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earfix]
※ 기준은 10년(11시즌) 이상 한 구단에 소속되었다가 은퇴한 경우이며 현역 선수는 등재하지 않는다.
1.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메이저 리그의 경우 구단주는 있으나 한/일 리그처럼 모기업이 망하지 않도록 받쳐주는 시스템이 아니고 구단주가 지원을 안 해주더라도 이익을 내며 운영을 해야한다. 이렇다보니 리빌딩을 해야하면 과감하게 하는데다가 트레이드가 KBO 리그나 NPB보다 활성화되어 있어 원 클럽 플레이어로 남기는 매우 힘든 편이다.[1]- 볼드체는 영구 결번 선수.
이름 | 클럽 | 포지션 | 입단 | 은퇴 | 명예의 전당 입성 여부 |
월터 존슨 | 워싱턴 세네터스 | 투수 | 1907 | 1927 | O |
빌 테리 | 뉴욕 자이언츠 | 1루수 | 1923 | 1936 | O |
루 게릭 | 뉴욕 양키스 | 1루수 | 1923 | 1939 | O |
테드 라이언스 | 시카고 화이트삭스 | 투수 | 1923 | 1946 | O |
찰리 게링거 | 디트로이트 타이거즈 | 2루수 | 1924 | 1942 | O |
멜 오트 | 뉴욕 자이언츠 | 우익수 | 1926 | 1947 | O |
칼 허벨 | 뉴욕 자이언츠 | 투수 | 1928 | 1943 | O |
빌 디키 | 뉴욕 양키스 | 포수 | 1928 | 1946 | O |
루크 애플링 | 시카고 화이트삭스 | 유격수 | 1930 | 1950 | O |
조 디마지오 | 뉴욕 양키스 | 중견수 | 1936 | 1951 | O |
밥 펠러 |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 투수 | 1936 | 1956 | O |
바비 도어 | 보스턴 레드삭스 | 2루수 | 1937 | 1951 | O |
테드 윌리엄스 | 보스턴 레드삭스 | 좌익수 | 1939 | 1960 | O |
밥 레몬 |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 투수 | 1941 | 1958 | O |
스탠 뮤지얼 |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 좌익수[2], 1루수[3] | 1941 | 1963 | O |
필 리주토 | 뉴욕 양키스 | 유격수 | 1941 | 1953 | O |
화이티 포드 | 뉴욕 양키스 | 투수 | 1950 | 1967 | O |
미키 맨틀 | 뉴욕 양키스 | 중견수 | 1951 | 1968 | O |
어니 뱅크스 | 시카고 컵스 | 유격수[4], 1루수[5] | 1953 | 1971 | O |
알 칼라인 | 디트로이트 타이거즈 | 우익수 | 1953 | 1974 | O |
샌디 코팩스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투수 | 1955 | 1966 | O |
브룩스 로빈슨 | 볼티모어 오리올스 | 3루수 | 1955 | 1977 | O |
로베르토 클레멘테 | 피츠버그 파이리츠 | 우익수 | 1955 | 1972 | O |
밥 깁슨 |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 투수 | 1959 | 1975 | O |
칼 야스트렘스키 | 보스턴 레드삭스 | 좌익수 | 1961 | 1983 | O |
윌리 스타젤 | 피츠버그 파이러츠 | 좌익수 | 1962 | 1982 | O |
토니 올리바 | 미네소타 트윈스 | 우익수 | 1962 | 1976 | O[A] |
