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야구선수/야구코치 1973년 6월 19일생에 대한 내용은 강영수(1973) 문서 참고하십시오.
강영수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강영수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fff [[삼성 라이온즈|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8번}}} | |||||||||||||||||||||||||||||||||||||||||||||||||||||||||||||||||||||||||||||||||||||||
김종갑 (1987~1988) | → | 강영수 (1989~1990) | → | 허규옥 (1991~1992) | ||||||||||||||||||||||||||||||||||||||||||||||||||||||||||||||||||||||||||||||||||||
{{{#ffffff [[OB 베어스|OB 베어스]] 등번호 14번}}} | ||||||||||||||||||||||||||||||||||||||||||||||||||||||||||||||||||||||||||||||||||||||||
김용희 (1988~1989) | → | 강영수 (1991~1994) | → | 박성균 (1995) | ||||||||||||||||||||||||||||||||||||||||||||||||||||||||||||||||||||||||||||||||||||
{{{#fab93d [[태평양 돌핀스|태평양 돌핀스]]/ [[현대 유니콘스|현대 유니콘스]] 등번호 44번}}} | ||||||||||||||||||||||||||||||||||||||||||||||||||||||||||||||||||||||||||||||||||||||||
이근엽 (1991~1992) | → | 강영수 (1995~1997. 6. 7.) | → | 피어슨 (1999) | ||||||||||||||||||||||||||||||||||||||||||||||||||||||||||||||||||||||||||||||||||||
{{{#000000 [[쌍방울 레이더스|쌍방울 레이더스]] 등번호 33번}}} | ||||||||||||||||||||||||||||||||||||||||||||||||||||||||||||||||||||||||||||||||||||||||
김광림 (1994~1997.6.7.) | → | 강영수 (1997. 6. 8.~1998) | → | 김광림 (1999) |
}}} ||
1992년 OB 베어스 시절 | |
강영수 姜泳壽 | Kang Yeong-Su | |
출생 | 1965년 2월 10일 ([age(1965-02-10)]세) |
경상북도 영덕군 |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경상중 - 대구상고 - 한양대[1] |
포지션 | 외야수 |
투타 | 우투우타 |
프로 입단 | 1989년 1차 2순위 지명 (삼성) |
소속팀 | 한국화장품 야구단 (1988) 삼성 라이온즈 (1989~1990) OB 베어스 (1991~1994) 태평양 돌핀스-현대 유니콘스 (1995~1997) 쌍방울 레이더스 (1997~1998) |
지도자 | 경동고등학교 코치 (2000~2004) SK 와이번스 타격코치 (2005~2006) 원주고등학교 감독 (2012~2013) |
응원가 | 미국 동요 - 〈Mary Had A Little Lamb〉[2] |
[clearfix]
1. 개요
KBO 리그에서 뛰었던 전직 야구선수로, 포지션은 외야수였다. 꽤나 옛날 선수라 그닥 알려지지는 않은 편이지만 최익성이나 동봉철, 이동수보다도 앞서 대표적인 저니맨이었던 선수로 4개의 팀에서 뛴 최초의 선수이기도 하다.[3]2. 선수 경력
경상중, 대구상고, 한양대 졸업 후 1988 서울 올림픽 참가를 위해 한국화장품 야구단에 입단했고, 1989년 1차 2순위 지명으로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했다. 원래 포지션은 내야수로 대구상업고등학교 때는 유격수를, 한양대학교 때에는 3루수를 맡았지만 프로 입단 후 외야수로 전향했다. 프로 입단 후 2년간 주로 백업으로 나왔고 1991년 1월에 1루수 신경식을 상대로 OB 베어스에 트레이드됐다. OB 이적 후 초기 2년간은 15개 이상의 홈런을 때려내며 팀 타선에 힘을 보탰으나 1993년부터는 홈런 갯수가 줄어들었다. 2할대 초반에 머무른 타율은 그대로였다.설상가상으로 1994년 OB 베어스 항명 파동 당시 고참 5인방으로 찍혔고 그에 의한 보복으로 1994년 시즌 후 OB에서 방출되었다. 그러자 김경기와 김동기 이외에는 제대로 된 중장거리 타자가 부족해 어려움을 겪었던 태평양 돌핀스가 그를 바로 영입했다. 국내에서 가장 큰 야구장인 잠실야구장을 홈으로 쓰다가 좌우 91m, 중월 110m의 초미니 경기장인 숭의야구장에서 대부분의 홈경기를 치르게 된 강영수는 21홈런 68타점 OPS 0.778로 커리어 하이를 기록하였다. 1994년에서 1995년으로 넘어가던 사이에 벌어진 강영수의 이적은 그야말로 윈윈이었다. OB 입장에서는 항명 파동에 연루된 눈엣가시 선수를 깔끔하게 보냈기에 호재였고 태평양 입장에서도 부실한 타력을 보강하는 계기가 됐기 때문이다.
