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 | <tablebordercolor=#ae1932,#ae1932>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자치구 | ||||
종로구 | 용산구 | 성동구 | 광진구 | ||
동대문구 | 중랑구 | 성북구 | 강북구 | 도봉구 | |
노원구 | 은평구 | 서대문구 | 마포구 | 양천구 | |
강서구 | 구로구 | 금천구 | 영등포구 | 동작구 | |
관악구 | 서초구 | 강남구 | 송파구 | 강동구 | }}}}}}}}} |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007147,#007147>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행정동 | 법정동 | |||
<colbgcolor=#007147,#007147> 풍납1동 | 풍납동 | ||||
풍납2동 | |||||
마천1동 | 마천동 | ||||
마천2동 | |||||
방이1동 | 방이동 | ||||
방이2동 | |||||
오륜동 | |||||
오금동 | 오금동 | ||||
송파1동 | 송파동 | ||||
송파2동 | |||||
석촌동 | 석촌동 | ||||
삼전동 | 삼전동 | ||||
가락본동 | 가락동 | ||||
가락1동 | |||||
가락2동 | |||||
문정1동 | 문정동 | ||||
문정2동 | 장지동 | ||||
장지동 | |||||
위례동 | 거여동 | ||||
거여1동 | |||||
거여2동 | |||||
잠실본동 | 잠실동 | ||||
잠실2동 | |||||
잠실3동 | |||||
잠실7동 | |||||
잠실4동 | [[송파구청| 구청 ]] 신천동 | ||||
잠실6동 |
서울특별시의 자치구 {{{#!wiki style="margin: -5px -1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 송파구 松坡區 Songpa-gu | }}} | |||
<colbgcolor=#007147,#007147><colcolor=#ffffff> 구청 소재지 | 올림픽로 326 (신천동) | |||||
광역자치단체 | 서울특별시 | |||||
하위 행정구역 | 27동[1] | |||||
면적 | 33.87㎢ | |||||
인구 | 645,729명[2][3] | |||||
인구 밀도 | 19,071.53명/㎢[4] | |||||
구청장 | | 서강석 (초선) | ||||
구의회 | | 15석[5] | ||||
| 10석[6] | |||||
| 1석[7] | |||||
시의원 | | 6석[8] | ||||
국회 의원 | <colbgcolor=#007147,#007147><colcolor=#ffffff> 갑 | | 박정훈 (초선) | |||
을 | | 배현진 (재선) | ||||
병 | | 남인순 (4선) | ||||
상징 | 구화 | 왕벚꽃 | ||||
구목 | 소나무[9] | |||||
구조 | 학[10] | |||||
지역번호 | 02 | |||||
홈페이지 | | |||||
SNS | |
1. 개요
서울특별시의 동남부에 위치한 자치구. '송파(松坡)'라는 이름은 소나무가 많은 언덕이라는 뜻에서 유래하였다. 서울 자치구 중 인구 1위[11]이자 동남권의 핵심 거점이며, 강남 3구에 속하는 서울 내 부촌 중 하나이다.대한민국 최고층이자 세계에서 여섯 번째로 높은 롯데월드타워가 있으며, 타워가 자리한 잠실역 일대는 상업·관광·업무·교통의 중심지로 기능한다. 또한 송파 남부의 문정법조타운에는 각종 법률 관련 기관과 기업이 밀집해 있다.
1988년 서울 올림픽의 유산인 잠실종합운동장과 올림픽공원이 위치해 있어, 국내외 스포츠 경기뿐 아니라 대규모 공연·콘서트가 열리는 문화·체육 시설이 풍부하다. 아울러 풍납토성, 몽촌토성 등 한성백제의 역사 유적지가 다수 분포한 역사적 도시이기도 하다.
서울 내 보기 드문 대규모 도심 속 호수공원인 석촌호수를 비롯해, 올림픽공원, 잠실한강공원, 성내천, 탄천 등 수변 공간과 공원 녹지가 잘 조성되어 있으며, 송파둘레길을 따라 산책과 여가를 즐길 수 있는 친환경적 도시 구조를 갖추고 있다.
송파구는 서울 내에서도 손꼽히는 교통 허브다. 서울 지하철역 중 최다 승객 1위를 다투는 잠실역[12]2호선 잠실역은 일평균 승하차 인원이 전체 273개 역 중 1위를 기록했다.]을 중심으로, 지하철 2호선, 3호선, 5호선, 8호선, 9호선 등 여러 노선이 지나간다. 특히 잠실광역환승센터를 통해 경기 동남부 지역과의 광역 교통 연계성이 뛰어나다. 송파대로, 올림픽대로 등 주요 간선도로도 잘 갖춰져 있다.
인구 규모가 큰 만큼 주거 환경의 양극화가 두드러지는 편이다. 송파구의 대표적인 부촌인 잠실에는 고가의 대규모 아파트 단지들이 많다.[13] 반면, 송파 중부[14]에는 빌라촌이 넓게 형성되어 있으며, 송파 남부의 거여·마천 역시 개발이 상대적으로 늦어 중산층 비중이 높은 편이다. 다만 거여·마천은 거여마천뉴타운 사업이 추진되면서 재개발이 진행 중이며, 이러한 격차는 점차 완화되는 추세이다.
2. 상징
서울특별시 송파구의 휘장 | |
<colbgcolor=#fff,#2d2f34> 1994년[15] ~ 2006년 11월 16일 | 지방자치제(민선구청장) 초창기부터 2006년 11월 16일까지 사용된 휘장이다. 타원을 점진적으로 변화시켜 구목인 소나무를 상징적으로 표현하였으며, 원근감 있게 뻗어나가는 타원은 활기차고 역동적이며 번영하는 송파구의 이미지를 상징한다. 소나무를 이루는 다섯개의 원은 올림픽을 치러낸 지역으로서의 자긍심을 고취시키는 오륜을 뜻을 포함한다. 색상은 청색과 녹색으로 "깨끗하고 살기좋은 송파구"라는 환경메시지도 담고 있다.# |
2006년 11월 17일 ~ 2020년 7월 5일 | 2006년 11월 17일 부터 2020년 7월 5일까지 사용했던 송파구의 휘장이다. 종전 휘장을 약간 리뉴얼했는데, 하단 부분이 다르다. |
2020년 7월 6일 ~ 2022년 6월 30일 | 2020년 7월 6일부터 2022년 6월 30일까지 사용했던 송파구의 휘장이다. 'ㅅ'은 서울을 선도하는 송파, 사람을 생각하는 도시, 내일을 상상하는 도시 송파를 상징하며 'ㅅ'의 바탕이 되는 정사각형의 이미지는 도시의 바른 기반으로서 시민들의 행복을 담아내는 장소를 의미한다. 두 개의 정사각형이 결합된 이미지는 송파의 다양한 사람, 풍부한 문화, 색다른 이야깃거리가 함께 조화를 이루는 모습을 표현한다. 'ㅅ'이 두 정사각형의 경계를 넘는 모습을 통해 생각을 뛰어넘어 새롭게 도약하는 도시, 창의적인 도시를 표현한다. 상단에 사용된 스카이 블루는 송파의 하늘로서 푸르른 시민들의 삶과 도시의 내일을 상징하며 하단에 사용된 다크 블루는 송파의 땅으로서 시민들이 믿을 수 있는 바른 기반의 도시를 상징한다. # 다만 JB금융그룹 또는 더블에이 로고와 비슷하다는 혹평도 있었다. 이렇게 제작된 CI는 매우 다양한 곳에 사용되었으나, 2년 반만에 교체되었다. |
2023년 1월 1일 ~ | 2023년 1월 1일부터 사용중인 송파구의 새 휘장이다. 소나무 언덕(松坡)이라는 뜻에 따라 소나무와 솔방울 열매 형태의 로고로, 서울시와 송파구를 상징하는 ㅅ 형상과 더 높은 곳으로 나아가는 기상을 표현하는 화살표 형상을 활용했다. 초록색은 소나무 잎의 색상으로 구름 위에 소나무가 푸르게 우거진 살기 좋고 맑은 환경의 도시를 상징하며, 하단에 사용된 황토색은 소나무의 기둥이자 유구한 한성백제의 역사를 보존하고 있는 도시 송파를 의미한다. |
서울특별시 송파구의 슬로건 | |
2022.07.01 ~ 현재 | 민선 8기 송파구정의 밝은 미래와 역동성을 비상하는 이미지로 시각화하여 한 단계 도약하는 송파와 창의와 혁신을 통한 다시 뛰는 송파를 만들고자 하는 의지를 표현했다. 민선 8기 출범 이후 2022년 12월 31일까지는 로고와 캐릭터, 슬로건을 모두 이것으로 사용하기도 했다. |
서울특별시 송파구의 국제관광도시 엠블럼 | |
2012.09. ~ 현재 | 올림픽 개최 도시 송파를 떠올리는 오륜기의 5가지 색깔을 이용하여 자연, 물, 도시, 사람, 희망을 꽃잎으로 표현하였고, 송파의 랜드마크가 될[16] 롯데월드타워를 꽃술로 나타낸 것이다. |
서울특별시 송파구의 캐릭터 | |
국제관광도시송파 마스코트 | |
리뉴얼 전 솔이(? ~ 2006년 11월 16일 | |
솔이 2006년 11월 17일 ~ 2020년 7월 5일 | |
2020년 7월 6일 ~ 2022년 6월 30일 | 2020년 7월 6일부터 2022년 6월 30일까지 사용했던 송파구의 캐릭터 '송송', ''파파'이다.# ‘송파’의 자음 ‘ㅅㅍ’을 활용하여 귀엽고 친근한 심볼마크로 표현하였으며 명칭은 ‘송파’ 각 글자를 단순 반복한 ‘송송 , 파파’로서 재미와 친근함을 표현했다. ‘ㅅ’은 행복의 중심과 따뜻한 마음을 나타내는 하트로서 주민들의 행복한 삶을 상징하며, ‘ㅍ’은 내일을 여는 문이자 다양함을 연결하는 다리로서 내일로 연결하는 도시, 다양한 사람과 문화와 가치를 연결하는 도시를 상징한다. |
2023년 1월 1일 ~ 현재 | 2023년 1월 1일부터 사용중인 송파구의 새 마스코트, 하하와 호호는 88올림픽의 마스코트를 호랑이 옷을 입은 아르바이트 학생으로 가정하고 그들이 결혼하여 낳은 아이들로 설정된 캐릭터이다. 2023년 하반기에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주최하고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주관하는 우리동네캐릭터 대상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
송파구는 민선 8기에 들어 이전에 개발된 CI와 캐릭터가 도시의 정체성을 제대로 대변하지 못한다는 구민들의 의견이 많아 이를 반영하기 위해 도시의 정체성과 역사성을 담은 새로운 도시브랜드를 개발하게 되었다.
3. 역사
||<-3><tablealign=center><bgcolor=#007147,#007147><tablebordercolor=#007147,#007147><tablebgcolor=#fff,#1c1d1f> 송파구 행정구역 변천사 ||
양주군 고양주면(楊州郡 古楊州面), 1896 | 광주군 중대면[17] (廣州郡 中垈面) 1896 | 광주군 구천면 풍납리 (廣州郡 龜川面 風納里) 1896 |
↓ | ||
고양군 뚝도면(高陽郡 纛島面), 1914 | ||
↓ | ||
서울특별시 성동구(城東區), 1949 | ||
↓ | ||
서울특별시 성동구(城東區), 1963 | ||
↓ | ||
서울특별시 강남구(江南區), 1975 | ||
↓ | ||
서울특별시 강동구(江東區), 1979 | ||
↓ | ||
서울특별시 송파구(松坡區), 1988 |
1989년 9월 1일 잠실본동에서 잠실7동이 문정동에서 문정2동이 각각 분동과 동시에 문정동은 문정1동으로 개칭 및 가락동 중 양재대로 이북지역[18]이 송파동에 편입되었다.
3.1. 전근대
백제의 전기시대인 한성백제의 수도 위례성이 위치해 있었다고 추정, 사실상 거의 확증되어 있다. 위례신도시/위례동의 명칭도 위례성에서 따온 것이다. 그래서 유물도 매우 많은데 풍납동에 도읍 추정지인 풍납토성, 방이동과 석촌동에는 부도읍 추정지인 몽촌토성과 방이동 고분군, 석촌동 고분군 등의 백제고분군이 있다. 이렇게 유적이 많을 수밖에 없는 게 이 일대가 온조왕부터 개로왕까지 장장 500여 년 동안 백제의 중심지였기 때문이다. 그래서 서울 지하철 9호선에는 한성백제역이 만들어졌고 그동안의 발굴물을 전시한 한성백제박물관도 있다. 이외에도 송파구 전체 면적의 무려 42.6%가 유적이 발굴될 가능성이 있는 곳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 2020년 쯤에 들어서는 잠실진주아파트 재건축 현장을 비롯한 각종 재개발 부지에서 대규모의 거주지 유적과 새로운 고분군이 발굴되기도 했다. #이외에도 역사와 엮일 거리가 참 많은 동네이다. 일례로 탈춤 무형문화재 중 하나인 송파산대놀이가 바로 이곳에서 발생한 탈춤이고, '삼전'이란 동네는 병자호란 당시 삼전도의 굴욕(정축하성)이 일어났던 곳이다. '잠실'은 세종(조선) 시대 양잠 정책을 위해 뽕밭으로 개발한 곳.[19] 하지만 이제는 잠실한강공원을 제외하면 뽕나무를 찾아볼 수 있는 곳은 사실상 없다.
송파산대놀이는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명맥을 이어가고 있으며 간혹 서울놀이마당에서 볼 수 있다. 삼전도[20]는 송파강이 석촌호수로 메워져서 흔적도 없는 데다 잠실섬 자체는 강남으로 들어와버렸고, 잠실의 뽕나무 밭은 개발의 역사에 밀려 없어진 지 오래. 그나마 석촌동의 조그만 공원 한구석에 삼전도비가 남아 있다가 2007년에 페인트 테러를 당한 적이 있다.[21] 이후 훼손된 부분을 복원하고 삼전 주민들의 재산권 관련 소송으로 인해 문화재청은 삼전도비의 이전을 결정하였고 2010년 3월, 원래 삼전도비가 있을걸로 추정되는 장소와 가장 가깝다고 추정되는 석촌호수에 삼전도비를 옮겼다. 참고로 위치를 말하자면, 잠실 롯데호텔 월드 앞에 있는 너구리상에서 석촌호수 쪽으로 길을 건너면 바로 앞에 있다.
3.2. 근대
근대에 들어 잠실동과 신천동을 제외한 송파구 전역은 옛 광주군(풍납동은 구천면, 나머지 전역은 중대면)의 영역이었고, 잠실동과 신천동은 옛 양주군(고양주면)의 영역이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고양군[22] 뚝도면으로 편입되었다. 즉 잠실·신천과 나머지 송파구 지역은 역사적으로 원래 다른 지역이었다. 중대면 지역은 조선 시대 송파장, 산대놀이로 유명하였다.
