
- 공익재단법인 NHK 교향악단 - 2023년 4월, 일반재단법인 NHK재단 산하의 자법인이 되었다. 원칙대로면 NHK재단에 흡수합병 돼야 하지만, 공익재단의 독자성을 가지고 있는 만큼, 흡수합병이 아니라 재단 산하의 자법인으로서 존속하고 있다.#
- 학교법인 NHK학원 - 법인 산하 교육기관으로는 통신제 고등학교인 NHK학원고등학교가 있으며, 법인에서 직접 사회복지사 양성과정 및 생애학습 통신강좌 등을 운영하고 있다.# 2018년 3월까지 정식명칭은 학교법인 일본방송협회학원이었으며, 2018년 4월부터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 사회복지법인 NHK 후생문화사업단 - 일본방송협회(NHK) 및 NHK 자회사와 연계하여 사회복지사업 등을 담당하는 사회복지법인이다.#
12.1.3.1. 복리후생단체
- 일본방송협회건강보험조합 - 일본방송협회(NHK) 및 NHK 자회사의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건강진단업무 등을 하는 단체이다.#
- 일반재단법인 일본방송협회공제회 - 일본방송협회(NHK) 및 NHK 자회사의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복리후생사업을 하는 비영리법인이다.#
12.2. 임의단체
일본방송협회(NHK)와 관련이 있으나, 법인격 단체는 아닌 임의단체로 분류되어있다.#- NHK 도쿄 어린이 합창단 - 사무국은 NHK 방송센터(본부)에 위치해있다.#
13. 反NHK 세력
13.1. NHK로부터 국민을 지키는 당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NHK로부터 국민을 지키는 당#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NHK로부터 국민을 지키는 당#|]] 부분을 참고하십시오.타치바나 타카시가 만든 정당으로 NHK를 부수자는 슬로건을 내걸고 수신료 납부 거부 운동과 NHK에서 벌어진 범죄 현황 등을 밝히고 있다.
이름답게 강력한 反NHK를 모토로 요금징수를 피하는 방법부터 재판에서 이길 수 있는 방법, 재수없게 NHK로부터 재판에 걸려 곤란해 하고 있는 시민들을 무료로(!) 도와주고 있다. 원래 이 사람이 NHK 직원이었다가 내부 횡령을 고발해 반쯤 강제로 퇴직했고 이때부터 反NHK, 수신료 거부 투쟁을 벌이다가 결국 당까지 만들어 출마하게 된 것.# 이 정치인의 다른영상의 사례지만 재판에서 38만 엔의 미납 수신료에 대해 일정부분은 징수를 인정하나 일정 부분은 인정할 수 없다는 판결이 나와 결과적으로 38만 엔에서 8만 엔으로 줄어든 사례가 있었다. 그러나 NHK는 무슨 패기인지 그대로 38만 엔의 납부 통지서를 보내왔다. 빡친 이분은 NHK에 직접 따지러 갔더니 숨어서 아무런 답변도 못해주니 돌아가라고 배째라식 대응을 하길래 못간다, 그럼 경찰을 불러라고 해도 그냥 대꾸도 안하고 얼굴도 안내비치는 치졸함까지 보여줬다. 힘없는 시민들 앞에선 집요하게 돈을 뜯어내려고 하면서 막상 이렇게 힘있고 똑똑한 사람이 나서면 소인배스러운 모습을 보인다. 일본에서 NHK수금원 때문에 골치아픈 사람들은 참고해보면 좋을 듯하다.
수신료에 대한 반감이 일본 시민들의 공감을 많이 사긴 했는지, 타치바나 타카시의 '폭풍의 당'은 2019년 7월 21일에 열린 제25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 정당 지지율 2%를 넘어서 의석을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2019년 선거에서 N국 소속으로 유일하게 당선된 비례대표 1번 타치바나 타카시 당 대표의 정견발표회 풀영상. 더쿠에서 이 영상을 본 글이 올라왔는데, "불륜! 노상! 카섹스! 라고요!"[143]를 타치바나 타카시가 여러번 반복(거의 3분에 한 번 꼴로 나온다)하는 것이 웃기다는 반응. 또한 "NHK 수신료 징수원이 집에 찾아오면 내 이름(타치바나 타카시) 대라"라고 한다거나, "타치바나한테 전화합니다?!"를 외치면 NHK 수신료 징수원을 꺼지게 할 수 있다, "NHK 욕하는 방송을 NHK에 출연해서 할 수 있네요" 등의 발언이 화제가 되었다.[144]
| |
| 2019년 제25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최고의 짤방으로 등극한 짤방 |
13.2. 그 외
DHC- 한때 존재했던 반NHK 세력이자 혐한 기업. 회장 요시다 요시아키가 "(우리 회사의 인종차별을 문제 삼은) NHK는 일본의 적이다. 때려 부숴야 한다!!"라는 발언을 한 게 그 증거다.# 그러나 해당 발언으로 인해 회장은 오히려 일본 내에서도 '지능적 친한파'이자 '지능적 NHK 홍보대사'라는 욕이란 욕을 다 먹었다. 그럼에도 아직도 정신 못 차렸는지 혐한 마케팅을 일삼아 오다 결국 경영 악화로 인해 친한/친글로벌 금융 기업인 오릭스 그룹에 인수되는 엔딩을 맞이하고 말았다. DHC의 회장였던 요시다 요시아키는 오릭스의 경영진에 의해 해고된 건 물론 덤이다.
14. NHK배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NHK배#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NHK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5. 여담
- 약칭과 정식 영문 명칭이 따로 노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영어 저작권 표기 등에서도 "NHK (Japan Broadcasting Corporation)[145]"라고 표기하는데, 일본인이라면 자국어 발음을 로마자로 옮긴 뒤 줄인 것임을 바로 알 수 있지만[146] 외국인 입장에서는 NHK가 무엇의 약자인지 어리둥절해질 수밖에 없다.
- NHK의 로고는 5번 바뀌었다. 1925년 일본방송협회 설립과 함께 만들어진 로고가 있고, 패전 이후 약칭을 NHK로 정하면서 쓰이기 시작한 로고, 1963년부터 1994년까지 쓰이던 각진 로고도 유명하지만, 1995년부터 2020년 3월까지 썼던 달걀 로고가 압도적으로 유명하다. 워낙 특이한 모양새라서 패러디도 자주 됐었다. 그러나 2020년 3월부터 다시 달걀 모양을 없앴다.
- 아베 내각(특히 2기 내각이후) 들어 햐쿠타 나오키 같은 친정부 우익 인사들을 배치하는 등, 친정부적 성향/우경화/국영방송화가 상당히 강해졌다. 특히 아베 내각에서 아베정부를 노골적으로 편드는 행위로 인해 일본 내 보수 언론도 비판을 하고 있다.# 다만, 이는 아베 내각 집권기간 한정이며, 시사/보도와 관련 없는 프로그램은 대개 아무 영향이 없는 듯하다. 정작 그렇게 NHK 장악에 성공했던 아베는 2020년 퇴임했고, 스가 요시히데 총리의 과도기를 거쳐 기시다 내각이 출범한 이후로는 이전보다는 중립적이 되었지만 여전히 중도 보수를 견지하고 있다.[147] 그나마 민방보다는 낫다... 수준.
- 백괴사전에서는 왜국 포장 협회라고 하고 있는데, 이는 방송(放送)과 포장(包装)이 일본어로 동음이의어(ほうそう)인 것을 이용한 것이다. 내용 또한 상당히 아스트랄한데, NHK가 일본의 택배·통운·포장 이사·도로 포장을 독점하고 있다고 하고, NHK가 꿈의 직장이라고 하고 있다. 그런데 정작 도로 포장은 일본어로 舗装(ほそう)라고 하고, 방송과 포장(包装)과 동음이의어가 아니지만 장음 하나 차이로 뜻이 갈린다. 즉 이 경우는 발음의 유사함을 이용한 것.[148]
- 노조의 성향이 강해서, 자민당과 원수였던 시절도 있었다. "방송 중립성을 지키라"라는 말이 자민당 의원들 입에서 나올 정도. 그래서 종종 넷우익으로부터 NHK 민영화론이 제기되곤 하는데[149] 자민당에 우호적인 신문사들(산케이 신문, 요미우리 신문)도 방송사를 운영중이다. NHK를 민영화시키면 이들 신문사들도 손해를 보기 때문에 앞으로도 NHK가 민영화될 일은 없어보인다. 일본의 인구수는 정체 내지 감소세이고, 경제성장도 정체상태이기 때문에, 광고시장도 정체되어 있다. 그나마 성장하고 있는 분야도 인터넷이나 케이블TV로, 신문광고는 매년 감소세인데다가 지상파와 라디오 광고는 조금씩 하향세를 타고 있다. 그런데 이런 상황에서 NHK가 갑자기 민영화되면 그나마 줄고 있는 파이를 NHK가 나눠먹기 때문에 기존 민영방송사로써는 손해를 볼 수밖에 없고, 당연히 진보적인 성향의 신문사가 아닌 보수적인 성향의 신문사라도 NHK 민영화 주장에 대해 우호적일 리가 없게 되는 것이다.
* 몬스터 같으면서도 익살스러운 마스코트 '도모군(どーもくん)'이 유명하다. 어째서인지 영미권 인터넷에서 밈으로도 알려져있다. 토끼할배(うさじい)[150]가 사는 굴[151]에서 식객으로 거한다는 설정이다. 여친은 족제비(たーちゃん, 타쨩)다. 단편 애니메이션과 게임('도모군과 이상한 텔레비젼')도 있다. 한국에서는 투니버스에서 한국어 더빙으로 방송하기도 했으며, 이후 니켈로디언에서도 재방영하였다.
- 일본 방송국 중에서 엔드 사인이 인상깊기 때문인지, 아예 2ch에서 어떠한 이벤트 혹은 사건이 끝나버렸다 정도를 의미할 때 쓰이는 AA네타로 정착되어버렸다. 보통 프로그램이 끝날때 終(혹은 히라가나로 훈독 おわり)라는 글자와 함께 밑의 줄 아래로 '制作・著作 NHK'라는 글자가 새겨진 엔드 사인이 나온다.# 2CH에서 AA로 쓰일 때는 글자가 넓어보이게 하기 위해 終자를 糸冬로 늘여쓴다. 해당 표시는 2021년 4월에 없어졌으며, 이후 제작되는 프로그램부터는 '終' 표기 없이 '制作・著作 NHK'라고만 표시한다.
- 일본 지상파 TV 방송국 중에서 유일하게 방송 시작할 때와 끝날 때 기미가요를 틀어준다.
- 일본 방송계가 저작권, 전송권 등의 문제가 까다롭다보니 인터넷을 통한 스트리밍 서비스를 하지 않다가 최근에서야 라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개시했는데, 그것도 일본 내에서만 접속가능. 이는 NHK플러스도 마찬가지. 그래도 Radiko와는 달리 로케이션까지 따지지는 않으므로 VPN만 사용하면 해외에서도 접속 가능하다.
해외에서도 자유롭게 청취할 수 있는 영국의 BBC와 정반대되며[152][153], 해외에서도 라디오 청취가 가능한 한국의 KBS와도 많이 대비된다.[154] 단, 이 문제에서 국제 단파방송인 NHK 라디오 일본은 당연히 예외. 특히 NHK 월드 프리미엄의 다시보기도 뉴스 프로그램만 제공된다.
- NHK 중파방송의 음질은 중파방송 치고는 수려한 편이다. 컴프레싱 처리가 너무 많이 들어간 서유럽과 KBS의 중파방송과는 다른 대목.
- 골든 위크라는 단어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방송국이기도 하다. 심지어는 이니셜인 GW조차 일절 사용하지 않는데, 골든 위크라는 표현이 영화업계에서 생겨난 말인지라 간접홍보의 우려가 있어 골든 위크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는다고 한다. 그 대신 "5월의 대형연휴"라고 일부러 풀어서 쓴다.
- 위와 같은 맥락에서 화학조미료란 단어를 만든 곳도 다름아닌 이 방송국이다. 아지노모도라는 상품명을 쓸 수 없었기 때문에 만든 단어인데, 1980년대 이후 해당 단어가 부정적인 어감으로 바뀌면서 NHK도 결국 '\감칠맛 조미료'(うま味調味料)란 단어로 다시 한번 순화했다. 오히려 지금은 '화학조미료'란 말을 방송국 내에서도 쓰지 못하게 한다.
- 북한 관련 소식에 밝다. 국내 언론 보도에 NHK 보도가 매우 애용되는 수준. 심지어 2006년 월드컵 당시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했을 때 1시간도 되지 않아 뉴스 속보를 전했고 30분 뒤 이를 인용해 SBS가 국내에서는 제일 처음으로 속보 자막을 내보냈을 정도.[155]
- 2016년 2월 7일의 북한의 미사일 발사때에는 발사[156] 3분만인 오전 9시 34분에 뉴스를 시작하고[157] 그로부터 1분후인 오전 9시 35분에 낙하예상지역인 오키나와현 나하시, 미야코지마시, 이시가키시의 항공자위대 기지에 깔린 라이브카메라 영상을 내보내는 위엄을 보여줬다.자세한 사항은 여길 참고.
- 노홍철이 MBC의 '자체발광'에서 '한국어로만 해외여행이 가능할까?'라는 기획을 찍은 적이 있는데, 이때 엉덩이 씨름을 하다가 NHK 시즈오카 방송국의 지역 뉴스에 등장한 적이 있다. 링크는 여기이며, 노홍철은 1분 9초 쯤에 나온다. 초등학생에게 패배했다.[158]
- 2009년 5월, 주일미군 기지인 아카사카 프레스 센터 부지의 일부를 40년간 소유하고 국가에 임차했던 사실이 밝혀지기도 했다.
- 2013년 아키히토 덴노의 80세 기념 발언들을 일부 편집해 방송하여 일본 내에서 논란이 일었다.
- 2014년 임명된 낙하산 사장의 선례가 아니더라도 NHK는 예산, 인사 등에서 국회의 승인 절차를 거치기 때문에 정치적 관계에서 제대로 벗어나지 못한다는 비판이 나오기도 한다.
- 2014년 1월 25일에 모미이 카즈토 본사 회장이 취임사에서 "위안부는 어느 나라에나 있다"라고 주장하여 한국과 중국 등 이웃 나라에까지 파문을 일으켰다.
- 일본 네티즌들 사이에서 NHK의 진심(NHKの本気)이라는 용어와 태그가 존재하는데, 민방이 할 수 없는 일을 한다던지, 쓸데없는 고퀄리티로 다큐멘터리를 내놓는다던지, 카드캡터 사쿠라 같이 불순한 작품을 공영방송에서 방송한다던지, 어쨌든 뭔가 NHK스럽지 않는 행보나 기대 이상의 고퀄리티를 보여줄 때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이런 거#
- 방송 사이사이에 동일본대지진 피해자/지역의 복구를 응원하는 노래로 나오는 노래인 ‘꽃은 핀다’ (花は咲く) 라는 노래가 있다. 일본의 다양한 가수와 사람들이 다양한 형태로 부르는 걸 지속적으로 방영하고 있으며, 그 중에는 야마데라 코이치・미즈키 나나가 부르는 버전도 존재한다. 해당 버전은 2022년 시점에는 그렇게 방영 되지는 않는다. 해당 버전은 일단 노래는 둘째치더라도 비디오영상이 일본 애니메이션 올스타를 방불케 할 정도로 비범하다.[159][160] #
-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긴 한데, 건물 지하에는 천년 전의 옛 배수로 유적이 대거 발견되자, 이를 통째로 보존해버렸다.
- NHK에서 일하던 도사카 준이치 아나운서가 2003년부터 2007년 사이에 급격히 노화되어 주목을 끈 적 있다.
