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06 14:45:29

동명성왕

태조(고구려)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주몽'''{{{#!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MBC 드라마}}}에 대한 내용은 [[주몽(드라마)]]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주몽(드라마)#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주몽(드라마)#|]]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부여 건국 설화에 등장하는 부여 시조}}}에 대한 내용은 [[동명왕]]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동명왕#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동명왕#|]]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배틀라이트 챔피언}}}에 대한 내용은 [[주몽(배틀라이트)]]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주몽(배틀라이트)#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주몽(배틀라이트)#|]]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왕 이름이 태조왕인 고구려 왕}}}에 대한 내용은 [[태조대왕]]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태조대왕#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태조대왕#|]]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MBC 드라마: }}}[[주몽(드라마)]]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주몽(드라마)#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주몽(드라마)#|]]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부여 건국 설화에 등장하는 부여 시조: }}}[[동명왕]]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동명왕#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동명왕#|]]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배틀라이트 챔피언: }}}[[주몽(배틀라이트)]]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주몽(배틀라이트)#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주몽(배틀라이트)#|]]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왕 이름이 태조왕인 고구려 왕: }}}[[태조대왕]]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태조대왕#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태조대왕#|]]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ddd,#222><colcolor=#000,#fff> 하늘신 하느님 · 환인 · 옥황상제도교 · 천지왕제주도
통치신 환웅 · 대별왕과 소별왕제주도
국조신 단군 · 해모수 · 동명성왕 · 박혁거세 · 수로왕 · 고을나왕제주도
자연신 마고할미 · 미륵불교 · 웅녀 · 해당금이 · 손돌 · 도수문장 · 설문대할망제주도 · 오늘이제주도
산신 산신령 · 선도성모 · 정견모주 · 석탈해 · 운제산성모 · 단종 · 금성대군
수신 유화부인 · 용왕 · 사해용왕도교 · 경강적룡
사방신 청룡도교 · 백호도교 · 현무도교 · 주작도교
무조신 바리데기 · 걸립신
농업신 풍백도교 · 우사도교 · 운사 · 고수레 · 자청비제주도
탄생신 삼신할미
운명신 구삼승할망 · 사라도령 · 할락궁이 · 감은장아기제주도
사신 염라대왕불교 · 저승사자(강림도령) · 이덕춘 · 해원맥 · 연직사자불교 · 시직사자불교
복신 칠성신(북두칠성) · 부근신
재물신 칠성신(뱀)제주도
가택신 성주신 · 조왕신 · 삼신할미 · 터주신 · 문전신 · 철륭신 · 업신 · 정랑각시 · 제석신 · 우물신
수호신 장승 · 선묘 · 두두리 · 괴목신 · 지귀 · 부군신 · 돌하르방제주도 · 궤네깃또제주도
질병신 역신 · 호구별성
왕신 경순왕 · 공민왕 · 궁예 · 문무왕 · 단종
군웅신 이순신 · 강감찬 · 최영 · 김유신 · 뒤주대왕
제주도 : 제주도의 토착신
불교 : 불교에서 유래하거나 영향을 받은 신
도교 : 도교에서 유래하거나 영향을 받은 신
}}}}}}}}}

파일:고구려 군기.svg
고구려 국왕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동명성왕 유리명왕 대무신왕 민중왕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모본왕 태조대왕 차대왕 신대왕
<rowcolor=#c5b356>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고국천왕 산상왕 동천왕 중천왕
<rowcolor=#c5b356>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서천왕 봉상왕 미천왕 고국원왕
<rowcolor=#c5b356>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소수림왕 고국양왕 광개토대왕 장수왕
<rowcolor=#c5b356>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문자명왕 안장왕 안원왕 양원왕
<rowcolor=#c5b356>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평원왕 영양왕 영류왕 보장왕
추존왕 및 비정통 | 대리청정 및 섭정 | 상왕 | 왕후 | 태자 | 왕실 계보
고조선 · 부여 · 원삼국 · 고구려 · 백제 · 가야 · 신라
탐라 · 발해 · 태봉 · 후백제 · 후삼국 · 고려 · 조선 · 대한제국
대한민국 임시정부 · 대한민국
}}}}}}}}} ||

<colbgcolor=#000,#000><colcolor=#c5b356> 고구려 초대 국왕
동명성왕 | 東明聖王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기타 직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백제 추존 국왕
태조 도모대왕 | 太祖 都慕大王
졸본부여 말대 군주
해주몽 | 解朱蒙
조선 비왕족 왕호 · 능호 수여자
동명왕 | 東明王
}}}}}}}}}
파일:고구려 동명성왕2.jpg
국학원 역사 문화 공원 내에 있는 동명성왕 동상[1]
출생
(음력)
<colbgcolor=#fff,#1c1d1f>기원전 58년 4월[2][3]
북부여[4] 또는 동부여[5]
사망
(음력)
기원전 19년 9월 (향년 39세)[6]
고구려 졸본성
능묘 고구려 용산(龍山)[7]
홀본 동쪽(忽本東)[8]
동명왕릉(東明王陵)[9]
재위기간
(음력)
고구려 초대 국왕
기원전 37년 2월 ~ 기원전 19년 9월
(18년 7개월)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000><colcolor=#fbe673> 본관 <colbgcolor=#fff,#1c1d1f>횡성 고씨
성씨 해(解) → 고(高)
추모(鄒牟) / 추몽(鄒蒙) / 주몽(朱蒙)[10] /
중모(中牟) / 도모(都牟) / 도모(都慕) /
중해(衆解) / 상해(象解)
부모 부왕 해모수 / 금와왕 / 단군
모후 유화부인
형제자매 해대소, 갈사왕
왕후 소서노[11], 예씨부인
자녀 3남
[ 펼치기 · 접기 ]
왕태자 고유리
왕자 비류, 온조
종교 무속
신체 특징 5되[12]
묘호 태조(太祖)[13]
시호 동명성왕(東明聖王) / 동명왕(東明王)
추모성왕(鄒牟聖王) / 추모왕(鄒牟王)
도모대왕(都慕大王)
중모왕(中牟王)
존호 시조(始祖)
칭호 황천지자(皇天之子)
하박지손(河泊之孫)
일월지자(日月之子)
동명성제(東明聖帝)[14]
}}}}}}}}}

1. 개요2. 칭호
2.1. 성씨2.2. 이름2.3. 묘호, 시호2.4. 기록 원문
3. 생애4. 숭배
4.1. 고구려, 백제4.2. 고려~조선
5. 광개토대왕과의 관계6. 정체에 대한 논란
6.1. 부여 시조 동명왕과의 관계6.2. 해씨? 고씨?6.3. 백제의 태조?6.4. 구려후 추?
7. 《삼국사기》 기록8. 《구삼국사》 기록9. 기타10. 대중매체에서11. 관련 인물12. 관련 문서13. 둘러보기

1. 개요

"나는 황천(皇天)의 아들이며 어머니하백의 딸이신 추모 임금이다. 나를 위해 갈대를 엮고 자라를 띄워라!"
我是皇天之子, 母河伯女郎, 鄒牟王. 爲我連葭浮龜!
자신의 신분을 밝히는 임금의 언령. 광개토대왕릉비 중 발췌
고구려의 초대 국왕.

묘호시호는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에는 시조 '동명성왕'이라 표기되어 있으나 《삼국사기》 〈신라본기〉 문무왕조에는 '태조 중모왕'이라고 기록되어 있어서 '태조'라는 묘호를 썼을 가능성도 있다. 뒤에 태조대왕이라는 시호를 받은 인물이 따로 있다는 점도 동명성왕의 호칭인 태조가 묘호일 가능성에 무게를 실어 준다.

2. 칭호

보통 주몽과 동명(東明)을 동일시하지만 당대 기록인 702년연남산 묘지명〉에서는 '동명'(東明)과 '주몽'(=추모/중모)을 별개 인물로 보고 있다.
…옛날에 동명(東明)이 기(氣)를 느끼고 사천(㴲川)을 넘어 나라를 열었고, 주몽(朱蒙)은 해를 품고 패수(浿水)에 임해 수도를 열어, 위엄이 해 뜨는 곳[扶索\]의 나루에 미치고 세력이 동쪽 지역[蟠桃\]의 풍속을 제압하였으니…
東明感氣踰㴲川而開國 朱蒙孕日臨浿水而開都 威漸扶索之津力制蟠桃之俗…
연남산 묘지명〉 中
이처럼 고구려 때까지는 동명과 주몽이 별개였으나, 삼국시대가 끝난 뒤 훗날 고려 시대 이후 시점에 부여동명왕과 고구려의 추모왕이 동일시되는 과정에서 혼선이 생겼다는 설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동명왕 문서 참조.

2.1. 성씨

표기 현대 한국어 발음 등장 사료 비고
삼국사기》, 《동사강목 부여에서 쓴 성씨
《삼국사기》, 《삼국유사》, 《동국통감》, 《동사강목》, 중국 사서 고구려 건국 후 사용한 성씨

2.2. 이름

는 매우 다양한 기록이 있다. 당시 고구려인들이 직접 남긴 광개토대왕릉비에는 추모(鄒牟)로 쓰여 있으나 따지고 보면 모두 같은 이름을 서로 다른 한자로 음차해 놓은 것이다. 첫 음절의 초성이 /t/이고 두 번째 음절의 초성이 /m/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미국의 언어학자 알렉산더 보빈 교수는 이 이름의 첫 음절을 *tjoh(둏)으로 재구하기도 했는데, '활을 잘 쏘는 사람'이라는 뜻에서 '뛰어남', '좋음'의 의미를 가려낸 뒤, 이를 '좋다'의 중세 한국어 형태인 '둏다'와 연관 지은 것이다. 그러나 동명성왕의 시대가 워낙 오래 전이기 때문에[15] 정확한 형태는 알 수 없다.[16] 오히려 한국어의 말음 'ㅎ'은 고대로 가면 'k' 음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바, '*tjoh'이 아니라 '*tjok'[17]이었을지도 모른다. 어쨌거나 보빈은 '추모'의 '추', '주몽'의 '주' 부분을 '좋-'의 어원으로 보았다. 하지만 '모', '몽' 부분은 오리무중이라고 했다. 그 어떤 한반도 주변의 언어에서도 궁수와 관련해 'mV' 형태의 단어는 없었기 때문이다.[18]

한편, 상고한어 시절에 '조(朝)'의 발음이 백스터-사가르의 재구음으로 't(r)aw'로 [다우] 내지는 [드라우]인 것으로 보아, '(고)조선'의 '조'와 '주몽'의 '주' 모두 같은 단어(보빈의 견해대로라면 '좋-'의 고어형)를 음차한 것일지도 모른다. 다만 '조선(朝鮮)'이 음차 표기가 아니라 '아사달'을 훈차한 표기라는 주장도 제기되므로 아직 확실한 것은 아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사달 항목 참조.

동명(東明)의 '東'은 고유어 '새~ᄉᆡ'로 훈독하고 '明'은 '발거~ᄇᆞᆰ'로 훈독하여 '새발거~ᄉᆡᄇᆞᆰ'으로 추독하는 견해가 있다.[19] 알타이계 민족의 태양숭배사상과 연관이 있으며 각국의 왕명, 국명이 모두 이 말에서 유래한다고 한다.[20] 또는 '동명'을 '추모·주몽'의 이표기로 보기도 한다.[21]

제천의 명칭 '동맹'을 '동명'과 관련을 짓는 견해도 있다.[22] '동맹'과 '동명'의 고대 음은 같은 것으로[23] 주몽의 이표기로서 동맹이 일찍부터 사용되어 왔으며 따라서 제의의 명칭이 고구려의 시조명에서 유래했다는 것이다.[24]

대중적인 '주몽(朱蒙)'이라는 이름도 추모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고유어인 동명성왕의 이름을 한자인 "朱蒙"으로 가차 표기한 것이다. 일부에서는 고주몽이라는 이름에서 '주'는 "난쟁이 주(侏)"이며 '몽'은 어리석음을 뜻하는 "우매할 몽(蒙)"을 쓰기에 중국 쪽이 추모왕을 비하하기 위해 만들어진 이름이라고 주장하는 학자들도 있다. 그러나 주몽의 朱와 난쟁이 侏는 비슷하지만 다른 한자이고, 蒙자는 역사적으로 중국인 이름에도 쓰인 예시가 있기 때문에 과도한 꿰어맞추기라고 볼 수도 있다. 애초에 한자는 글자 하나마다 다양한 의미를 가지는 경우가 많으며, 그 중에서 굳이 나쁜 의미만을 찾아서 그쪽으로 해석하고 트집 잡는 건 청나라 황제들이나 하던 일이다.

