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3 20:12:11

노상수

노상수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041e42>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롯데 자이언츠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ed1c24> 1982~1983 1984~1987 1988~1990 1991 1992~1993
노상수 최동원 윤학길 박동희 윤학길
1994 1995~1996 <rowcolor=#000> 1997 1998~2000 2001
강상수 주형광 강상수 주형광 기론
<rowcolor=#fff> 2002 2003 2004 2005 2006
문동환 김장현 이상목 염종석 이상목
<rowcolor=#fff> 2007~2008 2009 2010 2011 2012~2014
손민한 송승준 사도스키 코리 송승준
<rowcolor=#fff> 2015 2016 2017 2018 2019
레일리 린드블럼 레일리 듀브론트 레일리
<rowcolor=#fff> 2020~2021 2022 2023 2024
스트레일리 반즈 스트레일리 윌커슨
}}}}}}}}} ||


노상수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12번
팀 창단 <colbgcolor=#fffff0> 노상수
(1982~1983)
김한조
(1984~1985)
김한조
(1984~1985)
노상수
(1986~1991)
강성우
(1992~2000)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81번
결번 노상수
(1994)
결번
결번 노상수
(1996~1999)
결번
결번 노상수
(2002~2004)
이철성
(2005)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80번
에레라
(2002)
노상수
(2006~2008)
양승호
(2011~2012)
}}} ||
}}} ||
파일:노상수 코치.jpg
노상수
盧相守 | No Sang-Soo
출생 1958년 5월 5일 ([age(1958-05-05)]세)
경상남도 밀양시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삼랑진초 - 동성중 - 부산상고 - 고려대
포지션 투수
투타 우언우타
프로 입단 1982년 롯데 자이언츠 창단 멤버
소속팀 농협 야구단
롯데 자이언츠 (1982~1991)
지도자 롯데 자이언츠 2군 투수코치 (1992)
롯데 자이언츠 1군 투수코치 (1993)
롯데 자이언츠 2군 투수코치 (1994, 1996~1999, 2002~2004, 2006)[1]
롯데 자이언츠 1군 투수코치 (2006)[2]
롯데 자이언츠 2군 투수코치 (2007~2008)
개성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2012~2015)
부산개성중학교 야구부 코치 (2016~)

1. 개요2. 선수 경력3. 지도자 경력4. 연도별 주요 성적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前 야구 선수이자 現 부산개성중학교 야구부 코치.

2. 선수 경력

파일:롯데 노상수.jpg

고려대학교를 졸업하고 롯데 자이언츠의 원년 멤버로 프로에 입단해 232.1이닝으로 최다 이닝 투구, 탈삼진왕을 기록하는 등 롯데의 우완 언더핸드 스로 에이스였으나 1983 시즌현역으로 입대1985년에 제대한 뒤로는 이렇다할 활약을 보여주지 못하고 1991 시즌을 마지막으로 은퇴했다.[3] 현역 시절 등번호는 12번이었다.

그는 최동원 입단 이전 원년 롯데의 에이스였다. 1982년 3월 28일 구덕 야구장에서 열렸던 롯데 자이언츠의 프로야구 첫 경기인 해태 타이거즈 전에 선발로 등판해 6이닝 1실점으로 롯데의 첫 승리 투수가 되었고[4] 원년 최다 이닝 및 최다 탈삼진 등의 기록을 세웠다.[5] 다만 프로 원년 롯데의 전력이 변변찮았던 탓에[6] 시즌 19패를 당하며 다패왕의 오명도 같이 쓰고 말았다.[7] 1983년에는 국가대표 에이스 최동원의 입단으로 에이스 자리는 내주었지만, 2선발로 역시 팀의 핵심으로 활약하였다. 하지만 1982~1983년 두 해 동안 402이닝이나 던졌는데, 최동원에 가려졌을 뿐이지 명백한 혹사였다.[8] 때문에 롯데의 에이스 혹사 계보 중 최상단에 위치한 선수로 볼 수 있다.