짐 파머 | 볼티모어 오리올스 | 투수 | 1965 | 1984 | O |
로이 화이트 | 뉴욕 양키스 | 좌익수 | 1965 | 1979 | X |
자니 벤치 | 신시내티 레즈 | 포수 | 1967 | 1983 | O |
서먼 먼슨 | 뉴욕 양키스 | 포수 | 1969 | 1979 | X |
데이브 콘셉시온 | 신시내티 레즈 | 유격수 | 1970 | 1988 | X |
마이크 슈미트 | 필라델피아 필리스 | 3루수 | 1972 | 1989 | O |
스티브 로저스 | 몬트리올 엑스포스 | 투수 | 1973 | 1985 | X |
프랭크 화이트 | 캔자스시티 로열스 | 2루수 | 1973 | 1990 | X |
조지 브렛 | 캔자스시티 로열스 | 3루수 | 1973 | 1993 | O |
짐 라이스 | 보스턴 레드삭스 | 좌익수 | 1974 | 1989 | O |
로빈 욘트 | 밀워키 브루어스 | 유격수[7], 중견수[8] | 1974 | 1993 | O |
론 기드리 | 뉴욕 양키스 | 투수 | 1975 | 1988 | X |
존 워던 | 캔자스시티 로열스 | 포수 | 1976 | 1985 | X |
스캇 맥그레거 | 볼티모어 오리올스 | 투수 | 1976 | 1988 | X |
앨런 트래멀 | 디트로이트 타이거즈 | 유격수 | 1977 | 1996 | O[A] |
루 휘태커 | 디트로이트 타이거즈 | 2루수 | 1977 | 1995 | X |
마이크 소시아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포수 | 1980 | 1992 | X |
칼 립켄 주니어 | 볼티모어 오리올스 | 유격수 | 1981 | 2001 | O |
켄트 허벡 | 미네소타 트윈스 | 1루수 | 1981 | 1994 | X |
토니 그윈 |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 우익수 | 1982 | 2001 | O |
돈 매팅리 | 뉴욕 양키스 | 1루수 | 1982 | 1995 | X |
커비 퍼켓 | 미네소타 트윈스 | 중견수 | 1984 | 1995 | O |
빌 웨그먼 | 밀워키 브루어스 | 투수 | 1985 | 1995 | X |
배리 라킨 | 신시내티 레즈 | 유격수 | 1986 | 2004 | O |
에드가 마르티네즈 | 시애틀 매리너스 | 지명타자 | 1987 | 2004 | O |
크레이그 비지오 | 휴스턴 애스트로스 | 2루수 | 1988 | 2007 | O |
제프 배그웰 | 휴스턴 애스트로스 | 1루수 | 1991 | 2005 | O |
팀 샐먼 |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 우익수 | 1991 | 2006 | X |
버니 윌리엄스 | 뉴욕 양키스 | 중견수 | 1991 | 2006 | X |
치퍼 존스 |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 3루수 | 1993 | 2012 | O |
브래드 래드키 | 미네소타 트윈스 | 투수 | 1995 | 2006 | X |
호르헤 포사다 | 뉴욕 양키스 | 포수 | 1995 | 2011 | X |
마리아노 리베라 | 뉴욕 양키스 | 투수 | 1995 | 2013 | O |
데릭 지터 | 뉴욕 양키스 | 유격수 | 1995 | 2014 | O |
제이슨 배리텍 | 보스턴 레드삭스 | 포수 | 1997 | 2011 | X |
토드 헬튼 | 콜로라도 로키스 | 1루수 | 1997 | 2013 | O |
스캇 실즈 |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 투수 | 2001 | 2010 | X |