이렇게 이질적인 지역이 한 지역이 된 이유는 한강의 본류가 원래 지금과 같은 형태가 아닌 현재의 석촌호수 자리(옛 송파강)였기 때문이다. 잠실·신천은 1925년 을축년 대홍수 이전까지는 강북에 해당되었으나, 대홍수로 현재의 한강 본류에 해당되는 새로운 물길(옛 신천강)이 생겨서 여의도와 같은 하중도가 되었다. 이후 1970년대 강남 개발이 본격화되면서 한강의 유로를 정비하였고, 그 과정에서 원래의 한강 본류인 송파강을 메워 육지화시킴으로서 잠실·신천 하중도를 한강 이남으로 만들고[23], 지류인 신천강을 본류화하여 현재의 한강 본류가 되었다. 이렇게 하여 현재의 송파구 지형이 형성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송파에 있던 송파나루는 그 기능이 쇠퇴해 버렸다. 더불어 지형을 원래 강 유로를 메워 형성시켰기 때문에 잠실 지역은 지반이 다른 지역에 비해 상당히 약한 편이다.
3.3. 현대
- 1949년 고양군 뚝도면 잠실·신천이 서울특별시 성동구에 편입.
- 1963년 1월 1일 광주군 구천면·중대면 역시 성동구에 편입.
- 1973년 7월 1일 송파출장소가 폐지되어 송파출장소 중 탄천 이동지역은 천호출장소로 통합.
- 1975년 10월 1일 강남 개발이 본격화되면서 성동구의 한강 이남이 강남구로 분구.
- 1979년 10월 1일 강남구의 탄천 동쪽이 강동구로 분구.
- 1988년 1월 1일 강동구에서 탄천 일대의 송파구를 분리 신설해 현행 관할구역 확립.
- 1989년 9월 1일 가락동의 양재대로 이북지역[24]을 송파동에 편입.
1988년 강동구에서 분구[25]될 때 '잠실구', '올림픽구', '송파구'라는 명칭이 후보에 올랐으나 고려 시대부터 불렸던 지명인 유서 있는 명칭인 지금의 이름으로 최종 결정되었다. 한편 올림픽은 외국어라 부적합하다면서 송파동이 신설구의 중심지이고 송파나루, 송파산대놀이와 같이 전통 문화 고취라는 취지로 송파구로 선정되었다. 하지만 당시 올림픽을 앞둔 상황이라 민주정의당이 올림픽구로의 명칭 변경을 정부에 건의하면서 개칭이 검토되기도 하였다.
1988년 분구 이후로도 강동구의 흔적이 오랫동안 많이 남아있는데, 잠실리센츠 아파트단지 내에 위치한 강동송파교육지원청은 이름처럼 강동구와 송파구를 관할 구역으로 두고 있으며, 2010년까지 강동교육청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다 강동교육지원청으로 바꾸고, 2014년에 들어서야 강동송파교육지원청 명칭으로 기관명에 송파를 넣게 되었다. 등기소 또한 잠실본동에 강동등기소가 2017년까지 운영되다가, 현재는 문정동 서울동부지방법원등기국으로 통합 이전하였다. 아무래도 상관없지만 알바천국은 지역별 공고 메뉴에서 송파를 강동 권역으로 묶어 분류하고 있기도 하며[26], 예비군훈련장 역시 강동송파예비군훈련장 이라고 묶여있다. 지금은 나뉘었지만 예전에는 강동송파케이블이 있었다.[27] 풍납동의 경우 관내 농협조합이 송파농협이 아닌 강동농협 관할이다. 송파구는 강동구에서 분리 신설된 역사적인 요인과 행정구역의 편의상 강동구와 같은 대중교통, 버스 3권역(서울)에 속하며, 한국전력 강동송파지사, LX 한국국토정보공사 강동송파지사, 그리고 상술한 6학군을 관할하는 강동송파교육청과 같은 다양한 민관 기관 및 기업들이 강동구와 송파구를 연계해 설립한 지사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있다.[28]
다방면으로 현재까지도 연계되어 있는 강동구에 비해선 미미하지만, 성동구의 흔적 또한 남아있다. 광진구 관내 농협조합인 중앙농협이 잠실 일대에 지점 2곳(신천/동잠실)을 운영 중인데 원래 중앙농협 자체가 성동구의 크기가 상당히 크던 시절 성동농협으로 설립되었고 이 당시의 영업구역이 현재도 인정되기 때문이다. 심지어 신천지점은 아예 성동농협 신천지소라는 이름으로 10년간 영업했으며 2001년에 와서야 조합 명칭이 중앙농협으로 바뀌었다.[29] 이런 사정 때문에 전국조합장선거 당시 잠실 일대에 광진구선거관리위원회 명의의 현수막까지 붙어있었다.[30]
그리고 2015년 7월 초 장지동이 성남시, 하남시와 함께 위례신도시를 나눠 장지동과 위례동으로 분할되었다. 같은 위례신도시인데 송파구에 있는 아파트들은 아파트 이름 자체에 '송파'를 넣어서 강조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송파꿈에그린, 위례송파푸르지오, 위례송파비발디. 그럴만한 게 분양 당시에는 같은 위례신도시라도 평당 분양가가 송파>성남>하남 순이었고 이름에 '송파'가 들어가야 비싼 분양가로도 분양이 잘 됐었다고 한다. 물론 지금은 그것과 상관없이 트랜짓몰(특히 위례중앙광장)에서 가까울수록 비싸게 거래된다.
송파구의 1988년도 올림픽 시절, 대한민국 중대 역사중 하나인 88올림픽과 엮일 거리로는, 88올림픽에서 이름을 따온 오륜이 있다. 근데 정작 올림픽공원은 오륜이 아니라 방이에 있는 게 아니냐며 착각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오륜은 올림픽선수촌아파트와 올림픽공원 일대를 관할하는 행정동이며 방이는 방이1,2동+오륜동을 모두 포괄하는 법정동이다. 따라서 이는 행정동과 법정동의 이름이 달라 생긴 오해이다. 가끔 풍납토성 행사가 이루어질 때 강동구와 같이 행사를 하거나 엮이기도 한다. 윗동네 암사동에 선사유적지가 있고, 강동구 성내동의 역사가 처음부터 풍납토성과 엮여있기 때문에 강동구와 같이 하는 듯 하다. 심지어 풍납토성 일부를 강동구와 같이 관리 하는 중이다.
4. 인구
서울특별시 송파구 인구 추이 (1990년~현재) |
1988년 1월 1일 강동구 일부지역[31] → 송파구 승격 분리 |
1990년 634,338명 |
1995년 667,080명 |
2000년 662,902명 |
2005년 606,308명 |
2010년 685,279명 |
2015년 660,302명 |
2020년 667,960명 |
2025년 4월 647,426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70만 명 |
행정동별 인구 통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위례동 44,942명 |
오금동 37,846명 | |
잠실2동 34,753명 | |
잠실3동 33,707명 | |
장지동 30,741명 | |
가락2동 30,728명 | |
석촌동 30,336명 | |
삼전동 28,696명 | |
문정2동 28,689명 | |
잠실본동 27,520명 | |
가락1동 27,225명 | |
방이2동 26,110명 | |
가락본동 24,700명 | |
거여2동 23,327명 | |
송파1동 23,060명 | |
풍납2동 23,041명 | |
잠실4동 21,008명 | |
문정1동 19,678명 | |
송파2동 18,547명 | |
오륜동 17,514명 | |
마천2동 17,239명 | |
잠실6동 16,331명 | |
마천1동 15,889명 | |
방이1동 14,997명 | |
거여1동 11,803명 | |
풍납1동 11,246명 | |
잠실7동 9,638명 | |
2025년 1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
법정동별 인구 통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잠실동 105,348명 |
가락동 82,863명 | |
문정동 64,045명 | |
방이동 58,621명 | |
거여동 52,548명 | |
장지동 42,587명 | |
송파동 41,607명 | |
오금동 37,846명 | |
신천동 37,339명 | |
풍납동 34,287명 | |
마천동 33,128명 | |
석촌동 30,336명 | |
삼전동 28,696명 | |
2025년 1월 기준 행정안전부 법정동별(행정동 통반 단위) 성/연령별 주민등록 인구수, 그래프 최대 값은 11만 명 |
행정동별 인구 정점 통계[32]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위례동 45,048명 |
잠실제4동 40,507명 | |
오금동 40,062명 | |
가락제2동 36,967명 | |
삼전동 36,319명 | |
석촌동 36,175명 | |
장지동 35,738명 | |
풍납제2동 33,720명 | |
잠실본동 32,635명 | |
거여제2동 32,379명 | |
가락제1동 29,825명 | |
가락본동 29,812명 | |
문정제2동 29,378명 | |
송파제1동 27,877명 | |
마천제2동 27,265명 | |
풍납제1동 26,916명 | |
잠실제1동 26,456명 | |
방이제2동 26,225명 | |
마천제1동 25,759명 | |
잠실제3동 24,380명 | |
오륜동 23,869명 | |
송파제2동 23,589명 | |
문정제1동 23,173명 | |
잠실제5동 18,784명 | |
거여제1동 18,685명 | |
잠실제2동 18,168명 | |
잠실제6동 17,743명 | |
방이제1동 17,556명 | |
잠실제7동 12,785명 | |
행정동별 인구 정점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5만 명, 총계: 817,795명 |
현재 서울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구이며 2019년 5월까지 증가해 68만 명을 정점으로 조금씩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서울특별시라는 광역자치단체 자치구지만, 이 정도의 인구 규모는 한국의 웬만한 도시들을 뛰어넘는다. 당장 전북 최대 도시이자 전북특별자치도청의 소재지 전주시, 충청남도 최대 도시 천안시와 비슷한 인구이다.[33]
===# 행정동별 인구[34] #===
(1980년~현재) |
1977년 9월 1일 성내동 → 성내동, 풍납동 분동 |
1980년 32,539명 |
1985년 9월 1일 풍납동 → 풍납제1동, 풍납제2동 분동 |
1985년 23,719명 |
1990년 26,886명 |
1995년 26,916명 |
2000년 24,898명 |
2005년 21,660명 |
2008년 5월 13일 송파구 조례 제805호[서울특별시송파구행정기구설치조례] 실시 풍납제1동 → 풍납1동 개편 |
2010년 19,818명 |
2015년 17,722명 |
2020년 13,901명 |
2025년 1월 11,246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25만 명 |
(1985년~현재) |
1985년 9월 1일 풍납동 → 풍납제1동, 풍납제2동 분동 |
1985년 22,845명 |
1990년 27,551명 |
1995년 31,615명 |
2000년 33,720명 |
2005년 30,272명 |
2008년 5월 13일 송파구 조례 제805호[서울특별시송파구행정기구설치조례] 실시 풍납제2동 → 풍납2동 개편 |
2010년 29,278명 |
2015년 27,063명 |
2020년 25,518명 |
2025년 1월 23,041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
(1966년~현재) |
1963년 1월 1일 경기도 광주군 중대면 전역 + 대왕면 일부 → 서울특별시 편입 및 폐지, 송파출장소 신설 경기도 광주군 중대면 석촌리 + 송파리 + 삼전리 + 가락리 → 서울특별시 성동구 송파출장소 송파동 경기도 광주군 중대면 방이리 + 이리 + 오금리 → 서울특별시 성동구 송파출장소 왕천동 경기도 광주군 중대면 마천리 + 거여리 + 장지리 + 문정리 → 서울특별시 성동구 송파출장소 거문동 경기도 광주군 대왕면 일원리 + 수서리 → 서울특별시 성동구 송파출장소 원서동 경기도 광주군 대왕면 자곡리 + 율현리 → 서울특별시 성동구 송파출장소 자현동 경기도 광주군 대왕면 세곡리 → 서울특별시 성동구 송파출장소 세곡동 |
1966년 8,058명 |
1970년 5월 18일 성동구 거문동 → 거여동 개칭 |
1970년 26,269명 |
1975년 10월 1일 거여동 → 거여동, 마천동 분동 거여동 일부 → 송파동 편입 |
1975년 18,929명 |
1980년 25,951명 |
1985년 27,786명 |
1990년 33,691명 |
1992년 7월 1일 거여동 → 거여제1동, 거여제2동 분동 |
1995년 18,685명 |
2000년 17,632명 |
2005년 16,737명 |
2008년 5월 13일 송파구 조례 제805호[서울특별시송파구행정기구설치조례] 개정 거여제1동 → 거여1동 개편 |
2010년 16,156명 |
2015년 7월 6일 거여1동 일부 + 거여2동 일부 + 장지동 일부 → 위례동 분동 |
2015년 15,087명 |
2020년 12,980명 |
2025년 1월 11,803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
(1995년~현재) |
1992년 7월 1일 거여동 → 거여제1동, 거여제2동 분동 |
1995년 21,611명 |
2000년 32,379명 |
2005년 31,281명 |
2008년 5월 13일 송파구 조례 제805호[서울특별시송파구행정기구설치조례] 개정 거여제2동 → 거여2동 개편 |
2010년 29,627명 |
2015년 7월 6일 거여1동 일부 + 거여2동 일부 + 장지동 일부 → 위례동 분동 |
2015년 23,951명 |
2020년 19,243명 |
2025년 1월 23,327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25만 명 |
(1975년~현재) |
1975년 10월 1일 거여동 → 거여동, 마천동 분동 |
1975년 24,184명 |
1980년 7월 1일 마천동 → 마천제1동, 마천제2동 분동 |
1980년 16,798명 |
1985년 23,617명 |
1990년 25,759명 |
1995년 24,110명 |
2000년 22,458명 |
2005년 19,650명 |
2008년 5월 13일 송파구 조례 제805호[서울특별시송파구행정기구설치조례] 개정 마천제1동 → 마천1동 개편 |
2010년 19,398명 |
2015년 23,001명 |
2020년 19,731명 |
2025년 1월 15,889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
(1980년~현재) |
1980년 7월 1일 마천동 → 마천제1동, 마천제2동 분동 |
1980년 15,698명 |
1985년 20,669명 |
1990년 24,961명 |
1995년 27,265명 |
2000년 24,408명 |
2005년 24,293명 |
2008년 5월 13일 송파구 조례 제805호[서울특별시송파구행정기구설치조례] 개정 마천제2동 → 마천2동 개편 |
2010년 23,559명 |
2015년 21,455명 |
2020년 19,561명 |
2025년 1월 17,239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5만 명 |
(1966년~현재) |
1963년 1월 1일 경기도 광주군 중대면 전역 + 대왕면 일부 → 서울특별시 편입 및 폐지, 송파출장소 신설 경기도 광주군 중대면 석촌리 + 송파리 + 삼전리 + 가락리 → 서울특별시 성동구 송파출장소 송파동 경기도 광주군 중대면 방이리 + 이리 + 오금리 → 서울특별시 성동구 송파출장소 왕천동 경기도 광주군 중대면 마천리 + 거여리 + 장지리 + 문정리 → 서울특별시 성동구 송파출장소 거문동 경기도 광주군 대왕면 일원리 + 수서리 → 서울특별시 성동구 송파출장소 원서동 경기도 광주군 대왕면 자곡리 + 율현리 → 서울특별시 성동구 송파출장소 자현동 경기도 광주군 대왕면 세곡리 → 서울특별시 성동구 송파출장소 세곡동 |
1966년 4,159명 |
1970년 5월 18일 성동구 왕천동 → 방이동 개칭 |
1970년 11,983명 |
1975년 18,690명 |
1980년 25,641명 |
1985년 9월 1일 방이동 → 방이동, 오금동 분동 |
1985년 20,913명 |
1989년 6월 1일 방이동 → 방이동, 오륜동 분동 |
1990년 36,873명 |
1992년 7월 1일 방이동 → 방이제1동, 방이제2동 분동 |
1995년 17,176명 |
2000년 15,036명 |
2005년 17,556명 |
2008년 5월 13일 송파구 조례 제805호[서울특별시송파구행정기구설치조례] 개정 방이제1동 → 방이1동 개편 |
2010년 17,265명 |
2015년 16,465명 |
2020년 16,188명 |
2025년 1월 14,997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75만 명 |
(1995년~현재) |
1992년 7월 1일 방이동 → 방이제1동, 방이제2동 분동 |
1995년 23,693명 |
2000년 24,687명 |
2005년 26,225명 |