통산타율 .222에서 보듯 정확도와는 거리가 있었으나 볼넷과 삼진이 많았으며, 잠실을 홈으로 쓰면서도 매년 두자릿수 홈런을 칠 정도로 파워에는 일가견이 있었다. 그리하여 매년 8할에 가까운 ops를 찍었다. 타율이 좀 낮은 대신 장타율과 출루율이 좋았던 소위 말하는 OPS 히터다. 이를 보여 주는 것이 삼성 시절 빙그레 한희민을 상대로 무려 16개의 공을 커트한 기록이 있다. 이는 훗날 2008년 정원석이 기록을 갱신하기 전까지 약 18년 가량 한국프로야구 최다 기록이었다.
커리어 하이 시즌은 태평양 시절이었던 1995년으로 타율 .243에 21홈런 68타점 ops .778을 기록, 김상호, 이동수와 홈런왕 경쟁을 펼치며 박재홍의 입단 전 거포가 부족했던 타선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그러나 박재홍이 입단하면서 주전경쟁에서 밀렸고, 이후 뚜렷한 활약을 보이지 못하다가 IMF 사건 재정난으로 어려워지기 전의 1997년 6월 1:2 트레이드(김광림 ↔ 강영수, 공의식)로 쌍방울 레이더스로 이적한 후 대타로 가끔 나오다가 1998년 은퇴하였다.
여담으로 이명수-김동주로 이어지는 OB-두산 비행기 응원가의 원조이다. '영수 영수 강영수~'로 1993년쯤에 만들어졌다고 한다.
3. 지도자 경력
은퇴 후 경동고등학교 코치, SK 와이번스 타격코치, 원주고등학교 감독을 역임했다.4. 연도별 성적
역대 기록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4사구 | 장타율 | 출루율 |
1989 | 삼성 | 57 | 117 | .145 | 17 | 3 | 0 | 4 | 13 | 16 | 1 | 22 | .274 | .279 |
1990 | 71 | 198 | .237 | 47 | 4 | 0 | 10 | 33 | 29 | 2 | 23 | .409 | .315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4사구 | 장타율 | 출루율 |
1991 | OB | 107 | 303 | .238 | 72 | 11 | 2 | 15 | 47 | 42 | 2 | 54 | .436 | .351 |
1992 | 118 | 351 | .217 | 76 | 13 | 2 | 18 | 61 | 53 | 7 | 77 | .419 | .353 | |
1993 | 103 | 244 | .221 | 54 | 12 | 3 | 7 | 29 | 23 | 0 | 40 | .381 | .328 | |
1994 | 66 | 169 | .213 | 36 | 6 | 0 | 4 | 19 | 16 | 1 | 19 | .320 | .288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4사구 | 장타율 | 출루율 |
1995 | 태평양 | 121 | 415 | .243 | 101 | 17 | 1 | 21 (4위) | 68 | 71 | 3 | 62 | .441 | .338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4사구 | 장타율 | 출루율 |
1996 | 현대 | 45 | 72 | .167 | 12 | 3 | 0 | 1 | 6 | 4 | 0 | 14 | .250 | .302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4사구 | 장타율 | 출루율 |
1997 | 현대 / 쌍방울 | 64 | 86 | .209 | 18 | 4 | 0 | 4 | 18 | 8 | 2 | 12 | .395 | .306 |
1998 | 쌍방울 | 76 | 137 | .226 | 31 | 10 | 0 | 2 | 17 | 12 | 0 | 23 | .343 | .338 |
KBO 통산 (10시즌) | 828 | 2092 | .222 | 464 | 83 | 8 | 86 | 311 | 274 | 18 | 346 | .392 | .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