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V | 지상파 채널 | |||||||||||||
[[NHK 종합 텔레비전| | [[NHK 교육 텔레비전| | ||||||||||||||
위성 채널 | |||||||||||||||
[[NHK BS| | [[NHK BS 프리미엄 4K| | [[NHK BS8K| | |||||||||||||
라디오 | 중파방송 | FM방송 | |||||||||||||
[[NHK 라디오 제1방송| | [[NHK 라디오 제2방송| | [[NHK-FM| | |||||||||||||
국제방송 | TV | 단파방송 | |||||||||||||
[[NHK 월드 JAPAN| | [[NHK 월드 프리미엄| | [[NHK 월드 라디오 일본| | |||||||||||||
기타 | 인터넷 서비스 | OTT | 제작사 | ||||||||||||
| [[NHK+| | [[NHK 엔터프라이즈| | |||||||||||||
[[NHK 글로벌미디어서비스| | |||||||||||||||
폐국 | |||||||||||||||
[[조선방송협회| | [[대만방송협회| | ||||||||||||||
[[만주전신전화| | [[오키나와방송협회| | ||||||||||||||
[[JSTV| | [[TV JAPAN| | ||||||||||||||
관련 문서 | |||||||||||||||
프로그램 목록 · 지역 프로그램 목록 · 아나운서 · 조직 |
<colcolor=#ffffff,#fafafa> NHK 글로벌미디어서비스 NHK Global Media Services | |
| |
<colbgcolor=#DC0025> 국가 |
|
기업명 | 주식회사 NHK 글로벌미디어서비스(한국어) NHK Global Media Services, Inc.(영어) 株式会社NHKグローバルメディアサービス(일본어) |
설립 | 2009년 4월 1일[1] |
소재지 | 〒150-0047 도쿄도 시부야구 가미야마정 9번 2호 제6교도(共同)빌딩[2] |
대표 | 칸다 신스케(神田真介)[3] |
업종 | 정보통신업 |
종류 | 주식회사 |
매출액 | 248억 엔#(2024년 결산) |
자본금 | 4억 3,500만 엔#(2024년 결산) |
직원 수 | 426명#(2025년 3월 31일) |
링크 |
1. 개요
일본방송협회의 방송 프로그램 제작사. 약칭으로 'NHK G-Media'라고도 불린다. 대한민국의 KBS N과 비슷하다.[4][5] 현재 NHK 글로벌미디어서비스 법인은 2009년 4월 1일, 주식회사 NHK 정보네트워크와 주식회사 일본문자방송이 합병하면서 발족했다.#2. 지배구조
주주명 | 지분율 |
주식회사 NHK 미디어홀딩스# | 100%# |
3. 상세
1983년 '주식회사 NHK 방송정보서비스'로 처음 설립되었으며, 1985년 '주식회사 일본문자방송'이 설립되었다. 1988년 '주식회사 NHK 네트워크서비스'가 설립되었다. 1989년 NHK 방송정보서비스와 NHK 네트워크서비스가 합병하면서 주식회사 NHK 정보네트워크가 설립되었으며, 1997년 NHK 정보네트워크의 본사를 현재 위치(도쿄도 시부야구 가미야마정)로 이전했다. 2009년 일본방송협회(NHK)의 관련단체 재편 방침에 따라, NHK 정보네트워크와 일본문자방송이 합병하여 주식회사 NHK 글로벌미디어서비스가 되었다.#NHK 글로벌미디어서비스는 주로 일본방송협회(NHK)의 보도·스포츠·국제 부문을 지원하는 업무를 맡고 있다. 그리고, 뉴스·보도 프로그램, 지역 프로그램, 각종 프로그램, 다양한 종목의 스포츠 중계를 제작 및 지원하는 업무를 맡고 있으며, 국제 스포츠 대회나 메이저 리그 등 스포츠 중계에 대한 판권 구입 및 제작·배포하는 업무도 맡고 있고, 자막방송이나 다국어 방송에 대한 업무도 맡고 있다. 또한 방송과 인터넷의 연계, 지방자치단체와 미디어와의 연계, 국제방송과 연계된 해외 전달 등 다양한 사회에 요구되는 컨텐츠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무를 맡고 있다.#
4. 주요 업무
※참고자료 - NHK 글로벌미디어서비스 제38기[2024년도] 사업보고(사업보고의 13페이지 마지막 단락 ~ 14페이지 첫번째 단락)- 일본방송협회(NHK)의 위탁 등에 의해 뉴스, 스포츠 및 정보와 관련된 프로그램 등의 개발, 기획, 제작, 구입, 배포
- 일본방송협회(NHK)의 위탁 등으로 방송 프로그램의 편집에 필요한 뉴스 및 정보를 수집하거나 이를 일본방송협회 이외의 자와 교환하는 업무
- 일본방송협회(NHK)의 위탁 등에 의한 방송 프로그램을 보완하기 위한 자막 및 데이터 등의 제작
- 일본방송협회(NHK)의 위탁 등에 의한 위성 등의 이용에 의한 영상정보의 전달·집배신 및 번역·동시통역, 관련 업무의 개발, 조사, 기획, 실시
- 뉴스, 스포츠 및 정보와 관련된 프로그램 등의 개발, 기획, 제작, 구입 및 이와 관련된 사회적으로 의의가 있는 행사의 기획, 실시
- 영상, 음성, 데이터 등 각종 콘텐츠의 개발, 기획, 제작 및 모바일, 인터넷 등 각종 매체를 통한 제공, 판매
- 정보·미디어 이용에 관한 조사·연구 및 컨설팅
- 전 각 항목과 관련된 저작권 등의 취득, 관리, 판매
- 일본방송협회 및 기타 용도로 제공하기 위한 전기통신사업