브랜든 웹 |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 투수 | 2003 | 2009 | X |
라이언 하워드 | 필라델피아 필리스 | 1루수 | 2004 | 2016 | X |
데이비드 라이트 | 뉴욕 메츠 | 3루수 | 2004 | 2018 | X |
조 마우어 | 미네소타 트윈스 | 포수 | 2004 | 2018 | O |
야디에르 몰리나 |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 포수 | 2004 | 2022 | X |
맷 케인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투수 | 2005 | 2017 | X |
라이언 짐머맨 | 워싱턴 내셔널스 | 3루수 | 2005 | 2021 | X |
애덤 웨인라이트 |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 투수 | 2005 | 2023 | X |
안드레 이디어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우익수 | 2006 | 2017[10] | X |
글렌 퍼킨스 | 미네소타 트윈스 | 투수 | 2006 | 2017 | X |
더스틴 페드로이아 | 보스턴 레드삭스 | 2루수 | 2007 | 2020 | X |
알렉스 고든 | 캔자스시티 로열스 | 좌익수 | 2007 | 2020 | X |
라이언 브론 | 밀워키 브루어스 | 좌익수 | 2007 | 2020[11] | X |
조이 보토 | 신시내티 레즈 | 1루수 | 2007 | 2023[12] | X |
존 댕크스 | 시카고 화이트삭스 | 투수 | 2007 | 2016 | X |
브렛 가드너 | 뉴욕 양키스 | 좌익수 | 2008 | 2021 | X |
버스터 포지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포수 | 2009 | 2021 | X |
카일 시거 | 시애틀 매리너스 | 3루수 | 2011 | 2021 | X |
찰리 블랙몬 | 콜로라도 로키스 | 우익수 | 2011 | 2024 | X |
2. KBO 리그
한국 야구는 모기업들이 이미지 개선 및 홍보를 위해 티켓값을 메이저보다 적게 책정하는데다가 매년 적자 사업이어도 그 효과가 좋아서 모기업이 망하지 않는 이상 주전급 트레이드보다는 백업 트레이드가 활성화 되어있다. 이렇다보니 미국처럼 이적은 하더라도 가장 기록이 좋고 가장 오래 활약한 구단서 은퇴하고 영구결번을 받는 시스템이 아니라 원클럽맨은 기본으로 하고 레전드급 성적을 찍어야 영구결번을 받는다. 최근에는 FA를 통해서 이적률이 높아지긴 하였으나 아직도 구단에서는 젊은 에이스 선수들이 은퇴할때까지 좋은 대접을 해준다.- 프로 이전 실업리그에서 뛰었거나, 군복무를 위해 상무/경찰청에서 뛴 경우, 또는 현역이나 사회복무요원으로 복무한 경우도 포함시킨다.
- 볼드체로 적힌 선수는 해당 팀 영구결번 선수.
이름 | 클럽 | 입단 | 은퇴 | 비고 |
박상열 | OB 베어스 | 1982 | 1988 | 기업은행(1975~1976, 실업)-포항제철(1980~1981, 실업) |
윤동균 | OB 베어스 | 1982 | 1989 | 기업은행(1979~1977, 실업)-포항제철(1978~1981, 실업) [13] |
황태환 | OB 베어스 | 1982 | 1989 | 철도청(1973, 실업)-육군(1974~1975, 군복무)-철도청(1976, 실업)-한국전력(1981, 실업) |
