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2 00:13:41

지방도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국가지원지방도
,
,
,
,
,

🚦 도로교통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c8123> 도로 고속국도 · 국도 · 지방도 · 시도 · 고속도로 · 고속화도로 · 도시고속도로 · 강변로 · 산복도로 · 순환로 · 비포장도로 · 임도 · 제방도로 · 측도 · 농어촌도로 · 사도 · 이면도로 · 단지내도로 · 사실상도로
시설 <colbgcolor=#808080> 도로의 횡단구성 중앙분리대 · 차도 · 갓길 · 측대 · 측구 · 도로경계석 · 식수대 · 자전거도로 · 보도
전용시설 전용차로 · 자동차전용도로 · 자전거전용도로 · 다인승전용차로 · 오토바이전용차로 · 노면전차 전용로 · 버스전용차로
교차로 평면교차로 · 회전교차로 · 입체교차로 · 나들목 · 분기점 · 88도로 · 램프
횡단시설 건널목 · 지하차도 · 고가차도 · 교량 · 터널(해저터널) · 암거 · 횡단보도 · 대각선 횡단보도 · 자전거횡단도 · 육교 · 지하도 · 생태통로
안전시설 신호등(신호등/대한민국, 점멸등, 감응신호, 수신호) · 도로교통표지판(도로교통표지판/대한민국) · 교통노면표시(중앙선, 차선, 정지선, 노면 색깔 유도선) · 무인단속장비 · 포장 · 가드레일 · 안전지대 · 교통섬 · 갓길 · 가로등 · 비상제동시설 · 졸음알리미 · 출차주의등 · 도류화 · 오르막차로 · 테이퍼 · 클린로드 · 럼블 스트립
편의시설 휴게소(고속도로 휴게소) · 졸음쉼터 · 버스 정류장 · 가로수 · 주차장
규칙 제도 통행방향 · 지정차로제 · 안전속도 5030 · 견인 · 거주자 우선 주차 · 도로 통행금지 · 어린이보호구역 · 노인보호구역 · 장애인보호구역 · 가변차로 · 일방통행 · 교통정온화
위법 행위 음주운전 · 속도위반 · 신호위반과 지시위반 · 예측출발 · 끼어들기 · 꼬리물기 · 불법주차 · 12대 중과실 · 좌측 방향지시등 우회전
운전 규칙 주차 · 양보 · 서행 · 일시정지 · 앞지르기 · 비보호 좌회전 · 적신호시 우회전 · 유턴 · 훅턴
특례 교통수단 긴급자동차 · 어린이보호차량 · 자전거 · 개인형이동장치 · 보행자
도로명주소 대로 · ·
법률 도로법 · 농어촌도로 정비법 · 사도법 · 유료도로법 · 도로교통법 · 도로의 구조ㆍ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 · 농어촌도로의 구조ㆍ시설기준에 관한 규칙 · 도로의유지ㆍ보수등에관한규칙 · 도로와 다른 시설의 연결에 관한 규칙 · 도로명주소법 · 도로표지규칙 · 한국도로공사법
기관 도로관리청
기타 오프로드 · 병목 현상 · 엇갈림구간 · 로드킬 · 교통 체증 · 방어운전 · 캥거루 운전 · 비상활주로 · 요금소 · 컬드색 · 한국 교통 문제점
}}}}}}}}} ||

도로법에 따른 도로 분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파일:대한민국 고속도로 표지_팬톤.svg
고속국도
파일:Korea_National_Route_logo.png
일반국도
(국도대체우회도로)
파일:대한민국 일반도로 표지.svg
특별시도 · 광역시도 · 시도
파일:Korea_Local_Highway_logo.png
지방도
(국가지원지방도)
구도 군도
}}}}}}}}} ||

파일:Korea_Local_Highway_logo.png 지방도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고속국도 · 국도 · 국도(북한) · 국가지원지방도 · 지방도 · 특별시도 · 광역시도 · 시도 · 군도

1. 개요2. 상세3. 노선번호4. 규격5. 도로관리청6. 승격 또는 격하7. 노선 목록
7.1. 경기7.2. 강원7.3. 충북7.4. 충남7.5. 전북7.6. 전남7.7. 경북7.8. 경남7.9. 제주
8. 외국의 지방도9. 여담

1. 개요

파일:Korea_Local_Highway_logo.png
지방도 기호

| Local highway
특별자치도에서 지정하여 관리 및 운영하는 도로.
[clearfix]

2. 상세

기호는 노란 직사각형 표시 안에 파란색 숫자를 사용한다. 서울특별시에서 지정하는 도로는 서울특별시도, 광역시에서 지정하는 도로는 광역시도로 따로 부르며, 세종특별자치시에서 관리하는 도로는 지방도와 시도이다. 물론 도가 지정한 지방도 중에서도 특별시나 광역시 시계 내까지 진입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는 인접한 도의 도지사에서 노선을 지정하되 관리는 관내 특·광역시에 위임해서 한다. 하지만 행정상 비효율적이라 아예 도계를 넘어가는 구간은 통째로 지방도에서 폐지하고 해당 특별시도·광역시도[1], 구도·군도[2]로 이관하는 곳도 있다. 지방도와는 다르게 특별시도, 광역시도, 시도는 팔각형 모양의 표지를 사용하며 흰색 바탕에 파란색 글자로 노선명을 표기하는데, 최근에는 지방도인데도 팔각형을 잘못 쓰는 곳도 많은 듯하다. 거꾸로 시군구도를 지방도와 같은 노란 사각형으로 잘못 표기하는 경우도 많다.