- 2019년 6월을 앞두고 NHK는 조직개편을 추진중에 아베 정권에 대해서 비판적인 제작부서를 손볼려는 의혹을 산적 있었다..#
- 새로운 연호(레이와)를 발표할 당시 연호가 쓰여진 액자를 수어 통역 화면으로 가려버리는 대형 사고를 쳤다. 이후 코토덴이 이 사고를 패러디해서 교통카드로 내놓았고, 순식간에 품절되는 등 한동안 놀림거리가 되었다.당시 영상
- 연봉이 높기로 유명하다. 무려 공무원 보다 연봉이 높다고 하는데 국회에서 어떤 의원이 NHK 간부에게 왜 이렇게 연봉이 높냐고 묻자 어버버 거리면서 우수한 인재를 발굴하기 위해 라는 답변을 했다. 질문한 의원은 너희들이 공무원보다 우수한 인재란말이냐? 라는식으로 화내자 결국 찍소리도 하지못했다. 일정 년도마다 급여를 삭감하고 있는 듯하지만 그래도 아직 높은 편이다.
- NHK 직원들은 기본적으로 수신료에서 급여가 지급되기 때문에, NHK 방송 프로그램의 대기실에 비치된 도시락은 외부 출연자들에게 사용되는 수신료(제작비)라서, NHK 직원들[161]에게는 해당 사항이 없다. 그렇지만, 만약 먹게 되는 경우에는 반드시 돈을 내고, (직원용)식당에 들고가서 먹어야 한다.##[162]
- 공영방송이어서 그런지 자사 아나운서를 비롯한 소속 직원들에 대한 사생활 보호가 철저하다. 대표적인 예로, 스즈키 나오코 아나운서가 임신으로 인해 2018년 10월에 뉴스를 잠시 쉰 적이 있고, 2019년 3월 말을 끝으로 출산휴가에 들어갔는데, 누가 봐도 날이 갈수록 배가 불러오는 것이 눈에 보임에도 처음부터 끝까지 스즈키 아나운서가 임신 및 출산으로 뉴스를 쉰다는 발표를 하지 않았다. 소속 아나운서를 포함한 직원들의 SNS 계정 같은 건 금지하진 않지만, NHK 직원 신분인 만큼 NHK에서 정한 SNS에 대한 가이드라인 규정을 반드시 준수해야 하고, 이에 따라 행동해야 한다.[163] 이러한 이유로 NHK 아나운서의 경우, 다른 방송사의 아나운서와는 달리 SNS 활동을 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164][165] 대외적으로 관심이 많은 이들의 정보는 그래서 주간문춘 같은 황색언론을 통해서나 종종 노출된다. NHK 아나운서 아무개가 결혼했다는 보도를 황색언론이나 스포츠 신문에서 하는데, 그에 대해서 꼭 따라붙는 NHK의 공식 멘트가 '사생활에 대해서는 대답하지 않습니다'라는 식이다.[166]
- 다만, 사내 부부가 생기면 해당 부부를 위해 휴무를 동일하게 지정해 주는 등 일종의 배려를 해 주는 부분은 있는 것으로 보인다. # 예컨대, 2023년 4월 개편과 맞물려 이노우에 유우키 아나운서와 결혼한 카와사키 리카 아나운서를 와쿠다 마유코 아나운서의 출산휴가 복귀와 함께 평일 NHK 뉴스 7 필드캐스터[167]로 배치한 부분 등.
- 2020년 3월 부터 인터넷을 통한 실시간 동시송신 방송을 시범 개시했다. 다만 한국처럼 영화나 일부 저작권이 있는 프로그램을 제외한 모든 방송이 전부 인터넷으로 재송출 되는 것과는 달리 역시 저작권이 빡센 NHK답게 일부 프로그램은 인터넷 송출이 안되는 경우도 있다고 하나, 지역국 자체 프로그램[168] 등 NHK 자체 프로그램인데도 송출이 안되는 경우가 있다. 역시 일본 거주지 IP에 한해서만 볼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사람은 우회를 통해서 시청을 할 수 있다. 우회 및 NHK 실시간 방송 시청 방법이 설명되어 있는 링크 다만, 국내에서는 대부분의 NHK 종합 텔레비전 프로그램 및 일부 NHK 교육 텔레비전 및 BS 프로그램이 NHK 월드 프리미엄을 통해 시청 가능하니 유료방송[169]에 가입해서 실시간으로 시청하는 방법도 있다.
- 2020년에 창궐하고 있는 코로나 19에 대해서 기존 재난방송의 명가 NHK라는 이미지와 정반대로 부실하다는 평이었다. NHK가 아베 정부에 비판적인 내용을 송출하다가 빠꾸를 먹은일을 생각해보면 윗선에서 눈치보기에 급급한 것이 아닌가하는 추측이 지배적이다.
- 한국인들에게는 홍백가합전이 가장 많이 알려진 프로그램이다. 일본 내에서는 기업이나 인물의 성공 드라마를 다큐멘터리 형식으로 제작한 프로젝트 X가 NHK 답지 않게 공전의 히트를 치면서 5년간 장수하는 프로그램으로 자리잡은 적이 있다. 한국에서도 수입돼서 방영 중이다. 근데 이런 류 프로그램의 특성상 애국심이 조금 있는데[170] 이걸 싫어하는 한국인들 때문에 마찰이 좀 있다.
- 히로시마 방송국에서 "만약 75년 전에 SNS가 있었다면?"이라는 주제로 가상인물 트윗을 했는데 여기서 우익들의 날조인 조선진주군 등을 연상시키는 내용(조선인이 전승국 행세를 하고 폭동을 일으켜 사람들을 공격한다는 내용) 등 혐한을 발산하고 있다.## 이에 민단측에서 인권 구제 신청하였지만, 히로시마 법무국은 "침범 사실이 있었다고까지는 판단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후 사과 없이 해당 트윗을 삭제했다.# 사실 종전 전후의 일본은 물론이고 현대까지도 남아있는 소문이므로[171] 어떤 의미에서 보면 고증을 따른 것이기도 하지만 아무런 설명도 여과도 없이 당시 퍼져있던 헛소문을 게시하는 것은 문제의 여지가 크다.
- NHK에서 방영하는 애니메이션은 오프닝·엔딩 크레딧 표기를 제대로 안 하기로 악명이 높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불명이지만 작화감독만 표기하고 총작화감독을 생략하는 경우가 많으며, 제작위원회 구성원 표기 또한 생략하는 편이다. 원작자 크레딧도 작가 이름만 표기하고 출판사와 연재잡지는 생략한다. 스태프 수가 많으면 일부 스태프 이름을 빼버리기도 한다. 그래서 NHK 애니메이션의 스태프롤 표기는 매우 부정확한 편이다. 특히 2016년 4분기부터 방영을 시작한 종합 TV 심야 애니메이션이 이런 경향이 심한 편이라 아예 오프닝·엔딩 영상을 NHK 방송판과 타 버전(VOD판, BD판, 해외판)으로 이원화하는 경우가 많다.[172]
- 2020년 도쿄 올림픽 개막식에서 와쿠다 마유코 아나운서가 대만 대표팀이 입장하는 순간 갑자기 고조된 억양으로 타이완데스!라고 하는 바람에 중국 내에서 갑자기 송출이 중단되었다. 중국 내에서 텐센트가 도쿄 올림픽 개막식을 독점적으로 송출하였는데 강제로 돌연 송출을 중단하자 시청자들이 텐센트에다 자기네 나라 대표팀이 나오는데 왜 멍청하게 송출을 끊었느냐고 분노하는 바람에 중국 본토 내에서 항의 댓글에 시달려야 했다.# 또, 올림픽 개최 반대자들을 돈을 받는다는 방송을 보내다가 조사에서 조작방송을 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 엔에이치케이 월드 재팬 뉴스 한국어판이라는 것이 있다.
- 산하 조직으로 도쿄 세타가야구 소재 NHK방송기술연구소가 있다. 방송국 산하이면서도 어지간한 전자 대기업 연구소에 맞먹는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아날로그 하이비전을 필두로 하여 세계 영상 기술 분야에서 입김이 세다.
- NHK for school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한국에서는 각 교과서 출판사들이 워크시트 및 영상 자료, 지원 프로그램을 직접 제공하는 것과 대비되여 NHK에서 직접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학교의 선생님들이 사용하는 만큼 각 영상 자료와 관련된 워크시트나 영어의 경우 대본, PPT까지 알찬 구성을 제공하는 것은 덤. 학생 또한 이용이 가능하며, 대한민국에서도 이용이 가능하다.
물론 한국에서 이걸 사용하는 사람은 없겠지만일본 내의 모든 교과서가 최신본의 경우 대응한다. # 또한 교육 방송으로 NHK E를 송출 중이다. 일본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강좌 또한 제공하고 있어, 한국어를 배우기 위한 강좌로 일본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고. 공영방송인 만큼 내용을 포함하여 전반적인 퀄리티가 우수한 편이다. NHK for school 처럼 직접 프린트 해서 할 수 있는 점 또한 장점으로 꼽힌다.
반대로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일본어 학습 강좌를 서비스 중이다. 이는 NHK에서 직접 제공하는 것은 아니고, NHK의 자회사인 NHK 엔터프라이즈가 제공하는 NHK World Japan[173]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인데, 일본어 강의에서도 활용할 만큼 매우매우 충실하다. 무엇보다 듣기 ~ 쓰기까지 모두 제공하며, PDF로 워크북을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다. 위에 상술하는 모든 서비스는 무료이다. NHK World Japan 자체는 이러한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것은 아니고, 영어로 제공되는 뉴스나 다큐멘터리, 한국어 VOD 등 많이 제공하니 가능하다면 한번씩 시청해 보는 것도 좋다.# 이 점은 1990년까지의 KBS 3TV처럼 대한민국에서 KBS와 EBS가 합쳐진 형태와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 QR코드 사용을 굉장히 좋아한다. 수도권 네트워크나 홋토 간사이 등 지역 프로그램 및 각종 교양 프로그램에 해당 QR코드를 인식시켜 NHK+로 다시보기를 하거나, 홈페이지로 접속하라는 등 유도하는 경우가 많다.
- NHK 본국(요요기 스튜디오) 건물 옆에는 방송체험 공간인 NHK 스튜디오 파크가 있었으나 코로나19 시국 장기화와 더불어 방송센터 재건축 공사 준비 등으로 인해 2020년 5월부로 조기 폐관되었다. 참고로 원래는 2026년에 폐관될 예정이었다.# 재개장은 신 방송센터 완공 이후(2036년 예정)에야 이뤄지며, 그 전까지는 당분간 NHK 방송 박물관과 NHK플러스 크로스 SHIBUYA가 스튜디오 파크의 기능을 대체한다.#
- 공영방송이란 태생적 한계 때문인지 영상물에 대한 검열과 통편집이 심한 편이다. 대개 폭력성이 높은 장면이 주요 검열 대상이라 한다. 이러한 검열로 피해을 본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빈란드 사가 애니메이션 1기 등이 있다. 이건 다른 나라의 공영방송 (KBS, EBS, BBC, PBS 등.) 또한 마찬가지.
- 1996년 사이트 아카이브 기록이 남아 있다. 1996년 11월 12일 아카이브
16. 둘러보기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d6d6d6><tablebgcolor=#ffffff,#1c1d1f>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운영 주체 | 방송국 | |
| 공영 · 공공 | |||
| NHK | TV | 종합 · 교육 | |
| 라디오 | 제1방송 (종합) · 제2방송 (교육) · FM (음악) | ||
| 민영방송 | |||
| 니시닛폰 신문 | TV | TNC (후쿠오카) | |
| 닛케이 신문 | TV | 방송망: TXN (종합) 방송국: 테레비 도쿄 (간토 / 키국) · 테레비 오사카 (간사이 / 준키국) · 테레비 아이치 (주부) ·TVQ (후쿠오카) | |
| 라디오 | 라디오 닛케이 (단파) | ||
| 마이니치 신문 ([[TBS 홀딩스|{{{#ffffff TBS 홀딩스}}}]]) | TV | 방송망: JNN (종합) 방송국: TBS 테레비 (간토 / 키국) · MBS (간사이 / 준키국) · RKB (후쿠오카) | |
| 라디오 | 방송망: JRN 방송국: TBS 라디오 (간토 / 키국) · MBS 라디오1) (간사이 / 준키국) · RKB 라디오 (후쿠오카) | ||
| 아사히 신문 | TV | 방송망: ANN (종합) 방송국: 테레비 아사히 (간토 / 키국) · ABC 테레비 (간사이 / 준키국) · KBC TV (후쿠오카) | |
| 라디오 | ABC 라디오1) (간사이 / 준키국) · KBC 라디오 (후쿠오카) | ||
| 요미우리 신문 | TV | 방송망: NNN (뉴스) · NNS (기타) 방송국: 닛폰 테레비 (간토 / 키국) · FYCS (간사이 · 주부 · 후쿠오카 외 / 준키국) | |
| 라디오 | RF 라디오 일본 (간토 / 독립국) | ||
| 주니치 신문 | TV | CBC 테레비 · 도카이 테레비 (주부) | |
| 라디오 | CBC 라디오 · 도카이 라디오 (주부) · ZIP-FM (아이치) | ||
| 후지 미디어 홀딩스 (산케이 신문) | TV | 방송망: FNN (뉴스) · FNS (기타) 방송국: 후지 테레비 (간토 / 키국) · 간사이 테레비 (간사이 / 준키국) | |
| 라디오 | 방송망: NRN 방송국: LF 닛폰 방송2) (간토 / 키국) | ||
| 기타 | TV | 독립방송협 · 민교협 | |
| 라디오 | QR 분카 방송2) 3) OBC 라디오 오사카 JFN (FM 도쿄 / FM 오사카 / FM 아이치 / FM 후쿠오카) JFL (J-WAVE / FM 802 / ZIP-FM / CROSS FM) MegaNet (InterFM8974) / FM Cocolo / LOVE FM 76.1) 친목단체: 화요회 · 전국 FM 연합 기타: 커뮤니티 FM (공동체 라디오) | ||
| 폐국 | 방송대학5) · i-dio · NOTTV · 아이치 국제방송 | ||
| 각주 | 1) JRN, NRN 동시 가맹. 2) NRN 공동 키국 3) 후지산케이 소속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4) 2020년 9월부터 JFN 특별 가맹. 5) 1984년부터 2018년까지 간토 지역에서 지상파 송출 | }}} }}}}}} | |
| | |||
| {{{#!wiki style="margin:0px -11px -6px; min-height:calc(1.5em +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0px; word-break:keep-all" | CNN International | BBC News | FOX NEWS |
| Euronews | Deutsche Welle | France 24 | |
| RT | CCTV-4 | CGTN | |
| YTN WORLD | NHK 월드 JAPAN | Al Jazeera | |
| DD India |
