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터미널~신촌역 노선에 대한 내용은 인천 버스 3000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0" | <tablebordercolor=#9e8038>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color=#fff> 광역급행 | ||
직행좌석 | 심야 | ||
좌석 | |||
일반 | 시내버스 맞춤형버스 공공버스(시군간) | ||
똑버스 | |||
마을 | |||
9000번: 수도권 통합요금 미적용 노선 | |||
1. 개요
선진상운에서 운행하는 직행좌석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 거리는 103.7km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2. 노선 정보
김포시 직행좌석버스 3000-1번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기점 |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갈산리(월곶공영차고지) | 종점 | 서울특별시 마포구 노고산동(신촌오거리.2호선신촌역(중)) | ||
종점행 | 첫차 | 04:20 | 기점행 | 첫차 | 05:45 |
막차 | 22:00 | 막차 | 23:30 | ||
배차간격 | 10~25분 | ||||
운수사명 | 선진상운 | 인가대수 | 16대 | ||
노선 | 월곶공영차고지 - 포내2리 - 김포대학교 - 군하리.한우마을 - 새터마을 - 마송 - 통진중고교 - 누산삼거리 - 한강로사거리 - 걸포북변역 - 북변환승센터.구터미널 - 사우역.김포고 - 풍무역 - 고촌역 - 김포IC - 김포대로 - 고촌IC - 개화역1번출구.개화검문소 - 송정역(중) - 마곡역(중) - 발산역(중) - 강서구청사거리(중) - 염창역.서울도시가스(중) - 양화대교 - 합정역(중) - 홍대입구역(중) - 동교동삼거리(중) - 신촌오거리.2호선신촌역(중) |
3. 역사
- 2024년 7월 1일에 개통했다. 단, 공식적으로는 기존 김포 3000번을 23대에서 15대로 감차하고 월곶공영차고지로 단축 및 번호를 3000-1번으로 변경하는 대신 감차된 8대로 인천 3000번을 개통한 방식이다.[1] 김포시 보도자료
4. 특징
4.1. 수요
- 강서구 정차 정류장도 개화역, 송정역, 마곡역, 마곡동로사거리, 발산역, 강서구청사거리, 염창역뿐이라 공항대로 연선에서 양화로, 신촌을 오가는 수요가 성인 교통카드 2,800원이라는 비싼 요금에도 불구, 제법 있는 편이다. 발산역에서 홍대나 신촌으로 가는 6712번이 있지만 가양동과 염창동(양천로)쪽으로 돌아서 가는데다가 정차 정류장도 많다.
- 과거 월곶면에도 김포대가 있었던 시절에는 김포대에서 가장 자주 오는 버스여서 대학 통학 수요도 있었다. 특히 코로나 사태 이후에는 88, 96, 97 등 김포대를 가는 다른 버스는 배차가 영 좋지 않다 보니[2] 김포시내에서도 김포대를 가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이 노선을 이용하는 수요도 있었다. 48번 국도를 그대로 따라가지 않고 김포대학교를 경유하기 위해 돌아가는 선형인데, 김포대학 - 염창역 구간이 동사 88번보다 15~20분 빠른 등 이유로 통학 수요도 제법 많은 편.
- 코로나 이후로 강화/월곶에서 김포시내로 가는 다른 노선(88번, 96번, 97번[3])의 배차가 많이 길어지면서 코로나 이후 강화/월곶과 김포 만을 오가는 단거리 수요도 많이 늘어났다.[4]
4.2. 이용 시 유의사항
- 자동차전용도로를 경유하지 않지만 입석금지 시행 노선이다. 김포대학교 통학 시간대에는 구도심에서 만석이 되어 장기동 구간부터 탑승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하며, 간혹 퇴근 시간대에도 마송에서 만석이 되기도 한다. 출/퇴근 시간대와 관광객들이 많은 주말 등에 합정/홍대에서 강화도 방향으로 가려면 신촌역까지 역주행 후 신촌아트레온 앞에서 타는 것이 절대적으로 유리하다. 이 정류장은 강화 방향 첫 번째 정류장이라 좌석 확보에 가장 유리하다.
- 신촌에서 강화 방향으로 타는 곳은 신촌오거리 진입 전 가변차로 정류장, 즉 삼화고속에서 운행했던 인천 광역버스가 서는 그 CGV 신촌아트레온(옛 신영극장) 앞 정류장에 번호 표지가 세워 있다. 경의선 신촌역 앞에서는 승차가 불가능하다.