이보다 더 하위 등급은 시 단위로 관리하는 시도, 군 단위로 관리하는 군도가 있고, 국도나 지방도가 대체 도로가 생길 경우 격하되어 군도로 격하되는 경우도 있다.[3] 당연히 보수나 제설면에서 지방도에도 밀려 엉망인 노면 상태를 자랑한다. 대표적인 사례가 미시령 구 도로. 미시령터널 개통 이후 눈이 오면 무조건 통제하고 제설은 신경도 쓰지 않는 길로 변모했다.

3. 노선번호

국가로부터 도로 건설비용 지원을 받는 국가지원지방도와, 오로지 지방자치단체만의 힘으로 운영하는 일반 지방도로 분류된다. 국가지원지방도는 숫자가 2자리, 일반 지방도는 3자리 또는 4자리로 되어 있으며, 도로 표지판에 표시할 때는 모두 노란색 사각형 안에 도로 번호를 표기한다.

국가지원지방도를 빼고 지방도의 경우 번호 선정은 각 도별로 나눠서 한다.
300번대경기
400번대강원
500번대충북
600번대충남
700번대전북
800번대전남
900번대경북
1000번대경남
1100번대제주

원래 지방도가 다른 도로 넘어가면 뒤 두 자리의 고유번호는 바뀌지 않아야 하지만(예: 만약 959번 지방도(실제로는 없는 노선)가 경남으로 넘어가면 1059번이 되어야 한다) 지켜지지 않는 듯하며, 원래 01~50은 도내 노선, 51~99는 도계외 노선이지만 그것도 지켜지지 않는 듯하다.

100번대와 200번대는 결번이다.

4. 규격

대부분 왕복 2차로 규격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오지나 낙도 같은 경우에는 차로 구분이 없거나 비포장도로로 되어 있기도 하다. 시의 동(洞) 지역으로 들어와야 차로 수가 어느정도 늘어나고 차도와 보도의 구분이 생기긴 하지만, 대부분의 구간이 보행자 통행량이 극히 드물기 때문에 차도와 보도의 구분이 없다. 차마의 통행량 역시 국도급에 비하면 적기 때문에 국도나 고속도로와 교차하는 곳이 아니면 입체교차로가 설치되는 일도 흔치 않고 철도건널목도 많이 남아있다. 통행량이 적어서 교차로횡단보도신호등도 없고 있더라도 점멸등으로 운영한다. 2020년대부터는 회전교차로도 널리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도시에서 흔히 보이는 횡단보도가 지방도에서는 수 킬로미터 동안 아예 없는 경우도 허다하다.[4]

국도 역시 그렇지만 밭이나 논을 끼고 있는 경우가 많아 야간 농작물의 생장에 방해되지 않기 위해 가로등의 설치도 최소화한다.

최근에서야 국가예산의 보조를 통해 터널을 통해 직선화하는 추세에 있지만 여전히 산을 끼고 굽이굽이 올라갔다 내려와 선형이 불량하고 경사도 크다.

일반국도와는 달리[5] 각 광역자치단체들의 사정에 따라 완공되지 못하고 단절돼 있는 구간이 많이 보이고 심지어 1023번 지방도[6], 306번 지방도[7], 1047번 지방도[8]의 일부 구간처럼 차량 통행이 불가능한 곳도 있으며, 923번 지방도, 843번 지방도, 418번 지방도의 일부 구간처럼 임도인 구간도 존재하고, 시내버스 여행 시에는 지방도는 주로 대중교통 음영 지역을 지나기 때문에 대중교통이 열악한 경우가 많고 국도와 중첩될 경우 대부분 도로안내 표지판에 표시되지 않기에, 각 지방도를 모두 드라이브를 해보거나 시내버스 여행을 하는데 애로사항이 동반된다.

5. 도로관리청

도로의 관할기관은 읍, 면 지역의 경우 도청 산하기관이고 동 지역은 시청 도로과이다. 해당 지방도 구간의 우회도로가 개통되어 지방도 구간이 변경된 경우 기존 구간은 광역자치단체 관할에서 기초자치단체 관할로 이양되며 일반도로 및 시도, 군도로 격하된다.[9]

6. 승격 또는 격하

지방도가 국가의 손에 넘어가게 되어 국도 혹은 국가지원지방도로 승격되는 경우도 있다. 특히, 지방자치단체에서 지방도를 건설 및 유지할 힘이 부족할 경우 해당 지방도의 국도 및 국가지원지방도 승격을 종종 요구하기도 한다. 물론 1996년 및 2001년에 시행된 대한민국 대통령령에 의거 대규모 고속국도/일반국도/지방도 노선지정령 개정 시행 당시 사례를 제외하면 실제 적용되는 경우는 드물다. 대한민국 농산어촌 도서벽지 지방도 전체가 1990년대 ~ 2000년대 사이에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 포장 공사가 전면 시행되었으며 지금도 일부 산간 임도는 비포장 상태로 남아있는 구간이 극소수 존재한다. 현재는 해당 비포장 도로들마저도 단계적으로 도로 포장 공사가 추진 중에 있다. 현재에도 계속해서 지방도의 일부 구간 확장 및 선형개량, 일부 노면상태 불량 구간의 도로 재포장이 진행되고 있다.