계형철 | OB 베어스 | 1982 | 1991 | 롯데(1976, 실업)-성무(1977~1979, 실업)-롯데(1980~1981, 실업) |
장호연 | OB 베어스 | 1983 | 1995 | |
김태형 | OB 베어스-두산 베어스 | 1990 | 2001 | |
이종민 | OB 베어스-두산 베어스 | 1991 | 2002 | |
장원진 | OB 베어스-두산 베어스 | 1992 | 2008 | |
한태균 | OB 베어스-두산 베어스 | 1994 | 2003 | 로컬 보이 |
문희성 | OB 베어스-두산 베어스 | 1995 | 2006 | |
이경필 | OB 베어스-두산 베어스 | 1997 | 2007 | 로컬 보이 |
김동주 | OB 베어스-두산 베어스 | 1998 | 2014 | |
고영민 | 두산 베어스 | 2002 | 2016 | |
김재호 | 두산 베어스 | 2004 | 2024 | 로컬 보이[14] |
| 두산 베어스 | 2007 | 2022 | 로컬 보이 |
진야곱 | 두산 베어스 | 2008 | 2017 | |
성영훈 | 두산 베어스 | 2009 | 2018 | 로컬 보이 |
유희관 | 두산 베어스 | 2009 | 2022 | 로컬 보이 |
박소준 | 두산 베어스 | 2013 | 2024 |
이름 | 클럽 | 입단 | 은퇴 | 비고 |
김봉연 | 해태 타이거즈 | 1982 | 1988 | 한국화장품(1979~1981, 실업) 로컬 보이 |
김준환 | 해태 타이거즈 | 1982 | 1989 | 상업은행(1973~1975, 실업)-육군(1976~1978, 군복무)-상업은행(1979~1981, 실업) 로컬 보이 |
김종모 | 해태 타이거즈 | 1982 | 1992 | 제일은행(1981, 실업) 로컬 보이 |
김성한 | 해태 타이거즈 | 1982 | 1995 | 로컬 보이 |
문희수 | 해태 타이거즈 | 1984 | 1995 | 로컬 보이 |
이호성 | 해태 타이거즈-KIA 타이거즈 | 1990 | 2001 | 로컬 보이[15] |
김종국 | 해태 타이거즈-KIA 타이거즈 | 1996 | 2010 | 로컬 보이 |
유동훈 | 해태 타이거즈-KIA 타이거즈 | 1999 | 2014 | |
홍세완 | 해태 타이거즈-KIA 타이거즈 | 2000 | 2010 | |
김상훈 | 해태 타이거즈-KIA 타이거즈 | 2000 | 2014 | 로컬 보이 |
김주형 | KIA 타이거즈 | 2004 | 2019 | 로컬 보이 |
곽정철 | KIA 타이거즈 | 2005 | 2018 | 로컬 보이 |
박경태 | KIA 타이거즈 | 2006 | 2019 | |
손영민 | KIA 타이거즈 | 2006 | 2018 | |
나지완 | KIA 타이거즈 | 2008 | 2022 | [16] |
이름 | 클럽 | 입단 | 은퇴 | 비고 |
이만수 | 삼성 라이온즈 | 1982 | 1997 | 로컬 보이 |
장태수 | 삼성 라이온즈 | 1982 | 1992 | 상업은행(실업) 로컬 보이 |
박승호 | 삼성 라이온즈 | 1983 | 1993 | 롯데(1980, 실업)-성무(1981~1982, 실업) 로컬 보이 |
류중일 | 삼성 라이온즈 | 1987 | 1999 | 로컬 보이 |
김한수 | 삼성 라이온즈 | 1994 | 2007 | |
김재걸 | 삼성 라이온즈 | 1995 | 2009 | |
전병호 | 삼성 라이온즈 | 1996 | 2008 | |
김진웅 | 삼성 라이온즈 | 1998 | 2010 | 로컬 보이 |
권오준 | 삼성 라이온즈 | 1999 | 2020 | |
박한이 | 삼성 라이온즈 | 2001 | 2019 | |
안지만 | 삼성 라이온즈 | 2002 | 2016 | 로컬 보이[17] |
조동찬 | 삼성 라이온즈 | 2002 | 2018 | |
