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4 02:26:46

로베르토 클레멘테

United States Congressional Gold Medal
미합중국 의회 명예 황금 훈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776년 1777년 1779년 1781년
조지 워싱턴 소장 호레이쇼 게이츠 소장 앤서니 웨인 사령관 헨리 리 3세 준장 대니얼 모건
1781년 1787년 1800년 1805년 1813년
소장 너새니얼 그린 존 폴 존스 대령 토머스 트럭스턴 준장 에드워드 프레블 대령 아이작 헐
대령 스티븐 디케이터
대령 제이콥 존스
1813년 1814년
대령 윌리엄 베인브리지 대령 올리버 해저드 페리
대령 제시 엘리엇
대위 윌리엄 워드 버로스 2세
대위 에드워드 매콜
대령 제임스 로렌스 대령 토머스 맥도너
대령 로버트 헨리
대위 스티븐 카신
1814년 1814년, 1848년 1814년
대령 루이스 워링턴 대령 존스턴 블레이클리 소장 제이콥 브라운 소장 윈필드 스콧 소장 피터 부엘 포터
준장 엘리저 윌락 리플리
대령 제임스 밀러
1814년 1815년 1816년
소장 에드먼드 P. 게인스 소장 알렉산더 마콤 소장 앤드루 잭슨 대령 찰스 스튜어트 대령 제임스 비들
1818년 1835년 1846년, 1847년, 1848년 1847년 1854년
소장 윌리엄 해리슨
주지사 아이작 셸비
대령 조지 크로간 소장 재커리 테일러 소머스 호
장교 및 승무원 구출
중령 덩컨 잉그함
1858년 1863년 1864년 1866년 1867년
프레더릭 로즈 소장 율리시스 S. 그랜트 코닐리어스 밴더빌트 로버트 크레이튼
에드윈 J. 로
조지 C. 스투퍼
사이러스 웨스트 필드
1867년 1871년 1873년 1874년, 1904년 1883년
조지 피바디 조지 F. 로빈슨 대령 재러드 크랜달 그 외 존 혼 주니어 존 폭스 슬레이터
1888년 1890년 1900년 1902년 1909년
조셉 프랜시스 수석 엔지니어 조지 W. 멜빌 그 외 중위 프랭크 H. 뉴컴 중위 데이비드 H. 자비스
소위 엘스워스 P. 버트홀프
새뮤얼 J. 콜 박사
라이트 형제
1912년 1914년 1915년 1928년
선장 아서 로스트론 폴 H. 크라이봄 그 외 로물로 세바스티안 나온
에두아르도 수아레스 무히카
찰스 린드버그 로알 아문센
움베르토 노빌
1928년 1929년 1930년 1936년
토머스 에디슨 최초로 성공한 대서양 횡단 비행사 소령 월터 리드 준장 리처드 에벌린 버드 링컨 엘즈워스
1936년 1938년 1939년 1940년
조지 M. 코핸 리처드 올드 리치 부인
안나 불리니
하워드 휴즈 목사 프랜시스 퀸 윌리엄 시넛
1942년 1945년 1946년
롤런드 바우처 1939~1941년 미국 남극 탐험대 육군 원수 조지 C. 마셜
해군 원수 어니스트 킹
육군 원수 존 조지프 퍼싱 준장 빌리 미첼
1949년 1954년 1955년 1956년 1958년
앨번 W. 바클리 어빙 벌린 조너스 소크 박사 남북전쟁의 참전 용사 준장 하이먼 리코버
1959년 1960년 1961년 1962년
로버트 고다드 로버트 프로스트 토머스 앤서니 둘리 3세 밥 호프 샘 레이번
1962년 1968년 1969년 1973년 1977년
육군 원수 더글러스 맥아더 월트 디즈니 윈스턴 처칠 로베르토 클레멘테 매리언 앤더슨
1978년 1979년
중장 아이라 이커 로버트 F. 케네디 존 웨인 벤 아브러조
맥시 앤더슨
래리 뉴먼
휴버트 험프리
1979년 1980년 1982년
미국 적십자 케네스 테일러 1980 미국 하계 올림픽 팀 베아트릭스 여왕 대장 하이먼 리코버
1982년 1983년
프레드 워링 조 루이스 루이스 라머 레오 라이언 대니 토머스
1984년 1985년
해리 S. 트루먼 레이디 버드 존슨 엘리 비젤 로이 윌킨스 조지 거슈윈
아이라 거슈윈
1986년 1987년 1988년