2008년 5월 13일 송파구 조례 제805호[서울특별시송파구행정기구설치조례] 개정 방이제2동 → 방이2동 개편 |
2010년 26,110명 |
2015년 25,434명 |
2020년 26,169명 |
2025년 1월 26,110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5만 명 |
(1990년~현재) |
1989년 6월 1일 방이동 → 방이동, 오륜동 분동 |
1990년 23,869명 |
1995년 23,434명 |
2000년 22,786명 |
2005년 21,842명 |
2010년 20,677명 |
2015년 19,978명 |
2020년 18,484명 |
2025년 1월 17,514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
(1985년~현재) |
1985년 9월 1일 방이동 → 방이동, 오금동 분동 |
1985년 16,930명 |
1990년 30,806명 |
1995년 39,036명 |
2000년 39,310명 |
2005년 40,062명 |
2010년 39,454명 |
2015년 37,104명 |
2020년 39,504명 |
2025년 1월 37,846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
(1966년~현재) |
1963년 1월 1일 경기도 광주군 중대면 전역 + 대왕면 일부 → 서울특별시 편입 및 폐지, 송파출장소 신설 경기도 광주군 중대면 석촌리 + 송파리 + 삼전리 + 가락리 → 서울특별시 성동구 송파출장소 송파동 경기도 광주군 중대면 방이리 + 이리 + 오금리 → 서울특별시 성동구 송파출장소 왕천동 경기도 광주군 중대면 마천리 + 거여리 + 장지리 + 문정리 → 서울특별시 성동구 송파출장소 거문동 경기도 광주군 대왕면 일원리 + 수서리 → 서울특별시 성동구 송파출장소 원서동 경기도 광주군 대왕면 자곡리 + 율현리 → 서울특별시 성동구 송파출장소 자현동 경기도 광주군 대왕면 세곡리 → 서울특별시 성동구 송파출장소 세곡동 |
1966년 3,759명 |
1970년 7,818명 |
1975년 10월 1일 거여동 일부 → 송파동 편입 |
1975년 17,379명 |
1980년 21,918명 |
1983년 1월 1일 송파동 → 송파동, 문정동, 가락동 분동 1985년 9월 1일 송파동 → 송파동, 석촌동 분동 |
1985년 31,182명 |
1988년 7월 1일 송파동 → 송파제1동, 송파제2동 분동 |
1990년 25,199명 |
1995년 25,877명 |
2000년 26,014명 |
2005년 27,877명 |
2008년 5월 13일 송파구 조례 제805호[서울특별시송파구행정기구설치조례] 개정 송파제1동 → 송파1동 개편 |
2010년 27,560명 |
2015년 26,608명 |
2020년 24,813명 |
2025년 1월 23,060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25만 명 |
(1990년~현재) |
1988년 7월 1일 송파동 → 송파제1동, 송파제2동 분동 |
1990년 21,585명 |
1995년 22,934명 |
2000년 20,640명 |
2005년 23,589명 |
2008년 5월 13일 송파구 조례 제805호[서울특별시송파구행정기구설치조례] 개정 송파제2동 → 송파2동 개편 |
2010년 20,682명 |
2015년 22,036명 |
2020년 20,646명 |
2025년 1월 18,547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
(1985년~현재) |
1985년 9월 1일 송파동 → 송파동, 석촌동 분동 |
1985년 34,219명 |
1988년 7월 1일 석촌동 → 석촌동, 삼전동 분동 |
1990년 31,926명 |
1995년 32,879명 |
2000년 32,756명 |
2005년 36,175명 |
2010년 35,609명 |
2015년 34,669명 |
2020년 32,527명 |
2025년 1월 30,336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75만 명 |
(1990년~현재) |
1988년 7월 1일 석촌동 → 석촌동, 삼전동 분동 |
1990년 29,823명 |
1995년 31,094명 |
2000년 32,826명 |
2005년 36,319명 |
2010년 35,392명 |
2015년 33,889명 |
2020년 31,455명 |
2025년 1월 28,696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75만 명 |
(1990년~현재) |
1988년 7월 1일 문정동 → 가락본동, 문정동 분동 1989년 6월 1일 가락본동 일부 + 문정동 일부 → 가락제2동 분동 1989년 9월 1일 가락본동 일부 + 문정동 → 문정제1동, 문정제2동 분동 |
1990년 19,253명 |
1995년 23,169명 |
2000년 27,394명 |
2005년 28,941명 |
2010년 29,812명 |
2015년 28,488명 |
2020년 27,057명 |
2025년 1월 24,700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
(1985년~현재) |
1983년 1월 1일 송파동 → 송파동, 문정동, 가락동 분동 |
1985년 29,825명 |
1988년 7월 1일 가락동 → 가락제1동 개칭 |
1990년 27,037명 |
1995년 25,092명 |
2000년 22,036명 |
2005년 20,640명 |
2008년 5월 13일 송파구 조례 제805호[서울특별시송파구행정기구설치조례] 개정 가락제1동 → 가락1동 개편 |
2010년 15,639명 |
2015년 950명 |
2020년 27,792명 |
2025년 1월 27,255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
(1990년~현재) |
1989년 6월 1일 가락본동 일부 + 문정동 일부 → 가락제2동 분동 |
1990년 25,197명 |
1995년 29,648명 |
2000년 36,967명 |
2005년 34,279명 |
2008년 5월 13일 송파구 조례 제805호[서울특별시송파구행정기구설치조례] 개정 가락제2동 → 가락2동 개편 |
2010년 36,628명 |
2015년 35,217명 |
2020년 33,015명 |
2025년 1월 30,728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75만 명 |
(1985년~현재) |
1983년 1월 1일 송파동 → 송파동, 문정동, 가락동 분동 |
1985년 25,406명 |
1988년 7월 1일 문정동 →가락본동, 문정동 분동 1989년 6월 1일 가락본동 일부 + 문정동 일부 → 가락제2동 분동 1989년 9월 1일 가락본동 일부 + 문정동 → 문정제1동, 문정제2동 분동 |
1990년 33,922명 |
1995년 43,842명 |
1996년 8월 1일 문정제1동 → 문정제1동, 장지동 분동 |
2000년 19,066명 |
2005년 23,173명 |
2008년 5월 13일 송파구 조례 제805호[서울특별시송파구행정기구설치조례] 개정 문정제1동 → 문정1동 개편 |
2010년 22,822명 |
2015년 21,829명 |
2020년 20,689명 |
2025년 1월 19,678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5만 명 |
(1990년~현재) |
1989년 9월 1일 가락본동 일부 + 문정동 → 문정제1동, 문정제2동 분동 |
1990년 20,167명 |
1995년 18,686명 |
2000년 17,448명 |
2005년 17,900명 |
2008년 5월 13일 송파구 조례 제805호[서울특별시송파구행정기구설치조례] 개정 문정제2동 → 문정2동 개편 |
2010년 16,282명 |
2015년 18,738명 |
2020년 29,378명 |
2025년 1월 28,689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
(2000년~현재) |
1996년 8월 1일 문정제1동 → 문정제1동, 장지동 분동 |
2000년 20,720명 |
2005년 20,851명 |
2008년 33,952명 |
2009년 36,734명 |
2010년 37,472명 |
2011년 37,499명 |
2012년 37,504명 |
2013년 40,372명 |
2014년 45,985명 |
2015년 7월 6일 거여1동 일부 + 거여2동 일부 + 장지동 일부 → 위례동 분동 |
2015년 35,738명 |
2016년 35,580명 |
2017년 35,023명 |
2018년 34,681명 |
2019년 32,833명 |
2020년 30,199명 |
2021년 29,534명 |
2022년 28,949명 |
2023년 28,501명 |
2024년 30,596명 |
2025년 1월 30,741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5만 명 |
(2015년~현재) |
2015년 7월 6일 거여1동 일부 + 거여2동 일부 + 장지동 일부 → 위례동 분동 2015년 12월 7일 서울특별시 송파구 위례동·경기도 성남시 위례동·경기도 하남시 위례동 경계 조정 |
2015년 12,030명 |
2016년 17,330명 |
2017년 28,211명 |
2018년 28,780명 |
2019년 28,238명 |
2020년 30,305명 |
2021년 39,095명 |
2022년 44,477명 |
2023년 44,911명 |
2024년 45,048명 |
2025년 1월 44,942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75만 명 |
(1985년~현재) |
1983년 12월 1일 잠실제1동 → 잠실본동, 잠실제1동 분동 |
1985년 29,699명 |
1989년 9월 1일 잠실본동 → 잠실본동, 잠실제7동 분동 |
1990년 31,170명 |
1995년 29,831명 |
2000년 29,594명 |
2005년 32,635명 |
2010년 31,178명 |
2015년 30,105명 |
2020년 28,572명 |
2025년 1월 27,520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25만 명 |
(1975년~현재) |
1975년 10월 1일 잠실동 → 잠실제1동, 잠실제2동, 잠실제3동, 잠실제4동 분동 |
1975년 2,483명[1975잠실2동] |
1978년 10월 10일 잠실제2동 → 잠실제2동, 잠실제5동 분동 |
1980년 44,624명[1980잠실2동] |
1983년 12월 1일 잠실제1동 → 잠실본동, 잠실제1동 분동 |
1985년 39,471명[1985잠실2동] |
1990년 34,354명[1990잠실2동] |
1995년 31,636명[1995잠실2동] |
2000년 29,008명[2000잠실2동] |
2005년 167명[2005잠실2동] |
2008년 5월 13일 송파구 조례 제805호[서울특별시송파구행정기구설치조례] 개정 2008년 6월 30일 잠실제1동 + 잠실제2동 → 잠실2동 합동 |
2010년 36,841명 |
2015년 36,924명 |
2020년 36,110명 |
2025년 1월 34,753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5만 명 |
(1975년~현재) |
1975년 10월 1일 잠실동 → 잠실제1동, 잠실제2동, 잠실제3동, 잠실제4동 분동 |
1975년 7명 |
1978년 10월 10일 잠실제2동 → 잠실제2동, 잠실제5동 분동 |
1980년 43,164명[1980잠실3동] |
1985년 40,766명[1985잠실3동] |
1990년 38,188명[1990잠실3동] |
1995년 37,193명[1995잠실3동] |
2000년 34,017명[2000잠실3동] |
2005년 17,606명[2005잠실3동] |
2008년 5월 13일 송파구 조례 제805호[서울특별시송파구행정기구설치조례] 개정 2008년 6월 30일 잠실제3동 + 잠실제5동 → 잠실3동 합동 |
2010년 37,905명 |
2015년 36,891명 |
2020년 35,316명 |
2025년 1월 33,707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5만 명 |
(1975년~현재) |
1975년 10월 1일 잠실동 → 잠실제1동, 잠실제2동, 잠실제3동, 잠실제4동 분동 |
1975년 5,564명 |
1980년 7월 1일 잠실제4동 → 잠실제4동, 잠실제6동 분동 |
1980년 33,206명 |
1985년 40,507명 |
1990년 37,026명 |
1995년 32,543명 |
2000년 29,377명 |
2005년 9,272명 |
2008년 5월 13일 송파구 조례 제805호[서울특별시송파구행정기구설치조례] 개정 잠실제4동 → 잠실4동 개편 |
2010년 31,457명 |
2015년 30,803명 |
2020년 21,721명 |
2025년 1월 21,008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
(1980년~현재) |
1980년 7월 1일 잠실제4동 → 잠실제4동, 잠실제6동 분동 |
1980년 16,488명 |
1985년 16,764명 |
1990년 16,545명 |
1995년 16,330명 |
2000년 15,947명 |
2005년 15,954명 |
2008년 5월 13일 송파구 조례 제805호[서울특별시송파구행정기구설치조례] 개정 잠실제6동 → 잠실6동 개편 |
2010년 17,743명 |
2015년 17,705명 |
2020년 17,198명 |
2025년 1월 16,331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
(1990년~현재) |
1989년 9월 1일 잠실본동 → 잠실본동, 잠실제7동 분동 |
1990년 12,550명 |
1995년 12,785명 |
2000년 11,778명 |
2005년 11,352명 |
2008년 5월 13일 송파구 조례 제805호[서울특별시송파구행정기구설치조례] 개정 잠실제7동 → 잠실7동 개편 |
2010년 10,915명 |
2015년 10,422명 |
2020년 9,888명 |
2025년 1월 9,368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
5. 교통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송파구/교통#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송파구/교통#|]]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위의 사진에서도 볼 수 있다시피 송파구는 올림픽에 대비한 계획도시답게 주요 도로들의 폭이 매우 넓다. 이로 인해 도로교통이 매우 편리한 축에 속한다. 올림픽로와 양재대로, 송파대로, 위례성대로, 강동대로,동남로 등 서울에서도 손꼽힐 정도로 넓은 도로들이 간선축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를 보조하는 지선 도로들도 격자형으로 잘 갖춰진 편이다.
1기 지하철 시절에는 서울 지하철 2호선만 송파구를 지나갔지만[69] 5호선과, 8호선[70]의 개통으로 교통이 매우 편리해졌다. 특히 5호선의 마천지선은 올림픽공원 동남쪽(올림픽선수촌아파트)과 오금, 거여, 마천동의 수요를, 8호선은 성남시와 송파대로 연선의 많은 인구를 수송하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이후 3호선과 9호선이 추가로 개통하면서, 강남으로의 접근성도 굉장히 크게 개선되었다. 특이한 점으로는 올림픽공원 주변을 따라서 5호선, 8호선, 9호선 2개역 3개노선 총 4개역이나 몰려 있다는 점이 있다.
잠실역은 서울 동남부와 수도권을 연결하는 광역 교통의 중심 거점으로서 승객이 많은 2호선 안에서도 최상위권의 유동 인구를 보인다. 1990년대 서울 지하철역에서 승하차 수 1위를 기록했지만 90년대 후반 이후 강남역에게 1위 자리를 오랫동안 내주었다가 2023년부터 수도권 전철에서 가장 수요가 많은 2호선에서 1위를 차지했고, 2024년에는 전체 이용객 수에서도 강남역을 제쳤다.#
서울 버스 권역 기준에 따라 강동구와 함께 3권역으로 분류된다. 버스 노선체계는 잠실대교-복정역을 잇는 송파대로의 버스중앙차로와 풍납동-올림픽공원교차로에서 종합운동장을 잇는 올림픽로, 잠실철교-방이삼거리-오금동-마천동을 잇는 오금로 중심으로 짜여있다. 수서역이 들어서면서 송파 남부에서 수서역을 잇는 노선도 꽤 있는 편이다. 버스 노선체계 자체보다는 지하철과의 환승이 고려되어 있으며, 실제 버스 이용도 지하철 환승이 주 목적이다. 이명박의 서울시장 재임 시절 버스개편의 최대 수혜 지역으로 꼽힌다. 잠실역에 잠실광역환승센터가 들어서면서 난잡하던 잠실역 인근 버스 정류장들도 정돈이 되었다.