그의 커리어에 영향을 미친 또 다른 문제는 병역이었다. 병역을 현역 일반병으로 마치면서 선수 생활에 공백기가 생긴 것도 컸다. 프로 선수의 군팀 입대가 불가능할 뿐더러 복무한 기간도 30개월로 길었고 또 선수 수명이 2020년대보다도 짧았던 1980년대 당시에 현역 입대는 선수 생활 사실상 끝을 의미했기 때문이다.[9]

원년 이후에는 두각을 나타내지 못했고, 이듬해 입단한 최동원이 롯데의 에이스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다. 언더핸드 투수로 원년 당시 리그 내 상위권의 활약을 보였음을 생각한다면 한희민 이전 프로야구의 언더핸드 에이스로 봐도 될 법한 수준. 원년 이후에도 활약을 펼쳤다면 좋았을 것 같다는 생각을 남긴다는 점에서 상당히 아쉬운 선수라 할 수 있다.

3. 지도자 경력

은퇴 후 롯데 자이언츠에서 코치를 역임하다 2014년 6월 7일 개성고등학교 야구부감독으로서 고교야구 주말리그 경남고등학교 야구부전 경기 9회말 끝내기 스퀴즈 번트로 승리한 후 인터뷰했다. 그러나 개성고에서 성적을 내지 못했고 정원욱에게 지휘봉을 넘겼으며 현재는 개성중학교 야구부 코치로 재직 중이다.

4. 연도별 주요 성적

역대 기록
<rowcolor=#ed1c24> 연도 출장 이닝 ERA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WHIP
1982 롯데 44
(3위)
232⅓
(1위)
14
(5위)
19
(1위)
2 - 2.94 216
(2위)
18
(3위)
59 10 141
(1위)
1.18
1983 42
(3위)
169⅔ 8 11 3 - 4.14 179 17
(2위)
52 12 69 1.36
1984 군 복무(현역)
1985
1986 16 49⅓ 3 5 0 - 5.66 65 8 20 7 16 1.72
1987 13 66 4 2 0 - 4.23 70 5 20 5 25 1.36
1988 28 104⅔ 4 5 5 - 4.73 106 9 27 4 41 1.27
1989 17 37 1 3 1 - 7.30 65 3 10 0 11 2.03
1990 15 29 1 1 1 - 4.03 27 1 10 1 10 1.28
1991 1 3 0 0 0 - 12.00 5 1 3 1 2 2.67
<rowcolor=#373a3c> KBO 통산
(8시즌)
176 691 35 46 12 - 4.14 733 62 201 40 315 1.35

5. 관련 문서


[1] ~5월 21일[2] 5월 22일~[3] 이 때문에 간발의 차이로 팀 역사상 단 뿐이었던 우승을 모두 놓쳤다.[4] 해태의 선발 투수는 방수원이었으며 1회말 아웃 카운트를 한 개도 잡지 못하고 난타당하다가 강판당해 패전투수가 됐다.[5] 그러나 정식 시상 타이틀은 없었다. 이닝 부문 타이틀은 지금도 시상 대상이 아니며, 탈삼진 부문 타이틀은 1993년 신설되었다.[6] 1982년 롯데의 시즌 최종 성적은 31승 49패로 6개 팀 중 5위였다. 15승 65패라는 경이적인 성적으로 압도적 꼴찌를 차지한 삼미 슈퍼스타즈가 밑에 있었으니 망정이지 사실상 하위권이나 다름없었다.[7] 실업야구 롯데 자이언트 시절부터 롯데의 팬을 자처한 축구 해설위원 한준희는 노상수의 원년 성적을 보고 롯데의 향후 앞날이 순탄치 않겠다는 것을 직감했다고 한다. 그리고 그 직감은 여지없이 적중하고 만다.[8] 아직 마운드의 핵심 멤버로 활약했던 1983년만 해도 평균 자책점이 전년 대비 1.2점이 올라갔는데, 국가대표 선수들의 입단으로 인한 리그 수준의 급격한 상향 문제도 있었겠으나 바로 전년도 최다 이닝을 기록할 정도로 혹사를 당했던 것 또한 이유로 볼 수 있다.[9] 이 시기에 현역 일반병으로 입대했던 다른 선수들(양세종, 정학수, 최계훈 등) 역시 마찬가지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