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3 14:01:37

일본야구전당


각국 프로야구 리그 헌액 단체
파일:MLB 로고.svg 파일:NPB 로고.svg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svg
MLB NPB KBO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 명구회 일본야구전당 성구회 한국 야구 명예의 전당(예정)
파일:일본야구전당 로고.svg
<rowcolor=#e19914> 야구전당
野球殿堂 | Japanese Baseball Hall of Fame
설립 1959년 6월 12일([age(1959-06-12)]주년)
법인명 공익재단법인 야구전당박물관
형태 박물관, 프로 스포츠 명예의 전당
리그 일본프로야구
이사장 사카키바라 사다유키
소재지 일본 도쿄도 분쿄구 도쿄 돔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2. 역사3. 헌액 조건
3.1. 경기자 부문
3.1.1. 선수 부문3.1.2. 전문가 부문
3.2. 특별 헌액
4. 헌액자 목록
4.1. 경기자 부문으로 헌액된 인물 (1960~2007)
4.1.1. 선수 부문 헌액자
4.2. 전문가 부문 헌액자4.3. 특별 헌액된 인물

1. 개요

일본프로야구 역사에 남을 만한 활약을 한 선수나 감독·코치, 그리고 야구의 발전이나 융성을 위해 기여한 인물들의 그 공적을 기리기 위한 목적으로 창설된 명예의 전당이다. 도쿄도 분쿄구의 도쿄 돔에 있는 야구 전당 박물관 내에 있으며 MLB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과 같이 헌액자들의 얼굴이 새겨진 금속으로 된 부조가 전시되어 있다.

2. 역사

파일:2A1069A7-3827-492F-BE67-C88E07D5034B.jpg <nopad> 파일:20FE6575-A40F-41D3-944B-C1906B6F9EF2.jpg

3. 헌액 조건

헌액은 크게 경기자 부문 헌액과 특별 헌액으로 나뉘며, 경기자 부문은 선수 부문 헌액과 전문가 부문 헌액으로 나뉘는데, 각 부문별 헌액 기준이 다르다.

3.1. 경기자 부문

3.1.1. 선수 부문

  • 대상자: 프로 선수로서 은퇴 후 5년을 경과하여 그 후 15년간(단, 2009년에는 경과 조치로서 4년 연장)의 사람(즉, 은퇴 후 20년 이내인 사람). 단, 만 65세 이상인 사람이나 고인은 5년 경과하지 않아도 좋다.
  • 선출 위원 :야구 보도와 관련해서 15년 이상의 경험을 가지는 사람(2009년에는 316명).
  • 선출 방법: 30명의 후보를 선정한 뒤 최대 7명 이내로 투표를 해서 3분의 2 이상의 유효 투표수가 나오면 75% 이상 득표한 후보가 선출된다.
  • 대상 제외자: 전과가 있거나,[1] 득표수가 3% 이하일 경우.

3.1.2. 전문가 부문

  • 대상자: 은퇴한 감독, 코치, 심판으로 은퇴 후 6개월 이상 경과하고 있는 사람.
상기 선수 부문의 유자격자였던 사람으로, 은퇴 후 21년 이상(2009년에는 4년 연장) 경과한 사람.
  • 선출 위원: 야구 전당에 들어간 경기자 및 경기자 시상의 간사(46명).
  • 선출 방법: 10명의 후보자를 선정한 뒤 선출 위원이 3명 이내의 연기로 투표해서 3분의 2이상의 유효 투표가 있으면 75% 이상의 득표자가 선출된다.

3.2. 특별 헌액

  • 대상자: 아마추어 야구의 경기자를 대상으로 선수는 은퇴 후 5년, 감독·코치·심판원은 은퇴 후 6개월을 경과하고 있는 사람. 프로페셔널, 아마추어 조직 또는 관리와 관련해서 야구 발전에 현저한 공헌을 한 사람, 혹은 하고 있는 사람.[2]
  • 선출 위원: 프로 야구 임원 및 전직 임원, 아마추어 야구 임원, 야구 관계에 학식이 있는 경험자, 총 14명
  • 선출 방법: 선출 위원 1명에 대해 3명 이내의 연기로 투표해서 3분의 2이상의 유효 투표가 있으면, 75% 이상의 득표자가 선출된다.