- 앞의 각 항목과 관련된 일체의 업무
5. 주요 사업장
본사를 제외한 각 지사들은 방송국 사옥 내에 입주해있다. 참고로 NHK 글로벌미디어서비스의 본사는 NHK 방송센터(본부) 맞은 편에 위치해있다.#※참고자료 - NHK 글로벌미디어서비스 제38기[2024년도] 사업보고#
사업장 | 관할지역 | 사업장 소재지 |
본사 | 간토, 고신에츠 | 도쿄도 시부야구 가미야마정 9-2 다이로쿠 교도빌딩 (東京都渋谷区神山町9番2号 第六共同ビル) |
서일본지사 | 긴키, 주고쿠, 시코쿠 | 오사카부 오사카시 주오구 오테마에4초메 1-20 NHK 오사카 방송국 内 (大阪府大阪市中央区大手前4丁目1番20号 NHK大阪放送局内) |
주부지사 | 주부(도카이, 호쿠리쿠) | 아이치현 나고야시 히가시구 히가시사쿠라1초메 13-3 NHK 나고야 방송국 内 (愛知県名古屋市東区東桜1丁目13番3号 NHK名古屋放送局内) |
규슈지사 | 규슈, 오키나와 |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 주오구 롯폰마츠1초메 1-10 NHK 후쿠오카 방송국 内 (福岡県福岡市中央区六本松1丁目1番10号 NHK福岡放送局内) |
도호쿠지사 | 도호쿠 | 미야기현 센다이시 아오바구 혼마치2초메 20-1 NHK 센다이 방송국 内 (宮城県仙台市青葉区本町2丁目20番1号 NHK仙台放送局内) |
홋카이도지사 | 홋카이도 | 홋카이도 삿포로시 주오구 기타1조 니시9초메 1-5 NHK 삿포로 방송국 内 (北海道札幌市中央区北1条西9丁目1番5号 NHK札幌放送局内) |
6. 소속 아나운서
NHK 글로벌미디어서비스는 정직원 아나운서 또는 계약직 아나운서 채용을 실시하지 않는다. 그 대신에, 일본방송협회(NHK) 소속 정직원 아나운서가 NHK 글로벌미디어서비스에 파견되고 있다.[8]#!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일본방송협회/아나운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일본방송협회/아나운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 기타
- NHK 글로벌미디어서비스의 임원[9]들은 일본방송협회(NHK)의 다른 관련단체와 마찬가지로 대다수가 일본방송협회(NHK) 출신이다.#
- 일본방송협회(NHK)의 다른 관련단체들과 마찬가지로, 2025년 3월말 기준, 전체 직원들 중에서, 자체적으로 채용한 직원보다 NHK에서 파견된 직원 및 NHK에서 전적(転籍)한 직원·자사의 촉탁 직원[10]의 비중이 60% 가까이 된다.# 그리고, 소속 직원[11]의 평균 연령은 2025년 3월말 기준 51.2세이다.#
[1] 일본국 경제산업성 gBizINFO의 법인기본정보에는 NHK 글로벌미디어서비스의 설립일이 1988년 2월 12일로 나와있다.#[2] 부동산 관계자의 말에 따르면, NHK 방송센터(본부) 주변지역에 제○교도(共同)빌딩이라는 이름을 가진 빌딩 건물이 7채가 있고, 빌딩 명칭은 제1교도(共同)빌딩, (・・・중략・・・) ,제7교도(共同)빌딩으로 되어있으며, 이들 빌딩은 일본방송협회(NHK)의 자회사인 (주)NHK 비즈니스크리에이트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고 한다.#[3] 1988년 4월, 일본방송협회(NHK)에 입사했으며, 센다이 방송국장, 본부 지역개혁지원국, 방송윤리 프로그램 향상 기구 이사·사무국장을 거쳐서, 2024년 6월, NHK 글로벌서비스 대표로 취임했다.#[4] 단, NHK G-Media는 KBS N과는 달리 방송 채널을 운영하지 않는다. 참고로 한국방송공사(KBS, 이하 KBS)는 대한민국 방송법상(대한민국 방송법 제56조) 수신료로 운영하는게 원칙이지만, 필요한 경우에는 광고 수익으로 운영하는게 가능하다고 명시되어 있기 때문에, 광고가 송출되는 방송 채널 운영이 가능하다. 반면, 일본의 일본방송협회(NHK, 이하 NHK)는 한국의 KBS와는 달리 전적으로 수신료로 운영하고(일본국 방송법 제64조), 광고를 금지하는 규정이 명시되어 있으며(일본국 방송법 제83조), 방송 채널은 전적으로 NHK 본체에서 직접하되, 외국인 및 해외거주 일본인 대상의 국제 방송 정도만 관련단체에서 하는게 방송법으로 정해져 있어서, 한국의 KBS처럼 계열사에서 광고가 송출되는 방송 채널을 운영하는 것은 불가능하다.(참고로 NHK는 민영방송과는 달리 CS방송 채널을 운영하지 않고, BS방송 채널만 운영하고 있다.)[5] KBS N과 비슷한 부분이 있지만(방송 채널 운영 제외), KBS 미디어와 비슷한 부분도 일부 있다.[2024년도] 2024년 4월 1일 ~ 2025년 3월 31일[2024년도] 2024년 4월 1일 ~ 2025년 3월 31일[8] 구 NHK 정보네트워크 시절부터 일본방송협회(NHK) 소속 정직원 아나운서가 파견되고 있다. 참고로 이들의 정식 소속은 NHK 방송센터(도쿄 본부)이다.[9] 대표(代表) 포함.[10] 만60세 이후, 정년 연장 형태로 재고용된 직원[11] NHK에서 파견된 직원, 자사 채용 직원, NHK에서 전적한 직원, 자사 재고용 촉탁 직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