그 반대의 사례로 본래 일반국도로 지정되었던 구간이 지방도로 격하되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제주도의 일부 지방도들을 지목할 수 있다.[10] 심지어 고속도로였던 구간이 지방도로 수직 낙하하는 경우도 있다. 2001년까지 영동고속도로의 대관령 구간인 456번 지방도와 2015년까지 88올림픽고속도로의 장수군 구간이었던 743번 지방도가 대표 사례. 특히 구 영동고속도로의 일부였던 456번 지방도는 극악의 선형과 더불어 국도 겸용 고속도로라는 해괴한 타이틀을 갖고 있던 노선으로 유명하다.


7. 노선 목록

국가지원지방도 노선들은 국가지원지방도 문서 참고.

2021년 말 기준(국가지원지방도 포함)
시도명 개통 총 연장(km) 비고
부산광역시 30 경상남도 지정
대구광역시 12 경상북도, 경상남도 지정
인천광역시 48 경기도 지정, 3km 미개설
광주광역시 16 전라남도 지정
대전광역시 30 충청남도 지정
울산광역시 17 경상남도 지정
세종특별자치시 25 충청북도, 충청남도 지정
경기도 2,670 70km 미개통, 320km 미개설
강원특별자치도 1,636 66km 미개설
충청북도 1,422 4km 미개통, 26km 미개설
충청남도 1,709 97km 미개설
전북특별자치도 1,895 111km 미개설
전라남도 2,299 16km 미개통, 207km 미개설
경상북도 3,182 101km 미개통
경상남도 2,541 23km 미개통, 250km 미개설
제주특별자치도 754 43km 미개설
총계 18,286 213km 미개통, 1,086km 미개설

7.1. 경기

경기도의 지방도는 1996년, 2005년 2번에 걸쳐 대규모 개편이 있었다.
경기도의 지방도
노선번호 기점 종점 비고
301번 지방도 화성시 우정읍 시흥시 정왕동
302번 지방도 화성시 우정읍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305번 지방도 화성시 서신면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
306번 지방도 화성시 양감면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309번 지방도 평택시 포승읍 과천시 주암동 유료도로[11] 포함
310번 지방도 화성시 우정읍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
311번 지방도 오산시 부산동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 동부대로
313번 지방도 평택시 팽성읍 안산시 상록구 사사동
314번 지방도 화성시 정남면 안성시 양성면
315번 지방도 평택시 팽성읍 용인시 기흥구 상하동
317번 지방도 평택시 세교동 용인시 기흥구 공세동
318번 지방도 화성시 서신면 이천시 장호원읍
321번 지방도 안성시 공도읍 광주시 문형동
322번 지방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동동 화성시 안녕동
325번 지방도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광주시 퇴촌면
329번 지방도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이천시 대포동
330번 지방도 시흥시 정왕동 시흥시 목감동 유료도로
제3경인고속화도로
333번 지방도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양평군 강하면
334번 지방도 의왕시 학의동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
337번 지방도 이천시 장호원읍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338번 지방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 광주시 퇴촌면
341번 지방도 여주시 가남읍 양평군 단월면
342번 지방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 양평군 양동면
345번 지방도 여주시 점동면 양평군 단월면
349번 지방도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문막읍 양평군 청운면
352번 지방도 남양주시 와부읍 양평군 옥천면
355번 지방도 김포시 양촌읍 김포시 하성면
356번 지방도 김포시 월곶면 고양시 일산서구 구산동
357번 지방도 고양시 덕양구 덕은동 파주시 탄현면 대부분 구간 제2자유로
358번 지방도 김포시 대곶면 고양시 덕양구 관산동
359번 지방도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 파주시 문산읍
360번 지방도 파주시 탄현면 포천시 가산면
363번 지방도 고양시 덕양구 향동동 파주시 탄현면
364번 지방도 파주시 문산읍 가평군 가평읍
367번 지방도 고양시 덕양구 벽제동 연천군 장남면
368번 지방도 연천군 청산면 가평군 북면
371번 지방도 고양시 덕양구 오금동 연천군 중면 일부 구간 민통선 내부
372번 지방도 파주시 군내면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 사내면 일부 구간 민통선 내부
375번 지방도 양주시 광적면 연천군 미산면
376번 지방도 연천군 중면 포천시 관인면 일부 구간 민통선 내부
379번 지방도 양주시 삼숭동 포천시 신북면
383번 지방도 남양주시 지금동 남양주시 진접읍
387번 지방도 남양주시 화도읍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동송읍
391번 지방도 양평군 양서면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 사내면