다른 구에 비해 산지와 언덕 지역이 덜하고 중구와 함께 지하철이 웬만한 수송 수요를 담당하고 있으며 여러 지선버스들이 마을버스 역할을 대신하고 있기 때문에 한동안 마을버스가 없었다가 2019년 말부터 송파구청에서도 마을버스를 신설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 위례신도시를 비롯한 교통 소외지역과 지하철역을 연결하는 노선들을 만들려고 추진하였으며 2020년 2월부터 주민의견 수렴을 한 결과, 2022년 12월 15일부터 마을버스가 개통되었다.
다만 서울역, 용산역, 영등포역 등 주요 일반철도역으로 가기 힘들다는 것이 불편한 점으로 꼽혔다. 서울 시내 다른 지역이나 경기도 주요 신도시와 달리 서울역으로 가는 버스가 없었고, 있더라도 장지공영차고지가 목적지인 경우가 많아 문정, 장지 지역만 살짝 걸친다. 지하철 역시 2호선 연선은 그나마 나은 편이지만, 5호선은 빙 둘러오고 8호선은 환승이 강제되어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그래서 이 지역은 철도보다 접근성이 나은 동서울종합터미널, 서울고속버스터미널, 센트럴시티,성남종합버스터미널이용을 선호하는 경향이 컸다. 그러나 송파에서 연결되는 버스 및 지하철 접근성이 뛰어난 수서역에 SRT가 들어서면서 이러한 불편 역시 해소되었다. 송파구는 강남구, 성남시와 함께 SRT 수서역의 혜택을 가장 크게 받는 지역으로 불린다.
또, 잠실역사거리는 과거에도 수많은 버스노선과 롯데월드 이용 수요 등으로 교통 체증이 있는 편이었으나, 별다른 도로 정비 없이 메가타워인 롯데월드타워가 들어섬에 따라 출퇴근 시간이 아닌 때에도 교통 체증이 심한 편이다.
그 외에도 종합운동장, 잠실역 등에는 오션월드 등 전국 각지의 테마파크나 스키장, 리조트 등지로 가는 셔틀버스들이 운행된다. 다른 지역에 비해 이러한 시설로의 이동 역시 편리한 편이다.
여담으로 잠실역 인근 교통회관에 서울시를 영업구역으로 하는 서울택시운송사업조합, 개인택시운송사업조합, 시내버스운송사업조합, 개인용달화물협회, 특수여객운송사업조합, 자동차정비사업조합이 있어 이런 업종에 종사한다면 운전자 경력관리 및 법정교육을 위해 한번쯤 방문하게 되는 곳이기도 하다.
6. 경제
송파구는 서울시 자치구 가운데 최대 인구를 가진 지역으로서 활발한 소비 활동과 함께 상당한 경제력을 갖추고 있다. 특히 서울 동남권의 핵심 거점으로서 잠실역 권역과 문정비즈밸리를 중심으로 경제축을 형성하고 있다.잠실역 권역은 국내에서 손꼽히는 유동 인구 밀집 지역으로, 대규모 쇼핑몰과 백화점을 비롯한 복합 상업 및 관광 중심지이자 주요 업무지구다. 이곳에는 대한민국 최고층이자 세계에서 여섯 번째로 높은 롯데월드타워를 중심으로 백화점, 쇼핑몰, 마트, 테마파크, 영화관, 공연장, 아쿠아리움, 전망대, 호텔, 면세점, 미술관 등 다양한 롯데그룹 계열의 쇼핑·문화·엔터테인먼트 시설과 업무지구가 모여 있다. 여기에 롯데건설이 시공한 주거 단지인 롯데캐슬골드와 잠실 르엘까지 더해져 잠실역 일대는 쇼핑·문화·주거가 결합된 대표적 복합도시, 이른바 롯데타운을 형성하고 있다.
남부 권역은 문정비즈밸리가 자리한다. 이곳은 IT 융합, 바이오 등 신성장 산업 기업이 밀집한 미래형 업무단지로, 서울동부지방법원과 검찰청이 위치한 대규모 법조타운과 함께 송파의 또 다른 경제 거점 역할을 한다. 가든파이브 인근 장지동에는 서울복합물류를 기반으로 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 송파 캠프와 쿠팡풀필먼트서비스를 비롯해 롯데글로벌로지스, 한진택배, GS리테일 등 물류 기업이 입주해 있어 서울 동부 물류의 핵심 축을 담당하고 있다.
6.1. 상권
{{{#!wiki style="margin: -7px -0px" | <tablebordercolor=#007147>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colbgcolor=#007147><colcolor=#fff> 도시철도 | | 잠실나루역 · |
| |||
| |||
| 강동구청역 · | ||
| |||
| |||
환승센터 | 잠실광역환승센터 | ||
고속도로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송파IC) | ||
고속화도로 | 동부간선도로(위례IC) · 올림픽대로 | ||
한강의 교량 | 잠실대교 · 잠실철교 · 올림픽대교 | ||
마천루 | 롯데월드타워 | ||
유원지 | 롯데월드 어드벤처 | ||
공원 | 석촌호수 · 아시아공원 · 올림픽공원 · 위례호수공원 · 한강공원(잠실) | ||
경기장 | 서울종합운동장(올림픽주경기장 · 야구장 · 실내체육관 · 학생체육관 · 보조경기장) 올림픽공원(KSPO 돔 · SK핸드볼경기장 · 벨로드롬 · 올림픽수영장 · 올림픽테니스경기장 · 실내테니스경기장) | ||
공연장 | 롯데콘서트홀 · 샤롯데씨어터 · 올림픽공원(올림픽홀 · 우리금융아트홀 · K-아트홀) | ||
종합병원 | 국립경찰병원 · 서울아산병원 | ||
쇼핑 | 가든파이브(NC백화점 송파점) · 가락시장 · 롯데백화점 잠실점 · 롯데월드몰 · 잠실지하쇼핑센터 | ||
영화관 | 롯데시네마 월드타워 · 메가박스 송파파크하비오 | ||
숙박 | 롯데호텔 월드 · 서울올림픽파크텔 · 시그니엘 서울 · 소피텔 앰배서더 서울 | }}}}}}}}} |
6.1.1. 잠실역 인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롯데월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롯데월드#잠실 롯데타운|잠실 롯데타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잠실역 인근 상권은 흔히 잠실 롯데타운으로 불린다. 이 지역에는 롯데월드타워, 롯데월드몰, 롯데백화점 잠실점, 롯데월드 어드벤처 등을 비롯해 송파구청 등 송파구의 핵심적인 인프라가 집결해 있다. 서울 지하철 승하차 인원이 가장 많은 잠실역을 기반으로 풍부한 유동인구를 자랑하며, 송파구 최대 상권을 형성하고 있다. 잠실역 지하광장은 잠실역지하상가와 함께 잠실 롯데의 주요 시설을 모두 연결하고 있으며, 롯데월드타워와 롯데월드 앞에는 석촌호수가 있어 서울의 대표적인 복합 문화 랜드마크를 이루고 있다.
6.1.2. 가든파이브
2009년 하반기 문정동에 들어선 복합쇼핑몰 시설이다. 당초 청계천 재개발 후 청계천 상인들이 옮겨갈 후보지로 만들어진 곳이었다. 그러나 청계천 상인들이 입주하기에는 현실적으로 맞는 조건이 아니었고 입지 측면에서 타 상권보다 불리한데다가 인근 잠실역이 워낙 큰 상권이기에 경쟁하기도 힘들고 사람들을 끌어모으기도 역부족이기 때문이다. 서울시에서도 열심히 홍보하였고, 현빈과 손담비까지 기용해 광고를 내보냈지만, 분양률이 채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고 사람들도 오지 않아 사실상 영업을 하지 못할 정도였다.그나마 2010년에서야 NC백화점 송파점, 이마트 가든5점, 킴스클럽, 엔터식스, CGV 송파, 농협, 은행 등이 들어서면서 유동인구가 많아지기는 하였으나, 이 역시 대형유통업체 쪽에 집중되면서 영세 상인들의 점포는 주말에도 한산했다. 2012년 이후로는 각종 공연도 열리고 상업시설도 계속들어와 지역상권으로는 어느 정도 형태를 갖추었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롯데월드몰이 조기 개장하면서 사람이 좀 빠졌다고 한다. 롯데월드몰이 장지역에서 20분 안쪽으로 갈 수 있기 때문에 영향이 없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다행히도 2017년 5월 테크노관에 현대아울렛 가든파이브점이 들어오고, 인근 파크하비오 완공과 주변 오피스텔 입주, 위례신도시 덕분에 전반적인 유통인구가 많아져 이전에 비해선 꽤 많이 변화하였다.
툴관에 더 스파 인 가든파이브라는 찜질방이 들어와 있었는데, 가족 단위 이용객이나 커플들에게 이색 데이트 장소로 인기가 꽤 많았으나 코로나 시국 와중에 결국 폐업하였고 재개장 소식도 없다.
2025년 CGV 송파가 폐점하고 그 자리에 대형교회가 들어왔다.
6.1.3. 그 외 지역
신천(現 잠실새내역 인근)[71] 일대가 잠실역 다음으로는 비교적 번화한 유흥가이다. 예전에는 '뒷구정'이라 불릴 정도로 규모가 크지 않고 나이트와 음식점 위주여서 다양한 계층을 수용하기엔 무리가 있는 지역이었다. 그러나, 올림픽로와 신천역 먹자골목으로 불리는 백제고분로 7길을 중심으로 상당히 많은 음식점들이 줄을 지어 있으며 코인 노래방, PC방 등 학생들이 선호하는 시설들이 들어서면서 신천중학교, 잠신중학교, 정신여자중학교 등 주변 학교 학생들이 많이 이용한다. 걸어갈 수 있는 거리에 서울종합운동장이 있어, LG 트윈스와 두산 베어스의 야구경기가 있는 날이면 야구장에 가져갈 음식을 구매하려는 사람들과 경기 이후 뒷풀이를 하는 사람들로 북적인다. 특히, 신천 상권과 붙어있는 재래시장인 새마을시장은 잠실야구장 먹거리로 유명한 가게들이 다수 모여 있고 방송이나 언론에도 여러번 보도되어 유명하다. 깻잎닭강정과 파오파오 새우만두가 새마을시장에서 가장 유명한 잠실야구장 먹거리로 꼽힌다.백제고분로 주변(송파동이며 송파나루역 부근)은 이른바 송리단길이라고 불린다. 여러 트렌디한 음식점, 카페등이 위치하고 있고 롯데월드타워-석촌호수로 이어지는 특성상 젊은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이다. 원래는 평범한 주택가였으나 제2롯데월드가 완공되고부터 커진 상권이다.
가락동에는 서울시내 최대 농수산물 도매시장 가락시장이 있다. 송파구를 포함한 서울특별시 동남권에서 가장 큰 도매시장이다. 2010년대에 들어 현대화 사업이 진행되었고, '가락몰'이 새로 생겨 도매 뿐만 아니라 일반 고객 이용도 상당히 편리해졌다. 3호선과 8호선 환승역인 가락시장역과 연결되어 있어 교통도 매우 편리하고 접근성도 좋은 편.
방이동 일대에도 방이맛골로 대표되는 상권이 형성되어 있다. 과거 롯데월드몰 건설이 송파구 고도제한으로 인해 몇십년 이상 지연되면서 그 부지가 오랜시간 공터로 남게 되는 바람에 잠실역 상권과의 연계성이 떨어져 크게 발달하지 못하였었고 주로 주변 직장인을 대상으로 하는 고깃집, 유흥주점과 대규모 모텔촌 등으로 구성되었으나, 롯데월드몰의 완공에 따른 잠실과의 연담화와 9호선의 연장 개통 등으로 접근성이 개선되고 기존 모텔 대다수가 신축 오피스텔로 재건축되면서 주중, 주말 가릴것 없이 많은 유동인구로 북적이는 송파지역 최대상권으로 부상하고 있다. 또한, 롯데월드~석촌호수~방이맛골~올림픽공원이 잠실관광특구로 지정되어 방이맛골 역시 여러 환경개선이 이뤄지고 있다
5호선 개롱역 인근 가락2동에 개롱골 장군거리라는 먹자골목이 있다. 방이동 일대와 같은 화려한 번화가는 아니지만 저녁시간 인근 아파트 단지 주민들이 자주 이용하는 식당가 맛집 노래방 학원 등이 모여있다. 이 지역 일대 아파트 단지가 거의다 노후화 되어있기에 재건축이 끝나는 시점에서는 오금-개롱역을 대표하는 상권으로 발전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인지 구에서도 전봇대 지중화사업을 일사천리로 끝냈고 장군거리에 대한 홍보도 꾸준히 하고있는듯 하다.
동남로를 따라 문정동 안쪽으로는 문정동 로데오거리가 위치해있다. 1992년 브랜드 의류 재고품을 판매하는 매장들이 들어서면서 생긴 거리로 대한민국 로데오거리의 원조라고 한다. 다만, 잠실이나 가든파이브에 비해 인프라가 부족하고 골프웨어나 아웃도어 브랜드 위주여서 품목의 다양성이 부족하다는 평이 많다.
6.1.4. 영화관
| 월드타워 | 수퍼플렉스 수퍼S 수퍼4D Dolby Atmos 씨네패밀리 씨네커플 씨네비즈 아르떼 |
| 송파파크하비오 |
인구 70만의 초대형 자치구임에도 불구하고 영화관이 매우 적었다. 2009년 CGV 송파점이 개관하기 전에는 구내에 영화관은 2관짜리 롯데시네마 롯데월드점이 유일하다시피했다.[72] 그래서 송파구 주민들은 영화를 보기 위해 메가박스 코엑스를 주로 이용했었다. 그러나 CGV 송파[73]가 개관하고, 롯데월드몰에 21관 규모를 자랑하는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영화관 롯데시네마 월드타워가 들어섰으며 2017년 문정법조단지에 메가박스 송파파크하비오가 생기면서 영화관이 많아지게 되었다. 롯데시네마 월드타워는 롯데시네마의 플래그십 스토어로 시사회, 무대인사, 관객과의 대화 등이 자주 열린다.
그러나 2025년 CGV 송파점이 폐점함에 따라 송파구에 영화관은 다시 롯데시네마 월드타워와 메가박스 송파파크하비오 두 곳만이 남게 되었다.