만일 중국 측에서 정말 비하적인 의도로 추모의 이름을 주몽으로 바꾼 것이라면 주몽 관련인들, 특히 가족 또한 비하적 한자 바꾸기의 대상이 되었을 것이고, 따라서 바뀐 한자로 된 이름이 중국과 한국의 역사서 등에 기록되었을 것이다. 반대로 당시 고구려인이 이름을 음차할 때 그 의미를 신경쓰지 않았다면 좋지 않은 의미의 한자로 구성된 이름을 가진 고구려 사람이 중국 자료에 등장하지 않더라도 존재할 것이다. 후자의 대표적인 예가 바로 (종 노) 자가 들어간 이름들인데, 당장 주몽의 부인인 소서노의 노가 奴인데 중국 사서에는 기록되어 있지 않으며, 삼국사기 등 국내에 현전하는 사서 몇 권에서만 전해지는 인물이다. 뿐만 아니라 유리왕 때의 신하 부분노, 고구려의 귀족층으로 알려진 연노부, 소노부 등에서도 奴자가 들어간다.[25] 종 노 외에도 (주검 시) 등의 한자는 부정적인 뜻에도 불구하고 삼국사기나 일본서기에서 등장하는 고대 한국인이나 일본인 인명의 음가상 가차표기에 애용되어 왔기 때문에 이 주장은 신빙성이 그리 높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주몽을 의도적으로 비하했다는 논리는 무리가 있지만, 그래도 당대 고구려인들이 작성한 금석문에서는 일관적으로 추모로 칭해지기 때문에 주몽이 아닌 추모라고 부르는 게 타당하고 합리적이며 바람직하다.[26]

생부인지 계부인지 확실하지 않지만 일단 동명성왕은 백제의 시조 온조왕의 아버지라 할 수 있는 인물이다. 이 때문에 일본의 《신찬성씨록》에도 몇몇 고구려, 백제 계열 성씨의 조상으로 나타나며, 여기선 '도모'(都慕)라고 기록되어 있다.

'蒙'이 말갈의 인명에 '□□蒙'의 형태로 많이 보이는데 그 뜻이 '~을/를 잘하는 사람'이라고 한다.[27] 특히 주몽, 추모, 중모 등은 모두 그 당시에 명궁 또는 명사수를 뜻하는 말이었고 이게 이름으로 불렸다는 것은 본명이 아니라 별명 내지 칭호였을 가능성도 있다. 이 경우 당시의 朱의 발음은 활의 의미를 가지는 단어와 비슷하며 蒙의 발음은 잘하는 사람이라는 의미를 가진 단어와 같다고 유추할 수 있는데, 이는 위에서 언급된 알렉산더 보빈 교수의 해석과 정반대이다.

한편, '牟'와 '蒙'의 혼용에 대해서는 고대 한국어가 초기에는 'ŋ'발음이 없었기 때문에 중국 한자음 'ŋ'이 한국어 'ø'과 호용된 예로 보기도 한다.[28]
표기 현대 한국어 발음 상고한어 재구음 등장 사료 비고
鄒牟 추모 *[tsʰ]ro mə[u][29] (백스터-사가르)
*zro mu (정장상팡)
삼국사기》, 광개토대왕릉비, 〈모두루 묘지명〉 고구려 공식 표기.
朱蒙 주몽 *to mˤoŋ (백스터-사가르)
*tjo moːŋ (정장상팡)
《삼국사기》, 《삼국유사》, 《제왕운기》, 《동국통감》,
동사강목》, 중국 사서
중국의 왕조들이 기록한 이름.
中牟 중모 *truŋ mə[u] (백스터-사가르)
*tuŋ mu (정장상팡)
《삼국사기》 《삼국사기》 〈문무왕 본기〉에만 등장.
仲牟 중모 *truŋ-s mə[u] (백스터-사가르)
*duŋs mu (정장상팡)
일본서기
都慕 도모 *tuo muo (중고한어)[30] 《신찬성씨록》 일본어 음독은 당시 오음으로는 두모(つも),[31] 한음으로는 도보(とぼ). 고대에는 오음이 주로 쓰였다.
鄒蒙 추몽 *[tsʰ]ro mˤoŋ (백스터-사가르)
*zro moːŋ (정장상팡)
《삼국유사》 《삼국유사》 〈왕력〉편에만 등장.
朱背 주배 *to m-pˤəks (백스터-사가르)
*tjo bɯːɡs (정장상팡)
《신찬성씨록》
衆解 중해 *tuŋ-s kˤreʔ (백스터-사가르)
*tjuŋs kreːʔ (정장상팡)
《삼국사기》
象解 상해 *s-daŋʔ kˤreʔ (백스터-사가르)
*ljaŋʔ kreːʔ (정장상팡)
《삼국사기》

2.3. 묘호, 시호

묘호 등장 사료 비고
태조(太祖) 《삼국사기》, 《신찬성씨록》 붙은 시호는 중모왕, 도모대왕.[출처]
칭호 등장 사료 비고
시조(始祖) 삼국사기》, 《삼국유사》 거의 모든 시호에 다 붙음. 칭호에 가까움.
시호 등장 사료 비고
추모왕(鄒牟王) 광개토대왕릉비, 〈모두루 묘지명〉 이름을 그대로 사용
추모성왕(鄒牟聖王) 모두루 묘지명〉 이름을 그대로 사용, 미칭 추가 혹은 풀버전
중모왕(中牟王) 삼국사기 이름을 그대로 사용
동명왕(東明王) 삼국사기》, 《삼국유사》, 《동국통감》, 《동사강목》,《조선왕조실록[33] 대부분 한국 사서가 기록한 시호
동명성왕(東明聖王) 삼국사기》, 《삼국유사》, 《동국통감》, 《동사강목 동명 계열 왕호의 풀버전
동명제(東明帝) 삼국유사》, 고려시대 민간 전설 평양의 신으로 숭배됐을 때의 칭호
동명성제(東明聖帝) 삼국유사》, 고려시대 민간 전설, 《고려사》, 《세종실록지리지》 평양의 신으로 숭배됐을 때의 칭호, 미칭 추가 혹은 풀버전

2.4. 기록 원문

그가 성장하여 자(字)를 주몽(朱蒙)이라고 하니, 그 나라의 속언(俗言)에 '주몽'이란 활을 잘 쏜다는 뜻이다.
及長, 字之曰朱蒙. 其俗言 「朱蒙」者, 善射也.
《북사》 열전 〈고구려〉
옛날을 생각건대 옛날 시조(始祖) 추모왕(鄒牟王)이 이 땅에 나라를 세웠으니...
惟昔 始祖鄒牟王 之創基也...
광개토대왕릉비』 제1면
하박(河泊)[34]의 손자요 해와 달의 아들이신 추모성왕(鄒牟聖王)께서는 북부여(北夫餘)서 태어나셨다. 천하사방(天下四方)이 이 나라 이 고을이 가장 거룩함을 알지니…
河泊之孫 日月之子 鄒牟聖王 元出北夫餘 天下四方知此國郡最聖...
모두루 묘지명〉
시조(始祖) 동명성왕(東明聖王)은 성이 고씨며 이름이 주몽(朱蒙)추모(鄒牟) 또는 중해(衆解)라고도 한다.】이다....
始祖東明聖王 姓高氏 諱朱蒙【一云鄒牟 一云衆解】...
삼국사기》 제13권 〈고구려본기〉 제1 '시조 동명성왕'
백제 시조는 온조왕(溫祚王)이다. 그의 아버지는 추모(鄒牟) 혹은 주몽(朱蒙)이라고 한다.
百濟 始祖 溫祚王 其父 鄒牟 或云 朱蒙
《삼국사기》 제23권 〈백제본기〉 제1 '시조 온조왕'
(문무왕이) 사찬 수미산(須彌山)을 보내 안승을 고구려왕으로 봉하였다. 그 책문(冊文)은 다음과 같다....(생략)...그대의 태조(太祖) 중모왕(中牟王)은 북쪽 산에 덕을 쌓고 남쪽 바다에 공을 세워...
遣 沙飡 須彌山 封 安勝 爲 高句麗王 其 冊曰...(생략)...公太祖中牟王 積德北山 立功南海...
《삼국사기》 제6권 〈신라본기〉 제6 '문무왕 상'
시조 동명성제(東明聖帝)의 성은 고씨(高氏)고 이름은 주몽(朱蒙)이다....
始祖東明聖帝 姓高氏 諱朱蒙...
삼국유사》 제1권 〈기이〉 제1 '동명왕'
신작(神雀) 4년 계해년[35] 여름 4월에 주몽(朱蒙)을 낳았는데...
구삼국사》 〈동명왕본기〉[36]
고구려의 시조 주몽(朱蒙)고구려 여자에게 장가들어 두 아들을 낳아, 이름을 피류(避流)와 은조(恩祖)라 하였다.
해동고승전》 제1권 〈석마라난타〉
무릇 백제의 태조(太祖) 도모대왕(都慕大王)은 태양신이 몸에 내려온 분으로 부여에 머물러 나라를 세웠다. 천제(天帝)가 녹(籙)을 내려 모든 한(韓)을 통솔하고 왕을 칭하게 하였다

《속일본기》 〈간무 덴노기〉 엔랴쿠 9년
덕좌왕(德佐王)은 도모왕(都慕王)의 손자(孫)[37]다.
《신찬성씨록》 〈우경제번〉(右京諸蕃)편
동으로는 개오(開梧)의 지경을 막고, 남으로는 ▨▨과 이웃하고, (북쪽으론) 황룡을 맞이하여 주몽을 태우고...
東拒開梧之境南▨▨桂之接黃龍駕朱蒙...
문무왕릉비

3. 생애

이 문단에서는 동명왕편과 세종실록지리지에 인용된 구삼국사 동명왕본기 내용과[38]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의 기록 등을 한 단락에서 보기 편하게 크게 충돌하지 않는 범위 내로 합하여 서술한다. 삼국사기의 동명성왕 본기의 내용이 구삼국사 동명왕 본기의 내용의 신화적 전승을 다소 빼고 축약해 놓은 수준이라 사실상 서로 충돌하지 않는다. 더 자세한 해설은 동명성왕/생애 문서를 참고하면 좋다.
신이하고 이상한 일(靈異), 단군고기에 이르기를, 상제 환인의 서자가 있으니, 이름이 웅(雄)인데 세상에 내려가서 사람이 되고자 하여 천부인(天符印)3개를 받아 태백산 신단수(神檀樹) 아래에 강림하였으니, 이가 곧 단웅천왕(檀雄天王)이 되었다. 손녀로 하여금 약을 마시고 사람의 몸이 되게 하여, 단수(檀樹)의 신과 더불어 혼인하여 아들을 낳으니 이름이 단군(檀君)이다. 나라를 세우고 이름을 조선(朝鮮)이라 하니, 조선(朝鮮), 시라(尸羅), 고례(高禮),남·북 옥저(南北沃沮), 동·북 부여(東北扶餘), 예(濊)와 맥(貊)이 모두 단군의 다스림이 되었다. 단군이 비서갑(非西岬) 하백(河伯)의 딸과 혼인하여 아들을 낳으니, 부루(夫婁)이다. 이를 곧 동부여(東扶餘) 왕(王)이라고 이른다. 단군이 당요(唐堯)와 더불어 같은 날에 임금이 되고, 우(禹) 임금 도산(塗山)의 모임에 태자(太子) 부루(夫婁)를 보내어 조회하게 하였다. 나라를 누린 지 1천 38년 만인 은(殷)나라 무정(武丁) 8년 을미에 아사달(阿斯達)에 들어가 신(神)이 되니, 지금의 문화현(文化縣) 구월산(九月山)이다.

