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46:57

부여왕(칭왕 초대)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5453A, #6A5445 20%, #6A5445 80%, #55453A); color:#fbe673"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6A5445> 부여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모수왕 부루왕 금와왕 대소왕
<rowcolor=#6A5445> 해두국 갈사국
말대 초대 제2대 제3대
해두왕 갈사왕 1세 갈사왕 2세 도두왕
<rowcolor=#6A5445> 중국사서
초대 시조 계보 미상 칭왕 초대
영품리왕 동명왕 부여왕
계보 미상 초대 제2대 제3대
시왕 부태왕 위구태왕
제4대 제5대 제6대 제7대
간위거왕 마여왕 의려왕 의라왕
제8대 제9대 계보 미상 말대
현왕 울왕 잔왕
<rowcolor=#6A5445> 졸본부여
말대 말대
연타발 추모성왕
<rowcolor=#6A5445> 남부여 문헌상 언급 두막루
초대 왕족 수령
성왕 구태 | 우태 | 위거 낙개제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ECEC, #fff 20%, #fff 80%, #ECECEC); color:#000"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삼국시대 이전
<rowcolor=#FFD400> 단군조선 위만조선 진국 삼한연맹
단군 역대 군주 진왕
예맥
<rowcolor=#fbe673> 부여 예맥족장 최씨낙랑국 비류국
역대 군주 남려 최리 송양
<rowcolor=#fbe673> 고리국 졸본부여 비류백제 십제
영품리 추모 비류 온조
마한
<rowcolor=#fbe673> 초대 제2대 제3대 제?대
준왕 마한왕 2세 마한왕 3세 마한왕
진한
<rowcolor=#fbe673> 실직국 감문국 골벌국 음즙벌국
안일왕 금효왕 아음부 타추간
진한 변한 탐라
<rowcolor=#fbe673> 사로국 금관국 반파국 탐라국
거서간 김수로 이진아시 역대 군주
}}}}}}}}}}}}
부여 칭왕 초대 군주
夫餘王 | 부여왕
<colbgcolor=#6A5445><colcolor=#fbe673> 출생 연대 미상
부여
사망 연대 미상
부여
능묘 미상
재위기간 초대 군주
49년 전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6A5445><colcolor=#fbe673> 성씨 해(解)
선임 동명왕
후임 시왕
왕호 부여국왕(夫餘國王) }}}}}}}}}

1. 개요2. 문헌

[clearfix]

1. 개요

한국 사서를 제외한 중국 사서에서 동명왕 이후에 첫번째로 등장하는 부여의 군주. 이름, 시호가 전해지지 않는다. 선대 군주인 동명왕과 후대 군주인 시(始)와의 관계는 불분명하다.

2. 문헌

建武(25~55)中, 東夷諸國皆來獻見. 二十五年, 夫餘王遣使奉貢, 光武厚荅報之, 於是使命歲通.
건무(建武)[1] 연간(CE 25~55; 고구려 대무신왕 8 ~ 태조왕 3)에 동이의 여러 나라들이 모두 와서 조헌(朝獻)하고 입견(入見)하였다. 25년(CE 49; 모본왕 2)에 부여왕(夫餘王)이 사신을 보내어 공물을 바치므로, 광무제가 후하게 보상하니 이에 사절이 해마다 왕래하였다.
후한서 동이열전 부여 편
서기 49년 한나라에 조공을 바치며 사절이 해마다 왕래하게 하였고 대외적으로 중국식 왕호(王號)를 사용하였다.[2] 그리고 외교 관계를 맺었다는 기록으로 봐서 부여가 중국과 교류하였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부여에서 동명왕, 해모수 이후의 군주들을 제외하고 실체가 확인되는 사실상 첫 번째 군주다.

이외에도 《삼국사기》 <대무신왕>조에 대소왕의 사촌동생 낙씨를 "왕에 봉하고 연나부에 안치시켰다(封爲王 安置掾那部)"라는 글귀가 있어, 그와 동일인이 아닌가 추정되기도 한다. 다만 이 경우 동명왕의 후손이라는 조건을 만족하지 못해서 동일인일 가능성은 낮다.


[1] 후한 광무제의 연호.[2] 이 이후의 기록에서 부여의 군주는 꾸준히 왕으로 일컬어진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