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8 20:51:06

이승현(2002)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승현의 2024년 시즌에 대한 내용은 이승현(2002)/선수 경력/2024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74ca1>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삼성 라이온즈
2024 시즌 투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군>
17 김대우 · 18 원태인 · 19 양현 · 20 이승현
· 21 오승환 · 27 김태훈 · 37 최하늘 · 43 레예스
· 45 임창민 · 52 코너 · 54 최성훈 · 55 이호성
· 57 이승현 · 62 김재윤
<2군>
1 이재익 · 4 육선엽 · 11 홍정우 · 15 이상민파일:부상 아이콘.svg
· 26 장필준 · 28 서현원 · 29 백정현파일:부상 아이콘.svg · 35 이승민
· 40 최지광 · 46 홍무원 · 48 김시현 · 49 박권후
· 51 최충연파일:부상 아이콘.svg · 53 김서준 · 56 최채흥 · 61 황동재
· 65 홍원표 · 66 박준용 · 67 정민성 · 100 이민호
· 102 유병선 · 108 홍승원 · 109 박시원 · 110 신경민
· 113 김태우 · 115 한연욱 · 117 장재혁 · 120 김대호
· 122 김성경 · 123 김동현
2024년 4월 18일 경기 기준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군 입대 선수등록 선수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
이승현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74ca1><tablebgcolor=#074ca1>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삼성 라이온즈
역대 1차 지명 선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074ca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982년 1983년 1984년 1985년 1986년
{{{#!folding (9명) {{{#!folding (19명) {{{#!folding (11명) {{{#!folding (10명)
1987년 1988년 1989년 1990년 1991년
장태수
류중일
강기웅
홍성연
정윤수
류명선
하용석
강영수
최해명
이태일
최현준
이영재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김태한 양준혁 감병훈 안윤호 전병호
{{{#!folding (고졸)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황성관
{{{#!folding (고졸)
강동우
{{{#!folding (고졸)
정성열
{{{#!folding (고졸)
배영수 이정호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권혁 김형근 박석민 백준영 김효남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김동명
김상걸
우동균 김상수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정현(2) 이수민 김영한 최충연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장지훈 최채흥 원태인 황동재 이승현
2022년
이재현
(1) 지명 후 미입단 / 지명 거부
(2) 1차 지명 미시행 년도 (1라운드 지명 선수)
}}}}}}}}}}}}

이승현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54번
구준범
(2020)
<colbgcolor=#c0c0c0><colcolor=#074ca1> 이승현
(2021~2023)
최성훈
(2024~)
애들레이드 자이언츠 등번호 40번
팀 데이
(2017-18)
이승현
(2023-24)
결번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57번
와이드너
(2023.8.11.~2023)
이승현
(2024~)
현역
}}} ||
}}} ||
<colbgcolor=#074ca1><colcolor=#fff> 삼성 라이온즈 No.57
이승현
李昇玹 | Lee Seung-hyun
출생 2002년 5월 19일 ([age(2002-05-19)]세)
대구광역시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대구남도초 - 경복중 - 대구상원고 - (대구대)[1]
신체 183cm, 102kg[2]
포지션 선발 투수
투타 좌투좌타
프로 입단 2021년 1차 지명 (삼성)
소속팀 삼성 라이온즈 (2021~)
애들레이드 자이언츠 (2023/24)
연봉 2024 / 7,000만 원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등장곡 신해철 - 《그대에게》 (2022~)
종교 불교[3]
MBTI ESTP
소속사 어썸스포츠[4]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피칭 스타일4. 연도별 주요 성적5. 여담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삼성 라이온즈 소속 좌완 투수.

고교 시절 압도적인 구위와 뛰어난 제구력을 바탕으로 1차 지명을 받아[5] 입단하였으며, 평균 구속 144km, 최고 153km를 던지는 좌완 강속구 투수다. 삼성의 많은 잠재력 있는 투수 유망주 중에서도 특히 주목받고 있으며, 차후 삼성 라이온즈의 주축 투수 중 하나가 될 것이라는 기대를 받고 있다.