네이선 샤란스키
에비탈 샤란스키
해리 차핀 에런 코플런드 메리 래스커 제시 오언스
1988년 1990년 1991년
앤드루 와이어스 로런스 록펠러 대장 매튜 B. 리지웨이 대장 노먼 슈워츠코프 대장 콜린 파월
1994년 1996년 1997년
랍비 메나헴 멘델 쉬니어슨 루스 그레이엄
빌리 그레이엄
프랭크 시나트라 마더 테레사 바르톨로메오스 1세
1998년 1999년
넬슨 만델라 리틀록 9인 제럴드 포드
베티 포드
로자 파크스 시어도어 헤스버그
2000년
존 오코너 찰스 M. 슐츠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로널드 레이건
낸시 레이건
나바호족 코드 토커
2002년 2003년
대장 휴 셸턴 토니 블레어 재키 로빈슨 도러시 하이트 박사 조셉 디레인
해리 & 일라이자 브릭스
레비 피어슨
2004년 2006년
마틴 루터 킹
코레타 스콧 킹
터스키기 에어맨 달라이 라마 14세 바이런 넬슨 노먼 볼로그 박사
2007년 2008년
마이클 데바키 박사 아웅 산 수 치 콘스탄티노 브루미디 에드워드 윌리엄 브룩 3세 아메리카 원주민 코드 토커
2009년 2010년
여성 공군 군무원 조종사 닐 암스트롱
버즈 올드린
존 글렌
아널드 파머 무함마드 유누스 제100 보병대대
제442 보병연대 전투단
군사정보국
2011년 2012년 2013년
몬트포드 포인트 해병전우회 9.11 테러 참사 사망자 라울 발렌베리 애디 메이 콜린스
데니스 맥네어
캐럴 로버트슨
신시아 웨슬리
제1 특수임무단
2014년
둘리틀 특공대 멤버 미국의 공군 에이스 제2차 세계 대전
민간 항공 초계 부대 멤버
시몬 페레스 모뉴먼츠 맨
2014년 2015년 2016년
제65 보병연대 잭 니클라우스 셀마 몽고메리 행진 제2차 세계 대전 필리핀인 참전 용사 OSS
2017년 2018년
밥 돌 래리 도비 제2차 세계 대전
중국계 미국인 참전 용사
USS 인디애나폴리스 승무원 안와르 사다트
2019년
스티브 글리슨 캐서린 존슨 크리스틴 다든 도로시 본 메리 잭슨
2019년 2020년 2021년
무명의 수여자들 그렉 르몬드 미국 국회의사당 경찰
워싱턴 광역 경찰국 소속 경찰관
제369 보병연대 하미드 카르자이 국제공항에서 전사한 13명의 장병
2022년 2023년
미 육군 제23부대 본부 특수부대
제3133 신호 복무 중대
제6888 중앙우편대대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상선 선원
에밋 틸
메이미 틸모블리
}}}}}}}}}
로베르토 클레멘테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0> 파일:피츠버그 파이리츠 엠블럼.svg피츠버그 파이리츠
영구결번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ccac00> No.1 No.4 No.8 No.9 No.11
<rowcolor=#000000> 빌리 마이어 랄프 카이너 윌리 스타젤 빌 매저로스키 폴 워너
<rowcolor=#ccac00> No.20 No.21 No.33 No.40 No.42
<rowcolor=#000000> 파이 트레이너 로베르토 클레멘테 호너스 와그너 대니 머토 재키 로빈슨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0000> 파일:피츠버그 파이리츠 엠블럼.svg파이리츠
명예의 전당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빌 매저로스키 로베르토 클레멘테 호너스 와그너 윌리 스타젤 아키 본
랄프 카이너 파이 트레이너 맥스 캐리 잭 베클리 프레드 클라크
폴 워너 로이드 워너 스티브 블래스 데이브 파커 대니 머토
조시 깁슨 오스카 찰스턴 레이 브라운 벅 레너드 로이 페이스
밥 프렌드 딕 그로트 켄트 테컬비 배리 본즈 짐 릴랜드
매니 산기옌
}}}}}}}}} ||