4. 헌액자 목록

4.1. 경기자 부문으로 헌액된 인물 (1960~2007)

  • 볼드체는 1회 투표로 입성한 인물
연도 성명 포지션 선수생활 비고
1960 빅토르 스타루힌
(Виктор Старухин)
투수 1934-1955 경기자부문 최초 헌액자
역대 최초 300승 투수
단일시즌 최다승(42승) 투수
1962 이케다 유타카
(池田豊)
없음 최초의 심판 입성자
1963 나카지마 하루야스
(中島治康)
우익수 1936-1951
1964 와카바야시 타다시
(若林忠志)
투수 1936-1953
1965 카와카미 테츠하루
(川上哲治)
1루수 1938-1958 요미우리 자이언츠 영구결번
역대 최초 2000안타 타자
일본시리즈 최다 우승 감독
츠루오카 카즈토
(鶴岡一人)
1루수, 2루수, 3루수
외야수
1939-1952
1969 카리타 히사노리
(苅田久徳)
2루수, 유격수 1934-1951
1970 아마치 슌이치
(天知俊一)
포수 1938-1958
니데가와 노부아키
(二出川延明)
외야수 1934-1935 퍼시픽 리그 초대 심판부장
1972 이시모토 슈이치
(石本秀一)
없음 최초의 감독 입성자
1974 후지무라 후미오
(藤村富美男)
내야수, 외야수, 투수 1936-1958 한신 타이거스 영구결번
초대 미스터 타이거스
후지모토 사다요시
(藤本定義)
없음 일본프로야구 초대 우승 감독
1976 나카가미 히데오[3]
(中上英雄)
투수 1942-1955 통산 승률/평균자책점 1위
1977 미즈하라 시게루
(水原茂)
3루수 1936-1942, 1950
니시자와 미치오
(西沢道夫)
투수, 1루수 1937-1943, 1946-1958 주니치 드래곤즈 영구결번
초대 미스터 드래곤즈
1978 마츠키 켄지로
(松木謙治郎)
1루수 1936-1941, 1950-1951
하마자키 신지
(浜崎真二)
투수 1947-1950
1979 벳쇼 타케히코
(別所毅彦)
투수 1942-1961
1980 오오시타 히로시
(大下弘)
외야수 1946-1959
코즈루 마코토
(小鶴誠)
외야수, 1루수 1942-1958
1981 이이다 토쿠지
(飯田徳治)
1루수, 외야수, 투수 1947-1963
이와모토 요시유키
(岩本義行)
외야수 1938, 1940-1942, 1949-1953, 1956-1957
1983 미하라 오사무
(三原脩)
2루수, 유격수 1934-1938
1985 스기시타 시게루
(杉下茂)
투수 1949-1961
시라이시 카츠미
(白石勝巳)
유격수 1936-1943, 1946, 1948-1956
아라마키 아츠시
(荒巻淳)
투수 1950-1962
1988 나가시마 시게오
(長嶋茂雄)
3루수 1958-1974 요미우리 자이언츠 영구결번
일본시리즈 최다 MVP 수상자
국민영예상 수상자
벳토 카오루
(別当薫)
외야수 1948-1957
니시모토 유키오
(西本幸雄)
1루수 1950-1955
카네다 마사이치
(金田正一)
투수 1950-1969 요미우리 자이언츠 영구결번
역사상 유일한 400승 투수
통산 승리/패전/이닝/탈삼진 1위
1989 시마 히데노스케
(島秀之助)
외야수, 1루수 1936-1937 센트럴 리그 초대 심판부장
노무라 카츠야
(野村克也)
포수 1954-1980 역대 최초 500홈런, 3000시합 출장 타자
통산 타석/타수/희생플라이 1위
노구치 지로
(野口二郎)
투수 1939-1943, 1946-1953
1990 사나다 쥬조
(真田重藏)
투수 1943, 1946-1956
하리모토 이사오
(張本勲)