2.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이승현(2002)/선수 경력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아마추어 시절

3. 피칭 스타일

피네스 피처의 천국으로 매우 유명한 삼성[6]에서 몇 안되는 파이어볼러이다. 데뷔 시즌에는 좌완 파이어볼러의 전형이었으나 허삼영 체제에서 혹사를 겪고 자기관리 문제도 겪은 현재는 구속이 약 7km 정도 느려져 리그 평균을 살짝 하회하는 정도가 되었다.[7] 그래도 나이가 어리고 데뷔 시즌의 충격적인 고점으로 인하여 양창섭, 최충연 등과 함께 아직 터지지 못한 삼성 투수 유망주 중 실링 최상위권으로 분류되고 있다.

겉보기엔 다소 투박한 투구 폼을 가지고 있지만, 탄탄한 하체를 바탕으로 묵직한 구위를 자랑한다. 디셉션 동작도 뛰어나 상대에게 쉽게 공략당하지 않는다.

변화구는 주로 슬라이더와 커브를 던지며, 독특하게도 오프스피드 피치는 하나도 안 던진다. 이 변화구들은 각이 매우 크기에 구속이 느려진 후에도 좌승현의 피칭을 지탱하는 핵심 무기이다. 공이 밋밋해져서 더 이상 힘으로 타자를 압도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변화구의 각으로 상대 타자들을 농락하는 모습이 간혹 나온다. 큰 각에 걸맞게 회전수가 상당히 높게 찍히는데, 커브의 경우 고교 시절 이미 RPM이 무려 2,600대에 이르렀고(랩소도 측정값). 이는 프로에서도 쉽게 볼 수 없는 수치이다. 프로에서는 커브는 3,000, 패스트볼은 2,700대를 웃돈다.[8] 종합적으로, 노쇠화 이후의 클레이튼 커쇼와 플레이 스타일이 매우 비슷하다. 단, 제구력이 안정적인 커쇼와 달리 이쪽은 구속과 제구력 모두 기복이 상당히 심하기에 아직까지는 성장이 더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프로에서는 아직 체인지업을 구사한 적이 없지만 시즌 전 장착한 체인지업을 조금 더 가다듬으면 충분히 위협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위기 상황에서도 표정 변화가 거의 없는 포커 페이스.

삼성 관계자는 이승현을 두고 "원태인, 최충연보다 내구성이 좋고 황동재보다 공격적"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내구성 면에서는 엄청난 투구를 해도 지칠 기미조차 없고 국대까지 꼬박꼬박 나가는 원태인에 비할 바는 아니고, 오히려 구속과 구위에서 강점을 보이는, 최대 실링면에서 고평가받는 원석형 유망주에 가깝다.[9]

가장 큰 문제점 중 하나는 구속의 기복. 평균 구속은 142km~143km로, 아주 느리다고 볼 수는 없지만 문제는 구속이 130km 중반~150km까지 널뛰기가 심하다는 점이다. 데뷔전에서 150km/h가 넘는 패스트볼을 던져 엄청난 화제를 몰았으나, 정작 제대로 던지기 시작하고 나서의 구속은 매 경기마다 편차가 심하다. 사실 혹사의 결과라고 보기 어려운 것이 혹사를 제대로 당하기 전부터 구속 자체가 이미 140km/h 초반대로 떨어지는 경우가 잦았다. 즉 데뷔 초창기에 힘을 과도하게 줘서 던졌을 가능성도 높다. 그러면서도 패스트볼 구속과 컨디션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간혹 평균 구속이 140km/h 전후로 떨어질 때가 있는데 이 경우에는 아웃카운트 하나조차 잡기 힘들어한다. 좋을 때는 140km/h 후반의 패스트볼을 던져 삼자범퇴를 가볍게 이끌어내며 프로 첫 세이브를 거둘 때는 긴급하게 등판한 상황속에서도 무난히 거두는 등 상급 불펜의 능력을 보여주나, 때로는 1이닝조차 마무리짓지 못하고 6실점을 허용하는 등 기복이 크다.