파일:MLB 로고.svg 명예의 전당 헌액자
파일:external/baseballhall.org/Clemente%20Roberto%20Plaque%2070_0.png
로베르토 클레멘테
헌액 연도 1973년
헌액 방식 기자단(BBWAA) 투표
투표 결과 93.38% (1회)[1]

로베르토 클레멘테의 수상 경력 / 보유 기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998년 미국 스포팅뉴스가 선정한 역사상 가장 위대한 야구 선수 목록으로 약 25년 전 기록이기 때문에 21세기 스타들이 없는 것을 감안하며 보아야 한다.
1위 2위 3위 4위 5위
베이브 루스 윌리 메이스 타이 콥 월터 존슨 행크 애런
6위 7위 8위 9위 10위
루 게릭 크리스티 매튜슨 테드 윌리엄스 로저스 혼스비 스탠 뮤지얼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조 디마지오 피트 알렉산더 호너스 와그너 사이 영 지미 폭스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자니 벤치 미키 맨틀 조시 깁슨 사첼 페이지 로베르토 클레멘테
}}}}}}}}} ||

파일:ESPN 로고.svg 올타임 MLBRan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22년 2월 ESPN의 패널들이 선정한 역대 메이저 리거 랭킹. 금지 약물 복용자들이 버젓이 선정됐고 기존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평가와는 다른 부분들이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
1위 2위 3위 4위 5위
베이브 루스 윌리 메이스 행크 애런 타이 콥 테드 윌리엄스
6위 7위 8위 9위 10위
루 게릭 미키 맨틀 배리 본즈 월터 존슨 스탠 뮤지얼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페드로 마르티네즈 호너스 와그너 켄 그리피 주니어 그렉 매덕스 마이크 트라웃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조 디마지오 로저 클레멘스 마이크 슈미트 프랭크 로빈슨 로저스 혼스비
}}}}}}}}} ||
월드 시리즈 우승 반지
1960 1971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1966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MVP
윌리 메이스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로베르토 클레멘테
(피츠버그 파이리츠)
올랜도 세페다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브룩스 로빈슨
(볼티모어 오리올스)
로베르토 클레멘테
(피츠버그 파이리츠)
진 테니스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1961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외야수 부문 골드 글러브
월리 문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윌리 메이스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행크 애런
(밀워키 브레이브스)
로베르토 클레멘테
(피츠버그 파이리츠)

윌리 메이스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바이더 핀슨
(신시내티 레즈)
로베르토 클레멘테
(피츠버그 파이리츠)
윌리 메이스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빌 버든
(피츠버그 파이리츠)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1962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외야수 부문 골드 글러브
로베르토 클레멘테
(피츠버그 파이리츠)
윌리 메이스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바이더 핀슨
(신시내티 레즈)
로베르토 클레멘테
(피츠버그 파이리츠)

윌리 메이스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빌 버든
(피츠버그 파이리츠)
로베르토 클레멘테
(피츠버그 파이리츠)
커트 플루드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윌리 메이스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1963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외야수 부문 골드 글러브
로베르토 클레멘테
(피츠버그 파이리츠)
윌리 메이스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빌 버든
(피츠버그 파이리츠)
로베르토 클레멘테
(피츠버그 파이리츠)

커트 플루드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윌리 메이스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로베르토 클레멘테
(피츠버그 파이리츠)
커트 플루드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윌리 메이스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1964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외야수 부문 골드 글러브
로베르토 클레멘테
(피츠버그 파이리츠)
커트 플루드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윌리 메이스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로베르토 클레멘테
(피츠버그 파이리츠)

커트 플루드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윌리 메이스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로베르토 클레멘테
(피츠버그 파이리츠)
커트 플루드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윌리 메이스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1965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외야수 부문 골드 글러브
로베르토 클레멘테
(피츠버그 파이리츠)
커트 플루드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윌리 메이스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로베르토 클레멘테
(피츠버그 파이리츠)

커트 플루드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윌리 메이스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로베르토 클레멘테
(피츠버그 파이리츠)
커트 플루드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윌리 메이스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1966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외야수 부문 골드 글러브
로베르토 클레멘테
(피츠버그 파이리츠)
커트 플루드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윌리 메이스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로베르토 클레멘테
(피츠버그 파이리츠)

