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2 07:24:47

의라왕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5453A, #6A5445 20%, #6A5445 80%, #55453A); color:#fbe673"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6A5445> 부여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모수왕 부루왕 금와왕 대소왕
<rowcolor=#6A5445> 해두국 갈사국
말대 초대 제2대 제3대
해두왕 갈사왕 1세 갈사왕 2세 도두왕
<rowcolor=#6A5445> 중국사서
초대 시조 계보 미상 칭왕 초대
영품리왕 동명왕 부여왕
계보 미상 초대 제2대 제3대
시왕 부태왕 위구태왕
제4대 제5대 제6대 제7대
간위거왕 마여왕 의려왕 의라왕
제8대 제9대 계보 미상 말대
현왕 울왕 잔왕
<rowcolor=#6A5445> 졸본부여
말대 말대
연타발 추모성왕
<rowcolor=#6A5445> 남부여 문헌상 언급 두막루
초대 왕족 수령
성왕 구태 | 우태 | 위거 낙개제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ECEC, #fff 20%, #fff 80%, #ECECEC); color:#000"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삼국시대 이전
<rowcolor=#FFD400> 단군조선 위만조선 진국 삼한연맹
단군 역대 군주 진왕
예맥
<rowcolor=#fbe673> 부여 예맥족장 최씨낙랑국 비류국
역대 군주 남려 최리 송양
<rowcolor=#fbe673> 고리국 졸본부여 비류백제 온조백제
영품리 추모 비류 온조
마한
<rowcolor=#fbe673> 초대 제2대 제3대 제?대
준왕 마한왕 2세 마한왕 3세 마한왕
진한
<rowcolor=#fbe673> 실직국 감문국 골벌국 음즙벌국
안일왕 금효왕 아음부 타추간
진한 변한 탐라
<rowcolor=#fbe673> 사로국 금관국 반파국 탐라국
거서간 김수로 이진아시 역대 군주
}}}}}}}}}}}}
부여 제7대 군주
依羅王 | 의라왕
<colbgcolor=#6A5445><colcolor=#fbe673> 출생 연대 미상
부여
사망 316년 추정
부여
능묘 미상
재위기간 제7대 군주
286년 ~ 316년 추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6A5445><colcolor=#fbe673> 성씨 해(解)
의라(依羅)
부왕 의려왕
후임 현왕
왕호 의라왕(依羅王) }}}}}}}}}
1. 개요2. 행적3. 기타

[clearfix]

1. 개요

부여의 군주.

2. 행적

의려왕의 아들로 285년 부여가 모용선비에게 큰 타격을 입자 서진에게 구원을 요청한다. 당시 동이교위인 하감이 독우 가침(賈沈)[1]을 파견해 의라를 돕자, 모용외 역시 손정을 보내 대응했다. 하지만 가침은 손정을 죽였고 선비족 군사들이 물러나서 부여는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하지만 이후에도 모용외는 부여를 공격했으며, 부여인들을 잡아 그들을 서진노예로 팔아먹었다.

사마염은 이를 가엽게 여겨 사주(司州), 기주(冀州) 2주에서 부여인의 매매를 금지시켰으며 부여인 노예들을 부여로 되돌려보내 주었다.

사실상 마지막 부여의 군주로 기록된 현왕과의 관계는 확실치 않다. 의라왕과 같은 시기 활동한 모용외의 아들인 모용황이 현왕과 동시기 인물임을 고려하면 부자관계가 유력해보인다.

3. 기타

환빠들이 환단고기를 근거로 의려왕과 함께 일본으로 건너가 숭신천황이 되었다는 괴설을 주장하지만 애초 환단고기가 위서로 판단된 점과 의라왕은 서진에 구원을 요청하면서 부여에 남아있던 점이 확실해서 환빠들 외에는 주장하지 않는 편이다. 애초 의려왕은 이미 285년 모용선비의 침공 때 자살했고, 의라왕은 286년 부여왕으로 즉위하고 있었다.



[1] 가심(賈沈)이라고도 한다.