2023 시즌에는 135km까지 떨어졌고, 평균 구속은 큰 차이가 없지만 제구력이 크게 악화되었다. 제구력이 지금보다 괜찮던 시절에도 구속이 나오지 않으면 털리던 선수이기에 우려가 많다. 이러한 점 때문에 현재 양창섭, 최충연 등과 함께 삼성의 애증의 투수 유망주로 꼽히고, 삼성을 넘어서 리그 전체적으로도 성장이 매우 더딘 영건 투수 중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10] 세부스탯 역시 K/9, BB/9, HR/9 모두 매우 크게 나빠졌다.

내구성 역시 크게 좋지는 않은 편이다. 다만 좌승현이 프로 입단 이후 꽤 많이 던졌다는 것을 감안하면 아주 심각하지는 않다.

2024년에는 구속 기복의 영향으로 선발 투수로 전향할 예정이라고 한다. 실제로 소형준의 사례를 보면 피칭 퀄리티만 갖춘다면 구속 기복이 있어도 선발 한 자리를 맡기에는 충분한 수준임이 증명되었기에, 비시즌동안 구속을 늘리거나 제구력과 피칭 레퍼토리의 다양성 등 피칭 퀄리티를 높이는 것이 필요할 듯하다.

4. 연도별 주요 성적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이승현의 역대 KBO 기록
<rowcolor=#ffffff>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WHIP ERA+ sWAR
2021 삼성 41 1 4 0 7 39⅓ 5.26 35 3 23 3 46 1.47 85.8 0.14
2022 58 2 4 1 14 47⅔ 4.53 43 5 21 3 57 1.34 92.1 0.19
2023 48 1 5 5 7 43⅓ 4.98 41 6 29 2 37 1.62 85.0 0.12
KBO 통산
(3시즌)
147 4 13 6 28 130⅓ 4.90 119 14 73 8 140 1.47 87.9 0.46

5. 여담

  • 이승현이 1차 지명에서 지명되면서 2014년 이후로 삼성이 대구상원고 출신 1차지명자를 3명(이수민, 최채흥, 이승현)을 배출하게 되었는데 공교롭게도 3명 모두 좌완투수이다. 그리고 순수 대구상원고 출신으로는 이수민 이후로 7년만이다.
  • 소속팀에 동명이인 선배 이승현과 성은 다르지만 이름은 같은 선배 김승현이 있다. 삼성 라이온즈 공식 유튜브에서 세 번째 승현이라고 삼승현이 되었다. 공교롭게도 세 명 모두 투수인데, 선배들은 모두 우완 투수고 이승현은 좌완이라 보통 좌승현으로 부른다. 김승현은 부진 끝에 방출되었기에 일반적으로 우승현/좌승현으로 구분한다. 오승환과의 대화가 공개된 짤을 보면 선수단 내부에서도 좌승현으로 불리고 있다. 23시즌 5월 이후 오승환이 마무리로서 부진함에 따라 이승현이 차기 삼성의 마무리 투수로 육성되고 있는데, 이에 중간계투인 우승현의 뒤를 이어 등판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중계진에서는 '이승현'이 내려가고 '이승현'이 마운드에 올라왔다는 말장난 섞인 멘트를 자주 구사하게 되었다.
  • 이대호와 닮았다. 워낙 외모가 성숙해 신인인데도 체감은 왕조 시절부터 뛴 10년차 베테랑같은 느낌이다. 외모뿐만 아니라 멘탈도 성숙한 편인데, 침착하고 무던하며 감정 변화가 크지 않은 성격이다. 퇴근길에 개량 한복을 입고 나오는 등 애늙은이 그 자체라는 평가.
  • 베이징 올림픽 당시 류현진의 활약을 보고 야구선수의 꿈을 키운 베이징 키즈 중 한 명이다. 초등학교에 입학하고 야구선수가 되겠다며 떼를 썼지만 부모님의 반대가 심했는데, 초등학교 3학년 때 리틀 야구를 하는 동네 형을 따라가 야구를 하다가 부모님에게 들켜서 결국 야구를 시작했다. 막상 1차 지명을 받자 골수 삼성팬인 아버지가 아들보다 더 기뻐하셨다고 한다.
  • 같은 해의 드래프트 동기인 이의리, 김진욱과 21년 드래프트 3대 좌완으로 묶인다. 인터뷰에서 자신의 직구는 자신과 같은 좌완 3인방 김진욱과 이의리보다 낫다고 자신했었다. 그러나 2021년 9월 8일 기준으로 직구 구종 가치가 이의리는 9.1 김진욱은 2.6인 반면에 이승현은 -0.3으로 압도적으로 낮고 오히려 슬라이더와 커브가 고평가를 받았다. 다만 8월에 비하면 직구의 구종 가치를 2 이상 크게 끌어올렸는데 아무래도 그 동안은 로테이션과 체력의 문제가 컸던 것으로 보인다.