7.2. 강원

강원특별자치도내 지방도는 다른 곳의 지방도보다 열악한 경우가 많은데, 이는 산이 많은 지형과 적은 인구로 인한 적은 교통량 때문이다.
강원특별자치도의 지방도
노선번호 기점 종점 비고
403번 지방도 홍천군 서면 양구군 양구읍
404번 지방도 원주시 문막읍 원주시 귀래면 귀문로
406번 지방도 횡성군 공근면 홍천군 화촌면
407번 지방도 춘천시 신북읍 화천군 화천읍 춘화로
408번 지방도 홍천군 두촌면 평창군 용평면
409번 지방도 원주시 호저면 횡성군 서원면
410번 지방도 평창군 진부면 강릉시 왕산면
411번 지방도 원주시 신림면 횡성군 둔내면
414번 지방도 정선군 고한읍 태백시 혈동 함백산로
415번 지방도 영월군 북면 강릉시 연곡면
416번 지방도 삼척시 도계읍 삼척시 원덕읍 가곡천로
418번 지방도 인제군 기린면 양양군 서면
420번 지방도 홍천군 영귀미면 평창군 방림면
421번 지방도 정선군 신동읍 삼척시 하장면
424번 지방도 홍천군 내면 삼척시 근덕면
426번 지방도 인제군 서화면 고성군 죽왕면 대부분 구간 민통선 내부
427번 지방도 태백시 통동 삼척시 근덕면
442번 지방도 횡성군 횡성읍 횡성군 우천면 한우로
444번 지방도 홍천군 홍천읍 인제군 상남면
446번 지방도 인제군 남면 홍천군 내면
451번 지방도 홍천군 두촌면 인제군 상남면 아홉사리로
453번 지방도 인제군 북면 양구군 동면
456번 지방도 평창군 진부면 강릉시 성산면
460번 지방도 화천군 화천읍 양구군 양구읍 평화로
461번 지방도 화천군 상서면 화천군 간동면
463번 지방도 화천군 사내면 이천군 안협면
(철원군 철원읍)
일부 구간 북한령
464번 지방도 철원군 갈말읍 철원군 철원읍 일부 구간 민통선 내부
494번 지방도 홍천군 서면 횡성군 공근면

7.3. 충북

충청북도의 지방도들은 2017년에 대규모 개편이 있었다.
충청북도의 지방도
노선번호 기점 종점 비고
501번 지방도 영동군 학산면 옥천군 옥천읍
502번 지방도 보은군 회남면 보은군 탄부면
504번 지방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세종오송로
505번 지방도 영동군 용화면 보은군 속리산면
507번 지방도 청주시 흥덕구 강내면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508번 지방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제천시 한수면
509번 지방도 보은군 회남면 청주시 상당구 가덕면
511번 지방도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진천군 초평면
512번 지방도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청주시 상당구 낭성면
513번 지방도 진천군 초평면 음성군 금왕읍
514번 지방도 옥천군 이원면 대구광역시 군위군 효령면
516번 지방도 진천군 초평면 괴산군 불정면
517번 지방도 괴산군 청천면 괴산군 장연면
519번 지방도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남면 단양군 가곡면
522번 지방도 제천시 동현동 단양군 영춘면
525번 지방도 괴산군 칠성면 음성군 감곡면
531번 지방도 충주시 살미면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부론면
532번 지방도 충주시 동량면 단양군 어상천면
533번 지방도 괴산군 청천면 음성군 대소면
540번 지방도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증평군 증평읍
571번 지방도 대전광역시 동구 대청동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575번 지방도 옥천군 청성면 괴산군 청천면
592번 지방도 청주시 청원구 내수읍 괴산군 청안면
595번 지방도 단양군 가곡면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김삿갓면
599번 지방도 음성군 소이면 충주시 소태면

7.4. 충남

충청남도의 지방도
노선번호 기점 종점 비고
601번 지방도 금산군 부리면 금산군 추부면
602번 지방도 홍성군 홍북읍 예산군 오가면 충남대로
603번 지방도 태안군 근흥면 태안군 이원면
604번 지방도 예산군 광시면 공주시 의당면
606번 지방도 보령시 웅천읍 청양군 남양면
607번 지방도 서천군 비인면 보령시 신흑동
609번 지방도 보령시 청라면 서산시 운산면
610번 지방도 보령시 대천동 청양군 남양면
611번 지방도 서천군 장항읍 부여군 석성면
613번 지방도 서천군 한산면 부여군 은산면
615번 지방도 당진시 합덕읍 당진시 석문면
616번 지방도 홍성군 금마면 아산시 송악면
617번 지방도 서천군 장항읍 보령시 미산면
618번 지방도 서산시 운산면 공주시 정안면
619번 지방도 청양군 화성면 당진시 송악읍
622번 지방도 당진시 우강면 당진시 송악읍
623번 지방도 아산시 인주면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624번 지방도 아산시 인주면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
625번 지방도 부여군 세도면 공주시 우성면
628번 지방도 아산시 인주면 아산시 음봉면
629번 지방도 공주시 사곡면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
633번 지방도 당진시 송악읍 당진시 송산면
634번 지방도 태안군 원북면 서산시 성연면
635번 지방도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계북면 대전광역시 중구 유천동
643번 지방도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화산면 공주시 이인면
645번 지방도 계룡시 엄사면 아산시 선장면
647번 지방도 서산시 해미면 당진시 석문면
649번 지방도 서산시 부석면 당진시 고대면
651번 지방도 부여군 부여읍 공주시 신관동
691번 지방도 논산시 부적면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693번 지방도 천안시 동남구 수신면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696번 지방도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옥산면
697번 지방도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운주면 공주시 이인면

