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현재 운행이 중단 혹은 종료된 노선 또는 구간을 다룹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구간은 철도, 버스, 항공, 도선 등이 영구중단 또는 특정기간에 한하여 운행이 중단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구간은 철도, 버스, 항공, 도선 등이 영구중단 또는 특정기간에 한하여 운행이 중단되었습니다.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4098,#49aaff><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 }}} | |
{{{#!wiki style="color:#004098,#49aaff; margin:-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color=#fff> 프리미엄 | ||
광역급행 | |||
직행좌석 | |||
좌석 | |||
일반 | |||
마을 | |||
경기도 시내버스 목록 |
1. 노선 정보
| |||||
기점 |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권선동(수원버스터미널) | 종점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화정동(화정터미널) | ||
종점행 | 첫차 | ??:?? | 기점행 | 막차 | ??:?? |
막차 | ??:?? | 막차 | ??:?? | ||
배차간격 | 1일 ??회 | ||||
운수사명 | 용남고속버스라인 | 인가대수 | ?대 | ||
노선 | 수원버스터미널 - 수원역 - 화서시장·병무청입구 - 한일타운·홈플러스 - 경기도인재개발원 - 고천동행정복지센터 - 호계사거리 - 이마트·비산사거리 - 관악역 - 석수IC - 제2경인고속도로 - 안현JC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일산IC - 고양종합터미널 - 화정터미널 |
2. 개요
용남고속버스라인에서 운행하는 직행좌석버스 노선. 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 그런데 이동환 신임 고양시장이 공공버스 참여를 검토하겠다고 공약했기 때문에 조만간 운행을 재개할 가능성이 생겼다.
4. 특징
- 수원버스터미널부터 관악역까지는 터미널 내부에서 타는 것을 제외하면 성우운수의 900번과 중복이다. 900번과 달리 일부 정류장에만 정차하므로 소요시간은 더 적지만 배차간격이 길어서 900번의 대체 노선으로 선호되지는 못한다.
- 수원시부터 안양시까지 경유지가 길고 많은데다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가 막히면 소요시간이 길어지는 바람에 노선 직선화에 대한 민원이 종종 올라온다. 가장 많이 거론되는 안건은 안양 구간 단축. 과거에 '안양~일산' 구간은 경원여객의 8407번이 좋은 배차간격으로 다녔고 킨텍스도 경유하여 수요가 더 몰리는 바람에 8450번은 8407번의 남은 수요를 담아가는 역할만 하였다. 이 안건이 반영되면 수원 시내를 그대로 경유하고 지지대고개를 넘어 북수원IC로 진입하게 된다. 하지만 두 노선 모두 휴업되면서 안양 구간 단축은 없는 안건이 되었다.
- 동수원 경유안도 간혹 올라온다. 수원터미널을 출발하여 동수원(우만동)을 경유해서 동수원IC로 진입하는 루트이다. 경남여객의 8478번이 이미 동수원을 지나고 있지만 배차간격이 매우 긴 데다가 중간에 부천을 경유해서 소요시간이 더 걸린다. 만약 동수원으로 노선이 변경되면 8478번보다 10회 더 많은 운행횟수로 승부를 볼 수 있게 된다. 하지만 두 노선 현재 모두 운행중단 상태라서 안건 내용은 지금은 소용없는 상태.
- 시외버스 시절에는 배차간격이 매우 길었지만 출퇴근 시간은 물론 주말에도 만석을 찍을 정도로 이용객이 많았었다.
- 차량 주박은 수원터미널에서 할 가능성이 높다.
5. 연계 철도역
수도권 전철 1호선 : 수원역, 관악역
수도권 전철 3호선 : 백석역, 화정역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수원역
- 일반 철도역 : 수원역(KTX, ITX-새마을, 새마을호, 무궁화호, 누리로)
6. 둘러보기
| |||
직행좌석 | 7002 | 7200 | |
일반좌석 | 300 | ||
일반시내 | 64 | 65 | 301 |
777 | 9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