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3 22:04:39

이오시프 스탈린

조지프 스탈린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스탈린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스탈린(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cd0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40000, #cd0000 20%, #cd0000 80%, #a40000); color: #ffd7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초대
인민위원장

블라디미르 레닌
제2대
이오시프 스탈린
임시
게오르기 말렌코프
제3대
니키타 흐루쇼프
제4대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제5대
유리 안드로포프
제6대
콘스탄틴 체르넨코
제7대
미하일 고르바초프
}}}}}}}}}}}}


<colbgcolor=#cd0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40000, #cd0000 20%, #cd0000 80%, #a40000); color: #ffd7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d700> 국가원수
<rowcolor=#ffd700> 소비에트대회 중앙집행위원회 주석 소련 최고회의 상무회 주석
초대 초대 제2대 제3대
미하일 칼리닌 미하일 칼리닌 니콜라이 시베르니크 클리멘트 보로실로프
<rowcolor=#ffd700> 소련 최고회의 상무회 주석
제4대 제5대 제6대 제7대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아나스타스 미코얀 니콜라이 포드고르니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rowcolor=#ffd700> 소련 최고회의 상무회 주석
제8대 제9대 제10대 제11대
유리 안드로포프 콘스탄틴 체르넨코 안드레이 그로미코 미하일 고르바초프
<rowcolor=#ffd700> 소련 최고회의 주석 소비에트 연방 대통령
초대 초대
미하일 고르바초프 미하일 고르바초프
<rowcolor=#ffd700> 정부수반
<rowcolor=#ffd700> 소련 인민위원장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블라디미르 레닌 알렉세이 리코프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이오시프 스탈린
<rowcolor=#ffd700> 소련 장관회의 주석
제4대 제5대 제6대 제7대
이오시프 스탈린 게오르기 말렌코프 니콜라이 불가닌 니키타 흐루쇼프
<rowcolor=#ffd700> 소련 장관회의 주석 소비에트 연방 총리
제8대 제9대 제10대 제11대
알렉세이 코시긴 니콜라이 티호노프 니콜라이 리시코프 발렌틴 파블로프
<rowcolor=#ffd700> 서기장
<rowcolor=#ffd700>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기술서기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국 주석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책임서기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옐레나 스타소바 야코프 스베르들로프 옐레나 스타소바 니콜라이 크레스틴스키
<rowcolor=#ffd700>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책임서기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장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제1서기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이오시프 스탈린 니키타 흐루쇼프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rowcolor=#ffd700>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장
제8대 제9대 제10대 제11대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유리 안드로포프 콘스탄틴 체르넨코 미하일 고르바초프
}}}}}}}}} ||
<colbgcolor=#cd0000><colcolor=#ffe400,#ffe300>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제4대 장관회의 주석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 중앙위원회 초대 서기장
이오시프 스탈린
Ио́сиф Ста́лин | Joseph Stalin
파일:이오시프 스탈린_흑백 사진 4.png
이름 이오시프 비사리오노비치 스탈린
(Ио́сиф Виссарио́нович Ста́лин,
Joseph Vissarionovich Stalin)
본명 이오세브 베사리오니스 제 주가슈빌리
(იოსებ ბესარიონის ძე ჯუღაშვილი)
출생 1878년 12월 18일[1]
러시아 제국 티플리스현 고리
(現 조지아 시다카르틀리주 고리시)
사망 1953년 3월 5일 (향년 74세)
소련 러시아 SFSR 모스크바주 쿤체보군 볼린스코예
(現 러시아 모스크바 연방시 서부 행정구 쿤체보구)[2]
묘소 레닌-스탈린 영묘 (1953년)
크렘린 벽 묘지 (1961년)
재임기간 초대 서기장
1922년 4월 3일 ~ 1952년 10월 16일[3]
제4대 인민위원장
1941년 5월 6일 ~ 1946년 3월 15일
제4대 장관회의 주석
1946년 3월 19일 ~ 1953년 3월 5일
서명 파일:이오시프 스탈린 서명.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d0000><colcolor=#ffe400,#ffe300> 부모 부친 베사리온 주가슈빌리
모친 에카테리네 겔라제[4]
형제자매[5] 큰형 미헤일 주가슈빌리
작은형 기오르기 주가슈빌리
배우자 에카테리나 스바니제 (1906–1907, 사별)[6]
나데즈다 알릴루예바 (1919–1932, 사별)
자녀 장남 야코프 주가슈빌리
차남 바실리 스탈린
장녀 스베틀라나 알릴루예바
양자 아르툠 세르게예프[7]
학력 트빌리시 신학교 (중퇴)
신체 165cm, 72kg
종교 정교회 (조지아 정교회)무종교 (무신론)[8]
최종 당적
[[소련 공산당|]]
주요 서훈 소비에트 연방 영웅
사회주의노력영웅
전승훈장 (2회)
레닌훈장 (3회)
적기훈장 (3회)
수보로프 훈장 1등급
}}}}}}}}}
파일:스탈린의 공식 초상화.jpg
공식 초상화

1. 개요2. 생애3. 평가4. 당대 각국 정상들과의 관계5. 가족사6. 인명 표기7. 여담8. 스탈린을 다룬 저작
8.1. 국내 정발된 저작8.2. 국내 비정발 저작
9. 대중매체에서10. 스탈린주의11. 스탈린의 이름을 딴 지명12. 어록13. 소속 정당1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소련의 군인 출신 정치인이자 독재자.

1922년부터 1952년까지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장을 지내면서 30년 동안 소비에트 연방 제2대 최고지도자를 지냈으며, 1946년부터 1953년까지 소련 장관회의 주석에 재임했다.

러시아 제국 치하 그루지야의 제화공의 아들로 태어나 유년기에 정교회 사제가 되기 위해 신학교에 입학했지만 청년기에 공산주의자가 되어 신학교를 자퇴하고 공산주의 혁명가가 되었다. 블라디미르 레닌 휘하에서 러시아 혁명에 동참해 러시아 제국을 전복시키고 소련 건국에 일조했다. 레닌 사후 권력을 장악해 소련의 최고 권력자가 되었고, 정적 제거 및 권력 장악을 위해 대숙청을 벌여 수십만을 처형하고 수백만을 굴라크에 강제로 감금했다. 동시에 러시아 제국의 낙후된 농업을 기반을 중심으로 한 경제를 개선하기 위해 5개년 계획을 통해 소련을 중화학공업 위주의 공업 국가로 전환시켰다.

1939년 유럽에 전운이 감돌자 나치 독일불가침조약을 맺어 만일의 전쟁으로부터 거리를 두려 했지만, 독일의 기습적인 침공으로 독소전쟁이 발발하며 연합국에 가입,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다. 대숙청을 비롯한 소련 내부의 혼란 때문에 초기에는 큰 피해를 입었지만 2천만 명이 넘는 막대한 인명 손실에도 끝내 승전했고, 전후에는 미국과 대립해 세계를 양분할 초강대국으로의 발판을 마련했다.

사후, 흐루쇼프 정권에서 대숙청, 홀로도모르, 굴라크, NKVD를 이용한 공포 정치 등 스탈린 정권의 부정적인 면을 대대적으로 재조명하면서 소련의 공식적인 흑역사로 격하되었다. 이후 역사에서 스탈린은 위 설명된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종합해 극단적인 양면을 지닌 지도자로 평가받는다.

그가 정립한 레닌주의 계열 사상인 마르크스-레닌주의는 전 세계의 공산주의 혁명가들에게 스탈린주의라는 이름으로 알려지며 큰 영향을 미쳤다.

2. 생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오시프 스탈린/생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평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오시프 스탈린/평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당대 각국 정상들과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오시프 스탈린/각국 정상들과의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가족사

파일:JJhtv48.jpg

스탈린의 어머니

5.1. 아내들

파일:에카테리나스바니제.jpg
  • 첫번째 아내 에카테리나 스비모니스 아술리 스바니제(ეკატერინა სვიმონის ასული სვანიძე)[9]
    1885년 4월 2일 ~ 1907년 12월 5일 (향년 22세)
    일명 카토 스바니제(კატო სვანიძე). 스탈린이 조지아인으로 생활하던 시기에 혼인한 인물이며 혁명동료의 남매이다. 원래 몸이 허약했고 잦은 도피생활로 인한 영양실조로 결혼 2년 만에 티푸스에 걸려 병사했다. 이때 스탈린이 죽은 아내와 같이 묻히겠다며 소동을 벌였는데 친구들의 '산 사람은 살아야 한다'는 만류에 그만뒀다. 혹은 본인도 묻으라며 소란을 피우던 와중에 지켜보고 있던 오흐라나[10] 요원들이 스탈린을 체포하러 들이닥쳐서 재빨리 자리를 피했다는 말도 있다. 후일 이때를 회상하며 "나는 첫 아내를 묻으며 인간에 대한 애정 또한 묻었다"라는 말을 남겼다. 여담으로 첫번째 아내를 통해 장남인 야코프 주가슈빌리를 낳았는데, 스탈린은 첫째 아들을 볼 때마다 죽은 아내가 생각나 의도적으로 거리를 두었고 이 때문에 아들의 성격이 과묵하고 부모에게 아무것도 안 바라는 차가운 성격이 되었다.

파일:나데즈다알릴루예바.jpg
  • 두번째 아내 나데즈다 세르게예브나 알릴루예바(Наде́жда Серге́евна Аллилу́ева)
    1901년 9월 22일 ~ 1932년 11월 9일 (향년 31세)
    레닌의 비서로서 레닌의 유언장을 대필했다. 나데즈다의 갑작스러운 사망에 대해 여러 루머가 떠돌았는데, 몰로토프는 여자에 대해서 농담하는 것에 분노한 나데즈다가 스탈린과 싸웠고, 스탈린이 물건을 그녀에게 집어던지며 모욕하자 우발적으로 자살했다고 주장했다. 현재에는 실제 나데즈다의 사망 원인은 우울증으로 인한 우발적인 자살로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러시아 혁명 기념 만찬회를 위해 클리멘트 보로실로프의 집에 초대받아 스탈린이 나데즈다에게 술을 권하며 "자네도 이거 마셔." 라고 했고 나데즈다는 "당신에게 '자네' 라고 불릴 이유는 없습니다!" 라 말하곤 그녀의 방으로 돌아가 선물받은 권총으로 자살했다.[11] 이러한 신경 쇠약은 자신의 결혼 생활에 대한 회의가 주된 원인으로 보여지는데, 나데즈다가 스탈린을 열렬히 사랑했던데 반해 스탈린은 굉장히 냉소적인 인물상이였기 때문이다. 나데즈다가 술에 취해 몸을 못가눌 때 스탈린이 그녀를 안고 소파에 눕혀주자 "당신도 나를 조금은 사랑하고 있군요." 라고 했다고 (이는 스탈린이 그의 딸 스베틀라나에게 직접 전한 이야기이다). 나데즈다가 자살하기 불과 며칠전 그녀의 고용인에게 "모든 것에 의욕이 없어졌다." 라고 한탄했다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혁명기념일 이전에 이미 중증이였던 것이다. 스베틀라나의 회고로는 스탈린은 이후로 나데즈다의 다른 죽음의 원인을 찾으려 애썼다고 한다. 스탈린에게 아내가 있다는 것은 공공연한 비밀이였는데 소련 관영매체는 나데즈다의 사망을 알리면서 처음으로 스탈린에게 아내가 있었음을 인정했다. 사망 원인은 공표되지 않았으나 NKVD는 나데즈다가 맹장염으로 죽었다는 거짓 소문을 퍼뜨렸다. 여담으로 스탈린의 2번째 아내를 통해 낳은 둘째 바실리 스탈린은 성실한 첫째와는 다르게 자식 교육을 망쳤다. 그 스탈린이 뒷배에 있다 보니 전형적인 폐급 장교가 되어, 전쟁 중에도 후방에서 술이나 마시다가 스탈린 사후에 각종 업보에 연루되어 감옥에 수감당하고 정계에서 추방당한다.

5.2. 장남 야코프 주가슈빌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야코프 주가슈빌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3. 차남 바실리 스탈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바실리 스탈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4. 장녀 스베틀라나 알릴루예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베틀라나 알릴루예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인명 표기


조지아어 초명은 '이오세브 베사리오니스 제 주가슈빌리(იოსებ ბესარიონის ძე ჯუღაშვილი, Ioseb Besarionis dze Jughashvili)'이다.[13] 조지아어로 '제(ძე)'는 '아들'이라는 의미이고, '베사리오니스(ბესარიონის)'는 부칭(父稱)인 베사리온(ბესარიონი)에 관형격 조사가 붙은 형태이다.

조지아어 표기를 러시아어로 바꾸면 이오시프 비사리오노비치 주가슈빌리(Иосиф Виссарионович Джугашвили, Iosif Vissarionovich Dzhugashvili)가 된다. 이오시프의 두 아들인 야코프 주가슈빌리바실리 스탈린의 본명 바실리 주가슈빌리의 성이 주가슈빌리인 이유가 이 때문이다.

영미권에서는 '이오시프'의 영어 표기인 조셉 스탈린(Joseph Stalin)[14]으로 부르는 사람도 제법 있으니 참고하자. 주로 영미권 제작 2차대전 관련 다큐멘터리 등지에서 이 이름으로 자주 나온다.

가명으로 코바(კობა)가 있는데, 조지아 스테판츠민다 출신의 작가인 알레크산드레 카즈베기(ალექსანდრე ყაზბეგი, 1848년 1월 23일 ~ 1893년 12월 22일)가 쓴 소설 《아버지 살인(მამის მკვლელი, 마미스 므크블렐리)》의 주인공 코바에서 따왔다고 한다. 소설의 주인공은 일종의 로빈 후드 같은 인물이다. 스탈린의 친구이자 혁명동지였던 니콜라이 부하린은 숙청으로 처형 직전에 "코바, 왜 나의 죽음을 필요로 하지?"(Коба, зачем тебе нужна моя смерть?)라는 마지막 전문을 보냈다고 한다.[15][16] 이를 보아 주변인들은 그에게 애칭으로 자주 쓴 모양이다. 레닌이 다른 사람들에게 스탈린의 성을 물을 때 레닌은 그를 코바라고 불렀다.

그 밖에도 '랴보이'(Рябой, 마맛자국)이라는 별명이 있었다. 이것은 그가 어린 시절 천연두를 앓아 마맛자국이 있었기 때문. '가이오즈 니자라제(გაიოზ ნიჟარაძე, Gaioz Nizharadze)'라는 별칭도 조금 쓰였다.

또 여러 번 쓰인 가명인 베소와 베소슈빌리라는 이름은 자신의 아버지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하지만 동네 친구나 가족들은 그를 소소라고 불렀다.

그 외에도 여러 가명과 작가로서의 필명을 사용했다. 문필가로서 작품을 발표할 땐 소셀로라는 필명을 쓰기도 했다. 페트로프, 이바노비치, 갈리아슈빌리, 세묜 즈벨라야, K. 카토, 곰보 오스카, 오시프 코바, 괴짜 오시프, 캅카스인, 우유장수, 곰보, 게자(절름발이), 쿤쿨라(비틀거리는 사람), 코바 신부 등 이것저것 많이 쓴 것을 알 수 있다. 나중엔 그의 캅카스적 정체성을 대표해주는 코바의 사용 빈도가 늘긴 하지만.

그래도 가장 유명한 별명은 스탈린으로 스탈(сталь)은 러시아어로 '강철'을 뜻하며 스탈린은 러시아어 소유접미사가 붙은 성씨 형태이다. 그 때문에 스탈린은 강철의 대원수라는 이명으로 불리게 된다. 몇몇 미국매체에서 이 인물을 패러디하는 인물이 등장하는 경우. 이오시프 스탈린의 이름을 번안하여 조셉 스틸(Joseph Steel)로 쓰는 경우도 있다.

성씨 스탈린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는데 스탈린 본인은 "동지들이 나에게 그 이름을 주었다."고 말했지만 바쿠에서 사귀었던 여자친구 류드밀라 스탈이 지어준 별명이라는 설도 있다. 한편 스탈린의 평생 심복이었던 몰로토프는 "그건 그 스스로 붙인 이름이다."라고 말한 바가 있다.

수없이 많은 가명 중에서 본격적으로 '스탈린'의 사용빈도가 늘어나는 것은 스탈린을 당내에서 유명하게 만들어준 저작인 《마르크스주의와 민족 문제(Марксизм и национальный вопрос)》에 필명으로 이 이름을 쓴 이후부터다.

비밀문서의 서명 시에는 필리포프(Филиппов, Filippov)라는 가명을 썼다.