강명구 | 삼성 라이온즈 | 2003 | 2014 | |
윤성환 | 삼성 라이온즈 | 2004 | 2020 | [18] |
김기태 | 삼성 라이온즈 | 2006 | 2018 | |
임현준 | 삼성 라이온즈 | 2011 | 2021 | 로컬 보이 |
홍정우 | 삼성 라이온즈 | 2015 | 2024 |
이름 | 클럽 | 입단 | 은퇴 | 비고 |
김용희 | 롯데 자이언츠 | 1982 | 1989 | 포항제철(1977~1981, 실업) 로컬 보이 |
노상수 | 롯데 자이언츠 | 1982 | 1991 | 농협(실업) 로컬 보이 |
박영태 | 롯데 자이언츠 | 1983 | 1992 | 로컬 보이 |
유두열 | 롯데 자이언츠 | 1983 | 1992 | 한국전력(실업) 로컬 보이 |
한문연 | 롯데 자이언츠 | 1983 | 1992 | 로컬 보이 |
조성옥 | 롯데 자이언츠 | 1984 | 1995 | 로컬 보이 |
김민호 | 롯데 자이언츠 | 1984 | 1996 | 로컬 보이 |
한영준 | 롯데 자이언츠 | 1985 | 1996 | 로컬 보이 |
윤학길 | 롯데 자이언츠 | 1986 | 1997 | 로컬 보이 |
김응국 | 롯데 자이언츠 | 1988 | 2003 | |
공필성 | 롯데 자이언츠 | 1990 | 2000 | |
박정태 | 롯데 자이언츠 | 1991 | 2004 | 로컬 보이 |
염종석 | 롯데 자이언츠 | 1992 | 2008 | 로컬 보이 |
주형광 | 롯데 자이언츠 | 1994 | 2007 | 로컬 보이 |
박현승 | 롯데 자이언츠 | 1995 | 2009 | 로컬 보이 |
조성환 | 롯데 자이언츠 | 1999 | 2014 | |
박종윤 | 롯데 자이언츠 | 2001 | 2017 | |
이우민[19] | 롯데 자이언츠 | 2001 | 2017 | 로컬 보이 |
문규현[20] | 롯데 자이언츠 | 2002 | 2019 | |
이명우 | 롯데 자이언츠 | 2002 | 2018 | 로컬 보이 |
이인구 | 롯데 자이언츠 | 2003 | 2013 | |
정보명 | 롯데 자이언츠 | 2003 | 2013 | |
조정훈 | 롯데 자이언츠 | 2005 | 2018 | |
나승현 | 롯데 자이언츠 | 2006 | 2015 | |
배장호 | 롯데 자이언츠 | 2006 | 2020 | |
손용석 | 롯데 자이언츠 | 2006 | 2017 | 로컬 보이 |
김대우 | 롯데 자이언츠 | 2008 | 2022 | |
진명호 | 롯데 자이언츠 | 2009 | 2022 | |
이인복 | 롯데 자이언츠 | 2014 | 2024 | |
강태율 | 롯데 자이언츠 | 2015 | 2024 | 로컬 보이 |
이름 | 클럽 | 입단 | 은퇴 | 비고 |
김용수 | MBC 청룡-LG 트윈스 | 1985 | 2000 | 한일은행(1983~1984, 실업) 로컬 보이 |
김태원 | MBC 청룡-LG 트윈스 | 1986 | 1998 | 로컬 보이 |
이종열 | LG 트윈스 | 1991 | 2009 | |
차명석 | LG 트윈스 | 1992 | 2001 | 로컬 보이 |
김정민 | LG 트윈스 | 1993 | 2010 | 2006년 은퇴 후 2008년 복귀, 2010년 재은퇴 |
류지현 | LG 트윈스 | 1994 | 2004 | 로컬 보이[21] |
서용빈 | LG 트윈스 | 1994 | 2006 | |
김민기 | LG 트윈스 | 1997 | 2010 | 로컬 보이 |
김광삼 | LG 트윈스 | 1999 | 2016 | |
경헌호 | LG 트윈스 | 2000 | 2012 | 로컬 보이 |
이동현 | LG 트윈스 | 2001 | 2019 | |
