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0" | <tablebordercolor=#fa5200>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color=#fff> 프리미엄 | ||
광역급행 | |||
광역콜 | 동탄-사당역 | ||
직행좌석 | |||
일반 | 5-2조암 5-2동탄 11번대조암 11수원 18조암 18동탄 24조암 24동탄 | ||
똑버스 | |||
마을 | 틀:화성시 마을버스 | ||
{{{#ddd,#44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currentcolor" | |||
1. 개요
화성여객에서 운행하는 시내버스 노선으로, 동탄2신도시와 분당 미금역을 잇는다. 전체 정류장 목록2. 노선 정보
| |||||
| |||||
기점 | 경기도 화성시 장지동(동탄2차고지) | 종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미금역) | ||
종점행 | 첫차 | 05:00 | 기점행 | 첫차 | 06:35 |
막차 | 22:00 | 막차 | 23:40 | ||
평일배차 | 20~30분 | 주말배차 | 40~60분 | ||
운수사명 | 화성여객 | 인가대수 | 10대[1] | ||
노선 | 동탄2차고지 - 동탄호수공원 - 호수부영3차.우미린2차 - 나래학교 - 헤리엇.리베라CC - 한화.호반.대원 - 신안2차.반도4차 - 이주택지.상록.경남아파트 - 고매사거리.고매농협 - 민속촌입구 - 신갈오거리 - 구성사거리 - 연원마을 LG.벽산아파트.구성역 - 보정역.보정고등학교.동아솔레시티 - 동성1차아파트.죽전패션타운 - 오리역 - 미금역.청솔마을.2001아울렛 |
3. 역사
- 2012년 하반기에 '성남공설운동장 - 성호시장' 구간이 '모란역 - 신흥역 - 단대오거리역'으로 변경되었다.[3] 하지만 이때 분당선이 망포역까지 연장되면서 수요가 급감하자, 인가대수가 크게 줄었고 배차간격도 크게 벌어졌다. 특히 신갈지구에서 분당으로 출퇴근하던 수요가 대부분 분당선 오리역 이나 보정역 에서 환승했는데 환승의 위치역이 이 두 역 모두 퇴근시간이면 다른 행선지 사람들까지 맞물려 인산인해를 이루었고 버스를 타기 위한 출근시간과 동일한 러시아워 타임을 견뎌야만 했다. 더군다나 대부분 같은 곳에 승차해서 같은 곳에 내리다보니 이 불편함을 알고 겪어보고 아는 사람은 분당선이 연장된 이후로는 대부분 신갈역 이나 기흥역 까지 이용하는 것은 어찌보면 당연한 일. 이런 이유로 비슷한 경로를 지나던 시내버스 노선이었던 1116번과 116-1번은 모투 쇠퇴할 수밖에 없었다. 이런식이다보니 적자를 피할 수 없었고 인가대수가 적어질 수밖에 없었으니 자연스럽게 KD도 이 노선을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
- 2015년 5월 1일에 화성여객으로 면허가 이관되었다.
- 2015년 10월 21일부터 '신갈오거리 - 경희대' 구간 대신 '신갈오거리 - 보라동 - 한국민속촌 - 동탄2신도시' 구간을 운행하게 되었다. 관련 게시물 노선이 대폭 연장된 만큼 8대나 증차해 총 14대로 운행하게 되었으며, 기존 '신갈오거리 - 경희대' 구간은 대체노선으로 6-3번을 신설했으나, 2015년 11월 5일에 폐선되었다.
- 2015년 10월 30일에 기점이 예솔초교에서 한화꿈에그린으로 바뀌었다. #
- 2016년 8월에 반도유보라까지, 2016년 12월에 LH아파트 65.66블록까지 연장되었다.
- 2018년 1월 말에 조용히 동탄2차고지까지 연장되었다.