7. 여담

  • 동시대의 독재자이자 라이벌이라 할 수 있는 아돌프 히틀러와 비교하면 비슷한 점이 여럿 있다. 두 사람은 모두 어렸을 적에 아버지로부터 무자비한 학대를 받았으나, 어머니와는 친밀했다.[17] 권력을 가지기 전까진 과소평가를 당했다. 대외적인 이미지와는 상당히 다른 본성을 가지고 있고 몇백만의 학살을 한 자 치고는 감수성이 풍부했다. 둘 다 고소공포증을 가지고 있어 비행기보다는 기차를 선호했다. 또한 둘 다 군부에 대한 불신으로 현장 지휘에 매우 간섭했다. 흥미롭게도 이 독재자들의 상황과 군부에 대한 시선의 시간에 따른 경향 변화는 상반된다. 군부에 대한 불신으로 숙청을 휘두른 스탈린 때문에 독소전쟁 발발 당시 러시아는 연이은 참패를 경험해야 했다. 군대 경력이 전무한 스탈린은 전술에 대한 실력이 없다는 사실을 겸허히 받아들이고 숙청시켰던 장교들 몇을 복직시켰다. 이후 전쟁이 진행될수록 본인의 권력이 공고해져 쿠테타가 일어날 수 없다는 것에 대한 믿음이 생기며 군부에게 재량권을 주기 시작했다. 반면 히틀러는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상병으로 전역했으며 본인도 이 군 경력을 매우 자랑했다. 그는 제1차 세계 대전의 패전에 대한 책임이 프로이센 왕국군으로 대표되는 군부에 있다고 믿었으며, 혐오하고 전쟁 내내 영향력을 줄이려고 노력했다. 이 경향은 군부 주류가 다들 무시했으나 본인이 밀어붙인 낫질 작전이 대성공을 터트리면서 더욱 강해졌다. SS에 대한 대대적인 힘을 줬던 것도 이 이유. 이는 전황이 불리해지는 후반이 갈수록 심해지면서 스탈린과는 반대로 현장 지휘에 계속 간섭했다.
    히틀러와 스탈린 두 인물 모두 조국이 아닌 국가의 군인으로 참전했으며 훗날 절대권력을 잡은 뒤 모국을 병합하거나 구성국에 두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히틀러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출신이며 스탈린은 조지아 출신이다. 둘 다 모국에 대해 애착이나 향수보다는 냉소적인 태도로 일관하는 경향이 있었다.
  • 스탈린은 매우 괴팍하고 격정적인 사람일 것이라 생각하기 쉽지만, 의외로 그는 품행이 단정한 인간이었다. 정적들이 스탈린의 잔혹성이 어느 정도인지 짐작하지 못하고 과소평가했기에 최고 지도자 자리에 오른 것이었다. 겉으로 희노애락을 드러내는 경우가 드물었으며, 제아무리 화가 났더라도 욕을 하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 다만 겉으로 단정한 척 했을뿐이지 레닌이 트로츠키를 지지하며 스탈린 자신의 입지에 위기가 오자 본성을 드러내며 레닌의 아내인 나데즈다 크룹스카야에게 전화로 ‘창녀’, ‘매독 걸린 암캐’같은 욕설을 퍼부으며 협박하여 레닌이 스탈린에게 사과를 요구하고 절교를 경고한 편지를 보내는 일도 있었다.[18] 또한 스탈린은 사색적인 인간이었다. 그는 공적인 장소에서 주제와 무관한 이야기를 하는 법이 없었으며 불필요한 서론이나 장광설, 농담을 좋아하지 않았다. 반면 충분한 교육을 받지 못해서 조리 있게 이야기할 능력이 없는 사람들에 대해서는 대단히 참을성 있는 태도를 보였다.
  • 그는 누군가를 비난하거나 논쟁할 때 상대방의 눈을 무자비하리만큼 뚫어져라 쳐다보는 버릇이 있었다. 스탈린의 눈동자는 벌꿀색이었지만 화를 낼때면 샛노랗게 느껴졌다고 한다. 스탈린의 냉혹한 시선을 정면으로 받은 사람은 속으로 불안을 느끼게 마련이었다. 앉아서 이야기할 때 스탈린은 몸을 이리저리 움직이는 버릇이 있었다. 몸짓이나 손짓은 그다지 하지 않았지만, 특별히 강조할 만한 사안이 있을 경우에는 손을 사용했다. 스탈린의 목소리는 억양이 거의 없었고[19], 큰소리를 내는 일도 좀체로 없었다. 그러나 일단 그의 입이 열리면 아무리 많은 사람이 있는 곳이라도 순식간에 쥐죽은듯이 조용해졌다. 스탈린의 말솜씨는 독특한 스타일이 있었고, 비범한 아이디어가 있었다. 스탈린은 결코 급하게 서두르는 법이 없었으며 그와 같이 일을 하는 사람들은 무슨 일을 하던 시간이 느리게 흐르는 것처럼 느꼈다. 실제로 1941년 11월 7일, 혁명 기념일 연설 당시 독일군이 모스크바 코앞까지 쳐들어온 상황임에도 스탈린의 목소리는 차분했다.
  • 그는 누군가로부터 보고를 받을 때는 방안을 꼿꼿한 걸음걸이로 왔다 갔다 하며 귀를 기울였다. 몇 걸음 걷다가 멈춰서 사람들의 반응을 확인하고 다시 걸어다니는 식이었다. 그러다가 자신의 자리로 돌아가서 몇 분간 가만히 앉아 있곤 했는데 자기가 들은 보고를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판단하는지 탐색하려는 것이었다. 때로는 "어떻게 생각해?"라며 간결하게 묻는 경우도 있었다. 물론 그 자리에 있는 사람들은 스탈린의 취향에 맞게 최대한 간결하고 쓸데없는 말을 빼고 대답하려 노력해야만 했다.
  • 스탈린은 식사도 느긋하게 하는 편이었다. 아무리 맛있는 요리가 있어도 결코 나이프와 포크를 바쁘게 움직이는 법은 없었다. 천천히 약간만 먹는 것이 스탈린의 식습관이었다. 술 중에서는 와인을 좋아하는 편이었는데, 언제나 본인 스스로 마개를 따고는 라벨을 주의깊게 바라보곤 했다.
  • 스탈린은 절대로 서류를 들고 다니지 않았다. 연필이나 펜을 가지고 다니는 일도 없었다. 그는 어떠한 경우에도 메모하는 법이 없었다. 그리고 주위 사람이 메모를 하는 것도 안좋아했는데, 당중앙위원회 선전선동부장 드미트리 셰필로프는 스탈린이 자신의 말을 메모하지 말라고 자주 짜증을 냈으나, 몇시간이나 이어지는 스탈린의 교시를 기억력으로만 담아갈 수 없었으므로 다들 식탁보 밑에서 몰래 기록하곤 했다고 증언했다. 스탈린은 올빼미 체질이라 일은 주로 밤에 했다. 일반인들이 스탈린에게 가지는 선입견과 달리 그는 독소전쟁 중 전선으로부터 안좋은 보고를 받고도 판단력이 흐려지지 않는 몇 안되는 사람중에 한 명이었다.
  • 굉장히 열정적인 독서광이었다. 역사를 비롯 법률, 정치, 군사, 철학, 문학 등 다방면에서 폭넓게 탐독했으며 정적이었던 트로츠키의 저작이나 적국 독일의 재상이었던 비스마르크의 회고록, 비 마르크스 주의 역사가의 저작 등 자신과 이념이 다른 이들의 책도 가리지 않았다. 문학에도 조예가 깊어 러시아 고전에 능통했으며, 셰익스피어, 하이네, 발자크, 모파상의 책들을 좋아했다.[20] 본인 문학 취향 자체는 오소독스했으나 문인들의 참신한 시도가 갖는 가치를 알아보고 인정할 안목은 충분했다. 재밌는 사실은 회의 중에 누가 메모하는 걸 그렇게 싫어했으면서도 책 읽으면서 메모하는 건 아주 당연하게 여겨서 그가 자주 읽은 책들에는 온갖 메모가 빼곡하게 적혀있었다.
  • 스탈린은 정치국에서 발언시 항상 자신의 생각을 간결하게 말했다. 극히 난해한 정치적 문제에 대해서도 항상 요점만을 간단히 말했다. 그러나 일부 정치국원들은 스탈린과는 달랐다. 클리멘트 보로실로프는 매우 정열적으로 이야기하는 스타일이었고, 카가노비치도 쩌렁쩌렁 울리는 목소리를 가지고 있어 그것을 억제하기가 어려웠다. 스탈린은 정치국원들이 사무실 밖에서 어울리는 것을 달가워하지 않았다. 그래서 스탈린 시대의 정치국원들은 함께 휴가를 간다거나, 심지어 2~3명이 함께 차를 타고 다니는 일도 없었다. 그들은 자신의 부주의한 행동이나 대화가 어떤 결과를 초래할지를 잘 알고 있었던 것이다. 이들이 큰 압박감을 느끼고 있었음은 말할 것도 없다. 실제로 스탈린이 죽고 나서 장례식이 치러지기 전날, 니키타 흐루쇼프의 방안에서 폭소가 터져나왔다. 거기에는 정치국원들이 모두 모여 있었는데, 그들은 다음날 슬픈 얼굴로 스탈린의 장례식에 참석했다. 정치국원들이 독재자의 죽음을 얼마나 기다렸는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 매우 사무적이고 꼼꼼하여 수많은 서류를 자신이 직접 보고 결재하고 계산해 가며 업무를 했다고 한다. 그런 과도한 업무에다가 자신이 신경 안써도 될 너무 많은 일에 신경을 쓰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다 독소전쟁 시절에는 직업군인들이 짠 작전의 세부적인 면에까지 간섭하다가 몇 번 크게 말아먹었고, 그 다음부터 작전에 그다지 간섭을 안 했었던만큼 그래도 최소한의 이성은 남아 있었던 것 같다. 정작 자신은 새벽 3~4시까지 일하고 잠자리에 든 뒤 다음날 11시쯤 늦게 일어났는데 주위 당 간부들과 군 장교들은 스탈린이 그러고 나서도 아침 일찍 업무시간을 엄수해야 했으므로 실질적으로 잘 수 있는 시간이 2~3시간도 안되는 경우도 많았다. 거기다 술까지 폭음을 했기에, 주위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과로에 수면부족에 숙취까지 3중고로 시달려 결국 병을 얻는 경우도 많았다고 한다. 이런 상황은 스탈린 통제 하의 동유럽 공산당 지도자들도 마찬가지여서, 스탈린의 생활리듬에 맞춰 동유럽 공산당 지도자들도 생활리듬을 모두 바꿔야 했고, 언제 스탈린이 전화를 때릴지 몰라 늘 전화기 옆에 붙어 있어야 했다고 한다.
  • 머리는 명석했으며, 판단력이나 이해력은 서방의 관찰자들도 놀라는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게다가 기억력도 치매에 걸리기 이전에는 매우 좋았는데 문제는 잊어버려야 할 사소한 원한 같은 것도 마찬가지로 기억했다가 후에 모조리 배로 갚는다는 점. 아주 기억하기도 힘든 작은 노여움 때문에 후에 숙청당한 이도 많았다. 반대로 작은 선행도 기억해뒀다 좋은 직장을 알선해 주거나 금일봉을 하사하는 식으로 은혜를 갚았다. 스탈린이 유배 생활 도중에 즐겁게 지내고 동지들과 연락하는 걸 방조해주었다는 이유로 부농으로 몰린 유형지 간수 하나를 그냥 풀어준 경우가 좋은 예시. 또 어릴 적 신학교에 다니다 불온서적을 걸렸을 때 자기 것이라고 하면서 감싸줬던 급우와 시베리아에서 탈출할 때 잠깐 태워준 마부에게도 보답했다고 한다.[21] 민족인민위원회 위원 시절 알고 지내던 캅카스 민족주의자를 숙청 대상자 명단에서 빼내 준 적도 있다. 막심 리트비노프는 런던에서 스탈린이 항구 노동자들에게 두들겨맞던 걸 구해준 것 때문인지 말년까지 험한 꼴을 안 당했는데 리트비노프는 아무래도 자신이 스탈린을 구해줬던 것 때문같다고 농담하곤 했다. 클리멘트 보로실로프도 무명 시절의 스탈린과 친해졌다가 덕 본 케이스.
  • 스탈린의 의심 때문에 연해주에 살고 있던 조선인들은 중일전쟁이 터진 1937년 일본과 내통할 우려가 있다며 강제로 중앙아시아 지역까지 끌려가기도 했으며 그 과정에서 상당한 수의 희생자들이 발생했다. 물론 그들은 고려인이라는 이름으로 그 곳에서도 나름대로 잘 살고 있기는 하지만 그렇게 되기까지의 고통은 엄청났다고 전해진다. 홍범도도 이때 카자흐스탄 크질오르다로 가서 극장 간수로 취업하여 그곳에서 노환으로 별세하였다고 한다. 또한 1941년 독소전쟁 발발을 틈타 캅카스의 무슬림 체첸인들이 게릴라 활동을 벌이자 1944년 봄, 체첸인들을 나치 독일군과 협력했다는 명목으로 인근의 잉구시인과 함께 몽땅 중앙아시아로 이주시켰다. 당시 체첸인의 10%가 강제이주 당시 사망했다. 이들은 흐루쇼프 시기가 되어서야 겨우 돌아올 수 있었다. 물론 캅카스인이나 고려인만이 타깃은 아니었고, 우크라이나 크림 반도의 타타르인들도 스탈린에게 밉보여 중앙아시아로 강제이주 당한다. 실제로 독소전쟁 시기에 소련 치하의 동유럽 국가들, 캅카스나 아시아 출신 러시아 포로들을 이용해서 독일군은 후방 관리를 맡겼고 파르티잔들을 때려잡거나 포로 감시소 경비로 쓰기도 했다. 다만 이는 스탈린의 소수민족 정책에 의한 것으로, 이전부터 소수민족에 대해서 강력한 탄압을 일삼고 러시아 중심주의로 동화정책을 강요했으며 중공업화로 지방, 특히 소수민족이 거주하는 농촌지역이 큰 피해를 보았기 때문이다. 사실상 본인이 소수민족들의 반발을 만들어놓고, 반발이 터지니깐 그걸 빌미로 해서 강제이주까지 시킨 셈이다.
  • 스탈린의 편집증과 의심증은 나이를 먹을수록 심해졌는데 독소전쟁 개전 직전 시점에서는 히틀러가 크렘린을 매수하서 자신을 암살하려 할지 모른다는 강박에 자신을 지키는 근위병들을 가리키면서 “저놈이 쏘면 내 등 뒤에 쏠거고, 저놈이 쏘면 내 면전에다 쏠 수 있겠군”이라고 시니컬한 농담이 아니라 진지하게 얘기해서 주위를 당혹케 한 적이 있으며 전쟁이 끝난 후에는 더욱 심해졌다. 드미트리 셰필로프의 증언에 따르면 스탈린이 다차에서 회의를 하다가 잠시 자리를 뜰 일이 있으면 한참동안 회의장 바깥에서 회의장 안을 노려보다가 볼일을 보러 갔는데, 이는 스탈린이 자신이 자리를 뜨자마자 다들 자신을 비난하고 음해할 것이라고 의심했기 때문이었다. 죽기 직전에는 크렘린 의사 음모 사건을 조작하여 자기 주치의들을 숙청하기 시작해서, 주치의들이 고문을 당하고 있었던 관계로 발작을 일으켰는데도 손을 쓸 수 없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말년에는 의심이 너무 심해져서 자신의 충복이었던 베리야조차도 믿지 못했을 정도. 게다가 필생의 숙적인 아돌프 히틀러의 망령이 씌였는지, 갑자기 유대인들이 음모를 꾸며 자신을 해칠지도 모른다고 두려워했다. 1953년부터 유대인들에 대한 체포 사건이 계속 벌어났고, 스탈린이 죽기 직전에는 "유대인 의사 음모사건"이 소련 신문에 보도되기 시작했다. 유대인 의사들이 스탈린을 암살하려 했다는 것. 이는 대숙청 당시와 비슷한 패턴이라 소련 인민들은 모두 긴장했으나, 본격적인 숙청이 이뤄지기 전에 스탈린이 사망하므로서 흐지부지되었다. 스탈린 사후 유대인 의사 음모사건이 조작이라며 혐의자를 모두 NKVD에서 풀어준 사람은 다른 사람도 아닌 숙청 실무진인 베리야였다.
  • 특유의 수염이 트레이드 마크로 유명하다. 수염 탈모가 있었다고 하는데, 유독 턱수염이 나이 들며 빠졌다고 하며 젊은 시절만 해도 턱수염이 많았지만 중년에 접어들며 점차 안 나기 시작했다고.[22] 이후 중노년기에는 우리가 잘 아는 콧수염만 있는 스타일이 되었다.
  • 러시아 제국의 지배를 받던 조지아에서 태어났다. 하지만 평생을 조지아인으로서의 정체성보다는 러시아 민족주의자에 가까운 성향을 보냈다.[23][24] 러시아로 상경한 이후 일상생활에서는 주로 러시아어를 사용했다고 한다. 대숙청 당시에 조지아 민족주의자들을 숙청하기도 했고, 조지아인들이 스탈린과 만났을 때 조지아어를 쓰면 아는 체한다면서 화를 내기도 했다고 한다. 다만 정치적 성향과는 별개로 조지아 음식이나 와인을 좋아하고 고향 노래를 자주 불렀으며,[25] 초대한 손님들에게 조지아 문화를 소개하기도 했다. 또한 조지아에 여러가지 행정적인 혜택을 주기도 했는데 압하스를 조지아로 재편입시킨것이 스탈린의 공이다.[26]
  • 소련 지도자의 직책으로 알려진 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장은 스탈린 시기부터 당 지도자의 직책으로 자리하게 되었는데, 정작 스탈린은 1952년 19차 당대회에서 서기장직을 폐지하고 중앙위원회 서기국 서기로 남았다. 물론 스탈린 사후 서기장직은 '제1서기'라는 이름으로 부활했으며, 이후 '서기장' 직책은 소련이 해체될때까지 소련과 소련 공산당의 지도자 직책으로 자리했다.
  • 방첩부 스메르쉬(СМЕРШ)는 스탈린이 직접 명명한 이름인데, 그 뜻은 "스파이에게 죽음을!"(смерть шпионам! = 스메르찌 쉬피오남!)의 앞글자를 따서 지은 것이다. 이를 한국어로 의역하면 "살사령부" 내지는 "살사령부"가 된다.
  • 혁명가 시절에는 여자를 꼬시는 재주도 남달라서 여성편력으로 유명했고, 사생아도 둘 정도였지만, 막상 집권 후에는 바람피는 일 하나 없이 조용히 지냈고, 둘째 아내인 나데즈다 알릴루예바가 자살로 생을 마감한 이후로 두 번 다시 결혼하지 않았을 정도였다. 이는 NKVD, KGB의 국장으로 재임한 측근들인 겐리흐 야고다, 니콜라이 예조프, 라브렌티 베리야 등이 벌인 엽색 행각과 대비되는 것으로 스탈린 특유의 편집증적인 성격이 엄격한 자기 통제에까지 이른 것으로 평해진다.
  • 사생활은 무소불위의 권력자였던 것과는 전혀 어울리지 않게 굉장히 검소하고 담백하게 살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물론 필요한 물건이 말 안해도 알아서 진상되고 따로 별장이 배정되어 휴가철에는 별장에서 유유자적하게 보내는 등 방 하나를 빌려살던 것이 보통인 일반 도시민에 비하면 많이 풍요로운 삶을 살았고[27] 주치의와 요리사[28], 관리인들이 배정되어 괜찮은 식사와 의료혜택을 누리긴 했다.[29] 그러나 이 정도는 '보안'[30], '업무 지원'[31], '국가적 위신'[32] 등의 이유로 인해 일반적인 민주주의 국가의 정치 지도자들도 충분히 누릴 수 있는 수준이니 절대 권력의 독재자 스탈린의 사생활임을 고려하면 굉장히 소박한 편인 것은 변함없다.

    어찌나 금전 욕심이 없었는지, 다달이 나오는 월급도 받는 그대로 책상 서랍에 넣어두고는 했다.[33] 평소의 옷차림도 수수한 인민복이나 군복[34]이 대부분이었으며 입는 코트는 10월 혁명 직후에 구한 것이었다. 그나마 사치라고 즐긴 것이 술담배를 좀 비싼 것을 피는 수준이었는데 술은 조지아와 아르메니아 지역에서 생산하는 와인 및 브랜디를 선호했으며 담배의 경우 당대에 고급품으로 평가받는 헤르체고비나 플로르[35] 담배를 피웠다. 그 외에 미국제 담배인 '프린스 알버트' 등을 피우기도 했다.