외야수 1959-1981 역사상 유일한 3000안타 타자
통산 안타 1위
1991 마키노 시게루
(牧野茂)
유격수 1952-1959
츠츠이 오사무
(筒井修)
2루수 1936-1937, 1941 역대 두 번째 3,000경기 출장 심판원
시마오카 키치로
(島岡吉郎)
없음 메이지대학 야구부 감독
역대 최초 프로 경력이 없는 경기자 부문 헌액자
1992 히로오카 타츠로
(廣岡達朗)
유격수 1954-1966
츠보우치 미치노리
(坪内道典)
외야수 1936-1951
요시다 요시오
(吉田義男)
유격수, 2루수 1953-1969 한신 타이거스 영구결번
1993 이나오 카즈히사
(稲尾和久)
투수 1956-1969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영구결번
일본시리즈 4연승 투수
단일시즌 최다승(42승) 투수
무라야마 미노루
(村山実)
투수 1959-1972 한신 타이거스 영구결번
1994 오 사다하루
(王貞治)
1루수 1959-1980 요미우리 자이언츠 영구결번
일본프로야구 최다 홈런(868홈런) 타자
통산 득점/홈런/타점/루타/볼넷/장타율/OPS 1위
요나미네 카나메
(与那嶺要)
외야수 1951-1962 최초의 미국 국적 입성자
1995 스기우라 타다시
(杉浦忠)
투수 1958-1970 일본시리즈 4연투 4연승 투수
이시이 토키치로
(石井藤吉郎)
없음 와세다대학, 다이쇼와제지 감독
프로 경력 없음
1996 후지타 모토시
(藤田元司)
투수 1957-1964
키누가사 사치오
(衣笠祥雄)
3루수, 1루수, 포수 1965-1987 히로시마 도요 카프 영구결번
연속출장 기록 1위(2215경기) 보유자[4]
1997 오오스기 카츠오
(大杉勝男)
1루수 1965-1983 사후 입성
1999 나카니시 후토시
(中西太)
3루수, 1루수 1952-1969
히로세 요시노리
(広瀬叔功)
외야수, 유격수 1955-1977
코바 타케시
(古葉竹識)
유격수, 2루수 1958-1971
콘도 사다오
(近藤貞雄)
투수 1943-1954
2000 요네다 테츠야
(米田哲也)
투수 1956-1977
2001 네모토 리쿠오
(根本陸夫)
포수 1952-1957
코야마 마사아키
(小山正明)
투수 1953-1973 양대리그에서 100승을 기록한 유일한 투수
2002 야마우치 카즈히로
(山内一弘)
외야수 1952-1970
스즈키 케이시
(鈴木啓示)
투수 1966-1985 킨테츠 버팔로즈 영구결번
역사상 마지막 300승 투수
후쿠모토 유타카
(福本豊)
외야수 1969-1988 세계 최초 1000도루 타자
통산 도루 1위
타미야 켄지로
(田宮謙次郎)
외야수, 투수 1949-1963
2003 우에다 토시하루
(上田利治)
포수 1959-1961 한큐 브레이브스의 일본시리즈 3연패 감독
세키네 쥰조
(関根潤三)
투수, 외야수 1950-1965 통산 1,000안타 및 투수 50승 달성
올스타전에 투수, 타자 모두 투표로 선출된 선수
2004 오기 아키라
(仰木彬)
2루수 1954-1967
2005 무라타 쵸지
(村田兆治)
투수 1968-1990
모리 마사아키
(森祇晶)
포수 1955-1974
2006 카도타 히로미츠
(門田博光)
외야수, 지명타자 1970-1992
타카기 모리미치
(高木守道)
2루수 1960-1980 제2대 미스터 드래곤즈
야마다 히사시
(山田久志)
투수 1969-1988
2007 카지모토 타카오
(梶本隆夫)
투수 1954-1973 사후 입성

