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5 15:09:30

박승호(야구)

박승호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74ca1>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삼성 라이온즈
역대 1차 지명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983년 1984년 1985년 1986년 1987년
{{{#!folding (9명) {{{#!folding (19명) {{{#!folding (11명) {{{#!folding (10명) 장태수
류중일
강기웅
1988년 1989년 1990년 1991년 1992년
홍성연
정윤수
류명선
하용석
강영수
최해명
이태일
최현준
이영재 김태한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양준혁 감병훈 안윤호 전병호
{{{#!folding (고졸)
황성관
{{{#!folding (고졸)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강동우
{{{#!folding (고졸)
정성열
{{{#!folding (고졸)
배영수 이정호 권혁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김형근 박석민 백준영 김효남 김동명
김상걸
2008년 2009년 2014년 2015년 2016년
우동균 김상수 이수민 김영한 최충연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장지훈 최채흥 원태인 황동재 이승현
2022년 1차 지명 폐지
이재현
(1) 지명 후 미입단 / 지명 거부 }}}}}}}}}

박승호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삼성 라이온즈 우승 엠블럼 V1.svg
KBO 리그
우승반지
1985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002561> 파일:KBO 골든글러브 시상식 로고.svgKBO 골든글러브
지명타자 부문 수상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d0ad67> 1982 1983 1984 1985 1986
신설 전 양세종
OB 베어스
김용희
롯데 자이언츠
김봉연
해태 타이거즈
<rowcolor=#d0ad67> 1987 1988 1989 1990 1991
유승안
빙그레 이글스
김용철
롯데 자이언츠
박철우
해태 타이거즈
박승호
삼성 라이온즈
장종훈
빙그레 이글스
<rowcolor=#d0ad67> 1992 1993 1994 1995 1996
김기태
쌍방울 레이더스
김기태
쌍방울 레이더스
김기태
쌍방울 레이더스
김형석
OB 베어스
박재용
해태 타이거즈
<rowcolor=#d0ad67> 1997 1998 1999 2000 2001
박재용
해태 타이거즈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로마이어
한화 이글스
우즈
두산 베어스
양준혁
LG 트윈스
<rowcolor=#d0ad67> 2002 2003 2004 2005 2006
마해영
삼성 라이온즈
김동주
두산 베어스
김기태
SK 와이번스
김재현
SK 와이번스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rowcolor=#d0ad67> 2007 2008 2009 2010 2011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홍성흔
두산 베어스
홍성흔
롯데 자이언츠
홍성흔
롯데 자이언츠
홍성흔
롯데 자이언츠
<rowcolor=#d0ad67> 2012 2013 2014 2015 2016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이병규
LG 트윈스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김태균
한화 이글스
<rowcolor=#d0ad67> 2017 2018 2019 2020 2021
박용택
LG 트윈스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페르난데스
두산 베어스
최형우
KIA 타이거즈
양의지
NC 다이노스
<rowcolor=#d0ad67> 2022 2023 2024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손아섭
NC 다이노스
최형우
KIA 타이거즈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74ca1>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삼성 라이온즈
역대 주장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ecd00>
1982~1983
1984 1985
1986~1988
1989~1990
배대웅
천보성
함학수
장효조
박승호
<rowcolor=#FFF>
1991~1992
1993~1994
1995~1996
1997 1998
김용국 강기웅
이종두 류중일 양준혁
<rowcolor=#FFF>
1999
2000 2001
2002~200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7ab 75%, #074ca1 25%);"
2004~2008
류중일 김기태 김태균
김한수
진갑용
<rowcolor=#FFF>
2009
2010
2011~2012
2013~2014
2015
박진만 강봉규
진갑용
최형우
박석민
<rowcolor=#FFF>
2016
2017 2018 2019
2020~2021
박한이
김상수
박해민 (임시 주장)
김상수 강민호
박해민
이원석 (임시 주장)
<rowcolor=#FFF> 2022 2023 2024~
김헌곤오재일
피렐라 (임시 주장)
오재일구자욱
강민호 (임시 주장)
구자욱
류지혁 (임시 주장)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ea0029>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KIA 타이거즈 2군
역대 감독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초대 2대 3대 4대 5대
정유복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8~1991)
방수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2~1994)
김성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5)
신용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6~1998)
김봉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2000)
<rowcolor=#fff> 6대 7대 8대 9대 10대
서정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
서정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3)
김종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3)
유남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4)
서정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4~2005)
<rowcolor=#fff> 11대 12대 13대 14대 15대 [1]
장채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5)
차영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6~2007)
박승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7)
차영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8~2009)
김대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2011)
<rowcolor=#fff> 16대 [1] 17대 [1] 18대 [1] 19대 20대
박철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