6.2. 금융
송파구에 위치한 금융기관[괄호] | |||
국가기관 | |||
서울송파우체국 (14) | |||
국책은행 | |||
한국산업은행 (1) | 중소기업은행 (7) | ||
특수은행 | |||
수협은행 (5) | 농협은행(중앙회) (10) | ||
시중은행 | |||
신한은행 (14) | 우리은행 (18) | ||
SC제일은행 (7) | 하나은행 (18) | ||
국민은행 (16) | |||
지방은행 | |||
광주은행 (1) | 전북은행 (1) | ||
제2금융권(상호금융)[괄호] | |||
농업협동조합 | |||
송파농협 (13) | 중앙농협 (2) | 서울강동농협 (1) | 서울축산농협 (1) |
수산업협동조합 | |||
울산수협 (1) | 하동군수협 (1) | 완도금일수협 (1) | 냉동냉장수협 (2) |
민물장어양식수협 (1) | 근해안강망수협 (1) | ||
새마을금고 | |||
송파새마을금고 (3) | 서울송파새마을금고 (1) | 송파중앙새마을금고 (1) | 마천새마을금고 (2) |
잠실새마을금고 (2) | 서울중앙새마을금고 (1) | 가락새마을금고 (1) | 강동수산새마을금고 (1) |
서울개인택시조합새마을금고 (1) | 삼성SDS새마을금고 (1) | 유한킴벌리새마을금고 (1) | 서울아산병원새마을금고 (1) |
신용협동조합 | |||
동서울신용협동조합 (1) | 송파신용협동조합 (1) | 가락신용협동조합 (2) | 방이신용협동조합 (1) |
송파동부신용협동조합 (1) | 정락신용협동조합 (1) | 삼성물산신용협동조합 (1) | |
상호저축은행(상호금고) | |||
KB저축은행 (1) | SBI저축은행 (1) | OK저축은행 (1) | |
산림조합 | |||
서울시산림조합 (1) | 광주성남하남산림조합 (1) | 김제산림조합 (1) |
7. 생활·문화
7.1. 교육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 ||||
가락고등학교 | 덕수고등학교 | 문정고등학교 | 문현고등학교 | ||
방산고등학교 | 배명고등학교 | 보성고등학교 | ※ 보인고등학교 | ||
◈ 서울인공지능고등학교 | ▣ 서울체육고등학교 | 영동일고등학교 | 영파여자고등학교 | ||
오금고등학교 | ◈ 일신여자상업고등학교 | 잠신고등학교 | 잠실고등학교 | ||
잠실여자고등학교 | 잠일고등학교 | 정신여자고등학교 | 창덕여자고등학교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 ||||
가락중학교 | 가원중학교 | 거원중학교 | 문정중학교 | ||
문현중학교 | 방산중학교 | 방이중학교 | 배명중학교 | ||
보성중학교 | 보인중학교 | 서울체육중학교 | 석촌중학교 | ||
세륜중학교 | 송례중학교 | 송파중학교 | 신천중학교 | ||
아주중학교 | 영파여자중학교 | 오금중학교 | 오륜중학교 | ||
오주중학교 | 위례솔중학교 | 잠신중학교 | 잠실중학교 | ||
잠실여자중학교 | 정신여자중학교 | 풍납중학교 | 풍성중학교 | ||
해누리중학교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서울가동초등학교 | 서울가락초등학교 | 서울가원초등학교 | 서울가주초등학교 |
서울개롱초등학교 | 서울거여초등학교 | 서울거원초등학교 | 서울남천초등학교 | |
서울마천초등학교 | 서울문덕초등학교 | 서울문정초등학교 | 서울문현초등학교 | |
서울방산초등학교 | 서울방이초등학교 | 서울버들초등학교 | 서울삼전초등학교 | |
서울석촌초등학교 | 서울세륜초등학교 | 서울송례초등학교 | 서울송전초등학교 | |
서울송파초등학교 | 서울신가초등학교 | 서울신천초등학교 | 서울아주초등학교 | |
서울영풍초등학교 | 서울오금초등학교 | 서울오륜초등학교 | 서울위례별초등학교 | |
서울위례솔초등학교 | 서울잠동초등학교 | 서울잠신초등학교 | 서울잠실초등학교 | |
서울잠일초등학교 | 서울잠전초등학교 | 서울잠현초등학교 | 서울중대초등학교 | |
서울토성초등학교 | 서울평화초등학교 | 서울풍납초등학교 | 서울풍성초등학교 | |
서울해누리초등학교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남녀 공학인 일반고 갯수가 9개로, 서울 내에서 남녀 공학 고등학교가 제일 많은 지역이다. 신도시도 있고 뉴타운도 있는것이 한몫씩 한다.[76]
송파구 잠실2동 리센츠 아파트 내에 위치한 강동송파교육지원청에서 송파구와 강동구 초, 중, 고등학교를 관할한다. 송파구 관내에는 총 41곳의 초등학교, 29곳의 중학교[77], 20곳의 고등학교가 존재한다. 대학교는 유일하게 한국체육대학교가 올림픽공원 옆에 위치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교육환경이 좋은 편이다. 학교의 수도 상당히 많은 편이고, 학교들의 수준도 나쁘지 않은 편이다. 관내 자사고는 보인고등학교가 유일하지만, 강남과 강동의 자사고 및 외고가 통학할 수 있는 거리에 다수 위치하고 있다. 꼭 자사고가 아니더라도, 역사가 깊은 보성고등학교, 배명고등학교, 정신여자고등학교, 창덕여자고등학교가 있으며 그 외에도 입시 실적이 좋은 학교들이 꽤되는 편. 위례성대로 연선의 방이동 학원가와 잠실새내역, 가락로 인근으로 학원들이 분포하고 있으며, 교육의 메카인 대치동과의 거리도 가까워 많은 학생들이 대치동 학원을 다닌다. 아무래도 강남3구로 묶인 강남의 영향도 있고, 상대적으로 부유층이 많아 교육열이 상당히 뜨겁다.
1999년 6학군으로 분리되기 전에 8학군이었다. 90년대 후반 송파구에 거주하는 중학교 학생들이 경기고, 휘문고로 배정받는 경우가 굉장히 많았다. 관내 고등학교가 남녀공학이 많고 여학교도 꽤 있는 편이라 여학생들은 무리없이 배정되는 반면에 남학생들은 자리가 없어 남학교가 많은 강남으로 배정되었던 것이다.[78] 보통 잠실1,2단지와 아시아선수촌에 사는 학생들은 가까운 잠신고를 두고 경기고, 휘문고, 심지어 청담동의 청담고와 영동고, 압구정동-신사동 지역의 구정고, 현대고로 배정받는 경우도 종종 있었다. 그런가하면 강남구와 가까운 곳에 있는 훼미리아파트의 가원중학교 학생들이 더 가까운 문정고로 배정을 받는 바람에[79]문정고가 강남구와 멀지만 중간에 고등학교가 없어 붕 떠버린 송파중학교를 중심으로 한 가락2동 일대 학생들의 강남 통학률이 높았다.[80]
박정희 정권 당시 강남개발로 인하여 인구 이전을 시키려 강제 고등학교 이전명령으로 인해 다수의 사립고가 이전되게 되었다.[81] # 당시에 역사가 짧은 공립고등학교는 평이 좋지 않았다.[82] 또한, 거여동과 마천동 일대에는 일반계 고등학교가 없어 버스와 5호선을 타고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기 때문에 증설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하지만 이런 얘기도 먼 옛날 이야기가 된지 오래다. 송파구에 문정고[83], 문현고, 잠일고 등 고등학교가 증설되고, 전면무작위 배정에서 지명배정으로 서울시 고등학교 배정 제도가 바뀐 다음부터는 송파는 강동과 함께, 강남은 서초와 함께 서로 다른 일반학교군으로 묶이면서 탄천을 건너 강남으로 통학하는 것이 거의 없어졌다. 다만, 일부 상위권 학생들이 인근 보인고, 배재고, 중동고, 휘문고, 한대부고 등 자사고나 대원외고, 한영외고 등 외고와 과학고 같은 특목고로 진학하여 강남구를 포함한 다른 지역으로 통학하기도 한다.
특목고나 자사고가 아닌 일반고에 진학하고자 하는 신천중학교 및 잠신중학교, 정신여자중학교의 학생들의 대부분은 영동일고등학교를 선호하며 전기고인 과학고등학교를 떨어졌다거나 이과형인 학생들은 보통 일반적으로 남자고등학교가 이과비율이 높아 선호하며, 잠신고등학교의 과학중점반이나 의대진학률이 높은 잠실여자고등학교도 선호한다. 여고를 희망하는 여학생들은 정신여자고등학교나 잠실여자고등학교 등에 원서를 넣는다. 지역형 자사고인 세화여자고등학교나 한대부고에도 많이 넣는다.
대학교는 한국체육대학교가 있다.
7.2. 공원
|
석촌호수 |
|
올림픽공원 |
강남개발 당시 새로 개발된 도시답게 녹지시설이 잘 마련되어 있는 지역이다. 서울을 대표하는 호수인 석촌호수와 여의도 절반에 달하는 거대한 규모의 올림픽공원, 한강을 따라 있는 잠실한강공원 그 밖에 아시아공원, 오금공원, 문정근린공원 등 크고 작은 공원들이 많다. 탄천과 성내천이 동서로 흐르며 하천 주위로 산책로 또한 잘 마련되어 있다.
석촌호수는 잠실동(잠실3동)과 신천동(잠실6동)에 걸쳐있는 호수로 송파대로를 기준으로 서(西)호와 동(東)호로 나누어져 있으며, 서호는 잠실동, 동호는 신천동에 속해 이름과는 달리 어디도 석촌동에 속하지 않는다. 1990년대 이후로 신도시 등지에 조성된 호수들[84]에 비하면 호수의 크기는 작은 편이지만 산책로에 그늘이 많아 걷기에 좋고 주거지로부터 접근성이 좋다.[85] 무엇보다도 봄에는 벚꽃놀이의 대표적인 명소이기도 하고 가을에는 단풍이 아름답게 피며 겨울에는 눈 쌓인 얼어버린 호수와 같이 사계절마다 특색이 다르고 주변에 롯데월드타워와 롯데월드 등 랜드마크들과 조화를 이루는 야경 또한 아름다워 서울시가 뽑은 서울의 아름다운 야경 10대 명소에 선정되기도 했다.
올림픽공원은 1988 서울 올림픽 개최를 기념하고자 1986년에 완공되었다. 서울특별시가 소유하고 국민체육진흥공단에서 운영중이다. 규모는 약 50만평정도이며 서울종합운동장의 좁은 부지 특성상 그 부지 안에 건설하지 못한 일부 종목의 경기장(체조, 펜싱, 역도, 수영, 테니스, 사이클)이 위치하고, 몽촌토성과 각종 현대 조각작품들이 전시된 공원 영역 등으로 구성된 대규모 공원이다.
현재는 경기장 상당수가 용도 변경되어 웬만한 콘서트는 여기서 치러지곤 한다. 물론 '체육시설'이기 때문에 체육행사가 우선시되며, 전문적 공연장에 비하면 질이 떨어지긴 한다. 하지만 전용 공연장을 구하기가 쉽지 않고, 엄청난 규모의 주차장과 대중교통등 주변 인프라가 워낙 뛰어나서 많은 사람을 모으기에는 이만한 곳이 없어 조금 부족해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국민체육진흥공단도 이러한 문제를 잘 알고 있고 고질적인 재정문제로 인해 대관행사가 줄면 타격이 크기 때문에 올림픽공원 내 위치한 벨로드롬, K-아트홀등을 활용해 2021~2022년 내로 K-POP 전용 공연장으로 탈바꿈할 예정이라서 올림픽공원에서 콘서트 행사를 여는 풍조는 올림픽공원에 버금가는 규모의 공연인프라와 부지가 갑자기 생기지 않는 한 이어질 듯 하다. 자세한 사항은 올림픽공원 문서 내 각 시설물 설명 참고.
참고로 잠실주경기장, 잠실야구장 등이 위치한 서울종합운동장과는 관리 주체가 다르고, 위치도 다르다. 올림픽공원은 전술한 바와 같이 국민체육진흥공단이, 서울종합운동장은 서울특별시체육시설관리사업소에서 관리하고 있다.[86]
7.3. 관공서
|
송파구청 |
송파구는 분구 대신 문정지구 내에 규모를 늘린 신청사를 건립하는 방안을 추진했었으나 송파구청, 신청사 건립추진…서울시 "쉽지 않은 일" 위례신도시 등 주변지역의 개발 본격화에 힘입어 장기간 미분양 상태였던 문정지구 업무용지가 빠른 속도로 매각되면서 송파구청 이전도 사실상 물건너 갔다.
2013년 5월 송파세무서에서 관할하던 잠실동, 신천동, 풍납동, 삼전동, 방이동, 오륜동, 오금동을 잠실세무서로 분리했다. 송파세무서와 같은 청사 1, 3층을 사용했는데[88] 이것을 분구를 위한 준비 작업이라는 이야기도 있다. 그러나 세무서는 중앙정부기관이므로 지방행정과는 어떠한 관련이 없다. 송파세무서만으로는 60만이 넘는 인구를 담당하기 벅차기 때문에 분서(分署)한 것일 뿐. 만일 그랬다면 강남구는 이미 3조각(강남, 삼성, 역삼)났을 거다. 대신 공간이 부족했는지 2014년 6월 14일자로 강동세무서가 길동사거리로 이전했다. 그러면서 현재는 서로 주차장을 공유하지만 건물은 다른 바로 옆 청사를 사용하고 있다.
2017년 문정동 일대에 문정법조단지가 들어섰다. 서울동부지방검찰청, 서울동부지방법원, 서울지방경찰청 제3기동단, 서울동부구치소, 서울동부준법지원센터, 대검찰청 국가형사사법기록관 등이 모여있다. 오금역에 위치한 서울송파우체국, 바로 맞은편의 서울송파경찰서, 마천동 송파소방서가 송파구를 관할한다.
7.4. 의료기관
국내 최대 병상수를 가진 서울아산병원(2,432병상)이 풍납동에 있다. 이 병원은 지역적으로는 송파, 강동, 하남뿐만 아니라 광진구 일부까지 커버하는 상급종합병원이지만, 지역의 의미가 없는 전국구 병원이다보니 오히려 지역민들이 이용하기에 편리하지만은 않다. 그 외 종합병원으로 국립경찰병원(276병상)이 있으며 경찰공무원 및 소방공무원에 대한 전문적인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병원이지만 일반인도 이용하는 데는 전혀 문제 없다. 거여동(위례신도시)에 가천대 서울길병원(1,200병상)이 2024년 착공 예정으로 거여, 마천, 오금, 장지동 주민들의 의료 편의가 크게 개선될 것으로 보였으나, 시공사가 토지대금을 미납하면서 계약이 해지된 상태이다. 문정동 법조타운에는 2019년 개원한 대학한방병원인 대전대학교 서울한방병원(50병상)도 있다.7.5. 관광
서울특별시/관광 송파구 부분 참조.상술했듯이 잠실역의 롯데타운은 상업·관광·교통의 중심지로서 한국은 물론 세계적으로 관광객들이 몰린다. 송파구는 역사적으로 한성백제의 중심지였으며, 그 때문에 백제의 주요 유적들이 집중되어 있다. 또한 서울 올림픽 주요 경기장들이 밀집해 있어 1988년 올림픽의 기억을 품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7.6. 스포츠
서울특별시 송파구 연고 프로 구단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야구 | |
| | |
LG 트윈스 | 두산 베어스 | |
농구 | ||
| | |
서울 SK 나이츠 | 서울 삼성 썬더스 | |
축구 | ||
| ||
서울 이랜드 FC | }}}}}}}}} |
종합운동장의 시설들은 여러 프로 구단들이 홈구장으로 사용 중이다.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을 LG 트윈스와 두산 베어스가 공동으로 사용 중이며, 서울 SK 나이츠와 서울 삼성 썬더스가 잠실학생체육관[89]과 잠실실내체육관[90]을 각각 사용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차상위 축구리그인 K리그2에 참가하는 서울 이랜드 FC가 서울올림픽주경기장에 자리잡고 있다.[91]
올림픽공원에는 SK 슈가글라이더즈의 홈구장인 SK올림픽핸드볼경기장, 서울에 몇 없는 50m레인이 있는 올림픽수영장, 국제규격의 올림픽테니스경기장등 각종 국제규격에 맞는 스포츠 시설들이 위치하고 있다. 또한 2021년부터 서울종합운동장과 서울올림픽주경기장을 지나는 형식의 포뮬러 E 전용 서킷이 개장될 예정이다.