[1] 일본방송협회(NHK)에서는 방송법 및 방송법 시행 규칙에 정의되고 있는 '자회사(관련 사업 지주회사를 포함한다.)', '관련회사', '관련공익단체' 3개를 합쳐서 '관련단체'라고 총칭하고 있으며#, 이들 관련단체는 각각의 사업분야에서 일본방송협회(NHK)의 업무를 보완·지원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자세한 설명은 일본방송협회#s-11를 참고할 것.[MHD] NHK에서는 NHK 미디어홀딩스의 약칭을 MHD(NHK Media Holdings, INC.)로 표기하고 있다.#[MHD자회사] (주)NHK 미디어홀딩스가 100%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MHD자회사] (주)NHK 미디어홀딩스가 100%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MHD자회사] (주)NHK 미디어홀딩스가 100%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MHD자회사] (주)NHK 미디어홀딩스가 100%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MHD자회사] (주)NHK 미디어홀딩스가 100%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8] 최대주주는 51.28%의 지분을 보유한 일본방송협회(NHK)이다.#[9] 최대 주주는 일본방송협회(NHK)(보유지분 78.0%)이다.#[10] 일본방송협회(NHK)가 100%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11] 최대 주주는 NHK 출판(보유지분 33.6%)이다.#[12] 최대 주주는 NHK 출판(보유지분 20.0%)이다.#[13] 최대 주주는 일본방송협회(NHK)(보유지분 85.1%)이다.#[14] 일본방송협회(NHK)가 100% 지분을 보유한 자회사로 설립되었으며, 추후 민영방송사의 출자도 받을 예정이었으나#, 향후 전망은 불투명한 상태이다.#[15] 최대 주주는 49.9%의 지분을 보유한 일본방송협회(NHK)이다. 일본방송협회(NHK) 이외의 주주로는 5대 민방(의 지주회사 또는 BS방송 자회사)과 WOWOW가 있다.#[16] 미국 법인#[17] 유럽 법인#[청산수속] 현재 청산수속 진행 중#[19] 일본방송협회(NHK)를 포함하여 5대 민영방송사(의 BS방송 자회사), 그밖의 BS방송 회사, 그리고, B-CAS 카드를 제작하는 도시바, 파나소닉, 히타치 제작소가 주주로 있다.#[20] 舊·NHK서비스센터(존속법인), 舊·NHK인터내셔널, 舊·NHK엔지니어링시스템, 舊·NHK방송연수센터. 2023년 4월 1일, NHK재단으로 재편 및 발족.#[21] 2023년 4월 1일, 일반재단법인 NHK재단 산하 자법인으로 편입.#[22] 학교법인#[23] 사회복지법인#[24] 일본방송협회(NHK)와 관련이 있으나, 법인격 단체는 아닌 임의단체로 분류되어있다.#[25] 사무국은 NHK 방송센터(본부)에 위치해있다.#[26] 요요기공원(代々木公園) 남쪽에 있기 때문에 본사를 흔히 '요요기 방송센터'라고 부른다. NHK 아침뉴스나 정오뉴스 오프닝 타이틀에 수풀이 우거진 공원이 나오는 곳이 바로 요요기공원으로, KBS가 여의도공원 라이브캠을 켜놓듯 NHK도 요요기공원을 24시간 라이브하고 있다. (사실 NHK쪽이 원조다. 지진 등 재난대응을 위해 일본 전국에 라이브캠을 켜놓고 있다.)[27] 2023년도 기준.#[28] 한국으로 치면 경상남도에 KBS, MBC는 있지만 SBS 계열 가맹국이 없어서 부산의 KNN이 경남까지 담당하는 것과 비슷하다.[29] 재난방송 기준으로 영어, 중국어, 한국어, 포르투갈어. 스페인어가 아닌 포르투갈어가 제공되는 이유는 일본계 포르투갈인 동포가 일본에 많기 때문. 물론 국제 라디오 커버리지는 이보다 훨씬 많은 언어로 지원한다.[30] 캐스터 야마모토 히로시 CP는 "에고이즘"이란 표현까지 써 가며 클로징에서 일본의 현대 역사 인식을 강하게 비판했다.[31] 참고로 구 공산권 국가들은 공영이 아니라 국영이다. 중국은 광전총국 산하에 중국중앙전시대(CCTV)가 있고 북한은 내무성이 조선중앙방송을 관할한다.[32] 트럼프는 뉴욕 타임즈나 기존 레거시 미디어들을 '가짜 뉴스'라고 치부한다. 2025년 5월 21일에도 ABC 기자에게 "ABC 당신 가짜 뉴스 방송이지?"라고 막말을 퍼부었을 정도.[33] 한자와 나오키 드라마에서 '출향(出向)'이 갖는 의미를 생각해보면 된다. 해당 드라마처럼 자회사로 출향한 것은 아니지만, 1993년 당시, 보도 프로그램 캐스터, 치프 프로듀서, 해설주간(해설위원) 등의 경력이 있고, 본부 국장급 직책(본부 보도국장 내지는 본부 보도국 (국장급)특별주간 또는 해설위원이 속해있는 해설위원실을 총괄하는 직책인 해설위원장 등)으로 가는 길이 탄탄대로 내지는 떼어 놓은 당상 가까웠던 인사를 본부 국차장급에 해당되는 지역 방송국장(지역 방송국은 권역을 총괄하는 거점 방송국의 휘하에 있어서 본부 국장급에 해당되는 거점 방송국장의 직급보다 한 단계 낮다.)으로 인사이동 시킨건 영전의 탈을 쓴 좌천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NHK 시즈오카 방송국장을 역임한 이후 별다른 직책을 맡지 않는 것을 보면, 당시 만57세 정년을 맞이하면서 그대로 퇴직한 것으로 보여진다. 참고로, NHK는 고위급 간부가 정년 무렵 이후의 시점에 퇴직하면, 이들을 그저 퇴직자로 취급해서 흘려보내지 않고, 이들 중에서 능력이 있는 이들을 어떻게든 다시 활용하기 위해서 비록 낙하산 인사라는 소리를 들을지라도 NHK 자회사의 상근 임원이나 대표이사로 발탁하는 일이 흔히 있다고 한다. 그렇지만, 야마모토 하지메에게는 그러한 제안조차 없었던 것을 보면, NHK 상층부에서는 그를 지역 방송국장에 임명하면서 아예 NHK에서 내칠 생각이었던 것으로 보여진다. 정년 퇴직 후에는 고향인 시즈오카현에서 시즈오카현문화재단 부이사장을 맡으면서, 시즈오카현 컨벤션아트센터 회장직도 맡았다.# 이후, 2006년에 세상을 떠났다.[34] 지역 방송국장은 말 그대로 지역 방송국이고, 거점 방송국보다 규모가 작으니까 현장 제작 업무도 겸하는 게 가능하다 생각할 수 있지만, 지역 방송국장은 지역 방송국의 전체 업무를 총괄하는 위치에 있고, NHK 내부적인 업무 이외에도 NHK의 해당 지역을 대표해서 여러 대외 업무까지 담당하기 때문에, 현장 제작 업무까지 맡는 건 사실상 불가능하며, 현장 제작 업무에서 멀어질 수밖에 없는 직책이다. 반면에, 같은 직급인 본부 보도국의 국차장급의 직책(치프 프로듀서, 해설위원, 보도국 국차장 등)은 현장 제작 업무를 계속 하는 게 가능하며, 현장 제작 업무를 총괄하는 역할도 담당한다. 참고로, 지역 방송국장이나 본부 국차장급의 직책 등은 직급은 같다. 그렇지만, 역할이 완전히 다르고, 더군다나 야마모토는 현장 제작 업무로 커리어를 쌓아 올렸던 인사였기 때문에, 지역 방송국장으로 발령받은 건 그의 커리어를 고려한다면 표면상의 영전일 뿐, 사실상 좌천으로 비칠 수밖에 없다.[35] 도쿄 - 오사카 - 나고야 다음 네 번째로 설치된 방송국이라 JODK라는 콜사인이 붙었다.[36] 이 때문인지 NHK가 가진 호출부호 중 유독 JODK만 콜사인이 아직도 결번이다. 다만 JODK를 제외한 다른 조선방송협회 지방국이 쓰던 JO- 호출부호는 현재 다른 NHK 지방국에 모두 배정되어 있다.[37] 여담으로 이 4자리 콜사인의 첫 글자인 J는 일본(Japan), 세 번째 글자는 개국 순서(A, B, C, D…)를 뜻하는데, 두 번째의 O와 마지막의 K에는 딱히 아무런 의미도 없다고 한다(…). 일본 내에서도 무엇의 약어인지 궁금해하는 사람들이 종종 있고 K는 협회(協会, Kyōkai)를 의미한다는 가설을 제시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다만 라디오를 통해도 소리가 명료하게 잘 들리는 알파벳을 끼워넣었을 뿐이라는 게 정설.[38] 다만 디지털 분야 기술 또한 여전히 명가의 위치다. 디지털 전송 기술을 제외하고 기존 아날로그 분야의 노하우를 그대로 이식 가능한 분야들이 많기 때문. 디지털 위성방송은 2000년에 BS 디지털로 시험방송을 하긴 했다.[39] 또한 한국의 경우, 2002년 월드컵을 대비해 HD방송을 2000년부터 일찍 시작한 편이다. 미국(워싱턴 D.C.의 NBC 가맹국 WRC-TV를 선두로 가장 먼저 HD방송 시대를 열었지만 여러 사정으로 전국화 지연)과 유럽(DVB-T 전송 방식인 COFDM의 당시 기술적 한계로 HD방송 개막 지연) 조차도 2004년 쯤 돼서야 본격적으로 HD방송을 시작했다.[40] 뉴스 클립은 1997년부터 시청이 가능했다.[41] 일본의 저작권법은 외국에 비해 다소 폐쇄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42] NHK 자체적으로도 이 문제에 관심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인터넷 송출 초창기인 2000년도에 이미 BS23 같은 국제뉴스 보도에서 BBC 온라인 페이지의 인터넷 송출을 스튜디오에 노트북 갖다놓고 실시간으로 보여주며 소개했을 정도.[43] 그래도 뉴스 프로그램이나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은 4만 4천 개나 남았다.[44] 사실 이 부분은 한국도 마찬가지였는데 1970년대 초, 중엽까지 비디오 테이프의 개당 가격이 비싸다 보니 재활용해서 쓰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1986 서울 아시안 게임 이전까지 TV 프로그램 촬영에 쓰는 비디오 테이프를 다시 돌려 쓰는 것이라는 개념이 팽배해있었다. 그래서 1980년대 이전의 한국의 TV방송 또한 자료 보존이 잘 안 되어 있다.[45] 그리고 프랑스나 독일같은 몇몇 나라들만 보존을 잘했지, 영국 BBC같은 방송사들 조차 테이프 관리는 생각보다 부실했다. 어쩔 수 없는 아날로그 시대의 문제점이라고 생각해야된다.[46] 이는 모든 자사 채널에 상업광고를 일절 하지 않고 분리징수가 원칙인 NHK와는 달리 KBS는 1994년 이후로 '수신료(전기료와 합산 청구)+상업광고(2TV)'라는 기형적인 수익구조를 고수하기 때문이다. 심지어 1994년 이전에는 1TV에서 수신료와 (제한적이지만) 상업광고를 함께 받았었다.(이때는 KBS도 수신료 징수 체계가 분리징수 체계였다.) 다만, 2TV의 광고 수입도 나날이 줄어들고 2023년 윤석열 정부가 수신료 분리징수 시행령을 공표한 상황이라 KBS가 이런 기형적인 수익 구조를 언제까지 유지할 수 있을지는 불투명한 상황이다.[47] 또한 프랑스의 프랑스 텔레비지옹은 수신료를 비싸게 받으면서, 상업광고도 동시에 병행하고 있다..."공영방송사"라는 어쩔 수 없는 특성이기도 하다.[48] 사단법인 일본방송협회(1949~1950), 특수법인 일본방송협회(1950~1956)[49] 후쿠치 회장 이후부터 외부 인사가 NHK 회장으로 취임하고 있다.[50] 일본국 방송법 제91조 제5항의 규정에 따라 기간방송의 계획적인 보급 및 건전한 발달을 도모하기 위해서, 1988년 10월 1일자로 우정성 고시 제660호로 고시되었다.[51] 일본국 전파법 제7조 제5항의 규정에 따라 총무대신이 공평하게 전파를 이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를 정하거나 지체없이 변경하기 위해서, 1988년 10월 1일자로 우정성 고시 제661호로 고시되었다.[52] 기간방송보급계획 및 기간방송용주파수사용계획에 나온 각 방송 종류별(중파방송, 단파방송, 초단파방송, 지상파 디지털 TV 방송(종합/교육)) 방송대상지역은 일본방송협회(NHK)와 민간방송(방송기간사업자)이 각각 다르게 정해져 있다. NHK의 경우, 교육계통의 채널(교육 텔레비전, 라디오 제2방송)은 방송대상지역이 기본적으로 일본 전국이고, 종합계통의 채널(종합 텔레비전, 라디오 제1방송, FM방송)은 방송대상지역이 기본적으로 각 도도부현(都道府県)있다.(근거 - 일본국 방송법 제15조, 일본방송협회(NHK) 정관 제3조, 기간방송보급계획(1988년 우정성 고시 제660호), 기간방송용주파수사용계획(1988년 우정성 고시 제661호)) 그렇지만, NHK는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권역, 방송 제작 등을 포함한 실질적인 운용에 있어서는 민영방송의 방송대상지역에 준하는 형태로 운용된다. 예를 들면, 공영방송인 NHK 오사카 방송국의 경우, 방송대상지역이 오사카부이고, 민영방송인 아사히 방송 테레비/마이니치방송/간사이 테레비/요미우리 테레비는 방송대상지역이 긴키 지방 전체를 관할하는 긴키광역권으로 정해져있다. 그렇지만, NHK 오사카 방송국은 지역 방송 프로그램을 제작할 때, 긴키 지방을 방송권역으로 방송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며, 오사카부를 방송권역으로 방송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경우는 소수에 가까운 수준이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서, NHK 오사카 방송국은 방송대상지역이 오사카부로 정해져있으나, 실질적으로는 방송대상지역이 긴키광역권에 준하는 형태로 운용되고 있다.(교토, 고베, 와카야마, 나라, 오츠 방송국은 지역 방송으로 배정된 방송시간 범위 중에서 90% 정도를 거점방송국인 오사카 방송국에서 수중계하고, 나머지 10% 정도만 자체방송을 한다.#)[53] 이전에는 홋카이도에 9개 방송국이 존재했지만, 1988년 7월 22일 부로 조직개편을 단행하면서, 홋카이도의 방송 권역을 7개 방송국 체제로 개편했고, 기존의 2개 방송국(오타루, 이와미사와)은 지국보다 격이 낮은 보도실로 강등되어 삿포로 방송국의 하부 조직으로 흡수되었다.# 이후 2015년 NHK의 조직개편으로, 각 방송국에 있는 보도실을 지국으로 일괄 승격하면서 오타루 보도실, 이와미사와 보도실은 오타루 지국, 이와미사와 지국으로 승격되었다.## 다만, 보도실에서 승격된 지국들은 기존의 업무(취재 및 보도 등)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만큼, NHK 내부적으로는 원래 방송국이었다가 강등된 지국과는 별도로 구분하고 있다.## 사실 1988년 당시, 홋카이도의 조직개편은 두 개의 방송국(오타루, 이와미사와)을 보도실로 강등하는 선에서 끝내는 게 아니라, 오비히로, 무로란, 키타미 세 곳의 방송국을 각각 쿠시로, 삿포로, 아사히카와 세 곳의 방송국으로 통폐합하고 각각의 방송국의 하부조직인 지국으로 강등하려고 계획했지만, 지역 주민들의 강한 반발로 실행하지 못하고 7개 방송국 체제로 개편하는 선에서 조직개편이 마무리 되었다.