커트 플루드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윌리 메이스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로베르토 클레멘테
(피츠버그 파이리츠)
커트 플루드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윌리 메이스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1967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외야수 부문 골드 글러브
로베르토 클레멘테
(피츠버그 파이리츠)
커트 플루드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윌리 메이스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로베르토 클레멘테
(피츠버그 파이리츠)

커트 플루드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윌리 메이스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로베르토 클레멘테
(피츠버그 파이리츠)
커트 플루드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윌리 메이스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1968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외야수 부문 골드 글러브
로베르토 클레멘테
(피츠버그 파이리츠)
커트 플루드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윌리 메이스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로베르토 클레멘테
(피츠버그 파이리츠)

커트 플루드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윌리 메이스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로베르토 클레멘테
(피츠버그 파이리츠)
커트 플루드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피트 로즈
(신시내티 레즈)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1969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외야수 부문 골드 글러브
로베르토 클레멘테
(피츠버그 파이리츠)
커트 플루드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윌리 메이스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로베르토 클레멘테
(피츠버그 파이리츠)

커트 플루드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피트 로즈
(신시내티 레즈)
로베르토 클레멘테
(피츠버그 파이리츠)
피트 로즈
(신시내티 레즈)

토미 아지
(뉴욕 메츠)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1970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외야수 부문 골드 글러브
로베르토 클레멘테
(피츠버그 파이리츠)
커트 플루드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피트 로즈
(신시내티 레즈)
로베르토 클레멘테
(피츠버그 파이리츠)

피트 로즈
(신시내티 레즈)

토미 아지
(뉴욕 메츠)
로베르토 클레멘테
(피츠버그 파이리츠)
윌리 데이비스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바비 본즈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1971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외야수 부문 골드 글러브
로베르토 클레멘테
(피츠버그 파이리츠)
피트 로즈
(신시내티 레즈)

토미 아지
(뉴욕 메츠)
로베르토 클레멘테
(피츠버그 파이리츠)

윌리 데이비스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바비 본즈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로베르토 클레멘테
(피츠버그 파이리츠)
윌리 데이비스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세자르 세데뇨
(휴스턴 애스트로스)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1972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외야수 부문 골드 글러브
로베르토 클레멘테
(피츠버그 파이리츠)
윌리 데이비스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바비 본즈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로베르토 클레멘테
(피츠버그 파이리츠)

윌리 데이비스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세자르 세데뇨
(휴스턴 애스트로스)
윌리 데이비스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세자르 세데뇨
(휴스턴 애스트로스)
바비 본즈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파일:MLB 로고.svg 2006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커미셔너 역사적 공로상
스즈키 이치로
(2005)
로베르토 클레멘테 레이첼 로빈슨[2]
(2007)

보유 기록
외야수 최다 골드 글러브 수상 12회[3]
}}} ||
}}} ||
파일:attachment/로베르토 클레멘테/ClementeR.jpg
<colbgcolor=#000000><colcolor=#fdb827> 피츠버그 파이리츠 No.21
로베르토 엔리케 클레멘테 워커
Roberto Enrique Clemente Walker
출생 1934년 8월 18일
푸에르토리코 캐롤리나
사망 1972년 12월 31일 (향년 38세)
니카라과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
[[틀:국기|]][[틀:국기|]][[푸에르토리코|]])
신체 180cm / 79kg
포지션 우익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1954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BRO)
소속팀 피츠버그 파이리츠 (1955~1972)
1. 개요2. 선수 시절3. 영광의 절정과 비극적 최후4. 명예의 전당 입성
4.1. 명예의 전당 통계(Hall of Fame Statistics)
5. 사회공헌6. 연도별 기록

[clearfix]

1. 개요

"당신에게 세상을 바꿀 수 있는 기회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행동으로 옮기지 않는다면, 당신은 당신에게 주어진 시간을 낭비하는 것입니다."
(Anytime you have an opportunity to make a difference in this world and you don't, then you are wasting your time on Earth.)

푸에르토리코 출신의 전 야구선수. 메이저리그의 1세대 카리브해/중남미 출신 선수 중 한 명이다. 통산 타율 0.317과 3,000안타, 외야수로서 12회의 골드 글러브MLB MVP 1회 수상한 실적 외에도 인품, 사회봉사 정신 또한 투철한 것으로 널리 알려져 각계각층으로부터 존경받는 선수이다.