올림픽공원에는 현재 '올림픽스포츠콤플렉스'라는 명칭으로 2022~23년 완공을 목표로 국내최초로 국가주도하에 설립될 체육 전문 박물관인 국립체육박물관, 스포츠전문도서관, 스포츠행정기관 등이 들어서며 스포츠 행정타운으로 변화할 예정이다.[92] 자세한 사항은 올림픽공원(서울) 3.15문단참고
7.7. 산하 기관
- 송파구시설관리공단
- 송파문화재단
- 송파구인재육성장학재단
8. 정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송파구/정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송파구/정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9. 하위 행정구역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송파구/행정#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송파구/행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송파구의 행정동 | 송파구의 법정동 |
잠실동과 신천동은 옛 고양군 뚝도면, 풍납동은 옛 광주군 구천면에 속했으며, 나머지 지역은 옛 광주군 중대면에 속했다.
10. 여담
- 송파구 홈페이지가 웹 접근성 인증마크를 획득했다.
- 인구가 전국에서 가장 많은 구임에도 잠실을 제외하면 각 동네의 인지도는 낮다. 실제로 타지 사람에게 "삼전동 살아요", "오금동 살아요", "방이동 살아요"라고 하면 전혀 못 알아듣다가 잠실에서 가깝다, 올림픽공원 옆 동네라는 식으로 이야기해야 그제서야 "아~" 하고 알아듣는 정도.
- 서울특별시에서 강서구와 더불어 공항고도제한이 묶인 자치구다. 김포국제공항이 있는 강서구와 달리 송파구에는 공항도 없는데 왜 묶여있나 의아할 수 있다. 그것은 서울에서 바로 나가면 있는 서울공항 때문이다. 송파구는 서울공항 활주로 방향에 있어 상당한 지역들이 고도제한이 꽤 엄격하게 묶여 있으며, 이로 인해 개발제한이 심해 언급했다시피 강남 3구 중에서도 도심을 형성하지 못한 유일한 구가 되었다. 지금은 완공된 롯데월드타워 역시 이 고도제한 때문에 1980년대부터 무려 20여년 간 보류상태로 있다가, 결국 활주로 각도를 살짝 비틀면서 공역을 피해 어렵사리 지은 것이다.
- 2006년 이후 갑작스럽게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이는 잠실주공 재개발이 완료되어 입주한 영향이 크다. 5~6층짜리 아파트에서 고층아파트로 바뀌면서 세대수가 늘었다. 그 결과 60만 명을 간신히 넘기는 수준이던 인구가 갑작스럽게 증가해 70만명에 육박하던 시절도 있었으나 현재는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 인근에 위례신도시[93]와 미사강변신도시, 세곡동보금자리지구가 생기면서 송파구를 생활권으로 삼던 사람들이 하남시, 성남시, 강남구 세곡동쪽으로 전출한 영향, 가락1동의 재건축으로 거주하던 사람들이 타지역으로 전출한 영향으로 인한 것이다. 다만 위례신도시가 송파구쪽에도 걸쳐져있고 문정업무지구쪽에 신규아파트가 생겼기 때문에 전출하는 사람보다는 적지만 전입자도 있어서 인구수가 급감하는 현상으로는 이어지지 않고 있다. 향후 헬리오시티 입주, 문정업무지구 완공에 따른 기업 입주가 본격화되면 다시 인구가 증가할 수도 있다.
- 시설 명칭이 위치한 법정동명과 다른 시설이 유독 많아 혼동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잠실동과 신천동은 송파대로를 기준으로 서쪽과 동쪽으로 나뉘지만 예전부터 혼선이 있다. 구 신천역(현 잠실새내역)은 잠실동에 위치했었고, 서울신천초등학교와 신천중학교는 잠실동에 위치하고 있다. 반대로 서울잠실초등학교, 잠실중학교, 잠실고등학교는 모두 신천동에 위치하고 있다. 신천 먹자골목도 신천동이 아닌 잠실동에 있다. 심지어 송파구청 홈페이지조차 이를 잘못 소개하고 있을 정도다.
이외에도 송파구 내에서 혼동을 주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 가락동: 석촌중학교[94], 송파중학교, 잠실더샵루벤
- 방이동: 가락대림아파트, 에비뉴잠실, 잠실한양3차아파트, 잠실파라다이스
- 마천동: 거여119안전센터
- 문정동: 장지동주민센터, 가락현대1차아파트, 거여파출소
- 삼전동: 석촌고분역[95]
- 석촌동: 잠실한솔파크아파트
- 송파동: 가락중학교, 가락고등학교, 잠실여자고등학교, 가락삼익아파트, 가락골어린이공원
- 신천동: 잠실역(2호선)[96], 잠실역(8호선), 석촌호수(동호), 서울잠실초등학교, 잠실중학교, 잠실고등학교
- 오금동: 가락상아아파트, 가락우창아파트, 거여초등학교, 송파두산위브, 송파레미니스, 송파호반베르디움더퍼스트[97]
- 장지동: 복정역, 문정파출소
- 잠실동: 삼전역, 석촌호수(서호), 서울신천초등학교, 신천중학교, 삼전도비[98]
- 풍납동: 잠실올림픽공원아이파크,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 가락로: 가락로는 석촌동, 송파동, 방이동을 지나며 가락동을 전혀 지나지 않는다.
- 성내천: 성내천은 신천동, 풍납동, 방이동, 오금동, 거여동, 마천동을 지나며 성내동을 전혀 지나지 않는다.
- 역명: 잠실동에 신천역이 있고 신천동(서울)에 성내역과 잠실역이 있어 주민들이 혼동이 많았었다. 이 문제로 신천역은 잠실새내역, 성내역은 잠실나루역으로 변경되었다.
- 특별.광역시의 일부 자치구들은 약한 자치성 때문에 도 산하의 특례시처럼 2009년부터 논의가 시작되었지만 공염불로 그쳤고, 심지어 2005년 인구 50만 이상의 자치구들이 모여 만든 '전국거대자치구협의회' 명의로 특례를 주장한 바 있어 아래와 같이 그 중 한곳이다.※
- 2025년 4월 16일 MBC가 서울시의 2024년 '지반침하 특별점검 공동조사용역' 최종 보고서를 입수해 공개했는데 확인된 329곳의 공동 중 송파구는 20곳으로 조사됐다.[99] 2015년부터 2025년 3월까지 서울에 발생한 234건의 지반 침하 중 송파구는 24건이었다.[100][101] # # 지도 보고서 전문
11. 출신 인물
- 강타: 보이그룹 H.O.T. 멤버.
- 광민: 보이그룹 보이프렌드의 멤버.
- 개리
- 김민정
- 김대희: 개그맨
- 김상혁: 보이그룹 클릭비의 멤버.
- 김수경: 걸그룹 위키미키의 멤버.
- 김유식
- 김현중: 보이그룹 SS501의 멤버.
- 라비: 보이그룹 VIXX의 멤버.
- 뮤: 보이그룹 EPEX의 멤버.
- 문희준: 보이그룹 H.O.T. 멤버.
- 박소현: tripleS의 멤버.
- 박유천
- 박유환
- 박은빈
- 상연: 보이그룹 더보이즈의 멤버.
- 서인영: 쥬얼리 출신 연예인
- 성민: 보이그룹 CRAVITY의 멤버.
- 소유진
- 최시원: 보이그룹 SUPER JUNIOR의 멤버.
- 양홍원: 래퍼
- 영민: 보이그룹 보이프렌드의 멤버.
- 오승아: 걸그룹 레인보우의 멤버.
- 오지은: 배우
- 은지: 걸그룹 브브걸의 멤버.
- 유승준
- 윤계상: 보이그룹 god의 멤버.
- 이대휘: 보이그룹 AB6IX의 멤버.
- 이서정: 걸그룹 위키미키의 멤버.
- 이수진: 걸그룹 Weeekly의 멤버.
- 이지아: 배우
- 이해리: 걸그룹 다비치의 멤버.
- 임서원
- 임윤택: 슈퍼스타K3 우승팀 울랄라세션의 리더.
- 정지소
- 제인: 걸그룹 모모랜드의 멤버.
- 최강창민: 보이그룹 동방신기의 멤버.
- 키썸
- T.O.P: 보이그룹 BIGBANG의 전 멤버.
- 혜주: 걸그룹 CLASS:y의 멤버.
- 현빈
- 햄튜브 : 유튜버
12. 관련 문서
[1] 13개 법정동, 27개 행정동[2] 2025년 9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통계[3] 서울 인구 1위[4] 2025년 8월 기준[5] 송파구 가선거구 (풍납1동, 풍납2동, 잠실4동, 잠실6동): 이강무 (초선), 장종례 (초선)
송파구 나선거구 (방이2동, 오륜동): 김광철 (초선)
송파구 다선거구 (방이1동, 송파1동, 송파2동): 박경래 (4선)
송파구 라선거구 (석촌동, 가락1동, 문정2동): 손병화 (재선), 이혜숙 (4선)
송파구 마선거구 (잠실본동, 잠실2동, 잠실7동): 김순애 (4선), 김영심 (초선)
송파구 바선거구 (삼전동, 잠실3동): 최상진 (초선)
송파구 사선거구 (거여1동, 마천1동, 마천2동): 이하식 (재선)
송파구 아선거구 (거여2동, 장지동, 위례동): 장원만 (초선)
송파구 자선거구 (오금동, 가락본동): 김성호 (초선)
송파구 차선거구 (가락2동, 문정1동): 김행주 (초선)
송파구 비례대표: 곽노상 (초선), 전정 (초선)[6] 송파구 가선거구 (풍납1동, 풍납2동, 잠실4동, 잠실6동): 김정열 (3선)
송파구 나선거구 (방이2동, 오륜동): 정주리 (초선)
송파구 다선거구 (방이1동, 송파1동, 송파2동): 최옥주 (초선)
송파구 라선거구 (석촌동, 가락1동, 문정2동): 박성희 (재선)
송파구 마선거구 (잠실본동, 잠실2동, 잠실7동): 배신정 (초선)
송파구 바선거구 (삼전동, 잠실3동): 김호재 (재선)
송파구 아선거구 (거여2동, 장지동, 위례동): 조용근 (재선)
송파구 자선거구 (오금동, 가락본동): 신영재 (초선)
송파구 차선거구 (가락2동, 문정1동): 박종현 (초선)
송파구 비례대표: 김샤인 (초선)[7] 송파구 사선거구 (거여1동, 마천1동, 마천2동): 나봉숙 (4선)[8] 송파구 제1선거구 (풍납1동, 풍납2동, 잠실4동, 잠실6동): 김규남 (초선)
송파구 제2선거구 (방이1동, 방이2동, 오륜동, 송파1동, 송파2동): 남창진 (재선)
송파구 제3선거구 (석촌동, 가락1동, 문정2동): 임춘대 (초선)
송파구 제4선거구 (삼전동, 잠실본동, 잠실2동, 잠실3동, 잠실7동): 이성배 (재선)
송파구 제5선거구 (거여1동, 거여2동, 마천1동, 마천2동, 장지동, 위례동): 유정인 (초선)
송파구 제6선거구 (오금동, 가락본동, 가락2동, 문정1동): 김원태 (재선)[9] 송파(松坡)는 '소나무 언덕'이라는 뜻이다.[10] 1988 서울 올림픽 관련[11] 2025년 8월 기준 송파구 인구는 645,953명이다. 잠실 재건축이 완료된 뒤 일시적으로 1위를 차지했던 노원구를 제치고, 다시 서울시 구 단위 인구 1위를 탈환했다. 위례신도시 등에서 아파트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송파구와 달리, 노원구는 신규 아파트 개발이 거의 없고 별내신도시 등의 영향으로 인구가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한편, 마곡지구 개발로 인구가 증가한 강서구가 2위, 강남구가 3위, 노원구가 4위를 기록하고 있다. 또한 전국적으로는 인천광역시 서구(646,703명)와 송파구 두 곳만이 인구 60만 명을 넘는 구 단위 행정구역이다.[12] 서울교통공사가 발표한 '서울 지하철 1~8호선 수송 통계'에 따르면, 2023년부터[13] 소위 말하는 엘리트(잠실엘스, 리센츠, 트리지움),레파(레이크팰리스, 잠실 파크리오)와 잠실 르엘과 잠실 래미안 아이파크, 그리고 재건축을 추진 중인 잠실 우성, 잠실주공5단지, 아시아선수촌, 잠실 장미아파트 등의 고가의 고층 아파트들이 많다. 잠실의 아파트 단지 이외에도 오륜동의 올림픽선수촌아파트, 가락동의 헬리오시티, 문정동의 올림픽훼밀리타운 등도 대표적인 대규모 아파트 단지이다.[14] 잠실본동·삼전동·석촌동·송파동 등[15] 국회도서관 사이트 확인 결과 그 해 1월에 발간된 1993년 통계연보에서 먼저 사용된 것으로 보아 대략 이 무렵부터 쓴 것으로 보인다.[16] 제정 당시에는 공사중.[17] 현재 송파구의 대부분을 차지한다.[18] 단, 가락시영아파트(현 헬리오시티), 가락원호주공아파트(현 송파동부센트레빌) 등지는 제외[19] 남산이 누에의 모습을 하고 있기에, 이 '누에'를 잘 키우면 조선에 복이 온다고 했는데, 이걸 키우는 방법이 바로 누에의 입에 해당하는 잠실에 뽕나무를 대량으로 심는 것이었다. 