# 30여 년이 지난 후 홋카이도 지역에서 인력 감축과 동시에 방송 권역을 재조정하려는 움직임이 있었으며, 4개 권역으로 재편하면서 방송국도 4개로 축소하려고 했지만, 관할 지역이 넓어진다는 점, 해당 지역 주민들의 반발 등으로 인해서, 방송국은 명목상으로 존치하되 아나운서부문, 편성부문을 4개 권역에 맞춰서 통폐합으며, 프로그램 제작은 공동제작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다만, 30여 년과 다른 점이 있다면, 당시 쿠시로 방송국은 오비히로 방송국을 흡수하는 계획이었고 당시에는 쿠시로시의 인구가 22만 명 6천 명, 오비히로시는 16만 5천 명 정도여서 쿠시로가 우위에 있었다. 하지만, 30여 년이 지난 후, 두 지역의 인구는 오비히로시가 16만 1천 명이고 쿠시로시는 15만 5천 명이 되면서 오비히로의 우위로 역전되었다. 게다가 쿠시로는 바다와 가까운 곳이라서 거대지진이 발생하게 될 경우 대처하기 어렵다는 점이 단점으로 부각되었고, 결국 쿠시로 방송국은 오비히로 방송국에 아나운서 부문, 편성 부문을 완전히 넘겨주고 명목상의 방송국으로만 남게 되었다.# 한편, (사실상 통합 대상이 된)방송국이 소재한 무로란시, 키타미시, 쿠시로시의 자치단체장들은 NHK의 이러한 움직임에 대해 부정적인 반응이었으며, 임원 면담을 요청할 정도였다.#[54] 이전에는 야마가타현, 나가노현, 아이치현, 시즈오카현, 기후현, 효고현, 히로시마현, 돗토리현, 야마구치현, 나가사키현에 해당 도도부현청 소재지를 포함해서 2개의 방송국이 존재했고, 후쿠시마현, 아오모리현에 해당 도도부현청 소재지를 포함해서 3개의 방송국이 존재했다. 해당 방송국들은 1970년대 초반까지 일반적인 방송국처럼 운용되었지만 1970년대 중반~1980년대에 걸쳐서 아나운서부문, 편성부문, 제작부문이 해당 도도부현청 소재지의 방송국으로 흡수되면서 명목상의 방송국으로만 존재하다가 1988년 7월 22일 부로 조직개편을 단행하면서 지국으로 강등되었다.# 기존 방송국으로 있던 사옥들은 강등 이후에도 지국 사옥으로서 활용되거나 NHK 문화센터가 입주해 있었다.# 그러다가 2010년대 이후부터 NHK의 경영 합리화, 지국의 업무기능 축소, NHK 문화센터 구조조정뿐만 아니라, 기존 사옥의 노후화와 맞물리면서(기존 사옥들은 지국으로 강등되기 훨씬 이전에 방송국으로서 지어진 사옥이라, 최소 60년 가까이된 사옥들이 대부분이다.), 대다수의 지국들은 기존 사옥 및 부지를 매각하고, 지역 중심지에 위치한 빌딩의 일부를 임차해서 입주하고 있다.## 다만, 일부 지국은 여전히 기존 사옥을 사용하고 있다. 그렇지만, 지국의 기능이 보도분야 업무 정도로만 남아있는 상태라서, 현재의 흐름대로 간다면, 앞서 언급한대로 흘러갈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참고로 방송국이었다가 강등된 지국의 경우, 1988년 조직개편 직후에는 지국장 직책을 임명했으나, 2007년 6월, NHK의 조직개편과 동시에 인사이동을 실시하면서 지국을 총괄하는 직책인 지국장을 임명하지 않고, 상위 조직(방송국)의 장(長) 방송국장이 지국장 직책을 겸하는 형태(사무취급)로 바뀌었다고 한다.# 다만, 일부 지국(구.방송국)의 경우, 종전대로 지국장 직책을 임명해왔지만#, 2010년대 후반부터 NHK의 경영 합리화로 지국(구.방송국)의 업무를 상위기관인 방송국에 집약하면서, 지국에는 일부 업무(주로 보도분야 업무)만 남게 되었다.# 이에 따라, 지국장 직책을 임명하지 않고, 상위 조직(방송국)의 장(長)인 방송국장이 지국장 직책을 사무취급 형태로 겸하고 있다.#[55] 이전까지는 FM 라디오 채널에서만 지역 자체 방송을 했지만, 2004년 10월부터 디지털 지상파 텔레비전 채널을 개국하면서 텔레비전에서도 지역 자체 방송을 시작했다. 다만, 이 시기에는 아날로그 지상파 텔레비전 채널, 디지털 지상파 텔레비전 채널 둘다 있던 시절이었고, 지역 자체 방송은 디지털 지상파 텔레비전 채널에서만 실시했고, 아날로그 지상파 텔레비전 채널에서는 실시하지 않았다. 2011년 7월 아날로그 지상파 텔레비전 채널이 전면 중단되고, 디지털 지상파 텔레비전 채널로 완전히 전환되면서 본격적으로 지역 자체 방송이 실시되었다.[56] 이전까지는 간토·고신에츠 지방의 총괄기능을 NHK 방송센터(본부)의 각 부·국(수도권 방송센터 포함)에서 관리하는 방식으로 운영하다가, 2020년 8월 3일자 조직개편으로 본부의 간토·고신에츠 지방의 총괄 하는 거점방송국으로서 방송총국(현·미디어총국) 아래에 있는 부서가 아니라, 외부부국으로서 수도권국이 신설되었다. 다만, 수도권국은 다른 거점방송국과는 달리, 방송센터(본부)로부터 지역 거점방송국으로서의 업무 부문을 전부 이관받은 게 아니고, 일부 업무 부문의 경우에는 종전대로 NHK 방송센터(본부)의 각 부서에서 담당하고 있어서, NHK 방송센터(본부)와 같은 사옥을 쓰고 있다고 한다.[57] 가나가와, 치바, 사이타마 3현은 FM 라디오 방송에서만 지역 자체 방송을 하고, 도치기, 군마 2현은 이전까지 앞의 3현 처럼 FM 라디오 채널에서만 지역 자체 방송을 해오다가 2012년 4월부터 지상파 텔레비전 채널에서도 지역 자체 방송을 실시하게 되었다. 다만, 도치기, 군마 2현은 이바라키현에 비해서 지역 자체 방송이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이러한 부분은 저녁 6시대에 방송되는 지역 정보 프로그램의 방송시간 분량에서 단적으로 드러나는데, 전자의 경우에는 전반부 20분은 수도권 네트워크로 그대로 송출되다가 후반부 30분은 지역 자체 방송(도치기 630, 홋토 군마 630)을 송출하지만, 후자의 경우에는 전자와 같은 방식이 아닌, 50분 풀타임으로 지역 자체 방송(이바6)을 송출한다. 참고로 도치기, 군마 2현의 저녁 정보 프로그램 분량은 원래 20분이었다가, 2020년 3월 말부터 분량이 30분으로 늘어났다.[본국] 원문에는 '친국(親局)'이라고 나와있으며, 일본국 방송법시행규칙(총무성령 제20호)의 제103조 제1항 제1호에 "「친국」이란 방송대상지역별 방송계(放送系) 중 가장 중심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기간방송국으로, 기간방송용주파수사용계획(1988년 우정성 고시 제661호)의 표에서 제시하는 친국을 말한다.("「親局」とは、放送対象地域ごとの放送系のうち最も中心的な機能を果たす基幹放送局であつて、基幹放送用周波数使用計画(昭和六十三年郵政省告示第六百六十一号)の表に掲げる親局のことをいう。")"라고 설명되어있다.[중계국] 중계국은 기간방송용주파수사용계획에서 본국 이외의 기간방송국이라고 정의되어 있으며, 일본국 방송법시행규칙(총무성령 제20호)의 제103조 제1항 제2호에는 '플랜국(局)', 제103조 제1항 제3호에는 '그 밖의 중계국'에 대해서 정의되어 있다.
먼저 '플랜국(局)'은 중계국 중에서, 일본국 방송법시행규칙(총무성령 제20호)의 제103조 제1항 제2호에 "「플랜국」이란 모국 이외의 기간방송국 중 기간방송용 주파수 사용계획의 표에서 제시하는 중계국을 말한다.(「プラン局」とは、親局以外の基幹放送局のうち、基幹放送用周波数使用計画の表に掲げる中継局のことをいう。)"라고 설명되어있다.
다음 '그 밖의 중계국'은 중계국 중에서, 일본국 방송법시행규칙(총무성령 제20호)의 제103조 제1항 제3호에 "「그 밖의 중계국」이란 친국 및 플랜국 이외의 기간방송국을 말한다.(「その他の中継局」とは、親局及びプラン局以外の基幹放送局をいう。)"라고 설명되어있다.[60] 2007년 총무성의 정보통신심의회 정보통신기술분과회 방송시스템위원회에서는 일본국 방송법시행규칙(총무성령 제20호)의 제103조에 규정된 '본국'을 '본국A : 소위 본국'이라고 정의하고, 중계국 중에서, 본국A와는 별도로 연주소를 두고 있는 중계국을 '본국B : 소위 중계국 중에서, 로컬 프로그램의 삽입이 가능한 것'이라고 정의했다.# NHK 종합 채널 기준, 앞서 언급된 본국의 분류방식을 그대로 적용하면, 본국B에 해당되는 방송국들은 하코다테, 무로란, 아사히카와, 키타미, 오비히로, 쿠시로, 키타큐슈 방송국 7개 방송국이 있다.[본국] 원문에는 '친국(親局)'이라고 나와있으며, 일본국 방송법시행규칙(총무성령 제20호)의 제103조 제1항 제1호에 "「친국」이란 방송대상지역별 방송계(放送系) 중 가장 중심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기간방송국으로, 기간방송용주파수사용계획(1988년 우정성 고시 제661호)의 표에서 제시하는 친국을 말한다.("「親局」とは、放送対象地域ごとの放送系のうち最も中心的な機能を果たす基幹放送局であつて、基幹放送用周波数使用計画(昭和六十三年郵政省告示第六百六十一号)の表に掲げる親局のことをいう。")"라고 설명되어있다.[중계국] 중계국은 기간방송용주파수사용계획에서 본국 이외의 기간방송국이라고 정의되어 있으며, 일본국 방송법시행규칙(총무성령 제20호)의 제103조 제1항 제2호에는 '플랜국(局)', 제103조 제1항 제3호에는 '그 밖의 중계국'에 대해서 정의되어 있다.
먼저 '플랜국(局)'은 중계국 중에서, 일본국 방송법시행규칙(총무성령 제20호)의 제103조 제1항 제2호에 "「플랜국」이란 모국 이외의 기간방송국 중 기간방송용 주파수 사용계획의 표에서 제시하는 중계국을 말한다.(「プラン局」とは、親局以外の基幹放送局のうち、基幹放送用周波数使用計画の表に掲げる中継局のことをいう。)"라고 설명되어있다.
다음 '그 밖의 중계국'은 중계국 중에서, 일본국 방송법시행규칙(총무성령 제20호)의 제103조 제1항 제3호에 "「그 밖의 중계국」이란 친국 및 플랜국 이외의 기간방송국을 말한다.(「その他の中継局」とは、親局及びプラン局以外の基幹放送局をいう。)"라고 설명되어있다.[63] 2007년 총무성의 정보통신심의회 정보통신기술분과회 방송시스템위원회에서는 일본국 방송법시행규칙(총무성령 제20호)의 제103조에 규정된 '본국'을 '본국A : 소위 본국'이라고 정의하고, 중계국 중에서, 본국A와는 별도로 연주소를 두고 있는 중계국을 '본국B : 소위 중계국 중에서, 로컬 프로그램의 삽입이 가능한 것'이라고 정의했다.# NHK 교육 채널 기준, 앞서 언급된 본국의 분류방식을 그대로 적용하면, 본국A는 NHK 방송센터(도쿄 본부)·수도권국이며, 본국B는 방송센터(도쿄 본부)·수도권국이외의 방송국들이다.[64] 이는 지역 방송국(각 지역의 거점방송국 포함)의 경우, 교육 채널 기준으로 중계국으로 분류되지만, 연주소를 두고 있어서 로컬 프로그램의 삽입(편성)이 가능하기 때문이다.#[오키나와] 나하 시에 있지만 유일하게 소재지 도시명을 쓰지 않는다. 물론 도미구스쿠 소재 당시에도 마찬가지였다.[66] 이 때문에 요코오 타이스케(横尾泰輔) 아나운서를 오사카로 보냈다는 이야기가 있다. 요코오 아나운서는 동일본대지진 때 초기 보도를 담당한 적이 있는 베테랑 아나운서이기 때문. 타케타 신이치의 오사카 이동 때에도 이를 명분으로 삼기도 했다.[67] 호출부호가 하나만 있는 방송국들은 종합계통의 호출부호만 있다.[68] 종합계통에 해당되는 채널 - 종합 텔레비전, 라디오 제1방송, FM방송
교육계통에 해당되는 채널 - 교육 텔레비전, 라디오 제2방송[69] 일본방송협회(NHK)의 본부이며, 수도권국을 신설하기 전에는 간토·고신에츠 지역을 총괄하는 거점방송국의 역할도 겸했다. 2020년 8월 3일자로 수도권국이 신설되면서, 간토·고신에츠 지역 업무의 대다수는 수도권국으로 이관되었다. 다만, 일부 분야 및 업무에 대해서는 본부에서 직접 맡고 있다.[渋谷] NHK 방송센터(본부)와 NHK 수도권국의 소재지가 동일하다.(도쿄도 시부야구 진난2초메 2-1(東京都渋谷区神南2丁目2-1))[71] 이전까지는 간토·고신에츠 지방의 총괄 기능을 당시 방송센터(본부)의 각 부·국에서 관리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어왔으며, 특히 방송총국(현 미디어총국)의 내부부서였던 수도권 방송센터는 자체 방송 범위 및 프로그램을 포괄하고 있었고, 간토 지방 및 간토·고신에츠 지방 범위의 지역 프로그램 제작을 총괄해왔다. 이후, 권역의 거점방송국으로서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서 2020년 8월 3일자 조직개편으로 기간국으로서 기능을 보유한 수도권국을 방송총국(현 미디어총국)의 휘하에 있는 국(局)이 아니라, 다른 거점 방송국들과 마찬가지로 외부부국으로서 신설했다.## 이후, 2021년 7월 2일자 조직개편으로 수도권 영업부문 역할을 하는 부서인 방송센터(본부) 영업국 휘하 수도권 영업추진센터가 수도권국으로 이관했으며##, 2022년 7월 1일자로 기존의 부(部)제에서 센터제로 개편하면서 현재의 조직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다만, 다른 거점 방송국과는 달리, 일부 기능이 제외되어 있는데, 특히 아나운서부문의 경우, 정직원 아나운서는 전원 방송센터(본부) 미디어총국 휘하 아나운스실 소속이고, 해당 부서(미디어총국 아나운스실)에서 이들을 직접 관리한다.(단, 계약직 아나운서는 수도권 지역 정보 프로그램에 출연하는 것을 전제로 채용하거나 계약하는 만큼, 해당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부서인 수도권국 콘텐츠센터에서 이들의 채용이나 계약 등에 대해서 관리한다.) 그리고, 송수신 기술 부문의 경우, 이전처럼 방송센터(본부) 미디어총국 휘하 기술국에서 관리하고, 시청자 대응 및 이벤트 관련 업무 등도 이전 처럼 방송센터(본부)의 부서에서 관리한다고 한다. 위와 같은 이유로 인해서, NHK 수도권국은 NHK 방송센터(본부)와 공간까지 완전히 분리하여 도쿄의 (방송국 건물로 적합한)다른 장소를 매입해서 운용하거나, 아예 수도권국 전용의 방송국 사옥을 신축해서 운용하는 형태가 아니라, NHK 방송센터(본부) 내부의 공간에서 운용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渋谷] NHK 방송센터(본부)와 NHK 수도권국의 소재지가 동일하다.(도쿄도 시부야구 진난2초메 2-1(東京都渋谷区神南2丁目2-1))[73] 594kHz는 KBS 제2라디오 603kHz 전파가 송출되지 않는 새벽 3~4시 사이에 서울 남부(영등포, 강남), 경기 서남부, 인천에서도 수신이 가능하다. 그 이외의 시간은 어마어마한 603에 의한 전파 간섭때문에 TECSUN PL-380과 같은 일부 DSP 라디오(대역폭을 1kHz로 설정시)가 아니고서는 수신불가. 