박용택 | LG 트윈스 | 2002 | 2020[22] | 로컬 보이 |
서승화 | LG 트윈스 | 2002 | 2011 | |
윤진호 | LG 트윈스 | 2009 | 2019 | |
정주현 | LG 트윈스 | 2009 | 2023 | |
이천웅 | LG 트윈스 | 2011 | 2023 |
이름 | 클럽 | 입단 | 은퇴 | 비고 |
전대영 | 빙그레 이글스-한화 이글스 | 1985 | 1994 | 로컬 보이 |
강정길 | 빙그레 이글스-한화 이글스 | 1986 | 1995 | |
이강돈 | 빙그레 이글스-한화 이글스 | 1986 | 1997 | [23] |
이상군 | 빙그레 이글스-한화 이글스 | 1986 | 2001 | 로컬 보이 |
장종훈 | 빙그레 이글스-한화 이글스 | 1986 | 2005 | 로컬 보이 |
한용덕 | 빙그레 이글스-한화 이글스 | 1987 | 2004 | |
강석천 | 빙그레 이글스-한화 이글스 | 1989 | 2003 | 로컬 보이 |
송진우 | 빙그레 이글스-한화 이글스 | 1989 | 2009 | 세일통상(1988, 실업) 로컬 보이[24] |
이영우 | 한화 이글스 | 1996 | 2010 | |
김해님 | 한화 이글스 | 1997 | 2007 | |
백재호 | 한화 이글스 | 1997 | 2007 | |
신경현 | 한화 이글스 | 1998 | 2013 | |
박정진 | 한화 이글스 | 1999 | 2018 | 로컬 보이 |
윤규진 | 한화 이글스 | 2003 | 2020 | 로컬 보이 |
이양기 | 한화 이글스 | 2003 | 2017 | |
한상훈 | 한화 이글스 | 2003 | 2015 | |
고동진 | 한화 이글스 | 2004 | 2016 | 로컬 보이 |
박노민 | 한화 이글스 | 2004 | 2016 | 로컬 보이 |
송창식 | 한화 이글스 | 2004 | 2020 | 로컬 보이 |
최진행 | 한화 이글스 | 2004 | 2020 | |
송광민 | 한화 이글스 | 2006 | 2020 | 로컬 보이 |
김혁민 | 한화 이글스 | 2007 | 2018 | |
김회성 | 한화 이글스 | 2008 | 2020 | 로컬 보이 |
<rowcolor=#fab93d> 이름 | 클럽 | 입단 | 은퇴 | 비고 |
김동기 | 청보 핀토스-태평양 돌핀스-현대 유니콘스 | 1986 | 1996 | 로컬 보이 |
정명원 | 태평양 돌핀스-현대 유니콘스 | 1989 | 2000 | |
염경엽 | 태평양 돌핀스-현대 유니콘스 | 1991 | 2000 |
이름 | 클럽 | 입단 | 은퇴 | 비고 |
엄정욱 | SK 와이번스 | 2000 | 2015 | [B] |
조동화 | SK 와이번스 | 2000 | 2018 | |
채병용 | SK 와이번스 | 2001 | 2019 | |
박재상 | SK 와이번스 | 2001 | 2017 | |
제춘모 | SK 와이번스 | 2002 | 2014 | |
박정권 | SK 와이번스 | 2004 | 2019 | [B] |
윤희상 | SK 와이번스 | 2004 | 2020 | |
김재현 | SK 와이번스 | 2006 | 2020 | |
박희수 | SK 와이번스 | 2006 | 2020 | |
김태훈 | SK 와이번스-SSG 랜더스 | 2009 | 2023 | |
박민호 | SK 와이번스-SSG 랜더스 | 2014 | 2024 | 로컬 보이 |
이름 | 클럽 | 입단 | 은퇴 | 비고 |
김지수 | 서울-넥센-키움 히어로즈 | 2009 | 2019 | 로컬 보이 |
이름 | 클럽 | 입단 | 은퇴 | 비고 |
손정욱 | NC 다이노스 | 2013 | 2022 | [27] |
이름 | 클럽 | 입단 | 은퇴 | 비고 |
김병희 | kt wiz | 2014 | 2023 | [28] |