통산 성적은 타율 .317, 240홈런, 3,000안타, 출루율 .359, 장타율 .475, OPS .834, 순장타율 .158, BB/K 0.5, wRC+ 129, 1305타점, 1416득점을 기록했다.

2. 선수 시절

처음에는 브루클린 다저스의 스카우트인 앨 캄파니스가 클레멘테를 강력히 추천하여 다저스와 연봉 5000달러 보너스 1만 달러 계약을 맺었다. 하지만 다저스가 제일 먼저 인종차별을 철폐하는데 앞장서는 바람에 뛰어난 실력을 지닌 흑인 및 히스패닉 계열 선수가 많아서 클레멘테가 뛸만한 자리가 없었고 마이너리그에서도 출전하지 못했다. 이유는 당시 메이저리그에는 '4000달러 이상의 보너스를 받은 선수는 무조건 2시즌 동안 메이저리그 로스터에 포함시켜야 한다.'라는 보너스 룰이라는 규정이 있었고, 이를 어길 경우 그 선수를 룰5 드래프트에 내보내야 했기 때문이다. 결국 다저스는 그를 출전시키지 않고 그의 존재 자체를 숨기려고 했다.

그러나 그를 숨기려는 노력은 결국 실패로 돌아갔는데, 바로 다저스에서 흑인 차별을 없앴던 전설적인 명 단장 브랜치 리키피츠버그 파이리츠의 단장으로 취임한 후 그를 지명해 자신의 팀으로 데려온 것.[4] 그리고 1955시즌 뉴욕 자이언츠의 홈구장인 폴로 그라운즈에서 메이저리그 데뷔 후의 첫 홈런을 때리며 그의 진가를 보여주기 시작했다.[5]

파일:external/www.theoleballgame.com/roberto-clemente.jpg
마구잡이 타법으로 유명했다. 머리부터 무릎까지 모든 공을 다 친다는 평을 들었을 정도였고, 선수 생활 끝까지 이 배드볼 히터 성향은 변함이 없었다. 하지만 전설적인 안타왕인 조지 시슬러의 지도로 무거운 방망이를 쓴 후 정확하게 볼을 맞추기 시작하면서 드디어 빛을 발하기 시작했다. 그래서 1960년과 1971년 두 차례 월드시리즈 타이틀을 피츠버그에 안겨주기도 했고, 본인은 꾸준히 3할 타율을 유지하면서 3,000안타까지 도달했다. 아울러 역대 최고 수준의 우익수 수비를 자랑하기도 했다. 풋아웃과 '엘 바주카'로 불릴 정도의 엄청난 강견을 바탕으로 한 어시스트 같은 고전적인 스탯부터 Total Zone Runs 같은 세이버메트릭스 지표에 이르기까지 대부분의 역대 우익수 지표에서 정상권을 기록하고 있다. 스즈키 이치로조차 클레멘테에겐 미치지 못한다고 할 정도.

일찍이 중남미 선수들의 권익을 위해 앞장서서 맞서던 인물이기도 했다. 자신의 이름은 반드시 본명인 로베르토로 불리기를 원했고, 엉뚱한 별명이 붙을 경우 이를 정정하기 위해 언론과 맞서는 것도 불사했다. 아직 흑인 차별의 잔재가 남았던 시절에 비 미국인이자 흑인으로서 자신과 비슷한 처지에 있는 중남미 출신의 흑인 선수들의 권익을 위해 스타 선수로서 자존심을 세우고, 그들의 권익을 위해 끝까지 투쟁했던 것이다. 덕분에 중남미 출신 선수들 모두의 우상이 되었다.

잔부상이 굉장히 많았고, 특히 담 증세에 꽤나 시달려서 자신의 차례의 타격이나 수비가 끝나면 몸이 굳어지지 않게 벤치에서 스트레칭하느라 엄청 부산스러웠다. 그럼에도 좋은 성적을 남겼다는 점은 높이 평가받을 수 있다.

1956년 7월 25일 메이저리그에서 유일한 끝내기 인사이드 파크 만루홈런을 쳐서 9-8로 극적인 역전승을 이끈 적이 있다. 아쉽게도 영상으로는 남지 않았다.

