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
M: 대량살인, C: 연쇄살인, N: 국가행정조직 연루, S: 성범죄 결합 살인, K: 납치 후 살인, A: 방화 결합 살인, R: 강도살인, I: 보험 관련 살인, Y: 청소년 범죄, F: 외국인 범죄, ?: 미제 사건 | }}}}}}}}}}}} |
1. 개요
2001년 12월 21일에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동 KB국민은행 둔산지점(당시 충청지역본부)에서 발생한 은행강도 사건으로 현재까진 미제 사건으로 알려져 있다.2. 사건진행
사건은 3억 원이 들어있는 돈가방 2개를 싣고 가던 현금수송차가 은행 지하주차장에 도착할 때 발생했다. 차에는 현금출납 담당자와 청원 경찰, 운전기사가 있었다.그런데 범인들이 현금수송차를 수원에서 도난 신고가 접수가 되어있던 자신들이 훔친 검정색 그랜저 XG 승용차로 가로막고, 2명의 범인이 나왔는데 그 중 한 명이 권총을 소지하고 있었다. 알다시피 국내엔 총기 소지가 불법이기 때문에 권총을 소지한다는 것은 굉장히 특이한 일이다. 게다가 총알을 조사한 결과, 경찰용 리볼버의 총탄이었다고 한다. 조사결과 범행 두 달 전, 송촌동에서 순찰하던 경사가 이를 탈취당한 것으로 확인됐다.
그리고 강도가 위협을 위해 천장에 총을 한발 발사하자, 현금수송차에 있던 사람들은 숨었는데, 미처 숨지 못한 현금출납 담당자 김O환 씨[1]가 이어서 발사된 총에 맞아 사망하고 범인은 돈가방을 챙기고 도주했다. 범행에 이용되었던 범인들이 훔친 차량은 130m 가량 떨어진 빌딩 주차장에서 버려진 상태로 발견됐고, 경찰이 파악한 강도의 행적도 여기까지였다. 목격담이 이어졌는데, 그 중 유력한 제보는 범인들이 훔친 차를 타고 선팅지를 구매했다는것. 실제 차량에서 여러 개의 선팅지가 덧대여진 것이 확인되었다. 경찰은 2002년 8월 21살 송 모씨 등 3명을 용의자를 지목했지만, 권총 등 직접 증거를 확보하지 못 하게 되면서 석방시켜 줄 밖에 없었다. 범인은 결국 잡히지 않았고, 현재까지 미제 사건으로 남아있다.
3. 그 후
이 사건 뒤에 전국적으로 유사하게 현금수송차를 노린 범행이 잇따랐다고 한다. 2003년 1월 현금 4억 7천만 원이 탈취당한 대전 은행동 사건과 같은 해 9월 현금 8억 7천만 원을 탈취당한 태평동 사건 등은 이 사건의 범인들이 개입한 연쇄 범행으로 추정되었지만, 모두 범인 검거에 실패했다. 은행동·태평동 사건은 살인이 이루어지지 않았기에 공소시효가 끝났다.현재도 미제사건전담수사팀에서 수사 중이다.
원래 이 사건은 2016년에 공소시효가 만료될 예정이었으나, 이를 1년여 앞두고 2000년 8월 이후 발생한 사건에 대한 공소시효가 철폐됨에 따라 수사가 지속되고 있다. 하지만 증거 자체가 워낙 적고 이렇다 할 수사의 진전이 없어서 영구 미제로 남을 공산이 크다.
저 두 사람의 모습을 목격했거나 본 목격자 또는 이 사건의 범인을 아시는 분은 대전광역시경찰청(042-609-2172, 2375)으로 제보하거나 대전둔산경찰서(042-476-0112)로 제보하자.
2019년 9월 7일에 SBS의 그것이 알고싶다에서 이 사건을 다룬 바 있다.
[1] 당시 국민은행에서 과장으로 근무 중이었고, 직원들로부터 인망이 두터웠다고 한다. 사망 이후 12년간 직원들이 고인을 참배하러 갔을 정도. 이후 당시 직원이 거의 다 떠나면서 유가족과 협의하여 하지 않게 됐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