다만 서울이라 해도 강북 지역은 603kHz 신호가 그리 강하지 않으므로 선택도가 우수한 수신기라면 KBS 제2라디오 정파시간이 아니더라도 NHK 제1방송의 수신이 가능하다.[74] 1931년 10월 도쿄 중앙방송국(현재의 NHK 방송센터(본부) 및 수도권국) 관할의 방송국으로 개국했다. 1943년 12월, 신에츠 지방 및 호쿠리쿠 지방을 총괄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본부(일본방송협회 본부) 니가타 분실(分室)이 신설되었으며, 이는 1943년 여름, 당시(전시 상황의) 지방행정협의회에서 관할구역 조정에 따른 조치를 반영한 것이다.# 1945년 1월, 당시 신에츠 지방 및 호쿠리쿠 지방을 총괄하는 니가타 중앙방송국으로 승격되었으나(승격과 동시에 본부(일본방송협회 본부) 니가타 분실(分室)은 폐지되었다.), 불과 4개월 만인 1945년 5월 일반 방송국인 니가타 방송국으로 강등되었는데, 당시(전시 체제) 지방행정협의회에서 1945년 2월에 신에츠 및 호쿠리쿠 지방의 행정협의를 담당하는 호쿠리쿠 지방행정협의회를 폐지하면서 관할 구역 등을 재조정하였으며(니가타, 나가노는 도쿄 관할로 조정되었다.), 이에 따른 조치를 방송국에도 반영했기 때문이다.# 이후부터는 현재 처럼 도쿄에 있는 NHK 방송센터(본부)·수도권국 관할의 방송국으로 존속하고 있다.[75] 무로란 방송국의 편성부문, 아나운스부문이 삿포로 방송국에 전면 이관되었지만, 방송국 자체는 존속 중이다.[76] 키타미 방송국의 편성부문, 아나운스부문이 아사히카와 방송국에 전면 이관되었지만, 방송국 자체는 존속 중이다.[77] 쿠시로 방송국의 편성부문, 아나운스부문이 오비히로 방송국에 전면 이관되었지만, 방송국 자체는 존속 중이다.[78] 원래 621kHz였으나 2015년 2월 2일 1시를 기해 종료했다. 링크한 자료는 오사카 방송국 주파수로 일원화 했음을 알리는 내용이다.[79] 현재의 시모노세키시는 구·시모노세키시와 토요우라군, 두 행정구역을 2005년 2월 13일자로 신설합병해서 출범한 행정구역이다. 1988년 당시 두 행정구역은 별개의 행정구역이었다.[80] 1941년 히로시마 중앙방송국(현재의 히로시마 방송국) 관할의 방송국으로서 개국했다.# 1943년 여름, 당시(전시 상황의) 지방행정협의회에서 제 각각 관할하던(오사카가 토쿠시마 현, 카가와 현을 관할하고, 히로시마가 에히메 현, 고치 현을 관할하는 형태) 시코쿠 지방을 하나의 카테고리로 묶어서 시코쿠 4현을 관할하는 형태로 바뀌었다. 이에 따라 1943년 12월 시코쿠 지역 4개 현을 총괄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오사카 중앙방송국(현재의 오사카 방송국) 마츠야마 분실이 신설되었으며, 이와 동시에 히로시마 중앙방송국 관할에서 오사카 중앙방송국 마츠야마 분실(分室) 관할로 변경되었다.# 1945년 1월, 마츠야마 방송국이 마츠야마 중앙방송국으로 승격되면서 시코쿠 지역을 총괄하는 기능을 직접 가지게 되었으며, 기존의 오사카 중앙방송국(현재의 오사카 방송국) 마츠야마 분실(分室)은 폐지되었다.#[81] 시코쿠 지방을 총괄하는 다른 분야의 행정기관, 민간 기업들의 시코쿠 지사 및 지점 등의 대다수가 타카마츠에 있지만, 시코쿠 지방을 총괄하는 방송 및 통신 분야의 행정기관은 타카마츠가 아닌 마츠야마에 있는데, 이는 당시(전시 상황)의 기류와도 관련이 있다. 1945년 4월 지방행정협의회에서 시코쿠 지방을 담당하는 시코쿠 지방 행정협의회를 마츠야마에서 타카마츠로 이전했고, (방송국 포함)방송 및 통신 분야의 행정기관도 동시에 이전하려는 움직임이 있었지만, 당시 마츠야마 방송국장은 "(방송국 포함)전쟁 중에 방송 및 통신 분야의 행정기관을 이전하면 전쟁 수행에 지장이 있을 것이다."라고 강하게 주장하며 이전을 반대했으며, 수차례 논쟁이 오간 끝에, 결국 타카마츠로 이전하는 것을 포기했다. 태평양 전쟁이 끝난 후인 1949년에 시코쿠 지방을 총괄하는 (방송국 포함)방송 및 통신 분야의 행정기관을 타카마츠로 이전하려는 움직임이 있었지만, 마츠야마시에서 반대운동을 강하게 전개하면서 단념했고, 그 대신에 마츠야마시, 지역 상공회의소, 지역 재계에서 부지를 제공하는 형태가 되면서 타카마츠로 이전하려는 움직임은 가라앉게 되었다.#[82] 1932년 3월, 시코쿠 지방에서 최초의 방송국으로서 개국했다.# 개국 당시에는 히로시마 중앙방송국(현재의 히로시마 방송국)의 관할에 있었지만#, 1943년 12월 시코쿠 지역을 총괄하는 오사카 중앙방송국(현재의 오사카 방송국) 마츠야마 분실(分室)의 관할로 변경되었고, 1945년 1월 당시 마츠야마 중앙 방송국(현재의 마츠야마 방송국) 관할로 변경되었다.[83] 1933년 7월 개국.# 개국 당시에는 오사카 중앙방송국(현재의 오사카 방송국)의 관할에 있었으나#, 1943년 12월 시코쿠 지역을 총괄하는 오사카 중앙방송국(현재의 오사카 방송국) 마츠야마 분실의 관할로 변경되었고, 1945년 1월 당시 마츠야마 중앙 방송국(현재의 마츠야마 방송국) 관할로 변경되었다.[84] 1934년 7월 오사카 중앙방송국(현재의 오사카 방송국) 타카마츠 출장소로 설치되었으며, 1943년 타카마츠 방송관을 건립했고, 1944년 타카마츠 임시 방송소에서 라디오 방송이 개국되었다.# 이후, 1945년 1월, 마츠야마 방송국이 마츠야마 중앙방송국으로 승격되면서, 타카마츠 출장소 및 타카마츠 임시 방송소는 오사카 중앙방송국에서 마츠야마 중앙방송국으로 이관되었으며, 1945년 9월 타카마츠 출장소 및 타카마츠 임시 방송소를 합쳐서 타카마츠 방송국으로 개국했다.#[85] 1930년 개국 당시부터 1992년 6월 4일 이전까지 로컬국이었고, 조직개편으로 1992년 6월 5일 이후부터는 규슈 지역을 총괄하는 기간국이 되었다. 사실, 1957년 규슈 및 오키나와 지역 방송관계 업무가 쿠마모토 방송국에서 후쿠오카 방송국으로 이관되어 당시 거점국이었던 쿠마모토 방송국과 맞먹을 정도가 되었으며#, 전후를 기점으로 규슈지역의 중심축이 쿠마모토에서 후쿠오카로 넘어간 상태였다. 그렇지만, 방송관계 업무를 제외한 규슈 및 오키나와 지역의 다른 총괄 기능은 여전히 쿠마모토 방송국이 가지고 있었으며, 특히 규슈 및 오키나와 지역의 방송국 예산에 대해서 총괄하는 기능을 당시 쿠마모토 방송국이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후쿠오카 방송국은 높아진 위상과는 별개로 여전히 로컬국의 위치에 있었다. 이후 1992년 6월 5일 조직개편으로 다른 총괄 기능까지 구마모토 방송국으로부터 완전히 넘겨 받으면서 정식으로 기간국이 되었다.[86] 후쿠오카 지역(후쿠오카 도시 광역권, 아마기·아사쿠라 광역권), 치쿠고 지역(옛 율령국인 치쿠고국의 영역에 해당되는 지역이다.)#[87] NHK 내부에서는 후쿠오카현의 방송 에리어를 후쿠오카 지역, 치쿠고 지역, 키타큐슈 지역, 치쿠호 지역 총 4개의 에리어로 분류했다.#[88] AM라디오 한정으로 부산광역시, 경상남도 거제시의 해안가에까지 전파가 닿는다. 야간에는 일부 내륙지역까지 확대되기도 한다. 부산은 야간에 연제구까지도 확대된다고 확인해본결과 전라남도 여수시에서도 선명하게 잘들린다.[89] 키타큐슈 지역(기타큐슈시, 온가지구, 케이치쿠지구), 치쿠호 지역(과거 치쿠호 탄전(筑豊炭田)으로 번성했던 지역이며, 치쿠호(筑豊)라는 지역명칭은 치쿠젠(筑前)과 부젠(豊前)의 머릿글자에서 따왔다.)#[90] 1928년 개국 당시부터 1992년 6월 4일까지 규슈 지역을 총괄하는 기간국이었다가#, 1992년 6월 5일 조직개편으로 규슈지역의 총괄기능(방송관계 업무 제외. 방송관계 업무는 훨씬 전인 1957년에 후쿠오카 방송국으로 이관되었다.)을 전부 후쿠오카 방송국으로 양도하면서 기간국에서 로컬국으로 변경되었다. 그렇지만, NHK와 밀접한 관계에 있으면서, 상위기간 격이기도 한 (규슈 지역을 총괄하는)방송 및 통신 분야의 행정기관은 여전히 쿠마모토에 남아있다.[91] AM라디오 873kHz의 경우에는 대출력으로 송출되기 때문에 야간에 서울에서도 잡히기도 한다. 심지어 KBS 제2라디오 남양송신소 보다도 잘들리는 경우가 있다.[오키나와] 나하 시에 있지만 유일하게 소재지 도시명을 쓰지 않는다. 물론 도미구스쿠 소재 당시에도 마찬가지였다.[93] 549kHz는 2010년대 초반까지 블라디보스토크에서 500kW로 송신했던 전러시아 국립 텔레비전 및 라디오 회사의 라디오 마야크(Радио Маяк)와 주파수가 같다.[94] 2000년대 초중반 - 후반, 2010년대 중후반 - 2020년대 초중반의 KBS 제1라디오는 뉴스시사 전문 채널에 가깝다. 민주당 정권 시기 임명된 사장들은 제1라디오를 뉴스시사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편성하는 경향이 있다.[95] 일단 EBS FM에서는 기상통보, 주식시황을 방송하지 않는다.[96] 정확히는 두 채널을 섞어놨다고 봐야 할 것이다. NHK에서 음악을 다루는 라디오 채널이 하나 밖에 없기 때문이다.[97] 대한민국 KBS 2FM에서도 라디오 정보센터 뉴스를 매 56분(광고방송 시행 전 58분)에 편성했었으며 2022년 현재는 일 1회(18시 30분) 편성하고 있다. 1990년대 ~ 2000년대 초까지 MBC FM에서도 30분 광고 후 1분 뉴스를 송출한 적도 있었다.[98] 초창기는 5분짜리 'BS 55'였는데 초창기 공영방송의 특징이던 '정시에 뉴스를 전한다'는 개념이 BS에도 그대로 들어온 것. BBC의 경우도 이런 흔적이 남아있어서 NewsBeat 같은 프로로 소식을 전하기도 하고, NHK의 경우는 종합채널에서 야구 중계나 스모 중계 중에도 오후 5시만 되면 무조건 중계를 잠시 자르고 뉴스를 내보냈다.[99] 항공업계의 스타 얼라이언스나 스카이팀처럼 별도의 가맹체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세계적으로 공영방송끼리는 복수 협력관계로 얽혀있어 일종의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BS1에서 내보내주는 국제뉴스는 대부분 포함이라고 보면 된다. 이 때문에 BBC의 콘텐츠는 한국에서는 KBS, 일본에서는 NHK가 우선협상 대상자가 된다. 특이사항으로 홍콩에서는 네트워크 관계에 TVB 대신 aTV가 들어와있었고, 독일은 DW나 ARD가 아닌 ZDF가 들어와 있다. 반대로 민영들끼리의 네트워크도 있는데, MBC는 미국 CBS(미국 방송)나 일본 후지 테레비 등과, SBS는 미국 NBC(미국 방송)나 일본 닛폰 테레비 등과 제휴하여 느슨한 네트워크를 이루고 있다.[100] 현재는 KBS N으로 방송국이 재편되는 과정에서 채널이 사라졌다.[101] 현재 유료SO용 방송국인 KBS N으로 개편되면서 지상파의 1TV/2TV를 중계하는 중이다.[102] 주로 종합 채널에서 방송하기 1~2시간 전에 BS프리미엄에서 먼저 방송한다.[103] 현재는 KBS LIFE로 재편되었다.[104] 해외 드라마 등 외주 제작 프로그램은 제외, 대체 영상을 송출했다.[105] 이 위 영상에서 가장 먼저 속보를 전한 아나운서는 이토 켄조(伊藤健三) 씨로 평소에는 라디오 방송을 주로 진행하다가 이번 지진때 TV로 얼굴을 비추게 되었다. 그리고 이 경보방송으로 일본의 모든 방송사를 통틀어 가장 먼저 동일본대지진 소식을 전한 아나운서라는 타이틀을 얻게 되었다.[106] 지진발생당시 민영방송사들은 NHK보다 2~5분 늦게 속보방송을 편성했다. 이 때문에 오사카에 스튜디오가 있는 미야네야(닛테레 계열 YTV 제작·송출)는 당초 예정되어 있었던 이시하라 신타로 당시 도쿄도지사의 기자회견 중계를 위해 도쿄도청 중계화면을 틀때까지 지진 소식을 전혀 모르고 있었다.[107] 촬영지점이 센다이시와 나토리시 경계 지점인 나토리강 상공이었다.[108] 대규모테러, 항공경보, 게릴라, 특수부대 등[109] 경주 지진 당시 시코쿠와 큐슈 일부 지역에도 흔들림이 있었는데, 역시 재난 방송의 대가답게 신속하게 전했다.[110] 경주시에 발생되었던 지진 당시 한국은 종합편성채널, EBS(그 쪽은 자막으로 일찍 내보냄), YTN, 연합뉴스TV, OBS경인TV가 KBS, MBC, SBS보다 먼저 속보를 전하였으며 경주권에 예속된 지역 지상파 방송사인 대구방송이 최초로 지진 보도를 한 적이 있다.[111] 이는 택배운송 분야에서 야마토 운수에 밀려 일본우정이 콩라인이 된 것과 비슷한 이치다.[112] 전송·동시 스트리밍(配信), 프로그램 관련 정보(番組関連情報)에 대한 조문 및 조항이 추가되거나 신설되었다.#[113] 일본국 방송법 일부 개정안의 시행일이 2025년 10월 1일이다.[114] 舊·NHK+[115] 일본국 국내에서만 시청이 가능하다.(애초에 NHK ONE은 일본 국내용 서비스로 출시되었다.#)[116] 기존 NHK+ 가입자가 NHK ONE 계정으로 이행하는 과정을 안내하는 페이지이다.[117] 일본국 국내에서 수신계약을 하지 않고, NHK ONE 뉴스 홈페이지에 들어갈 경우, 가입하라는 안내 문구가 화면 하단에 뜨게 된다.(단, 해외에서 해당 페이지에 들어갈 경우, 가입하라는 안내 문구가 뜨고 나서 해외 접속에 대한 안내 문구로 넘어가고, 해당 페이지를 계속 볼 것인가에 대한 여부를 묻고, 해외 접속임을 인지하고 계속 보겠다는 동의를 하면, 안내문구가 사라진다. NHK ONE은 해외에서 접속이 가능하고 해당 홈페이지를 볼 수 있지만,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실시간·다시 보기 동영상은 볼 수 없고, 뉴스 동영상은 볼 수 있으나, 일부 뉴스 동영상은 일본국 국내로 시청제한을 걸어놓았다.)[118]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의 홈페이지도 포함.[119]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의 홈페이지도 포함.[120] 각 언어별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의 공식 홈페이지도 수신계약 대상에 포함되었다.[121] NHK 종합 텔레비전, NHK 교육 텔레비전[122] 해외에서 접속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단, 해외에서 접속하는 경우에는 수신계약 안내 메시지가 뜨고나서, 해외에서의 접속에 대한 인지 여부의 안내문이 뜨고, 해외에서의 접속이라는 것을 인지하고 있다는 확인을 누르면 안내 메시지가 사라진다.(NHK ONE은 일본국 국내용 서비스라, 해외에서는 일부 서비스 정도만 열람이 가능하다.)[123] 일본국 방송법 제20조의 2, 제22조, 제22조의 2, 제22조의 3에 명시되어있다.