부여의 왕 부루가 아들이 없어 산천에 제사를 지내며 대를 이을 아들을 구할 때, 타고 있던 말이 곤연(鯤淵)[39]에 이르러 큰 돌을 보고 눈물을 흘리자, 왕이 이상하게 여겨 그 돌을 치우니 금색 개구리처럼 생긴 아이가 울고 있으니, 왕이 '이는 내게 하늘이 내게 준 아들이라'하여 데려와 기르고 이름을 금와라 짓고 태자로 삼았다. 정승 아란불(阿蘭弗)이 아뢰기를, '일전에 천제(天帝)가 내려와 이르기를, 장차 내 자손이 이곳에 나라를 세우게 할 것이니 이곳을 피하라 하였는데, 동해 바닷가에 땅이 있는데 가섭원(迦葉原)이라는 곳이 있어 오곡(五穀)이 잘 자라기 알맞으니 도읍할 만합니다.'라고 하여 왕이 도읍을 옮기고 국호를 동부여로 하였다. 부여의 옛 땅에는 천제의 아들 해모수(解慕漱)가 내려와서 도읍으로 삼았다.

한나라 신작(神雀) 3년[40] 임술년에 하늘이 태자를 부여의 옛 도읍에 내려보내 놀게 하니, 이름은 해모수이고 오룡거(五龍車)를 타고 내려와 따르는 무리 백여 명은 모두 흰 고니를 탔다. 채색 구름이 위에 뜨고 음악이 구름 속에서 울려 퍼졌다. 웅심산(熊心山)에 머무르다가 10여일 만에 내려오니 머리에는 오우관(烏羽冠)을 쓰고 허리에는 용광검(龍光劍)을 찬 채 아침에는 나라의 일을 보고 밤에는 올라가니 세상에서는 그를 천왕랑(天王郞)이라고 칭했다.[41]

성 북쪽 청하(靑河)[42]에 하백의 세 딸이 있으니 맏딸이 유화(柳花), 둘째딸이 훤화(萱花), 막내딸이 위화(葦花)이니 그 자태가 곱고 아름다웠다. 세 딸이 웅심연(熊心淵)가에서 놀고 있는데, 왕이 좌우(左右)에게 말하기를 '저 여자를 얻어서 비(妃)를 삼아 후사를 보리라'고 하니, 세 딸들이 곧 그가 오는 것을 보고 물 속으로 도망가 피했다. 좌우가 말하기를 '왕은 어찌하여 궁전을 지어 저 여자들을 방에 들어왔다가 나가지 않도록 문을 닫지 않으십니까'라고 하니 왕이 '옳다'하여 말채찍으로 땅을 잠깐 그으니 순식간에 구리로 집이 지어져 금술잔에 맛있는 자리를 차리니, 세 여자들이 서로 그 자리에 앉아 마셔 취하였다. 왕이 세 여자가 취할 때까지 기다렸다가 순식간에 나가 막으니, 맏딸 유화가 왕에게 붙잡혔다. 하백이 이에 크게 노하여 사신을 보내 급히 달려가 고하길래 너는 누구길래 내 딸을 붙잡아 두느냐 하니 왕이 대답하기를 저는 천제(天帝)의 아들이고 지금 그대의 집안과 혼인하고자 합니다'라고 하였다. 하백이 다시 사신을 보내 말하기를, 만약 네가 구혼하려거든 정식으로 중매를 보내 시켰어야 하거늘, 갑자기 내 딸을 억류해 두니 이런 무례가 있는가'라고 했다. 왕이 부끄러워하여 이제 하백에 가서 고하고자 하였으나 하백의 방에 들어갈 수 없고, 또 그 딸을 놓아주려고 하니 이미 그 딸이 정을 통하였으므로 떠나려고 하지 않았다. 이에 왕이 이르기를, '용수레가 있으면 하백의 나라에 이를 수 있다'고 하니, 잠시 후 하늘에서 오룡거가 내려와 왕이 여자와 함께 수레를 타니 순식간에 풍운(風雲)이 일어 대번에 하백의 궁에 이르렀다.

하백이 예를 갖추어 맞이하며 자리에 앉아 이르기를, '혼인의 예는 천하의 규범이거늘, 어찌 무례를 저질러 우리 가문을 욕보이는가'하며, '왕이 천제의 아들이면 어떤 신이한 능력이 있는가'하니 왕이 '그저 시험해 보시면 될 일입니다'라고 하였다. 이에 하백이 뜰 앞 물에서 잉어가 되어 물결을 따라 헤엄치니 왕이 수달이 되어 붙잡았다. 하백이 이번에는 사슴이 되어 달아나니 왕은 승냥이로 변해 쫓았다. 하백이 꿩이 되자 왕은 매가 되어 공격했다. 이에 하백이 참으로 천제의 아들이라 여겨 혼인의 예를 갖추고 자칫 왕이 딸을 데려가지 않을까 두려워하여, 풍악을 베풀고 술자리를 성대히 차려 왕으로 하여금 크게 취하게 한 후, 딸과 함께 작은 가죽 수레에 집어넣어 용거에 실려 하늘로 올려보내려 하였다. 그 수레가 아직 물 밖으로 나오지 않았을 때 왕이 곧 술에서 깨어 여자의 황금 비녀로 가죽 수레를 뚫고 구멍으로 홀로 빠져나와 하늘로 올라가 버렸다. 이에 하백이 그 딸에게 크게 노하여 '네가 내 가르침을 따르지 않아 끝내 우리 가문을 욕되게 하였다'하고 옆에 있는 신하들을 시켜 딸의 입을 묶어 당기게 하니 그 입술이 석 자나 되게 하고 종 두 사람만을 주어 우발수(優渤水) 속으로 추방했다. 우발은 연못 이름인데 지금의 태백산 남쪽에 있다.

부여의 어부 강력부추(强力扶鄒)가 금와왕에게 고하기를, '근래에 어망에 잡힌 물고기를 도둑질해 가는 것이 있는데 어떤 짐승인지 알 수 없나이다'라고 하여 이에 왕이 어부를 시켜 그물로 끌어내게 하니 그물이 찢어졌다. 다시 쇠그물을 만들어 끌어내 비로소 한 여자를 얻었는데 돌에 앉아 있다가 나왔다. 여자가 입술이 길어 말을 하지 못하매, 세 번 그 입술을 끊어내니 그제야 입을 열었다. 왕이 해모수의 왕비인 것을 알고 별궁에 두었더니 여자의 품 안에 창으로 들어오는 햇빛이 비쳐 임신하고 신작(神爵) 4년 계해년 여름 4월(기원전 58년경)에 주몽(朱蒙)을 낳았는데, 울음소리가 매우 크고 골격과 생김새가 영특하고 기이하였다. 처음에 왼쪽 겨드랑이에서 큰 알을 낳았는데 왕이 괴이하게 여겨 '사람이 새 알을 낳다니 이는 상서롭지 못한 징조이다'라고 하여 사람을 시켜 마구간에 두었더니 말들이 서로 밟지 않았으며, 깊은 산에 버리자 짐승들이 모두 보호했고, 구름이 낀 날에도 알 위에 늘 햇빛이 비추고 있었다. 왕이 알을 가져다 어미에게 기르게 하니 알이 마침내 갈라져 사내아이가 나왔다. 태어난지 한 달도 지나지 않아 말을 능숙하게 하고, 어미에게 말했다. '파리 떼가 눈을 물어 잘 수가 없습니다. 제게 활과 화살을 만들어 주십시오'하니 어미가 댓가지로 활과 화살을 만들어 주니 스스로 물레 위에 있는 파리를 쏘았는데 죽었다. 부여에서는 활을 잘 쏘는 사람을 일컬어 '주몽'이라고 했다.

나이가 많아지자 그 재능이 날로 겸비해졌다. 금와왕에게 일곱 아들이 있었는데 평소에 주몽과 함께 사냥을 나가면, 왕자와 시종 40여 명이 겨우 사슴 한 마리를 잡았는데 주몽은 사슴 여러 마리를 잡았으니 왕자들이 시기하여 주몽을 붙들어 나무에 결박해 놓고 사슴을 빼앗아 가자 주몽이 나무를 뽑아버리고 돌아왔다. 태자 대소가 왕에게 고하기를 '주몽은 영리하고 용맹한 놈이며 외양이 남다릅니다. 만약 일찍 도모하지 않으면 반드시 후환이 있을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왕이 주몽의 뜻을 시험하고자 말을 기르게 했다. 주몽이 한(恨)을 품고 어머니에게 말하기를 '저는 하늘의 자손인데 남을 위해 말이나 기르고 있으니 사는 것이 죽는 것만 못합니다'라고 하니 이에 그 어미가 타이르기를 '이는 내가 밤낮으로 고심하던 일이다. 내가 들으니 장사가 먼 길을 떠나려면 반드시 준마(駿馬)가 있어야 하는 법이다. 내가 말을 골라 주겠다'고 하여 마구간에 가서 긴 채찍으로 마구 때리니 말들이 모두 놀라 도망쳐 나갔다. 붉은 말 한 마리가 두 길이나 되는 울타리를 뛰어넘자 주몽이 좋은 말임을 알고 가만히 바늘을 혀 밑에 꽃아 두니 이에 말이 혀가 아파 물도 먹이도 먹지 못해 몹시 야위었다. 왕이 마구간에 순시 나왔다가 말 떼가 모두 살찐 것을 알고 크게 기뻐서 야윈 말을 주몽에게 주었다. 주몽이 이 말을 듣고 바늘을 뽑아 말을 도로 먹였다.

왕자와 신하들이 다시 주몽을 죽이려고 일을 꾸미니 어머니가 이를 눈치채고 이르기를, '장차 사람들이 또 너를 죽이려 한다. 너의 재주와 지략으로 어디서 무엇인들 안 되겠느냐. 여기서 머물다가 욕을 당하느니 멀리 가서 뜻을 이룸이 바람직하다'라고 하였다.[43] 그리하여 주몽이 오이(烏伊)⋅마리(摩離)⋅협보(陜父)등 세 사람과 남쪽으로 엄사수(淹㴲水) 가에 이르니, 이는 개사수(蓋斯水)라고도 하며 압록강 북동쪽에 있다. 주몽이 강을 건너려 하였으나 다리가 없어 건너지 못하고 추격해오는 군사가 곧 들이닥칠까 채찍으로 하늘을 가리키며 한탄하기를 '나는 천제의 손자요 하백의 외손인데 지금 난리를 피하여 이곳에 이르렀으니 황천후토(皇天后土)는 나를 불쌍히 여기시어 속히 배와 다리를 주소서'하고 말을 마치자마자 활로 물을 치니 물고기와 자라가 다리를 이루어 주몽이 건넜는데 한참 뒤에 쫓는 군사가 이르러 하수에 이르니 고기와 자라들의 다리가 곧 무너져 모두가 빠져 죽었다.

주몽이 그 어미와 이별할 적에 차마 떠나지 못하니 어머니가 이르기를, '너는 이미 어미 때문에 걱정하지 말라'고 곡식의 씨앗을 싸 주어 보내었다. 주몽이 어찌나 생이별하는 마음이 간절한지 보리 종자를 잃어버렸다. 주몽이 큰 나무 밑에서 쉬고 있을 때에 비둘기 한 쌍이 날아와 이르니, 주몽이 말하기를 '이는 나를 걱정하여 어머니께서 사람을 시켜 씨앗을 보내신 것이다'고 하여 바로 활을 당겨 화살 하나로 한 쌍을 모두 맞춰 잡으니 목구멍을 열어 보리씨를 꺼내고, 물을 비둘기에게 뿜어 주니 곧 다시 살아나 날아갔다.[44]

일행이 모둔곡(毛屯谷)[45]에 이르러 세 사람을 만나니 그 중의 한 사람은 삼베옷(麻衣), 한 사람은 누더기옷(衲衣), 한 사람은 마름옷(水藻衣)을 입고 있었다. 주몽이 '그대들은 어디에서 온 누구이며, 성과 이름은 무엇인가'묻자 삼베옷 입은 사람은 재사(再思), 누더기옷 입은 사람은 무골(武骨), 마름옷 입은 사람은 묵거(默居)라고 하였으니 성씨는 알지 못했다. 그리하여 주몽이 재사에게 극씨(克氏), 무골에게 중실씨(仲室氏), 묵거에게 소실씨(少室氏)의 성을 내려주고 무리에게 이르기를, '내가 바야흐로 하늘의 큰 명을 받아 나라의 기틀을 열려고 하는데 마침 세 명의 현명한 사람을 만났으니 어찌 하늘께서 주신 것이 아니겠는가!'라고 하였다. 마침내 그 능력으로 각기 일을 맡기고 그들과 함께 졸본천(卒本川)에 이르렀다.[46] 그 토양이 기름지고 아름다우며, 지세(山河)가 험하고 드디어 도읍으로 삼으려 했으나, 궁실을 지을 겨를이 없어 비류수(沸流水)가에 초막을 치고 살았다. 국호를 고구려(高句麗)라 하고, 그로 말미암아 고(高)씨 성을 삼으니, 이 때 주몽의 나이가 22세였고, 한나라 건소(建昭) 2년(B.C 37년) 의 일이다. 스스로 대강 띠자리 위에 앉아서 왕과 신하의 위치를 정하였다. 사방에서 듣고 와서 따르는 무리가 많고, 그 땅이 말갈 부락과 맞닿아 있어 침략과 도적질을 당할까 두려워하여 그들을 물리치니, 마침내 말갈이 두려워 굴복하고 침입하지 못하였다.