7.5. 전북

전북특별자치도의 지방도
노선번호 기점 종점 비고
701번 지방도 정읍시 연지동 김제시 장화동
702번 지방도 김제시 성덕면 김제시 백구면
703번 지방도 부안군 위도면
705번 지방도 정읍시 연지동 부안군 하서면
706번 지방도 군산시 성산면 익산시 용안면
707번 지방도 부안군 줄포면 부안군 부안읍
708번 지방도 고창군 신림면 정읍시 칠보면
709번 지방도 군산시 옥서면 군산시 성산면
710번 지방도 부안군 줄포면 정읍시 고부면
711번 지방도 김제시 부량면 익산시 용안면
712번 지방도 김제시 청하면 전주시 완산구 효자동2가
713번 지방도 김제시 금구면 전주시 덕진구 반월동
714번 지방도 김제시 금산면 완주군 구이면
715번 지방도 순창군 쌍치면 김제시 금산면
716번 지방도 김제시 교월동 전주시 완산구 효자동2가
717번 지방도 순창군 동계면 임실군 운암면
718번 지방도 군산시 회현면 익산시 망성면
720번 지방도 익산시 오산면 익산시 금마면
721번 지방도 남원시 식정동 완주군 상관면
722번 지방도 익산시 웅포면 익산시 왕궁면
723번 지방도 익산시 석왕동 충청남도 청양군 장평면
724번 지방도 익산시 웅포면 익산시 여산면
725번 지방도 진안군 정천면 진안군 주천면 정주천로
726번 지방도 진안군 백운면 진안군 동향면
727번 지방도 무주군 안성면 무주군 무주읍
729번 지방도 순창군 금과면 정읍시 산내면
730번 지방도 순창군 금과면 남원시 주천면
732번 지방도 완주군 고산면 진안군 주천면
733번 지방도 고창군 상하면 고창군 아산면
734번 지방도 정읍시 입암면 전라남도 장성군 북이면
735번 지방도 김제시 봉남면 익산시 동산동
736번 지방도 부안군 진서면 김제시 금산면
737번 지방도 남원시 주천면 남원시 산내면 정령치로
740번 지방도 익산시 여산동 완주군 운주면
741번 지방도 완주군 소양면 익산시 여산면
742번 지방도 임실군 임실읍 경상남도 함양군 백전면
743번 지방도 남원시 운봉읍 장수군 천천면
744번 지방도 군산시 옥서면 군산시 나포면
745번 지방도 순창군 유등면 진안군 마령면
747번 지방도 고창군 성내면 부안군 동진면
749번 지방도 정읍시 산외면 완주군 동상면
751번 지방도 남원시 아영면 장수군 상서면
792번 지방도 순창군 복흥면 순창군 순창읍
795번 지방도 진안군 진안읍 부안군 용담면
796번 지방도 고창군 대산면 고창군 무장면
799번 지방도 완주군 삼례읍 충청남도 공주시 탄천면

7.6. 전남

전라남도의 지방도들은 1996년에 대규모 개편이 있었다.
전라남도의 지방도
노선번호 기점 종점 비고
801번 지방도 진도군 고군면 함평군 나산면
803번 지방도 진도군 임회면 해남군 화원면
805번 지방도 신안군 장산면 영광군 영광읍
806번 지방도 영암군 삼호읍 해남군 송지면
808번 지방도 함평군 손불면 영광군 영광읍
811번 지방도 무안군 몽탄면 함평군 손불면
815번 지방도 무안군 일로읍 함평군 함평읍
816번 지방도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대산면 전 구간 734번 지방도와 중첩[12]
817번 지방도 장흥군 유치면 광주광역시 남구 진월동
818번 지방도 나주시 문평면 화순군 춘양면
819번 지방도 장흥군 안양면 영암군 금정면
820번 지방도 무안군 삼향읍 장흥군 장평면
821번 지방도 영암군 삼호읍 나주시 공산면
822번 지방도 나주시 노안면 화순군 동복면
825번 지방도 신안군 임자면 함평군 나산면
827번 지방도 해남군 북일면 영암군 영암읍
830번 지방도 강진군 성전면 고흥군 두원면
835번 지방도 장흥군 장흥읍 영암군 영암읍 장강로
836번 지방도 장흥군 장평면 보성군 보성읍
838번 지방도 함평군 손불면 함평군 나산면
839번 지방도 보성군 웅치면 화순군 이양면
840번 지방도 광양시 광양읍 곡성군 입면
842번 지방도 영광군 군서면 영광군 홍농읍
843번 지방도 고흥군 점암면 화순군 이양면
845번 지방도 보성군 회천면 보성군 복내면
851번 지방도 고흥군 풍양면 보성군 득량면
855번 지방도 고흥군 도화면 고흥군 점암면
857번 지방도 보성군 벌교읍 순천시 황전면
861번 지방도 광양시 옥곡면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산내면
863번 지방도 여수시 남면 광양시 다압면
865번 지방도 광양시 광양읍 구례군 토지면
887번 지방도 화순군 백아면 담양군 무정면
893번 지방도 장성군 삼계면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성송면 평림암치로
895번 지방도 보성군 회천면 보성군 벌교읍
897번 지방도 순천시 송광면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복흥면
898번 지방도 담양군 대전면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고창읍