[124] 일본국 총무성령 방송법시행규칙 제14조, 제15조, 제15조의 2, 제15조의 3에 명시되어있다.[125] 2024년도(레이와 6년도) 일본방송협회 업무보고서 137 페이지 ~ 143 페이지에 기재되어있다.[126] 현행 운영기준은 2024년(레이와 6년) 12월 25일자로 개정되었다.[지주] 관련 사업 지주회사를 포함하고 있다.[지주] 관련 사업 지주회사를 포함하고 있다.[129] 일본방송협회(NHK)가 직접 출자하지 않고, NHK의 관련단체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출자하고 있는 관련단체도 있다.[130] 이 '등(等)'에는 복리후생단체도 포함된다.[131] 관련사업 지주회사 1사, 기간방송국 제공 자회사 1사 포함[132] 일본방송협회건강보험조합, 일본방송협회공제회 제외[133] 총 매출액·사업수익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4.6%[134] 총 매출액·사업수익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5.4%[135] 일본방송협회(NHK)에서는 관련단체들의 업무 중복 및 비용 절감을 하기 위해서, 이전부터 관련단체들의 통폐합을 추진해왔다.# 2022년 여름, 일본국 방송법(일본국 방송법 22조의2) 개정으로 일본방송협회(NHK)가 직접 출자하는 게 가능해지면서, 콘텐츠제작 회사 5개(NHK 엔터프라이즈, NHK 에듀케이셔널, NHK 글로벌미디어서비스, NHK 프로모션, NHK 아트)를 통합하여 관리하기 위한 중간지주회사로서 설립되었다.#[MHD] NHK에서는 NHK 미디어홀딩스의 약칭을 MHD(NHK Media Holdings, INC.)로 표기하고 있다.#[137] 참고로 일본방송협회(NHK)가 100%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MHD자회사] (주)NHK 미디어홀딩스가 100%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MHD자회사] (주)NHK 미디어홀딩스가 100%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MHD자회사] (주)NHK 미디어홀딩스가 100%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MHD자회사] (주)NHK 미디어홀딩스가 100%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MHD자회사] (주)NHK 미디어홀딩스가 100%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143] 3년전 NHK 사내에서 유명 남성 아나운서 사이토 타카노부와 여성 아나운서 하야카와 미나 간의 노상 카섹스 사건이 적발된 적이 있다. 일본에서는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유명한 사건이다. 불륜 사건 적발 당시 NHK 사내 규정에 따르면 불륜 등 성추문 사건에 연루된 인원은 직권면직으로 퇴사이다. 그러나 여기서 계약직이었던 여성 아나운서만 강제 퇴사를 당하고 남성 아나운서는 NHK 사규를 고친 다음에 소급 적용해 해당 남성 아나운서를 그대로 유임시켰다! 이 남성 아나운서는 2019년까지도 NHK 주말 아침 뉴스를 진행했다. 그래서 타치바나 타카시가 정견발표회에서 3분마다 한 번씩 불륜! 노상! 카섹스! 라고요!를 외친 것. 참고로 사이토 타카노부는 2025년 현재 NHK 방송문화연구소 미디어연구부에서 연구원으로서 재직중이지만#, 하야카와 미나는 해당 사건 이후로 방송계를 완전히 떠났고, 2025년 현재 근황조차 아예 모르는 상황이다.[144] 다만 공당의 DNA라 할 수 있는 강령이란게 오직 反NHK 하나밖에 없어서 타치바나 타카시 본인의 반중,반한 우익성향은 물론 혐한 극우 활동가를 지원하기도 하는 등, 자민당이 NHK 없앨테니 개헌하자 그러면 찬성할 사람이다. 다만 이 당 소속으로 기초의회에서 활동하는 의원들은 상당수가 개헌 반대파.[145] 영칭이 영국 공영방송 BBC의 풀네임인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과 유사하다.[146] 한국으로 치면 한국방송공사를 KBS가 아닌 HBG(Hanguk Bangsong Gongsa)로 표기한 격이라 볼 수 있다. 실제로 1970~1980년대 당시 영어를 잘 모르던 중장년층 이상은 KBS를 "Korea Bang Song"으로 아는 경우가 꽤 있었다(...)[147] 대표적인 것이 친 윤석열 보도. 12.3. 불법계엄 사태 이후 탄핵까지의 과정 중 불거진 각종 불법과 의혹에 대해서는 NHK뿐만 아니라 일본 미디어 전체가 거의 보도하지 않았다. 특히, 심지어 스트레이트 보도가 아닌 심층취재에서도 김건희 전 영부인 관련 의혹 보도는 거의 나오지 않았다.[148] 장음 하나 차이로 뜻이 확 바뀌는 일본에서는 이런 개그도 가끔씩 한다.[149] NHK를 민영화시키면 NHK 직원들의 불상사도 줄어들고 수신료도 내지 않으니 개이득~이라는 논리다.[150] 가끔 도모군과 같이 등장하는 안경쓴 회색 토끼 마스코트. 목소리는 처음에 마츠무라 타츠오(남자는 괴로워의 숙부 역을 맡기도 했던 배우)가 연기했다가 마츠무라 사후 타니 케이(谷啓), 차후린(茶風林) 등이 연기하고 있다.[151] 박쥐도 2마리 살고 있다. 이름은 시노부(엄마박쥐)와 모리오(아들박쥐)[152] 다만 TV 스트리밍은 저작권, 전송권 문제 때문에 영국 내에서만 시청가능[153] 2025년 4월부터 BBC Sounds에 지역제한을 걸면서 옛날 얘기가 되었다. 이제는 오직 BBC Radio 4와 BBC World Service만이 청취 가능.[154] 마찬가지로 지상파, 케이블 TV 스트리밍은 저작권, 전송권 문제 때문에 한국 내에서만 시청가능하도록 제한을 걸고 있다.[155] 「방송사, 첫 보도 소홀」, 2006-07-06, 중앙일보[156] 오전 9시 31분에 발사된 것으로 전해졌다.[157] 당시 NHK의 시사토론 프로그램인 일요토론에서는 아마리 아키라 경제재생담당대신의 사임 이후의 국회논쟁격화를 주제로 토론이 벌어지고 있었는데 그 와중에 J-알러트가 발령되어 방송이 끊겼다. 일요토론은 이후 오후 4시 10분에 다시 방송했다.[158] 원래는 사전 신청을 통해 참가해서 토너먼트 식으로 순위를 결정하는데, 특별히 난입 참가해서 어린이부 우승자와 대결해서 졌다. 노홍철이 재밌어서 주목을 받았다기보다는 '난입 참가자도 있었습니다'라는 정도의 내용이다.[159] 수록된 애니메이션: 밀림의 왕자 레오, 마루코는 아홉살, 원피스(만화), 시끌별 녀석들, 빨강머리 앤, 우주전함 야마토, 에반게리온, 강철의 연금술사, 나루토, 케이온!, 기동전사 건담, 명탐정 코난, 도라에몽, 신비한 바다의 나디아, 루팡 3세, 사이보그 009, 과학닌자대 갓챠맨, 크레용 신짱, 내일의 죠, 아노하나, 거인의 별, 두 사람은 프리큐어, AKIRA, 마법의 천사 크리미마미, 마크로스F, 드래곤볼 Z, 공각기동대, 사스케, 요괴워치, 닌자보이 란타로, 진격의 거인, 얏타맨, 러브 라이브!, 플랜더스의 개, 불새(만화), 철완 아톰, 미래소년 코난, 포켓몬스터 순.[160] 보통 이런 경우는 공익적 목적을 위해 토호, 토에이 등 대형업체를 끼고 캠페인 식으로 십시일반 들어간 것이다. 도호쿠대지진이 일본사회에 얼마나 큰 충격을 주었는지 알 수 있는 부분... 이기도 하고, 사실 이 회사를 껴도 저 리스트 중 2/3은 한방에 해결된다.[161] 주로 방송 프로그램에 출연하는 NHK 기자, 아나운서, 프로듀서 및 디렉터 등[162] "민영방송은 해당 방송사의 직원이든 외부 게스트든 상관없이 대기실 도시락을 전부 제공하지만, NHK는 외부 게스트한테만 대기실 도시락을 제공하고, NHK 직원은 돈을 지불하고 사먹어야 한다."라고 도사카 준이치 전 NHK 아나운서가 언급한 적이 있다.##[163] NHK는 소속 직원(아나운서 포함)이 규정을 준수하지 않으면, 사안의 경중에 따라 처분을 내리게 되는데, 상대적으로 낮은 처분인 엄중주의 처분이라 할지라도그저 말뿐인 주의, 킹중주의, 갓중주의 수준이 아닌 생각 이상으로 센 처분이라 생각하면 된다. 게다가, 해당 SNS 가이드 라인 규정은 직원의 복무규정에 관한 준칙과도 연관되는 부분이라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164] 일부 아나운서는 SNS 활동을 하는 경우도 있다. 예컨대 영업직 출신인 NHK 뉴스 워치 9의 필드 캐스터 리포터였던 하타케야마 에미(畠山衣美), 선데이 스포츠의 메인 캐스터였던 나카가와 안나(中川安奈) 등. 특히, 나카가와 안나(中川安奈) 아나운서는 아예 인스타그램에 인증 배지까지 붙어있고, NHK 아나운서 치고는 굉장히 적극적으로 활동하는 편이었지만, 인스타그램에 업로드한 일부 게시물에 대해서 NHK (상층부의)관계자에게 한소리를 들었는지, 2024년 상반기(대략 2월~3월 정도) 무렵부터는 업로드를 하지 않고 있다가 2024년 8월 19일이 돼서야 인스타그램에 업로드를 재개했다.# 사실, 당시 나카가와 아나운서가 인스타그램에 게시물을 업로드 할 때마다 그에 관한 기사는 자주 나오는 편이지만, 정작 NHK 아나운서로서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부분과 관련된 기사는 상대적으로 적었던 부분 때문에, 상층부에서의 반응은 부정적이었다. 그리고, 나카가와 아나운서가 아나운서가 아니라 연예인처럼 보여지는 이미지에 대해서도 이전부터 부정적인 반응이었다. 이러한 부분 때문에 상층부에서는 SNS로 관심끌지 말고, 제발 얌전히 있으라는 목적으로 그녀에게 오사카 방송국으로의 발령을 통보했지만, 나카가와 아나운서는 이에 대해서 일반적인 인사발령이 아니라, 징계성에 가까운 좌천이라고 여겼는지 강하게 반발했고, 결국 2025년 3월말에 퇴사했다.# 한편, SNS 활동을 하는 아나운서들은 주로 X(옛 트위터)에서 활동하는 편이고, 인스타그램 계정이 있는 아나운서도 일부 있긴 한데, 인스타그램 계정으로 SNS 활동을 하는 경우는 적은 편이다.[165] 다만 SNS 활동을 하는 경우도 모든 내용은 개인의 의견입니다라는 문구를 프로필에 반드시 붙여놓는다.[166] 이노우에 유우키 아나운서와 결혼한 카와사키 리카 아나운서처럼 대부분 결혼 이후 남편 성이 아닌 결혼전 구성을 사용하기도 한다. 참고로, 기혼 여성 아나운서들이 결혼 전 구성을 그대로 쓰는 게 보편화된 건 1990년대 초중반 이후부터이고, 1990년대 초반까지는 결혼 이후 결혼한 남편의 성씨를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167] 원래 카와사키 아나운서는 2023년 3월까지 뉴스 7 주말 메인캐스터를 맡고 있었다.[168] 본방 후 일주일간 다시보기는 제공된다.[169] 케이블TV나 IPTV를 위시한 유선방송, 스카이라이프 위성방송[170] 소니 편에서 일장기를 올리고 눈물을 흘렸다는 장면이라든가.[171] 한국인들 입장에서야 한국(조선)의 전쟁 부역국 취급에는 반발하지만 승전국이나 연합국 편입 여부는 별로 주목받는 논제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이런 헛소문들 때문에 일본 넷 우익들은 '한국의 승전국 행세'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한다. 한국인들이 임시정부의 무장투쟁이나 대일 선전포고를 기념하는 것도 '승전국 행세'로 규정할 정도다.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에 참석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한국을 패전국측으로 분류하는 억지까지 부린다. 물론 2차대전 전시에는 한국이란 나라자체가 없었기에 연합국으로 취급되지 않은 것뿐이지 조선인들은 일제내에서 정치적 주권도 없었고 연합국이 한국에게 전쟁배상을 요구하지도 않았으므로 굳이 따지자면 한국은 승전국도 아니지만 패전국도 아니다. 임시정부 역시 합법정부로 인정받지 못했을 뿐이지 2차대전에 조직단위로 참전한 것은 엄연한 사실이다.[172] 교육 TV나 BS 프리미엄 방영작은 현지 방영판과 해외 동시방영판이 동일하게 나오는 경우가 많으며, 심지어 차회예고나 엔드 카드에 NHK 특유의 '終' 표기가 그대로 나오기도 한다.[173] KBS World와 비슷하다.
먼저 '플랜국(局)'은 중계국 중에서, 일본국 방송법시행규칙(총무성령 제20호)의 제103조 제1항 제2호에 "「플랜국」이란 모국 이외의 기간방송국 중 기간방송용 주파수 사용계획의 표에서 제시하는 중계국을 말한다.(「プラン局」とは、親局以外の基幹放送局のうち、基幹放送用周波数使用計画の表に掲げる中継局のことをいう。)"라고 설명되어있다.
다음 '그 밖의 중계국'은 중계국 중에서, 일본국 방송법시행규칙(총무성령 제20호)의 제103조 제1항 제3호에 "「그 밖의 중계국」이란 친국 및 플랜국 이외의 기간방송국을 말한다.(「その他の中継局」とは、親局及びプラン局以外の基幹放送局をいう。)"라고 설명되어있다.[60] 2007년 총무성의 정보통신심의회 정보통신기술분과회 방송시스템위원회에서는 일본국 방송법시행규칙(총무성령 제20호)의 제103조에 규정된 '본국'을 '본국A : 소위 본국'이라고 정의하고, 중계국 중에서, 본국A와는 별도로 연주소를 두고 있는 중계국을 '본국B : 소위 중계국 중에서, 로컬 프로그램의 삽입이 가능한 것'이라고 정의했다.# NHK 종합 채널 기준, 앞서 언급된 본국의 분류방식을 그대로 적용하면, 본국B에 해당되는 방송국들은 하코다테, 무로란, 아사히카와, 키타미, 오비히로, 쿠시로, 키타큐슈 방송국 7개 방송국이 있다.[본국] 원문에는 '친국(親局)'이라고 나와있으며, 일본국 방송법시행규칙(총무성령 제20호)의 제103조 제1항 제1호에 "「친국」이란 방송대상지역별 방송계(放送系) 중 가장 중심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기간방송국으로, 기간방송용주파수사용계획(1988년 우정성 고시 제661호)의 표에서 제시하는 친국을 말한다.("「親局」とは、放送対象地域ごとの放送系のうち最も中心的な機能を果たす基幹放送局であつて、基幹放送用周波数使用計画(昭和六十三年郵政省告示第六百六十一号)の表に掲げる親局のことをいう。")"라고 설명되어있다.[중계국] 중계국은 기간방송용주파수사용계획에서 본국 이외의 기간방송국이라고 정의되어 있으며, 일본국 방송법시행규칙(총무성령 제20호)의 제103조 제1항 제2호에는 '플랜국(局)', 제103조 제1항 제3호에는 '그 밖의 중계국'에 대해서 정의되어 있다.