어느 날 비류왕 송양(松讓)이 상류에 나갔다가 왕의 얼굴이 비상하고 범상치 않음을 보고 묻기를, '바다 한가운데 궁벽한 곳에 있어 아직까지 군자를 만나 보지 못했소. 이제 비로소 만나게 되었으니 얼마나 다행인지, 그대는 어떤 사람이고, 어디서 왔는가?', 왕이 답하기를 '나는 천제의 자손이며 서쪽 나라의 왕이오. 감히 묻건대 임금은 누구의 후예인가?', 송양이 말하기를 '나는 선인(仙人)의 후예요. 대대로 이곳에서 왕을 지냈으니, 땅이 좁아 두 명의 임금으로 나눌 수 없고 그대가 나라를 세운지 얼마 안 되었으니 나의 부속국이 되는 것이 좋을 듯 하다'. 왕이 또 말하니 '나는 천제의 뒤를 이었지만은, 그대는 신(神)의 자손도 아니면서 억지로 왕을 자처하니 만일 내게 복종하지 않으면 하늘이 반드시 그대를 죽일 것이다'고 하였다. 송양이 왕이 여러 번 하늘의 자손이라고 하는 것을 의심하여 그 재주를 시험하고자 하니 '왕과 더불어 활쏘기를 원하노라'라고 하여 그린 사슴을 백 보 안에 놓고 쏘는데 그 화살이 사슴 배꼽에 들어가지도 않았는데도 힘에 겨웠다. 왕이 사람을 시켜 옥가락지(玉指環)를 가져다가 백 보 밖에 매달듯 쏘았는데 산산히 기왓장 부서지듯 깨지니 송양이 크게 놀랐다.

왕이 '나라의 기업이 새로 만들어져 아직 북과 나팔의 위엄이 없다. 비류국의 사자가 왕래함에 내가 왕의 예로써 맞이하질 못하니 그 때문에 나를 업신여기는 것이다'하니 왕을 모시던 신하 부분노(扶芬奴)가 나아가 고하기를 '제가 대왕을 위하여 비류국의 북을 가져오겠나이다' 왕이 말하기를 '다른 나라가 가지고 있는 물건을 네가 어떻게 가져오느냐?' 부분노가 답하니 '이는 하늘이 준 기물이니 어찌 가져오지 못하겠습니까? 대왕께서 부여에서 곤욕을 당하고 계실 때에는 누가 대왕이 여기까지 올 수 있으리라 생각했겠습니까? 지금 대왕께서는 만 번 죽음을 당할 위태한 곳에서 몸을 빠져나와 요동에 이름을 떨치고 계십니다. 이는 하늘이 시켜 그리 되는 것인데 무슨 일인듯 이루지 못하겠습니까?' 하였다. 이에 부분노 등 세 명이 비류에 가서 북을 가져오니 비류왕이 사자를 보내어 고하였다. 왕이 비류에서 볼때 북을 볼까 두려워하여 빛깔을 오래된 것처럼 검게 만들어 놓으니 송양이 감히 다투지 못하고 돌아왔다. 송양이 도읍을 세운 선후(先後)를 따져 속국을 정하려 하니 왕이 궁실을 지을때 썩은 나무로 기둥을 세워 천 년은 되는 것 같이 했다. 송양이 와서 보고 끝내 감히 다투지 못하였다.

왕이 서쪽으로 순행할 때 흰 사슴 한 마리를 얻었는데 해원(蟹原)언덕에 거꾸로 매달아 놓고 저주하였다. '하늘이 만약 비를 내려 비류국의 왕도를 물바다로 만들지 않는다면 내가 너를 놓아주지 않을 것이니 이 곤란을 벗어나려거든 너는 하늘에 호소하라.' 그 사슴이 슬피 울어 하늘에 사무치니 장맛비 온지 이레 만에 송양의 도읍이 물바다가 되었다. 송양왕이 갈대 밧줄로 흐르는 물을 건너고 오리와 말을 타고 다녔으며 백성들도 모두 그 밧줄을 잡고 있었다. 주몽이 채찍으로 물을 그으니 물이 곧 줄어들었다. 2년 6월에 송양이 나라를 들어 항복해오니 그 땅을 다물도(多勿都)로 삼고 송양을 봉하여 우두머리로 삼았다. 고구려 말로 옛 땅을 회복하는 것을 다물(多勿)이라 하였으므로 그렇게 이름지은 것이다.

4년 7월에 검은 구름이 골짜기에서 일어나 사람들이 그 산을 볼 수가 없었다. 수천 사람의 소리가 마치 토목 공사를 하는 것처럼 들리니 왕이 말하기를 '하늘이 나를 위해 성을 쌓는다'라고 하였다. 이레 만에 구름과 안개가 흩어지고 성곽과 궁실, 누대가 저절로 만들어져 있었다. 왕이 하늘에 절하고 나아가 지냈다.

6년 가을 8월에 신작(神雀, 상서로운 새들)이 모여들었다. 겨울 10월에 왕이 오이와 부분노에 명하여 태백산 동쪽에 있는 행인국(荇人國)을 쳐서 복속시켰다.

10년 겨울 11월에 왕이 부위염(扶尉猒)에게 명하여 북옥저(北沃沮)를 정벌해 멸망시키고 그 땅을 성읍으로 삼았다.

14년(B.C 24년) 가을 8월에 왕의 어머니 유화가 사망하니, 금와왕이 태후의 예로 장사지내고 마침내 신묘(神廟)를 세웠다.

19년(B.C 19년) 여름 4월에 왕자 유리(類利)가 부여에서 그 어머니와 함께 오니 왕이 이를 기뻐하고 태자로 삼았다. 이름은 유리(類利)인데 유류(孺留)라고도 한다. 주몽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예씨(禮氏)이다. 처음 주몽이 부여에 있었을 때 예씨의 딸에게 장가들어 그 여인이 아이를 배었는데, 주몽이 떠나온 뒤 태어났으니 그 아이가 유리이다.

유리가 어렸을 때부터 기이한 기질이 있었다 한다. 어릴 때는 늘 참새를 쏘면서 놀았는데 한 부인이 물동이를 지고 가는 것을 보고 쏘아서 깨뜨렸다. 이에 그 아낙이 노하여 난하기를 '아비도 없는 미련한 자식이 내 물동이를 쏘아 부수었다.' 유리가 크게 부끄러워하며 진흙 탄환을 쏘아 물동이의 구멍을 막아 되돌려 놓고 집에 돌아와 어머니에게 이르기를 '제 아버지는 누구입니까'라고 묻자 어머니가 유리가 어리다고 생각해 농담 삼아 '네게는 딱히 아버지가 없다'고 하니 유리가 울면서 '사람이 제 아버지가 없으면 장차 무슨 면목으로 남을 보겠습니까'라고 하고 드디어는 스스로 목을 찌르려고 하니 어머니가 놀라서 말리기를 '아까 한 말은 장난으로 한 말이다. 너의 아버지는 천제의 손자이고 하백의 외손인데 부여의 신하 신세임을 원망하여 멀리 남쪽으로 떠나 나라를 열었단다. 네가 가서 뵙겠느냐?'유리가 대답하기를 '아버지는 나라의 임금이 되었으나 아들은 남의 신하가 되었으니 제가 비록 재주는 안 되지만 어찌 부끄럽지 않겠습니까?'어머니가 말하기를 '네 아버지가 떠나시며 이렇게 말씀하셨다. 내가 일곱 고개 일곱 골짜기 돌 위 소나무에 물건을 감추어 두었으니 이것을 찾아 얻는 자는 내 자식이다' 유리가 산골짜기로 가서 찾다가 찾지 못하고 지쳐 돌아왔는데, 집에서 구슬픈 소리를 들으니 그 기둥은 주춧돌 위의 소나무였고 몸통에 일곱 모가 나 있었다. 유리가 마침내 스스로 깨달아 말하기를 '일곱 고개 일곱 골짜기는 일곱 모서리이고, 돌 위의 소나무라면 기둥이다' 라고 하여 일어나 가 보니 기둥에 구멍이 있었다. 거기에서 부러진 칼 한 조각을 얻어 크게 기뻐하였다.

전한 홍가 4년(B.C 17년)에 옥지(屋智)·구추(句鄒)·도조(都祖) 등 세명과 함께 고구려로 달아나 칼 한 조각을 왕에게 받들어 올리니, 왕이 가지고 있던 부러진 칼 한 조각을 내어 합하니 피가 나면서 이어져 온전한 한 자루가 되었다. 왕이 유리에게 말하니 '네가 실로 내 자식이라면 어떤 신이함이 있느냐' 하니 유리가 곧바로 몸을 날려 공중에 솟구쳐 창으로 새어 드는 햇빛을 가리는 신성함을 보여 왕이 크게 기뻐하여 태자로 삼았다.

19년 가을(B.C 19) 9월에 왕이 하늘로 올라가 내려오지 않으니 이 때 왕의 나이가 40이었다. 태자가 왕이 남긴 옥 채찍을 용산(龍山)에 묻어 장사지냈다.

4. 숭배

동명성왕의 경우, 그래도 한국 고대사의 왕들 중 사후에도 꾸준히 영광을 얻은 편이다. 고구려, 백제, 발해, 고려 같은 고구려를 계승한 고대 및 중세 국가들의 시조로 오랫동안 추앙받아 왔다. 조선은 국가의 시조로까지 보진 않았으나, 조선 시조 단군[47]과 동격으로 제사를 지냈다.

그 이름에 걸맞게 '신궁(神弓)'으로 불리었으며, 물레 위의 파리를 쏘아 잡았다거나 송양과 나라를 두고 재주를 겨룰 때 100보 바깥의 옥가락지를 깨었다는 등 관련 설화가 전해진다. 오늘날 한국에서도 양궁 선수들을 가리켜 '주몽의 후예'라는 표현을 언론에서 쓸 정도로 현대 한국에서도 명궁의 대명사로 통한다. 드물지만 현재에도 동명신(東明神)을 모시는 무속인들이 있다.

4.1. 고구려, 백제

고구려 당시엔 국가 시조이니 당연히 숭배됐다. 《삼국사기》의 고구려 요동성이 군에게 공격받는 기록에서, 요동성에는 그의 창과 갑옷을 모신 사당이 있고 무녀가 있다는 언급이 남아있다. 그리고 무녀의 예언을 듣고 처녀를 제물로 바치자, 무녀가 "주몽이 기뻐하시니 요동성은 함락되지 않을 것이다."는 말을 했지만 결국 함락됐다.[48]

중국의 역사서 《북사》에도 주몽 숭배 관련 기록이 있는데,
신묘가 두 군데 있는데, 하나는 부여신이라 하여 나무를 조각해 부인상을 만들었고, 하나는 고등신이라 하여 그들의 시조이며 부여신의 아들이라고 한다. 모두 관사를 설치해 놓고 사람을 보내 수호하는데 대체로 하백의 딸과 주몽이라고 한다.
라고 쓰고 있다.

동명성왕의 유물에 관련된 기록이 남은 건 저 정도뿐이지만, 나라의 시조신인 만큼 요동성에만 이런 사당이 있었을 리는 없고, 아마 주요 도시마다 사당이 있었던 것이 아닐까 추측된다.[49] 무녀가 있었다는 기록으로 보아 제사 의식에는 무속적인 요소가 강하게 있었던 듯하며, 고려 태조 왕건의 청동상을 바탕으로 초상이나 상(象)을 만들어서 모신 것으로 보는 설도 있다. 《고려도경》의 내용에 의하면 고려 중기에도 고구려와 비슷한 방식의 숭배가 내려오고 있었던 걸로 추정된다.