- 2024년 1월 1일부로 경기도 시내버스 공공관리제를 시행되었다.[6]
4. 특징
- 신설 당시 이 노선은 비슷한 구간을 운행하던 다른 노선에 비해 당시 배차간격이 10분 내외로 준수하였고[7], 분당선이 연장되기 전에는 기흥 + 신갈 + 구성에서 분당으로 나가는 수요를 거의 다 감당했기 때문에 수요도 좋았다.(동일노선이었던 1116번은 잦은 노선 변경으로 사람들이 타길 꺼렸고 116-1번은 분당방향으로 미금역이 종점이었기에 수요가 좋지 않았다.) 하지만 분당선 연장개통 이후에 큰 타격을 입으면서 한때는 3대까지 감차되기도 했다. 이 노선이 지나는 성남대로와 용구대로에 분당선이 죽전역, 보정역, 구성역이 들어서며 수요를 다 빼앗겨버렸고 비슷한 시기에 신분당선이 들어서며 더 큰 타격을 입게 되었다.
- 그러다가 2동탄으로의 노선 변경과 폭풍증차 덕에 동탄2신도시 수요를 새로 얻었지만, 이것이 예전 전성기 때만큼의 수요는 아닌지라 다시 감차당해서 지금은 10대가 20~30분 배차로 운행하고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동탄과 용인 기흥은 생활권이 확실히 구분되어 있고 이는 현재도 마찬가지이다. 쉽게 말해 동탄에서 이 노선을 타고 분당을 나올 이유도 없고 기흥에서 동탄을 가기 위해 이 노선을 타는 경우도 거의 없다고 봐야 한다. 차라리 경희대학교 경유로 노선을 계속했다면 수원시 영통과 기흥을 이어주는 노선이었다면 더 좋지 않았을까 싶다.
- 경기고속에서 3대밖에(...) 안 굴리던 시절에는 조금이라도 승객을 끌어모으기 위함이였는지 앞문 바로 옆 창문에 '서현역 - 단대오거리역'은 17번과 동일하게, '송림고 - 단대오거리역'은
업체가 다름에도 불구하고51번과 동일하게 운행한다고 붙이고 다니기도 했다.[8]
- 동탄으로 연장하면서 약간 수요가 늘긴 했지만, 실질적으로는 분당 지역의 승객 비중이 가장 높다.[9]
- 차고지는 동탄2차고지를 사용한다.
- 거리비례제 적용 노선이므로 현금 승차 시 목적지를 말해야 한다.
- 미금역에 도착하면 바로 회차하지 않고, 인근에서 배차간격에 따라 5~20분 가량 휴식을 취하고 출발한다.
4.1. 시간표
116-3번 운행시간표 (2024년 1월 5일 기준) KD운송그룹 신동탄영업소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평일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동탄2차고지 (기점) | <colbgcolor=#0085ca> 시간 | 미금역 (종점) |
00 20 40 | 05 | 첫차 06:35 도착 후 회차 (약 80~110분 소요) 막차 23:50 | |
00 20 40 | 06 | ||
00 25 50 | 07 | ||
15 40 | 08 | ||
05 30 | 09 | ||
00 30 | 10 | ||
00 30 | 11 | ||
00 25 50 | 12 | ||
20 50 | 13 | ||
15 40 | 14 | ||
10 40 | 15 | ||
10 40 | 16 | ||
10 40 | 17 | ||
10 35 | 18 | ||
00 25 50 | 19 | ||
15 40 | 20 | ||
05 30 | 21 | ||
00 | 22 | ||
- | 23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토요일.공휴일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동탄2차고지 (기점) | <colbgcolor=#0085ca> 시간 | 미금역 (종점) |
20 | 06 | ||
00 40 | 07 | ||
20 | 08 | ||
00 35 | 09 | ||
10 45 | 10 | ||
20 | 11 | ||
00 40 | 12 | ||
20 | 13 | ||
00 35 | 14 | ||
10 45 | 15 | ||
20 | 16 | ||
00 40 | 17 | ||
20 | 18 | ||
00 35 | 19 | ||
10 45 | 20 | ||
20 | 21 | ||
00 | 22 | ||
- | 23 |
5. 연계 철도역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구성역, 보정역, 오리역, 미금역