2.1. 해외 리그를 경험한 선수
이름 | 클럽 | 입단 | 은퇴 | 비고 |
박철순 | OB 베어스-두산 베어스 | 1982 | 1997 | MiLB 1980~1981 |
선동열 | 해태 타이거즈-KIA 타이거즈 | 1985 | 1995 | 로컬 보이, NPB 1996~1999 |
정민철 | 빙그레 이글스-한화 이글스 | 1992 | 2009 | 로컬 보이, NPB 2000~2001 |
구대성 | 빙그레 이글스-한화 이글스 | 1993 | 2010 | 로컬 보이, NPB 2001~2004, MLB 2005, ABL 2010~2015, 2019 |
이종범 | 해태 타이거즈-KIA 타이거즈 | 1993 | 2012 | 로컬 보이, NPB 1998~2001 |
이승엽 | 삼성 라이온즈 | 1995 | 2017 | 로컬 보이, NPB 2004~2011 |
이병규 | LG 트윈스 | 1997 | 2016 | NPB 2007~2009 |
김태균 | 한화 이글스 | 2001 | 2020[29] | 로컬 보이, NPB 2010~2011 |
이대호 | 롯데 자이언츠 | 2001 | 2022 | 로컬 보이, NPB 2012~2015, MLB 2016 |
윤석민 | KIA 타이거즈 | 2005 | 2019 | MiLB 2014 |
봉중근 | LG 트윈스 | 2007 | 2018 | 로컬 보이, MLB 2002~2004 |
송승준 | 롯데 자이언츠 | 2007 | 2021 | 로컬 보이, MiLB 1999~2006 |
3. 일본프로야구
- 볼드체는 영구결번
3.1. 해외리그를 경험한 선수
이름 | 클럽 | 포지션 | 입단 | 은퇴 | 비고 |
카쿠 겐지 | 주니치 드래곤즈 | 투수 | 1981년 | 1999년 | CPBL 1997~1999 대만에서 일본으로 귀화 |
구로다 히로키 | 히로시마 도요 카프 | 투수 | 1997년 | 2016년 | MLB 2008~2014 |
아오키 노리치카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 외야수 | 2004년 | 2024년 | MLB 2012~2017 |
4. 원 클럽 플레이어에 준하는 선수
- 김원형 : 1991년부터 1999년까지 총 9시즌을 쌍방울 레이더스에서 뛰고 쌍방울이 해체된 뒤 선수단만 인수한 SK 와이번스에서 2011년까지 총 12시즌을 뛰었다. 이후 SK에서 은퇴식까지 치렀다. 아래의 오주원, 이숭용처럼 사실상 원 클럽 플레이어다.
- 오주원: 2004년부터 2007년까지 현대 유니콘스에서 뛴 후, 팀 해체 후 선수단을 승계한 히어로즈에서 2008년부터 2021년까지 총 13시즌 동안 선수생활을 하였다. 이숭용처럼 자의적으로 팀을 옮긴 것이 아니라 해체 후 선수단만 인수한 팀으로 옮긴 것이기 때문에 사실상 원 클럽 플레이어로 쳐도 무방하다.
- 이숭용: 1994년부터 2007년까지 총 14시즌을 태평양 돌핀스-현대 유니콘스에서 뛰다가 팀이 해체된 뒤, 선수단만을 인수한 우리-서울-넥센 히어로즈에서 2011년까지 뛰었다. 공식적으로는 현대와 히어로즈가 별개의 팀이라 원 클럽 플레이어는 아니지만, 특수성을 감안해서 KBO에서는 공식 보도자료를 통해 사실상 원 클럽 플레이어로 대우하고 있다.
- 정현석: 한화 이글스에서 2007년부터 2017년까지 11시즌(경찰 야구단 복무 기간 포함)동안 선수생활을 했다. 2015 시즌을 앞두고 배영수의 FA 보상으로 삼성 라이온즈에 이적했다가 하루만에 현금 트레이드 형식으로 한화 이글스로 리턴했다. 그래서 단 2일 동안이나마 삼성 소속이었던 적이 있긴 하지만 경찰 야구단 복무를 제외하면 사실상 한화에서만 선수생활을 했다.