- 교통정체가 없을 경우 신촌오거리 - 김포 구도심(고촌역~사우역 일대)까지 1시간, 강화터미널까지 2시간 정도 걸린다. 출퇴근 시간대 올림픽대로가 막히면 48번 국도에 설치된 버스전용차로 덕에 1004번 등 다른 버스보다 오히려 빠를 때도 있다.
- 겨울철 눈이 많이 오면 포내2리 - 군하리.한우마을 구간을 운행하지 않는다. 이 구간 사이에 김포대학교가 들어가 있어 겨울에는 문제가 된다. 우회운행 시 김포대학교에서 버스를 이용하려면 정문 앞에서 기다리지 말고 김포대학입구나 군하리 정류장까지 나와야 한다. 웬만하면 기사가 "김포대 안들어간다", "고막리 안들어간다" 식으로 알려주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으므로 물어보도록 하자. 이는 김포대학교 - 고막리 간 도로가 구불구불하고 고저차가 심하며 제설이 바로 되지 않아 그런 것으로, 같은 길로 다니는 88번과 고양시 시내버스인 96번과 97번도 마찬가지로 이 구간을 우회하게 된다. 우회 및 정상운행 여부는 눈의 양과 제설 상황에 따라 다르고 우회 경로도 일정하지 않으니 잘 모를 땐 운수회사에 문의하자.
- 김포공항 인근을 지나가나, 김포공항 내부에 진입하지는 않는다. 김포공항으로 가기 위해서는 개화역 하차 후 9호선 전철 또는 601번, 605번 등을 이용하거나 송정역 하차 후 5호선 전철 또는 601번, 605번, 6632번 등을 이용하면 된다. 방화중학교에서 환승하는 방법은 이 노선이 방화중학교에 정차하지 않아 사용할 수 없으니 유의.
4.3. 노선 분할 논란
- 상술했듯이 강화터미널 - 신촌역을 운행하는 3000번이 2024년 7월 1일부터 강화터미널 - 신촌역 노선인 인천 3000번, 월곶공영차고지 - 신촌역 노선인 김포 3000-1번으로 분리되었다. 노선 분할 전에는 인가대수가 총 23대였으나 강화도를 진입하는 인천 3000번은 8대로,[5] 강화도를 진입하지 않는 김포 3000-1번은 15대 운행으로 변경되었다. 이로 인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 강화도발 노선인 3000번이 23대에서 8대로 대량 감차되고, 나머지 15대는 강화도 구간을 운행하지 않는 3000-1번 노선으로 이동했기 때문에 강화도 승객들이 노선을 이용하기가 매우 불편해졌다. 다른 강화 - 서울 노선인 88번의 경우 광역버스 및 시내버스 준공영제로 인한 인력 차출, 코로나-19 등의 여러 요인으로 인해 배차간격이 예전보다 상당히 늘어난 상태여서[6] 강화 - 서울의 경우 사실상 울며 겨자 먹기로 3000번을 이용해야 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유일하다시피 한 노선마저 배차가 매우 벌어진 것. 90번은 배차가 짧긴 하나 이 노선은 인천행 노선이며, 마찬가지로 주말에는 배차간격이 길어진다.
- 이 사태가 발생한 이유는 2021년 6월에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이하 대광위) 노선으로 편입되었는데,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시행령 개정 후 법제처에서 기점이 경기도인 노선에 면허를 발급해야 한다는 규정[7]과 어긋난다고 해석했다.[8] 이로인해 강화도 구간이 단축될 수도 있는 문제가 발생했다. 기사 1 기사 2 관련 게시물 1
- 처음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김포시의 월곶공영차고지에서 출발해 강화터미널을 경유하는 방안도 검토했으나, 이 방안은 왕복 운행거리가 길어져 운전기사 피로와 더불어 배차간격이 크게 벌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어 실현되지 않았다.
- 결국 강화도 승객들이 버스 이용에 상당한 피해를 보았으며, 상술했듯이 버스가 서로 붙어온 다음 한동안 안오는 문제 때문에 김포시 승객들도 이용에 불편을 겪고 있다.
4.4. 기타
- 현대 유니버스 차량으로 운행한다.