    스탈린 사후 그의 재산을 확인해 본 결과 여러 개의 담배 파이프[36], 코트 6벌, 바지 10벌, 저금 90루블이 전부였고 부동산, 차명 은행 계좌, 보석은 전혀 없었다. 반(反) 스탈린 역사학자인 올레크 흘레브뉴크도 스탈린이 물질적인 풍요나 사치에 큰 관심이 없는 사람이었다는 것에 동의했는데, 스탈린이 추구한 욕망은 , 성욕 등 원초적인 욕망보다는 순수한 권력 그 자체에 가까웠을 거라고 평했다.[37]
  • 스탈린은 종종 어떤 지휘관의 무능이 귀에 들어오면 "그 자의 콧잔등을 갈겨주었나? 다시 그런 짓을 하면 정통으로 갈겨주게."라고 소리치곤 했다. 당시 붉은 군대에서는 국방 인민위원이 장군을, 장군이 다시 자신의 부하를 구타하는 건 드문 일이 아니었다.
바이바코프 동지, 배신자 히틀러가 카프카스를 향해 돌진하고 있소!

는 카프카스를 손에 넣지 못하면 전쟁에서 진다고 선언했지. 따라서 무슨 수를 써서라도 석유가 독일군 손에 들어가는 것을 막아야 하오. 명심하시오!

석유가 한 방울이라도 독일군 손에 들어가면 당신은 총살이오. 하지만 너무 서둘러 유전을 파괴해서 독일군도 석유를 얻지 못하고 우리도 연료를 얻지 못한다면, 그때도 당신은 총살이오.[38]
파일:external/totalitarism.ru/stalin_icon_large.jpg
* 스탈린의 이콘

  • 1952년 전당대회 연설. 얄타 회담의 사진처럼 서방기자들이 찍은 일부를 제외하면, 스탈린의 사진이나 영상은 보정된 것이 대다수다. 위의 동영상은 가공 처리 되지 않은 날 것 그대로의 모습을 볼 수 있는 얼마 안되는 영상. 위 영상에서 턱을 괴는 등의 행동이 보이는데 이는 지루해서라기보다 동시통역 등으로 인해서 그냥 머리를 앞으로 내민 행동으로 추측된다. 뛰어난 연설 능력을 가졌다고 평가되는 레프 트로츠키아돌프 히틀러[39] 등과는 반대로 이오시프 스탈린은 원래 조지아 출신으로 러시아어가 모국어가 아니었기 때문에 억양이 없고, 그냥 기계처럼 원고를 읽는 수준에 불과했다고 한다. 그러나 말하는 것보다 내용을 중요시해서 실제 청중의 관심을 많이 끈 편이었다고 한다.
  • 해리 S. 트루먼 대통령이 보내준 코카콜라를 마시고는 그 맛에 감탄했다고 한다. 다만 미국에서 만든 음료수가 이렇게나 맛이 좋다는 것에 약이 올라서 수입 금지를 때려버리고, 이후 식품화학자 미트로판에게 를 원료로 해서 콜라를 능가하는 음료를 만들라고 명령했다. 이 때문에 콜라에 푹 빠진 게오르기 주코프는 직접 콜라를 밀수입해 마셔야 했다.
  • 말년에 러시아에 대해 병적으로 집착해 인류의 모든 위대한 유산은 소련과 러시아로부터 비롯되었다는 역사 왜곡을 하려 들었다. 또한 <마르크스주의와 언어학의 문제점>이라는 책을 직접 저술해 '러시아 민족 언어'의 기원이 쿠르스크와 오룔 지방에서 발견되었다는 주장을 했다.
  • 제2차 세계 대전미국이 참전하기 전까지 독소 불가침 조약, 독재 정치 등으로 인해 미국내에서 스탈린에 대한 이미지는 매우 부정적이었다. 그러나 독소전쟁이 발발하여 소련이 미국과 함께 독일과 맞서 싸워야 하는 입장이 되자 미국은 스탈린에게 '조 아저씨(Uncle Joe)'라는 애칭을 붙여 대대적인 긍정적 선전을 했다 #. 그러나 얄타 회담에서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이 경직된 분위기를 누그러뜨리기 위해 스탈린에게 '미국에서는 당신을 이렇게 부른다'라고 알려주었지만 스탈린은 상술하듯이 경박한 농담을 즐겨하지 않았기 때문에 매우 불쾌해했다고 한다.
  • 스스로 강철의 사나이라 칭했지만 실제로는 고소공포증 환자여서 1943년 테헤란 회담 참석을 위해 비행기를 탄 것이 스탈린 인생 최초의 비행이었다고 한다. 테헤란 회담 당시 스탈린이 탄 비행기가 난기류에 휩쓸리는 바람에 심한 멀미를 겪었는데 한동안 모스크바에 '대원수 동지'가 심한 멀미에 시달린다는 소문이 퍼지기도 했다. 얄타 회담도 얄타에서 하게 된 이유가 비행기를 타기 싫어서 그랬다는 말이 있는데 이는 어디까지나 소문으로, 실제로는 스탈린의 주치의가 '이 상태로는 멀리 못 간다'고 권고했기 때문이었다.
  • 얄타 회담에 참석할 때 스탈린은 FD 3878라 불리는 특별 열차를 타고 갔는데 가는 동안에도 일할 수 있도록 꾸몄다. 83톤이나 나갈 정도로 중무장한 기차 내에는 서재와 거실, 화장실, 부엌, 경호실까지 있어 움직이는 크렘린 사무실 같았다고 한다.
  • 반유대주의적 성향이 있었다. 물론 당시 소련 공산당 내에서 유대인 혈통을 가진 사람이 한둘이 아니었기 때문에 아돌프 히틀러처럼 '유대인은 다 죽어야 한다' 정도는 아니었고, 측근 중에서도 유대인이 있기는 했지만, 당대에 일반적인 편견은 가지고 있었다고 보면 될 것이다. 나치 이전의 반유대주의는 동서 유럽을 가리지 않고 지식인들의 당연한 교양 같은거라 유대교는 안 믿는데 유대인 혈통은 받은(나치 기준으로는 유대인인) 반유대주의자들도 얼마든지 존재했던지라 유별났다고는 볼 순 없다. 스탈린이 유대인에 대해 품은 경계심은 독자적인 민족성을 가질 것에 대한 우려였다. 때문에 소비에트 체제에 충성심이 보장된 유대계 관료는 중용하면서도, 유대인 정체성을 강하게 드러낸 이삭 바벨이나 이디시 문학 작가들은 철저히 숙청했다.


    이 같은 우려는 이스라엘 건국 이후 한층 심화되어 유대인들이 소련과 공산당이 아닌 유대 민족과 종교, 이스라엘에 충성한다는 의심으로 번졌다. 치매증상을 보이던 말년에는 유대인들이 자길 해치려 한다고 믿어 '유대인 의사 음모 사건'을 벌이기도 했다. 다만 소련이 세계최초로 유대인차별금지법을 만든 나라니 만큼 공개적으로 드러내진 않는 편이었고, 나름대로 유대인을 신경써준답시고 유대인 자치주를 만들기도 했으며 이스라엘 건국을 지원해주기도 했다.[40] 이외에도 독소전쟁 당시에는 유대인들을 동쪽으로 대규모로 대피시켜서 목숨을 건지게 했고, 유대인의 적인 히틀러를 박살냈기에 많은 유대인들에게는 생명의 은인이기도 했기는 했다. 소련 민족주의가 아닌 어떤 민족주의든 극도로 적대해 한인들을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시키고, 자기 모국 조지아도 혹독하게 탄압했으니 유대인들만 유독 차별했던 것도 아니다. 여러모로 유대인들에게는 양면적인 인물이었던것이다.
  • 총기를 다루는데에 서툴렀는지 실수로 사람을 죽일 뻔 한 적이 몇 번 있었다고 한다. 참새를 쫓겠다며 총을 들고 설쳐대다 경호원 한 명이 맞았다는 말이 있고, 또 한 번은 오발로 아나스타스 미코얀을 죽일 뻔 했으나, 간발의 차로 살았던 적이 있다. 그런데도 스탈린은 주변에 자신을 사격의 명수라고 자랑했다.
  • 헝가리 공산당 서기장 라코시 마차시와 관련된 일화도 있다. 한 번은 스탈린이 캅카스로 쉬러갔는데 라코시가 찾아와 스탈린의 측근들과 술을 마셨다. 이때 스탈린의 측근들은 스탈린과 술을 마시듯 라코시와도 인사불성이 될 정도로 과음을 했는데 이걸 본 라코시가 '이게 무슨 꼴이냐'며 그들을 비난한다. 그러자 이에 분노한 베리야는 그대로 스탈린에게 달려가 고자질을 했고, 그 대가로 라코시는 그날 저녁 열린 스탈린과의 만찬에서 만취할 때까지 강제로 술을 마시게 됐다고 한다. 그리고 다음 날 아침 일어나자마자 도망쳤다고 한다.
  • 스탈린은 별장에서 즈다노프의 피아노 반두에 맞춰 몰로토프, 보로실로프와 노래하는 것을 좋아했다. 몰로토프는 음악을 좋아하는 집안에서 자라 바이올린과 만돌린을 연주할 수 있었고, 보로실로프는 목소리가 근사했다고 한다.근데 부르는 노래가 어릴 적 부르던 찬송가(...)였다고 한다.
  • 한 번은 페클라 코르슈노바라는 70세 노인이 스탈린에게 암소를 선물해 보내자 직접 답장을 써줬다.

    "어머님, 다정한 편지에 감사드립니다. 그러나 저는 농장이 없어 소가 필요 없습니다. 저는 완전히 국가에 고용된 사람이라 최선을 다해 국민에게 봉사하지만, 고용된 사람은 농장이 없답니다. 어머님, 제 생각에는 제게 소를 선물하지 말고 계속 기르면서 저를 기억해주시면 고맙겠습니다."[41]
  • 선전 영화 베를린 함락에서 취미가 나무 심는 걸로 나오는데 사실이다. 소치에 있는 스탈린 별장에는 24만㎡의 녹지가 있었고, 조경과 농사를 직접 감독했다. 감귤나무를 위한 온실을 설계하고 포도밭 설치를 감독했으며 직접 수박을 재배했고 연못에 물고기를 키웠다. 가끔 모스크바 상점에 직접 키운 수박을 출하했다. 그 외에도 말, 염소, 병아리, 오리, 작은 양봉장도 있었다. 물론 전부 다 직접한 건 아니고 별장 관리인들에게 시키기도 했는데 관리책임자 P. V. 로즈가초프 중령에게 내린 수백가지 지시사항이 그대로 기록되어 있다.

    1950년 4월 7일: a) 5월 10일부터 모판에 수박과 멜론을 심을 것. b) 7월 중순에 수박과 멜론 덩굴을 잘라줄 것.