백제에선 동명왕의 아들 온조왕이 '동명묘'를 두어 제사지냈고, 또 국가시조로 '태조 도모[50]대왕'을 언급하는 등 숭배 의식이 명확했다. 위에서 보듯 고주몽이 온조의 생부인지 계부인지 여부는 분명하지 않으나, 적어도 근초고왕부터 시작되는 백제 왕가의 직접적 혈통적 선조가 고주몽임에는 의심할 여지가 거의 없는 상황이다. 백제는 참으로 어색할 정도로 공식적으로는 고구려와의 관계를 부정하고 부여와의 관계를 강조[51]했는데, 그러고 싶다면 고주몽은 어떤 의미에서든 반드시 배제해야 할 대상이었다. 백제사에서 고주몽의 존재를 없애거나 격하시킬 수 없다면 백제가 고구려에서 나온 세력이란 과거를 부정하기가 불가능했기 때문이었다. 그런 의미에서 비류계 전승처럼 고주몽은 백제 건국왕의 계부에 불과할 뿐이란 언급이야말로 가장 유리한 전승이 아닐 수 없었다. 그러나 비류계 전승을 제끼고 근초고왕 계열이 확립한 온조계 전승이 비하하고 있는 대상은 엉뚱하게도 주몽이 아닌 비류며, 주몽이 백제 건국왕의 생부임을 분명히 하고 있다. 아무리 백제의 부여 계승에 맞게 전승을 어떻게든 비틀고 싶었어도 가문에 수백 년 동안 내려오고 있는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도무지 없애거나 왜곡할 수 없었던 것이다. 훗날의 위덕왕인 부여창이 고구려 고씨 장수에게 성씨가 같다고 하는 일화도 사실 백제의 부여 직접 계승설을 부정하는 내용이 될 수밖에 없는데도 분명히 전해져오고 있는 걸 보면, 적어도 근초고왕 이후의 백제 왕가는 고주몽이 선조일 개연성은 높다고 하겠다.

4.2. 고려~조선

고구려 시조에 대한 숭배는 고려, 조선 때에도 이어졌다. 《고려사》와 《세종실록지리지》에 따르면 고려시대엔 중화현 용산에 '동명왕묘(東明王廟)'가 있었고 평양 인리방엔 '동명성제사(東明聖帝祠)'가 있었다. 동명왕묘는 왕릉이 있던 곳이고[52] 동명성제사는 신사였다[53].

고려시대 당시 평양 지역의 동명왕 사랑은 매우 컸는데, 평양 각지에 동명왕과 관련된 전설이 잔뜩 남았다. 동명왕의 별궁인 구제궁[54], 그가 건너 다닌 통한교(通漢橋), 기린마를 길들인 기린굴, 승천할 때 밟았다는 조천석까지[55]. 중화현 용산엔 화반석으로 만든 동명왕릉이 있는데, 《제왕운기》는 동명왕이 승천해 돌아오지 않자 성자(聖子) 유리가 부왕의 옥 채찍을 용산에 묻었으니 바로 지금의 동명왕릉이라고 했다.

고려 시절 위 같은 동명왕 사랑 덕분에 왕은 신적 존재인 '동명성제(東明聖帝)'로 숭배됐는데, 《삼국유사》에 그 흔적이 남아있다[56]. 또 《세종실록지리지》에 따르면 평안도 안주목 은산현 관음봉에 천성사(天聖寺)가 있었는데, 민간에선 '동명성제'가 평양 조천궁에서 은산현 관음봉으로 강림할 때 궁전으로 쓰던 곳이 천성사였다고 전해졌다.

《고려도경》에 따르면 고려 개경 나성 안에 '동신사'가 있었는데, '동신성모'를 모신 신사(당골)였다. 저자 서긍은 이 동신성모는 '고려시조[57]를 낳은 부여의 아내이자 하백의 딸'이라고 기록했다[58]. 고려에선 동명왕 숭배의 연장선으로 유화부인도 모셨음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엔 동명왕이 기자, 단군과 함께 평양의 삼성(三聖)으로 숭배됐다. 세종대왕은 평양부 의리방에 동명왕과 단군을 같이 제사지낼 전각을 만들었고[59], 세조는 동명왕의 위패를 '고구려시조 동명왕지위'로 고정했다[60]. 영조는 이 전각에 숭령전이란 전호를 내렸다. 대한제국 때엔 각 도에서 지내는 제사로 동명왕릉과 숭령전 등을 지정했다.

국초 명나라를 공격하기로 한 요동 정벌 계획에선 관료들이 동명왕의 옛 강토 운운하는 계승 의식이 보인다#.

5. 광개토대왕과의 관계

지안시광개토대왕릉비를 보면 광개토대왕이 추모왕의 17세손[61][62]이라는 기록이 나온다. 두 왕의 생년은 약 430년의 차이가 있다.
옛적 시조 추모왕(鄒牟王)이 나라를 세웠는데 (왕은) 북부여(北夫餘)에서 태어났으며, 천제(天帝)의 아들이었고 어머니하백(河伯)의 따님이셨다. ...(중략)... 고명(顧命)을 이어받은 세자 유류왕은 도(道)로써 나라를 잘 다스렸고, 대주류왕은 왕업을 계승하여 발전시키었다. 17세손에 이르러 국강상광개토경평안호태왕이 18세에 왕위에 올라 칭호를 영락대왕(永樂大王)이라 하셨다.
광개토대왕릉비
하지만 현재 남아있는 김부식의 《삼국사기》나 일연의 《삼국유사》에 의하면 다음과 같이 광개토대왕은 동명성왕의 13세손이 된다.

때문에 이러한 불일치를 없애기 위해 많은 추측이 만들어졌는데, 고재사의 전후에 대하여 이루어졌다. 그 이유는 유리명왕 이후 신대왕 이전의 왕들인 대무신왕, 태조대왕, 차대왕, 신대왕 등에 역사서 별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삼국지》의 〈위지〉 동이전에는 초기 고구려의 왕계를 '주몽(동명성왕)-여달(유리명왕)-여율[63]-막래'로 전하는데, 이 중 막래가 누군가에 따라 해석이 갈린다. 조선 후기 한치윤의 《해동역사》에 따르면 막래는 모본(왕)이 와전된 것이라고 하며, 여율이 모본왕의 부왕인 대무신왕이라고 한다면 위의 족보에 문제는 없다.[64] 하지만 〈위지〉 동이전에 막래가 부여를 쳤다는 기록이 나오는데, 마침 대무신왕이 부여를 정벌했기 때문에 막래를 대무신왕의 이름으로 볼 수도 있다. 여기서 고재사를 대무신왕의 아들로 보면 '유리명왕-고재사' 대신 '유리명왕-여율-대무신왕-고재사'로 2세대를 늘린 15세손까지 늘릴 수 있다.[65]

또한, 고재사의 아들이 신대왕인 것에도 여러 반대 가설이 있다. 우선, 신채호는 《후한서》, 《북사》 등의 기록을 채택해 '고재사-신대왕'이 아닌 '고재사-태조대왕-차대왕/신대왕'으로 보았고, 차대왕/신대왕을 태조대왕의 서자로 보았다. 또한 진수의 《삼국지》에 따르면 신대왕은 차대왕의 아들이라고 하였는데, 차대왕은 71년생이고 신대왕이 89년생이라 부자라 하기에도 애매하고 형제(혹은 동일세대)라 하기에도 애매하다. 아무튼 이렇게 고재사와 신대왕 사이에 두 대왕을 끼워넣으면 광개토대왕을 동명성왕의 17세손이라는 족보를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유리명왕부터 신대왕까지의 항목들에서 알 수 있듯 이 당시의 족보는 그야말로 개판이었다. 실제로 기록을 남기는 체계가 없었을 가능성도 있지만 동명성왕계와 유리명왕계의 족보를 나중에 통폐합하는 과정에서 다 꼬였다고 보여진다. 즉, 족보 자체가 그리 믿을 것이 못된다는 것. 그 외에도 삼국사기 등에 등장하는 子가 아들이 아니라 자손을 의미할 수도 있다는 가설도 있기 때문에 제대로 된 족보를 알기는 쉽지 않아보인다.

현재까지의 주류 의견은 삼국사기에 나오는 기록인 13세손 족보에 기반하고 있으며, 광개토대왕릉비는 자세한 족보가 아니라 단순히 17이라는 숫자만 적어놓았기에 다른 계산법이 사용되는 등의 이유로 인한 것으로 추측되고, 중국의 기록들은 와전되었다는 것이 주이지만 모든 것이 맞아떨어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완전한 정설은 존재하지 않는다.

6. 정체에 대한 논란

6.1. 부여 시조 동명왕과의 관계



삼국사기》에서는 동명왕으로 기록되어 있다. 현대엔 광개토대왕릉비의 기록을 존중해 동명왕보다 추모왕이라는 칭호가 주목을 받고 있다. 이 영향인지 동명왕과 추모왕이 별개의 인물이라는 설이 생겨났다.

참고로 〈동명왕 전설〉은 《논형(論衡)》 〈길험〉편에 나오는 부여 건국 설화와 상당 부분 일치하며, 백제 왕족들의 성씨를 보면 주몽이 일단 부여계라는 게 거의 정설이다. 즉, 고구려의 건국 왕인 주몽을 신격화하는 과정에서 조상인 〈동명왕 전설〉을 차용했다는 것이다. 고리국부여, 부여고구려로 이동하는 부분도 그렇고 설화 자체가 거의 똑같아 상당 부분 〈동명왕 전설〉을 차용했다는 이야기는 신빙성이 있는 이야기로 평가받는다.

KBS 역사스페셜에서 고구려와 부여 설화 차용과 관련된 내용을 방영한 적이 있다. 동명성왕의 건국 설화, 즉 하늘 신이나 하늘 신의 아들이 강의 신의 딸과 정을 통하여 아들을 낳았는데 이 아들이 주변의 사악한 왕의 미움을 받다가 도망쳐서 왕국을 세운다는 내용의 설화는 중앙 유라시아의 건국 설화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이야기다. 벡위드 교수는 스키타이, 흉노, 몽골, 돌궐를 비롯한 유목 국가뿐만이 아니라, 고대 로마나 중국의 주나라 등 중앙 유라시아에서 영향을 받은 많은 정주 국가들도 이와 비슷한 이야기를 건국 설화로 삼고 있다고 한다.

6.2. 해씨? 고씨?

성을 해씨에서 고씨로 고쳤다고 하나, 아들유리명왕 대부터는 다시 해(解)씨(《삼국유사》·〈왕력〉)로 나오기 때문에, 고구려 초기 왕계에 의구심을 갖게 한다. 그런데 동명성왕만이 아니라 이후 고구려 왕족의 계보도에서 여러 문제가 발견되기 때문에 해씨 고구려설이 존재한다. 이에 따르면 아마 주몽의 원래 성씨는 고씨가 아닌 해씨였을 터인데 제6대왕인 태조대왕 때부터 고씨를 차용하게 되면서 소수림왕이 건국 군주의 성씨를 조작했을 것이라고 한다.

혹은, 해씨를 쓴 게 맞으나 원래는 방계였던 태조대왕계가 고씨라는 성을 쓰기 시작하면서 추모왕계에 대한 신성화 과정에서 동명성왕이 고씨임을 유난히 강조했다는 의견이 있다. 이러면 유리명왕, 대무신왕 등도 자연히 고씨가 되기 때문에 해씨를 성으로 썼던 역사가 묻힌 거라는 것이다. 고구려뿐 아니라 백제, 신라도 초기 국왕 계보에서 사실이라고는 도저히 볼 수 없을 정도의 오류들을 범하고 있다. 중반기부터 왕위를 확립한 왕족들이 자신들의 정통성을 공고히 하기 위해 국왕 계보에 조작을 가했을 가능성도 농후하다. 그러기에 고구려 시조 주몽의 성씨와 그 계보에 대해선 논란이 클 수 밖에 없다.

다만 해씨 고구려설 문서에서도 나오듯이 학계의 정설은 해씨=고씨라는 것이다. 해는 소리를, 고는 뜻을 나타내는 말이며 한화 정책의 일환으로 후대에 표기가 바뀌었다는 것. 태조대왕 대에 왕계가 교체되었다는 것도 아예 새로운 혈통으로 바뀐 것이라기보다는 계루부 왕가 내 분파 싸움의 결과라는 것이 통설이다.