- M6117번과 함께 김포시 광역버스 승차량 1, 2위를 다투고 있었다. 2014년까지 쭉 김포시 좌석버스 승차량 1위인 노선이었으나 2015년 2월에 M6117번이 그 자리를 기록했다가 4월부터는 다시 1위를 차지했는데, 사실 M6117번과는 별 차이 안 난다.[11]
4.5. 노선
김포시 직행좌석버스 3000-1번 |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신촌역2호선 13142 | 신촌오거리.2호선신촌역(중) 14063 | ||||
신촌오거리(경유) 미정차 | ↓ | ↑ | ||||
현대백화점 13259 | 신촌오거리.현대백화점(중) 14062 | |||||
동교동삼거리(중) 13019 | ↓ | ↑ | 동교동삼거리(중) 14061 | |||
홍대입구역(중) 14016 | 홍대입구역(중) 14015 | |||||
홍대입구역사거리(경유) 미정차 | ↓ | ↑ | ||||
서교동사거리(경유) 미정차 | 서교동사거리(경유) 미정차 | |||||
합정역(중) 14012 | ↓ | ↑ | 합정역(중) 14011 | |||
성산대교남단(경유) 미정차 | 성산대교남단(경유) 미정차 | |||||
염창역.서울도시가스(중) 16001 | ↓ | ↑ | 염창역.서울도시가스(중) 16002 | |||
강서구청사거리.서울디지털대학교(중) 16007 | 강서구청사거리.서울디지털대학교(중) 16008 | |||||
발산역(중) 16013 | ↓ | ↑ | 발산역(중) 16017 | |||
마곡동로사거리(중) 16021 | 마곡동로사거리(중) 16022 | |||||
마곡역(중) 16018 | ↓ | ↑ | 마곡역(중) 16019 | |||
송정역(중) 16015 | 송정역(중) 16014 | |||||
개화역1번출구.개화검문소 16169 | ↓ | ↑ | 개화역1번출구.개화검문소 16170 | |||
고촌IC(경유) 미정차 | 고촌IC(경유) 미정차 | |||||
고촌역 35278 | ↓ | ↑ | 고촌역 35277 | |||
장곡(경유) 미정차 | 장곡(경유) 미정차 | |||||
풍무역 35272 | ↓ | ↑ | 풍무역 35271 | |||
사우고.김포시청 35260 | 사우고교.김포시청(직행) 35692 | |||||
사우역.김포고(걸포사거리방면) 35247 | ↓ | ↑ | 사우역.김포고 35246 | |||
북변환승센터.구터미널 35532 | 북변환승센터.구터미널 35531 | |||||
걸포사거리.우리병원 35561 | ↓ | ↑ | 걸포사거리.김포우리병원 35657 | |||
걸포북변역.국민연금공단 35610 | 걸포북변역.국민연금공단 35560 | |||||
나진교.메트로자이2단지 35217 | ↓ | ↑ | 나진교.메트로자이2단지 35216 | |||
전원마을.김포한강롯데캐슬 35210 | 장기사거리.수정마을 35211 | |||||
지경 35208 | ↓ | ↑ | 지경 35209 | |||
한강로사거리 35295 | 한강로사거리 35291 | |||||
장기본동행정복지센터.성창.에일린의뜰 35206 | ↓ | ↑ | 장기본동행정복지센터 35204 | |||
누산사거리 35189 | 누산사거리 35191 | |||||
누산삼거리 35158 | ↓ | ↑ | 누산삼거리 35159 | |||
백석마을 35096 | 신일아파트 35097 | |||||
통진중고등학교 35074 | ↓ | ↑ | 통진중고등학교 35073 | |||
마송 35063 | 마송 35066 | |||||
통진성당 35059 | ↓ | ↑ | 통진성당 35060 | |||
새터마을 35033 | 새터마을 35362 | |||||
김포외국어고등학교 35161 | ↓ | ↑ | 김포외국어고등학교 35162 | |||
군하리.한우마을 35013 | 군하리.한우마을 35014 | |||||
고막리마을회관 35018 | ↓ | ↑ | 고막리마을회관 35019 | |||
김포대학교 35005 | 김포대학교 35006 | |||||
포내2리 35593 | ↓ | ↑ | 포내2리 35581 | |||
월곶공영차고지 62185 · 62186 |
4.6. 일평균 승차인원
김포시 직행좌석버스 3000-1번 | ||
<rowcolor=#ffffff>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24년 | 명 | |
※ 하차인원 미포함 |
- 출처: 교통카드 빅데이터 통합정보시스템
- 데이터 누락이나 오류로 인해 실제 승차량보다는 낮게 집계되니 단순 참고용으로만 확인하기 바람.