먼저 '플랜국(局)'은 중계국 중에서, 일본국 방송법시행규칙(총무성령 제20호)의 제103조 제1항 제2호에 "「플랜국」이란 모국 이외의 기간방송국 중 기간방송용 주파수 사용계획의 표에서 제시하는 중계국을 말한다.(「プラン局」とは、親局以外の基幹放送局のうち、基幹放送用周波数使用計画の表に掲げる中継局のことをいう。)"라고 설명되어있다.
다음 '그 밖의 중계국'은 중계국 중에서, 일본국 방송법시행규칙(총무성령 제20호)의 제103조 제1항 제3호에 "「그 밖의 중계국」이란 친국 및 플랜국 이외의 기간방송국을 말한다.(「その他の中継局」とは、親局及びプラン局以外の基幹放送局をいう。)"라고 설명되어있다.[63] 2007년 총무성의 정보통신심의회 정보통신기술분과회 방송시스템위원회에서는 일본국 방송법시행규칙(총무성령 제20호)의 제103조에 규정된 '본국'을 '본국A : 소위 본국'이라고 정의하고, 중계국 중에서, 본국A와는 별도로 연주소를 두고 있는 중계국을 '본국B : 소위 중계국 중에서, 로컬 프로그램의 삽입이 가능한 것'이라고 정의했다.# NHK 교육 채널 기준, 앞서 언급된 본국의 분류방식을 그대로 적용하면, 본국A는 NHK 방송센터(도쿄 본부)·수도권국이며, 본국B는 방송센터(도쿄 본부)·수도권국이외의 방송국들이다.[64] 이는 지역 방송국(각 지역의 거점방송국 포함)의 경우, 교육 채널 기준으로 중계국으로 분류되지만, 연주소를 두고 있어서 로컬 프로그램의 삽입(편성)이 가능하기 때문이다.#[오키나와] 나하 시에 있지만 유일하게 소재지 도시명을 쓰지 않는다. 물론 도미구스쿠 소재 당시에도 마찬가지였다.[66] 이 때문에 요코오 타이스케(横尾泰輔) 아나운서를 오사카로 보냈다는 이야기가 있다. 요코오 아나운서는 동일본대지진 때 초기 보도를 담당한 적이 있는 베테랑 아나운서이기 때문. 타케타 신이치의 오사카 이동 때에도 이를 명분으로 삼기도 했다.[67] 호출부호가 하나만 있는 방송국들은 종합계통의 호출부호만 있다.[68] 종합계통에 해당되는 채널 - 종합 텔레비전, 라디오 제1방송, FM방송
교육계통에 해당되는 채널 - 교육 텔레비전, 라디오 제2방송[69] 일본방송협회(NHK)의 본부이며, 수도권국을 신설하기 전에는 간토·고신에츠 지역을 총괄하는 거점방송국의 역할도 겸했다. 2020년 8월 3일자로 수도권국이 신설되면서, 간토·고신에츠 지역 업무의 대다수는 수도권국으로 이관되었다. 다만, 일부 분야 및 업무에 대해서는 본부에서 직접 맡고 있다.[渋谷] NHK 방송센터(본부)와 NHK 수도권국의 소재지가 동일하다.(도쿄도 시부야구 진난2초메 2-1(東京都渋谷区神南2丁目2-1))[71] 이전까지는 간토·고신에츠 지방의 총괄 기능을 당시 방송센터(본부)의 각 부·국에서 관리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어왔으며, 특히 방송총국(현 미디어총국)의 내부부서였던 수도권 방송센터는 자체 방송 범위 및 프로그램을 포괄하고 있었고, 간토 지방 및 간토·고신에츠 지방 범위의 지역 프로그램 제작을 총괄해왔다. 이후, 권역의 거점방송국으로서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서 2020년 8월 3일자 조직개편으로 기간국으로서 기능을 보유한 수도권국을 방송총국(현 미디어총국)의 휘하에 있는 국(局)이 아니라, 다른 거점 방송국들과 마찬가지로 외부부국으로서 신설했다.## 이후, 2021년 7월 2일자 조직개편으로 수도권 영업부문 역할을 하는 부서인 방송센터(본부) 영업국 휘하 수도권 영업추진센터가 수도권국으로 이관했으며##, 2022년 7월 1일자로 기존의 부(部)제에서 센터제로 개편하면서 현재의 조직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다만, 다른 거점 방송국과는 달리, 일부 기능이 제외되어 있는데, 특히 아나운서부문의 경우, 정직원 아나운서는 전원 방송센터(본부) 미디어총국 휘하 아나운스실 소속이고, 해당 부서(미디어총국 아나운스실)에서 이들을 직접 관리한다.(단, 계약직 아나운서는 수도권 지역 정보 프로그램에 출연하는 것을 전제로 채용하거나 계약하는 만큼, 해당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부서인 수도권국 콘텐츠센터에서 이들의 채용이나 계약 등에 대해서 관리한다.) 그리고, 송수신 기술 부문의 경우, 이전처럼 방송센터(본부) 미디어총국 휘하 기술국에서 관리하고, 시청자 대응 및 이벤트 관련 업무 등도 이전 처럼 방송센터(본부)의 부서에서 관리한다고 한다. 위와 같은 이유로 인해서, NHK 수도권국은 NHK 방송센터(본부)와 공간까지 완전히 분리하여 도쿄의 (방송국 건물로 적합한)다른 장소를 매입해서 운용하거나, 아예 수도권국 전용의 방송국 사옥을 신축해서 운용하는 형태가 아니라, NHK 방송센터(본부) 내부의 공간에서 운용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渋谷] NHK 방송센터(본부)와 NHK 수도권국의 소재지가 동일하다.(도쿄도 시부야구 진난2초메 2-1(東京都渋谷区神南2丁目2-1))[73] 594kHz는 KBS 제2라디오 603kHz 전파가 송출되지 않는 새벽 3~4시 사이에 서울 남부(영등포, 강남), 경기 서남부, 인천에서도 수신이 가능하다. 그 이외의 시간은 어마어마한 603에 의한 전파 간섭때문에 TECSUN PL-380과 같은 일부 DSP 라디오(대역폭을 1kHz로 설정시)가 아니고서는 수신불가. 다만 서울이라 해도 강북 지역은 603kHz 신호가 그리 강하지 않으므로 선택도가 우수한 수신기라면 KBS 제2라디오 정파시간이 아니더라도 NHK 제1방송의 수신이 가능하다.[74] 1931년 10월 도쿄 중앙방송국(현재의 NHK 방송센터(본부) 및 수도권국) 관할의 방송국으로 개국했다. 1943년 12월, 신에츠 지방 및 호쿠리쿠 지방을 총괄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본부(일본방송협회 본부) 니가타 분실(分室)이 신설되었으며, 이는 1943년 여름, 당시(전시 상황의) 지방행정협의회에서 관할구역 조정에 따른 조치를 반영한 것이다.# 1945년 1월, 당시 신에츠 지방 및 호쿠리쿠 지방을 총괄하는 니가타 중앙방송국으로 승격되었으나(승격과 동시에 본부(일본방송협회 본부) 니가타 분실(分室)은 폐지되었다.), 불과 4개월 만인 1945년 5월 일반 방송국인 니가타 방송국으로 강등되었는데, 당시(전시 체제) 지방행정협의회에서 1945년 2월에 신에츠 및 호쿠리쿠 지방의 행정협의를 담당하는 호쿠리쿠 지방행정협의회를 폐지하면서 관할 구역 등을 재조정하였으며(니가타, 나가노는 도쿄 관할로 조정되었다.), 이에 따른 조치를 방송국에도 반영했기 때문이다.# 이후부터는 현재 처럼 도쿄에 있는 NHK 방송센터(본부)·수도권국 관할의 방송국으로 존속하고 있다.[75] 무로란 방송국의 편성부문, 아나운스부문이 삿포로 방송국에 전면 이관되었지만, 방송국 자체는 존속 중이다.[76] 키타미 방송국의 편성부문, 아나운스부문이 아사히카와 방송국에 전면 이관되었지만, 방송국 자체는 존속 중이다.[77] 쿠시로 방송국의 편성부문, 아나운스부문이 오비히로 방송국에 전면 이관되었지만, 방송국 자체는 존속 중이다.[78] 원래 621kHz였으나 2015년 2월 2일 1시를 기해 종료했다. 링크한 자료는 오사카 방송국 주파수로 일원화 했음을 알리는 내용이다.[79] 현재의 시모노세키시는 구·시모노세키시와 토요우라군, 두 행정구역을 2005년 2월 13일자로 신설합병해서 출범한 행정구역이다. 1988년 당시 두 행정구역은 별개의 행정구역이었다.[80] 1941년 히로시마 중앙방송국(현재의 히로시마 방송국) 관할의 방송국으로서 개국했다.# 1943년 여름, 당시(전시 상황의) 지방행정협의회에서 제 각각 관할하던(오사카가 토쿠시마 현, 카가와 현을 관할하고, 히로시마가 에히메 현, 고치 현을 관할하는 형태) 시코쿠 지방을 하나의 카테고리로 묶어서 시코쿠 4현을 관할하는 형태로 바뀌었다. 이에 따라 1943년 12월 시코쿠 지역 4개 현을 총괄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오사카 중앙방송국(현재의 오사카 방송국) 마츠야마 분실이 신설되었으며, 이와 동시에 히로시마 중앙방송국 관할에서 오사카 중앙방송국 마츠야마 분실(分室) 관할로 변경되었다.# 1945년 1월, 마츠야마 방송국이 마츠야마 중앙방송국으로 승격되면서 시코쿠 지역을 총괄하는 기능을 직접 가지게 되었으며, 기존의 오사카 중앙방송국(현재의 오사카 방송국) 마츠야마 분실(分室)은 폐지되었다.#[81] 시코쿠 지방을 총괄하는 다른 분야의 행정기관, 민간 기업들의 시코쿠 지사 및 지점 등의 대다수가 타카마츠에 있지만, 시코쿠 지방을 총괄하는 방송 및 통신 분야의 행정기관은 타카마츠가 아닌 마츠야마에 있는데, 이는 당시(전시 상황)의 기류와도 관련이 있다. 1945년 4월 지방행정협의회에서 시코쿠 지방을 담당하는 시코쿠 지방 행정협의회를 마츠야마에서 타카마츠로 이전했고, (방송국 포함)방송 및 통신 분야의 행정기관도 동시에 이전하려는 움직임이 있었지만, 당시 마츠야마 방송국장은 "(방송국 포함)전쟁 중에 방송 및 통신 분야의 행정기관을 이전하면 전쟁 수행에 지장이 있을 것이다."라고 강하게 주장하며 이전을 반대했으며, 수차례 논쟁이 오간 끝에, 결국 타카마츠로 이전하는 것을 포기했다. 태평양 전쟁이 끝난 후인 1949년에 시코쿠 지방을 총괄하는 (방송국 포함)방송 및 통신 분야의 행정기관을 타카마츠로 이전하려는 움직임이 있었지만, 마츠야마시에서 반대운동을 강하게 전개하면서 단념했고, 그 대신에 마츠야마시, 지역 상공회의소, 지역 재계에서 부지를 제공하는 형태가 되면서 타카마츠로 이전하려는 움직임은 가라앉게 되었다.#[82] 1932년 3월, 시코쿠 지방에서 최초의 방송국으로서 개국했다.# 개국 당시에는 히로시마 중앙방송국(현재의 히로시마 방송국)의 관할에 있었지만#, 1943년 12월 시코쿠 지역을 총괄하는 오사카 중앙방송국(현재의 오사카 방송국) 마츠야마 분실(分室)의 관할로 변경되었고, 1945년 1월 당시 마츠야마 중앙 방송국(현재의 마츠야마 방송국) 관할로 변경되었다.[83] 1933년 7월 개국.# 개국 당시에는 오사카 중앙방송국(현재의 오사카 방송국)의 관할에 있었으나#, 1943년 12월 시코쿠 지역을 총괄하는 오사카 중앙방송국(현재의 오사카 방송국) 마츠야마 분실의 관할로 변경되었고, 1945년 1월 당시 마츠야마 중앙 방송국(현재의 마츠야마 방송국) 관할로 변경되었다.[84] 1934년 7월 오사카 중앙방송국(현재의 오사카 방송국) 타카마츠 출장소로 설치되었으며, 1943년 타카마츠 방송관을 건립했고, 1944년 타카마츠 임시 방송소에서 라디오 방송이 개국되었다.# 이후, 1945년 1월, 마츠야마 방송국이 마츠야마 중앙방송국으로 승격되면서, 타카마츠 출장소 및 타카마츠 임시 방송소는 오사카 중앙방송국에서 마츠야마 중앙방송국으로 이관되었으며, 1945년 9월 타카마츠 출장소 및 타카마츠 임시 방송소를 합쳐서 타카마츠 방송국으로 개국했다.#[85] 1930년 개국 당시부터 1992년 6월 4일 이전까지 로컬국이었고, 조직개편으로 1992년 6월 5일 이후부터는 규슈 지역을 총괄하는 기간국이 되었다. 사실, 1957년 규슈 및 오키나와 지역 방송관계 업무가 쿠마모토 방송국에서 후쿠오카 방송국으로 이관되어 당시 거점국이었던 쿠마모토 방송국과 맞먹을 정도가 되었으며#, 전후를 기점으로 규슈지역의 중심축이 쿠마모토에서 후쿠오카로 넘어간 상태였다. 그렇지만, 방송관계 업무를 제외한 규슈 및 오키나와 지역의 다른 총괄 기능은 여전히 쿠마모토 방송국이 가지고 있었으며, 특히 규슈 및 오키나와 지역의 방송국 예산에 대해서 총괄하는 기능을 당시 쿠마모토 방송국이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후쿠오카 방송국은 높아진 위상과는 별개로 여전히 로컬국의 위치에 있었다. 이후 1992년 6월 5일 조직개편으로 다른 총괄 기능까지 구마모토 방송국으로부터 완전히 넘겨 받으면서 정식으로 기간국이 되었다.[86] 후쿠오카 지역(후쿠오카 도시 광역권, 아마기·아사쿠라 광역권), 치쿠고 지역(옛 율령국인 치쿠고국의 영역에 해당되는 지역이다.)#[87] NHK 내부에서는 후쿠오카현의 방송 에리어를 후쿠오카 지역, 치쿠고 지역, 키타큐슈 지역, 치쿠호 지역 총 4개의 에리어로 분류했다.#[88] AM라디오 한정으로 부산광역시, 경상남도 거제시의 해안가에까지 전파가 닿는다. 야간에는 일부 내륙지역까지 확대되기도 한다. 부산은 야간에 연제구까지도 확대된다고 확인해본결과 전라남도 여수시에서도 선명하게 잘들린다.[89] 키타큐슈 지역(기타큐슈시, 온가지구, 케이치쿠지구), 치쿠호 지역(과거 치쿠호 탄전(筑豊炭田)으로 번성했던 지역이며, 치쿠호(筑豊)라는 지역명칭은 치쿠젠(筑前)과 부젠(豊前)의 머릿글자에서 따왔다.)#[90] 1928년 개국 당시부터 1992년 6월 4일까지 규슈 지역을 총괄하는 기간국이었다가#, 1992년 6월 5일 조직개편으로 규슈지역의 총괄기능(방송관계 업무 제외. 방송관계 업무는 훨씬 전인 1957년에 후쿠오카 방송국으로 이관되었다.)을 전부 후쿠오카 방송국으로 양도하면서 기간국에서 로컬국으로 변경되었다. 그렇지만, NHK와 밀접한 관계에 있으면서, 상위기간 격이기도 한 (규슈 지역을 총괄하는)방송 및 통신 분야의 행정기관은 여전히 쿠마모토에 남아있다.[91] AM라디오 873kHz의 경우에는 대출력으로 송출되기 때문에 야간에 서울에서도 잡히기도 한다. 심지어 KBS 제2라디오 남양송신소 보다도 잘들리는 경우가 있다.[오키나와] 나하 시에 있지만 유일하게 소재지 도시명을 쓰지 않는다. 물론 도미구스쿠 소재 당시에도 마찬가지였다.[93] 549kHz는 2010년대 초반까지 블라디보스토크에서 500kW로 송신했던 전러시아 국립 텔레비전 및 라디오 회사의 라디오 마야크(Радио Маяк)와 주파수가 같다.[94] 2000년대 초중반 - 후반, 2010년대 중후반 - 2020년대 초중반의 KBS 제1라디오는 뉴스시사 전문 채널에 가깝다. 민주당 정권 시기 임명된 사장들은 제1라디오를 뉴스시사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편성하는 경향이 있다.