3. 영광의 절정과 비극적 최후

파일:external/3.bp.blogspot.com/clemente.jpg
로베르토 클레멘테의 사망을 다룬 피츠버그 지역지 헤드라인.

그러나 그는 이 모든 영광보다도, 비극적이면서도 영웅적인 최후로 인해 후대에 길이 이름을 남기게 되었다. 아직 팔팔한 현역이던 1972년 102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0.312를 기록했으며, 통산 12번째 골든 글러브를 수상했다. 더불어 시즌 마지막 타석의 마지막 안타를 정확하게 통산 3,000번째 안타로 장식하였다.[6][7] 이로써 사실상 명예의 전당행도 일찌감치 예약해놓은 상태였다. [MLB 오늘은] 로베르토 클레멘테의 마지막 타석 '3000안타' (1972.09.30)

그 해 연말에는 전세 비행기에 식량 등의 구호물자를 가득 싣고 니카라과로 향했다. 크리스마스를 앞두고 대지진으로 큰 피해를 입은 니카라과에 구호물자를 전해주기 위해서였다. 하지만 그가 탄 비행기는 악천후 속에 추락하고 말았고, 그를 포함한 구호팀은 전원 사망하였다. 이 때 그의 나이는 불과 38세였다.[8][9]

4. 명예의 전당 입성

많은 이들의 애도 속에 그는 루 게릭 이래 최초로 5년간의 유예기간 없이 바로 메이저리그 명예의 전당 후보에 올랐고, 92.69%의 득표율로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그러면서 메이저리그 명예의 전당에 미국 외 출신으로 들어간 첫 번째 선수로 기록되었다.[10]

4.1. 명예의 전당 통계(Hall of Fame Statistics)

블랙잉크그레이잉크HOF 모니터HOF 스탠다드
로베르토 클레멘테 23 154 231 51
HOF 입성자 평균 27 144 100 50
  • JAWS - Right Field (6th)
career WAR7yr-peak WARJAWS
로베르토 클레멘테 94.5 54.3 74.4
우익수 HOF 입성자 평균 73.2 43.0 58.1

5. 사회공헌

그의 이름은 지금까지도 매년 지역사회에 대한 공헌이 큰 선수에게 시상하는 로베르토 클레멘테 상으로 남아 있다. 이 상은 현재 모든 메이저리그 선수들이 타고 싶어하는 가장 명예로운 상이다.[11][12] 그리고 푸에르토리코프로야구 리그도 그의 이름을 따 로베르토 클레멘테 프로야구 리그.

히스패닉계의 영웅인 그를 기념하기 위해 그의 등번호인 21[13]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전체 영구결번으로 지정하려는 움직임이 2000년대 중반에 있었으나 무산됐다.[14] 그의 등번호 21번은 1회와 2회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서 푸에르토 리코 대표팀이 영구결번 처리했다. 아울러 당연히 피츠버그 파이리츠의 영구결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0px-RobertoClementeStatueatPNCPark.jpg
피츠버그 파이리츠의 홈구장인 PNC 파크 바로 옆을 지나는 다리가 그의 이름을 따서 로베르토 클레멘테 브리지(Roberto Clemente Bridge)로 명명되었고, 파이리츠의 전 구장인 스리 리버스 스타디움이 있던 자리에 로베르토 클레멘테 기념 공원이 조성되었다. 또 PNC 파크의 우측 펜스는 클레멘테 월(Clemente Wall)로 명명되고 있다. 펜스의 높이는 그의 등번호에서 딴 21피트(약 6.4m)이다.

파일:external/www.progressivegrocer.com/Roberto%20Clemente%20Statue.jpg
이것은 뉴욕에 있는 로베르토 클레멘테 동상. GOYA 푸드에서 협찬해서 조성된 로베르토 클레멘테 주립공원에 있다.