그래서 동네 이름도 누에방이란 뜻의 蠶室인 것이다. 이 잠실이 현재 강남구 지역에도 하나 더 있었는데, 송파구 잠실동이 먼저 서울에 들어가버리는 바람에 강남구(현 서초구) 잠실동은 잠실동이라는 이름을 받지 못하고 주변의 신원리와 합쳐서 잠원동이 되어버렸다.[20] 삼전도는 섬이 아니라 나루터 도(渡)를 쓴다.[21] 이 훼손 용의자는 이후 2012년 12월, 노태우 전 대통령 생가 방화 혐의로 기소되었다. 그리고 2016년 12월 1일에는 또다시 박정희 전 대통령의 생가에 불을 질렀다.[22] 한때 고양군은 사대문안과 용산구 지역을 제외한 거의 모든 현대 서울의 강북지역(여의도 및 잠실 포함)을 차지하고 있었다.[23] 이 과정에서 송파강의 일부를 호수로 남긴 것이 바로 석촌호수이다.[24] 단, 가락시영아파트(현 헬리오시티), 가락원호주공아파트(현 송파동부센트레빌) 등지 일대는 제외[25] 대통령령 제 12367호에 의해 강동구에서 송파구가 분리 신설.[26] 강남구와는 탄천으로 갈라져 있지만, 강동구와는 시가지가 연속되어 있어 길바닥에 금 그어놓은 것과 다름없기도 하다.[27] 현재 각자 구 이름이 붙은 케이블이 있지만 채널 번호를 99% 공유한다.[28] 또한, 송파구에 위치해 있지만 강동지사로 명칭을 사용하는 곳도 다수 있으며, 그 중에는 KB손해보험, KB국민카드 등 KB계열사, 삼성화재 등 삼성그룹계열사, 롯데카드 등 롯데계열사, 현대해상 등이 있다. 송파구와 강동구는 구조상 연결되어 있어 지리, 지형적으로 명확한 경계가 없기 때문에, 두 구가 밀접한 관계에 있다.[29] 본점을 비롯한 상당수 지점이 광진구 관내에 있고 정작 성동구에는 금호/옥수지점 달랑 2곳뿐이라서 좀 더 포괄적인 명칭으로 바꾸게 되었다.[30] 사실 여기만 그런 것이 아니라, 지역단위 농협들은 과거 시(도농통합시 제도 이전)·구·읍·면당 1개소를 두었기 때문에 이후 행정구역의 변천과는 별개로 각 지역단위 농협들은 전통적인 행정구역을 따라 그대로 유지되는 경우가 많다. 경기도 고양시의 경우 신도읍, 원당읍, 벽제읍, 일산읍, 지도읍, 송포면 등 고양군 시절 행정구역들이 1992년 고양시 승격으로 모두 폐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고양농협 또는 일산농협/덕양농협 등으로 통합하지 않고 여전히 신도농협, 원당농협, 벽제농협, 일산농협, 지도농협, 송포농협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부천시 역시 부천군 시절 소사읍에 해당되는 곳은 부천농협(구 소사농협)이, 오정면에 해당되는 곳은 오정농협이 따로 유지되고 있다. 안산시의 경우 안산농협(구 시흥군 수암면), 군자농협(구 군자면), 반월농협(구 화성군 반월면)의 3개 지역단위 농협이 안산시를 3분하여 관할하며, 안산농협은 시흥시 연성동, 목감동 일대까지, 군자농협은 시흥시 군자동, 정왕동 일대까지, 반월농협은 군포시 대야동, 수원시 입북동 일대까지 관할하고 있다. 인천광역시 서구 역시 1995년 김포군 검단면을 편입하였으나, 기존 인천직할시 서구를 관할하는 서인천농협과 기존 검단면을 관할하는 검단농협이 여전히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이는 1986년 이전 옛 광산군의 흔적이 남아있는 송정농협, 하남농협, 광주비아농협, 임곡농협, 본량농협, 삼도농협, 평동농협, 동곡농협이 속한 광주광역시 광산구 전역, 서창농협이 속한 서구 일부, 대촌농협이 속한 남구 일부에도 해당된다.[31] 풍납동·거여동·마천동·방이동·이동·오금동·송파동·석촌동·삼전동·가락동·문정동·장지동·잠실동·신천동[32] 폐지된 행정동 포함. '제' 구분이 사용된 것과, 현재 경계와 다를 수 있음에 유의.[33] 젊은층을 위주로 인구가 계속 증가중인 천안시와 격차가 벌이지고 있다.[34] 송파구를 비롯한 많은 서울 지역의 자치구들은 개발 과정에서 행정경계 변경이 잦았으나, 이들을 모두 인구 그래프에 간단한 서술을 하기에는 너무 많아지므로 단순히 분동·합동 및 행정동명 변경만을 표기함.[서울특별시송파구행정기구설치조례] 해당 조례 개정으로 송파구에서 '제' 구분을 넣어 숫자 행정동으로 구분하는 것은 사라졌다. 다만 실제로 시행된 것은 2008년 6월 30일 행정동 통폐합을 단행하면서 시행되었다.[서울특별시송파구행정기구설치조례] [서울특별시송파구행정기구설치조례] [서울특별시송파구행정기구설치조례] [서울특별시송파구행정기구설치조례] [서울특별시송파구행정기구설치조례] [서울특별시송파구행정기구설치조례] [서울특별시송파구행정기구설치조례] [서울특별시송파구행정기구설치조례] [서울특별시송파구행정기구설치조례] [서울특별시송파구행정기구설치조례] [서울특별시송파구행정기구설치조례] [서울특별시송파구행정기구설치조례] [서울특별시송파구행정기구설치조례] [잠실2동,잠실3동] 잠실2동과 잠실3동은 1975년에 신설되었으나 통계청 조사상으로 누락되어 있어 1976년 서울특별시 통계연보를 참조함.[1975잠실2동] 잠실제1동 2,474명 + 잠실제2동 9명[1980잠실2동] 잠실제1동 26,456명 + 잠실제2동 18,168명[1985잠실2동] 잠실제1동 21,480명 + 잠실제2동 17,991명[1990잠실2동] 잠실제1동 17,422명 + 잠실제2동 16,932명[1995잠실2동] 잠실제1동 16,107명 + 잠실제2동 15,529명[2000잠실2동] 잠실제1동 15,280명 + 잠실제2동 13,728명[2005잠실2동] 잠실제1동 152명 + 잠실제2동 15명[서울특별시송파구행정기구설치조례] [잠실2동,잠실3동] [1980잠실3동] 잠실제3동 24,380명 + 잠실제5동 18,784명[1985잠실3동] 잠실제3동 22,777명 + 잠실제5동 17,989명[1990잠실3동] 잠실제3동 21,634명 + 잠실제5동 16,554명[1995잠실3동] 잠실제3동 20,783명 + 잠실제5동 16,410명[2000잠실3동] 잠실제3동 18,688명 + 잠실제5동 15,329명[2005잠실3동] 잠실제3동 3,007명 + 잠실제5동 14,599명[서울특별시송파구행정기구설치조례] [서울특별시송파구행정기구설치조례] [서울특별시송파구행정기구설치조례] [서울특별시송파구행정기구설치조례] [69] 종합운동장역, 잠실새내역(당시 신천역), 잠실역, 잠실나루역(당시 성내역) 4개역 뿐이라 잠실 주변이 아니라면 지하철을 이용하기 위해 버스를 타고 역 근처까지 가야했다.[70] 8호선은 24개 역 중 8개 역이 송파구에 있다.[71] 2016년 역명이 바뀌었는데, 토박이나 출신자들은 아직까지도 일대 상권으로서의 명칭으로는 '신천'을 훨씬 선호한다.[72] 원래 신천(현 잠실새내역)쪽에 '키노극장'이라는 영화관이 있었으나, 멀티플렉스 영화관들에 밀려 2007년경에 폐점했다. 영화관이 있던 건물은 평범한 상가, 오피스 건물로 쓰이는 중(송파구 올림픽로 82)[73] 2025년에 폐점했다.[괄호] 안의 숫자는 개인을 상대로 영업하는 지점수(씨티 제외)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76] 게다가 2026년부터는 잠실고등학교가 남자고등학교에서 남녀 공학 고등학교로 바뀌어서 10개가 된다. 서울에서 최초로 두자릿수만큼이나 가지는 것이다.[77] 서울특별시에서 중학교가 가장 많다. 2013년까지는 노원구와 공동 1위였으나, 2014년에 위례신도시에 송례중학교가 개교하면서 단독 1위가 되었으며 2019년 가락동에 해누리중학교가 개교하면서 29곳이 되었다.[78] 이러한 현상은 강동구에서도 마찬가지라서 강동 학생들은 송파로, 송파 학생들은 강남으로 배정 받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고등학교가 하나도 없던 천호, 성내, 암사동의 학생들이 잠실고, 영파여고, 보성고로 가는 경우가 많았다. 다만 선사고등학교와 성덕고등학교가 개교하면서 해결되었다.[79] 문정고 개교 전에 훼미리아파트 거주자 등 문정동 중학교 졸업생들은 중동고등학교, 중산고등학교(서울)로 배정을 받았다. 문희준(문정중 - 중산고), 송창의(가원중 - 중산고)가 그 예다. 배명중학교 졸업생이 중동고, 휘문고, 단대부고, 경기고로 배정받은 사례도 있다.[80] 송파중학교와 방산중학교 학생들은 배명고로 많이 배정받았다.[81] 혜화동과 재동에서 각각 올림픽선수촌아파트 단지쪽으로 이전한 보성고와 창덕여고, 연지동에서 잠실로 이전한 정신여자고등학교 그리고 왕십리에서 이전한 배명고등학교가 있다.[82] 항간에서는 초중고를 같은 이름의 학교로 나오면 망한다는 농담아닌 농담이 있다. 쓰리잠신, 쓰리잠실, 쓰리방산, 쓰리가락, 쓰리오금, 쓰리문정, 쓰리문현(쓰리장지) 등 다양하다. 비록 명성있는 사립이지만 남중 남고인 탓에 평가가 박한 삼전초 배명중 배명고의 삼배배테크 역시 비슷한 소리 듣는다[83] 개교하기 전인 2004년부터 2007년까지 잠실주공 3단지(현 트리지움)에 소재한 영동일고가 아파트 재건축으로 인해 잠시 이곳에 있었던 적이 있다.[84] 이를테면 일산호수공원, 상동호수공원, 광교호수공원, 청라호수공원이 이에 해당이 된다.[85] 다른 신도시 호수공원은 공원에 들어와서도 물을 구경하려면 좀 걸어야 하는 경우가 많지만, 석촌호수는 잠실 레이크팰리스나 잠실 르엘 같은 가까운 아파트의 경우 길만 건너면 바로 호수다.[86] 서울종합운동장과 올림픽공원은 엄연히 분리되어있는 시설들이고, 거리도 약 4Km 떨어져 있다. 그리고 서울종합운동장의 시설 중 잠실학생체육관은 운영 주체가 서울특별시체육시설관리사업소가 아니라 서울특별시 교육청이다.[87] 지번은 서울특별시 송파구 신천동 29-5 송파구청[88] 강동세무서(민원실은 이미 강동역 인근 빌딩으로 이전함)가 이전하기 전까지 한 부지에 세무서만 무려 세 곳이었다.[89] 스포츠컴플렉스 건립계획으로 2026년 철거예정[90] 스포츠컴플렉스 건립계획으로 2025년 철거예정[91] 다만 서울 이랜드는 서울올림픽주경기장의 리모델링과 LG와 두산의 임시 홈구장 사용으로 인해 2022년부터 2031년까지 양천구의 목동종합운동장 주경기장에서 경기를 치른다.[92] 국민체육진흥공단 공식블로그 https://blog.naver.com/kspo2011/221624707085[93] 송파구에 걸친 지역도 있기는 하나 성남시와 하남시쪽에도 걸쳐져 있다.[94] 1989년 석촌동에서 현재의 위치로 이전했다.[95] 석촌동 고분군은 석촌동에 있다. 석촌고분역 가까이 고분군이 있어서 지었는데 위치랑 이름이 안 맞는 상황이 된것.[96] 8호선은 전지역 신천동이며, 2호선은 신천동과 잠실동 경계에 있으나 주소는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지하 265 (신천동)이다.[97] '송파'의 경우는 송파동이 아닌 송파구에서 따온 것으로 보면 본래의 지명과 다르다고 할 수 없다.[98] 삼전도비가 원래 있던 곳은 석촌동이다.[99] 강남구 65곳, 서초구 25곳, 강동구 12곳으로 조사되어 도로 아래 빈 공간 10개 중 4개가 이른바 '강남 4구'에서 나왔다. 한강이 범람하던 지역을 매립한 땅이라 모래와 자갈이 많아 지반이 약한 상황에서, 대규모 지하 개발이 계속되고 있어 '땅 꺼짐' 위험이 크다고 지적된 곳들이다.[100] 강남구(28건) 다음으로 가장 많았으며 강동구는 12건, 서초구는 6건이다.[101] 강남구는 2024년 서울시에 언주로 6.7km 구간과 선릉로 6.3km 구간을 '지반 침하 사고 발생 빈도가 높다'며 고위험지역으로 선정해 보고했다. 반면 서초구, 송파구, 강동구는 단 한 곳도 보고하지 않았다.[102] 일전에는 춘천 출신이 많았던 것은 고속도로와 시외버스 개통으로 일시적인 현상으로 파악되었으나, 2025년 이후에는 원주 출신이 더 많아졌다. 이는 송파 쪽에서 원주가 좀 더 접근성이 좋은 것을 방증해 주는 것이기도 하다. 대략 송파구 전체 인구의 8% 이상 추산되며, 50,000명 가량 거주한다. 춘천시 출신은 약 5% 가량이다. 2025년 기준으로 원주 출신은 송파구에 노원구보다 훨씬 많이 거주한다.