6.3. 백제의 태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6b6b, #008080 20%, #008080 80%, #016b6b);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구태 시조설 우태 시조설 주몽 시조설
구태 * 우태 주몽
소서노 시조설 비류국 십제 → 백제국
소서노 비류 온조
* 『수서』 에 언급 됨.
}}}}}}}}} ||


일본의 사서 《속일본기》나 《신찬성씨록》에 의하면 백제의 왕족 및 귀족들은 주몽의 다른 이름 혹은 일본식 발음인 도모를 백제의 태조라고 기록했다.
황태후의 선조는 백제 무령왕의 아들인 순타태자(純陀太子)에서 나왔다. 황태후는 용모가 덕스럽고 정숙하여 일찍이 명성이 뛰어났다. 고닌 천황이 아직 즉위하지 않았을 때 혼인해서 맞아들여 지금의 천황과 사와라 친왕(早良親王)과 노토 내친왕(能登內親王)을 낳았다. 호키(寶龜) 연간( 770년 ∼ 780년)에 성(姓)을 (야마토에서) 타카노노 아소미(高野朝臣)로 고쳤다. 지금의 천황이 즉위하여 황태부인(皇太夫人)이라 하였는데, 엔랴쿠 9년에 추존(追尊)하여 황태후라 하였다.

그 백제의 원조(遠祖)인 도모왕(都慕王)은 하백의 딸이 해의 정기에 감응하여 태어났는데, 황태후는 곧 그의 후손이다.

{{{#!wiki style="text-align: right"
《속일본기》 엔랴쿠(延暦) 8년(789)}}}
백제인들은 온조가 아니라 온조의 아버지 주몽을 시조로 보고 '태조'라는 묘호를 올렸다는 뜻이 된다. 그런데 정작 고구려인들은 주몽이 아니라 제6대 왕을 태조대왕이라 칭했다는 점이 특이 사항이다.

다만 《삼국사기》에 보장왕의 아들이라 추정되는 안승의 조상이 '태조 중모왕'이라 나오는데 중모는 주몽의 다른 음차로 여겨지며 이럴 경우 고구려의 태조도 동명성왕이 되지만 태조왕과의 기록과 모순이 생긴다.

혹은 동명성왕이 아닌 부여의 시조 동명왕을 뜻하는 것이라는 설도 있다.

6.4. 구려후 추?

《한서》 〈왕망전〉에 따르면 서기 12년, 구려후 추가 엄우에게 유인당한 후 살해되었는데 이때 살해된 추가 추모(주몽)라는 견해가 있다.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기록에 의하면 추는 고구려 장수 연비로, 주몽이나 유리와 아무런 관계가 없지만 '추'라는 발음이 추모의 앞글자와 유사하기에 주몽 쪽으로도 설득력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구려후 추 항목 참조.

후한서》에도 '고구려후(侯) 추'[66]가 나온다. 서기 12년 임신 7월 한나라 전담(田譚)이 색두(索頭)와 서로 싸우고 색두(索頭)가 현토태수 구추(勾鄒)에게 원병을 구하자 구추(勾鄒)는 연비(延丕)를 보내어 전담(田譚)을 공격해 죽였다. (유리왕31년)

三十一年 壬申七月 漢人田譚 與索頭sutou相爭 請救於勾鄒 勾鄒使延丕 擊譚殺之 譚不遜故也
《동국통감》에는 중국 장수 엄우가 '고구려 장수 후추'(高句麗將 侯鄒)를 잡아 중국이 왕을 '하구려후'라고 비하했다고 한다.

7.삼국사기》 기록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word-break: keep-all; min-height:(25/18*1em +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be673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1권 「신라 1권 (新羅 一)」 2권 「신라 2권 (新羅 二)」
혁거세 · 남해 · 유리 · 석탈해 · 파사 · 지마 · 일성 아달라 · 벌휴 · 내해 · 조분 · 첨해 · 미추 · 유례 · 기림 · 흘해
3권 「신라 3권 (新羅 三)」 4권 「신라 4권 (新羅 四)」 5권 「신라 5권 (新羅 五)」
내물 · 실성 · 눌지 · 자비 · 소지 지대로 · 원종 · 김삼맥종 · 김사륜 · 김백정 김덕만 · 김승만 · 김춘추
6-7권 「신라 6-7권 (新羅 六-七)」 8권 「신라 8권 (新羅 八)」 9권 「신라 9권 (新羅 九)」
김법민 김정명 · 김이홍 · 김융기 김승경 · 김헌영 · 김건영 · 김양상
10권 「신라 10권 (新羅 十)」 11권 「신라 11권 (新羅 十一)」
김경신 · 김준옹 · 김청명 · 김언승 · 김수종 · 김제융 · 김명 · 김우징 김경응 · 김의정 · 김응렴 · 김정 · 김황 · 김만
12권 「신라 12권 (新羅 十二)」 13권 「고구려 1권 (高句麗 一)」 14권 「고구려 2권 (高句麗 二)」
김요 · 박경휘 · 박승영 · 박위응 · 김부 고주몽 · 고유리 고무휼 · 고색주 · 고해우
15권 「고구려 3권 (高句麗 三)」 16권 「고구려 4권 (高句麗 四)」 17권 「고구려 5권 (高句麗 五)」
고궁 · 고수성 고백고 · 고남무 · 고연우 고우위거 · 고연불 · 고약로 · 고상부 · 고을불
18권 「고구려 6권 (高句麗 六)」 19권 「고구려 7권 (高句麗 七)」 20권 「고구려 8권 (高句麗 八)」
고사유 · 고구부 · 고이련 · 고담덕 · 고거련 고나운 · 고흥안 · 고보연 · 고평성 · 고양성 고원 · 고건무
21-22권 「고구려 9-10권 (高句麗 九-十)」 23권 「백제 1권 (百濟 一)」
고장 부여온조 · 부여다루 · 부여기루 · 부여개루 · 부여초고
24권 「백제 2권 (百濟 二)」
부여구수 · 부여사반 · 부여고이 · 부여책계 · 부여분서 · 부여비류 · 부여계 · 부여구 · 부여수 · 부여침류
25권 「백제 3권 (百濟 三)」
부여진사 · 부여아신 · 부여전지 · 부여구이신 · 부여비유 · 부여경사
26권 「백제 4권 (百濟 四)」 27권 「백제 5권 (百濟 五)」 28권 「백제 6권 (百濟 六)」
부여문주 · 부여삼근 · 부여모대 · 부여사마 · 부여명농 부여창 · 부여계 · 부여선 · 부여장 부여의자
금석문 및 문헌기록상 신라 최초로 성씨를 사용한 왕은 진흥왕임
{{{#!folding [ 표(表) / 잡지(雜志) ]
}}}}}}}}}}}}
{{{#!folding [ 열전(列傳) ]
}}} ||

《삼국사기》 〈시조 동명성왕〉
一年 동명성왕이 고구려를 건국하다.
二年夏六月 비류국이 고구려에 항복하다.
三年春三月 황룡이 나타나다.
三年秋七月 경사스런 구름이 나타나다.
四年夏四月 짙은 구름과 안개가 끼다.
四年秋七月 성곽과 궁실을 짓다.
六年秋八月 신기한 참새가 궁전에 모이다.
六年冬十月 행인국을 정복하다.
十年秋九月 난새가 왕대에 모이다.
十年冬十一月 북옥저를 멸망시키고 성읍으로 삼다.
十四年秋八月 동명성왕의 어머니 유화 부인이 동부여에서 죽다.
十四年冬十月 부여에 토산물을 주다.
十九年夏四月 왕자 유리가 부여에서 도망해 오다.
十九年秋九月 동명성왕이 죽다.

건국 신화의 경우, 동명왕의 기록과 융합된 것으로 관측된다.

8.구삼국사》 기록

구삼국사(舊三國史)
{{{#!wiki style="margin: 0 -10px"
{{{#fbe67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181818,#e5e5e5
「동명왕 본기 (東明王 本紀)」
동명왕 }}}}}}}}}}}}}}}

《동국이상국전집》 제3권 〈고율시〉 '동명왕편'
구삼국사》는 유실되었으나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에 남아있는 〈동명왕 본기〉가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참고로 이규보가 남긴 기록에는 연도가 정확히 언급되지 않는다. 정확히는 이규보의 동명왕편이 고율적 서사시를 지향하고 정식 사서의 예법은 취하지 않다보니 저자가 부분적으로 일부를 빼기도 해서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에만 나타나는 기록들도 있고, 주몽의 탄생이나 건국 해를 제외한 탄생설화 등은 애시당초 신화이므로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에도 짧게 서사가 압축되어 구체적인 날짜는 나타나지 않는다. 그리고 유리가 고구려로 온 해는 구삼국사 기준으로는 기원전 17년, 삼국사기로는 기원전 19년으로 차이가 있긴 하다. 태자의 책봉 과정에서 여러 일이 축약된 것이 불과 몇 개월만에 이루어지기는 어렵다고 보면 구삼국사의 기록이 더 정확할 가능성도 있다.

一年 왕이 고구려를 건국하다.
?? 비류국왕 송양과 활쏘기를 하였다.
?? 비류국에서 을 훔쳤다.
?? 六月 비류국이 고구려에 항복하다.
?? 七月 검은 구름이 끼었고 일주일후 궁궐이 완성되었다.
??[67] 四月 부여에서 도망쳐온 유리를 태자로 삼다.
?? 九月 왕이 하늘로 승천하고 내려오지 않았다.

9. 기타

  • 많은 사람들이 국사와 세계사를 따로 배우기 때문에 동명성왕이 마치 신화 속 인물쯤 아주 오래된 인물로 생각하지만 고대 로마 제국의 초대 황제 아우구스투스보다 5살 적고,[68] 클레오파트라보다 11살 젊다. 아우구스투스와 비슷한 연배지만 현대 사람들에게 아우구스투스는 노련한 정치가였던 역사적 실존 인물로 인식되고, 고주몽은 알에서 태어난 신의 아들로 신화적이고 전설적인 인물로 인식된다. 이는 로마의 기록이 상당히 풍부하기 때문인데, 로마는 고대인으로서는 이례적으로 역사 기록에 신화적이거나 전설적인 부분을 섞지 않고 현실적인 기록을 남겼다. 이는 신화 중심의 세계관에서 벗어나 인간의 이성을 중시하던 고대 그리스인들의 철학과 그것을 그대로 이어받은 로마인들의 철학이 당시 세계적으로도 상당히 드문 사례였기 때문이다. 오히려 실존하는 대부분의 고대 기록들은 현실적이기보다는 종교적, 신화적, 전설적인 내용이 섞여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유럽도 서로마 멸망 후 게르만이 주도하던 서유럽 세계에서는 비슷한 일이 벌어져 역사에서 신화적인 요소가 완전히 빠지고 객관적인 서술을 하게 된 것은 고대 그리스와 로마를 제외하면 중세 말기가 되어서야 이루어졌다. 한국의 고대사 기록이 로마나 중국에 비해 아쉬운 건 사실이나 세계 4대 문명이나 그리스-로마 정도를 제외하면 기원전의 고대 기록이 남은 곳 자체가 매우 드물다. 그리스-로마 문명은 서양 문명의 실질적인 원류라 볼 수 있는 문명이었기에 어느 나라가 유럽을 제패하든 그리스-로마 문명에 대한 사료나 유적은 비교적 잘 보존될 수 있었다.
    유럽권만 해도 그리스와 로마를 제외하면 고대의 게르만족이나 켈트족, 슬라브족이 직접 남긴 기록은 극히 드물고 이들의 고대 역사는 로마인들이 남긴 기록으로만 단편적으로 알 수 있을 뿐이다. 또한 로마 멸망 이후 중세 사회가 성립하기 전까지 한동안은 진짜 문자 그대로 기록의 암흑시대가 돼버려서 당대의 기록은 매우 부실하다. 그래서 현존하는 한국 고대사가 기록이 적다는 건 훨씬 후대인 조선 시대와 비교해서 그렇지,[69] 오히려 전 세계적으로 봤을 때 한국은 고대 기록이 상당히 풍부한 축에 속한다. 《삼국사기》 시조 〈동명성왕 본기〉나 《구삼국사》의 기록은 나름 현실적이기도 하다.
  • 멀리 유럽까지 갈 것도 없이 중국 역사 속 인물들과 비교하자면 공자보다는 500년, 맹자보다는 300년, 진시황, 한고조 유방, 항우보다는 200년 이후의 인물이다. 그리고 동명성왕 사후 200년 정도가 지나면 우리가 아는 삼국지의 무대가 시작된다.
  • 독립군가용진가의 1절에 '요동 만주 넓은 들을 쳐서 파한' 인물로 언급된다. 해당 문서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독립 의식을 고취시키는 목적으로 역사 속 외적들을 물리친 사례들을 나열하면서 고구려 건국 시조인 동명성왕이 등장한 것이다.