    4월 20일 :...주방에서 연못으로 통하는 길을 따라 전나무를 심을 것...주 건물 옆, 그리고 연못 옆 정자 쪽의 사과나무들 사이에 0.5미터 간격으로 옥수수를 심을 것. 이 곳에 콩도 심을 것...텃밭 가장자리에 가지, 옥수수, 토마토를 심을 것.[42]
  • 소련군 총참모장 알렉산드르 바실렙스키의 아버지는 러시아 정교 신부였는데 당시 종교인은 지위고하 불문하고 죄인으로 간주되었다. 그래서 바실렙스키는 언젠가 스탈린과 같이 식사할 때 스탈린이 아버지의 안부를 묻자 "인민의 적과는 상종하지 않아서 모른다."고 대답했다. 그러자 스탈린은 오히려 "아무리 그래도 아버지인데 그러는 건 아니다."라면서 바실렙스키에게 아버지와의 화해를 종용했다.[43]
파일:mausolee_lenine_staline.jpg* 사후에 레닌과 마찬가지로 엠버밍 처리되어 훗날의 김정일 마냥 붉은 광장레닌 영묘에 합장되었으나,[44] 흐루쇼프의 스탈린 격하 운동 후에 강제노동수용소에서 석방된 도라 라주르키나라는 나이 많은 볼셰비키가 크렘린에서 "꿈에 레닌이 찾아왔는데 스탈린 보고 방 빼랍니다."라고 연설을 하자 스탈린을 빼는 것이 심각하게 고려되었다. 결국 시신은 화장되어 레닌 영묘 바로 뒤에 있는 크렘린 벽 묘지에 안장됐다. 모욕하기 위함이었는지는 모르겠으나, 방부 처리를 중단한 후, 바로 화장하지 않고 뜸을 들이는 바람에 스탈린의 시체가 많이 부패했다고 한다. 그러나 크렘린 벽 묘지도 국가에 기여한 인물들에만 수여되는 상당한 영예인데,[45] 스탈린의 업적을 총체적으로 부정하는 것은 급진적이라는 평을 받는 20차 전당대회 연설에서조차 시도되지 않은 것이다. 이후 1970년 브레즈네프 집권기에 흉상이 제작되어 벽 묘지 앞에 세워졌다.
파일:external/globetrotterblogdotnet.files.wordpress.com/image69.jpg
* 스탈린의 동상은 1960년대 초중반에 걸쳐 대부분이 철거되었지만, 1960년대 중반 이후로는 철거가 중단되었으며, 1990년대에는 조지아에서 스탈린이 조지아 출신에 소련을 초강대국으로 만든 인물이라는 이유로 오히려 동상 수십개가 제작된 시절이 있었다. 위 사진과 같이 모스크바 크렘린 벽 묘지에는 스탈린의 석상이 하나 남아있으며, 그의 고향인 조지아 고리 시청 앞의 거대 동상은 철거되었으나 스탈린 박물관[46] 내에도 또 다른 스탈린의 동상이 있고 볼고그라드스탈린그라드 전투 파노라마 박물관에도 버젓이 전시되어 있다. 현재도 스탈린의 벽 묘지 앞에는 소련 시절을 그리워하는 참배객들이 매일 찾아와서 꽃을 놓고 간다고 한다.
  • 6.25 전쟁은 스탈린이 지시한 것이라고 추정되어 왔지만, 흐루쇼프의 회고록이나 소련 붕괴 후에 열람할 수 있게 된 문서 등을 통하여 밝혀진 바로는 스탈린은 미국과의 전쟁이 일어나는 것을 원하지 않았고, 6.25 전쟁에 대해 회의적인 태도를 취했다. 이 당시 소련이 산업복구는 얼추 완료된 상태였지만 인적자원적인 면에서 2차 세계대전에서의 충격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했기 때문에 미국과 맞설려면 추가적인 경제성장 및 인적자원 복구가 완료되어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47] 하지만 김일성은 북한이 남한, 중국, 대만, 일본보다도 경제정상화에 일찍 성공한데다가 이승만의 지지율이 낮은 것에 고무되어[48] 군사를 일으키면 쉽게 함락시켜서 통일을 해낼 것이라는 지나치게 낙관적인 전망에 빠져있었고 이 때문에 무려 49번이나 전쟁 승낙을 졸라대는 바람에 마지못해 승낙했다고 한다. 그렇지만 북한에 대한 지원은 미적지근하기만 했는데 당시 스탈린이 승낙한 건 옹진 반도에 대한 국지전이었지, 전면 남침이 아니었다. 심지어는 북한이 패망 직전의 상황에까지 몰렸는데도 스탈린은 미국과의 전쟁을 피하기 위해 소련군이 직접 개입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으려 했지만 북한과 중국의 공군력이 형편없어서 마지못해 소련 공군의 참전은 허락했다고 한다. 대신 이 사실이 들통나지 않도록 '미그앨리'라고 부르는 북한의 북부 상공에서만 비행하도록 했고, 교신에 러시아어를 쓰지 말라고 단단히 주의를 줬다고 한다.[49] 다만 전쟁 초기가 지난 이후로는 6.25 전쟁을 지속하는 것에 대해 우호적인 입장으로 선회했는데 이는 북한군과 중국군이 몸빵을 맡으면서 소련군의 출혈을 최소화하는데 성공했기 때문이었다. 미국의 전투력이 크게 소모되지는 않았지만 6.25 전쟁 판세가 지지부진해지면서 반전 여론이 커진데다가 영국과 프랑스 등도 6.25 전쟁을 마냥 지속할만한 형편이 안되었기 때문에 스탈린 입장에서는 서방 국가들의 전투여력을 빼는 것 자체는 성공을 거두었던 것이다.
  • 말년에는 정신병적 행태를 보이기도 했다고 한다. 흐루쇼프의 회고에 따르면 개의 울음소리를 녹음한 레코드를 틀어놓고서는 정치국(폴리트뷰로)의 일원들을 춤추게 하였는데, 흐루쇼프, 말렌코프, 불가닌, 몰로토프, 주코프 같은 자들이 구두를 벗고 개 울음소리에 맞추어 춤을 추는 장면은 장관이었다고 한다. 참고로 흐루쇼프는 춤을 아주 못 추어서 웃음거리가 되었지만, 몰로토프는 상당한 춤꾼이었다고 한다. 그런데 이 춤판에 딸 스베틀라나를 데려와 실신할 때까지 춤을 추게 했다는 말도 있다. 이는 냉전시대의 선전이 아니라 드미트리 볼코고노프[50]의 책에 실린 내용이다. 높으신 어른들이 이런다는 게 웃기긴 하지만 남녀노소 술 퍼먹고 미친듯이 춤추는 건 러시아의 고유의 미풍양속이긴 하다.[51] 서비스의 서술에는, 죽기 전날의 파티에서 스베틀라나에게 춤을 추자고 했지만 스베틀라나가 싫다고 하자 스베틀라나의 뺨을 사정없이 갈긴 다음에 머릿채를 잡고 파티장에서 마구 끌고다녔다고 한다. 주변에선 스베틀라나를 동정어린 시선으로 보면서도 감히 스탈린을 말리진 못했다고. 해당 일화의 원전인 흐루쇼프 회고록에는 이것도 나름대로 스탈린의 애정의 표현이었다고 평가했다. 뭐요?
    그러나 이는 정작 스베틀라나 본인의 저서에는 등장하지 않는 내용으로 스탈린이 사망하기 전 마지막으로 만났다 회고하는 때와도 전혀 부합하지 않으며 다른 이들이 진술한 스탈린의 말년과도 이질감이 있다. 단순 지어낸 이야기이거나 고용인 중 한 명과 스베틀라나를 착각했을 수도 있다.
  • 스탈린은 디너 파티에서 장난을 자주 쳤는데 술잔에 포도주 대신 보드카 붓기, 음식이 든 접시에 후추 뿌리고 휘젓기, 의자 위에 토마토 두기 등이였다. 그런 장난에도 초대된 간부들은 긴장을 놓을 수는 없었는데, 스탈린이 항상 감시하고 트집을 잡기를 원한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었다.
  • 볼코고노프의 책에 실린 또다른 회고들에 따르면 스탈린은 도무지 속을 알 수 없는 사람이었는데, 친지, 심복들과 같이 코미디 영화를 보러 가서는 웃으면서 같이 보면서 웃던 사람들의 유배문서에 서명하곤 했다는 것이다. 그리고 정치국 회의 도중에 갑자기 한 명을 지목하여 '당신은 스탈린 동지에게 무엇을 숨기고 있나?' 등의 얼토당토 않는 질문을 던지는데, 그 순간부터 그 사람의 목숨은 경각에 달리게 된다는 것이다.[52]
    하지만 저 내용이 신뢰성이 높은 편은 아니다. 실제로 볼코고노프의 책은 좀 과장되었다는 이야기가 많은데 러시아 역사학계에서도 많은 비판을 받았었다.
Стаљину
прекини са слањем људи да ме убију. Ухватили смо их већ пет, једног од њих са бомбом, другог са пушком... ако не престанеш слати убице, ја ћу послати једног у Москву и нећу морати да шаљем другог.
스탈린 씨에게
이제 날 죽이려고 사람을 보내지 마십시오. 우리가 벌써 다섯 명을 체포했는데, 하나는 폭탄을 가지고 있었고 하나는 소총을 가지고 있었더군요... 만일 또 다시 살인자를 보낸다면, 그때는 내가 모스크바로 하나 보낼 건데, 나는 두번 보낼 필요는 없을 겁니다.[53]
Коба, зачем тебе нужна моя смерть?
코바, 어째서 나의 죽음을 원하는 거지?
Уважаемый т. Сталин,
Вы имели грубость позвать мою жену к телефону и обругать ее. Хотя она Вам и выразила согласие забыть сказанное, но тем не менее этот факт стал известен через нее же Зиновьеву и Каменеву. Я не намерен забывать так легко то, что против меня сделано, а нечего и говорить, что сделанное против жены я считаю сделанным и против меня. Поэтому прошу Вас взвесить, согласны ли Вы взять сказанное назад и извиниться или предпочитаете порвать между нами отношения.
С уважением, Ленин.
5-го марта 1923 года.
존경하는 스탈린 동지.
당신은 내 아내에게 전화하여 욕설을 하는 무례를 범했소. 비록 아내가 그 일을 잊자는 당신의 말에 동의했을지라도, 이 사실은 그녀에 의해 지노비예프와 카메네프에게 알려졌소. 나는 내게 적대적인 행위를 그렇게 쉽게 잊을 생각이 없는데, 아내에게 적대적인 행위는 내게 적대적인 것으로 간주된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소. 그러므로 동지에게 청하건대, 동지가 했던 말을 취소하고 사과하든가, 아니면 우리 사이를 끝내는 것을 선택하든가를 저울질해보기 바라오.
경의를 표하며, 블라디미르 레닌.
1923년 3월 5일
각각의 편지에 관해 로버트 서비스는 티토의 편지를 보관한 이유는 배짱이 마음에 들어서, 부하린의 편지는 애정 때문이 아니라[54] 부하린을 숙청할 때의 만족감을 되새기기 위해서, 레닌의 편지는 마음에 상처를 받아서였을 거라고 평했다.
이에 관해 티토와 레닌의 편지는 대부분이 서비스의 평에 동의하지만, 부하린의 경우에는 스탈린이 부하린의 유언만 보관한 것이 아니라 굳이 보관할 이유가 없었던 회고록도 같이 보관하고 있었다는 점을 근거로 서비스의 견해에 동의하지 않는 사람들을 어렵잖게 찾아볼 수 있다. 로버트 서비스가 '부하린에 대한 스탈린의 애정 때문이라는 평가를 거부했다는 부분에서 알 수 있듯, 스탈린이 이 편지를 굳이 간직한 이유는 부하린에 대한 특별한 감정 때문이었을 것이라고 보는 의견이 많다. 부하린은 스탈린과 매우 절친한 친구이자 혁명 동지였으며, 편지에 나오듯이 죽임을 당하는 마지막 순간에도 분노나 억울함을 호소하기 보다는 왜 굳이 나를 죽이려 하냐는 당혹감을 보일 정도였다.
애정 설의 논거는 부하린을 숙청했을 당시의 만족감을 되새기는 용도로는 유언장 하나로 충분하다는 것이다. 트로츠키, 지노비예프, 카메네프도 아닌 부하린이 선택된 이유는 바로 정치국 내 주요 경쟁자들을 하나씩 쓰러트리며 절대권력을 향해 달려가던 스탈린의 행보에서 마지막으로 쓰러트린 적이 바로 부하린이었기 때문이다.
참고로 레닌의 편지에 대해서는 흐루쇼프의 회고록에도 언급되는데 스탈린이 죽은 후 서랍에서 그 편지가 나온 것을 보고 정말 놀랐으며 스탈린이 그걸 끝까지 보관했다는 사실에 더 놀랐다고 써놨다. 그리고 스탈린이 아마도 그 편지를 없애버리지 않은 게 그 편지의 존재를 까먹어서가 아닐까 하는 추측을 남겼다.
  • 유명한 피아니스트 마리아 유디나가 스탈린상과 2만 루블의 상금을 받게 되자 스탈린을 훈계하는 편지를 보냈다는 야사가 유명한데, 문서고 조사 결과 유디나가 스탈린상을 받기는커녕 스탈린상 후보에도 오른 적도 없으며, 볼코프의 증언에서 베껴서 창작한 일화임이 밝혀졌다. 어쨌든 이 도시전설에 따르면 유디나가 보낸 편지의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는데 창작임을 감안하고 읽자.
    고맙습니다, 이오시프 비사리오노비치, 당신의 도움에 대해서. 난 당신을 위해서 밤낮으로 기도하겠습니다. 주님께 당신이 사람들과 국가에 끼친 큰 죄악을 용서해 달라고 청하겠습니다. 주님은 자비로우신 분이므로 당신을 용서하실 겁니다. 난 돈을 내가 다니고 있는 교회에 기부하였습니다.”
스탈린의 죽음을 다루면서 관련 도시전설과 야사들을 거의 다 써먹은 블랙 코미디 영화 스탈린이 죽었다!에서는 이를 좀 더 각색해서 마리아가 '당신은 조국을 배신하고 인민을 짓밟았다. 이 폭군아.'라고 대놓고 독설하고, 스탈린은 이 편지를 읽고 기가 막혀서 실소하다가 쓰러져 죽는다.
  • 스탈린의 성관계에 관한 여러 소문이 있다. 아내에게 비서랑 같이 3P를 하면 어떠냐고 제안했다든가[55], 두번째 아내인 나데즈다가 사실은 스탈린의 친딸이라든가[56], 사실 나데즈다는 자살이 아닌 스탈린을 비판하다 분노한 스탈린에게 살해당했다든가 사실 스탈린은 페도필리아라든가 등 여러 소문이 있으나 신빙성은 낮다.[57]
  • 정치인으로 활동하기 전에는 시인으로 유명했고, 소련이 건국되기 전 교과서에 시가 실린 적도 있었다. 집권 후에도 여러 시나 저술을 남겼다. 스탈린의 시적인 능력은 냉철하다 못해 기계 같은 이미지와는 대비되게 매우 뛰어났다고 하며 시인만으로도 먹고 살 수 있는 수준이라는 평도 있을 정도.[58] 다만 최고지도자가 된 이후로는 주로 러시아어를 쓰다보니까 모어인 조지아어에 서툴러져서 어머니와 의사소통을 주고나눌때에도 어려움을 겪었다고 한다.
  • 별장에 영화관이 있을 정도로 영화를 좋아했는데, 서부극을 특히나 좋아했다고 한다. 간부들을 모아놓고 자기가 영화를 고르게 하고 나서 영화를 봤다고 한다.
  • 스탈린은 소련의 최고 권력자 치고는 소박한 식사를 했는데 아침 식사는 우유를 섞은 쇠고기 국물에 오트밀을 넣은 죽을, 점심과 저녁에는 스프와 생선을 좋아했다고 한다. 과일 중에서는 바나나가 취향이었다. 다만 전임인 레닌이나 후임인 흐루쇼프에 비하면 꽤 미식가였던 편이라고 한다.[60] 애초에 스탈린의 고향이 소련에서도 음식이 맛있기로 소문난 조지아였고, 스탈린이 젊었을 때 주로 조지아에서 활동했다는 것을 생각하면 이상할 것이 없기는 했다.
  • 2021년 취임한 인도 타밀나두 주총리는 M. K. 스탈린이다. 1953년 3월 1일생인데 며칠 뒤 사망한 스탈린의 이름을 따 지었다. 이오시프 스탈린처럼 콧수염도 있다.(...) 무신론자이지만 반종교주의자는 아니라고 밝히기도 했다. 안타깝게도(?) 당적은 드라비다 진보당.
  • 푸틴이나 메드베데프같은 최근의 러시아 지도자들은 공식적인 입장으로는 스탈린에 대해서 부정적이다. 그 이유는 간단한데 푸틴이나 메드베데프나 소련을 무너뜨리고 러시아를 수립한 옐친의 계보를 잇는 데다가, 공산당은 야당이며, 그 공산당이 스탈린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을 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탈린의 실책과 폭정을 부각하면 부각할수록 자신들이 유리한 상황이다. 푸틴은 스탈린이 히틀러보다는 그래도 낫다는 정도의 평가를 했지만 확실하게 폭군이며 독재자라는 평가를 했으며 시종일관 부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다만 2000년대 후반 이후 헌법개정을 하면서 철권통치의 야욕을 드러내면서 스탈린 통치시절에 일어났던 압제에 대해서 당시 서방의 음모와 스파이 때문에 불가피한 측면이 있었다거나 다른 나라도 어두운 과거가 있었다는 식으로 두둔했다. 메드메데프는 대통령 재임기간 내내 어떠한 경우에도 정당화 시도는 옳지 않다며 젊은이들을 매섭게 비난했고 스탈린을 넘어 소련 자체를 전체주의 정권임이 확실했다며 스탈린을 넘어 소련도 부정하는 모습을 보였다.
  • 러시아에서 활동하고 있는 고려인 작가 아나똘리 김의 에세이인 <초원, 내 푸른 영혼>에 의하면 소련 연해주에 살고 있던 고려인들이 스탈린의 지시로 중앙아시아로 강제이주했다가, 2차 대전이 끝나자 다시 연해주로 돌아갈 수 있게 허락을 받았다고 한다. 그런데 아나똘리 김의 아버지가 연해주 현지에 살던 소련인 교사들한테 고려인 아이들을 위해 학교 수업을 해달라는 부탁을 했는데 거절당하자, 스탈린한테 직접 고려인 아이들이 학교 수업을 받게 해달라는 내용의 전보를 보냈는데 이틀 후에 스탈린 본인으로부터 직접 답장을 받았는데 그 내용은 "(고려인 아이들의) 학교 수업은 반드시 다시 시작될 것임. 이오시프 스탈린."이라고 아주 짧게 적혀 있었는데 놀랍게도 다음 날 아침 소련인 교사들이 아나똘리 김의 아버지를 직접 찾아와서 굽실거리며 고려인 아이들이 학교 수업을 받도록 적극적으로 도와줬다고 한다.[61]
  • 회의 시간이 길어지면 서류에 낙서하는 버릇이 있었다. 주로 파란색 연필로 늑대를 그리고 붉은 배경을 칠했다고 한다.
  • 스탈린이 권력을 얻기 전 시베리아 유배지에서 사생아 여럿을 두었다는 설이 있다. 러시아 대중역사가 에드바르트 라진스키(Эдвард Радзинский)[62]의 주장에 따르면 2번째 아내 알릴루예바가 사망한 한 뒤로는 가정부였던 발렌티나 이스토미나와 사실혼 관계였고 슬하에 2명의 사생아가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라진스키는 학계에서 스탈린을 무근거 비판해 역풍을 맞은 볼코고노프조차 스탈린을 부분적으로 옹호하는 회색분자라고 욕하는 극단적 반 스탈린주의자로 평가되며 대중의 관심을 끌기 위해 자신의 뇌피셜을 가미하는 행동으로 유명하니 걸러 들어야 한다.

8. 스탈린을 다룬 저작

8.1. 국내 정발된 저작

  • 스탈린 선집
    • 현재 절판. 북한의 경우 1964년 조선로동당 출판사에서 3권에 걸쳐 완역했다. 조선로동당 출판사 것은 국립중앙도서관 북한자료 센터에서 열람이 가능한데, 1980년대 한국에서 발행된 전진출판사 책과는 달리 보다 내용이 많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국 번역본은 얇은 페이퍼백 2권 구성으로 애초에 전집 완역이 아니라 '선집'으로 발췌번역한 것으로 보인다.
  • 스탈린의 딸, 스베틀라나가 내놓은 <나의 아버지 스탈린>
    • 1993년 들어와 2018년 기준 교보문고에서 판매 중.
  • 트로츠키 평전을 저술한 아이작 도이처의 스탈린 평전.
    • 1970년대 후반 세계 인물 평전/회고록 시리즈 중 하나로 출간되었다. 오래된 도서관의 보존서고 외에는 찾기 힘든 도서.
  • 러시아 반공 역사학자이자 소련 장성 출신인 드미트리 볼코고노프 장군의 스탈린 평전과 <크렘린의 수령들>
    • 그러나 스탈린 평전은 한국에 들어오면서 2차 대전 이전 얘기가 죄다 잘려버렸고, 또 볼코고노프 장군 자체가 친 옐친, 반 소련 사관을 중심으로 매우 편향적인 내용으로 저술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2017년 기준으로 스탈린 평전과 크렘린의 수령 모두 절판 상태.[63]
  • 영국 역사학자 로버트 서비스의 스탈린 평전
    • 맨 처음에는 강철 권력이란 부제를 달았고, 이후 공포의 정치학, 권력의 심리학이란 새 부제를 달고 새로 나왔다. 볼코고노프와 마찬가지로 스탈린에 대해 부정적인 서술이 대부분이지만, 올레크 흘레브뉴크가 쓴 스탈린 평전에 비하면 나름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저자인 로버트 서비스의 성향 때문에 스탈린을 인간적으로 폄훼하는 서술이 자주 보이지만, 동시에 소련의 경제성장과 독소전쟁의 승리에 스탈린이 기여한 영향력도 부정하지 않는 편이다. 내용이 방대하고 각주를 통해 출저표기도 꼼꼼히 되어 있어서 스탈린을 다룬 책들 중에서도 특히 꼼꼼한 짜임새를 자랑한다. 현재는 절판되었다.
  • 영국 역사학자 리처드 오버리의 <독재자들 - 히틀러 vs 스탈린, 권력작동의 비밀>
    • 절판되었다.
  • 사이먼 시백 몬티피오리의 젊은 스탈린
    • 말 그대로 스탈린이 젊은 혁명가 시절을 다룬 전기. 몬티피오리는 젊은 스탈린을 쓰기 전에 집권 후 스탈린의 전기, <Stalin: The Court of the Red Tsar (2003)>도 썼다.
  • 2017년 러시아 연방 국립문서보관소 선임연구원겸 러시아 국립고등경제대학 소속 올레크 흘레브뉴크가 집필한 스탈린: 독재자의 새로운 얼굴
    • 삼인 출판사에서 정발했다. 90년대 이후 해금된 기밀문서들을 중심으로 스탈린 시절을 다루는 권위자로 손꼽히는 러시아의 "올레그 흘레브뉴크"가 집필한 저서. 한국의 소련사 권위자이자 "리처드 오버리"의 저서 "스탈린과 히틀러의 전쟁" 번역으로 유명한 류한수 교수가 감수했다. 하지만 저자인 올레크가 직접 밝힌 것처럼 러시아 사회 일각에서 나오고 있는 스탈린 옹호 목소리에 깊은 우려를 표하며 스탈린 신화를 부수기 위해서 출판한 책이기 때문에 책 해설에 달린 노경덕 교수의 지적대로 현재까지 학계에 누적된 스탈린의 통치에 대한 다각도 분석을 무시하고, 과거의 전체주의 프레임만을 지나치게 사용했으며 자료의 누락이나 억측이 많이 섞였단 비판도 제법 있다. 맥락무시나 비약 및 악의적 억측도 있다는 얘기로 기존의 수정주의적 학계의 견해를 무시했다는 점을 지적받기도 한다.[64][65] 그러나 동시에 노경덕 교수는 로버트 서비스가 냉전 이후 쓴 스탈린 전기와 비교했을 때, 현재까지 국내에서 나온 스탈린 책 중 가장 읽어볼만한 스탈린 평전이라는 호평도 내렸다.
  • 영국의 역사학자 제프리 로버츠의 <스탈린의 전쟁>
    • 원서 제목은 <Stalin's War>로 제2차 세계대전과 냉전 시기의 이오시프 스탈린을 주로 다루고 있다. 소련 군사사와 외교정책 관련 연구분야 권위자로 유명한 역사학자인 제프리 로버츠가 집필했다. 이 문단에 언급된 가공된 2차 3차 자료들 중에 스탈린에 대해 가장 긍정적으로 서술한 책이다. 물론 스탈린에 대해 독재자라는 점과 적잖은 범죄자적 행위 및 인민들의 희생을 불렀던 인물이라는 점을 분명히 하고는 있으나, 기본적으로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스탈린이 발휘한 전시 지도자로서의 리더십을 재평가하고 있으며, 냉전에 대해서도 기존의 서구 시각과는 다른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예를들어, 로버츠는 스탈린이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서구와의 평화를 추구했고, 타국에 대해 덜 공세적이었던 반면, 영국의 처칠과 미국의 트루먼의 반공정책이 냉전을 불러일으킨 책임이 있다고 봤다. 심지어 과거 서구 학계에서 냉전의 책임을 스탈린에게 물었던 것은 무고하게 씌어진 비난이라고 로버츠는 주장한다. 특히나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전시지도자로서의 스탈린에 대한 로버츠의 평가는 처칠이나 루스벨트 드골과는 달리 탁월한 군사 지도자로서 대체될 수 없는 인물이라고까지 극찬하는 수준이다. 물론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스탈린에 대한 전시 지도자로서의 평가와 냉전 초기 탁월한 정치인으로서의 재평가가 스탈린이 과거 자행한 숙청과 인명피해를 합리화하기 위해 전개한 논리는 절대 아니며, 스탈린이라는 인물을 제대로 평가하기 위해선 이러한 측면도 같이 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 로버츠의 취지라 할 수 있겠다. 그런 점에서, 기존에 많은 이들이 가지고 있던 스탈린의 이미지를 바탕으로 이 책을 읽는다면, 제법 놀랄 수 있을 것이며 선뜻 받아들이기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 로버트 서비스나 올레크 흘레브뉵의 책에서 보지 못했던 전시 지도자로서의 스탈린의 타고난 리더십과 이를 입증하는 여러 인물들의 증언들과 여러 근거들도 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책의 가치는 상당히 높다. 따라서 이오시프 스탈린의 또 다른 측면을 알고 싶은 이들에게 아주 적극적으로 추천할만한 책이다. 데이비드 글래츠의 <독소전쟁사>가 독소전쟁 당시 소련군의 군사적 업적을 재조명하는데 초점을 두었다면, 제프리 로버츠는 그 과정에서 스탈린이 보인 지도력에 초점을 두었으니, 글랜츠의 군사사적 연구하고도 상당부분 비교도 된다. 번역은 러시아 연구자로 알려진 김남섭 교수가 했다.
  • 제프리 로버츠의 <스탈린의 서재>
    • 스탈린의 독서 이력을 연구한 책. 스탈린은 무려 2만 5천권의 장서를 남긴 애서가이자 독서광이었다. 책마다 '좋아', '동의함' 혹은 '헛소리', '개자식' 같은 메모를 남기기도 했다. 스탈린은 마르크스와 레닌 말고도 장편, 단편 소설, 시, 영화 대본, 희곡 등의 문학 작품을 두루두루 읽었고, 무엇보다 역사서를 많이 읽었다. 가장 좋아하는 역사가는 非마르크스주의자인 로베르트 비페르(Robert Yuryevich Vipper)였다.[66] 그는 마키아벨리를 많이 읽었을 것이란 선입견과는 달리 철혈재상 비스마르크의 현실 정치 관련 서적을 많이 읽었다. 그리고 정말 의외로 자본주의 국가들의 헌법도 연구했다. 그는 소련 사회주의 체제가 가장 우월하다고 믿어 의심치 않았지만 대안적 체제를 탐색하는데도 게을리 하지 않았다. 그리고 트로츠키같은 정적의 책들도 금서로 지정해놓고는 몰래 읽었다. 대표적으로 굴라그 운영법이 트로츠키의 저서를 많이 참고했다.