송파구 나선거구 (방이2동, 오륜동): 김광철 (초선)
송파구 다선거구 (방이1동, 송파1동, 송파2동): 박경래 (4선)
송파구 라선거구 (석촌동, 가락1동, 문정2동): 손병화 (재선), 이혜숙 (4선)
송파구 마선거구 (잠실본동, 잠실2동, 잠실7동): 김순애 (4선), 김영심 (초선)
송파구 바선거구 (삼전동, 잠실3동): 최상진 (초선)
송파구 사선거구 (거여1동, 마천1동, 마천2동): 이하식 (재선)
송파구 아선거구 (거여2동, 장지동, 위례동): 장원만 (초선)
송파구 자선거구 (오금동, 가락본동): 김성호 (초선)
송파구 차선거구 (가락2동, 문정1동): 김행주 (초선)
송파구 비례대표: 곽노상 (초선), 전정 (초선)[6] 송파구 가선거구 (풍납1동, 풍납2동, 잠실4동, 잠실6동): 김정열 (3선)
송파구 나선거구 (방이2동, 오륜동): 정주리 (초선)
송파구 다선거구 (방이1동, 송파1동, 송파2동): 최옥주 (초선)
송파구 라선거구 (석촌동, 가락1동, 문정2동): 박성희 (재선)
송파구 마선거구 (잠실본동, 잠실2동, 잠실7동): 배신정 (초선)
송파구 바선거구 (삼전동, 잠실3동): 김호재 (재선)
송파구 아선거구 (거여2동, 장지동, 위례동): 조용근 (재선)
송파구 자선거구 (오금동, 가락본동): 신영재 (초선)
송파구 차선거구 (가락2동, 문정1동): 박종현 (초선)
송파구 비례대표: 김샤인 (초선)[7] 송파구 사선거구 (거여1동, 마천1동, 마천2동): 나봉숙 (4선)[8] 송파구 제1선거구 (풍납1동, 풍납2동, 잠실4동, 잠실6동): 김규남 (초선)
송파구 제2선거구 (방이1동, 방이2동, 오륜동, 송파1동, 송파2동): 남창진 (재선)
송파구 제3선거구 (석촌동, 가락1동, 문정2동): 임춘대 (초선)
송파구 제4선거구 (삼전동, 잠실본동, 잠실2동, 잠실3동, 잠실7동): 이성배 (재선)
송파구 제5선거구 (거여1동, 거여2동, 마천1동, 마천2동, 장지동, 위례동): 유정인 (초선)
송파구 제6선거구 (오금동, 가락본동, 가락2동, 문정1동): 김원태 (재선)[9] 송파(松坡)는 '소나무 언덕'이라는 뜻이다.[10] 1988 서울 올림픽 관련[11] 2025년 8월 기준 송파구 인구는 645,953명이다. 잠실 재건축이 완료된 뒤 일시적으로 1위를 차지했던 노원구를 제치고, 다시 서울시 구 단위 인구 1위를 탈환했다. 위례신도시 등에서 아파트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송파구와 달리, 노원구는 신규 아파트 개발이 거의 없고 별내신도시 등의 영향으로 인구가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한편, 마곡지구 개발로 인구가 증가한 강서구가 2위, 강남구가 3위, 노원구가 4위를 기록하고 있다. 또한 전국적으로는 인천광역시 서구(646,703명)와 송파구 두 곳만이 인구 60만 명을 넘는 구 단위 행정구역이다.[12] 서울교통공사가 발표한 '서울 지하철 1~8호선 수송 통계'에 따르면, 2023년부터[13] 소위 말하는 엘리트(잠실엘스, 리센츠, 트리지움),레파(레이크팰리스, 잠실 파크리오)와 잠실 르엘과 잠실 래미안 아이파크, 그리고 재건축을 추진 중인 잠실 우성, 잠실주공5단지, 아시아선수촌, 잠실 장미아파트 등의 고가의 고층 아파트들이 많다. 잠실의 아파트 단지 이외에도 오륜동의 올림픽선수촌아파트, 가락동의 헬리오시티, 문정동의 올림픽훼밀리타운 등도 대표적인 대규모 아파트 단지이다.[14] 잠실본동·삼전동·석촌동·송파동 등[15] 국회도서관 사이트 확인 결과 그 해 1월에 발간된 1993년 통계연보에서 먼저 사용된 것으로 보아 대략 이 무렵부터 쓴 것으로 보인다.[16] 제정 당시에는 공사중.[17] 현재 송파구의 대부분을 차지한다.[18] 단, 가락시영아파트(현 헬리오시티), 가락원호주공아파트(현 송파동부센트레빌) 등지는 제외[19] 남산이 누에의 모습을 하고 있기에, 이 '누에'를 잘 키우면 조선에 복이 온다고 했는데, 이걸 키우는 방법이 바로 누에의 입에 해당하는 잠실에 뽕나무를 대량으로 심는 것이었다. 그래서 동네 이름도 누에방이란 뜻의 蠶室인 것이다. 이 잠실이 현재 강남구 지역에도 하나 더 있었는데, 송파구 잠실동이 먼저 서울에 들어가버리는 바람에 강남구(현 서초구) 잠실동은 잠실동이라는 이름을 받지 못하고 주변의 신원리와 합쳐서 잠원동이 되어버렸다.[20] 삼전도는 섬이 아니라 나루터 도(渡)를 쓴다.[21] 이 훼손 용의자는 이후 2012년 12월, 노태우 전 대통령 생가 방화 혐의로 기소되었다. 그리고 2016년 12월 1일에는 또다시 박정희 전 대통령의 생가에 불을 질렀다.[22] 한때 고양군은 사대문안과 용산구 지역을 제외한 거의 모든 현대 서울의 강북지역(여의도 및 잠실 포함)을 차지하고 있었다.[23] 이 과정에서 송파강의 일부를 호수로 남긴 것이 바로 석촌호수이다.[24] 단, 가락시영아파트(현 헬리오시티), 가락원호주공아파트(현 송파동부센트레빌) 등지 일대는 제외[25] 대통령령 제 12367호에 의해 강동구에서 송파구가 분리 신설.[26] 강남구와는 탄천으로 갈라져 있지만, 강동구와는 시가지가 연속되어 있어 길바닥에 금 그어놓은 것과 다름없기도 하다.[27] 현재 각자 구 이름이 붙은 케이블이 있지만 채널 번호를 99% 공유한다.[28] 또한, 송파구에 위치해 있지만 강동지사로 명칭을 사용하는 곳도 다수 있으며, 그 중에는 KB손해보험, KB국민카드 등 KB계열사, 삼성화재 등 삼성그룹계열사, 롯데카드 등 롯데계열사, 현대해상 등이 있다. 송파구와 강동구는 구조상 연결되어 있어 지리, 지형적으로 명확한 경계가 없기 때문에, 두 구가 밀접한 관계에 있다.[29] 본점을 비롯한 상당수 지점이 광진구 관내에 있고 정작 성동구에는 금호/옥수지점 달랑 2곳뿐이라서 좀 더 포괄적인 명칭으로 바꾸게 되었다.[30] 사실 여기만 그런 것이 아니라, 지역단위 농협들은 과거 시(도농통합시 제도 이전)·구·읍·면당 1개소를 두었기 때문에 이후 행정구역의 변천과는 별개로 각 지역단위 농협들은 전통적인 행정구역을 따라 그대로 유지되는 경우가 많다. 경기도 고양시의 경우 신도읍, 원당읍, 벽제읍, 일산읍, 지도읍, 송포면 등 고양군 시절 행정구역들이 1992년 고양시 승격으로 모두 폐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고양농협 또는 일산농협/덕양농협 등으로 통합하지 않고 여전히 신도농협, 원당농협, 벽제농협, 일산농협, 지도농협, 송포농협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부천시 역시 부천군 시절 소사읍에 해당되는 곳은 부천농협(구 소사농협)이, 오정면에 해당되는 곳은 오정농협이 따로 유지되고 있다. 안산시의 경우 안산농협(구 시흥군 수암면), 군자농협(구 군자면), 반월농협(구 화성군 반월면)의 3개 지역단위 농협이 안산시를 3분하여 관할하며, 안산농협은 시흥시 연성동, 목감동 일대까지, 군자농협은 시흥시 군자동, 정왕동 일대까지, 반월농협은 군포시 대야동, 수원시 입북동 일대까지 관할하고 있다. 인천광역시 서구 역시 1995년 김포군 검단면을 편입하였으나, 기존 인천직할시 서구를 관할하는 서인천농협과 기존 검단면을 관할하는 검단농협이 여전히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이는 1986년 이전 옛 광산군의 흔적이 남아있는 송정농협, 하남농협, 광주비아농협, 임곡농협, 본량농협, 삼도농협, 평동농협, 동곡농협이 속한 광주광역시 광산구 전역, 서창농협이 속한 서구 일부, 대촌농협이 속한 남구 일부에도 해당된다.[31] 풍납동·거여동·마천동·방이동·이동·오금동·송파동·석촌동·삼전동·가락동·문정동·장지동·잠실동·신천동[32] 폐지된 행정동 포함. '제' 구분이 사용된 것과, 현재 경계와 다를 수 있음에 유의.[33] 젊은층을 위주로 인구가 계속 증가중인 천안시와 격차가 벌이지고 있다.[34] 송파구를 비롯한 많은 서울 지역의 자치구들은 개발 과정에서 행정경계 변경이 잦았으나, 이들을 모두 인구 그래프에 간단한 서술을 하기에는 너무 많아지므로 단순히 분동·합동 및 행정동명 변경만을 표기함.[서울특별시송파구행정기구설치조례] 해당 조례 개정으로 송파구에서 '제' 구분을 넣어 숫자 행정동으로 구분하는 것은 사라졌다. 다만 실제로 시행된 것은 2008년 6월 30일 행정동 통폐합을 단행하면서 시행되었다.[서울특별시송파구행정기구설치조례] [서울특별시송파구행정기구설치조례] [서울특별시송파구행정기구설치조례] [서울특별시송파구행정기구설치조례] [서울특별시송파구행정기구설치조례] [서울특별시송파구행정기구설치조례] [서울특별시송파구행정기구설치조례] [서울특별시송파구행정기구설치조례] [서울특별시송파구행정기구설치조례] [서울특별시송파구행정기구설치조례] [서울특별시송파구행정기구설치조례] [서울특별시송파구행정기구설치조례] [서울특별시송파구행정기구설치조례] [잠실2동,잠실3동] 잠실2동과 잠실3동은 1975년에 신설되었으나 통계청 조사상으로 누락되어 있어 1976년 서울특별시 통계연보를 참조함.[1975잠실2동] 잠실제1동 2,474명 + 잠실제2동 9명[1980잠실2동] 잠실제1동 26,456명 + 잠실제2동 18,168명[1985잠실2동] 잠실제1동 21,480명 + 잠실제2동 17,991명[1990잠실2동] 잠실제1동 17,422명 + 잠실제2동 16,932명[1995잠실2동] 잠실제1동 16,107명 + 잠실제2동 15,529명[2000잠실2동] 잠실제1동 15,280명 + 잠실제2동 13,728명[2005잠실2동] 잠실제1동 152명 + 잠실제2동 15명[서울특별시송파구행정기구설치조례] [잠실2동,잠실3동] [1980잠실3동] 잠실제3동 24,380명 + 잠실제5동 18,784명[1985잠실3동] 잠실제3동 22,777명 + 잠실제5동 17,989명[1990잠실3동] 잠실제3동 21,634명 + 잠실제5동 16,554명[1995잠실3동] 잠실제3동 20,783명 + 잠실제5동 16,410명[2000잠실3동] 잠실제3동 18,688명 + 잠실제5동 15,329명[2005잠실3동] 잠실제3동 3,007명 + 잠실제5동 14,599명[서울특별시송파구행정기구설치조례] [서울특별시송파구행정기구설치조례] [서울특별시송파구행정기구설치조례] [서울특별시송파구행정기구설치조례] [69] 종합운동장역, 잠실새내역(당시 신천역), 잠실역, 잠실나루역(당시 성내역) 4개역 뿐이라 잠실 주변이 아니라면 지하철을 이용하기 위해 버스를 타고 역 근처까지 가야했다.[70] 8호선은 24개 역 중 8개 역이 송파구에 있다.[71] 2016년 역명이 바뀌었는데, 토박이나 출신자들은 아직까지도 일대 상권으로서의 명칭으로는 '신천'을 훨씬 선호한다.[72] 원래 신천(현 잠실새내역)쪽에 '키노극장'이라는 영화관이 있었으나, 멀티플렉스 영화관들에 밀려 2007년경에 폐점했다. 영화관이 있던 건물은 평범한 상가, 오피스 건물로 쓰이는 중(송파구 올림픽로 82)[73] 2025년에 폐점했다.[괄호] 안의 숫자는 개인을 상대로 영업하는 지점수(씨티 제외)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76] 게다가 2026년부터는 잠실고등학교가 남자고등학교에서 남녀 공학 고등학교로 바뀌어서 10개가 된다. 서울에서 최초로 두자릿수만큼이나 가지는 것이다.[77] 서울특별시에서 중학교가 가장 많다. 2013년까지는 노원구와 공동 1위였으나, 2014년에 위례신도시에 송례중학교가 개교하면서 단독 1위가 되었으며 2019년 가락동에 해누리중학교가 개교하면서 29곳이 되었다.[78] 이러한 현상은 강동구에서도 마찬가지라서 강동 학생들은 송파로, 송파 학생들은 강남으로 배정 받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고등학교가 하나도 없던 천호, 성내, 암사동의 학생들이 잠실고, 영파여고, 보성고로 가는 경우가 많았다. 다만 선사고등학교와 성덕고등학교가 개교하면서 해결되었다.[79] 문정고 개교 전에 훼미리아파트 거주자 등 문정동 중학교 졸업생들은 중동고등학교, 중산고등학교(서울)로 배정을 받았다. 문희준(문정중 - 중산고), 송창의(가원중 - 중산고)가 그 예다. 배명중학교 졸업생이 중동고, 휘문고, 단대부고, 경기고로 배정받은 사례도 있다.[80] 송파중학교와 방산중학교 학생들은 배명고로 많이 배정받았다.[81] 혜화동과 재동에서 각각 올림픽선수촌아파트 단지쪽으로 이전한 보성고와 창덕여고, 연지동에서 잠실로 이전한 정신여자고등학교 그리고 왕십리에서 이전한 배명고등학교가 있다.[82] 항간에서는 초중고를 같은 이름의 학교로 나오면 망한다는 농담아닌 농담이 있다. 쓰리잠신, 쓰리잠실, 쓰리방산, 쓰리가락, 쓰리오금, 쓰리문정, 쓰리문현(쓰리장지) 등 다양하다. 비록 명성있는 사립이지만 남중 남고인 탓에 평가가 박한 삼전초 배명중 배명고의 삼배배테크 역시 비슷한 소리 듣는다[83] 개교하기 전인 2004년부터 2007년까지 잠실주공 3단지(현 트리지움)에 소재한 영동일고가 아파트 재건축으로 인해 잠시 이곳에 있었던 적이 있다.[84] 이를테면 일산호수공원, 상동호수공원, 광교호수공원, 청라호수공원이 이에 해당이 된다.[85] 다른 신도시 호수공원은 공원에 들어와서도 물을 구경하려면 좀 걸어야 하는 경우가 많지만, 석촌호수는 잠실 레이크팰리스나 잠실 르엘 같은 가까운 아파트의 경우 길만 건너면 바로 호수다.[86] 서울종합운동장과 올림픽공원은 엄연히 분리되어있는 시설들이고, 거리도 약 4Km 떨어져 있다. 그리고 서울종합운동장의 시설 중 잠실학생체육관은 운영 주체가 서울특별시체육시설관리사업소가 아니라 서울특별시 교육청이다.[87] 지번은 서울특별시 송파구 신천동 29-5 송파구청[88] 강동세무서(민원실은 이미 강동역 인근 빌딩으로 이전함)가 이전하기 전까지 한 부지에 세무서만 무려 세 곳이었다.[89] 스포츠컴플렉스 건립계획으로 2026년 철거예정[90] 스포츠컴플렉스 건립계획으로 2025년 철거예정[91] 다만 서울 이랜드는 서울올림픽주경기장의 리모델링과 LG와 두산의 임시 홈구장 사용으로 인해 2022년부터 2031년까지 양천구의 목동종합운동장 주경기장에서 경기를 치른다.[92] 국민체육진흥공단 공식블로그 https://blog.naver.com/kspo2011/221624707085[93] 송파구에 걸친 지역도 있기는 하나 성남시와 하남시쪽에도 걸쳐져 있다.[94] 1989년 석촌동에서 현재의 위치로 이전했다.[95] 석촌동 고분군은 석촌동에 있다. 석촌고분역 가까이 고분군이 있어서 지었는데 위치랑 이름이 안 맞는 상황이 된것.[96] 8호선은 전지역 신천동이며, 2호선은 신천동과 잠실동 경계에 있으나 주소는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지하 265 (신천동)이다.[97] '송파'의 경우는 송파동이 아닌 송파구에서 따온 것으로 보면 본래의 지명과 다르다고 할 수 없다.[98] 삼전도비가 원래 있던 곳은 석촌동이다.[99] 강남구 65곳, 서초구 25곳, 강동구 12곳으로 조사되어 도로 아래 빈 공간 10개 중 4개가 이른바 '강남 4구'에서 나왔다. 한강이 범람하던 지역을 매립한 땅이라 모래와 자갈이 많아 지반이 약한 상황에서, 대규모 지하 개발이 계속되고 있어 '땅 꺼짐' 위험이 크다고 지적된 곳들이다.[100] 강남구(28건) 다음으로 가장 많았으며 강동구는 12건, 서초구는 6건이다.[101] 강남구는 2024년 서울시에 언주로 6.7km 구간과 선릉로 6.3km 구간을 '지반 침하 사고 발생 빈도가 높다'며 고위험지역으로 선정해 보고했다. 반면 서초구, 송파구, 강동구는 단 한 곳도 보고하지 않았다.[102] 일전에는 춘천 출신이 많았던 것은 고속도로와 시외버스 개통으로 일시적인 현상으로 파악되었으나, 2025년 이후에는 원주 출신이 더 많아졌다. 이는 송파 쪽에서 원주가 좀 더 접근성이 좋은 것을 방증해 주는 것이기도 하다. 대략 송파구 전체 인구의 8% 이상 추산되며, 50,000명 가량 거주한다. 춘천시 출신은 약 5% 가량이다. 2025년 기준으로 원주 출신은 송파구에 노원구보다 훨씬 많이 거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