7.7. 경북

경상도의 지방도들은 1996년에 대규모 개편이 있었다.
경상북도의 지방도
노선번호 기점 종점 비고
901번 지방도 김천시 구성면 예천군 효자면
902번 지방도 청도군 청도읍 청도군 각북면
903번 지방도 성주군 가천면 성주군 금수면
904번 지방도 영천시 고경면 경주시 양남면
905번 지방도 고령군 성산면 김천시 남면
908번 지방도 군위군 산성면 청송군 주왕산면
909번 지방도 경산시 와촌면 영천시 고경면
910번 지방도 봉화군 석포면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가곡면 청옥로
911번 지방도 영덕군 지품면 영양군 일월면
912번 지방도 상주시 청리면 청송군 현서면
913번 지방도 성주군 수륜면 구미시 무을면
914번 지방도 안동시 풍산읍 영덕군 달산면
915번 지방도 영주시 평은면 봉화군 춘양면
916번 지방도 김천시 아포읍 안동시 풍산읍
917번 지방도 영덕군 지품면 울진군 죽변면
918번 지방도 봉화군 봉화읍 영덕군 영해면
919번 지방도 청도군 운문면 군위군 우보면
920번 지방도 영양군 영양읍 안동시 예안면
921번 지방도 포항시 북구 죽장면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922번 지방도 문경시 가은읍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923번 지방도 칠곡군 지천면 문경시 문경읍
924번 지방도 문경시 문경읍 안동시 서후면
925번 지방도 청도군 매전면 영천시 도남동
927번 지방도 구미시 고아읍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
928번 지방도 안동시 북후면 문경시 동로면
929번 지방도 포항시 남구 오천읍 포항시 남구 동해면
930번 지방도 의성군 금성면 영덕군 남정면
931번 지방도 봉화군 물야면 예천군 감천면
933번 지방도 안동시 와룡면 봉화군 소천면
935번 지방도 안동시 임동면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
945번 지방도 경주시 양남면 경주시 문무대왕면
997번 지방도 김천시 개령면 상주시 화북면

7.8. 경남

경상남도의 지방도
노선번호 기점 종점 비고
1001번 지방도 고성군 하이면 거창군 고제면
1002번 지방도 하동군 읍내면 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1003번 지방도 사천시 대방동 하동군 악양면
1004번 지방도 진주시 사봉면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1005번 지방도 사천시 서포면 산청군 단성면
1006번 지방도 진주시 명석면 산청군 차황면
1007번 지방도 고성군 마암면 진주시 상봉동
1008번 지방도 의령군 부림면 밀양시 하남읍
1009번 지방도 고성군 거류면 진주시 초전동
1010번 지방도 고성군 하이면 고성군 동해면
1011번 지방도 함안군 가야면 경상북도 고령군 쌍림면
1013번 지방도 진주시 초전동 의령군 가례면
1014번 지방도 하동군 화개면 진주시 수곡면
1016번 지방도 사천시 선구동 고성군 영현면
1018번 지방도 거제시 사등면 거제시 장목면
1020번 지방도 창원시 성산구 용호동 김해시 외동
1021번 지방도 통영시 미수동 창녕군 남지읍
1022번 지방도 창녕군 남지읍 양산시 교동
1023번 지방도 하동군 화개면 함양군 함양읍
1024번 지방도 남해군 설천면 남해군 창선면
1026번 지방도 산청군 산청읍 합천군 대양면
1028번 지방도 양산시 원동면 양산시 용당동
1029번 지방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의령군 정곡면
1030번 지방도 창원시 성산구 완암동 김해시 장유동 남해안대로
1034번 지방도 함양군 유림면 창녕군 성산면
1036번 지방도 합천군 가야면 고령군 쌍림면
1037번 지방도 고성군 개천면 의령군 궁류면
1040번 지방도 진주시 대곡면 함안군 칠북면
1041번 지방도 함안군 칠원읍 합천군 가회면
1042번 지방도 김해시 진영읍 김해시 봉황동
1047번 지방도 하동군 악양면 산청군 시천면
1049번 지방도 사천시 축동면 진주시 명석면
1051번 지방도 양산시 어곡동 밀양시 단장면
1077번 지방도 양산시 동면 밀양시 상동면
1080번 지방도 창녕군 이방면 밀양시 내이동
1084번 지방도 함양군 함양읍 합천군 율곡면
1089번 지방도 산청군 신등면 경상북도 김천시 부항면
1099번 지방도 거창군 남상면 경상북도 김천시 대덕면

7.9. 제주

제주특별자치도의 지방도
노선번호(명칭) 기점 종점 비고
1112번 지방도
(비자림로)
제주시 구좌읍 제주시 봉개동
1114번 지방도
(추자로)
제주시 추자면
1115번 지방도
(제2산록도로)
제주시 한경면 서귀포시 상효동
1116번 지방도
(한창로)
서귀포시 안덕면 제주시 한림읍
1117번 지방도
(제1산록로)
제주시 애월읍 제주시 아라동
1119번 지방도
(서성로)
서귀포시 남원읍 서귀포시 성산읍
1120번 지방도
(대한로)
서귀포시 대정읍 제주시 한림읍
1121번 지방도
(제안로)
서귀포시 안덕면 제주시 노형동
1122번 지방도
(제성로)
제주시 봉개동 서귀포시 성산읍
1131번 지방도
(5.16도로)
서귀포시 토평동 제주시 이도1동 구 11번 국도
1132번 지방도
(일주도로)
제주시 이도2동 구 12번 국도
1135번 지방도
(평화로)
서귀포시 대정읍 제주시 애월읍 구 95번 국도
1136번 지방도
(중산간도로)
제주시 아라2동 구 16번 국도
1139번 지방도
(1100도로)
서귀포시 중문동 제주시 오라동 구 99번 국도