그리고 정확히 33년뒤에 아들인 로베르토 클레멘테 주니어가 33년전 아버지가 준비했던 구호품과 똑같은 구호품을 가지고 니카라과로 가려고 했다. 하지만 남아시아 대지진으로 엉망이 된 동남아가 더 도움이 급하다고 하여 그는 동남아로 구호품을 가지고 직접 가서 전해줬다. 참고로 아들인 주니어도 필라델피아 필리스, 샌디에이고 파드레스 산하 마이너리그 팀에서 야구선수로 뛰었지만 부상 때문에 메이저리그의 꿈을 접고 은퇴한 뒤 평범한 사회인으로 살았다. 대신 그의 사후 태어난 조카 에드가르드 클레멘테콜로라도 로키스, 애너하임 에인절스에서 1998~2000년까지 백업 외야수로서 메이저리그 선수로 뛰기도 했다.

2015년, 클레멘테를 성인으로 추대하려는 움직임에 대해 교황 프란치스코가 이를 축복하는 내용의 편지를 보냈다고 보도되었으나 교황청은 사실이 아니라고 해명하였다.

6. 연도별 기록

파일:MLB 로고.svg 로베르토 클레멘테의 역대 MLB 기록
<rowcolor=#fdb827> 연도 G PA H 2B 3B HR R RBI SB BB SO AVG OBP SLG OPS fWAR bWAR
1955 PIT 124 501 121 23 11 5 48 47 2 18 60 .255 .284 .382 .666 -0.9 -0.4
1956 147 572 169 30 7 7 66 60 6 13 58 .311 .330 .431 .761 1.8 2.4
1957 111 474 114 17 7 4 42 30 0 23 45 .253 .288 .348 .637 1.5 1.4
1958 140 556 150 24 10 6 69 50 8 31 41 .289 .327 .408 .736 3.7 4.4
1959 105 456 128 17 7 4 60 50 2 15 51 .296 .322 .396 .718 1.9 2.8
1960 144 620 179 22 6 16 89 94 4 39 72 .314 .357 .458 .815 3.4 4.0
1961 146 614 201 30 10 23 100 89 4 35 59 .351 .390 .559 .949 5.3 6.4
1962 144 581 168 28 9 10 95 74 6 35 73 .312 .352 .454 .805 3.6 3.9
1963 152 642 192 23 8 17 77 76 12 31 64 .320 .356 .470 .826 4.6 5.3
1964 155 683 211 40 7 12 95 87 5 51 87 .339 .388 .484 .872 6.1 7.2
1965 152 642 194 21 14 10 91 65 8 43 78 .329 .378 .463 .842 6.0 7.1
1966 154 690 202 31 11 29 105 119 7 46 109 .317 .360 .554 .956 7.6 8.2
1967 147 632 209 26 10 23 103 110 9 41 103 .357 .400 .554 .954 7.7 9.0
1968 132 557 146 18 12 18 74 57 2 51 77 .291 .355 .482 .838 6.7 8.2
1969 138 570 175 20 12 19 87 91 4 56 73 .345 .411 .544 .955 7.0 7.5
1970 108 455 145 22 10 14 65 60 3 38 66 .352 .407 .556 .963 4.7 5.5
1971 132 553 178 29 8 13 82 86 1 26 65 .341 .370 .502 .871 6.5 7.3
1972 102 413 118 19 7 10 68 60 0 29 49 .312 .356 .479 .835 4.0 4.8
MLB 통산
(18시즌)
2433 10211 3000 440 166 240 1416 1305 83 621 1230 .317 .359 .475 .834 80.6 94.8