한대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3)
김용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
정회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2017)
박흥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2019)
<rowcolor=#fff> 21대 [1] 22대 23대 [1] 24대 25대
장태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
박흥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
이범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
정명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
손승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2024)
<rowcolor=#fff> 26대
진갑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
[1]: '총괄 코치'라는 명칭을 사용한 경우
※ 2002년은 공석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1a1748><tablebgcolor=#1a1748>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png두산 베어스 2군
역대 감독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20272c,#d3dade
<rowcolor=#15326f> 초대 2대 3대 4대
강대중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3~1984)
배수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5)
이충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6)
이선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7)
감독 대행
이광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7)
<rowcolor=#15326f> 5대 6대 7대 8대
이광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8)
감독 대행
이선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9~1990)
윤동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0~1991)
정연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1~1994)
손상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5~1996)
<rowcolor=#15326f> 9대 10대 11대 12대 13대
김윤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7)
손상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8)
강태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8)
손상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2003)
송재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4~2006)
14대 <rowcolor=#131230> 15대 16대 17대
박종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7~2009)
김광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
박승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1)
송재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
감독 대행
김우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
<rowcolor=#131230> 18대 19대 20대 21대 22대
송일수 파일:일본 국기.svg
(2013)
황병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
송재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
공필성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6~2017)
이강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
<rowcolor=#131230> 23대 24대 25대 26대 27대
강석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2019)
박철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2021)
이복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
이정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2024)
니무라 파일:일본 국기.svg
(2025~)
}}}}}}}}}}}}}}}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21번
팀 창단 <colbgcolor=#fecd00> 박승호
(1983~1988)
송광훈
(1989~1990)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3번
정윤수
(1988)
박승호
(1989~1993)
최찬욱
(1994~1995)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83번
결번 박승호
(1994~1998)
계형철
(2000~2001.7.1.)
SK 와이번스 등번호 73번
팀 창단 박승호
(2000~2002)
김경기
(2003~2005)
KIA 타이거즈 등번호 73번
김종윤
(1995~1998)
박승호
(2004~2007)
박흥식
(2008)
두산 베어스 등번호 85번
결번 박승호
(2011)
전상렬
(2012~2013)
NC 다이노스 등번호 77번
팀 창단 박승호
(2012~2016)
용덕한
(2017~2022)
}}} ||
}}} ||
파일:/image/109/2013/04/12/201304122042778032_5167f68aced2f_59_20130412205801.jpg
박승호
朴承昊 | Park Seung-Ho
출생 1958년 2월 9일 ([age(1958-02-09)]세)
대구광역시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대구교대부속초 - 대건중 - 대건고 - 건국대
포지션 1루수, 지명타자
투타 좌투좌타
프로 입단 1983년 1차 지명 (삼성)
소속팀 롯데 자이언트 (1980)
삼성 라이온즈 (1983~1993)
지도자 삼성 라이온즈 1군 타격코치 (1994)
삼성 라이온즈 2군 타격코치 (1995~1998)
SK 와이번스 1군 타격코치 (2000~2002)
KIA 타이거즈 1군 타격코치 (2004~2005)
KIA 타이거즈 1군 수석코치 (2006~2007)[1]
KIA 타이거즈 2군 감독 (2007)[2]
공주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2008~2010)
두산 베어스 2군 감독 (2011)
NC 다이노스 수석코치 (2012)
NC 다이노스 1군 수석코치 (2013)
NC 다이노스 잔류군 총괄코치 (2014~2015)[3]
NC 다이노스 1군 타격코치 (2015~2016)[4]
해설위원 부산 MBC 야구 해설위원 (2020~2023)
KBO 퓨처스리그 해설위원 (2024~)
병역 성무 야구단 (1981~1982)
1. 개요2. 선수 경력3. 지도자 경력4. 해설 위원 경력5. 연도별 성적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삼성 라이온즈에서 활동했던 전직 야구 선수.