8.2. 국내 비정발 저작

  • 로이 메드베데프는 여러 저작물.
  • 에드바르트 라진스키의 스탈린 정신병자설에 관한 저작물.
    • 대중 역사관을 모아다 만든 것으로 학술적 가치는 없다고 평가 받는다.
  • 2014년 프린스턴 대학의 스티븐 코트킨 교수가 내놓은 총 3부작으로 예정된 스탈린 평전.
    • 그러나 출간 속도가 매우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 제임스 해리스 교수의 거대한 우랄 산맥, 스탈린의 철도 시리즈 등
    • 스탈린 시대의 철도와 중공업에 대해 다뤘다.
  • 아치 게티의 대숙청과 대기근에 대한 2세대 수정주의적 연구를 담은 저서들.
    • 현 나무위키의 대숙청 문서는 아치와 로베르타 매닝이 공저한 저술을 바탕으로 작성되었다.
  • 루도 마르텐스의 스탈린 전기(Another View of Stalin)
    • 스탈린을 변호하는 입장에서 서술된 스탈린 전기로 소련 해체 이후인 1996년에 출간됐다. 저자 루도 마르텐스는 역사학자[67]이자 벨기에 노동당 당수였다. 따라서 사회주의자가 쓴 <스탈린 전기>라고 봐도 무리는 없다. Another View of Stalin 다만 국내 사회운동 단체인 노동사회과학연구소에서 연재글로 책의 전문을 완역하긴 했다. 책은 주로 스탈린의 사회주의 및 혁명적 업적을 방어하고 옹호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스탈린의 과오로 알려진 우크라이나 대기근이나 대숙청 그리고 독소 불가침 조약과 핀란드 침공 등에 대한 서방학계의 주장을 반박하고, 스탈린이 단행한 공업화의 성과와 사회주의 혁명의 성과를 재평가한다. 또한 트로츠키에 대해서도 매우 비판적이며, 티토와 흐루쇼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비판적이다. 나무위키에서 스탈린 전기로 언급된 이오시프 스탈린의 전기 중에 가장 긍정적으로 평가를 내리는 서적이라 볼 수 있다. 번역본은 디비피아에서 볼 수 있다.

9. 대중매체에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오시프 스탈린/매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스탈린주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탈린주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스탈린의 이름을 딴 지명

대부분은 1961년에 스탈린이 격하된 이후로 원래 이름으로 다시 개명된다.

12. 어록

이 중에는 실제 스탈린이 했는지 어떤지 의심스러운, 출처가 없는 말들이 많으니 유념하고 보길 바람.
"나는 독재자가 아닙니다. 당의 결정을 따르는 일꾼일 뿐이죠."
ㅡ 1931년 영국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현대군은 공격부대다. 붉은 군대는 현대군이다!"

"히틀러라는 친구, 굉장하더군! 정적은 그렇게 다뤄야 해!!"
ㅡ 1934년 장검의 밤 소식을 듣고[출처1]

"지도자들은 왔다가 사라집니다. 하지만 인민들은 남습니다. 오직 인민만이 영원합니다."
ㅡ 1937년 대숙청 중 연설

"현명한 자는 보는 걸 믿고 겁쟁이는 믿는 걸 본다."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자원중 가장 가치 있고 소중한 자원은 사람이다."

"정직한 외교관은 나무로 만든 철이나 마른 물과 같다."[출처2]

"어떤 나라의 외무장관이 평화 협정에서 목숨을 걸고서라도 세계 평화를 지키겠다고 말한다면, 그 시간에 본국에서는 최신 군함과 전투기들을 만들고 있다고 보면 된다."[출처3]

"감사하는 마음은 개나 앓는 질병이다."[출처4]
또는 "예의나 배려는 개나 앓는 질병이다." 라고도 전해진다. 정작 스탈린은 별에별 시시콜콜한 호의도 잊지 않고 모두 갚아주고, 감사하다는 말을 입에 달고 살았다. 물론 악감정 역시 사소한 것까지도 되갚았다.
"우리의 적들이 스스로 무장을 해제한다면, 모든 것이 잘 풀릴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우리가 직접 해버리면 된다."[출처5]

트로츠키는 이 말을 카메네프가 스탈린, 펠릭스 제르진스키와의 대화 내용을 말해준 것을 회상한 것이라고 했다.
"교황이라! 그런데 교황은 몇 개 사단이나 갖고 있답니까?"
1935년에 프랑스 외무장관 라발과 모스크바에서 스탈린과 회담하다 "소련에서 종교 탄압이 줄면 저희가 교황과 일하는 데 도움이 될 것 같다"고 하자 스탈린이 이렇게 대답했다고 한다.[출처들] 이 말의 출처는 윈스턴 처칠인데, 처칠은 라발이 뭐라 답했는진 모르지만 열병식에 보이지 않는 종류의 군단(legion)이 있다고 답했을 것이라 추측해 적었다. 이는 극단적인 관념론적 존재인 교황과 반대되는 극단적 유물론자인 공산주의적 반종교주의자의 관점을 한 마디로 보여준다.
"내가 죽고 나면 사람들은 내 무덤에 쓰레기를 집어던지겠지만, 결국 역사의 바람이 그 쓰레기들을 전부 쓸어낼 것이다."[출처7]
몰로토프와 대화를 나누다 나온 말이라고 한다. 여담으로 스탈린 사후 그의 평가는 진짜 저 말대로 되었다.[77][78]
"표를 던지는 사람은 아무것도 결정하지 못한다. 표를 세는 사람이 모든 것을 결정한다."[출처8]

"속도를 늦추면 뒤떨어집니다. 그리고 뒤떨어지면 패합니다. 우리는 패하고 싶지 않습니다. 그렇습니다, 패배는 우리가 바라는 게 아닙니다. 옛 러시아의 역사는 무엇보다도 뒤떨어진 탓에 끊임없이 패배한 역사였습니다. 러시아는 몽골의 칸에게 패하고, 터키의 파샤에게 패하고, 스웨덴의 봉건 영주에게 패했습니다. 러시아는 폴란드와 리투아니아의 영주들에게 패하고, 영국과 프랑스의 자본가에게 패하고, 일본 남작에게 패했습니다. 러시아가 뒤떨어진 탓에 모든 사람에게 패했습니다. 군사적으로 뒤떨어져서, 농업이 뒤떨어져서 패했습니다. 그들이 러시아를 친 것은 그게 이익이 되고 그러고도 무사했기 때문입니다. 여러분은 혁명 전의 시인이 한 말을 기억해야 합니다. '너는 비참하다, 너는 풍요롭다, 너는 강력하다, 너는 무력하다, 나의 조국 러시아여(You are poor and abundant, mighty and impotent, Mother Russia.).'"
- 1931년 2월 5일 산업 관리와 경영자 협의회에서 한 연설[출처]

"이탈리아 파시즘이나 독일의 국가사회주의는 그러한 소비에트 사회주의와는 공통점이 없습니다. 왜냐하면 주로 공장, 토지, 은행, 운송수단 등의 사적 소유권이 그대로 남아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독일과 이탈리아의 자본주의는 여전히 유효합니다."
- 1936년 4월, Roy W.Howard와의 인터뷰

"인류 역사상 무적의 군대란 존재하지 않았으며, 앞으로도 결코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 1941년 7월 3일, 라디오 연설에서.


"우리 조국의 자유를 위한 우리의 전쟁은 유럽과 미국 인민들의 독립과 민주적 자유를 위한 그들의 투쟁과 함께 할 것입니다. 이는 자유를 옹호하고 히틀러의 파시스트 군대에 의한 노예화와 그 위협에 맞선 인민들의 연합전선이 될 것입니다.
- Stalin Speech on German invasion in WW2 - operation Barbarossa 1941https://www.youtube.com/watch?v=1bgy5QR8h04


"붉은 군대에서는 전진할 때보다 후퇴할 때 더 큰 용기가 필요하다."
- 당시 미국 대사 Averell Harriman과의 대화 중.[출처9]

"교육은 누구의 손아귀에 쥐어졌는지, 누구를 대상으로 하는지에 따라 효과가 결정되는 무기다."
- 1937년 9월, 허버트 조지 웰스인터뷰에서.

"신이 당신의 편이라고? 그가 보수당원인가? 악마는 나의 편이며 그는 훌륭한 공산주의자다."
- 1943년 11월, 테헤란 회담에서 윈스턴 처칠에게.[82]


"열린 마음은 문지기 없는 요새와 같다."

"인간에겐 막역한 사이란 없다. 막연한 사이만 있을 뿐이다."

"악인의 무관심은 선행이 되지만 선인의 무관심은 악행이 된다."

카이로 회담 당시 윈스턴 처칠은 스탈린에게 충성을 다하는 부하들의 모습을 보면서 같은 우두머리로서 자신과 많은 비교가 된다고 생각했다. 자신이 어떤 결정을 내려도 그것에 대해 믿고 따르기보단 어떻게든 그 결정을 막을려고만 드는 자신의 부하에 비해 스탈린의 부하들은 겸손하며 그에게 충성을 다하는 것처럼 보였다. 스탈린의 통솔력의 비법이 궁금했던 처칠은 스탈린에게 통솔력의 비법을 물어봤다. 그러자 스탈린은 특유의 푸근한 미소를 지으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공포는 사람을 겸손하게 만들지요."

"결국 죽음이란 나쁜 것을 잃는 거다."

"불만을 가진 사람들은 대부분 어이없는 이유를 내세운다."

"죽으면 모든 것이 해결된다. 죽은 사람은 어떤 것도 고민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 말은 콜 오브 듀티 시리즈에서 게임 오버 시 나오는 문구 중 하나로 나온다.
"공포 앞에 논쟁이란 없다."

"상황이 사람을 만드는 게 아니라 상황은 단지 사람이 어떤 종류의 인간인지를 보여줄 뿐이다. 지금 우리의 혁명은 적들에 의해 죽어가고 있다. 적에게 죽느니 차라리 우리가 흘린 피에 익사하는 길을 택하겠다. 한 발자국도 물러서지 마라."

"인민은 낙엽과 같다. 하나씩 밟을 때는 바스락거리지만 한데 긁어모아 불을 붙이면 매우 잘 탄다."
소수의 인민들이 저항하는 것은 별 것 아니지만 다수의 인민들이 들고 일어나면 막을 수 없다는 말이라는 해석도 있고, 인민들을 적당히 탄압하면 저항하지만 본보기로 다수를 모아 처리하면 겁 먹어 찍소리도 못한다는 말로 해석하기도 한다. 스탈린이 두 가지 을 모두 경험했던 인물인만큼 어느 쪽으로 받아들여도 말이 되기 때문에 이래저래 애매하다.
"사단을 시장에서 판다면 사주겠지만 시장에서는 사단을 팔지 않는다. 증원은 불가능하다."
- 1942년 5월, 제2차 하르코프 공방전 도중 포위섬멸 위기에 처한 티모셴코 원수의 증원 요청에 대한 답신.
소련군이 섣부르게 시작한 공세는 이 때의 독일군 역습을 받아 대참사로 끝났다. 마침 캅카스를 향한 하계 공세를 계획하던 독일군은 전투 종료 1달 만에 청색 작전을 발동했다. 티모셴코는 이후 일선에서 물러나는 계기가 된다. 사실 스탈린의 책임이 워낙 컸던 패배다 보니 면피성 인사 조치이긴 하지만 이를 계기로 스탈린이 군부의 구체적인 작전 수행에 시시콜콜 간섭하는 일이 거의 없어졌다.
"현대전에서 총포탄을 아껴서는 안됩니다. 탄약을 아끼는 것은 범죄요."
- 1940년 4월 15일, 겨울전쟁에 관한 고위 지휘관 회의.
포병이 왜 중요한지에 대해 상당한 통찰력을 가지고 있었다. 인력은 아껴도 포탄은 아끼지 말라거나, 공세에는 반드시 포를 동원하라거나 하는 발언을 전략회의에서 했다.

"석유 없이 전쟁을 수행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장차 다가올 전쟁에서는, 석유에서 우위를 점하는 자가 전쟁에서 승리의 기회를 갖게 될 것이다."
- 1927년 12월 3일 연설에서

"간부가 모든 것을 결정한다!"
- 1935년 5월 4일 붉은 군대 사관학교 졸업식 연설.
간부가 제일 중요하다는 게 아니라 간부 집단의 질적 향상이 국가의 운명을 좌지우지 한다는 뜻.
"넌 스탈린도 아니고 나도 스탈린이 아냐! 스탈린은 소련 권력이야!"[출처11]
둘째 아들 바실리 스탈린이 자신의 성을 쓰자 이렇게 일갈했다.
"이제, 우리는 누가 진정한 공산주의자인지, 그리고 누가 공산주의자인 척 말하고만 있는지 보게 될 것이오. (중략) 우리는 우리가 원하는 모든 권력을 얻었으나 우리에게는 우리의 권력을 행사하는 능력은 부족하오."
- 1928년 시베리아의 바르나울에서, 대대적인 농업 집단화를 시행하기 전에.

"동지 여러분, 삶이 좋아졌습니다. 삶이 더 행복해졌습니다. 그리고 인생이 즐거울 때 일도 좋습니다. 우리의 삶이 나쁘고, 보기 흉하고, 불행했다면 스타하노프 운동이 있었겠습니까?."
-1935년 스타하노프 노동자 회의에서.

"포화 속에 수천 킬로를 달린 병사들에게 그런 즐거움(강간)이 필요하다는 것을 당신은 이해하지 못합니까?"
-구 유고슬라비아를 탈환하며 주둔해 있던 소련군이 현지 여성들에 대해 강간범죄를 저지른 것에 대해 항의했던 유고슬라비아 공산당 지도자 '밀로반 질라스'에게 한 말.[84][85][86]

"강한 군대를 가진 나라는 언제나 존경받는다. 핀란드군의 강인함에 경의를 표한다."
-1951년에 했다고 전해지는말.[87]

"왜 전차에다 을 차리려고 하나!"
-1938년 5월 4일 신형 다포탑 전차의 목업모델을 보고 포탑 한개를 부러뜨리며 한 말.[출처12]
스탈린은 다포탑 전차인 T-28이나 T-35를 매우 싫어했다. 그리고 그러한 다포탑 전차들이 실전에서 완벽한 실패작으로 판명된 걸 보면 비록 스탈린이 전술, 전략적으로는 문제가 많았지만 무기를 보는 눈 하나는 있던 모양이다. 한편 이 말 때문에 밀덕들은 어떤 무기에 뭔가를 덕지덕지 붙여놓는 걸 "백화점을 차린다" 고 표현하곤 한다.
한편 저 백화점 드립을 두고 자본주의의 상징이라서 백화점을 싫어한 것이라는 주장도 있는데, 당시 소련에도 백화점이 엄연히 있었다. 즉 자본주의의 상징이라서가 아니라 그냥 백화점처럼 여러가지를 놓았다는 직접적인 비유법에 더 가깝다.[89]
제국주의는 어디서 시작되었는가? 자본주의에서 시작되었다. 파시즘은 어디서 시작되었는가? 역시 자본주의에서 시작되었다. 민주주의란 한 줌의 자본가들을 물리치고 사회주의를 실현하는 것이다.
그러나 스탈린 당시 소련의 경제 체제는 클리프주의 계열 좌파 학자들의 평가에 의하면 국가 자본주의이며 스탈린주의는 제국주의, 전체주의의 성향을 어느정도 겸하고 있다는 평가를 하기도 한다.
세상에, 이게 무슨 마르크스주의라는 건가. 이건 완전히 봉건주의잖아.
-마오쩌둥이 쓴 이론을 읽고[출처13]

"아니오!"(нет!)
-포츠담 회담, 얄타 회담에서 윈스턴 처칠의 양보 요구에 스탈린이 자주 내뱉었던 말.[출처14]