신분당선: 미금역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 구성역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 auto" | <tablewidth=31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4097> | 경기도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ㄱ} ] {{{#!wiki style="margin: -6px -1px -1px" | <colbgcolor=#004097><colcolor=#fff> | ||
가평 | · · · · | ||
고양 | · · · · · · · · · · · · · | ||
광명 | · · · · · | ||
광주 | · · · · · · · · · · · · · · · · · | ||
구리 | · · · · · | ||
김포 | · · · · · · · · · · | ||
- [ 펼치기 · 접기 {ㄴ~ㅅ} ]
- ||<-2><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004097><colcolor=#fff> ||
남양주 · · · · · · · · · · · · · · · · · · · 동두천 · · · · 부천 · · · · · · · · 성남 · · · · · · · · · · 수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0좌석· · ·시흥 · · · · · ·
- [ 펼치기 · 접기 {ㅇ} ]
- ||<-2><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004097><colcolor=#fff> ||
안산 · · · · · · · · · · · · · · · 안성 · · · · · · · · · · 안양 · · · · · · · · · · · · · · · · · · · · 양주 · · 연천 오산 · · · · · 용인 · · · · · · · · · · · · · · · 의정부 · · · · · · · · · 이천 ·
- [ 펼치기 · 접기 {ㅍ~ㅎ} ]
- ||<-2><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004097><colcolor=#fff> ||
파주 · · ·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rem; text-align: center" [[파주 버스 80|{{{#0085ca 80}}}]]
· · · · ·평택 · · · · · · · · · · · · · 포천 · · · · · 138좌석·138-5좌석하남 · 화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주말/공휴일 7대 운행.[2] 이 노선은 다른 116번 시리즈와 달리 처음부터 일반시내버스로 신설되었다.[3] 원래는 이 노선이 모란역-수정경찰서-가천대역-복정역-위례신도시 구간으로 가려고 하였으나, 운행거리가 지나치게 길어져, 과거에 동탄신도시-잠실역 구간을 운행했던 1116이 장거리 노선으로 인한 적자 심각으로 야탑 단축 후 폐선된 여파로 노선 계획이 수정된 것. 다만 동탄2신도시에서 장지역과 가락시장역을 거쳐 잠실역까지 운행하는 노선은 G6009번으로 대체[4] 송림고부터 단대오거리까지 동일하게 운행하는 17-1(A)번, 51번을 이용할 수도 있다.[5] KT부터 서현역까지 동일하게 운행하는 220번을 이용할 수도 있다.[6] 도색도 경기도 공공버스 도색으로 바뀌었다.[7] 상상이 잘 안 가겠지만, 전성기 때는 20대 이상 운행했다![8] 위 두 노선 모두 성남시내를 운행하는 버스들 중에서도 그 수요가 한 손 안에 꼽히는 노선들이기 때문.[9] 그런데도 분당 구간을 대폭 자르고 미금역까지 단축하게 된 배경에는 화성시의 입김이 많이 들어갔는데, 이미 720-1(A), 220 등 인가대수가 많은 훌륭한 대체 노선이 존재하는 분당 구간까지 동탄 주민들 눈물나도록 배차간격을 늘려가면서 굳이 쑤시고 들어갈 이유가 없다는 것이 주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를 잘 알고 있는 KD측에서도 본래는 미금역까지 한 번에 단축하려 했지만, 성남시의 의견을 반영해 순차적으로 단축하게 된 것.[10] 다시 말해 이 노선으로 동탄역은 한화꿈에그린 하차 후 도보이동, 또 구성역은 연원마을, LG벽산아파트 하차 후 도보이동으로 가야하는 것과 동탄-신갈, 죽전, 미금역은 차라리 GTX-A를 타고 와서 갈아탈빠에 차라리 이 노선을 타고 가는게 요금이 더 저렴하고 알뜰해 수요가 줄일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