선수 시절 선동열에게 첫 홈런을 쳤고, 2번의 홈런을 친 4명 중 한 명으로도 유명하다.[5]

2. 선수 경력

파일:KBO 골든글러브 로고.svg
KBO 골든글러브 지명타자 부문 수상자 (1990)

대건고등학교건국대학교를 졸업한 뒤 군 복무를 위해 공군 소속의 성무 야구단에 입단하여 야구 선수 생활을 했으며, 군 복무를 마친 뒤 1983년 신인 드래프트를 통해 연고 팀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하여 프로 야구에서 선수 생활을 하였다.
파일:external/ncache.ilbe.com/2ca060e77a0edd6f399a105b544a5037.jpg
프로에서는 1루수와 지명타자를 오가며, 1990 시즌에는 지명타자로서 110경기에 출전하여 0.307의 타율, 75타점, 홈런 20개,[6] 0.505의 장타율을 기록하였고, KBO 골든글러브 지명타자 부문을 수상하며 자신의 선수 경력에서 최고의 해를 보냈다.

하지만 1990년을 제외한 나머지 시즌에선 대체로 2할 중후반대의 타율과 4할대의 장타율을 기록하며 아주 뛰어난 선수로 기억될 만큼의 활약은 펼치지 못했다. 그는 비록 1980년대 함께 뛰었던 팀 동료 이만수, 장효조, 김성래에 밀린 탓에 큰 존재감을 과시하지 못했고 커다란 업적을 남긴 선수는 아니었지만[7] 그래도 팀에서 꾸준히 제 역할을 한 선수였기에 통산 11시즌을 보내고 현역에서 은퇴하였다.

3. 지도자 경력

은퇴 이후 1994 시즌부터 1998 시즌까지 삼성 라이온즈에서 타격코치로 일했다. 그는 5년 간 코치 생활을 하는 동안 1995년 좌완투수로 입단한 신인 이승엽에게 타자로 전향할 것을 권유하기도 했는데, 당시 백인천 감독, 박흥식 코치와 함께 이승엽이 대형 타자로 성장하는 데에 도움을 주었다.

이 후 한 시즌을 쉰 뒤 2000년 신생 SK 와이번스 타격코치로 발탁되어 4년 간 일하는데, 홈런과는 거리가 멀었던 윤재국채종범을 두자리수 홈런 타자로 환골탈태시켰고, 이진영의 잠재력을 터뜨리는 데 기여한다.

2004 시즌부터는 KIA 타이거즈로 팀을 옮겨 김성한 감독, 서정환 수석코치의 지휘 아래 타격 코치 생활을 했다. 2006 시즌이 시작되기 전에는 KIA 타이거즈 코칭 스태프 개편을 통해 서정환이 감독으로, 박승호가 수석코치로 승격되었다. 2007 시즌 전반기에는 팀 성적이 최하위에 머물면서 6월에 대대적인 코칭 스태프 개편이 있었고, 수석코치로 있던 박승호는 2군 감독으로 보직이 이동되었다. 2007 시즌이 끝날 때까지 끝내 최하위에서 벗어나지 못한 KIA 타이거즈서정환 감독을 경질하였고, 2007 시즌 중 배터리코치로 영입했다가 시즌 후 후임 감독이 된 조범현이 코칭 스태프를 새로 구성하면서 그는 구단과 재계약하지 못했다.

그리하여 2008년부터 2010년까지 공주고등학교의 감독으로 활동하다가 2011년 김경문 감독의 요청으로 두산 베어스 2군 감독으로 프로야구에 복귀했다. 여담으로 삼성 시절에도 김경문과 3년간 한솥밥을 먹은 적이 있다.

한국프로야구 2010 시즌 7월, 올스타전이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에서 치러지면서 "삼성 라이온즈 레전드 올스타" 행사도 열렸는데, 박승호가 레전드 지명타자로 선정되어 오랜만에 삼성의 고전 유니폼을 입고 모습을 드러내기도 하였다.