조선 사령부가 어떤 계획을 하고 있는지 귀관은 전혀 통보하지 않고 있다. 그들은 전진할 생각인가? 아니면 전진을 중단하기로 했는가?[92]
1950년 7월 1일, 북한군이 남진을 멈추자 김일성에게 보낸 편지출처(2분 부터)
나로서는 굶주린 인민들과 실직한 사람들이 누리는 개인적인 자유라는 것이 무엇인지 상상조차 하기 힘들다. 진정한 자유란 착취와 다른 사람에게 억압받지 않는 곳, 실업이 없으며 직장과 집 그리고 빵을 잃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없는 곳에서만 존재할 수 있다. 오직 그러한 사회에서만이 탁상공론이 아닌 실질적인 개인과 자유가 존재할 수 있다.
서구 사회민주주의의 강점은 무엇인가? 그것은 노동조합을 지주로 한다는 점이다. 서구에 있는 여러 공산당들의 약점은 무엇인가? 그것이 노동조합과 결합되어 있지 않고, 또한 이들 공산당의 몇몇 분자가 노동조합과의 결합을 바라고 있지 않은 점이다. 때문에 현 시점에서 서구 공산당의 기본적 임무는 노동조합운동의 통일을 위한 캄파니아를 발전시키고 철저하게 추진하며, 전 공산당원이 빠짐없이 노동조합에 들어가 자본에 대항하여 노동자계급을 결집시키는 체계적이고 끈질긴 활동을 전개함으로써 공산당이 노동조합을 지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우리는 그들의 식민지를 프랑스에 반환해서는 안 된다. 중요한 전략거점을 그들에게 맡기는 것은 미친 짓이다.
1945년 얄타회담에서 프랑스의 인도차이나 식민지 지배에 관해 한 말
영국과 미국 사이에 차이가 있다고 믿지 마십시오. 그들은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들의 정보기관은 모든 나라에서 우리에 대항해 활발한 공작을 벌이고 있습니다. 가는 곳마다 그들의 요원들이 당장이라도 우리와 전쟁이 터질 거라는 정보를 퍼뜨리고 있습니다. 저는 전쟁이 없을 것임을 완전히 장담합니다. 그런 정보는 쓰레기입니다. 그들은 우리와 전쟁을 벌일 능력이 없습니다. 그들의 군대는 평화 선동에 무력해졌습니다. 핵폭탄이 아니라 군대가 전쟁을 결정합니다. 그들 정보기관의 활동 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무엇보다도 먼저 그들은 우리를 협박해서 일본, 발칸 지역, 배상 등 논란을 불러일으키는 문제들에서 우리에게 양보를 강요하고 있습니다. 둘째, 그들은 우리를 압박해서 우리 동맹국들(폴란드, 루마니아, 유고슬라비아, 불가리아)로부터 떨어지게 만들기를 원합니다. 30년쯤 뒤에 그들이 또 다른 전쟁을 벌이기를 원하는지는 다른 문제입니다. 이것은 그들에게 막대한 이익을 안겨 줄 것입니다. 대양 너머에 있고 전쟁의 영향에 대해 신경 쓸 필요도 없는 미국의 경우 특히 더 그렇습니다. 독일의 목숨을 살려 주는 그들의 정책이 이를 증명합니다. 침략자들의 목숨을 살려 주는 사람은 또 한 번의 전쟁을 원합니다.
1945년 11월 14일 폴란드 공산주의 지도자 브와디스와프 고무우카와의 대화에서 한 말
우리는 이란에 소련군이 주둔해 있으면 유럽과 아시아에서 우리 해방운동 정책의 토대가 약화될 것이기 때문에 더 이상 이란에 군대를 유지할 수가 없었습니다. 영국과 미국은 우리에게 만일 소련군 부대가 이란에 머무를 수 있다면 영국군 부대가 이집트, 시리아, 인도네시아, 그리스에, 또 미군 부대가 중국, 아이슬란드, 덴마크에 왜 머무를 수 없는가라고 말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영국과 미국에 이런 빌미를 주지 않고, 식민지에서 해방 운동을 촉발시켜 우리의 해방 운동 정책을 더욱 정당하고 효율적으로 만들기 위해 이란과 중국에서 부대를 철수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혁명가로서의 귀하께서는 우리에게 다른 방도가 없었음을 확실히 이해하실 겁니다.
1946년 5월 스탈린이 아제르바이잔 자치 운동 공산주의 지도자에게 보낸 서한 내용 중 일부
독일은 하나의 통일된 국가로 보존되어야 한다. 독일의 사회 질서를 해칠 분열이나 시험은 없어야 한다. 목표는 1848년 부르주아 민주혁명의 완성이다.
스탈린이 울부리히트에게 1945년 여름 회동에서 한 말
아프가니스탄 에미르 군주의 아프가니스탄 독립투쟁은 에미르와 그의 측근들의 군주제적 견해에도 불구하고 객관적으로 혁명적 투쟁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제국주의를 약화시키고, 해체시키고, 약화시키기 때문이다.

13. 소속 정당

소속 기간 비고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1901 - 1903 -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볼셰비키) 1903 - 1918 -

[[소련 공산당|]]
1918 - 1953 -

14. 둘러보기

파일:낫과 망치.svg 공산주의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33%; min-height:2em"
{{{#!folding [ 이념 전반 ]
{{{#!wiki style="margin:-5px 0 -5px; letter-spacing:-0.05em"
<table bgcolor=#fff,#1f2023><colbgcolor=#cd0000><colcolor=#fed800>분파마르크스-레닌주의
현실사회주의 · 카스트로주의 · 호자주의 · 호찌민 사상 · 마오주의 (마르크스-레닌-마오주의 · 중국특색 사회주의 · 신시대 중국특색 사회주의) · 주체사상
볼셰비키-레닌주의
파블로주의 · 신트로츠키주의 (클리프주의) · 제3의 진영 · 포사다스주의)
그 외: 사회적 아나키즘 · 좌익공산주의 · 서구 마르크스주의 · 포스트 마르크스주의 · 국민공산주의 · 유럽공산주의 · 기독교 공산주의
인물카를 마르크스 · 프리드리히 엥겔스 · 카를 카우츠키 · 블라디미르 레닌 · 레프 트로츠키 · 미하일 칼리닌 · 알렉산드라 콜론타이 · 나데즈다 크룹스카야 · 이오시프 스탈린 · 니키타 흐루쇼프 · 겐나디 주가노프 · 요시프 브로즈 티토 · 천두슈 · 리다자오 · 마오쩌둥 · 저우언라이 · 체 게바라 · 피델 카스트로 · 라울 카스트로 · 로자 룩셈부르크·프랑수아 노엘 바뵈프·루이 오귀스트 블랑키 · 카를 리프크네히트 · 안토니오 그람시 · 호찌민 · 응우옌반린 · 보응우옌잡 · 폴 포트 · 담딘 수흐바타르 · 허를러깅 처이발상 · 고토쿠 슈스이 · 시이 가즈오 · 고이케 아키라 · 키라 요시코 · 야마조에 타쿠 · 아카미네 세이켄 · 박헌영 · 김일성 · 빌헬름 피크 · 발터 울브리히트 · 에리히 호네커 · 게오르게 게오르기우데지 · 엔베르 호자 · 헹크 스네이블릿·호세 카를로스 마리아테기 · 밥 아바키안 ·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 헬렌 켈러 · 김알렉산드라 · 차루 마줌다르 · 푸슈파 카말 다할
이론공산주의 · 사회주의 · 노동가치론 · 변증법적 유물론 · 마르크스 경제학 · 여성해방론 · 프롤레타리아 독재 · 민주집중제 · 계획경제 · 반자본주의 · 무신론 · 사회주의법 · 인민민주주의
정당공산당
상징낫과 망치 ·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 붉은 별 · 적기
관련 문서분파 · 역사 · 서기장 · 적색 테러 · 탈공산주의 · 통일전선 ·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 파일:레닌_투명.svg 레닌주의 · 파일:스탈린_투명.png 틀:스탈린주의 · 파일:트로츠키_투명.svg 틀:트로츠키주의 · 파일:마오쩌둥 투명.svg 틀:마오주의}}}}}}}}}{{{#!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33%; min-height:2em"
{{{#!folding [ 정당 · 조직 ]
{{{#!wiki style="margin:-5px 0 -5px; letter-spacing:-0.05em"
<colbgcolor=#cd0000><colcolor=#fed800>
볼드체: 여당 또는 연립여당
취소선: 역사적으로 공산주의를 표방했던 정당
이탤릭체: 당 내 일부 분파가 공산주의를 표방하는 정당
현존 정당
아시아
중국공산당 파일:중국 국기.svg · 일본공산당 파일:일본 국기.svg · 노동자공산당 파일:일본 국기.svg · 노동의 해방을 목표로 노동자당 파일:일본 국기.svg · 조선로동당 파일:북한 국기.svg · 대만 공산당 파일:대만 국기.svg · 베트남 공산당 파일:베트남 국기.svg · 라오 인민혁명당 파일:라오스 국기.svg · 버마 공산당 파일:미얀마 국기.svg · 네팔 공산당(통합 마르크스-레닌주의) 파일:네팔 국기.svg · 네팔 공산당(마오주의 센터) 파일:네팔 국기.svg · 네팔 공산당(통합 사회주의) 파일:네팔 국기.svg · 인도 공산당 파일:인도 국기.svg · 인도 공산당(마르크스주의) 파일:인도 국기.svg · 방글라데시 노동자당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 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 팔레스타인 해방민주전선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 팔레스타인 인민당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 이스라엘 공산당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 예멘 사회당 파일:예멘 국기.svg · 레바논 공산당 파일:레바논 국기.svg · 몽골 인민당 파일:몽골 국기.svg · 카자흐스탄 인민당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 캄보디아 인민당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유럽유럽 좌파당 파일:유럽연합 국기.svg · 유럽의회 좌파-GUE/NGL 파일:유럽연합 국기.svg · 유럽 공산주의자 행동 파일:유럽연합 국기.svg · 프랑스 공산당 파일:프랑스 국기.svg · 노동자투쟁 파일:프랑스 국기.svg · 반자본주의신당 파일:프랑스 국기.svg · 신인민전선 파일:프랑스 국기.svg · 수마르 파일:스페인 국기.svg · 포르투갈 공산당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그리스 공산당 파일:그리스 국기.svg · 안타르샤 파일:그리스 국기.svg · 튀르키예 공산당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튀르키예 노동자당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노동인민진보당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 좌파당 파일:독일 국기.svg · 독일 공산당 파일:독일 국기.svg · 오스트리아 공산당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 오스트리아 노동당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 벨기에 노동당 파일:벨기에 국기.svg · 스위스 노동당 파일:스위스 국기.svg · 연대 파일:스위스 국기.svg · 적색당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 보헤미아 모라바 공산당 파일:체코 국기.svg · 몰도바 공화국 공산당 파일:몰도바 국기.svg · 벨라루스 공산당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 러시아 연방 공산당 파일:러시아 국기.svg · 러시아의 공산주의자들 파일:러시아 국기.svg · 사회당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헝가리 사회당 파일:헝가리 국기.svg · 헝가리 노동자당 파일:헝가리 국기.svg · 이윤 이전에 인민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 불가리아 공산당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아프
리카
경제자유투사당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 기니카보베르데 아프리카독립당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 모잠비크 해방전선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 상투메 프린시페 해방운동-사회민주당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 앙골라 완전독립 민족동맹 파일:앙골라 국기.svg · 앙골라 해방인민운동 파일:앙골라 국기.svg · 짐바브웨 아프리카 국민연합 - 애국전선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 콩고 노동당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 티그라이 인민해방전선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아메
리카
미국 공산당 파일:미국 국기.svg · 미국 혁명공산당 파일:미국 국기.svg · 캐나다 공산당 파일:캐나다 국기.svg · 쿠바 공산당 파일:쿠바 국기.svg ·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 파일:니카라과 국기.svg · 베네수엘라 공산당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 인민진보당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 자유 페루 파일:페루 국기.svg · 브라질 공산당 파일:브라질 국기.svg · 사회주의자유당 파일:브라질 국기.svg · 칠레 공산당 파일:칠레 국기.svg · 사회주의 운동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 에콰도르 공산당 - 붉은 태양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공산당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 우루과이 공산당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 파라분도 마르티 민족해방전선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해체된 정당
소련 공산당 · 이탈리아 공산당 · 조선공산당 · 남조선로동당 · 세르비아 공산당 · 헝가리 사회주의 노동자당 · 폴란드 통일노동당 · 알바니아 노동당 ·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 인도네시아 공산당 · 불가리아 공산당 ·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 ·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 · 말라야 공산당 · 캄푸치아 공산당 · 루마니아 공산당 · 중화민국 공산당 · 영국 공산당 · 독일 사회주의통일당 · 헝가리 노동인민당· 튀르키예 공산당(1920년) · 호주 공산당 · 조선독립동맹 · 티베트 공산당
국제 조직코민테른 · 코민포름 · 코메콘 · 바르샤바 조약 기구 · 인터내셔널 · 제4인터내셔널 · 공산당-노동자당 국제회의 · 세계반제플랫포옴}}}}}}}}}{{{#!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33%; min-height:2em"
{{{#!folding [ 국가 ]
{{{#!wiki style="margin:-5px 0 -10px; letter-spacing:-0.05em"
인민공화국 또는 사회주의 공화국을 표방하는 국가
공산주의 정당이 여당으로 집권 중인 국가 (: 연립정부의 일원)
붕괴된 국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상징 <colcolor=#000,#fff>국기 · 국장 · 국호 · 노동자 마르세예즈 · 인터내셔널가 · 소련 찬가 · 낫과 망치 · 붉은 별
정치 정치 전반 · 소련 공산당 · 소련 공산당대회 · 크렘린 · 레닌 영묘 · 크렘린 벽 묘지 · 소련 최고회의 · 소련 장관회의 · 헌법
블라디미르 레닌 · 이오시프 스탈린 · 니키타 흐루쇼프 ·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 유리 안드로포프 · 콘스탄틴 체르넨코 · 미하일 고르바초프
최고지도자(서기장) · 국가수반 · 대통령
군사 소련군(장비 · 소련 육군 · 소련 해군 · 소련 공군 · 소련 방공군 · 소련 전략로켓군) · 스타프카 · 소련 국방장관 · 스페츠나츠 · 정치장교 · 바르샤바 조약 기구 · 열병식
소련의 핵개발(RDS-1 · 차르 봄바 · 세미팔라틴스크) · 소련군 vs 미군 · 소련군 vs 자위대 · 대외전쟁
치안 체카 · NKVD · KGB
경제 경제 · 경제사 · 소련 루블 ·
인문 민족 · 언어 · 종교
역사 역사 · 러시아 혁명 · 러시아 내전 · 신경제정책 · 대숙청 · 독소 폴란드 점령(카틴 학살) · 대조국전쟁 · 소련-일본 전쟁 · 냉전(6.25 전쟁 · 스푸트니크 쇼크 · 쿠바 미사일 위기 ·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 1980 모스크바 올림픽) ·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 소련 존속 여부 국민투표 · 8월 쿠데타 · 소련 붕괴 ·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외교 외교 · 미소관계 · 소련-유고슬라비아 관계(티토-스탈린 결별) · 중소관계(중국-소련 국경분쟁 · 중소결렬) · 나치 독일-소련 관계(독소 불가침조약) · 독러관계 · 북소관계 · 한소관계 · 소련-일본 관계 · 소련-몽골 관계 · 소련-대만 관계 · 친소 · 소비에트 제국 · 브레즈네프 독트린 · 인테르코스모스
문화 문화 · 사회주의 리얼리즘 · 사미즈다트
막심 고리키 ·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 미하일 숄로호프 ·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 스트루가츠키 형제
블라디미르 비소츠키 ·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 드미트리 카발레프스키 · 아람 하차투리안 · DDT(밴드) · 키노
교육
요리
공휴일
과학 우주 콘스탄틴 치올코프스키 · 반작용 추진 연구 그룹 · 세르게이 코롤료프 · 블라디미르 첼로메이 · 유리 가가린 · 발렌티나 테레시코바 · 알렉세이 레오노프
스푸트니크 · 소유즈 우주선 · 보스토크 계획 · 보스호드 계획 · 살류트 프로그램 · 미르 우주정거장
기초 소련의 기초과학 · 토카막 · 러더포듐 · 더브늄 · 시보귬 · 보륨
표트르 카피차 · 레프 란다우 · 이고르 탐 · 그리고리 마르굴리스 · 안드레이 사하로프 · 파벨 체렌코프
스테클로프 수학 연구원 · 쿠르차토프 연구원 · 레베데프 물리 연구소 · 란다우 이론물리학 연구원
}}}}}}}}} ||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CC0000> 파일:스탈린_투명.png이오시프 스탈린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생애 · 평가 · 매체
스탈린주의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CC0000>사상공산주의 · 스탈린주의,(반서방 · 반파시즘 · 공산주의 · 마르크스주의 · 레닌주의 · 군국주의 · 대러시아 · 소비에트 국가주의 · 일국사회주의 · 전체주의),
사건 · 사고 러시아 혁명 · 러시아 내전 · 소비에트-폴란드 전쟁 · 대숙청 · 봉소전쟁 · 라스쿨라치바니예 · 독소 불가침 조약 · 제2차 세계 대전(독소전쟁) · 6.25 전쟁
조직 및 국가 소련 공산당 · 몽골 인민당 · 독일 통일사회당 · 폴란드 통일노동당 ·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 · 헝가리 사회노동당 · 루마니아 공산당 · 불가리아 공산당· 알바니아 노동당 · 중국공산당 · 조선로동당 · 코민테른 · 코민포름
관련 인물
스탈린 가문 야코프 주가슈빌리 · 바실리 스탈린
외국 정상 아돌프 히틀러 · 윈스턴 처칠 · 프랭클린 D. 루스벨트 · 해리 S. 트루먼 · 마오쩌둥 · 장제스 · 김일성
공산당 블라디미르 레닌 · 클리멘트 보로실로프 · 레프 트로츠키 · 미하일 투하쳅스키 ·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 니콜라이 부하린 · 바실리 블류헤르 · 니키타 흐루쇼프 ·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기타
기타 스탈린 선 · 명령 제227호 · 각국 정상들과의 관계 · 스탈린 전차 · 스탈린그라드
파일:낫과 망치.svg 공산주의 ·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소련 · 파일:스탈린_투명.png 스탈린주의 }}}}}}}}}

<colbgcolor=#cd0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40000, #cd0000 20%, #cd0000 80%, #a40000); color: #ffd7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d700> 국가원수
<rowcolor=#ffd700> 소비에트대회 중앙집행위원회 주석 소련 최고회의 상무회 주석
초대 초대 제2대 제3대
미하일 칼리닌 미하일 칼리닌 니콜라이 시베르니크 클리멘트 보로실로프
<rowcolor=#ffd700> 소련 최고회의 상무회 주석
제4대 제5대 제6대 제7대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아나스타스 미코얀 니콜라이 포드고르니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rowcolor=#ffd700> 소련 최고회의 상무회 주석
제8대 제9대 제10대 제11대
유리 안드로포프 콘스탄틴 체르넨코 안드레이 그로미코 미하일 고르바초프
<rowcolor=#ffd700> 소련 최고회의 주석 소비에트 연방 대통령
초대 초대
미하일 고르바초프 미하일 고르바초프
<rowcolor=#ffd700> 정부수반
<rowcolor=#ffd700> 소련 인민위원장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블라디미르 레닌 알렉세이 리코프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이오시프 스탈린
<rowcolor=#ffd700> 소련 장관회의 주석
제4대 제5대 제6대 제7대
이오시프 스탈린 게오르기 말렌코프 니콜라이 불가닌 니키타 흐루쇼프
<rowcolor=#ffd700> 소련 장관회의 주석 소비에트 연방 총리
제8대 제9대 제10대 제11대
알렉세이 코시긴 니콜라이 티호노프 니콜라이 리시코프 발렌틴 파블로프
<rowcolor=#ffd700> 서기장
<rowcolor=#ffd700>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기술서기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국 주석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책임서기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옐레나 스타소바 야코프 스베르들로프 옐레나 스타소바 니콜라이 크레스틴스키
<rowcolor=#ffd700>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책임서기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장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제1서기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이오시프 스탈린 니키타 흐루쇼프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rowcolor=#ffd700>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장
제8대 제9대 제10대 제11대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유리 안드로포프 콘스탄틴 체르넨코 미하일 고르바초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d0000, #d40000 20%, #d40000 80%, #cd0000); color: #ffe4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e400> 육해군인민위원 (1917-1934)
<rowcolor=#ffe400> 초대 제2대 제3대
평의회 니콜라이 포드보이스키 레프 트로츠키
<rowcolor=#ffe400> 제4대 제5대
미하일 프룬제 클리멘트 보로실로프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rowcolor=#ffe400> 국방인민위원 (1934-1946) 해군인민위원 (1937-1946)
<rowcolor=#ffe400> 초대 초대
클리멘트 보로실로프 표트르 스미르노프
<rowcolor=#ffe400> 제2대 제2대
세묜 티모셴코 표트르 스미르노프스베틀롭스키
<rowcolor=#ffe400> 제3대 제3대
이오시프 스탈린 미하일 프리놉스키
제4대
니콜라이 쿠즈네초프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rowcolor=#ffe400> 군무인민위원 (1946)
<rowcolor=#ffe400> 초대
이오시프 스탈린
<rowcolor=#ffe400> 군무장관 (1946-1950)
<rowcolor=#ffe400> 초대 제2대 제3대
이오시프 스탈린 니콜라이 불가닌 알렉산드르 바실렙스키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rowcolor=#ffe400> 전쟁장관 (1950-1953) 해군장관 (1950-1953)
<rowcolor=#ffe400> 초대 초대
알렉산드르 바실렙스키 이반 유마셰프
<rowcolor=#ffe400> 제2대
니콜라이 쿠즈네초프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rowcolor=#ffe400> 국방장관 (1953-1991)
<rowcolor=#ffe400>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니콜라이 불가닌 게오르기 주코프 로디온 말리놉스키 안드레이 그레치코
<rowcolor=#ffe400>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드미트리 우스티노프 세르게이 소콜로프 드미트리 야조프 예브게니 샤포시니코프 }}}}}}}}}