==# 해제된 노선 #==
노선번호 기점 종점 비고
303번 지방도 화성시 우정읍 시흥시 정왕동 2005년 폐지
301번 지방도의 일부
304번 지방도 화성시 양감면 평택시 칠원동 2005년 폐지
307번 지방도 김포시 풍무동 김포시 사우동 2005년 폐지
308번 지방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 광주시 중부면 2005년 폐지
342번 지방도의 일부
312번 지방도 평택시 팽성읍 과천시 선암동 2005년 폐지
309번 지방도의 일부
316번 지방도 포천시 이동면 2005년 폐지
319번 지방도 여주시 능서면 양평군 청운면 2005년 폐지
320번 지방도 남양주시 진접읍 가평군 청평면 2005년 폐지
323번 지방도 양주시 남면 연천군 백학면 2005년 폐지
371번 지방도의 일부
324번 지방도 파주시 파평면 파주시 적성면 2005년 폐지
326번 지방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천리 이천시 장호원읍 2005년 폐지
318번 지방도의 일부
327번 지방도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 의왕시 청계동 2005년 폐지
328번 지방도 원주시 문막읍 2005년 경기도 구간 폐지
2008년 349번 지방도와 통합
331번 지방도 안성시 일죽면 양평군 용문면 2005년 폐지
332번 지방도 화성시 우정읍 화성시 팔탄면 2005년 폐지
310번 지방도의 일부
335번 지방도 충주시 앙성면 2005년 경기도 구간 폐지
2010년 531번 지방도와 통합
336번 지방도 화성시 서신면 1996년 폐지
339번 지방도 가평군 조종면 포천시 관인면 2005년 폐지
387번 지방도의 일부
340번 지방도 화성시 우정읍 안성시 원곡면 2005년 폐지
302번 지방도의 일부
343번 지방도 화성시 정남면 용인시 기흥구 구성동 2005년 폐지
315번 지방도의 일부
344번 지방도 연천군 청산면 포천시 화현면 2005년 폐지
368번 지방도의 일부
346번 지방도 김포시 검단면 김포시 김포읍 1997년 폐지
347번 지방도 양주시 양주동 포천시 신북면 2005년 폐지
379번 지방도의 일부
348번 지방도 강화군 길상면 강화군 화도면 1996년 폐지
350번 지방도 파주시 법원읍 포천시 소흘읍 2005년 폐지
351번 지방도 양평군 강상면 가평군 설악면 2005년 폐지
362번 지방도 남양주시 화도읍 가평군 북면 2005년 폐지
365번 지방도 여주시 세종대왕면 여주시 산북면 2005년 폐지
333번 지방도의 일부
385번 지방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 성남시 분당구 여수동 1996년 폐지
389번 지방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 광주시 퇴촌면 2005년 폐지
338번 지방도로 재지정
390번 지방도 남양주시 퇴계원면 남양주시 금곡동 2005년 폐지
392번 지방도 안성시 미양면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1996년 폐지
393번 지방도 오산시 오산동 성남시 수정구 상적동 1996년 폐지
23번 지방도의 일부
394번 지방도 가평군 청평면 가평군 설악면 1996년 폐지
86번 지방도의 일부
396번 지방도 양평군 청운면 양평군 양동면 1996년 폐지
397번 지방도 안양시 만안구 안양동 광명시 철산동 1996년 폐지
398번 지방도 고양시 덕양구 화전동 고양시 일산구 일산동 1996년 폐지
399번 지방도 부천시 원미구 심곡동 부천시 오정구 고강동 1996년 폐지
402번 지방도 충청북도 제천시 백운면 원주시 신림면 구학산로
2008년 강원도 구간,
2010년 충청도 구간
각각 597번 지방도에 통합
412번 지방도 정선군 화암면 삼척시 도계읍 2009년 폐지
413번 지방도 영월군 북면 평창군 미탄면 2009년 415번 지방도와 통합
462번 지방도 속초시 대포동 속초시 설악동 1993년 폐지
510번 지방도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충주시 살미면 2017년 508번 지방도와 통합
515번 지방도 괴산군 청천면 음성군 금왕읍 2010년 333번 지방도와 통합
520번 지방도 음성군 감곡면 충주시 노은면 2010년 525번 지방도와 통합
534번 지방도 제천시 덕산면 단양군 대강면 2017년 폐지
581번 지방도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영동군 양강면 2017년 505번 지방도와 통합
583번 지방도 음성군 금왕읍 음성군 삼성면 2010년 329번 지방도와 통합
587번 지방도 진천군 덕산면 진천군 이월면 2010년 302번 지방도와 통합
591번 지방도 청원군 강외면 청원군 현도면 2010년 604번 지방도와 통합
594번 지방도 청원군 강내면 청주시 상당구 남주동 2010년 512번 지방도와 통합
596번 지방도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청주시 흥덕구 가경동 2017년 696번 지방도와 통합
597번 지방도 괴산군 장연면 강원도 원주시 신림면 2017년 508번 지방도와 통합
614번 지방도 홍성군 광천읍 공주시 이인면 2003년 폐지
627번 지방도 공주시 신관동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2012년 폐지
731번 지방도 무주군 부남면 1996년 635번 지방도와 통합
807번 지방도 해남군 삼산면 1996년 폐지
809번 지방도 신안군 압해면 무안군 무안읍 1996년 폐지
77번 국도의 일부
810번 지방도 목포시 대의동 영암군 삼호읍 2007년 806번 지방도와 통합
812번 지방도 목포시 석현동 나주시 현경면 1996년 폐지
813번 지방도 해남군 송지면 강진군 도암면 1996년 폐지
814번 지방도 강진군 성전면 강진군 병영면 2007년 830번 지방도와 통합
826번 지방도 담양군 고서면 곡성군 고달면 1996년 폐지
60번 지방도의 일부
829번 지방도 강진군 군동면 강진군 성전면 2007년 827번 지방도와 통합
831번 지방도 나주시 대호동 나주시 노안면 2007년 822번 지방도와 통합
832번 지방도 순천시 승주읍 1996년 폐지
834번 지방도 순천시 송광면 1996년 폐지
897번 지방도의 일부
837번 지방도 강진군 칠량면 장흥군 관산읍 2007년 827번 지방도에 통합
844번 지방도 신안군 임자면 영광군 영광읍 2003년 805번 지방도,
825번 지방도에 통합
859번 지방도 여수시 소라면 여주시 낙포동 1996년 폐지
77번 국도의 일부
869번 지방도 광양시 진월면 광양시 진상면 1996년 폐지
891번 지방도 장성군 북하면 1996년 폐지
892번 지방도 담양군 용면 1996년 폐지
792번 지방도의 일부
894번 지방도 장성군 북이면 담양군 담양읍 1996년 폐지
15번 지방도의 일부
898번 지방도 장성군 장성읍 장성군 북일면 1996년 폐지
906번 지방도 김천시 대항면 군위군 효령면 2009년 514번 지방도에 통합
907번 지방도 의령군 부림면 고령군 쌍림면 2007년 1011번 지방도에 통합
926번 지방도 울릉군 울릉읍 2008년 90번 지방도로 승격
932번 지방도 청송군 부남면 영덕군 남정면 2003년 폐지
973번 지방도 예천군 예천읍 예천군 효자면 1996년 폐지
927번 지방도의 일부
975번 지방도 상주시 낙동면 문경시 동로면 1996년 폐지
59번 국도의 일부
977번 지방도 김천시 대항면 문경시 마성읍 1996년 폐지
985번 지방도 울주군 언양면 군위군 우보면 1996년 폐지
987번 지방도 밀양시 상동면 경산시 진량읍 1996년 폐지
992번 지방도 상주시 화북면 상주시 함창읍 1996년 폐지
32번 지방도의 일부
998번 지방도 영월군 김삿갓면 봉화군 춘양면 1995년 88번 지방도에 편입
999번 지방도 안동시 임동면 영주시 부석면 1996년 폐지
935번 지방도의 일부
1015번 지방도 창원시 의창구 동면 밀양시 내이동 1996년 폐지
1017번 지방도 진해시 대장동 밀양시 산내면 2003년 58번 국도에 편입
1019번 지방도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울산시 울주구 청량면 1996년 폐지
1025번 지방도 울산광역시 남구 무거동 울산광역시 울주군 두서면 1998년 폐지
1027번 지방도 울산광역시 동구 서부동 울산광역시 울주군 범서면 1998년 폐지
1032번 지방도 진주시 사봉면 함안군 가야읍 1996년 폐지
1033번 지방도 합천군 묘산면 합천군 가야면 1996년 폐지
1084번 지방도의 일부
1035번 지방도 마산시 구산면 함안군 가야읍 1996년 폐지
1043번 지방도 창녕군 남지읍 창녕군 유어면 1996년 폐지
1044번 지방도 밀양시 교동 밀양시 단창면 1996년 폐지
1045번 지방도 창원시 북동 창녕군 부곡면 2003년 79번 국도에 편입
1052번 지방도 양산시 하북면 1996년 폐지
1054번 지방도 울산시 무거동 울주군 언양면 1978년 고속도로 승격으로 폐지
1079번 지방도 진주시 진성면 진주시 미천면 1996년 폐지
1007번 지방도의 일부
1081번 지방도 양산시 하북면 울주군 청량면 1996년 폐지
1082번 지방도 함양군 서상면 거창군 마리면 1996년 폐지
37번 지방도의 일부
1093번 지방도 합천군 청덕면 창녕군 이방면 1989년 폐지
1118번 지방도
(남조로)
서귀포시 남원읍 제주시 조천읍 2021년 99번 지방도로 승격