2011년 10월 4일, NC 다이노스로 소속을 옮겼다. 2013 시즌에 수석코치를 맡았으나, 시즌 후 잔류군 총괄로 보직 변경되었다.

2015년 2군 타격코치로 시즌을 시작했으나 4월 NC의 팀 타격이 부진이 계속되자 1군에 복귀함으로써 김광림 코치와 함께 시즌 끝까지 1군 타격코치를 맡았다.

2016년에도 NC의 1군 메인 타격코치를 맡았다. 팀이 득점, 타율, OPS 등 각종 타격지표에서 2위를 기록하는 등 전체적으로는 좋은 성적을 올렸지만 9월 이후 나성범 등등 주요 선수들의 타격 부진과 한국시리즈의 빈공으로 인해 팬덤에서 크게 비판을 받았다.

결국 시즌 후 사임했다. 그러나 후임자 이도형이 팀의 타격을 완벽하게 망치고 있어서 재평가되고 있다. 한국시리즈에서의 부진은 둘째 치더라도, 시즌 내내 슬럼프는 있더라도 전체적으로 고른 타격감을 유지하였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이도형은 현역 시절 타격에 일가견이 있던 선수가 아니었던지라, 골든글러브 수상자였던 박승호 코치의 노하우나 경험은 무시할 수 없다는 것이 확인되는 중.

4. 해설 위원 경력

2020년부터 부산MBC 라디오에서 롯데 자이언츠 홈경기 중계 해설위원으로 활동하게 되었다. #

오랜기간 현장에서 쌓아온 코칭스탭 경험을 토대로, 선수의 심리분석과 경기흐름 등의 예상적중률이 높았고, 팬들의 입장을 대변하는듯한 사이다 해설을 통해, 많은 애청자들에게 찬사를 받았다.
위와 같은 이유로, 해설위원으로 활약하며 오랜 호흡을 맞춘 서정모 아나운서와의 애청자 애칭은 "호쾌모캐" 로 불렸다.[8]

2023 시즌을 끝으로 4년간의 부산MBC와 동행을 마무리 하였다. 후임으로는 염종석, 박정태 해설위원.[9]

2024 메디힐 KBO 퓨처스리그 해설로 활동을 재개했다.

5. 연도별 성적

역대 기록
<rowcolor=#ffffff> 연도 소속팀 출장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4사구 장타율 출루율
1983 삼성 83 241 .237 57 9 0 7 39 26 0 35 .361 .332
1984 92 220 .277 61 11 1 3 23 28 5 46 .377 .401
1985 88 131 .290 38 7 0 8 29 16 1 13 .527 .347
1986 93 182 .275 50 12 1 4 33 15 4 21 .418 .350
1987 82 189 .286 54 10 0 4 35 26 1 31 .402 .383
1988 70 198 .288 57 9 1 7 34 21 2 14 .449 .333
1989 96 299 .291 87 15 1 12 49 41 3 32 .468 .357
1990 110 398 .307 122
(4위)
17 1 20
(3위)
75
(4위)
64 3 53 .505 .384
1991 106 302 .245 74 21 0 10 65 37 0 59 .414 .361
1992 91 265 .283 75 14 0 10 45 34 1 37 .449 .366
1993 31 60 .167 10 0 0 2 5 4 0 5 .267 .231
KBO 통산
(11시즌)
947 2485 .276 685 125 5 87 432 312 20 346 .435 .361

6. 관련 문서


[1] ~6월 17일[2] 6월 18일~[3] ~4월 21일[4] 4월 22일~[5] 나머지 셋은 류중일, 김동기, 전대영. 선동열은 선수생활 중 정규리그 11시즌 동안 28홈런밖에 맞지 않았으며, 어느 누구에게도 3번 이상의 홈런을 맞은 적이 없다.[6] 같은 해 장종훈(28개), 이만수(26개)의 뒤를 잇는 리그 3위의 기록이었다.[7] 어찌보면 한국프로야구 사상 최초로 전업 지명타자로서 성공한 사례로 볼 수도 있다. 이렇게 본다면 적지 않은 업적을 남긴 셈.[8] "호쾌"한 해설+서정"모캐"스터[9] 하차 소식을 직접 애청자들에게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