파일:소련 국방부 휘장.svg
소비에트 연방군
원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육군
파일:USSRGeneralissimooftheSoviet Union.png파일:투명.png
이오시프 스탈린P
파일:USSRMarshal.png파일:투명.png
소비에트 연방 원수
Маршал Советского Союза
소비에트 연방 초기 5원수

클리멘트 보로실로프P · 미하일 투하쳅스키 · 세묜 부됸니 · 알렉산드르 예고로프 · 바실리 블류헤르
제2차 세계 대전기

세묜 티모셴코 · 그리고리 쿨리크 · 보리스 샤포시니코프 · 게오르기 주코프 · 알렉산드르 바실렙스키 · 이오시프 스탈린P · 이반 코네프 · 레오니트 고보로프 · 콘스탄틴 로코솝스키 · 로디온 말리놉스키 · 표도르 톨부힌 · 키릴 메레츠코프
냉전기

바실리 소콜롭스키 · 니콜라이 불가닌P · 이반 바그라먄 · 세르게이 비류조프AD, SRF · 안드레이 그레치코 · 안드레이 예료멘코 · 키릴 모스칼렌코SRF · 바실리 추이코프 · 마트베이 자하로프 · 필리프 골리코프P · 니콜라이 크릴로프SRF · 이반 야쿠봅스키 · 파벨 바티츠키AD · 표트르 코셰보이 · 레오니트 브레즈네프P · 드미트리 우스티노프 · 빅토르 쿨리코프 · 니콜라이 오가르코프 · 세르게이 소콜로프 · 세르게이 아흐로메예프 · 세묜 쿠르콧킨 · 바실리 페트로프 · 드미트리 야조프
NKVD
제2차 세계 대전기

라브렌티 베리야
해군
파일:CCCP-Navy-OF-10_(1943–1955).svg.png파일:투명.png
함대 제독
{{{-2 Адмирал Флота}}}
제2차 세계 대전기

니콜라이 쿠즈네초프 · 이반 이사코프
파일:USSRAdmiraloftheFleetoftheSovietUnion.png파일:투명.png
소비에트 연방 함대 제독
Адмирал Флота Cоветского Cоюза
냉전기

니콜라이 쿠즈네초프 · 이반 이사코프 · 세르게이 고르시코프
비고 P : 정치장교, AD : 방공군, SRF : 전략로켓군
※ 진급시기 기준 세분, 2차 대전기는 전간기부터 1945년 8월까지 해당.
}}}}}}}}}

파일:연합국 명예기.svg
연합국 주요 지도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랭클린 D. 루스벨트 해리 S. 트루먼 알베르 르브룅 샤를 드골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조지 6세 네빌 체임벌린 윈스턴 처칠 클레멘트 애틀리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소련 파일:대만 국기.svg 중국
이오시프 스탈린 미하일 칼리닌 린썬 장제스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08년 러시아 국영방송 로시야 1이 러시아 국민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가장 위대한 러시아인’을 선정
인터넷과 휴대전화를 이용해 투표가 진행됐으며 러시아 인구 1억 4,300만 명 중 5천만 명 이상이 투표에 참가했다.
그러나 투표 과정에서 부정과 방송국 측에 의한 순위 조작 정황으로 인해 러시아 내에서 광범위하게 비판받았다.
1위2위3위4위
알렉산드르 넵스키 표트르 스톨리핀 이오시프 스탈린 알렉산드르 푸시킨
5위6위7위8위
표트르 대제 블라디미르 레닌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알렉산드르 수보로프
9위10위11위12위
드미트리 멘델레예프 이반 4세 예카테리나 2세 알렉산드르 2세
영문 위키 참고
같이 보기: 위대한 인물 시리즈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e90606> 파일:타임지 로고 화이트.svg 올해의 인물 (1930년대)
Time Person of the Year 1930's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nopad>파일:attachment/time_1930.jpg파일:Person Of The Year 1931.jpg파일:attachment/time_1932.jpg파일:Person Of The Year 1933.jpg파일:attachment/time_1934.jpg
<rowcolor=#fff> 1930년
1931년
1932년
1933년
1934년
<nopad>파일:attachment/time1935.jpg파일:Person Of The Year 1936.jpg파일:attachment/time_1937.jpg파일:external/www.history.ucsb.edu/391-02hitlertime.jpg파일:attachment/time_1939.jpg
<rowcolor=#fff> 1935년
1936년
1937년

1938년
1939년
파일:Time_Inc_white.png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e90606> 파일:타임지 로고 화이트.svg 올해의 인물 (1940년대)
Time Person of the Year 1940's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nopad>파일:attachment/time_1940.jpg파일:attachment/time_1941.jpg파일:attachment/time_1942.jpg파일:attachment/time_1943.jpg파일:attachment/time_1944.jpg
<rowcolor=#fff> 1940년
1941년
1942년
1943년
1944년

노르망디 상륙 작전
<nopad>파일:attachment/time_1945.jpg파일:Person Of The Year 1946.jpg파일:attachment/time_1947.jpg파일:attachment/time_1948.jpg파일:attachment/time_1949.jpg
<rowcolor=#fff> 1945년

원폭 투하종전
1946년
1947년
1948년
1949년
파일:Time_Inc_white.png
}}}}}}}}} ||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fff>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Orden-Pobeda-Marshal_Vasilevsky.jpg승리의 기사단
Кавалеры ордена «Победа»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전승훈장 수훈자
2회
파일:소련 국기.svg
게오르기 주코프
파일:소련 국기.svg
알렉산드르 바실렙스키
파일:소련 국기.svg
이오시프 스탈린
1회
파일:소련 국기.svg
레오니트 고보로프
파일:소련 국기.svg
로디온 말리놉스키
파일:소련 국기.svg
세묜 티모셴코
파일:소련 국기.svg
알렉세이 안토노프
파일:소련 국기.svg
이반 코네프
파일:소련 국기.svg
콘스탄틴 로코솝스키
파일:소련 국기.svg
키릴 메레츠코프
파일:소련 국기.svg
표도르 톨부힌
파일:미국 국기.svg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파일:영국 국기.svg
버나드 로 몽고메리
[[미하우 롤라지미에르스키|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
미하우 롤라지미에르스키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미하이 1세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국기.svg
요시프 브로즈 티토
}}}}}}}}}

파일:소련 국방부 휘장.svg 제2차 세계 대전 소련군 장성급 장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수
Маршал Советского Союза / Адмирал флота
육군
원수
클리멘트 보로실로프P | 세묜 부됸니 | 세묜 티모셴코 | 보리스 샤포시니코프 | 게오르기 주코프 | 알렉산드르 바실렙스키 | 이오시프 스탈린P | 이반 코네프 | 레오니트 고보로프 | 콘스탄틴 로코솝스키 | 로디온 말리놉스키 | 표도르 톨부힌 | 키릴 메레츠코프
NKVD
원수
라브렌티 베리야
해군
원수
니콜라이 쿠즈네초프 | 이반 이사코프
병과상원수
Главный маршал рода войск
육군
병과상원수
포병상원수
니콜라이 보로노프
공군
항공상원수
알렉산드르 노비코프 | 알렉산드르 골로바노프
병과원수
Маршал рода войск
육군
병과원수
포병원수
니콜라이 야코블레프
기갑원수
파벨 로트미스트로프 | 세묜 보그다노프 | 파벨 리발코 | 야코프 페도렌코
통신원수
이반 페레십킨
공병원수
미하일 보로비요프
공군
항공원수
그리고리 보로제이킨 | 세르게이 후댜코프
대장
Генерал армии
육군
대장
이반 튤레네프 | 드미트리 파블로프1 | 니콜라이 바투틴 | 알렉세이 안토노프 | 안드레이 예료멘코 | 바실리 소콜롭스키 | 안드레이 흐룰료프 | 이반 바그라먄 | 이반 체르냐홉스키 | 게오르기 자하로프 | 이반 마슬렌니코프 | 막심 푸르카예프 | 이반 페트로프 | 니콜라이 불가닌P | 마트베이 자하로프
상장
Генерал-полковник / Адмирал
육군
상장
미하일 키르포노스 | 야코프 체레비첸코 | 표도르 쿠즈네초프 | 필리프 골리코프P | 막스 레이테르 | 바실리 쿠즈네초프 | 파벨 쿠로치킨 | 바실리 고르도프 | 바실리 카자코프A | 키릴 모스칼렌코 | 안드레이 그레치코 | 세르게이 바렌초프A | 바실리 추이코프 | 니칸드르 치비소프 | 미트로판 네델린A | 미하일 카투코프T | 마르키안 포포프2 | 드미트리 렐류셴코 | 세르게이 비류조프 | 안드레이 즈다노프P | 파벨 바토프 | 니콜라이 크릴로프 | 이반 페듀닌스키 | 세르게이 시테멘코 | 이반 치스차코프 | 알렉산드르 고르바토프 | 알렉세이 프로실랴코프Sa | 안드레이 크라브첸코T | 테렌티 시티코프 | 드미트리 우스티노프 | 세묜 이바노프 | 이반 류드니코프 | 이사 플리예프 | 뱌체슬라프 츠베타예프 | 미하일 슈밀로프 | 니콜라이 나고르니A | 아파나시 벨로보로도프 | 니콜라이 푸호프
해군
상장
레프 갈레르 | 아르세니 골로프코 | 블라디미르 트리부츠 | 이반 유마셰프 | 가브릴 자시힌A | 필리프 옥탸브리스키 | 블라디미르 알라푸조프 | 고르데이 레브첸코
공군
항공상장
콘스탄틴 베르시닌 | 스테판 크라솝스키 | 세르게이 루덴코 | 블라디미르 수데츠 | 파벨 지가레프
중장
Генерал-лейтенант / Вице-адмирал
육군
중장
드미트리 랴비셰프 | 미하일 예프레모프 | 파벨 폴루보야로프T | 이반 자하르킨 | 안드레이 블라소프4 | 알렉산드르 로딤체프 | 바실리 글라주노프 | 표트르 코셰보이 | 알렉산드르 루친스키 | 레오니트 브레즈네프P | 미하일 글린스키 | 세묜 크리보셰인T | 안드레이 게트만T | 알렉세이 라지옙스키T | 표트르 이바슈틴 | 파벨 쿨레쇼프A | 니콜라이 비류코프 | 야쿠브 차니셰프 | 미하일 루킨
해군
중장
유리 판텔레예프 | 니콜라이 하를라모프 | 세르게이 고르시코프
공군
항공중장
예브게니 로기노프 | 예브게니 사비츠키
소장
Генерал-майор / Контр-адмирал
육군
소장
미하일 페트로프 | 파벨 바티츠키 | 표트르 라셴코 | 이반 야쿠봅스키 | 아마자습 바바자냔T | 이반 파블롭스키 | 이오시프 구사콥스키T | 그리고리 쿨리크3 | 콘스탄틴 카자코프A
해군
소장
블라디미르 카사토노프
공군
항공소장
필리프 아갈초프 | 게오르기 지민
P: 정치장교, A: 포병, T: 기갑, Si: 통신, Sa: 공병
※ 문서가 있는 인물만 종전 당시 계급으로 서술
※ 병과원수랑 병과상원수는 대장과 동급이나 의전서열상 대장과 원수 사이에 있었다
※ 포병·기갑·통신·공병·공군 장교는 상장→대장이 아닌 상장→병과원수로 진급
※ 윗 첨자 : 전사
1. 반공 및 지시불이행 혐의로 총살당했으나 전후 1957년 7월 31일 무죄로 판결나면서 복권
2. 1944년 4월 20일 대장에서 상장으로 강등, 전후 1953년 8월 3일 대장 계급 복권
3. 1942년 3월 17일 원수→소장으로 4계급 강등 및 1945년 7월 19일 중장→소장으로 강등
4. 1942년 7월 12일 독일군에게 생포당한 이후 나치 독일에 전향, 종전 후 체포되어 나치 부역 혐의로 사형됨
}}}}}}}}}