[1] 단, 대부분의 MLB 원 클럽 플레이어들은 명예의 전당에 입성했다. 애초에 성적이 변변찮은 선수는 웬만해서는 다른 팀으로 트레이드되는데, 원 클럽 맨이라는 것은 선수 생활 동안 단 한 번도 폭망하거나 하는 시즌이 없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며 팀에서 최고참 왕고이기 때문이다.[2] 외야수로 1890경기 출장, 좌익수 929경기, 우익수 783경기, 중견수 331경기 출장으로 사실상 외야 전 포지션이 가능했다.[3] 1016경기 출장.[4] 1125경기 출장, 22세~30세[5] 1259경기 출장, 31~40세[A] 베테랑 위원회를 통해 입성했다.[7] 1479경기 출장[8] 외야 1218경기 중 1150경기 출장[A] [10] 선수생활은 2017년까지 했으나 공식 은퇴발표는 2018년에 했다.[11] 선수생활은 2020년까지 했으나 공식 은퇴발표는 2021년에 했다.[12] 선수생활은 2023년까지 했으나 공식 은퇴발표는 2024년에 했다.[13] KBO 역사상 유일한 영구결번 해제 선수[14] 역대 최장 기간 OB-두산 베어스 소속 선수.[15] 이호성 살인 사건으로 인해 언급이 꺼려지는 케이스.[16] 광주 출신이라고 아는 팬들이 꽤 많은데 사실은 서울 출신이다. 아버지 고향이 광주라는 것 외엔 본래 별다른 접점이 없었다고. 이 때문에 로컬 보이에 들어가지 않는다.[17] 불법 도박, 불법도박사이트 개설 혐의로 프랜차이즈 스타 대우는 불가능함.[18] 승부조작, 불법 도박 혐의 등으로 이미지가 실추되어 구단이나 팬들로부터 언급이 꺼려지는 케이스다.[19] 개명 전 이승화[20] 개명 전 문재화[21] 은퇴 이후에도 미국 연수를 다녀온 2007~2008년을 제외하고 2005년부터 2022년까지 코치와 감독으로 활동했다. 근속연수로 치면 무려 26년.[22] 선수 은퇴는 2020년 선언하였고, 2022년 은퇴경기를 가졌다.[23] 삼성의 1차 지명을 받았으나 지명권 양도로 빙그레에 입단하였다.[24] 은퇴 이후에도 2015~2016년을 제외하고 2020년까지 한화에서 코치로 활동하면서 한 구단에서 무려 28년을 재직했다.[B] 쌍방울 레이더스의 지명을 받았으나 지명권을 보유한 쌍방울이 해체되고 선수단만 인수해서 재창단한 SK로 프로 지명권이 양도되어 SK에 입단하였다.[B] [27] NC 다이노스 내에서 최초로 원 클럽 플레이어로 은퇴한 선수이다.[28] kt wiz 내에서 최초로 원 클럽 플레이어로 은퇴한 선수이다.[29] 2020년 은퇴 선언 후 2021년 은퇴 경기를 가졌다.[30] 1946년, 1950년부터 1956년까지 선수 겸 감독이었다.[31] 1943년부터 1945년까지 태평양 전쟁 참전으로 인해 활동하지 않았다.[32] 1955년, 1957~1958년은 플레잉코치.[33] 1945년은 전쟁으로 인해 활동하지 못했다.[34] 선수 겸 감독.[35] 1969년은 플레잉코치.[36] 1961년부터 1966년까지는 플레잉코치였다.[37] 1966년부터 1969년까지는 플레잉코치로 활동하였다.[38] 1972년부터 1974년까지는 플레잉코치였다.[39] 은퇴경기는 1973년에 치렀다.[40] 감독 1기(1970~1972)는 선수 겸 감독.[41] 1980년은 플레잉코치. 1군 기록이 없다.[42] 1976년부터 1980년까지는 플레잉코치였다.[43] 1984년부터 1987년까지 플레잉코치로 활동하였다.[44] NPB 역사상 최초의 감독 영구결번[45] 1984년부터 1986년까지는 플레잉코치로 활동하였다.[46] 1989년은 플레잉코치[47] 2002년부터 2003년까지는 플레잉코치로 활동하였다.[48] 은퇴 경기는 2016년 치렀다.[49] 2018년부터 2019년까지는 플레잉코치로 활동하였다.[50] 은퇴 경기는 2019년 치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