5. 연계 철도역
- 서울 지하철 2호선: 합정역, 홍대입구역, 신촌역
- 수도권 전철 5호선: 송정역, 마곡역, 발산역
- 서울 지하철 6호선: 합정역
- 서울 지하철 9호선: 개화역, 염창역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홍대입구역, 신촌역
- 인천국제공항철도: 홍대입구역
- 김포 골드라인: 걸포북변역, 사우역, 풍무역, 고촌역
6. 둘러보기
자동차전용도로 미경유 경기도 직행좌석버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ee2737> | <colcolor=#fff><colbgcolor=#ee2737>가평 | · · |
고양 | 1000[2] · · · | ||
광주 | · | ||
김포 | · | ||
수원 | · · | ||
안산 | · · | ||
용인 | · · | ||
파주 | · · 9710-1[2] | ||
기타 | · · [미] · | ||
[2] 2층버스 운행 노선 / [미] 면허지 미경유 | }}}}}}}}} |
김포시 - 개화역간 버스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환승센터 양방향 정차 | |
환승센터 회차 | ||
환승센터 서울방향 정차 | ||
1번출구.개화검문소 정차 |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053864> |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준공영제 대상 노선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광역급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직행 좌석 | <colbgcolor=#ee2737><colcolor=#fff>가평 | · · · · · · · | |
고양 | · | ||
광명 | · · · | ||
광주 | · · · · · · · · · | ||
구리 | · · · | ||
군포 | · | ||
김포 | · · · · · · · · · | ||
남양주 | · · · · · · · · · · · · · · · · · | ||
성남 | · · · · · · · · · · · · | ||
수원 | · · · · · · · · | ||
시흥 | · | ||
안산 | |||
안성 | · · | ||
양주 | · · · · · | ||
양평 | · | ||
연천 | |||
오산 | · · | ||
용인 | · · · · · · · · · · · · · · · · · · · · · · | ||
의정부 | · · · | ||
의왕 | |||
이천 | · | ||
파주 | · · | ||
평택 | · · | ||
포천 | · · · · | ||
하남 | · · · · · | ||
화성 | · · · · · · · · · · · · · |
[1] '강화 - 신촌' 간 노선은 오래 전부터 3000번이라는 번호를 썼기에, 나무위키에서는 3000-1번을 2024년 개업한 노선으로 분류한다.[2] 세 노선 모두 김포대 월곶캠 폐교 직전에는 평일에도 시간당 1대 꼴의 배차가 되었으며 특히 88은 388번 공관제 시행으로 인한 감차 이후 시간당 1대 꼴보다 늘어나는 경우도 많았다. 그리고 97은 장기동에서 일산대교 거쳐 대화 쪽으로 빠지다 보니 김포 구도심에서는 97을 이용할 수 없다.[3] 단, 이 노선은 김포 구도심을 가지 않는다.[4] 90번도 김포를 가긴 하지만, 구래역에서 검단 방면으로 빠지기 때문에 장기동이나 김포 구도심을 가지 않는다.[5] 노선 분할 당시 기준이며, 2024년 8월에 1대가 증차되기는 하였다.[6] 88번의 경우 과거에는 배차간격이 10~15분 간격으로 양호했으나 현재는 1일 30회 수준으로 운행한다. 과거에 비하면 비교도 할 수 없을 정도로 망가진 상태. 이 마저도 2024년 8월 16일에 노선이 송정역으로 단축되고 10월 15일 차량 2대 증차로 운행횟수가 조금 늘어난 것이며, 4대 운행 시절에는 1일 20회, 영등포역까지 운행하던 시절에는 1일 14회에 불과했다.[7]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시행령 제37조제1항제1호[8] 3000번은 인천광역시 강화군의 강화터미널이 기점인 노선이나, 면허가 중간 경유지인 경기도 김포시로 등록되어 있었다.[9] 원래 3000번은 대광위 준공영제 기준 정부 50%, 경기도 15%, 김포시 35%의 비율로 적자를 보전하고 있었다.[10] 허나 인천시의 입장은 김포시의 1004번을 생각하면 문제가 된다. 1004번의 경우 김포 면허이나 주 수요처가 인천 검단이기 때문. 다른 회사들이긴 하지만, 부평구와 계양구를 경유하는 파주시의 5000번, 미추홀구를 경유하는 광명시의 3001번, 연수구를 경유하는 3002번의 경우 주 수요가 인천이지만 인천시가 보조금을 주지 않고 계속 뻐팅기고 있다. 이 문제로 광역버스로 전환되지 못하고 폐선된 시외버스도 있을 만큼 문제가 매우 심각하다.[11] 그렇다고 3000번의 수요가 줄어든 것이 아니다. 오히려 3000번도 늘어나는 중인데 M6117번이 한강신도시로 인해 그보다 더한 수요를 창출해 내고 있었다.[12] 물론 88, 96 등 다른 노선을 타고 한강로사거리로 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