10. 대중매체에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동명성왕/대중매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동명성왕/대중매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동명성왕/대중매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관련 인물

12. 관련 문서

13.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ECEC, #fff 20%, #fff 80%, #ECECEC); color:#000"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삼국시대 이전
<rowcolor=#FFD400> 단군조선 위만조선 진국 삼한연맹
단군 역대 군주 진왕
예맥
<rowcolor=#fbe673> 부여 예맥족장 최씨낙랑국 비류국
역대 군주 남려 최리 송양
<rowcolor=#fbe673> 고리국 졸본부여 비류백제 십제
영품리 추모 비류 온조
마한
<rowcolor=#fbe673> 초대 제2대 제3대 제?대
준왕 마한왕 2세 마한왕 3세 마한왕
진한
<rowcolor=#fbe673> 실직국 감문국 골벌국 음즙벌국
안일왕 금효왕 아음부 타추간
진한 변한 탐라
<rowcolor=#fbe673> 사로국 금관국 반파국 탐라국
거서간 김수로 이진아시 역대 군주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6b6b, #008080 20%, #008080 80%, #016b6b);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be673> 제후왕 및 후작
우현왕 좌현왕 불사후 면중후
부여기 부여곤지 부여례 목간나
도한왕 아착왕 매로왕 불사후
저근 부여고 부여력 부여고
매라왕 벽중왕 불중후
사법명 찬수류 해예곤
섭정 비정통
전지왕 섭정 찬탈 비정통 비정통
부여훈해 부여설례 진이왕 부여태
부흥운동 대방군왕 (멸망이후)
제32대 국왕 대방군왕 대방군왕
풍왕 부여융 부여경
문헌 상 언급
음태귀수왕 덕좌왕 호왕 진왕
추존
태조 도모왕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6b6b, #008080 20%, #008080 80%, #016b6b);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구태 시조설 우태 시조설 주몽 시조설
구태 * 우태 주몽
소서노 시조설 비류국 십제 → 백제국
소서노 비류 온조
* 『수서』 에 언급 됨.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5453A, #6A5445 20%, #6A5445 80%, #55453A); color:#fbe673"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6A5445> 부여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모수왕 부루왕 금와왕 대소왕
<rowcolor=#6A5445> 해두국 갈사국
말대 초대 제2대 제3대
해두왕 갈사왕 1세 갈사왕 2세 도두왕
<rowcolor=#6A5445> 중국사서
초대 시조 계보 미상 칭왕 초대
영품리왕 동명왕 부여왕
계보 미상 초대 제2대 제3대
시왕 부태왕 위구태왕
제4대 제5대 제6대 제7대
간위거왕 마여왕 의려왕 의라왕
제8대 제9대 계보 미상 말대
현왕 울왕 잔왕
<rowcolor=#6A5445> 졸본부여
말대 말대
연타발 추모성왕
<rowcolor=#6A5445> 남부여 문헌상 언급 두막루
초대 왕족 수령
성왕 구태 | 우태 | 위거 낙개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min-height: calc(1.5em + 10px); padding-top: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단군 기자 동명왕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ddd,#222><colcolor=#000,#fff> 하늘신 하느님 · 환인 · 옥황상제도교 · 천지왕제주도
통치신 환웅 · 대별왕과 소별왕제주도
국조신 단군 · 해모수 · 동명성왕 · 박혁거세 · 수로왕 · 고을나왕제주도
자연신 마고할미 · 미륵불교 · 웅녀 · 해당금이 · 손돌 · 도수문장 · 설문대할망제주도 · 오늘이제주도
산신 산신령 · 선도성모 · 정견모주 · 석탈해 · 운제산성모 · 단종 · 금성대군
수신 유화부인 · 용왕 · 사해용왕도교 · 경강적룡
사방신 청룡도교 · 백호도교 · 현무도교 · 주작도교
무조신 바리데기 · 걸립신
농업신 풍백도교 · 우사도교 · 운사 · 고수레 · 자청비제주도
탄생신 삼신할미
운명신 구삼승할망 · 사라도령 · 할락궁이 · 감은장아기제주도
사신 염라대왕불교 · 저승사자(강림도령) · 이덕춘 · 해원맥 · 연직사자불교 · 시직사자불교
복신 칠성신(북두칠성) · 부근신
재물신 칠성신(뱀)제주도
가택신 성주신 · 조왕신 · 삼신할미 · 터주신 · 문전신 · 철륭신 · 업신 · 정랑각시 · 제석신 · 우물신
수호신 장승 · 선묘 · 두두리 · 괴목신 · 지귀 · 부군신 · 돌하르방제주도 · 궤네깃또제주도
질병신 역신 · 호구별성
왕신 경순왕 · 공민왕 · 궁예 · 문무왕 · 단종
군웅신 이순신 · 강감찬 · 최영 · 김유신 · 뒤주대왕
제주도 : 제주도의 토착신
불교 : 불교에서 유래하거나 영향을 받은 신
도교 : 도교에서 유래하거나 영향을 받은 신
}}}}}}}}}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000> 파일:고구려 군기.svg동명성왕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0000,#2d2f34><colcolor=#fbe673,#f9d537> 생애 및 활동 <colbgcolor=#fff,#1f2023>생애
관련 문서 동명왕릉 · 숭령전
매체 대중매체
}}}}}}}}} ||

한국을 빛낸 백명의 위인들
등장인물 및 단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직접적으로 언급된 인물/단체
단군
동명성왕 온조왕
이사부 백결선생 의자왕 계백
김관창 김유신 문무왕 원효
혜초 장보고 고왕 강감찬
서희 정중부 최무선 죽림고회
김부식 지눌 의천 이종무
정몽주 문익점 최충 일연
최영 황희 맹사성 장영실
신숙주 한명회 이이 이황
신사임당 곽재우 조헌 김시민
이순신 태조 정종 태종
세종 문종 단종 세조
사육신 생육신 논개 권율
홍길동 임꺽정 삼학사 박문수
한석봉 김홍도 김병연 김정호
영조 정조 정약용 전봉준
황진이 홍경래 김옥균
안중근 이완용 윤동주 지석영
손병희 유관순 안창호 방정환
김두한이상이중섭
간접적으로 언급된 인물/단체
민족대표 33인 김좌진
홍길동전의 저자 허균[1]
기울임체 는 부정적으로 언급된 인물이다.
[1] 실제 홍길동을 언급한 건지 후대 인물 허균이 창작한 의적 홍길동을 언급한 건지 논란이 있지만 간접적인 언급으로 소설 홍길동전에서 대중화된 의적 이미지를 노래 가사로 사용했으므로 저자 허균을 생각하고 언급한 것일 가능성이 높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6b6b, #008080 20%, #008080 80%, #016b6b);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ccc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0.90em; letter-spacing: -1.2px"
동명성왕
 
소서노
 
우태 동명왕(?) 구태(?)
 
 
 
 
고구려 왕실 비류국
비류왕
1대
온조왕
 
 
 
2대
다루왕
덕좌왕
 
3대
기루왕
 
 
 
4대
개루왕
부여질
 
 
 
5대
초고왕
8대
고이왕
우수
 
6대
구수왕
9대
책계왕
 
 
 
 
7대
사반왕
11대
비류왕
우복 10대
분서왕
 
 
 
 
장남 13대
근초고왕
12대
계왕
 
14대
근구수왕
 
 
15대
침류왕
16대
진사왕
 
 
 
 
17대
아신왕
섭정
훈해왕
찬탈
설례왕
부여홍
 
 
 
18대
전지왕
부여신제 부여신
 
19대
구이신왕
 
 
부여주
 
20대
비유왕
 
 
 
21대
개로왕
우현왕 22대
문주왕
좌현왕
 
 
 
 
 
 
불사후 23대
삼근왕
25대
무령왕
24대
동성왕
 
 
 
 
 
순타태자 26대
성왕
(?)
 
 
 
 
 
부여법사 27대
위덕왕
28대
혜왕
(?)
 
아좌태자 29대
법왕
 
30대
무왕
 
 
 
31대
의자왕
부여교기
 
 
 
 
 
부여융 부여태 부여효 32대
풍왕
부여선광
 
 
 
 
 
 
부여문사 부여문선 부여덕장 부여사 부여창성
 
부여경
[범례]
실재 혈통 기준
세로선(│) 부자, 부녀, 사위관계
가로선(─) 형제, 자매관계
두 줄 선(=): 혼인 관계
}}}}}}}}}}}} ||

파일:고구려 군기.svg
고구려 왕실의 계보도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color: #c5b356;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ccc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0.90em; letter-spacing: -1.2px"
천제 하백
 
 
해모수
 
유화
 
 
 
부여 왕실 1대
동명성왕
 
 
 
2대
유리명왕
비류 온조
백제 왕실
 
 
 
 
 
 
고도절 고해명 왕녀 3대
대무신왕
4대
민중왕
고여진
 
 
 
고호동 5대
모본왕
고재사
 
 
고익 6대
태조대왕
 
 
 
 
 
7대
차대왕
고막근 고막덕 8대
신대왕
고인고
 
 
 
 
 
 
고추안 9대
고국천왕
고발기 10대
산상왕
고계수
 
 
고박위거 11대
동천왕
 
 
 
12대
중천왕
고예물 고사구
 
 
 
 
 
13대
서천왕
고달가 고일우 고소발 공주
 
 
14대
봉상왕
고돌고
 
15대
미천왕
 
 
 
16대
고국원왕
고무 고림
 
 
17대
소수림왕
18대
고국양왕
 
 
고강 19대
광개토대왕
 
20대
장수왕
고익
 
 
 
 
 
고조다 고승우 공주 고승천
 
21대
문자명왕
 
 
 
22대
안장왕
23대
안원왕
고안학
 
 
24대
양원왕
왕자
 
25대
평원왕
 
 
 
 
26대
영양왕
27대
영류왕
평강공주 대양왕
 
 
고환권 28대
보장왕
 
 
 
 
 