6. 관련 문서



[1] 프로 데뷔 후 입학, 문화예술학부 22학번[2] 2022년 혹사로 살이 많이 빠졌다.[3] 인스타에 卍 (만자 만)이 적혀 있다.[4] 팀 동료 강민호, 김지찬, 이재현이 소속되어 있다.[5] 다음해 1차 지명에서, 전국지명을 행사해 서울고 출신 이재현이 선택됨에 따라, 이승현은 삼성의 마지막 연고지 1차 지명자가 되었다.[6] 배영수가 수술의 여파로 피네스 피처로 전향한 후, 삼성의 선발 계보는 차우찬을 제외하면 모두 피네스 피처였다. 윤성환, 배영수, 장원삼, 백정현, 원태인, 최채흥까지 피네스 피처 계보가 이어졌으며, 파이어볼러가 완전한 대세가 된 2020년대까지 일관되게 피네스 피처 위주의 운영을 하는 유일무이한 구단이다. 그나마 원태인이 피네스 피처 중 파워 피처에 가까운 투수이다.[7] 좌완 이승현의 구속 저하는 삼성을 넘어서 KBO 리그의 처참한 투수 육성능력을 평가할 때 반드시 언급되는 사례가 되었다.[8] 2,500대를 넘어가면 준수한 편. 즉, 이승현의 경우는 프로에서도 최상위권 수준인 것이다. 돌직구로 유명한 오승환의 2013년 패스트볼 회전수가 2,600인 걸 비교하면 신인치고 어마무시한 회전이라는 걸 증명한다. 그리고 아직 만 19세라는 젊은 나이이기 때문에 이 회전수가 더 증가할 가능성도 언제든 있다.[9] 2년 후 삼성에 지명된 이호성과는 정반대다. 이쪽은 구속이 비교적 느리지만 반대로 운영 능력과 제구력이 뛰어난, 완성형 유망주로 평가받는 우완 정통파 투수이다.[10] 오히려 데뷔 시즌에 비해 순수 기량은 매년 크게 떨어져오고 있다는 평가를 할 정도. 사실 삼성의 투수 육성 자체가 심각한 것도 있지만 좌승현은 그 폭이 상당히 커서 본인 문제도 어느 정도 있을 것이라 여겨지고 있다. 팬들의 썰에 따르면 술자리에 너무 많이 참석하는 등 워크에식이 좋지 않은 것으로 추정되는데, 그렇게 따지자면 술꾼인 장원삼도 전성기 시절 잘만 던졌으니 아직 나이도 어리고, 결국 코치진과 본인이 문제를 파악하고 개선해야 할 상황이다. 그나마 양창섭, 최충연에 비해 나이 자체가 굉장히 어리고, 부상을 당하거나 음주운전 등 여러 문제점으로 나이를 한참 먹도록 제대로 성장하지 못한 저 둘과는 달리 이승현은 그냥 성적이 부진할 뿐 그나마 아직 저런 커리어 상의 문제점을 겪은 적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