8. 외국의 지방도

9. 여담

서울에서 부산까지 고속도로, 국도를 안 타고 간 사람이 있다!!

[1] 도로 기능이 보조간선도로 이상인 경우[2] 도로 기능이 집산도로 이하인 경우[3] 심지어 고속도로도 일반 군도로 격하되는 경우도 있다! 경부고속도로가 선형 개량을 실시함에 따라 일부 구간이 아예 새로 닦은 도로로 이설되면서 기존의 도로는 군도로 지정되어 차량이 통행하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대전~영동 간 구 경부고속도로 구간이 그런 상황이다.[4] 도로교통법에서는 횡단보도가 없는 도로의 경우 최단거리로 도로를 가로지를 수 있다고 되어 있어 건너더라도 무단횡단이 성립하지는 않는다.[5] 물론 77번 국도처럼 아직 단절돼 있는 국도들도 있지만.[6] 벽소령 구간.[7] 낭갱이고개 구간. 작은 등산로만 있으며 차량통행이 가능한 도로가 없다.[8] 회남재 구간. 하동군 측에서 포장을 포기한 뒤로 트래킹 코스로 전환하더니, 2020년에 차량의 통행이 금지되었다.[9] 일부 지역은 지방도 구간 이설과 별개로 노선 자체가 폐지되어 일반도로(시군도로)로 격하되는 사례도 존재한다.[10] 2006년 제주특별자치도 출범 이후 당시 자치권 문제 때문에 일반국도의 관리 및 운영 권한이 대한민국 정부(건설교통부 제주지방국토관리청)에서 제주특별자치도청으로 넘어가면서 지방도로 격하되었다.[11] 봉담과천로[12] 2007년 734번 지방도와 통합되었지만 전북특별자치도 구간은 사라지지 않고 서류상으로 남아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