고복남 고임무 고덕남 고덕무 공주
 
부흥
보덕왕
}}}}}}}}}}}}

[1] 대한제국 시대 교과서인 "초등대한역사"에 제시된 동명성왕의 이 있는데 당대에 그렸던 동명성왕의 영정을 보고 그렸는지 불명이다.[2] 《구삼국사》 기록.[3] 《삼국유사》에는 고구려 건국 당시의 동명성왕의 나이가 12세(만 11세)였다고 기록되어 있어 이를 역산하면 기원전 48년생이 된다.[4] 광개토대왕릉비 기록.[5] 《삼국사기》 기록.[6] 《삼국유사》 기준으로 29세[7] 《삼국사기》 기록. 중화현 용산에 있는 동명왕묘일 수도 있다.[8] 광개토왕릉비 기록. 용산과 같은 지역일 수도 있다. 혹은 미창구 장군묘로 추정하는 의견도 있다.[9] 고려 북계 중화현 용산에 위치. 고려시대에 동명왕릉으로 전해지던 능묘다. 대한제국 때 동명왕릉으로 추봉되어 지금까지 내려져 오고 있다.[10] 가장 흔히 알려진 이름.[11] 졸본부여의 군주 또는 월군(越郡) 사람의 딸이라고 한다.[12] 《삼국사기》에서 동명성왕이 있었던 알의 크기가 5되였다는 기록이 있다.[13] 한국의 사서인 《삼국사기》에선 고구려 후손 안승의 조상 "태조 중모왕"으로#, 일본의 사서인 《신찬성씨록》에선 백제의 초대 임금 온조의 부왕 "태조 도모대왕" 으로 나와 있다.[14] 고려시대에 평양의 신으로 추앙되며 높혀진 칭호. 평양 인리방에 성제를 모신 동명성제사가 있었다.[15] 당장 후기 고구려인 기준으로도 수백 년 전의 전설적인 사람이다.[16] '둏다'를 '됴 + (-)ᄒᆞ다'로 형태소 분석해서, 지금은 불분명해진 상고한어중고한어 단어와의 복합어가 아니냐는 의견도 있다. 그러나 '됴'라는 음가를 지니며 '좋다'라는 뜻을 가진 상고한어 어휘는 현재까지 규명된 바 없기에 확실하게 검증된 것은 아니다.[17] 이렇게 발음한다면 화살 촉의 과의 연결고리가 발견된다.[18] 그나마 '화살'을 의미하는 에벤어 'миир(미르)'나 '명사수'를 의미하는 만주어 'ᠮᡝᡵᡤᡝᠨ(머르건, 墨爾根로 음차됨)'이 m- 계열이긴 한데, 연관되어 있을 가능성은 적다. 특히 만주어 'ᠮᡝᡵᡤᡝᠨ'은 고유어가 아니라 몽골어/튀르크어 'ᠮᠡᠷᠭᠡᠨ(메르겐)'에서 온 외래어다.[19] 도수희, 《한국 성명의 생성 발달》, 국립국어연구원, 1999, 148쪽 ; 양주동,《조선고가연구》, 박문서관, 1942, 389쪽 ; 이복규,《부여·고구려 건국신화 연구》, 집문당, 1998, 18쪽.[20] 박시인,《알타이계 천강일자설화 연구》, 문화비평 1권 3호, 아한학회, 1969, 476쪽.[21] 박은용 1976 ; 유창균 1991 ; 김무림 1992.- 상술했듯이 동명, 주몽, 추모 모두 첫 음절의 초성이 /t/이고 두 번째 음절의 초성이 /m/이었을 것으로 추정한다.[22] 최광식,《고대한국의 국가와 제사》, 한길사, 1994, 152쪽.[23] 朴恩用, 《說話와 言語를 通해 본 朱蒙의 語源에 대하여》, 神父全碩在博士 還曆紀念論文集, 1976, 222쪽.[24] 徐永大,《高句麗의 國家祭祀- 東盟을 중심으로》」 , 韓國史硏究 120, 2003, 15쪽.[25] 물론 여기에 더불어 고대의 노(奴)라는 관념이 현대에 받아들여지는 늬앙스와 같은가라는 문제도 있긴 하다. 참조 : 이영훈 고대의 노(奴) 관념, 김수한 5~6세기‘奴’의성격과신라의‘奴人’[26] 다만 이는 한자 표기에 한해 그렇다고 보는 게 타당할 것이다. 鄒牟(추모), 朱蒙(주몽), 都慕(도모), 中牟/仲牟(중모) 등은 모두 같은 고유명사의 한자를 통한 가차 표기에 불과하며, 학자들의 재구음을 통해 볼 때 한글 표기시 됴모, 도모 등이 원 발음에 가까운 것으로 추정되긴 하나 이것도 고대의 음운을 현대 한국어에 최적화된 문자인 한글로 옮긴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국제음성기호로 옮기는 게 아닌 한 정확한 표기는 아니다. 그러나 가차표기라고 해도 고유성을 띄는 인명의 경우 모호성을 피하기 위해 당대 고구려인이 부르던 인명인 추모로 통일하여 호칭하는 게 적합하다는 것이다.[27] 김락기,《人名으로 본 말갈·여진의 관계와 변화》, 한국고대사학회, 2025 : 『만주원류고』의 말갈 인명 해석 - 烏施可蒙=갑옷을 잘 만드는 사람(工於甲者), 茂林蒙=말타고 활을 잘 쏘는 사람(善騎射者), 薛利蒙=영리하여 일을 잘 한다(聰明能事), 諾箇蒙=아주 잘 한다(甚能). 말갈 인명에 붙은 '蒙'은 만주어 '莽阿'와 같은 말로, '□□蒙'은 '□□을/를 잘하는 사람'이란 뜻이 된다. 다시 말해 특성에 잘한다는 접미사를 붙여 이름을 완성하는 방식으로 해석한 것이다. 이런 생각은 고구려 시조 朱蒙이 활을 잘쏘는 사람이란 의미의 부여 속어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기록과도 연결해 볼 수 있다...작명법이란 측면에서 볼 때는 ‘朱蒙’이란 이름이 부여의 속어에서 비롯되었다는 점에서 ‘□□蒙’은 부여가 멸망한 이후 고구려를 거쳐 발해, 말갈에 이르는 시기에 해당 지역에서 거주해 온 부여 유민들의 작명법일 가능성이 없는지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다른 방식으로 생각해 보면 말갈의 여러 부 중에서도 고구려와 관계가 깊고, 거주 지역 역시 고구려에 가까운 곳으로 옛 부 여의 영역과도 겹치는 속말부나 백산부의 말갈인들의 작명법일 가능성에서 출발할 수도 있다.[28] 이장희,《고대 국어의 /ŋ/에 대하여》, 언어과학연구 34, 2005.[29] 영문판 윅셔너리에 백스터-사가르가 재구한 모(牟)의 상고음은 나오지 않으나 중국어에서 모(牟)의 한자음을 厶(사, 모)에서 취했고 厶(사, 모)는 한자어 모(某)의 이체자로 쓰이며 백스터-사가르가 재구한 모(某)의 상고한어 재구음이 *məʔ임을 보면 고구려어 한자음으로 모(牟)는 mu가 아닌 mə에 가까운 발음이었을 것이다.[30] 해당 표기의 출전인 《신찬성씨록》은 일본 헤이안 시대 초기인 815년경에 편찬되었으므로 상고한어 대신 중고한어 한자음을 적용하는 것이 적합한 듯 보인다. 그러나 백제 유민들 사이에서 전해져 내려온 걸 옮겨 적은 것이므로 기록 자체는 더 오래 전에 된 것일 수도 있다.[31] 현대 일본어에서는 '쓰모'라고 발음되나, 상고 일본어에서는 가 지금의 /tsu/가 아닌 /tu/로 발음되었다는 설이 정설에 가깝게 자리잡은 이상 '두모'라고 읽는 것이 합당할 것이다.[출처] #.[33] 참조.[34] 하백을 의미.[35] 기원전 58년.[36]동국이상국집》에 실린 〈동명왕〉 편의 일부이기도 하다.[37] 후손을 뜻할 수도 있으나 해당 씨족인 구다라노데히토(百濟伎)의 기술은 都慕王孫德佐王之後로 손자와 후손을 구분하고 있다.[38] 일부는 제왕운기에 실린 단군고기의 단군 관련 내용이 합쳐져 있다. 이는 실제로 고려 중엽부터 평양 지역에서 두 설화 전승이 어느정도 하나로 연결되는 형태로 변하기 때문이며, 세종실록지리지에도 평양 지역의 신이담으로 두 계보가 하나로 합쳐져서 등장한다.[39] 북방 지역의 전승으로 큰 물고기인 곤(鯤)이 때마다 새로 변해 남쪽으로 향하는 연못을 의미한다.[40] 기원전 59년경[41] 이 전승은 제왕운기 기록에 해모수의 아들인 동명성왕도 그대로 대를 이어 반복한다.[42] 지금의 압록강[43] 삼국사기에만 언급되는 내용으로 이규보의 동명왕편에서는 이러한 직접적 동기가 생략되어 있다.[44] 대지와 생명의 여신으로 숭배되던 유화부인의 모습을 알 수 있게 하는 대목이다.[45] 압록강 중류 지역의 토착세력으로 추정하며, 위서(魏書)고구려전에는 음술수(音述水)라고 언급되어 있다.[46] 삼국사기의 고구려본기와 전승이 비슷하여 원류에 가까운 것으로 추정되는 위서 고구려전에는 홀승골(紇升骨)이라고 언급되어 있는데 광개토대왕릉비의 비류곡(沸流谷) 홀본(忽本)과 비정이 거의 동일한 곳으로 여겨진다.[47] 세조가 단군의 위패를 '조선시조 단군지위'로 정했다.[48] 작가 최인호의 소설 《잃어버린 왕국》에서는 이 전설을 차용해서 요동성에 창과 과 갑옷이 있는 사당이 있었고, 요동성은 이것만 믿다가 털린 후 사당과 유물이 통째로 불에 타는 걸로 서술한다. 그런데 작중에서 활은 공간 이동을 해서 안시성으로 날라간 후에 당태종 이세민을 저격하여 최종적으로 눈을 멀게 하고 산산히 부서진다.[49] 요동성은 크고 중요한 성이긴 했지만 서부 최외곽 지역의 성이자 비교적 후기에 편입되었던 곳으로 고구려의 전통적인 영토는 아니었다. 따라서 고구려의 내지에는 더 상징성이 큰 시설들이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50] 추모(鄒牟)의 다른 표기다. 당시 추 자는 '도, 두'로 읽힌 듯 하다. 신라는 추모를 중모(中牟)라고 표기했는데 중 자는 조선시대까지 '듕'으로 읽혔다.[51] 현재까지 밝혀진 고고학적 결과로는 근거 없는 주장이다. 한성백제 주도 세력은 부여와의 관계가 거의 미미하고 기원후 1~2세기 고구려하고만 연관이 있다.[52] 민간에선 진주묘(眞珠墓)라고 불렀다. 대한제국 때 동명왕릉으로 개칭됐다.[53] 고려 정부는 계절이 바뀔 때 동명성제사에 어압(국새가 찍힌 문서)을 보내 제사지냈고, 평양 관리는 매달 초하루, 보름마다 제사지냈다고 한다.[54] 《신증동국여지승람》엔 고려 예종이 쓴 구제궁시가 남아있다. 고려 고종 시기 최자가 쓴 <삼도부>에도 구제궁의 기록이 나온다.[55] 이색이 쓴 시 '부벽루'에서 '(기)린마는 떠나 돌아오지 않으니 천손은 어디서 노니시는가?' 문구가 이 기린굴, 조천석 전설을 인용한 것이다.[56] 왕을 동명성제 혹 동명제로 불렀고, 조천석을 설명할 때 성제를 상제(上帝)와 동격으로 서술했다.[57] 고구려 시조, 동명성왕을 가리킨다.[58] 김부식은 삼국사기에서 동신성모는 선도산 성모라고 추측했다.[59] 동명왕의 위패는 동쪽, 단군 위패는 서쪽에 두어 모두 북쪽에서 남쪽을 바라보게 했다.[60] 단군은 '조선시조 단군지위'.[61] 세손과 대손이 다르다는 관점도 있고, 아무개'의' 몇 세손과 아무개'로부터' 몇 세손이 다르다는 의견도 있으나 중론은 세/대의 차이와 조사의 차이 없이 기준되는 사람을 포함하여 계산함을 원칙으로 한다는 것이다. 바탕이 되는 중국어(한자)에서 조사가 이렇게 세분화되어있지 않으며, 특히 세손/대손을 설명할 때는 조사 구분이 없다. 또한 세손(世孫) 대신 대손(代孫)이라는 말을 쓴 것이 이세민(李民)의 피휘를 위해서이니 당 이전의 고구려는 대손이라는 말 자체가 없었고 이세민 이후에도 의미의 차이가 없는 것이 정상이다. 사실 이러한 의견불일치와 별개로 족보에서 네 명이 비는 것은 동일하다.[62] 신채호의 《조선상고서》에는 '아무개의 몇 세손'으로 통일되어있으며, 본 문서 및 관련 문서에서 또한 '아무개의 몇 세손'으로 통일한다.[63] 북서에 따르면 여율은 유리명왕의 다른 이름이다.[64] 모본왕이 죽고 아들 고익이 왕에 추대될 뻔 했으나 능력 부족으로 고재사가 추대되었고, 고재사는 본인이 나이가 많아 이를 거절하고 아들인 태조대왕에게 넘겼다고 한다. 고재사가 막래(모본)보다 1세대 위, 즉 유리명왕의 아들이라면 나이 문제가 그럴듯하기 때문. 또한 삼국사기에 따르면 태조대왕, 차대왕, 신대왕은 모두 형제이므로 위의 가족관계가 성립한다.[65] 이와 같은 가설이 신채호의 가설인데, 그는 《조선상고사》에서 다른 사서를 참고하지 않고, 연대 계산을 다시 해서 태조대왕을 유리명왕의 손자가 아니라 대무신왕의 손자라는 가설을 세웠다.[66] 정확히는 구려후 추(句驪侯 騶).[67] 홍가 4년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기원전 17년이다.[68] 아우구스투스의 양아버지가 그 카이사르다.[69] 애초에 조선 시대는 다른 나라들에 비해 중앙 기록을 많이 남긴 독특한 사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