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d0000, #d40000 20%, #d40000 80%, #cd0000); color: #ffd700; min-height: 31px" {{{#!folding[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d700> 국가원수 | |||
| <rowcolor=#ffd700> 전러시아 중앙집행위원회 주석 | ||||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
| 레프 카메네프 | 야코프 스베르들로프 | 미하일 블라디미르스키 | 미하일 칼리닌 | |
| <rowcolor=#ffd700> 러시아 최고회의 주석 | 러시아 최고회의 상무회 주석 | |||
|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 안드레이 즈다노프 | 알렉세이 바다예프 | 이반 블라소프 | 니콜라이 슈베르니크 | |
| <rowcolor=#ffd700> 러시아 최고회의 상무회 주석 | ||||
| (제7대) |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
| 이반 블라소프 | 미하일 타라소프 | 니콜라이 이그나토프 | 니콜라이 오르가노프 | |
| <rowcolor=#ffd700> 러시아 최고회의 상무회 주석 | ||||
| (제10대) |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
| 니콜라이 이그나토프 | 미하일 야스노프 | 블라디미르 오를로프 | 비탈리 보로트니코프 | |
| <rowcolor=#ffd700> 러시아 최고회의 주석 | 러시아 공화국 대통령 | |||
| 제15대 | 초대 | |||
| 보리스 옐친 | 보리스 옐친 | |||
| <rowcolor=#ffd700> 정부수반 | ||||
| <rowcolor=#ffd700> 러시아 인민위원장 | ||||
| <rowcolor=#ffd700>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
| 블라디미르 레닌 | 알렉세이 리코프 | 세르게이 시르초프 | 다닐 술리모프 | |
| <rowcolor=#ffd700> 러시아 인민위원장 | ||||
|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 니콜라이 불가닌 | 바실리 바흐루셰프 | 이반 호흘로프 | 알렉세이 코시긴 | |
| <rowcolor=#ffd700> 러시아 장관회의 주석 | ||||
|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 미하일 로디오노프 | 보리스 체르누소프 | 알렉산드르 푸자노프 | 미하일 야스노프 | |
| <rowcolor=#ffd700> 러시아 장관회의 주석 | ||||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제16대 | |
| 프롤 코즐로프 | 드미트리 폴랸스키 | 겐나디 보로노프 | 미하일 솔로멘체프 | |
| <rowcolor=#ffd700> 러시아 장관회의 주석 | ||||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
| 보로트니코프 | 알렉산드르 블라소프 | 이반 실라예프 | 올레그 로보프 | |
| <rowcolor=#ffd700> 러시아 장관회의 주석 | ||||
| 제21대 | ||||
| 보리스 옐친 | ||||
| <rowcolor=#ffd700> 서기장 | ||||
| <rowcolor=#ffd700> 러시아 공산당 중앙위원회 제1서기 | ||||
| 초대 | 제2대 | |||
| 이반 폴로즈코프 | 발렌틴 쿠프초프 | }}} }}}}}} | ||
| <colbgcolor=#cd0000><colcolor=#ffe400,#ffe300> | |||
| | |||
| 본명 | 야코프 미하일로비치 스베르들로프 Я́ков Миха́йлович Свердло́в Yakov Mikhailovich Sverdlov | ||
| 출생 | 1885년 6월 3일[1] | ||
| 러시아 제국 니즈니노브고로드현 니즈니노브고로드 (現 러시아 볼가 연방관구 니즈니노브고로드주 니즈니노브고로드) | |||
| 사망 | 1919년 3월 16일 (향년 33세) | ||
| 러시아 SFSR 모스크바 (現 러시아 중앙 연방관구 모스크바) | |||
| 묘소 | 크렘린 벽 묘지 | ||
| 재임기간 | 제2대 중앙집행위원회 주석 | ||
| 1917년 11월 8일 ~ 1919년 3월 16일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cd0000><colcolor=#ffd700> 부모 | 아버지 미하일 스베르들로프 어머니 엘리자베타 스베르들로바 | |
| 배우자 | 클라브디야 스베르들로바 (재) | ||
| 자녀 | 장남 안드레이 장녀 베라 | ||
| 소속 정당 | [[소련 공산당|]] | }}}}}}}}} | |
1. 개요
러시아 제국과 러시아 SFSR의 정치인.2. 생애
야코프 미하일로비치 스베르들로프는 6월 3일에 니즈니노브고로드에서 다자녀를 둔 유대인 조각사이자 활판 인쇄소 소유주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야코브는 세 학급 학교를 졸업한 뒤 기숙학교에 진학했으나, 다섯 해 동안 무단결석과 성적 부진으로 퇴학당하고 약국 견습생으로 일하게 되었다. 1901년, 스베르들로프는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에 가입하여 본격적인 혁명 활동을 시작했다. 그는 불법 서적을 배포하고, 당비를 모금하며, 지하 인쇄소를 조직해 혁명 선전물을 제작했다. 1903년 사회민주노동당이 제2차 대회의 결의로 멘셰비키와 볼셰비키로 분열되자, 스베르들로프는 볼셰비키 편에 섰다. 이후 코스트로마, 카잔, 예카테린부르크 일대에서 선동 활동을 벌이며, 예카테린부르크 및 우랄당위원회 지도부로 부상했다. 이 과정에서 그는 수차례 체포와 추방을 겪었다.1912년 제6차(프라하) 전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회의 이후, 스베르들로프는 서면 결의로 중앙위원회에 공동선출되었으며, 이어 러시아국 중앙위원회 조직에도 합류했다. 스베르들로프는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제1차 헌법 제정위원회를 이끌었으며, 1918년에는 VTsIK 산하 선전강습소 설립을 주도했다. 또한 제1차 코민테른 대회 준비에 참여했으며, 레닌이 병환으로 불참할 때에는 소비에트 인민위원회 회의에 대신 출석하기도 했다.