4.1.1. 선수 부문 헌액자

연도 성명 포지션 선수생활 비고
2008 야마모토 코지
(山本浩二)
외야수 1969-1989 히로시마 도요 카프 영구결번
호리우치 츠네오
(堀内恒夫)
투수 1966-1983
2009 와카마츠 츠토무
(若松勉)
외야수 1971-1989
2010 히가시오 오사무
(東尾修)
투수 1969-1988
2011 오치아이 히로미츠
(落合 博満)
1루수, 3루수, 2루수 1979-1998
2012 키타벳푸 마나부
(北別府学)
투수 1976-1994
츠다 츠네미
(津田恒実)
투수 1982-1991
2013 오노 유타카
(大野豊)
투수 1977-1998
2014 노모 히데오
(野茂英雄)
투수 1990-2008
아키야마 코지
(秋山幸二)
외야수, 3루수 1981-2002
사사키 카즈히로
(佐々木主浩)
투수 1990-2005
2015 후루타 아츠야
(古田敦也)
포수 1990-2007
2016 사이토 마사키
(斎藤雅樹)
투수 1983-2001
쿠도 키미야스
(工藤公康)
투수 1982-2010
2017 이토 츠토무
(伊東勤)
포수 1982-2003
2018 마츠이 히데키
(松井秀喜)
외야수 1993-2012
카네모토 토모아키
(金本知憲)
외야수 1992-2012
2019 타츠나미 카즈요시
(立浪和義)
2루수, 3루수, 유격수, 좌익수 1988-2009
2022 타카츠 신고
(松井秀喜)
투수 1991-2010
야마모토 마사
(山本昌)
투수 1984-2015
2023 알렉스 라미레스
(Alex Ramírez)
좌익수 1998-2013
2024 쿠로다 히로키
(黒田博樹)
투수 1997-2016 히로시마 도요 카프 영구결번
타니시게 모토노부
(谷繁元信)
포수 1989-2015
2025 스즈키 이치로
(イチロー)
외야수 1992-2019 아시아인 최초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 입성자
시애틀 매리너스 영구결번
이와세 히토키
(岩瀬仁紀)
투수 1999-2018 일본프로야구 통산 최다 세이브 기록 보유

4.2. 전문가 부문 헌액자

연도 성명 포지션 선수생활 비고
2009 아오타 노보루
(青田昇)
중견수 1942-1959
2010 에토 신이치
(江藤愼一)
포수, 1루수, 외야수 1959-1976
2011 미나가와 무츠오
(皆川睦雄)
투수 1954-1971
2013 소토코바 요시로
(外木場義郎)
투수 1965-1979
2016 에노모토 키하치
(榎本喜八)
1루수 1955-1972
2017 호시노 센이치
(星野仙一)
투수 1969-1982
히라마츠 마사지
(平松政次)
투수 1967-1984
2018 하라 타츠노리
(原辰徳)
3루수, 외야수, 1루수, 2루수 1981-1995
2019 곤도 히로시
(権藤博)
투수 1961-1968
2020 타부치 코이치
(田淵幸一)
포수, 1루수, 지명타자 1969-1984
2023 랜디 바스
(Randy Bass)
1루수, 외야수 1977-1988
2025 카케후 마사유키
(掛布雅之)
3루수 1974-1988