[95] 일단 EBS FM에서는 기상통보, 주식시황을 방송하지 않는다.[96] 정확히는 두 채널을 섞어놨다고 봐야 할 것이다. NHK에서 음악을 다루는 라디오 채널이 하나 밖에 없기 때문이다.[97] 대한민국 KBS 2FM에서도 라디오 정보센터 뉴스를 매 56분(광고방송 시행 전 58분)에 편성했었으며 2022년 현재는 일 1회(18시 30분) 편성하고 있다. 1990년대 ~ 2000년대 초까지 MBC FM에서도 30분 광고 후 1분 뉴스를 송출한 적도 있었다.[98] 초창기는 5분짜리 'BS 55'였는데 초창기 공영방송의 특징이던 '정시에 뉴스를 전한다'는 개념이 BS에도 그대로 들어온 것. BBC의 경우도 이런 흔적이 남아있어서 NewsBeat 같은 프로로 소식을 전하기도 하고, NHK의 경우는 종합채널에서 야구 중계나 스모 중계 중에도 오후 5시만 되면 무조건 중계를 잠시 자르고 뉴스를 내보냈다.[99] 항공업계의 스타 얼라이언스나 스카이팀처럼 별도의 가맹체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세계적으로 공영방송끼리는 복수 협력관계로 얽혀있어 일종의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BS1에서 내보내주는 국제뉴스는 대부분 포함이라고 보면 된다. 이 때문에 BBC의 콘텐츠는 한국에서는 KBS, 일본에서는 NHK가 우선협상 대상자가 된다. 특이사항으로 홍콩에서는 네트워크 관계에 TVB 대신 aTV가 들어와있었고, 독일은 DW나 ARD가 아닌 ZDF가 들어와 있다. 반대로 민영들끼리의 네트워크도 있는데, MBC는 미국 CBS(미국 방송)나 일본 후지 테레비 등과, SBS는 미국 NBC(미국 방송)나 일본 닛폰 테레비 등과 제휴하여 느슨한 네트워크를 이루고 있다.[100] 현재는 KBS N으로 방송국이 재편되는 과정에서 채널이 사라졌다.[101] 현재 유료SO용 방송국인 KBS N으로 개편되면서 지상파의 1TV/2TV를 중계하는 중이다.[102] 주로 종합 채널에서 방송하기 1~2시간 전에 BS프리미엄에서 먼저 방송한다.[103] 현재는 KBS LIFE로 재편되었다.[104] 해외 드라마 등 외주 제작 프로그램은 제외, 대체 영상을 송출했다.[105] 이 위 영상에서 가장 먼저 속보를 전한 아나운서는 이토 켄조(伊藤健三) 씨로 평소에는 라디오 방송을 주로 진행하다가 이번 지진때 TV로 얼굴을 비추게 되었다. 그리고 이 경보방송으로 일본의 모든 방송사를 통틀어 가장 먼저 동일본대지진 소식을 전한 아나운서라는 타이틀을 얻게 되었다.[106] 지진발생당시 민영방송사들은 NHK보다 2~5분 늦게 속보방송을 편성했다. 이 때문에 오사카에 스튜디오가 있는 미야네야(닛테레 계열 YTV 제작·송출)는 당초 예정되어 있었던 이시하라 신타로 당시 도쿄도지사의 기자회견 중계를 위해 도쿄도청 중계화면을 틀때까지 지진 소식을 전혀 모르고 있었다.[107] 촬영지점이 센다이시와 나토리시 경계 지점인 나토리강 상공이었다.[108] 대규모테러, 항공경보, 게릴라, 특수부대 등[109] 경주 지진 당시 시코쿠와 큐슈 일부 지역에도 흔들림이 있었는데, 역시 재난 방송의 대가답게 신속하게 전했다.[110] 경주시에 발생되었던 지진 당시 한국은 종합편성채널, EBS(그 쪽은 자막으로 일찍 내보냄), YTN, 연합뉴스TV, OBS경인TV가 KBS, MBC, SBS보다 먼저 속보를 전하였으며 경주권에 예속된 지역 지상파 방송사인 대구방송이 최초로 지진 보도를 한 적이 있다.[111] 이는 택배운송 분야에서 야마토 운수에 밀려 일본우정이 콩라인이 된 것과 비슷한 이치다.[112] 전송·동시 스트리밍(配信), 프로그램 관련 정보(番組関連情報)에 대한 조문 및 조항이 추가되거나 신설되었다.#[113] 일본국 방송법 일부 개정안의 시행일이 2025년 10월 1일이다.[114] 舊·NHK+[115] 일본국 국내에서만 시청이 가능하다.(애초에 NHK ONE은 일본 국내용 서비스로 출시되었다.#)[116] 기존 NHK+ 가입자가 NHK ONE 계정으로 이행하는 과정을 안내하는 페이지이다.[117] 일본국 국내에서 수신계약을 하지 않고, NHK ONE 뉴스 홈페이지에 들어갈 경우, 가입하라는 안내 문구가 화면 하단에 뜨게 된다.(단, 해외에서 해당 페이지에 들어갈 경우, 가입하라는 안내 문구가 뜨고 나서 해외 접속에 대한 안내 문구로 넘어가고, 해당 페이지를 계속 볼 것인가에 대한 여부를 묻고, 해외 접속임을 인지하고 계속 보겠다는 동의를 하면, 안내문구가 사라진다. NHK ONE은 해외에서 접속이 가능하고 해당 홈페이지를 볼 수 있지만,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실시간·다시 보기 동영상은 볼 수 없고, 뉴스 동영상은 볼 수 있으나, 일부 뉴스 동영상은 일본국 국내로 시청제한을 걸어놓았다.)[118]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의 홈페이지도 포함.[119]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의 홈페이지도 포함.[120] 각 언어별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의 공식 홈페이지도 수신계약 대상에 포함되었다.[121] NHK 종합 텔레비전, NHK 교육 텔레비전[122] 해외에서 접속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단, 해외에서 접속하는 경우에는 수신계약 안내 메시지가 뜨고나서, 해외에서의 접속에 대한 인지 여부의 안내문이 뜨고, 해외에서의 접속이라는 것을 인지하고 있다는 확인을 누르면 안내 메시지가 사라진다.(NHK ONE은 일본국 국내용 서비스라, 해외에서는 일부 서비스 정도만 열람이 가능하다.)[123] 일본국 방송법 제20조의 2, 제22조, 제22조의 2, 제22조의 3에 명시되어있다.[124] 일본국 총무성령 방송법시행규칙 제14조, 제15조, 제15조의 2, 제15조의 3에 명시되어있다.[125] 2024년도(레이와 6년도) 일본방송협회 업무보고서 137 페이지 ~ 143 페이지에 기재되어있다.[126] 현행 운영기준은 2024년(레이와 6년) 12월 25일자로 개정되었다.[지주] 관련 사업 지주회사를 포함하고 있다.[지주] 관련 사업 지주회사를 포함하고 있다.[129] 일본방송협회(NHK)가 직접 출자하지 않고, NHK의 관련단체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출자하고 있는 관련단체도 있다.[130] 이 '등(等)'에는 복리후생단체도 포함된다.[131] 관련사업 지주회사 1사, 기간방송국 제공 자회사 1사 포함[132] 일본방송협회건강보험조합, 일본방송협회공제회 제외[133] 총 매출액·사업수익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4.6%[134] 총 매출액·사업수익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5.4%[135] 일본방송협회(NHK)에서는 관련단체들의 업무 중복 및 비용 절감을 하기 위해서, 이전부터 관련단체들의 통폐합을 추진해왔다.# 2022년 여름, 일본국 방송법(일본국 방송법 22조의2) 개정으로 일본방송협회(NHK)가 직접 출자하는 게 가능해지면서, 콘텐츠제작 회사 5개(NHK 엔터프라이즈, NHK 에듀케이셔널, NHK 글로벌미디어서비스, NHK 프로모션, NHK 아트)를 통합하여 관리하기 위한 중간지주회사로서 설립되었다.#[MHD] NHK에서는 NHK 미디어홀딩스의 약칭을 MHD(NHK Media Holdings, INC.)로 표기하고 있다.#[137] 참고로 일본방송협회(NHK)가 100%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MHD자회사] (주)NHK 미디어홀딩스가 100%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MHD자회사] (주)NHK 미디어홀딩스가 100%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MHD자회사] (주)NHK 미디어홀딩스가 100%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MHD자회사] (주)NHK 미디어홀딩스가 100%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MHD자회사] (주)NHK 미디어홀딩스가 100%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143] 3년전 NHK 사내에서 유명 남성 아나운서 사이토 타카노부와 여성 아나운서 하야카와 미나 간의 노상 카섹스 사건이 적발된 적이 있다. 일본에서는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유명한 사건이다. 불륜 사건 적발 당시 NHK 사내 규정에 따르면 불륜 등 성추문 사건에 연루된 인원은 직권면직으로 퇴사이다. 그러나 여기서 계약직이었던 여성 아나운서만 강제 퇴사를 당하고 남성 아나운서는 NHK 사규를 고친 다음에 소급 적용해 해당 남성 아나운서를 그대로 유임시켰다! 이 남성 아나운서는 2019년까지도 NHK 주말 아침 뉴스를 진행했다. 그래서 타치바나 타카시가 정견발표회에서 3분마다 한 번씩 불륜! 노상! 카섹스! 라고요!를 외친 것. 참고로 사이토 타카노부는 2025년 현재 NHK 방송문화연구소 미디어연구부에서 연구원으로서 재직중이지만#, 하야카와 미나는 해당 사건 이후로 방송계를 완전히 떠났고, 2025년 현재 근황조차 아예 모르는 상황이다.[144] 다만 공당의 DNA라 할 수 있는 강령이란게 오직 反NHK 하나밖에 없어서 타치바나 타카시 본인의 반중,반한 우익성향은 물론 혐한 극우 활동가를 지원하기도 하는 등, 자민당이 NHK 없앨테니 개헌하자 그러면 찬성할 사람이다. 다만 이 당 소속으로 기초의회에서 활동하는 의원들은 상당수가 개헌 반대파.[145] 영칭이 영국 공영방송 BBC의 풀네임인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과 유사하다.[146] 한국으로 치면 한국방송공사를 KBS가 아닌 HBG(Hanguk Bangsong Gongsa)로 표기한 격이라 볼 수 있다. 실제로 1970~1980년대 당시 영어를 잘 모르던 중장년층 이상은 KBS를 "Korea Bang Song"으로 아는 경우가 꽤 있었다(...)[147] 대표적인 것이 친 윤석열 보도. 12.3. 불법계엄 사태 이후 탄핵까지의 과정 중 불거진 각종 불법과 의혹에 대해서는 NHK뿐만 아니라 일본 미디어 전체가 거의 보도하지 않았다. 특히, 심지어 스트레이트 보도가 아닌 심층취재에서도 김건희 전 영부인 관련 의혹 보도는 거의 나오지 않았다.[148] 장음 하나 차이로 뜻이 확 바뀌는 일본에서는 이런 개그도 가끔씩 한다.[149] NHK를 민영화시키면 NHK 직원들의 불상사도 줄어들고 수신료도 내지 않으니 개이득~이라는 논리다.[150] 가끔 도모군과 같이 등장하는 안경쓴 회색 토끼 마스코트. 목소리는 처음에 마츠무라 타츠오(남자는 괴로워의 숙부 역을 맡기도 했던 배우)가 연기했다가 마츠무라 사후 타니 케이(谷啓), 차후린(茶風林) 등이 연기하고 있다.[151] 박쥐도 2마리 살고 있다. 이름은 시노부(엄마박쥐)와 모리오(아들박쥐)[152] 다만 TV 스트리밍은 저작권, 전송권 문제 때문에 영국 내에서만 시청가능[153] 2025년 4월부터 BBC Sounds에 지역제한을 걸면서 옛날 얘기가 되었다. 이제는 오직 BBC Radio 4와 BBC World Service만이 청취 가능.[154] 마찬가지로 지상파, 케이블 TV 스트리밍은 저작권, 전송권 문제 때문에 한국 내에서만 시청가능하도록 제한을 걸고 있다.[155] 「방송사, 첫 보도 소홀」, 2006-07-06, 중앙일보[156] 오전 9시 31분에 발사된 것으로 전해졌다.[157] 당시 NHK의 시사토론 프로그램인 일요토론에서는 아마리 아키라 경제재생담당대신의 사임 이후의 국회논쟁격화를 주제로 토론이 벌어지고 있었는데 그 와중에 J-알러트가 발령되어 방송이 끊겼다. 일요토론은 이후 오후 4시 10분에 다시 방송했다.[158] 원래는 사전 신청을 통해 참가해서 토너먼트 식으로 순위를 결정하는데, 특별히 난입 참가해서 어린이부 우승자와 대결해서 졌다. 노홍철이 재밌어서 주목을 받았다기보다는 '난입 참가자도 있었습니다'라는 정도의 내용이다.[159] 수록된 애니메이션: 밀림의 왕자 레오, 마루코는 아홉살, 원피스(만화), 시끌별 녀석들, 빨강머리 앤, 우주전함 야마토, 에반게리온, 강철의 연금술사, 나루토, 케이온!, 기동전사 건담, 명탐정 코난, 도라에몽, 신비한 바다의 나디아, 루팡 3세, 사이보그 009, 과학닌자대 갓챠맨, 크레용 신짱, 내일의 죠, 아노하나, 거인의 별, 두 사람은 프리큐어, AKIRA, 마법의 천사 크리미마미, 마크로스F, 드래곤볼 Z, 공각기동대, 사스케, 요괴워치, 닌자보이 란타로, 진격의 거인, 얏타맨, 러브 라이브!, 플랜더스의 개, 불새(만화), 철완 아톰, 미래소년 코난, 포켓몬스터 순.[160] 보통 이런 경우는 공익적 목적을 위해 토호, 토에이 등 대형업체를 끼고 캠페인 식으로 십시일반 들어간 것이다. 도호쿠대지진이 일본사회에 얼마나 큰 충격을 주었는지 알 수 있는 부분... 이기도 하고, 사실 이 회사를 껴도 저 리스트 중 2/3은 한방에 해결된다.[161] 주로 방송 프로그램에 출연하는 NHK 기자, 아나운서, 프로듀서 및 디렉터 등[162] "민영방송은 해당 방송사의 직원이든 외부 게스트든 상관없이 대기실 도시락을 전부 제공하지만, NHK는 외부 게스트한테만 대기실 도시락을 제공하고, NHK 직원은 돈을 지불하고 사먹어야 한다."라고 도사카 준이치 전 NHK 아나운서가 언급한 적이 있다.##[163] NHK는 소속 직원(아나운서 포함)이 규정을 준수하지 않으면, 사안의 경중에 따라 처분을 내리게 되는데, 상대적으로 낮은 처분인 엄중주의 처분이라 할지라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