[1] 1879년생 이라는 설도 존재한다.[2] 1960년 모스크바 연방시에 편입되어 현재는 모스크바 연방시의 일부이다.[3] 1952년 19차 당 대회에서 서기장직을 폐지하고 '서기국 서기'로 남았다.[4] 일명 케케 겔라제.[5] 둘 모두 스탈린이 태어나기 전 어릴때 사망했다.[6] 일명 카토 스바니제.[7] 볼셰비키 계열 정치인이었던 표도르 세르게예프(Фёдор Сергеев, 1883–1921)의 아들로 표도르 세르게에프의 사후 스탈린의 양자로 들어갔다. 스탈린의 장남인 야코프 주가슈빌리와 같이 독소전쟁에 참전했고 수용소에 수감됐으나 사망한 야코프와 달리 본인은 탈출에 성공했다.[8] 일각에서는 스탈린이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에 러시아 정교회의 탄압을 중지한 것과 엮어서 스탈린이 전쟁의 승리를 기도하며 정교회 성당을 몰래 다녔다는 식의 출처가 불분명한 낭설을 퍼뜨리기도 하나, 러시아 정교회의 부활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의 러시아인들의 민족주의를 자극하기 위한 수단이었다는 게 정설이다. 스탈린 실제로 모스크바 총대주교를 다시 임명할 때 사도헌장을 고의로 무시한 채 세웠으며 정교회의 탄압을 완화한 뒤에도 즈나니예(Всесоюзное общество «Знание»)와 같은 무신론 단체를 지원해주기도 하였다.[9] 경우에 따라서는 에카테리네(ეკატერინე)로 표기하지만 본 문서에서는 조지아 국립 의회도서관의 관련 자료에 따라 에카테리나(ეკატერინა)로 표기한다. 관련 자료.[10] 러시아 제국의 비밀경찰.[11] 이전에 다툼이 있었는지 없었는지 그 주제가 무엇이였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12] 다만 본명 표기와는 별개로 일반적인 영어 이름은 Joseph Stalin이므로 참고.[13] 《크렘린의 수령들》에 따르면 레닌은 1915년 그리고리 지노비예프에게 보낸 자신의 서한에서 이런 질문을 했다. "코바의 성을 기억하시는지요?" 지노비예프는 모른다고 대답했다. 레닌은 그에 대해 재차 카르핀스키에게 묻고 있다. "부탁이 있습니다. 스티프코나 미하에게 코바의 성을 알아 봐 주십시오. 우리는 기억을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요시프 드주…뭐라고 했는데…"[14] 스탈린도 철이라는 뜻이라 좀더 영어식으로 바꾸면 "조셉 스틸"로 쓸 수 있다.[15] 스탈린은 이 편지를 죽을 때까지 자기 책상 서랍 안에 보관하고 있었고 그가 죽은 후에 발견되었다.[16] 출처: Медведев Александрович (메드베데프 알렉산드로비치). (Unknown Stalin) 참고로 부하린은 러시아 혁명에 동참한 혁명 영웅 중 하나다. 블라디미르 레닌과 설전을 벌일 정도로 수준 높은 마르크스주의자였고, 레닌의 유언장에 언급되는 차기 국가원수 후보자이기도 했다. 대숙청 말기에 누명을 쓰고 처형당했다. 이후 1988년 복권됐다.[17] 특히 스탈린의 경우에는 무소불위의 권력을 쥔 이후에도 어머니 앞에서는 꼼짝없는 순한 양이 되었다. 어머니가 스탈린에게 "네가 차르를 죽였느냐"라 질책하자, 스탈린은 그 자리에서 펄쩍 뛰더니 신학생 시절처럼 성호까지 그려가며 이를 부인하느라 진땀을 뺐다.[18] 스탈린이 최고통치자의 자리에 오른 이후로도 스탈린과 사이가 좋지 않아서 대숙청이 한창 진행되었을 때 재판을 직접 참관하면서 이런 재판이었으면 남편도 처형되었을 것이며 대놓고 쓴소리를 날리기도 했다. 그나마 레닌의 아내였기 때문에 시베리아로 추방당하거나 처형당하는 일은 없었지만 이러한 불편한 관계때문에 크룹스카야가 사망했을 때 스탈린이 독살했다는 음모론이 나돌기도 했다.[19] 순혈 러시아인이 아닌 러시아 제국 치하의 조지아 출신이기 때문에 모어가 러시아어가 아니라 억양이 없었으며 항상 조지아어 후음성이 나왔다고 한다.[20] 미하일 불가코프의 팬으로, 미하일 불가코프가 소련 당국을 비판하는 성향의 작가였음에도 어느정도 봐주어서 용케도 수용소로 보내지 않고, 극장에 취직시키고, 말년을 침대에 보낼 수 있게 했다. 다만 작품 여러개는 출판을 금지시키기는 했다.[21] 마부 사건이 스탈린 특유의 편집증 끝판왕인데, 스탈린은 처음에 누군지 모르겠다고 더 자세히 얘기해보라고 뜸을 들였다. 근데 사실 스탈린은 이 마부를 정확히 기억하고 있었다. 그런데 왜 뜸을 들였냐면은 이 마부가 처음에 스탈린이 태워달라고 했을 때 바로 안태워주고 개겼기 때문. 그래서 자기도 조금 뜸 들이다가 구해준 것이다.[22] 실제로 갱년기 성인 남성들은 이 시기 여성 호르몬이 많이 나오는 경향이 있는데 여성호르몬은 수염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여성이 수염이 안 나는 이유가 바로 이 여성 호르몬이 수염을 못 나게 억제하기 때문. 따라서 이 시기 중년 남성들은 수염 탈모에 걸리는 사례들이 있다.[23] 아이러니하게도 젊은 시절에는 "조지아 민족주의자"라는 비난 섞인 공격을 당 내에서 받은 적이 있었다. 실제 스탈린은 공산주의에 입문하기 이전에는 조지아 민족주의 성향이 강해 조지아 민족주의를 찬양하는 시를 짓기도 했다.[24] 비슷하게도 그의 정적이었던 트로츠키는 유대인 혈통이지만, 유대인으로서의 정체성은 전혀 가지지 않았다.[25] 주로 술리코 (სულიკო)라는 연가를 즐겨 불렀다고 전해진다. 스탈린의 애창곡이라는 연유에서 붉은 군대 합창단에서도 자주 불리웠으며,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불리기도 하였다.[26] 물론 대숙청 기간 중에 얄짤없어서 조지아에서도 수만명 가량이 죽거나 시베리아로 끌려갔다.(...)[27] 소련 도시민들이 방 여러개 있는 아파트에서 살게 된것이 1950년대 이후의 일이었고, 스탈린 당시에는 도시 지역에서 방 하나 정도를 배정받아 사는 것이 일반적으로 많은 경우에는 화장실과 욕실, 주방을 이웃집과 공유했다.[28] 이들 중 한 명은 블라디미르 푸틴 현 러시아 대통령의 할아버지였다.[29] 다만 말년에 그 주치의들을 감옥에 보내버렸고, 정작 이 때문에 쓰러졌을 때 응급처치에 실패해서 더 일찍 사망하는 계기가 되었다.[30] 스탈린은 서기장 시절을 제2차 세계 대전냉전으로 보냈다. 굳이 그의 의심병을 거론하지 않더라도, 그를 죽이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얼마나 많았을지 상상하기란 어렵지 않다.[31] 굳이 스탈린이 절대 권력을 가진 독재자였다는 점을 빼놓고 보더라도 당시 소련은 세계에서 가장 넓은 영토를 지닌 초강대국이었고 스탈린은 그런 소련을 통치해야 하는 사람이었다. 게다가 2차 세계 대전을 치르면서 스탈린은 소련의 승전을 위해 본인의 몸을 엄청나게 혹사시키면서 과로에 시달려야 했다. 권력이 분산되어 있는 21세기 민주주의 국가의 정부수반들도 국정 운영의 부담으로 임기 종료 후에는 폭삭 늙는 것을 감안하면, 20세기의 초강대국 소련의 절대 권력자 스탈린에게는 21세기 대다수의 민주주의 국가의 정부수반들을 뛰어넘는 상상도 할 수 없는 수준의 몸의 부담이 가해졌을 것이고, 이런 상황에서 스탈린이 정무를 더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라도 이 정도 수준의 업무 및 생활 지원은 필수적이었다. 사실 이 정도는 굳이 스탈린이 아닌 현대 민주주의 국가의 정부수반들 기준에서 봐도 상식적인 수준의 특권이기도 하다.[32] 냉전이 자유주의와 사회주의의 체제 대결이었다는 것을 감안하면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이유이기도 했다. 당시 소련인들이 스탈린의 독재와 공포정치에 학을 뗀 상태였고, 사회주의 국가 답게 평등을 요구하는 것이 당연한 일이었지만, 그렇다고 해서 자신들의 리더인 서기장이 미국의 대통령보다 못한 환경에서 사는 것을 쉽게 용인하지는 못했을 것이다.[33] 한 번은 측근들과 함께 모스크바 시내를 순방하던 중 길을 건너려던 노파를 도운 적이 있는데, 노파를 불쌍히 여긴 스탈린이 돈을 주려다가 자신을 포함한 측근 전원이 평소에 돈을 가지고 다니지 않아서 결국 주지 못한 일이 있었다.[34] 한번은 화려한 백색 대원수복을 입었는데 꼭 몰골이 웨이터 같다고 화를 내고 다시는 입지 않았으며 대원수가 아니라 그냥 원수 계급을 달았어야 했다고 후회했다고 한다.[35] Герцеговина Флор. 직역하면 '헤르체고비나의 꽃'이란 뜻이다. 이름과는 달리 제정 러시아 시절부터 모스크바에서 생산한 담배이다.[36] 파이프 담배를 피우는 사람들은 파이프가 망가질 것을 대비해 예비용 파이프를 몇 개 구비해 놓는다. 스탈린이 사치를 한게 아니라, 파이프 흡연자로서 당연한 행동을 한 것이다. 일례로 더글라스 맥아더의 트레이드 마크나 다름없는 '콘파이프' 또한 이런 경위를 거쳐 더글라스 맥아더를 상징하는 물건이 되었다.[37] 이와 비슷하게 에리트레아의 독재자 이사이아스 아페웨르키도 에리트레아를 북한도 능가한다는 말까지 들을 정도로 억압적인 독재국가로 만들었지만 정작 본인은 사치를 거부하며 청빈하게 살고 있다.[38] 다행히 바이바코프는 97세가 되는 2008년까지 살았다.[39] 엄밀히 말해서 히틀러의 경우, 연설 자체의 내용은 매우 단순했다. 그는 제스처, 말의 톤과 투, 특히나 무대설정이라는 연설 내용 외적인 요소를 이용해 청중의 감정적 자극을 이끄는데 능숙했다. 요즘 언어로 청중이 원하는 "사이다"적 발언과 메세지 내용을 전달하는 능력 및 개인의 카리스마로 청중을 선동하는 능력이 뛰어났던 것. 따라서 히틀러의 연설들은 이러한 연설 내용 외의 요소들을 배제한 상태로는 그다지 특기할 만한 것이 없고 오히려 말이 산만한 경우가 많다. 파시즘 진영에서는 히틀러보다도 베니토 무솔리니괴벨스가 연설 구성과 내용이 더 나았다.[40] 원래는 러시아 서남부 일대에 만들려고 했지만 현지인들의 반발이나 극동지역 개발을 고려해서 극동지역에다가 설치했다. 그러나 인구밀집 지역인 소련서부와 너무 멀리 떨어진데다 유대인들을 유대인 자치주로 강제이주를 내보낸 것도 아니었기 때문에 유대인들이 많이 오지 않았다. 그나마 있던 유대인들도 현대에는 대다수가 해외나 대도시로 이주한지라 말로만 유대인 자치주인 상황이다.[41] 실제 스탈린은 농원이 있었으나, 다차에 달린 조그마한 텃밭 정도로 소가 필요할 정도는 아니었다.[42] 스탈린: 독재자의 새로운 얼굴 32쪽, 올렉 V. 흘레브뉴크, 유나영 역, 삼인, 2017[43] 생애 항목에서 알 수 있듯 스탈린은 독실한 정교회 신자였던 모친 앞에서는 여전히 정교회 신앙을 유지하고 있는 것처럼 행동했다. 본인의 경험을 투영해서 한 조언인 것으로 보인다.[44] 이 때 묘의 이름도 레닌 스탈린 영묘로 바뀌었다가 1962년에 다시 레닌 영묘라는 이름을 되찾았다.[45] 스탈린 외에도 막심 고리키, 유리 가가린, 게오르기 주코프,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등 소련의 쟁쟁한 위인들이 다수 묻혀 있다.[46] 스탈린의 생가가 있던 자리이다.[47] 실제 소련의 인구복구는 1955년에 이루어졌다. 하지만 사회주도층의 성비는 1960년대까지도 여성이 우위로 1930년~40년대 초반생이 주류를 이루고 거기에 전후 베이비붐 세대들이 사회활동을 시작할 때가 되어서야 겨우 균형을 이룬다.[48] 2대 총선에서 친 이승만파의 의석이 210석 가운데 1/4 수준인 57석에 그쳤을 정도였다.[49] 문제는 전투 중 급박한 상황에서 이들이 무전기 너머로 내뱉는 러시아어가 UN군 측에도 감지되었고, 공중전 중에 전투기 콕핏안의 탑승자가 보일 정도로 접근했던 몇몇 미군 조종사들이 러시아인인 것 같다고 증언하여 미국 역시 소련 공군이 참전했다는 사실은 알게 된다. 그러나 미국 역시 소련과의 직접적인 대결은 원하지 않았기에 비밀로 처리하고 일부러 모른 척했다, 당시 대통령이였던 아이젠하워가 이를 비밀에 부치라고 말했을 정도.[50] 1928-1995. 정치장교이자 구소련 심리전부서의 책임자였으며 장성까지 승진했던 인물로, 후일에는 역사가로서 활약하였다. 만나본 사람의 평가에 의하면 꽤나 공산주의 사회의 고위층답지 않게 자유롭고 유연한 사상을 가졌다고 하며 나중엔 스스로도 공산주의를 비판하기도 했을 정도이다. 근데 이 사람은 아버지가 대숙청 때 숙청되었기 때문에 원래 공산주의를 좋게 볼 수 없는 사람이다.[51] 우리나라에도 비슷한 사례가 있는데 왕이 이러기도 했다. 또는 조선 태조가 개성에서 한양으로 도읍을 옮긴 뒤의 만찬에서 공신인 정도전, 조준 등게 함께 신나게 춤추며 놀았다는 기록도 있다. 용의눈물에서 잘 묘사된다.. 차이점이라면 꽐라가 되는 게 목표라서 왕과 주변 인물들은 춤은 커녕 몸겨누기도 힘들어 했다랄까.[52] 레드얼럿 1편의 소비에트 미션9 오프닝 컷신에서 이게 패러디되었다. 그라덴코 장군과 함께 보드카를 들이키며 화기애애하게 유배문서에 서명했지만 다음미션에서 쿠코프와 정부인 나디아에게 독살당했다.[53] 티토의 모국어였던 세르보크로아티아어로 된 편지이다. 러시아어 번역본은 다음과 같다. "Сталину: перестань подсылать мне убийц. Мы уже поймали пятерых, одного с бомбой, другого с винтовкой… Если не перестанешь присылать убийц, то я пришлю в Москву одного, и мне не придётся присылать второго."[54] 서비스는 애정 설을 "거부"한다고 밝혔다.[55] 퇴짜를 맞자 비서를 하나 더 불러서 했다는 설도 있다.[56] 나데즈다의 친모가 사실 스탈린의 연인이었고, 후에 이 사실을 안 나데즈다는 우울증에 걸려 자살했다는 설.[57] 생전은 물론 격하된 사후에도 이런 논란에 관한 기록 자체가 없고, 나데즈나 친딸 설은 스탈린과 나데즈다의 친부모가 처음 만났을 때 이미 나데즈다는 3살이었다는 것으로 쉽게 반박된다. 또한 살해 설은 나데즈다가 걸어다니는 종합병원에 스탈린과 성격차도 심해 스트레스가 쌓이다 우발적으로 그랬다는 게 정설이다. 페도필리아 설은 실제 스탈린의 외동딸 스베틀라나가 죽기 얼마 전부터 소년 소녀의 사진을 모았다는 증언과 그 이전에도 10대 여성들과 성관계를 여러번 가지기도 했고 두번째 아내는 그녀가 16세부터 사귀기 시작해서 2년 결혼한 걸 보면 일부 신빙성이 있다. 물론 당대의 시대상으로 봤을 때 특별히 이상한 것은 아니다.[58] 비슷하게도 동시대의 히틀러도 미대에는 진학하지 못 했지만 그린 그림을 팔아서 그럭저럭 먹고 살 수 있었고, 처칠은 피카소가 직접 이 사람이 화가를 했어도 꽤나 먹고 살았을거라는 평을 남겼을 정도로 뛰어난 그림 실력을 가진대다 1953년에는 노벨 문학상 까지 탔다.[59] 그러자 제임스는 자신이 굴라그에 갈 거라고 농담 했다.[60] 레닌은 음식에 대해서 크게 따지는 것이 없아서 주는대로 먹는 편이었고, 흐루쇼프는 토속적인 음식을 주로 즐겨먹었다한다.[61] 출처: 초원, 내 푸른 영혼/ 아나똘리 김 지음/ 김현택 번역/ 뿌쉬낀하우스[62] 니콜라이 2세의 전기를 써서 유명해졌는데 나중에 라진스키에게 자신이 알렉세이 황태자라거나 아나스탸샤 공주라고 주장하는 사기꾼들이 줄줄이 연락을 할 정도였다.[63] 스탈린 평전은 riss에서 서비스하고 있어서 정 읽고 싶다면 볼 수는 있다.[64] 책에 달린 해설에서 노경덕 교수는 흘레브뉵이 대숙청 수정주의적 관점을 받아들이지 않고, 다소 전통주의적으로 접근한 점과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스탈린의 역할을 무시한 점에 대해 비판을 했다. 흘레브뉵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스탈린의 실책만 잡아내기 급급하여, 파시스트의 침략을 무찌르고자 했던 소련인들의 의지를 스탈린이 어떻게 잘 이끌어냈는지를 전혀 보지 않았다는 것. 그러나 그와 동시에 노경덕 교수는 논리적 분석을 통한 스탈린의 키예프 암살론에 대한 반박과 스탈린의 인종청소 부분에 대한 반박 등을 흘레브뉵의 특징으로 뽑기도 했다.[65] 사실 올레크 흘레브뉵의 경우 러시아 학계에서 우익 성향을 대표하는 인물이기도 하다.[66] 로베르트 비페르는 그리스와 로마를 비롯한 서양 고대사를 주로 연구했으며, 예수의 역사적 실존을 부정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스탈린은 그의 저서 가운데 고대 그리스사를 다룬 것을 특히 좋아했다. 비페르는 마르크스주의와는 거리가 있었음에도 스탈린의 존경을 받은 덕분에 소련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이 되었으며 레닌 훈장까지 받았으며 이후 1954년에 95세의 나이로 천수를 다했다.[67] 역사학자로써 프랑스어권의 아프리카와 소련에 대해 연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참고로 1994년 7월 8일 김일성이 사망하기 전에 최후로 만난 외국인이기도 하다. 김일성 또한 마르텐스가 쓴 스탈린 전기에 대해 매우 좋게 평가했고, 그 책을 읽어보겠다고 했었다.[68] 1960년대에도 쓰탈린 거리라는 명칭을 사용했다.[출처1] 리처드 오버리 <독재자들>[출처2] Speech "The Elections in St. Petersburg" (January 1913)[출처3] Speech "The Elections in St. Petersburg" (January 1913)[출처4] The Memoirs of former Stalin's secretary (1992) by Boris Bazhanov[출처5] The Political Report of the Central Committee, The Fifteenth Congress of the C.P.S.U.(B.) (7 December 1927)[출처6] 1923년 카메네프, 지노비예프와 잡담 중. Trotsky's Diary in Exile, 1935, p. 64.[출처들] 1차 출처, 2차 출처 Churchill, Sir Winston. The Gathering Storm : The Second World War Vol.1. Houghton Mifflin, 1948(Houghton Mifflin Harcourt, 1986). p.121.[출처7] 출처: Felix Chuev's 140 Conversations with Molotov Moscow, 1991.[77] 후임자가 주도적으로 격하해서 소련 해체까지 소련흑역사로 남아있었으나, 세월이 흐른 현재의 러시아 연방에서는 그가 이끌었던 국가적 승리에 초점을 맞춘 긍정적인 평가가 우세해졌다.[78] 하지만 러시아 밖에서의 평가는 매우 나빠 히틀러와 마오쩌둥 급이다. 큰 업적을 이루었지만 엄청난 범죄로 인해 대부분의 쓰레기를 치우지 못했다.[출처8] Said in 1923, as quoted in The Memoirs of Stalin's Former Secretary (1992) by Boris Bazhanov[출처] 스탈린 강철권력 p.478~79[출처9] Truth about the Great Patriotic war by B. Sokolov (in Russian)[82] 출처10 Fallen Eagle: The Last Days of the Third Reich (1995) by Robin Cross, p. 21[출처11] 젊은 스탈린, 496p[84] 당시 소련군에 의한 강간 사건은 동부 유럽 140만 건, 베를린 60만 건이나 된다. # 심지어 여성 소련군이 젊은 남성 독일군을 강간한 일도 많았다. #[85] 그러나 이에 대한 근거는 티토 시기 반체제 운동을 한 밀로반 질라스의 62년 회고록뿐이고, 밀로반 질라스는 반공주의로 전향하여 56년에 투옥되기도 한 인물이므로 이것이 사실인지는 불분명하다. 질라스는 냉전 이후 미국 네오콘과의 인터뷰에서 공산주의는 19세기 유물이자 재앙이다.라고 말했을 정도의 극성 반공주의자로 변모한 인물이다. 또한 1945년 1월 19일자 스탈린의 이름으로 내린 명령에는 강간을 금지하는 조항과 이를 어길 시 총살할 수도 있다는 경고가 들어가 있기도 하다.# 이것이 이후 일어난 강간들에 대한 완벽한 반박이 될 수는 없다고 하더라도, 적어도 이러한 발언들이 맥락적으로 삭제되는 반면에, 밀로반 질라스의 일부 증언은 과하게 인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86] 이에 대해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 한정숙 교수는 소련의 최고지도자였던 스탈린은 나치와 독일 인민은 구분되어야 하며 인민은 생존해야 한다고 공언했고, 군에 전달된 스탈린의 명령 자체는 교전국 여성들에 대한 강간을 엄금하는 것이었다고 책에서 언급했으며, 그와 동시에 스탈린이 남성주의자여서 밀로반 질라스와 나눈 대화에서 원정군 군인들이 전시에 현지 여성들과 관계를 맺어 성적 욕구를 해소하는 것이 인지상정이라는 입장을 표명한 적도 있다고도 언급했다. 그러나 관련 각주에서 이 기록 자체가 스탈린 정권에 대해 대단히 비판적이었던 질라스의 회상에 바탕을 둔 것이기에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 필요도 없다고 언급했다. 한정숙 외 지음, 독일 통일과 여성 - 젠더 관점에서 조망한 독일의 분단과 재통일,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2, 26~27쪽.[87] 출처:굽시니스트-본격 제2차 세계대전 만화[출처12] Zaloga 2015: 94 Zaloga, Steven(2015), Armored Champion: The Top Tanks of World War II.[89] 나중에 대한민국BLACKPINK뮤직비디오에서 진짜로 스탈린이 살아있던 시절에 나온 소련 전차를 백화점마냥 꾸몄다.[출처13] The Coldest Winter, 데이비드 핼버스탬, p.532[출처14] 존 루이스 개디스, 냉전의 역사(2010)[92] 당시 북한군은 춘천 전투의 여파로 큰 타격을 받았고 작전 계획 자체가 틀어져 서울에서 3일 동안이나 진격을 멈춰야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