4.3. 특별 헌액된 인물

연도 성명 직업 헌액사유 비고
1959 쇼리키 마츠타로
(正力松太郎)
기업가, 구단주 미국 메이저 리그 선발팀 초빙 경기를 성공해 토쿄 쿄진군 창설 일본야구전당 최초 헌액자
히라오카 히로시
(平岡熈)
기업가 일본 최초의 야구팀 신바시 아스레틱 구락부(新橋アスレチック俱樂部) 결성
아오이 요시오
(青井鉞男)
야구인 미국팀을 꺾은 최초의 투수, 야구규칙을 최초로 일역
아베이 소오
(安部磯雄)
야구인 학생야구의 아버지 (와세다 대학교 야구부 창설)
하시도 신
(橋戸信)
야구인 최초의 도시대항야구대회 창설, 와세다대학교 야구부 주장 시절 도미해 신기술을 담은 <최근야구술(最近野球術)> 저술
오시카와 키요시
(押川清)
야구인 최초의 일본 프로야구팀인 일본운동협회(日本運動協会) 창설
쿠지 지로
(久慈次郎)
야구선수 하야다이 하코다테 오션의 명포수
사와무라 에이지
(沢村栄治)
야구선수 초기 일본프로야구 대투수, 요미우리 자이언츠 영구결번
오노 미치마로
(小野三千麿)
야구선수, 기자 메이저리거 상대 최초의 일본인 승리투수
1960 코노 아츠시
(河野安通志)
야구인 최초로 근대적 투구법인 와인드업을 일본에 도입, 직업야구의 선각자
사쿠라이 야이치로
(桜井彌一郎)
야구인 일본 최초의 야구팀 결성
아오이 요시오
(青井鉞男)
야구인 제1회 조경전 승리투수
1962 이치오카 타다오
(市岡忠男)
야구인 초대 일본실업야구연맹 이사장
1964 미야하라 키요시
(宮原清)
야구인 초대 일본사회인야구협회장
1965 이노우에 노보리
(井上登)
커미셔너 제2대 일본프로야구 커미셔너
미야타케 사부로
(宮武三郎)
야구선수 투타겸업으로서 활약한 학생야구계의 스타, 토쿄 쿄진군한큐에서 활약한 강타자
카게우라 마사루
(景浦将)
야구선수 초창기 오사카 타이거스를 대표하는 강타자
1966 모리야마 츠네타로
(守山恒太郎)
야구선수 다이이치 고등학교 제2차 황금기[5]에 이름을 날린 좌투수이자 요코하마의 외인팀을 상대로 완봉승을 거둔 명투수. 타자로서도 이름을 날렸다.
1967 코시모토 히로시
(腰本寿)
야구선수, 감독 게이오기주쿠대학 야구부의 황금기를 이끈 감독.
1968 스즈키 소타로
(鈴木惣太郎)
야구인 일본프로야구 창립에 진력 및 프로 초창기 미국야구 교류에 노력
타나베 무네히테
(田辺宗英)
기업가 제4대 코라쿠엔 구장 사장, 고라쿠엔 야구클럽 창설 등 야구 발전에 공로
코바야시 이치조
(小林一三)
기업가, 구단주 일본 최초의 프로야구팀인 시바루야구협회, 타카라즈카 야구협회 결성 및 한큐 야구단 창설, 한큐 니시노미야 구장 건립 등 일본야구계에 큰 기여
1969 미야케 다이스케
(三宅大輔)
야구인 토쿄 쿄진군, 한큐군 초대 감독
타베 타케오
(田部武雄)
야구선수 사회인야구를 대표하는 선수
모리오카 지로
(森岡二朗)
기업가 초대 일본야구연맹 회장
사마다 젠스케
(島田善介)
야구선수 케이오기주쿠대학의 명포수
아리마 요리야스
(有馬頼寧)
정치인 도쿄 세네터즈(東京 セネターズ) 창설자, 가미아쿠사 구장 건설 등 일본야구 발전에 기여
1970 타무라 코마지로
(田村駒治郎)
기업가, 구단주 쇼치쿠 로빈스 구단주
나오키 마츠타로
(直木松太郎)
야구인 일본 최초의 본격적인 야구 규칙 완성, 독자적인 야구기록법을 고안해 전국에 보급
츄만 카나에[6]
中馬庚
야구인 Baseball을 최초로 野球로 번역, 최초의 야구 전문서인 <야구(野球)> 저술
1971 코니시 토쿠로
(小西得郎)
감독, 심판, 해설가
구단 매매 중개인
독자적인 해설로 전국의 팬을 계발하고 야구의 융성 및 번창에 공헌 초대 센트럴리그 우승 감독
미즈노 리하치
(水野利八)
기업가 미즈노 창업주

[1] 기요하라 가즈히로, 에나츠 유타카(마약 복용), 도이 마사히로, 시바타 이사오(도박)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2] 2002년2003년에는 ‘신세기 특별 시상’으로서 20세기 일본 야구계의 기초 만들기에 크게 공헌한 야구에 인연이 있는 저명 인사에 대한 시상도 이뤄졌다.[3] 현역 시절엔 예전 본명이었던 후지모토 히데오(藤本英雄)를 등록명으로 사용했으나 일본야구전당엔 결혼 후 개명한 나카가미 히데오로 입성했다.[4] MLB 루 게릭이 보유했던 2,130경기 연속 출장 기록을 2,215경기로 경신하며 한때 세계기록을 경신했으나 이후 칼 립켄 주니어가 2,632경기 연속 출장으로 기록을 재경신했다.[5] 1902년[6] 일본인들 사이에선 '츄마 카노에'로 읽히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