1917년 4월, 스베르들로프는 중앙위원회에 의해 우랄 지역으로 파견되어 예카테린부르크에서 우랄 지방당대회를 주도했다. 그는 혁명 준비에 적극 참여했으며, 10월 혁명 직전 중앙위원회 회의에서 무장 봉기를 결의하도록 이끌었다. 이후 그는 무장봉기를 총괄하는 군사혁명센터 위원으로 선임되었다. 1917년 11월 21일, 블라디미르 레닌의 제안으로 스베르들로프는 전러시아중앙집행위원회 의장으로 선출되었으며, 동시에 중앙위원회 서기직도 유지했다. 그는 당 간부를 주요 요직에 배치하고 조직을 확장하는 데 핵심 역할을 담당했다.
스베르들로프는 10월 혁명 준비 과정에서 핵심 역할을 맡았으며, 그가 주재한 중앙위원회 회의에서 무장 봉기를 결의했고, 봉기를 총괄하는 군사혁명센터의 일원으로 선출되었다. 1917년 11월 21일, 그는 전러시아 중앙집행위원회 의장으로 선출되었고, 동시에 중앙위원회 서기직도 유지했다. 그는 당 간부들을 주요 직위에 배치하는 작업의 주도자였다. 그는 제헌의회 해산을 결의하고 실행하는 데 참여했으며, 제헌의회 의원이기도 했다. 스베르들로프는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 체결에 대한 인민위원평의회의 결정을 지지했고, 1918년 제정된 러시아 사회주의 연방 소비에트 공화국 헌법 제정위원회의 위원장을 맡았다. 1918년 7월 모스크바에서 발생한 좌익 사회주의혁명당 반란을 진압하는 데에도 관여했으며, 같은 해 7월 18일에는 우랄 지방 소비에트의 결정에 따른 로마노프 왕가의 몰살 사실을 중앙집행위원회에 공식 보고했다.
1918년 8월 30일 블라디미르 레닌이 암살 미수로 부상당하자, 스베르들로프는 당과 국가의 실질적 지도자가 되었으며, 그의 제안으로 적색 테러 시행에 관한 법령이 채택되었다. 또한, 그는 카자크 말살 정책의 주창자 중 한 명이기도 했다. 아마 그가 의문스럽게 사망하지 않았다면 소련의 서기장은 그가 되었을지도 모른다.
1919년 초, 그는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사회주의 소비에트 공화국 대회들에 참석했다. 우크라이나 순회 후 3월 6일 오를 집회에서 연설을 마친 뒤 병이 도졌고, 열흘 만인 3월 16일 급작스럽게 사망했다. 사후 소련에서는 그의 사망 원인이 스페인 독감이라 주장한다. 그의 장례는 3월 18일 모스크바 크렘린 성벽에 안장되었다.
3. 활동
4. 여담
- 가장 먼저 짚어야 할 점은, 스베르들로프에 대한 신뢰할 만한 정보가 의외로 많지 않다는 것이다. 그의 정확한 출생일, 부모의 직업, 심지어 본명조차 명확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에 따르면, 그의 아버지는 유대인 정착촌 어딘가 출신으로, 니즈니노브고로드로 건너와서 조각사 겸 인쇄공방을 개업했다고 한다. 그러나 당시 흑해 지역 출신 유대인이 ‘대러시아’로 이주하려면 길드 상인 계급에 속하거나 대학 교육을 받아야만 했는데, 스베르들로프의 아버지에게는 그런 기록이 전혀 남아 있지 않다. 아버지는 '모브샤 스베르들린'이라는 이름으로 등록되었다고 전해지지만, 그가 실제로 '미라임 가우흐만'이라는 이름을 썼다는 주장도 있다.
- 1935년 겐리흐 야고다의 명령으로, 스베르들로프 사망 당시 밀봉되었던 금고가 열렸다. 그 안에는 황실 금화 약 10만 8천 525루블어치, 구(舊)러시아 제국 지폐 70만 5천 루블어치, 고가 보석류, 그리고 여러 명의 여권 양식(러시아 제국과 독일 제국)과 스베르들로프 본인 인상기재가 담긴 여권 표본이 발견되었다. 이로 보아 그는 혁명이 패배할 경우 숨어 살기 위해 철저히 준비했음이 드러났다. 1935년 공개된 야고다의 보고서에 따르면, 스베르들로프는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위조 신분을 이미 확보해 두었던 듯하다.[3]
- 레프 트로츠키에 따르면 스베르들로프가 볼셰비키 스타일의 옷차림을 처음 도입했다. 검은 가죽 부츠, 검은 가죽 재킷, 검은 가죽 캡을 갖춰 입은 그는 머리부터 발끝까지 검은 가죽 갑옷 차림이었다고 전해진다. 이후 볼셰비키 간부들 사이에 이 복장이 유행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