[1] 후술하겠지만 비행기 사고로 인한 갑작스런 죽음으로 5년 유예 기간을 면제받았다.[2] 재키 로빈슨의 아내로 남편의 MLB 데뷔 40주년을 기념하여 남편의 유산을 계승·발전시킨 공로로 수상했다.[3] 윌리 메이스와 동률.[4] 다만 클레멘테가 다저스에서 데뷔를 못한 것에 대해 당시 다저스의 단장인 버지 버베이시의 증언은 달랐다. 버지는 당시 흑인 선수의 비중은 문제될 것이 없었고 '팀의 승리'에 대해 클레멘테를 어떻게 할 지 두고 이사회를 소집했다고 한다. 이사회는 선수들의 의견을 듣고 결정하기로 했는데 여기서 재키 로빈슨이 "클레멘테가 올라오면 누굴 내릴 것이냐"라는 질문을 했고 이에 버지가 당시 부진에 빠졌던 조지 슈바를 내릴 것이라는 답변을 하자 로빈슨은 이에 "팀 내 최고의 선수는 아니지만 신망이 두터운 선수"라며 즉각 항변했고 이내 "내가 단장이라면 클레멘테를 올리지 않고 슈바나 다른 백인 선수를 내리지 않을 것이다. 이 결정을 하게 된다면 우리는 퇴보할 것."이라며 클레멘테의 콜업에 강력히 반대했다. 사실 로빈슨과 슈바는 다저스의 마이너리그 팀이었던 몬트리올 로열스 시절부터 친하게 지내기도 했다. 어쨌든 다른 사람도 아니고 클레멘테의 사정을 누구보다 잘 알았을 로빈슨이었기에 더욱 충격적인 발언이었다. 만약 이게 사실이라면 현재 미국 내 흑인들이 비판받고 있는 문제점인 '히스패닉 차별'의 또 다른 사례가 될 수도 있다.[5] 당시 자신이 기록한 1호 홈런이 인사이드 더 파크 홈런이었다. 초대형 구장으로 유명한 폴로 그라운즈의 3측 불펜 앞에 떨어지는 비거리 135미터 짜리 홈런이 이해가 가지 않는다면 폴로 그라운즈 문서를 참조 할 것을 추천한다.[6] 말하자면 로베르토 클레멘테의 통산 3,000번째 안타는 (정규시즌 기준으로) 그의 생애 마지막 타석에서 나온, 마지막 안타였다. 비록 그 순간에는 본인을 포함해서 아무도 몰랐겠지만.[7] 그해 피츠버그가 내셔널리그 동부지구 우승을 차지해 신시내티 레즈와 리그 챔피언십 결정전을 치렀고, 로베르토도 당연히 출전했다. 결국 이것이 그의 생애 마지막 메이저리그 출전이 되었다.[8] 이전부터 니카라과에 구호품을 전달해줬는데, 니카라과를 통치하던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데바일레 일당과 그 휘하의 부패한 관리들이 그걸 가로채는 일이 계속되었다. 결국 이를 참다못한 클레멘테가 자신이 직접 전세기를 타고 전달하려 했다가 그만 화를 입고 만 것. 여기에 6개월간의 수색에도 클레멘테의 시신은 끝끝내 찾지 못했는데, 이러한 사연이 알려진 후 더욱 안타까워하는 사람들이 많았다.[9] 원래는 갓 메이저리그에 데뷔한 절친한 후배인 톰 워커라는 선수도 같이 갈 예정이었지만 클레멘테는 미혼인 그에게 가족과 연말을 보내길 권했고 워커는 클레멘테가 구호물자를 싣는 것만 도와주고 돌아오게 되어 참사를 피할 수 있었다. 화를 피한 워커가 결혼한 후 낳은 아들 닐 워커는 훗날 피츠버그에서 준수한 타자로 활약하게 된다.[10] 단 푸에르토리코는 미국의 자치령이기 때문에 엄밀히 보면 클레멘테도 미국 국민이라 볼 수 있다. 미국 외 국적으로 최초로 명예의 전당에 들어간 선수는 도미니카 공화국 출신의 후안 마리샬이다.[11] 2005년 로베르토 클레멘테 상 수상자였던 존 스몰츠의 수상소감. "이 상은 지금껏 내가 받은 상 중에서 가장 큰 상이다. 사이 영 상을 받았을 때보다 더 영광스럽다. 다른 사람들에게 더 많은 영향력을 준다는 의미에서 이 상은 그 어떤 상보다도 위대한 상이다."[12] 좀 더 정확히 말하자면 상 자체는 클레멘테 사망 전부터 있었고 그 때는 그냥 커미셔너 특별상이라는 이름이었다. 클레멘테 사망 이후 그를 기리는 차원에서 그의 이름을 붙인 것이다.[13] 재밌게도 메이저리그 전체 영구 결번인 재키 로빈슨이 달았던 42의 정확하게 절반이다.[14] 일단 메이저리그 사무국에서 그다지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지 않았고, 여기에 재키 로빈슨의 유족측에서도 부정적 입장을 비춘 것까지 더해져서 로베르토 클레멘테의 21번을 전체 영구결번으로 지정하는 것은 흐지부지되었다. 단순히 재키 로빈슨 유족의 반대만으로 무산되었다는 일부 주장은 와전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